KR102668363B1 -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363B1
KR102668363B1 KR1020230015186A KR20230015186A KR102668363B1 KR 102668363 B1 KR102668363 B1 KR 102668363B1 KR 1020230015186 A KR1020230015186 A KR 1020230015186A KR 20230015186 A KR20230015186 A KR 20230015186A KR 102668363 B1 KR102668363 B1 KR 10266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tank
suction pipe
tank body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민석
윤남운
이남희
Original Assignee
이남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희 filed Critical 이남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기본체와, 좌대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조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에 의해 마개의 개방시 상기 수조본체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변기본체로 배출하며, 상기 마개의 폐쇄시 상기 변기본체의 악취가 흡입되는 배수흡입모듈; 일단이 상기 배수흡입모듈과 연통되고 타단은 외부의 환기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관 조립체; 및 상기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상단 개구를 덮는 수조덮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관 조립체가 상기 수조 내외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타공 등 변기의 가공 또는 교체없이 기존에 설치된 변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자가설치가 가능하고,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In particular, it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a seat, and a water tank. 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and when the stopper is opened by oper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ody is removed. a drain suction module that discharges water into the toilet body and absorbs bad odors from the toilet body when the stopper is closed; a suction pipe assembly at one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rainage suction modu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between the water tank main body and the water tank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main body to allow the suction pipe assembly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water tank.
As a result, the existing toilet can be used as is without processing or replacing the toilet, such as drilling holes, and self-installation is possible by the user.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gap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the use of bathroom space can be maximized.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변기 악취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

본 발명은 변기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공 등 변기의 가공 또는 교체없이 기존에 설치된 변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More specifically, an existing toilet can be used as is without processing or replacing the toilet, such as by drilling holes, and there is no need for a gap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thereby improving bathroom space utilization. This is about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that can maximize odor.

통상 변기(또는 양변기)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와, 용변을 받아 두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측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변기본체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조로 구성된다. Typically, a toilet (or toilet) consists of a seat on which the user can sit, a toilet body with an open top to hold the toilet, and a water tank install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toilet body to supply washing water to the toilet body. .

이러한 종래의 변기는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출입하는 모든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한다. In these conventional toilets, the foul odor generated during toileting not only causes discomfort to those who use the toilet, but also causes discomfort to all users entering the toilet, acting as one of the major factors deteriorat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 toilet.

대부분의 화장실에는 벽면 또는 천장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는 있지만, 이는 화장실 전체 실내공기를 점차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제거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개인주택, 빌라 또는 노후 건물의 화장실 등에는 건물 내의 다수의 화장실과 벽 등 구조체를 통해 연통된 환기장치(또는 공조기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런 경우 화장실 벽에 일부를 뚫어 환풍기(팬)를 설치한다. 또는 아파트와 같이 개별 호수에 연통된 환기장치가 있는 경우라도 환기 흡입구(또는 환기구)는 화장실의 천정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빠르게 배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Most restrooms have ventilators installed on the walls or ceilings to ventilate the indoor air, but this is done to gradually ventilate the entire indoor air, so there is a limit to immediately removing bad odors generated during toileting. For example, in most cases, bathrooms in private houses, villas, or old buildings are not equipped with ventilation devices (or air conditioning devices) that are connected through structures such as walls and multiple bathrooms in the building, and in these cases, there is a part of the bathroom wall. Drill a hole and install a ventilator (fan). Or, even in cases where there is a ventilation device connected to an individual lake, such as an apartment, the ventilation inlet (or vent)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so there is a limit to quickly discharging the odor generated during toileting.

