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074B1 - 크로스 벨트 소터 - Google Patents

크로스 벨트 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074B1
KR102668074B1 KR1020210184314A KR20210184314A KR102668074B1 KR 102668074 B1 KR102668074 B1 KR 102668074B1 KR 1020210184314 A KR1020210184314 A KR 1020210184314A KR 20210184314 A KR20210184314 A KR 20210184314A KR 102668074 B1 KR102668074 B1 KR 10266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converter
inverter
cross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5186A (ko
Inventor
노정욱
이승훈
박재현
김민중
Original Assignee
한국씨엔에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씨엔에스 (주) filed Critical 한국씨엔에스 (주)
Priority to KR1020210184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0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e.g. by masking incorrect turn-on or turn-off signals, e.g. due to current spikes in current mode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4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 벨트 소터에 대한 것으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inverter)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양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충전 및 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및, 상기 인버터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상기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제한하는 DC-DC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로스 벨트 소터{CROSS BELT SORTER}
본 발명은 크로스 벨트 소터에 대한 것으로,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에 대한 것이다.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Cross Belt Sorter System)은 컨베이어 기반의 수하물 분류 시스템으로서, 메인 트랙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짧은 컨베이어 벨트 체인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크로스 벨트 소터(Cross Belt Sorte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하물 구분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러한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인입부, 크로스 벨트 소터, 토출부 및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하물이 인입부로 지입하여 크로스 벨트 소터로 이동되면 수하물의 분류가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은 복수의 크로스 벨트 소터(1)가 메인 트랙(50)을 따라 복수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크로스 벨트 소터(1)는 메인 트랙(50)의 진행 방향(51)과 직교하는 방향(52)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2)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2)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roll) 축과 상기 롤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모터를 포함하는 바디부(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은 인입부를 통해 수하물이 크로스 벨트 소터(1)에 지입되면 메인 트랙(50)을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메인 트랙(50)과 결합된 복수의 크로스 벨트 소터(1)들이 메인 트랙(5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수하물 분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토출부, 즉 트레이(30)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시스템은 지입된 수하물(20)에 따른 트레이(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크로스 벨트 소터(1)가 위치하는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1)의 BLDC 모터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BLDC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롤 축이 회전하여, 크로스 벨트 소터(1)의 컨베이어 벨트(2)가 트레이(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에 상에 지입된 수하물(20)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2)의 이동에 따라 트레이(30)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트랙(50)과 트레이(30)는 높이차에 따른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트레이(30)의 경사면을 따라 수하물(20)이 트레이(30)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에서, 크로스 벨트 소터(1)가 컨베이어 벨트(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은,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트랙(50)을 따라 형성된 전력 공급 버스바(Bus bar)(5)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크로스 벨트 소터(1)는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의 전력을 크로스 벨트 소터(1)의 BLDC 모터에 공급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크로스벨트 소터 시스템은, 수하물의 분류를 위해 크로스 벨트 소터(1)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와 상기 접촉부 사이의 접촉이 발생하고, 상기 접촉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크로스 벨트 소터(1) 및 전력 공급 버스바(5)의 수명이 짧아지고, 그에 따른 유지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 전력 공급 방식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의 전력을 무선으로 크로스 벨트 소터에 제공하는 방안이 대두되었다. 이 경우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와 크로스 벨트 소터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마모에 의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전력 공급 버스바(5)의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경우, 무선 전력 공급 방식의 한계에 따라 크로스 벨트 소터에 공급 가능한 전력이 한정된다. 따라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가 증대되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크로스 벨트 소터의 구동이 요구되는 경우와 같이, 크로스 벨트 소터에서 요구되는 전류(부하 전류, Iload)가 증가하면,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 벨트 소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이 최소 공급 전압(Vmin) 이하로 강하하게 된다.
