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74B1 - 이식물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식물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074B1
KR102665074B1 KR1020227025323A KR20227025323A KR102665074B1 KR 102665074 B1 KR102665074 B1 KR 102665074B1 KR 1020227025323 A KR1020227025323 A KR 1020227025323A KR 20227025323 A KR20227025323 A KR 20227025323A KR 102665074 B1 KR102665074 B1 KR 102665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iding member
internal sliding
impla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679A (ko
Inventor
야밍 판
자오두오 장
쥔리 장
리원 왕
린린 장
칭 주
Original Assignee
상하이 블루배스큘라 메드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블루배스큘라 메드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블루배스큘라 메드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the outer sleeve being split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 A61F2250/0098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radio-opaque, e.g. radio-opaque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이식물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핸들(110),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 내관(500), 외관(200) 및 꼭대기관(300)을 포함한다. 핸들(110)은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와 나사산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또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외관(200)과 꼭대기관(300)이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이식물이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로 방출되도록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핸들(110),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나사산 제공 방식을 통해 동시에 외관(200)과 꼭대기관(300)이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꼭대기관(300)에서 이식물을 소정 위치까지 받치며 밀어, 이식물의 팽창 수축으로 인한 변위를 보상하며 이식물 위치결정 정확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이식물 이송 시스템
본 발명은 의료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재 의학 분야에서 이식물을 사용하여 인체 관강내 협착 및 폐쇄성 병변을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기술은 장골 정맥 압박 증후군의 치료 등과 같은 임상에서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강내 이식물은 일반적으로 자가 팽창성 이식물과 같은 압축성 이식물을 채택하여, 이식물을 중공 카테터 내에 압축시킨다. 디지털 영상(예를 들어 DSA, CT, 초음파, 내시경 등)의 모니터링 하에서 카테터 내에 압축된 이식물을 병변 부위로 이송한 후, 일정 방식을 통해 이식물을 방출시켜 펼친다. 이식물의 반경 방향 지지력과 인체 관강 자체의 수축력에 따라 이식물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질병을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자가 팽창성 이식물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 팽창에 따라 수축되는 것이고(편직형), 다른 하나는 그 팽창에 따라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것이다(레이저 조각형). 현재 이러한 이식물의 이송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관, 꼭대기관 및 내관을 포함한다. 외관은 이식물을 그 내부에 압축시켜 넣는 데 사용된다. 꼭대기관은 외관 내에 사전 장착되며, 고정된 것으로서, 그 원위 단부가 이식물을 "받친다". 이의 목적은 외관이 철회될 때 이식물이 외관을 따라 근위 단부를 향해 이ŠE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내관은 원위 단부의 가이드 부재(일반적으로 테이퍼를 가진 하나의 전단 부재임)를 연결하고 가이드 와이어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자가 팽창성 이식물을 이송하고 식립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이식물이 사전 장착된 이송 시스템을 가이드 와이어의 안내 하에 병변 부위로 밀어 넣는다. 그 후 이식물 원위 단부의 현상 마커를 통해 이송 시스템을 미세 조정하고, 이식물을 방출할 위치를 결정한다. 이어서 꼭대기관을 고정하고 외관을 철회하여 이식물을 외관으로부터 방출시킨다. 마지막으로 이식물이 자체적인 팽창력에 의해 펼쳐진다.
상술한 이식물의 방출 과정에서 이식물의 길이는 이식물의 팽창에 따라 수축된다. 이에 따라 변위가 일어나 이를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병변 혈관이 이식물에 의해 완전히 지지되지 않아 협착 또는 폐쇄된 구간이 존재하여 기대 치료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식물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이식물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이식물 팽창으로 인한 수축 변위를 보상하여 이식물을 소정 위치에 도달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핸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내관, 외관 및 꼭대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은 제1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캐비티에 위치한다.