이를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54379호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에는 변기몸체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밴드 형태로 제작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흡입밴드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관리는 물론 고장시 교체해야 문제가 있다. 또한, 흡입밴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저하되고, 변기 청소 등에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4379, “Toilet Detachable Ventilation Device,” discloses a suction band tha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and that is detachab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body and sucks in air. However, users must purchase the suction band separately, and there are problems with maintaining it and replacing it when it breaks down. In addition, the suction b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deteriorating its appearance, and causing inconvenience in cleaning toilets, etc.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18342호 "비데에 설치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장치"에는 비데의 좌판 하부에 악취흡입판 및 악취제거부로 이루어진 탈취좌변기용 탈취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비데를 사용하지 않는 좌변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비데 좌판의 구성이 복잡해져 부피가 커지며, 무엇보다 고가이고, 고장이 나는 경우 비데 전체를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Meanwhil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18342,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seat for installation in bidet,” discloses a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seat consisting of an odor suction plate and an odor removal unit at the bottom of the bidet seat. However, it cannot be used in toilet seats that do not use a bidet, the composition of the bidet seat becomes complicated and becomes bulky, and above all, it is expensive, and if it breaks down, the entire bidet must be repaired or replaced.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15178호 "악취 이동수단을 갖는 양변기 악취 배출구"에는 화장실 벽에 시공되어 있는 환풍 흡입관에 연통하기 위하여 수조본체를 타공한 후 간격유지구와 연결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상기 환풍 흡입관이 벽체에 시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설령 환풍 흡입관이 시공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에 이미 타공이 되어 있는 수조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주택 건설시 변기가 맞춤형으로 설치되지 않는 한 통상의 변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맞춤형으로 동시에 시공된 변기의 경우에도 벽과 수조 사이에 최소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화장실의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15178, “Toilet Odor Outlet with Odor Moving Means” discloses a technique of perforating the water tank body and then fixing it with a gap maintainer and connection fixing means to communicate with the ventilation suction pipe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there is. However, this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applied when the ventilation suction pipe is not installed in the wall. Even if a ventilation suction pipe is installed, only a water tank that has already been perforated in the correct location can be installed, so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a regular toilet unless the toilet is custom-installed during house construction.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custom-built toile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of the toilet was narrowed because a minimum space was required between the wall and the water tank.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공 등 변기의 가공 또는 교체없이 기존에 설치된 변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that can utilize an existing toilet as is without processing or replacing the toilet, such as by drilling holes, and can maximize the use of bathroom space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 gap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에 악취 흡입용 환풍 흡입구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도, 흡입관 조립체를 통해 환기구까지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흡입관 조립체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변기와 환기구의 위치에 따른 제약이 없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if a ventilation inlet for sucking odor is not provided separately on the wall of a bathroom, etc. where a toilet is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by connecting to the ventilation inlet through a suction pipe assembly, and various combinations of suction pipe assemblies are possible. The goal is to provide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that is not limited by the location of the toilet and v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 설치된 변기의 종류, 형상,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변기의 변경이 불필요하고, 이미 시공되어 있는 환풍 흡입구의 위치와 무관하게 흡입관 조립체를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제약이 없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shape, and size of an already installed toilet, and that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toilet, and that the suction pipe assembly can be comb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inlet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The goal is to provide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that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oilet because it can be installed.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본체와, 좌대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조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에 의해 마개의 개방시 상기 수조본체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변기본체로 배출하며, 상기 마개의 폐쇄시 상기 변기본체의 악취가 흡입되는 배수흡입모듈; 일단이 상기 배수흡입모듈과 연통되고 타단은 외부의 환기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관 조립체; 및 상기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상단 개구를 덮는 수조덮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관 조립체가 상기 수조 내외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모듈;을 포함한다.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a seat, and a water tank. 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and when the stopper is opened by oper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ody is transferred to the toilet. a drain suction module that discharges water into the main body and absorbs bad odors from the toilet body when the stopper is closed; a suction pipe assembly at one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drainage suction modu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between the water tank main body and the water tank cover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main body to allow the suction pipe assembly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ter tank.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통모듈은, 양단이 상기 수조의 내외부로 각각 연장된 관연결부와, 상기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덮개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관연결부의 중앙 일측이 위치하도록 하는 이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 조립체는, 일단은 상기 배수흡입모듈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 내부로 연장된 상기 관연결부의 일단에 연통된 내부흡입관과, 일단은 상기 수조 외부로 연장된 상기 관연결부의 타단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환기장치와 연통되는 외부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forms a space between a pipe connection part whose both ends exten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body and the water tank cover, so that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pipe connection part is located. The suction pipe assembly includes an internal suction pipe, one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connection part extending inside the water tank, and one end of the pipe connection part extending outside the water tank. It may include an external suction pipe tha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수조본체의 상단 개구를 따라 설정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관연결부의 중앙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paced portion is provided in a strip shape with a set thickness alo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body, and one central side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one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장치가 벽체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관열결부의 타단은 상기 벽체 일측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과하여 상기 벽체 외부로 연장된 후 상기 외부흡입관의 일단에 연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outside the wall, the other end of the pipe heat connection part may pass through a through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extend outside the wall, and then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흡입모듈은, 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마개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기 마개의 개방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변기본체로 배출하고 상기 마개의 폐쇄시 상기 변기본체의 악취가 흡입되는 제1개구와, 상기 몸체의 측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흡입관 조립체와 연통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suction module includes a cylindrical body, a stopper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dy to be openable and closed, and when the stopper is opened on a lower side of the body,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released. It may include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bad odors from the toilet body are sucked in when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dy and the stopper is closed, and a second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ipe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본체와, 좌대 및 수조본체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조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에 의해 마개의 개방시 상기 수조본체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변기본체로 배출하며, 상기 마개의 폐쇄시 상기 변기본체의 악취가 흡입되는 배수흡입모듈; 및 일단이 상기 배수흡입모듈과 연통되고 타단은 외부의 환기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관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관 조립체는, 양단이 상기 수조본체의 바닥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수조본체 내외로 연장된 제1삽입관과, 일단은 상기 배수흡입모듈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본체 내부로 연장된 상기 제1삽입관의 일단에 연통되는 내부흡입관과, 일단은 상기 수조본체 외부로 연장된 상기 제1삽입관의 타단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환기장치와 연통되는 외부흡입관을 포함한다.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a seat, and a water tank body, and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and is attached to the water tank body when the stopper is opened by operation. a drain suction module that discharges stored water into the toilet body and sucks in bad odors from the toilet body when the stopper is closed; And a suction pipe assembly, one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wherein both ends of the suction pipe assembly penetrate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and extend into and out of the water tank body. A first insertion pipe,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one end of the first insertion pipe extending in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and the first end extending out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I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other end includes an external suction tube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환기장치가 벽체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외부흡입관은 양단이 상기 벽체를 관통하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2삽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ventilation device is provided outside the wall, the external suction pip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ertion pipe whose both ends extend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wall.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흡입관의 일측에는 결로방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condensation prevention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타공 등 변기의 가공 또는 교체없이 기존에 설치된 변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자가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tilize an existing toilet without processing or replacing the toilet, such as by drilling holes, and allowing self-installatio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bathroom space utilization because no gap is required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흡입관 조립체를 통하여 화장실 등에 설치된 환풍기 또는 환풍구까지 직접 연통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변기 및 환풍구의 위치에 무관하게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rectly connecting to a vent or vent installed in a bathroom, etc. through a suction pipe assembly, 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toilet and v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에 악취 흡입용 환풍 흡입구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도 흡입관 조립체를 통해 환기구까지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흡입관 조립체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변기와 환기구의 위치에 따른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y connecting to the ventilation port through the suction pipe assembly even if a separate ventilation inlet for inhaling odor is not provided on the wall of a bathroom, etc. where a toilet is installed. Various combinations of suction pipe assemblies are possible, which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restricted by the location of the toilet and ven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이미 설치된 변기의 종류, 형상,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변기의 변경이 불필요하고, 이미 시공되어 있는 환풍 흡입구의 위치와 무관하게 흡입관 조립체를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제약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already installed toilet,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toilet, and it is independent of the location of the ventilation inlet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Since it can be installed by combining suction pipe assembli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without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흡입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의 설치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suc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nstallation diagram of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enable a clear and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외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실시예들을 구성요소 또는 실시예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표현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되지 되지 않는 한,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해석되어야 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한편,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용어의 명확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For example, as used herein, singular terms include plural te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Since it is not intend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construed as not excluding them unless an exception to such exclusion is specified.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owever, terms such as “first ~” or “second ~” are used to distinguish only one element or embodiment from the other elements or embodiments, and the first element referred to below is the present element. Of course, it may be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ref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unless the expression refers to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there are no intervening compon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omponent may exist. Additionally, in the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Meanwhil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unless otherwise defined, basically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owever, each term described below i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etc., so a clear definition of the term is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must be interpreted first.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그 이점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으며, 다양한 도면들의 유사하고 대응되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유사한 번호들이 이용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ts advantages may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5, and like numbers are used for similar and corresponding parts in the various drawings.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는,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변기본체(110)와, 좌대(130) 및 수조(150)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흡입모듈(10)과, 흡입관 조립체(20)와 연통모듈(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110, a seat 130, and a water tank 150. , includes a drainage suction module (10), a suction pipe assembly (20), and a communication module (30).