한편 동일한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이처럼 전압이 강하하게 되면 공급 전력을 유지하기 위해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전류가 증가하면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 장치(예 : 차단기 또는 퓨즈 등)가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전류 차단 장치가 구동되는 경우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하물의 부하가 증대되는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의 수하물 분류 작업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의 차단과 재개가 반복되어 크로스 벨트 소터와 전력 공급 버스바(5) 모두의 부하 및 스트레스가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공급 버스를 통해 무선으로 크로스 벨트 소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BLDC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공급 버스를 통해 무선으로 크로스 벨트 소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 BLDC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을 최소 공급 전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크로스 벨트 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inverter)와,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양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충전 및 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및, 상기 인버터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상기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제한하는 DC-DC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수신되는 듀티 신호(duty signal)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와 기 설정된 기준 전류를 비교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검출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와, 상기 컨버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 전압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제어부와 상기 전압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값에 따른 듀티 신호를 생성 및, 생성된 듀티 신호를 상기 컨버터에 인가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류를 감지 및 감지된 입력 전류에 상응하는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검출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입력받고,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고,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류는, 상기 수신부의 과전류 차단기가 전류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임계 전류 미만의 전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오차 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전압 제어부의 출력 최대값과 상기 전류 제어부의 출력 최대값 차이를 보상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와 전압 제어부 및 상기 PWM 오실레이터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집적 회로는 TL494 집적 회로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공급 전압을 승압하는 부스트(boost)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급 전압을 강압하는 벅(buck)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 전압을 강압 하거나 승압하는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수하물의 증대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부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부하 전류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는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의 차이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인버터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상기 부하 전류의 크기가 복원되면,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방전된 전류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방식에 따라, 지정된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수신하여 충전하고, 지정된 전압이 되면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의 초기 구동시에,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를 수신하여 초기 충전되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슈퍼 커패시터의 초기 충전에 따른 돌입 전류에 의해 상기 수신부의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크로스 벨트 소터의 BLDC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DC 링크 (+)단과 DC 링크 (-)단 사이에 슈퍼 커패시터를 구비함으로써,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슈퍼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가 상기 BLDC 모터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BLDC 모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최대값을 제한하는 DC-DC 컨버터(converter)를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슈퍼 커패시터 사이에 구비하여,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공급 전압이 최소 전압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크로스 벨트 소터 시스템에서, 수하물의 부하가 증대되는 경우에 전원 공급부의 전압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 및 크로스 벨트 소터의 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에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시, 인버터에 부하 전류가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의 다른 회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에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시, 인버터에 부하 전류가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에서 슈퍼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CC-CV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상기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가 구비되는 경우에, 전원 공급부의 공급 전압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 및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단면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메인 트랙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12)를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롤(roll) 축들(15, 16), 그리고 상기 롤 축들(15, 16)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바디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3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메인 트랙(50)의 일측에는 전력 공급 버스바(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 수신부(이하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공급 버스바(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구동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이하 송신부)가 될 수 있으며,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수신부를 통해 상기 송신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120)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신부(14)는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바디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인버터의 제어에 따른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롤 축(15, 16)이 컨베이어 벨트(12)를 트레이(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12) 상에 수하물이 지입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12)의 회전에 따라 수하물이 트레이(3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BLDC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1)는 상기 수신부(14)와 상기 인버터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부(14)를 통해, 전력 공급 버스바(5), 즉 송신부(13)에서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인버터에 공급되고, 인버터를 통해 모터가 구동 및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수하물의 부하 증대시에 급격히 증가하는 부하 전류를 충당하기 위해 상기 수신부(14)와 상기 인버터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슈퍼 커패시터는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구동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수신부(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로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하물에 의한 부하가 증대되어 부하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슈퍼 커패시터가 방전되어 상기 증가된 부하 전류를 충당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의 회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의 (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슈퍼 커패시터(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 바디부(1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의 (b)는 상기 수신부(14)와 인버터(130) 사이의 DC 링크 양단에 슈퍼 커패시터(150)가 배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상기 송신부(13)와 함께 전력 공급부(120)를 형성 및 상기 송신부(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수신부(14)와, 인버터(130)와 모터(140) 및 슈퍼 커패시터(150)를 포함하는 바디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는 상기 수신부(14)와 인버터(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신부(14)에서 인버터(130)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슈퍼 커패시터(150)는 인버터(130) 입력단의 DC 링크 (+)단과 DC 링크 (-)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는 상기 DC 링크 (+)단에 연결되는 양극과, 상기 DC 링크 (-)단에 연결되는 음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극과 음극은 다공성 전극(electrod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과 음극에는 집전체(current collector)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전극 사이에는 전해질이 구비될 수 있고, 양극 전해질과 음극 전해질 사이에는 분리막 또는 격리막(separator)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로서 다양한 종류의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는 전극과 전해질의 계면에 전기 이중층이 두 개의 분극성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는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이거나 상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와 상기 유사 커패시터의 반응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일 수 있다.