상기 외관은 대향하는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꼭대기관은 대향하는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외관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내관은 연장되어 상기 외관 및 상기 꼭대기관을 통과한다.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이식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이식물의 근위 단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나사산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외관과 상기 꼭대기관이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식물이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로 방출하도록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표면에는 제1 수나사산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표면에는 제2 수나사산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수나사산과 상기 제2 수나사산은 회전 방향이 반대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의 내표면 상에는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은 제1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제1수나사산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상기 핸들은 제2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제2 수나사산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은 2개의 서브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2개의 서브 핸들의 내부 캐비티는 모두 반원호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 축선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호형이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오목면과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 축선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반원호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결정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1단면을 구비한다. 2개의 상기 제1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2개의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2개의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2단면을 구비한다. 2개의 상기 제2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2개의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2개의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단면 상에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된다. 상기 제2단면 상에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 보스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장착된다. 또는 상기 제1단면 상에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2단면 상에는 상기 핸들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 보스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상기 핸들 양단에 설치되는 근위 단부 연결 부재 및 원위 단부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는 2개의 호형판을 통해 연결된다. 2개의 상기 호형판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되며 제2 캐비티를 한정한다.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에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1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내관은 연장되어 상기 제1 통공, 상기 제2 캐비티 및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호형판은 대향하는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 상에는 제1 블라인드 홀이 설치된다. 상기 호형판의 제3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된다.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 상에는 제2 블라인드 홀이 설치된다. 상기 호형판의 제3 원위 단부는 상기 제2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상기 꼭대기관의 제2 원위 단부에 설치되는 꼭대기관 헤드 단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 상에는 유지 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이식물을 유지 및 방출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지 구조는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된 복수의 후크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관은 대향하는 제4 근위 단부 및 제4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내관의 제4 원위 단부는 상기 외관의 제1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현상 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현상 링은 상기 내관의 제4 원위 단부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관의 제1 근위 단부는 외관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꼭대기관의 외벽과 연결되며 상기 꼭대기관의 외벽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관 연결 어셈블리는 외관 조인트, 제1 밀봉링 및 제1 밀봉캡을 포함한다. 상기 외관 조인트는 제1 연결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연결홀의 일단은 상기 외관 상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꼭대기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밀봉링은 상기 꼭대기관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밀봉캡을 잠가 상기 외관과 밀봉 연결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관 조인트 상에는 제1 스냅홈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제1 스냅링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스냅홈과 상기 제1 스냅링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에는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는 꼭대기관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는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에 설치되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연결홀은 상기 내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관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는 제2 밀봉링 및 제2 밀봉캡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내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밀봉캡은 상기 제2 밀봉링을 잠가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를 상기 내관과 밀봉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스냅홈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제2 스냅링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스냅홈과 상기 제2 스냅링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수액관 세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액관 세트는 제1 수액관 및 제2 수액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는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수액관과 연통된다. 상기 외관 조인트 상에는 제1 분기 연결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분기 연결 헤드 상에는 제3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3 연결홀은 상기 제2 수액관과 연통된다.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분기 연결 헤드가 설치된다. 상기 제2 분기 연결 헤드 상에는 제4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4 연결홀은 상기 제2 수액관과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에는 내관 연결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상기 내관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슬리브, 제2 연결 슬리브 및 잠금캡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슬리브는 상기 내관과 상기 제1 수액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 연결 슬리브는 상기 제1 연결 슬리브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잠금캡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 제1 연결 슬리브와 제1 수액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동축으로 설치된 2개의 중공관형 구조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이하의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핸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내관, 외관 및 꼭대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상기 핸들과 나사산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에 대해 회전할 때,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동시에 핸들의 축선을 따라 역방향 직선 운동을 수행하며, 나아가 상기 외관과 상기 꼭대기관을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이처럼 이식물을 방출할 때,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외관을 철회하여 상기 이식물이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로 외관으로부터 방출되도록 구동한다. 동시에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꼭대기관이 소정 위치를 향해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식물이 소정 위치를 향해 운동하도록 밀고, 이식물 팽창으로 인한 수축 변위를 보상한다. 나사산 제공 방식을 통해 상기 외관과 상기 꼭대기관이 운동하도록 구동시켜, 외관과 꼭대기관의 운동 거리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식물을 소정 위치까지 정확하게 이송하여 치료 효과를 보장한다.
둘째,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회전 방향이 반대인 수나사산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반원호형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이들 둘은 축방향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 핸들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는 조작을 용이하게 만드는 동시에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부피도 감소시켜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둘레 방향 위치결정 부재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핸들의 조립 관계도이며, 여기에서 도 5a는 1개의 서브 핸들이 조립되었고, 도 5b는 2개의 서브 핸들이 모두 조립 완료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의 제1 원위 단부, 제2 원위 단부, 제4 원위 단부, 가이드 부재 및 이식물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시스템 중의 내관과 가이드 부재, 제1 수액관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 꼭대기관 헤드 단부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의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와 내관 및 제2 수액관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 중의 외관의 제1 근위 단부와 꼭대기관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과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연결 관계도이다.