배수흡입모듈(10)은 수조본체(151)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에 의해 마개(14)의 개방시 수조본체(151)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0)로 배출하며, 마개(14)의 폐쇄시 변기본체(110)의 악취가 흡입된다. 배수흡입모듈(1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몸체(11)와, 마개(14)와, 제1개구(12)와, 제2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ain suction module 10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discharg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to the toilet main body 110 when the stopper 14 is opened by operation, and the stopper 14 When closed, the foul odor from the toilet body 110 is inhaled. The drain suction module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body 11, a stopper 14, a first opening 12, and a second opening 13. there is.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는 내부에 세척수의 배출 및 악취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통형상으로 마련된다. 마개(14)는 몸체(11)의 상부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된다. 일 예로, 마개(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마개(14)의 상부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마개(14)를 끌어당겨 상부 개구(미도시)를 개방시키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마개와이어 고정부(14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개(14)는 상기 상부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한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개구(12)는 몸체(11)의 하부 일측에 마련되어 마개(14)의 개방시 수조(150)에 저장된 물을 변기본체(110)로 배출하고, 마개(14)의 폐쇄시 변기본체(110)의 악취가 흡입된다. 제1개구(12)는 수조본체(151)의 바닥면 과 이에 맞닿은 변기본체(110)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질 수 있다. 제2개구(13)는 몸체(11)의 측부 일측에 마련되며 흡입관 조립체(20)와 연통된다. 이에, 제2개구(13)는 제1개구(12)를 통해 흡입된 악취가 흡입관 조립체(20)를 통해 외부의 환기장치(S)로 배출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body 1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provided therein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and sucking in bad odors. The stopper 14 is provided on one upper side of the body 11 to be openable and closed. As an example, the stopper 1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1, as shown in FIG. 2, and the stopper 14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14 by the user's manipulation. A stopper wire fixing portion 14a may be provided to which a wire that is pulled to open the upper opening (not shown) is fixed. Here, the stopper 14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s long as it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and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e first opening 12 is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body 11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50 to the toilet body 110 when the stopper 14 is opened, and when the stopper 14 is closed, the toilet body ( 110) The foul odor is inhaled. The first opening 12 may be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d on one side of the toilet body 110 in contact with it. The second opening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1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Accordingly, the second opening 13 allows the malodor inhal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 to be discharged to the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through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흡입관 조립체(20)는, 도 1을 참조하면, 일단이 배수흡입모듈(10)과 연통되고 타단은 외부의 환기장치(S)와 연통된다. 일실시예에서, 흡입관 조립체(20)는 수조(150) 내부에 위치한 내부흡입관(21)와, 수조(150)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흡입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has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and the other end with the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may include an internal suction pipe 21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150 and an external suction pipe 23 located outside the water tank 150.