이처럼 슈퍼 커패시터(150)가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초기 구동이 시작되는 경우 수신부(1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슈퍼 커패시터(15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슈퍼 커패시터(150)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가 충전되는 동안에는 인버터(130)에 정상 동작 상태에서 공급되는 전류보다 다소 낮은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이 완료되면, 슈퍼 커패시터(150)의 양 단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수신부(1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모두 인버터(13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동작 상태의 전류가 인버터(1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하물의 증대에 따라 부하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가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에 저장된 전류가 인버터(1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이처럼 슈퍼 커패시터(150)를 구비하는 도 4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에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부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송신부(13)를 통해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한계가 1.5Kw 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1.5kw 이상인 경우 과전류 차단기에 의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크로스 벨트 소터(1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의 동작 전압이 48V 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가정과 같이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동작 전압이 48V 인 경우, 무선 공급 전력이 최대 1.5kw 이므로, 수신부(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는 최대 31A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노이즈 등에 의한 영향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신부(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는 30A일 수 있다. 즉, 크로스 벨트 소터(1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부하 전류(Iload)는 30A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하물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모터(140)에서 요구되는 부하 전류(Iload)는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크로스 벨트 소터의 경우라면,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부하 전류의 증가에 따라 전압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1.5 Kw의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라면,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증가할 때 공급 전압이 42.8V 정도로 급격하게 감소(35 * 42.8 = 1.49 Kw)하게 된다. 그러면 전력 공급부(120)는 크로스 벨트 소터의 동작 전압, 즉 48V를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과전류 차단기의 임계 전류를 넘는 과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게 되고, 과전류 차단기의 구동에 따라 전력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면 인버터(130)의 구동 역시 정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벨트 소터(10)의 경우,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급격하게 증가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여 전력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IO = 0A). 그러면 도 5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슈퍼 커패시터(150)가 방전될 수 있으며, 부하 전류(Iload)에 상응하는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 전류가 인버터(13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인버터(130)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수하물의 양이 정상 상태로 복원되면, 과전류 차단기가 해제될 수 있으며, 다시 전력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버터(13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슈퍼 커패시터(150)가 구비되는 경우, 비록 전력 공급부(120)에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부하 전류에 상응하는 전류가 인버터에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슈퍼 커패시터(150)에서 방전되는 전류의 양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의 용량이 적은 경우, 부하 전류가 공급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슈퍼 커패시터(150)의 용량을 증대시키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이나, 보다 큰 용량을 가지는 슈퍼 커패시터(150)의 경우 고가이므로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슈퍼 커패시터(150)의 용량이 늘어나는 경우, 슈퍼 커패시터(150)의 초기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슈퍼 커패시터(150)의 경우, 전자 장치이므로,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초기 구동시 초기 기동에 따른 과전류(예 : 돌입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류 차단기에 의한 차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전력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로 제한할 수 있는 DC-DC 컨버터(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이처럼 슈퍼 커패시터(150) 뿐만 아니라 DC-DC 컨버터(250)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의 구조 및 상기 DC-DC 컨버터(25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DC-DC 컨버터(250)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상기 DC-DC 컨버터(250)가 전력 공급부(120), 즉 수신부(14)와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C-DC 컨버터(250)는, 수신부(1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기 설정된 최대값을 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출력 전압을 제한하여 기 설정된 최대값을 넘지 않는 출력 전압이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 및 인버터(130)에 인가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25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250)는, 전압을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300) 및, 상기 컨버터(300)에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류 제어부(310)와 상기 