도면 부호는 하기와 같다.
10 - 스텐트
110 - 핸들
111 - 서브 핸들
120 -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121 - 제1 수나사산, 122 - 위치제한 보스, 123 - 제1 스냅링
130 -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131 - 제2 수나사산, 132 - 슬라이딩홈, 133 - 제2 스냅링
200 - 외관
210 - 외관 연결 어셈블리
211 - 외관 조인트, 212 - 제1 밀봉링, 213 - 제1 밀봉캡
300 - 꼭대기관
310 - 꼭대기관 헤드 단부
311 - 후크
320 -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
321 - 꼭대기관 조인트, 322 - 제2 밀봉링, 323 - 제2 밀봉캡, 324 - 제2 분기 연결 헤드
400 - 둘레 방향 위치결정 부재
410 - 호형판, 420 - 위치결정홈, 430 - 근위 단부 연결 부재, 440 - 원위 단부 연결 부재
500 - 내관
510 - 내관 연결 어셈블리
511 - 제1 연결 슬리브, 512 - 제2 연결 슬리브, 513 - 잠금캡
520 - 현상 링
600 - 가이드 부재
710 - 제1 수액관, 720 - 루어(Luer) 조인트
810 - 제2 수액관, 820 - 체크 밸브
본 발명의 목적, 장점 및 특징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은 모두 매우 단순화된 형태로 부정확한 축척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목적에 대한 용이하고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음에 유의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인 "하나" 및 "해당"은 복수의 대상을 포함하며, 복수 형태인 "복수개"는 둘 이상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용어 "또는"은 통상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착탈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다. 또한 직접적 상호 연결,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 있으며, 2개 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2개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근위 단부", "원위 단부"는 해당 이식물 이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작업자의 관점에서 볼 때 서로의 요소 또는 동작에 대한 상대적인 방위, 상대적인 위치, 방향이다. "근위 단부", "원위 단부"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근위 단부"는 통상적으로 해당 이식물 이송 시스템이 정상적인 조작 과정에서 작업자와 가까운 일단을 의미하며, "원위 단부"는 통상적으로 작업자와 먼 일단, 즉 환자 체내에 먼저 들어가는 일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이식물을 혈관과 같은 병변 관강 내에 이송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텐트(10)를 이송할 이식물로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핸들(110),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 외관(200) 및 꼭대기관(300)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110)은 제1 캐비티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제1 캐비티에 위치한다. 상기 외관(200)은 대향하는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연결된다. 상기 꼭대기관은 대향하는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외관 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핸들(110)은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와 나사산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상기 핸들(110)의 축선을 따라 역방향 직선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하며, 상기 외관(200) 및 상기 꼭대기관(300)이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텐트(10)를 이송 및 방출한다. 상기 핸들(110)을 회전시키면, 나선형 전동에 의해,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가 외관(200)이 철회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텐트(10)는 방출되며 팽창 수축되어 소정 위치에서 멀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꼭대기관(300)이 소정 위치를 향해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10)를 소정 위치까지 받치며 밀어 스텐트(10)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켜 치료 효과를 보장한다.
스텐트(10)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핸들(110)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둘레 방향 위치결정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둘레 방향 위치결정 부재(400)는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둘레 방향 상에서 고정되며 축방향을 따르는 운동을 유지하도록 만드는 데 사용된다.