내부흡입관(21)은 일단은 배수흡입모듈(10), 구체적으로 제2개구(13)와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수조(150) 내부로 연장된 관연결부(33)의 일단에 연통된다. 내부흡입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흡입관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흡입관(21)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내부흡입관(21)이 복수의 흡입관으로 조립되는 경우 각 흡입관의 단면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내부흡입관(21)은 후술할 관연결부(33)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굴곡형상을 갖는 흡입관을 상호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One end of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communicates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specifically the second opening 13,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pipe connection part 33 extending into the water tank 150. As shown in FIG. 1, the internal suction pipe may be provided as one piece, but if necessary,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may be assembled.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may be variously provided as needed, such as circular or square. When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is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the cross-sections of each suction pip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Meanwhile,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may be formed by combining suction pipes with various curved shap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외부흡입관(23)은 일단은 수조(150) 외부로 연장된 관연결부(33)의 타단에 연통되고, 타단은 환기장치(S)와 연통된다. 외부흡입관(23)은 관연결부(33)와 환기장치(S) 사이에 마련되어 악취의 배출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전술한 내부흡입관(21)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흡입관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e end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pipe connection part 33 extending outside the water tank 15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S).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is provided between the pipe connection part 33 and the ventilation device (S), and can be formed by combining one or more suction pipes of various shapes, like the above-described internal suction pipe 21, as long as it is provided to enable discharge of odor. Of course it is possible.