컨버터(3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 제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 제어부(310)의 출력과 전압 제어부(320)의 출력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기 설정된 톱니파(VSAW)와 비교하여 컨버터(300)의 듀티 신호(duty signal)를 생성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오실레이터(oscillator)(33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컨버터(300)는 수신부(14)에서 공급되는 공급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전압과 다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300)는 상기 입력단, 즉 수신부(14)의 공급 전압과, 출력단, 즉 상기 컨버터(300) 출력 전압(즉, 인버터(130) 입력 전압)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130) 입력 전압 보다 높은 경우라면, 상기 컨버터(300)는 전압 강하를 위한 강압 컨버터(벅(buck)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130) 입력 전압 보다 낮은 경우라면, 상기 컨버터(300)는 전압 상승을 위한 승압 컨버터(부스트(boost)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4)의 공급 전압과 상기 인버터(130) 입력 전압에 따라 승압 및 강압이 모두 가능한 승강압 컨버터(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가 상기 컨버터(3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류 제어부(310)는 상기 컨버터(300)에 입력되는 전류를 센싱하는 전류 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 센서(312)로부터 검출되는 전류값에 근거하여 컨버터(300)로의 입력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1 오차 증폭기(Error Amplifier, E/A)(3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는, 기준 전류값(Iref)이 입력되는 제1 노드와, 상기 전류 센서(312)를 통해 검출된 전류 검출값이 입력되는 제2 노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류는 전력 공급부(120)에서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 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가정과 같이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동작 전압이 48V 이고, 무선 공급 전력 한계가 1.5Kw 인 경우, 30A(48V * 30A = 1,440w)일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공급부(120)에서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는 임계 전류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전류가 기준 전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전류값(Iref)은 상기 기준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전류 센서(312)와 동일한 전류 센서가 검출하는 검출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준 전류(예: 30A)에 상응하는 전압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 센서(312)는 상기 컨버터(300)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수신부(14)의 공급 전류)를, 입력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값(IO)을,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제2 노드를 통해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오차 증폭기(311)는 제2 노드를 통해 입력된 검출값(IO)이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 전류값(Iref)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류값(Iref)을 출력하고, 상기 기준 전류값(Iref)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값(IO)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압 제어부(320)는 기준 전압(Vref)이 입력되는 제1 노드와, 상기 컨버터(300)의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컨버터(300)의 출력 전압(VO)을 입력받는 제2 노드를 구비하는 제2 오차 증폭기(3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은 기 설정된 컨버터(300)의 출력 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술한 가정과 같은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동작 전압, 즉 48V일 수 있다.
그러면 제2 오차 증폭기(312)는 제2 노드를 통해 입력된 컨버터 출력 전압(VO)이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압(Vref)을 출력하고, 상기 기준 전압(Vref)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컨버터 출력 전압(VO)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단과 제2 오차 증폭기(312)의 출력단은 OR 게이트(다이오드 OR 게이트)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값과 제2 오차 증폭기(321)의 출력값은 그 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 오차 증폭기(311)에서 기준 전류값(Iref)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값은 30V일 수 있다(예 :전류 센서의 검출 저항이 1 ohm인 경우). 반면 제2 오차 증폭기(321)에서 기준 전압(Vref)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2 오차 증폭기(320)의 출력값은 48V일 수 있다(예 : 동작 전압이 48V 인 경우). 이 경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최대값과 제2 오차 증폭기(321)의 최대값이 서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제2 노드와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단 사이에는,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최대값과 제2 오차 증폭기(321)의 최대값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저항(3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단과 제2 오차 증폭기(312)의 출력단이 OR 게이트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값과 제2 오차 증폭기(312)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가 상기 PWM 오실레이터(330)의 제1 노드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WM 오실레이터(330)의 제2 노드에는 기 설정된 톱니파(VSAW)가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PWM 오실레이터(330)는 상기 제1 오차 증폭기(311)의 출력값과 제2 오차 증폭기(312)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기 설정된 톱니파(VSAW)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PWM 주기의 듀티(duty)를 제어하기 위한 듀티 신호(Duty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듀티 신호를 컨버터(30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제어부(310)와 전압 제어부(320), 그리고 PWM 오실레이터(330)는 하나의 TL494 집적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C-DC 컨버터(350)는, 컨버터(300)와 상기 하나의 TL494 직접 회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듀티 