또한 스텐트(10) 방출 시, 외관(200)의 철회 거리와 꼭대기관(300)의 꼭대기 푸시 거리는 스텐트(10)가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일정한 비율을 충족시켜야 한다. 외관(200)의 철회 거리와 꼭대기관(300)의 꼭대기 푸시 거리는 모의 실험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조작 과정에서 외관(200)의 철회 거리는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운동 거리와 동일하고, 꼭대기관(300)의 꼭대기 푸시 거리는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운동 거리와 동일하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운동 거리는 회전 속도와 나선 피치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동일한 핸들(11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이들 둘은 회전 속도가 동일하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운동 거리는 각자의 나선 피치에 의해 각각 결정된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나선 피치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를 예측한 속도비로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외관(200)의 철회 거리와 꼭대기관(300)의 꼭대기 푸시 거리가 예측 비율을 충족시키도록 하여, 스텐트(10)를 정확하게 소정 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공지된 운동 거리의 비율을 기반으로 2개 나사산 구간의 나선 피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은 공지된 상식이므로, 여기에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 핸들(11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외표면에는 제1 수나사산(121)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표면에는 제2 수나사산(1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수나사산(121)과 상기 제2 수나사산(131)은 회전 방향이 반대이다. 상기 핸들(110) 축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형상은 호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호형이다. 상기 제1 수나사산(121)은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볼록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핸들(110) 축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호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반원호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모두 반원호형이다.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외경은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외경과 동일하다.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와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내경도 동일하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경과 내경은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나사산(131)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볼록면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오목면과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된다(즉,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상기 핸들(110)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에 투영될 때,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투영은 원형을 형성할 수 있음).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대향하며 슬라이딩될 수 있다. 슬라이딩 과정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다. 상기 구조 설계는 상기 핸들(110)의 축방향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송 시스템 부피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조작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는 상기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1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1단면 상에는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제한 보스(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2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단면 상에는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홈(132)이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위치제한 보스(122)는 상기 슬라이딩홈(132)에 장착되며 슬라이딩홈(132)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둘레 방향 위치결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제한 보스(122)와 상기 슬라이딩홈(132)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즉, 위치제한 보스(122)를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제2단면 상에 설치하고, 슬라이딩홈(132)을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제1단면 상에 설치한다. 상기 위치제한 보스(122)는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속 보스일 수 있다. 또한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보스일 수도 있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는 하나의 제1단면 상에 위치제한 보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단면 상에 모두 위치제한 보스(122)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도록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하나의 제2단면 상에 슬라이딩홈(132)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2단면 상에 모두 슬라이딩홈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제한 돌출 블록 및 슬라이딩홈을 설치하지 않고, 구조적으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사이의 둘레 방향 위치결정을 구현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둘레 방향 위치결정 부재(400)는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 상에 설치된 위치결정홈(4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홈(420)은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위치결정홈(420)을 통해 상기 호형판(410) 상에 장착되며 호형판(410)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형판(410)은 바람직하게는 2개로 설치된다. 2개의 호형판(410)은 병렬로 설치되며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의 2개의 제1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4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2개의 제2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420)이 설치된다. 상기 호형판(410)은 호형판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홈(420)을 통해 대칭 설치함으로써,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운동할 때 균형을 이루는 힘을 받게 된다.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상기 핸들 양단에 설치되는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 및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 및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는 상기 호형판(41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호형판(410)은 대향하는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호형판(410)의 제3 근위 단부는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와 연결된다. 상기 호형판(410)의 제3 원위 단부는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와 연결된다.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와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는 상기 호형판(410)을 통해 연결된 후, 둘레 방향 위치제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는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와 연결된다. 핸들이 회전하면,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는 핸들과 함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쉽다. 또한 내관(500)이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스텐트 위치결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와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는 호형판(410)을 통해 연결된 후, 둘레 방향 위치제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가 핸들과 함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형판(410)의 수량은 2개일 수 있다. 2개의 상기 호형판(410)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되며 제2 캐비티를 한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 상에는 제1 블라인드 홀이 설치된다. 상기 호형판(410)의 제3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된다.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 상에는 제2 블라인드 홀(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호형판(410)의 제3 원위 단부는 상기 제2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블라인드 홀 및 상기 제2 블라인드 홀의 향상은 모두 상기 호형판(410) 단부의 형상과 서로 적합하다. 즉, 상기 호형판(410)이 호형판 구조인 경우, 상기 제1 블라인드 홀과 제2 블라인드 홀은 모두 호형 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라인드 홀과 제2 블라인드 홀의 수량은 모두 2개이며, 2개의 호형판(410)을 장착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에는 제1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꼭대기관(300)과 상기 외관(200)은 상기 제1 통공으로부터 통과된다.