연통모듈(30)은 수조본체(151) 및 수조본체(151)의 상단 개구를 덮는 수조덮개(153) 사이에 마련되어 흡입관 조립체(20)가 수조(150) 내외로 연통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통모듈(30)은 변기에 타공 등 외형의 변경없이 흡입관 조립체(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30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the water tank cover 153 that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to allow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to communicate inside and outside the water tank 150. The communication module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llows the installation of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in the toilet without changing the external shape, such as perforating.

본 실시예에서, 연통모듈(30)은 관연결부(33)와 이격부(31)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30 includes a pipe connection portion 33 and a spaced portion 31.

관연결부(33)는 양단이 수조(150) 내외부로 각각 연장되며 마련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연결부(33)는 양단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은 수조본체(151) 내부로 연장되어 내부흡입관(21)과 연통되며, 타단은 수조본체(151)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흡입관(23)과 연통된다. 관연결부(33)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연결부(33)의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할 수조본체(151)와 수조덮개(153)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의 단면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관연결부(33)는 도 1에서 수조본체(15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측면 또는 전면 등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변기의 위치와 관계없이 외부의 환기장치(S)와 외부흡입관(23)을 통해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공간이나 위치에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관연결부(33)의 양단의 크기 및 형상은 내부흡입관(21) 및 외부흡입관(23)과 연통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변기의 설치위치 및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관연결부(33)가 수조본체(151)의 상단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is provided with both ends extending inside and outside the water tank 150, respectively. Referring to Figures 1 and 3, the pipe connection part 33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with both ends open, one end extends inside the water tank body 151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body ( 151) It extends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as shown in FIGS. 1 and 3, may be provided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ipe connection part 33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However, it has a flat cross-sectional shape to minimiz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water tank body 151 and the water tank cover 1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advantageous to have it in place. Meanwhile, the pipe connection part 33 is shown as being located at the rear of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in FIG. 1,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the side or front. Therefore,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toilet, communic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and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thereby minimizing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space or location. Meanwhile, the size and shape of both ends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can be of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space of the toilet as long as it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and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In addition, a fix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cure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to the top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d various known mechanical or chemical methods may be used as the fixing means.