신호의 사이클(cycle) 즉, 듀티 사이클은 한 주기의 신호에서 신호가 온 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듀티 사이클이 클 수록 높은 출력 전압이, 듀티 사이클이 낮을 수록 낮은 출력 전압이 컨버터(3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250)는 출력 전압 뿐만 아니라 입력 전류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듀티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DC 컨버터(250)는 컨버터(300)의 출력 전압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컨버터(300)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부하 전류(Iload)가 30A를 초과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 전류, 즉 30A에 따른 전압이 컨버터(300)에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신부(14)로부터 공급되는 전류(DC-DC 컨버터(250) 입력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하 전류(Iload) 보다 적은 전류가 인버터(130)에 공급됨에 따라, 부족한 전류를 상기 인버터(130)에 공급하기 위해 슈퍼 커패시터(150)가 방전되고,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 전류와 상기 DC-DC 컨버터(250)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30A를 초과하는 부하 전류(Iload)에 상응하는 전류가 인버터(1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DC-DC 컨버터(250)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에서, 수하물에 의한 부하 증대시 인버터(130)에 부하 전류가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송신부(13)를 통해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의 한계가 1.5Kw 인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무선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1.5kw 이상인 경우 과전류 차단기에 의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크로스 벨트 소터(1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의 전압이 48V 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상술한 가정과 같이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동작 전압이 48V 인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1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의 부하 전류(Iload)는 30A일 수 있다. 그러면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 상기 수신부(14)를 통해 DC-DC 컨버터(250)에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는 30A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하물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모터(140)에서 요구되는 부하 전류(Iload)는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부하 전류(Iload)가 35A로 증가하면, 상기 DC-DC 컨버터(250)의 제1 오차 증폭기(311)는 기준 전류값(Iref)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C-DC 컨버터(250)는 상기 기준 전류값(Iref)에 대응하는 듀티 신호에 따라 수신부(14)로부터 공급되는 공급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DC-DC 컨버터(250)는 부하 전류(Iload)의 크기 변화와 상관없이 인버터(130)로 출력되는 전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하 전류(Iload)가 증가하더라도, 수신부(14)의 부하단, 즉 DC-DC 컨버터(250) 이후에서 전압의 강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신부(14)에서 공급되는 전류(입력 전류) 역시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수하물의 증대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기 전과 동일하게, 30A의 전류가 수신부(14)로부터 DC-DC 컨버터(250)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부하 전류(Iload) 보다 적은 전류가 인버터(130)로 공급됨에 따라 슈퍼 커패시터(150)에 축전된 전류가 인버터(13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14)로부터 DC-DC 컨버터(250)에 계속 전류가 공급되므로, DC-DC 컨버터(250)에서 출력되는 전류(IO : 30A) 역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하 전류(Iload)와 상기 DC-DC 컨버터(250)에서 출력되는 전류(IO : 30A)의 차이 만큼 부족한 전류가 발생하므로, 슈퍼 커패시터(150)는 상기 부족한 전류량, 즉 컨버터(300)에서 출력되는 전류(IO)와 부하 전류(Iload)의 차이에 해당되는 5A의 전류 만큼만 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컨버터(300) 출력 전류(IO : 30A)와 부하 전류(Iload:35A)의 차이인 5A의 전류만 슈퍼 커패시터(150)로부터 방전되어 인버터(130)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300) 출력 전류(IO : 30A)와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 전류(5A)로 인하여 수하물의 증대에 따라 증가된 부하 전류(Iload : 35A)가 충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DC-DC 컨버터(250)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력 공급부(120)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 전류(Iload)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부(120)에서의 전류 공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퍼 커패시터(150)에서 방전되는 전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수하물의 양이 정상 상태로 복원되면 슈퍼 커패시터(150)는 수신부(14)에서 공급되는 전류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량을 최소화하는 경우 충전량도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는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방식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CC 방식은 지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수신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CV 방식은 지정된 전압만큼 충전이 이루어지면 지정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는 완전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크로스 벨트 소터(10)가 정상 동작 하는 상태일 때(수하물의 양이 정상일 때) 수신부(14)에서 공급되는 전류로부터 미리 설정된 크기의 전류를 수신하여 충전이 이루어지고, 지정된 전압이 되면 점차 충전 전류를 낮추어 지정된 전압을 유지하면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CC-CV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에서 슈퍼 커패시터(150)가 충전되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DC-DC 컨버터(250)를 통해 전류가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CC 구간).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인버터(130)로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인버터 공급 전압)이 강하될 수 있다.