또한 상기 핸들(110)은 중공관형의 제1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핸들(110)에 설치된다. 상기 핸들(110)은 바람직하게는 2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10)은 2개의 서브 핸들(111)을 포함한다. 핸들(110)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각 상기 서브 핸들(111)의 내부 캐비티는 모두 반원호형을 나타낸다. 또한 2개의 서브 핸들(111)의 반경 방향 치수는 완전히 동일하다. 각 서브 핸들(111)의 오목면 상에는 모두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이 설치된다. 2개의 서브 핸들(111)을 이어 맞춰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를 수용한다. 상기 제1 암나사산은 상기 제1 수나사산(121)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암나사산은 상기 제2 수나사산(131)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내관(500), 가이드 부재(600), 제1 수액관(710) 및 제2 수액관(810)을 더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500)은 상기 꼭대기관(300) 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내관(500), 꼭대기관(300) 및 외관(200)은 안으로부터 밖을 향해 순차적으로 네스팅된다. 상기 내관(500)은 대향하는 제4 근위 단부 및 제4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내관(500)의 제4 원위 단부는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관(200) 내에서 연장된다. 상기 내관(500)과 상기 외관(200) 사이는 링형 캐비티를 형성한다. 상기 스텐트(10)는 상기 링형 캐비티 내에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500)의 제4 원위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600)와도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테이퍼형 구조이다. 상기 테이퍼형 구조의 팁 부분은 상기 내관의 제4 원위 단부에서 멀다. 상기 스텐트(10)가 방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외관(200)의 제1 원위 단부와 맞닿는다. 또한 이들 둘 사이는 매끄럽게 전이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는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 내에서 연장된다.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수액관(71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수액관(710)은 상기 내관(500)에서 먼 단부에 루어 조인트(720)를 설치하여, 실제 사용 시 외부에서 주사기를 연결하여 상기 내관(500) 중의 공기를 배출시켜 비우기 용이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는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에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된다. 상기 내관(500)은 연장되어 상기 제1 통공, 상기 제2 캐비티 및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한다. 본 발명은 내관(500)과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의 연결 방식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착탈 가능한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며,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스텐트(10)가 완전히 방출될 후, 내관(500)과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의 연결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에는 내관 연결 어셈블리(510)가 설치된다. 상기 내관 연결 어셈블리(510)는 제1 연결 슬리브(511), 제2 연결 슬리브(512) 및 잠금캡(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는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 및 상기 제1 수액관(71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 연결 슬리브(512)는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잠금캡(513)은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 및 상기 제2 연결 슬리브(512)를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잠금캡(513)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512)와 나사산 연결된다. 상기 잠금캡(513)을 회전하여 조이면,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512)가 조이며 연결된다. 상기 잠금캡(513)을 느슨하게 하면,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와 상기 제1 연결 슬리브(511) 사이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슬리브(512)는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와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잠금캡(513)을 회전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스텐트(10)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내관(500)이 마찰력에 의해 축방향 상에서 운동하여 변위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텐트(10)를 방출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600)가 상기 외관(200)에서 이탈하며, 후속적으로 이식물 이송 시스템을 인체에서 철회시킬 때 불편하다. 따라서 스텐트(10) 방출이 완료된 후 제1 연결 슬리브(511)와 제2 연결 슬리브(512)의 연결 관계를 해제한다. 제1 수액관(710)을 당겨 내관(500)을 근위 단부를 향해 운동시켜 가이드 부재(600)가 외관(200)에 다시 맞닿도록 함으로써, 이식물 이송 시스템 철회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내관(500)의 제4 근위 단부는 다른 요소, 예를 들어 외부 메커니즘과 연결하여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내관(500)의 제4 원위 단부 상에는 현상 링(520)이 더 설치되어, 상기 스텐트(10)에 대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현상 링(520)의 수량은 1개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6,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원위 단부 상에는 꼭대기관 헤드 단부(310)가 설치된다.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310) 상에는 유지 구조(311)가 설치된다. 상기 유지 구조(311)는 상기 스텐트(10)를 유지 및 방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310)는 상기 꼭대기관(300)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원위 단부에서 먼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우산형 구조로 설계된다. 상기 우산형 구조의 외표면에는 상기 유지 구조(311)가 설치된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 구조(311)는 후크이다. 상기 후크의 수량은 적어도 2개이다. 적어도 2개의 상기 후크는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근위 단부에는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가 설치된다.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는 상기 꼭대기관(300)과 상기 내관(50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동시에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는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와 연결하는 데 더 사용된다.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는 꼭대기관 조인트(321)를 포함한다.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321)는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근위 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꼭대기관 조인트(321) 상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연결홀은 상기 내관(5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관(500)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321)는 상기 내관(500)과 밀봉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는 제2 밀봉링(322) 및 제2 밀봉캡(3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밀봉링(322)은 상기 내관(500)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밀봉캡(323)을 잠가 이를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321)와 긴밀하게 접촉시켜 밀봉의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321) 상에는 제2 스냅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내벽 상에는 제2 스냅링(133)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냅홈과 상기 제2 스냅링(133)의 매칭을 통해 상기 꼭대기관(300)과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를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외관(200)의 제1 근위 단부에는 외관 연결 어셈블리(210)가 설치된다. 상기 외관(200)은 상기 외관 연결 어셈블리(210)를 통해 상기 꼭대기관(300)의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꼭대기관(300)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외관 연결 어셈블리와 상기 꼭대기관(300) 사이는 밀봉 연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 연결 어셈블리(210)는 외관 조인트(211), 제1 밀봉링(212) 및 제1 밀봉캡(213)을 포함한다. 상기 외관 조인트(211) 상에는 제1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연결홀의 일단은 상기 외관(200) 상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꼭대기관(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밀봉링(212)은 상기 꼭대기관(300)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밀봉캡(213)을 잠가 상기 외관(200)과 맞닿도록 밀봉한다.