이격부(31)는 수조본체(151)와 수조덮개(153)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관연결부(33)의 중앙 일측이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격부(31)는 관연결부(33)가 수조본체(151) 상단과 수조덮개(15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본체(151)의 상단 개구를 따라 설정된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관연결부(33)의 중앙일측이 삽입되는 개방홈(311)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이격부(31)는 수조본체(151) 상단 개구면의 형상에 맞추어 미리 제작될 수도 있고, 직선구간 및 곡선구간에 따라 미리 제작된 부분을 현장에서 맞추어 조합할 수도 있다. 일예로 실리콘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조본체(151) 상단 개구의 형상에 따라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이격부(31)는 실리콘 등 액상으로 마련되어 현장에서 도포하는 방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격부(31)는 연속된 띠 형상이 아닌 복수의 위치(spot)에 분포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격부(31)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수조본체(151)와 수조덮개(153)가 전체면에 걸쳐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할 수도 있으나, 관연결부(33)가 설치되는 일부 영역에만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격부(31)와 관연결부(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격부(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연결부(33)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양한 위치에 개방홈(311)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개방홈(311)을 2 이상의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spacing portion 31 is provided to form a space between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the water tank cover 153 so that one central side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is located. The spacing portion 31 can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as long as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d the water tank cover 15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 open groove 311 is provided in a strip shape with a set thickness along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into which one central side of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is inserted. This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spacer 31 may be manufact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or the parts manufact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traight section and curved section may be combined on site. For example, silicone tape may be used to attach 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water tank body 151, or the spacer 31 may be prepared in a liquid form such as silicone and applied on site. As another example, the spaced portions 31 may be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spots rather than in a continuous strip shape. As another embodiment, the spacing portion 31 may allow the water tank body 151 and the water tank cover 153 to have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over the entire surfa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is installed. Of course, it can be arranged to form a separation space only in some areas.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paced portion 31 and the pipe connection portion 33 to be formed and installed as one piece.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31 can form the open groove 311 in various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pe connection part 33, and if necessary, the open groove 311 can be formed in two or more positions. Of course, it can be formed.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operation of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좌대(130)에 앉아 용변을 보는 경우, 외부 환기장치(S)에 의해 변기본체(110)에 이미 설치된 세척배출공(111)을 통해 악취가 흡입되며, 흡입된 악취는 배수흡입모듈(10)의 제1개구(12), 몸체(11) 및 제2개구(13)를 순차적 통과하여 내부흡입관(21)으로 흡입되고, 관연결부(33)를 통해 외부흡입관(23)으로 흡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수조본체(151)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면, 와이어가 작동하여 마개(14)를 개방하여 수조본체(151)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가 제1개구(12)를 통하여 배출되고 세척배출공(111)을 통해 배출되어 용변이 처리되게 된다.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130 and relieves himself/herself, bad odor is sucked in through the washing discharge hole 111 already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110 by the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and the sucked bad smell is absorbed by the drain suction module ( I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12), body (11), and second opening (13) of 10) and is sucked into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and is sucked into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through the pipe connection part (33) to the outside. is discharged as When the user finishes toileting and operates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water tank body 151, the wire operates to open the stopper 14 and the washing water stor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151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2.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discharge hole 111 to dispose of the wast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타공 등 변기의 가공 또는 교체없이 기존에 설치된 변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자가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tilize an existing toilet without processing or replacing the toilet, such as by drilling holes, and allowing self-installation by the us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에 악취 흡입용 환풍 흡입구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도 흡입관 조립체를 통해 환기구까지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흡입관 조립체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여 변기와 환기구의 위치에 따른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installed by connecting to the ventilation port through the suction pipe assembly even when a separate ventilation inlet for sucking odor is not provided on the wall of a bathroom, etc. where a toilet is installed. The advantage is that there are no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oilet and vent as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in this embodiment will be mainly explained.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는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체(200)에 외부의 환기장치(S)와 연결된 환풍 흡입구(미도시)가 이미 시공되어 있는 경우로서, 상기 환풍 흡입구에 관연결부(33)의 타단을 연통시키고 관연결부(33)의 일단에는 내부흡입관(21)이 연통된다. 이 경우, 상기 환풍 흡입구는 벽체(200) 외부에 이미 시공된 흡입관을 통해 환기장치(S)에 연결되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흡입관 조립체(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의 내부흡입관(21)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ase in which a ventilation inlet (not shown) connected to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is already installed on the wall 200 of a bathroom, etc. where a toilet is installed. The other end of the tube connection part 33 is communicated with, and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is communicated with one end of the tube connection part 33. In this case, the ventilation inlet is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device (S) through a suction pipe already construct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200, so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in this embodiment is the internal suction pip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It should be interpreted as corresponding to 21).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이미 설치된 변기의 종류, 형상,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변기의 변경이 불필요하고, 이미 시공되어 있는 환풍 흡입구의 위치와 무관하게 흡입관 조립체를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제약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already installed toilet, and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toilet, and the suction pipe assembly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inlet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Since it can be installed in combin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without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oile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bathroom space utilization because no gap is required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는, 도 4를 참조하면, 변기본체(110)와, 좌대(130) 및 수조본체(151)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흡입모듈(10) 및 흡입관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110, a seat 130, and a water tank body 151, It includes a drainage suction module (10) and a suction pipe assembly (20).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explained.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 조립체(20)는, 제1삽입관(251)과, 내부흡입관(21) 및 외부흡입관(23)을 포함한다.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insertion pipe 251, an internal suction pipe 21, and an external suction pipe 23.

제1삽입관(251)은 양단이 수조본체(151)의 바닥면 일측을 관통하여 수조본체(151) 내외로 연장된다. 제1삽입관(251)의 설치를 위해 수조본체(151)의 바닥면 일측에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의 위치는 수조(150) 내의 다른 구성의 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본체(151)의 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삽입관(251)을 위한 상기 삽입공이 수조본체(15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흡입관(23)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has both ends penetrating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d extends into and out of the water tank body 151. For installation of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an inser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151.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hole can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components in the water tank 150, and of course, it can also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Here, when the insertion hole for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15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xposure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can be minimized.