한편 슈퍼 커패시터(150)의 전압이 지정된 전압이 되면 슈퍼 커패시터(150)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에 따라 슈퍼 커패시터(150)에 공급되는 전류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에 따라 강하되는 인버터 공급 전압이 점차 감소할 수 있으며, 슈퍼 커패시터(150)가 완전히 충전되는 경우, DC-DC 컨버터(250)에서 출력되는 모든 전류가 인버터(13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에서,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전압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C-DC 컨버터(250)와 슈퍼 커패시터(150)를 포함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10)의 경우, 수하물의 증대에 따라 부하 전류(Iload)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수하물의 부하가 증대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력 공급부(120)의 공급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하 전류(Iload)가 증가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 벨트 소터(10)는 전력 공급부(120)의 공급 전류와 증가된 부하 전류(Iload)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류가 슈퍼 커패시터(150)에서 방전되므로, 수하물의 양이 정상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방전된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부하 전류(Iload)가 정상 상태로 복원된 경우, 상기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전압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하 전류(Iload)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력 공급부(120)의 전류 공급이 계속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슈퍼 커패시터(150)의 방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에 소요되는 전압 및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슈퍼 커패시터(150)는 CC-CV 방식에 따라 지정 전압 미만인 경우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충전 전류량을 제어하여 슈퍼 커패시터(150)의 충전에 의해 감소되는 전압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 9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수하물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슈퍼 커패시터(150)이 충전되는 경우에도, 크로스 벨트 소터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이 최소 공급 전압(Vmin)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크로스 벨트 소터 120 : 전원 공급부
13 : 송신부 14 : 수신부
11 : 바디부 130 : 인버터
140 : 모터 150 : 슈퍼 커패시터

Claims (13)

  1. 크로스 벨트 소터(Cross belt sorter)에 있어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의 컨베이어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모터를 구동 및,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inverter);
    상기 인버터의 입력단 양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충전 및 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슈퍼 커패시터(Super Capacitor); 및,
    상기 인버터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상기 수신부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류의 크기를 기 설정된 크기 이하로 제한하는 DC-DC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고,
    상기 DC-DC 컨버터는,
    수신되는 듀티 신호(duty signal)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의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출력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에 입력되는 입력 전류와 기 설정된 기준 전류를 비교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검출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입력 전류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전류 제어부;
    상기 컨버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 전압 또는 상기 기준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출력 전압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전류 제어부와 상기 전압 제어부 중 어느 하나의 출력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값에 따른 듀티 신호를 생성 및, 생성된 듀티 신호를 상기 컨버터에 인가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오실레이터(oscill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입력 전류를 감지 및 감지된 입력 전류에 상응하는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 센서; 및,
    상기 검출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입력받고,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고, 상기 검출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에 상응하는 전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전류는,
    상기 수신부의 과전류 차단기가 전류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임계 전류 미만의 전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컨버터의 출력 전압과 기 설정된 기준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오차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오차 증폭기의 출력단은,
    상기 전압 제어부의 출력 최대값과 상기 전류 제어부의 출력 최대값 차이를 보상하는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와 전압 제어부 및 상기 PWM 오실레이터는 하나의 집적 회로로 형성되며,
    상기 하나의 집적 회로는 TL494 집적 회로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보다 낮은 경우, 상기 공급 전압을 승압하는 부스트(boost)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공급 전압을 강압하는 벅(buck)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수신부의 공급 전압이 상기 인버터의 입력 전압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급 전압을 강압 하거나 승압하는 벅-부스트(Buck-boost) 컨버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수하물의 증대에 따라 상기 인버터의 부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부하 전류와 상기 DC-DC 컨버터에 의해 일정하게 제어되는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의 차이에 상응하는 전류를 상기 인버터로 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상기 부하 전류의 크기가 복원되면,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 일부를 수신하여 상기 방전된 전류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CC-CV(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방식에 따라, 지정된 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수신하여 충전하고, 지정된 전압이 되면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유사 커패시터(Pseudo capacitor) 및 하이브리드 커패시터(hybrid capacitor)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커패시터는,
    상기 크로스 벨트 소터의 초기 구동시에,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인가되는 공급 전류를 수신하여 초기 충전되며,
    상기 DC-DC 컨버터는,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상기 인버터에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슈퍼 커패시터의 초기 충전에 따른 돌입 전류에 의해 상기 수신부의 과전류 차단기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 벨트 소터.