내부흡입관(21)은 일단은 배수흡입모듈(10)에 연통되고 타단은 수조본체(151) 내부로 연장된다. 내부흡입관(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흡입모듈(10)과 제1삽입관(251)을 연통할 수 있는 한, 1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조합으몰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e end of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and the other end extends into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s shown in FIG. 5, the internal suction pipe 21 may be provided as one piece or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long as it can communicate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and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Of course.

외부흡입관(23)은 일단은 수조본체(151) 외부로 연장된 제1삽입관(251)의 타단에 연통되며, 타단은 환기장치(S)와 연통된다. 외부흡입관(23) 또한 하나의 관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에 설치된 환풍기(팬)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환풍구(천정 등에 설치된) 등에 연통됨으로써 악취가 배출되도록 한다. One end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extending out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S).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may also be provided as a single pipe, or may be provided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Accordingly, the foul odor is discharged by connecting to an exhaust fan (fan) installed in a bathroom with a toilet, or a vent (installed in the ceiling, etc.) of an apartment complex or other apartment complex.

결로방지부(27)는 외부흡입관(231)의 일측에 마련된다. 외부흡입관(23)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결로방지부(27)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형태로 마련되어 악취 흡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ndensation prevention unit 2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231. It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ischarging water droplet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ndensation prevention unit 27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to enable inhalation of odo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흡입관 조립체를 통하여 화장실 등에 설치된 환풍기 또는 환풍구까지 직접 연통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변기 및 환풍구의 위치에 무관하게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a ventilation fan or vent installed in a bathroom, etc. through a suction pipe assembly,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toilet and vent. There is.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를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예서, 전술한 제3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in this embodiment will be mainly explained.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1)는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체(200)에 외부의 환기장치(S)와 연통된 환풍 흡입관 및 이와 연통되는 환풍 흡입구(미도시)가 이미 시공되어 있는 경우로서, 외부흡입관(23)은 양단이 벽체(200)을 관통하여 양방향으로 연장된 제2삽입관(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외부흡입관(232)은 제2삽입관에 대응할 수 있다. I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ventilation su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and a ventilation inlet (not shown) communicating therewith are already installed on the wall 200 of a bathroom, etc. where a toilet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ipe (not shown) whose both ends extend in both directions through the wall 200. In this case, the external suction pipe 232 shown in FIG. 4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insertion pip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화장실 벽에 시공되어 있는 환풍 흡입구의 위치와 무관하게 흡입관 조립체를 조합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제약없이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without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oilet because it can be installed by combining the suction pipe assembl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ventilation inlet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 악취 제거장치는 변기 수조와 벽과의 사이에 간격이 불필요하므로 화장실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oilet odo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bathroom space utilization because no gap is required between the toilet tank and the wall.

이상에서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atent clai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ality.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변기 악취 제거장치
110 : 변기본체 111 : 세척배출공
130 : 좌대 150 : 수조
151 : 수조본체 153 : 수조덮개
10 : 배수흡입모듈
11 : 몸체 12 : 제1개구
13 : 제2개구 14 : 마개
20 : 흡입관 조립체
21 : 내부흡입관 23 : 외부흡입관
251 : 제1삽입관 27 : 결로방지부
30 : 연통모듈 31 : 이격부
311 : 개방홈 33 : 관연결부
200 : 벽체 S : 환기장치
1: Toilet odor removal device
110: Toilet body 111: Washing discharge hole
130: pedestal 150: water tank
151: Water tank body 153: Water tank cover
10: Drainage suction module
11: body 12: first opening
13: second opening 14: stopper
20: suction pipe assembly
21: internal suction pipe 23: external suction pipe
251: first insertion pipe 27: condensation prevention unit
30: Flue communication module 31: Separated part
311: Open groove 33: Pipe connection part
200: Wall S: Ventilation device

Claims (9)

변기본체(110)와, 좌대(130) 및 수조본체(151)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조본체(151) 내부에 마련되며, 조작에 의해 마개(14)의 개방시 상기 수조본체(15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변기본체(110)로 배출하며, 상기 마개(14)의 폐쇄시 상기 변기본체(110)의 악취가 흡입되는 배수흡입모듈(10);
일단은 상기 배수흡입모듈(10)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수조본체(151)의 바닥면 일측에 마련된 삽입공을 통해 상기 수조본체(151)의 외부로 연장되어 외부의 환기장치(S) 또는 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등의 벽체(200)에 마련되어 상기 환기장치(S)와 연통되는 환풍 흡입구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는 흡입관 조립체(20); 및
상기 수조본체(151)의 외부에 마련된 상기 흡입관 조립체(20)의 일측에 마련되되, 굴곡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흡입관 조립체(20)에 누적된 일정량 이상의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상기 환기장치(S)의 흡입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결로방지부(27)를 포함하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
It is installed in a toilet including a toilet body 110, a seat 130, and a water tank body 151,
It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body 151, and when the stopper 14 is opened by manipul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ody 15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dy 110, and when the stopper 14 is close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ody 15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body 110. A drain suction module (10) through which bad odors from the toilet body (110) are sucked in;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body 151 through an insertion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151 to be used as an external ventilation device (S) or toilet. A suction pipe assembly (20) provided on the wall (200) of a restroom, etc., and connected to one of the ventilation inlets communicating with the ventilation device (S);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provided out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is provided in a curved tube shap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 certain amount of water droplets accumulated in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and at the same time, the ventilation device (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condensation prevention unit (27) that maintains the suction power of S).
제1항에서,
상기 흡입관 조립체(20)는, 양단이 상기 수조본체(151)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조본체(151) 내외로 연장된 제1삽입관(251)과, 일단은 상기 배수흡입모듈(10)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수조본체(151) 내부로 연장된 상기 제1삽입관(251)의 일단에 연통되는 내부흡입관(21)과, 일단은 상기 수조본체(151) 외부로 연장된 상기 제1삽입관(251)의 타단에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환기장치(S)와 연통되는 외부흡입관(23)을 포함하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
In paragraph 1:
The suction pipe assembly 2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ipe 251, both ends of which extend into and out of the water tank body 151 through the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d one end of the water tank body 151. An internal suction pipe 21 that communicates with the drain suction module 10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extending in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nd one end outside the water tank main body 151 A toilet odor removal device comprising an external suction pipe (23) tha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sertion pipe (251) extending to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s with the ventilation device (S).
제2항에서,
상기 결로방지부(27)는 상기 외부흡입관(23)의 일측에 마련되며, "S"자 형의 굴곡진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정량 이상의 누적된 물방울이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변기 악취 제거장치.
In paragraph 2,
The condensation prevention unit (2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suction pipe (23) and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n “S”-shaped curved tube to automatically discharge accumulated water droplets of a certain amount or more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15186A 2023-02-03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 KR102668363B1 (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8363B1 true KR102668363B1 (en)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78B1 (en) * 2013-12-06 2014-07-04 (주)대금 Toilet smell ventil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178B1 (en) * 2013-12-06 2014-07-04 (주)대금 Toilet smell ventil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8845A (en) Ventilated urinal system
US20070186334A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a toilet
US9399862B2 (en) Odor extractor
GB2143872A (en) Ventilating W.C. pans
US7856675B1 (en) Flush passage ventilation fitting
KR101375078B1 (en) Seat for toilets with air circulation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US6928666B1 (en) Toilet with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WO2006022893A1 (en) System for venting noxious fumes from a toilet
US8984676B2 (en) Toilet with an odor eliminating function
KR102668363B1 (en) Apparatus for Removing Odor from Toliet Bowl
US20140338111A1 (en) Odor Eliminating System for a Toilet
US20100058525A1 (en) Toilets
KR100492328B1 (en) Toilet seat odor discharging system with soundproof board and backstop terminal.
KR20090129864A (en) Toilet bowl having an offensive oder exhaust function
US11149425B2 (en) Ventilated toilet
KR101270214B1 (en) Bad smell clearance device of a toilet bowl
KR100488298B1 (en) Toilet seat ventilating apparatus
US20060096013A1 (en) Odorless commode
WO2001007723A1 (en) Ventilated sanitary device and a method for ventilating the same
KR200272094Y1 (en) Toilet odor drain system with soundproof plate and anti-wind terminal
US11591783B2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JPH10183720A (en) Odorless system toilet
JP3176071U (en) Toilet deodorization equipment
KR20180007797A (en) Toilet odor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