KR1020210184314A 2021-12-21 2021-12-21 크로스 벨트 소터 KR10266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14A KR102668074B1 (ko) 2021-12-21 2021-12-21 크로스 벨트 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14A KR102668074B1 (ko) 2021-12-21 2021-12-21 크로스 벨트 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186A KR20230095186A (ko) 2023-06-29
KR102668074B1 true KR102668074B1 (ko) 2024-05-29

Family

ID=8694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14A KR102668074B1 (ko) 2021-12-21 2021-12-21 크로스 벨트 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80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344A (ja) * 2007-12-21 2009-07-09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直流電源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車両
KR101339279B1 (ko) 2012-12-18 2014-01-06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컨버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4057421A (ja) 2012-09-12 2014-03-27 Renesas Electronics Corp Dc−dcコンバータ
JP2016111766A (ja) 2014-12-03 2016-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020188644A (ja) * 2019-05-17 2020-11-19 株式会社桑田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搭載電気機器の急速充電ステー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8239A (ja) * 1996-05-16 1997-11-28 Denso Corp 過電流保護機能を有するdc−dcコンバータ
JPH1035873A (ja) * 1996-07-08 1998-02-10 Crisplant As 搬送装置
JP6657533B2 (ja) * 2016-05-12 2020-03-04 株式会社ダイヘン 無人搬送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344A (ja) * 2007-12-21 2009-07-09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直流電源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車両
JP2014057421A (ja) 2012-09-12 2014-03-27 Renesas Electronics Corp Dc−dcコンバータ
KR101339279B1 (ko) 2012-12-18 2014-01-06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컨버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6111766A (ja) 2014-12-03 2016-06-20 株式会社デンソー Dc−dc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020188644A (ja) * 2019-05-17 2020-11-19 株式会社桑田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搭載電気機器の急速充電ステーシ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186A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435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configurations of intelligent energy storage packs
US7522435B2 (en) Power supply converter/s with controller/s responsive to voltage, current, and power
US8581557B2 (en) Direct-current power source apparatus
US7432617B2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9373977B1 (en) Battery backup system for uninterrupted power supply
KR101932053B1 (ko) 차량 전기 시스템 및 차량 전기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US7521898B2 (en) Charger, DC/DC converter including that charger, and control circuit thereof
CN101371212B (zh) 移动设备的充电和供电
CN108428951B (zh) 控制装置、平衡校正装置、蓄电***及装置
CN102573211B (zh) Led光源的供电控制电路、***及方法
US20120001610A1 (en) Buck-boost regulator with dead band
US202101264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rge control of a battery array
CA2624035C (en) Solar module
CN108027624B (zh) 具有多种操作模式的开关电路和相关方法
KR20160107173A (ko) 전기화학 에너지 축전지 및 밸런싱 방법
US20080258687A1 (en) High Efficiency PWM Switching Mode with High Accuracy Linear Mode Li-Ion Battery Charger
US20070092763A1 (en) Fuel cell system
CN114867627A (zh) 用于运行电动车辆的方法和电动车辆
KR102668074B1 (ko) 크로스 벨트 소터
CN102442217A (zh) 以电容器及二次电池为电源的自行式输送***
JP2004336974A (ja) 電源装置
JP3418951B2 (ja) 直並列切換型電源装置
JP2010178500A (ja) 放電器、放電方法および直流電源システム
JPH08251832A (ja) 太陽電池を用いた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
CN218976375U (zh) 一种电源电路模块和擦窗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