상기 외관 조인트(211) 상에는 제1 스냅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상에는 상응하도록 제1 스냅링(12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냅홈과 상기 제1 스냅링(123)의 매칭을 통해 상기 외관(200)과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를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액관(810)은 외관(200)과 꼭대기관(300) 사이, 및 꼭대기관(300)과 내관(500) 사이의 공기가 비도록 배출시키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액관의 설치 방식은 이하의 두 가지 선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치 방식(미도시): 상기 외관 조인트 상에는 제1 분기 연결 헤드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분기 연결 헤드 상에는 제3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수액관은 상기 제3 연결홀 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2 수액관은 상기 제1 분기 연결 헤드에서 먼 일단에 체크 밸브가 설치된다.
제2 설치 방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320)는 제2 분기 연결 헤드(3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분기 연결 헤드(324) 상에는 제4 연결홀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수액관(810)은 상기 제4 연결홀 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꼭대기관(300)과 상기 제2 수액관(810)을 연통시킨다. 상기 제2 수액관(810)은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321)에서 먼 단부에 체크 밸브(820)가 더 설치된다. 각 요소를 조립할 때 각종 종래의 방식을 채택하여 요소 간의 고정 연결을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상기 내관(500)의 제4 원위 단부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310)는 상기 꼭대기관(300)의 제2 원위 단부에 사출 성형 또는 열용융될 수 있다. 상기 외관 조인트(211)는 상기 외관(200)의 제1 근위 단부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내관(500)과 제1 연결 슬리브(511) 사이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액관(810)과 상기 제2 분기 연결 헤드(324)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텐트(10)를 병변 혈관에 이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사용 방법을 소개한다.
수술 시작 전에, 먼저 스텐트(10)를 상기 외관(200)에 압축시킨다. 그 후 주사기를 상기 체크 밸브(820) 상에 연결한다. 상기 주사기를 이용해 이식물 이송 시스템에 헤파린 식염수와 같은 액체를 주입하여, 내관(500), 꼭대기관(300) 및 외관(200) 사이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동시에 루어 조인트(720) 상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상기 주사기를 이용해 상기 내관(500)에 액체를 주입하여 내관(50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킨다. 다시 헤파린 식염수를 사용해 외관(200)의 외벽을 닦는다.
수술 시작 후, 먼저 혈관에 구멍을 뚫은 후 X-ray 장비의 감시 하에서 일반적인 방법(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안내 등)을 채택해 가이드 부재(600)를 병변 부위로 이송한다. 또한 상기 현상 링(520)과 상기 스텐트(10)를 거치해야 하는 위치가 겹치도록 한다. 그 후 핸들(110)을 회전하여, 외관(200)을 근위 단부를 향해 운동시키며, 스텐트(10)가 방출되어 팽창된다. 이와 동시에 꼭대기관(300)이 스텐트(10)를 원위 단부로 밀어 운동시켜 스텐트(10)가 항상 소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600)와 상기 외관(200)이 서로 이탈된다. 계속해서 스텐트(10)가 완전히 방출될 때까지 핸들(110)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잠금캡(513)을 느슨하게 하고, 근위 단부를 향해 제1 수액관(710)을 당겨 가이드 부재(600)가 다시 외관(200)과 접촉될 때까지 내관(500)이 근위 단부로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마지막으로 이식물 이송 시스템을 체외로 철회시킨다.
스텐트(10)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스텐트(10)의 위치가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스텐트(10)가 완전히 방출되기 전에, 핸들(11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외관(200)을 원위 단부를 향해 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꼭대기관(300)이 철회되어 상기 스텐트(10)를 상기 외관(200) 내로 되돌려 당긴다. 그 후 작업자는 다시 스텐트(10)의 위치를 조정하여 방출시키면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가 핸들(110)의 축방향 단면 상에서 호형인 것을 예로 들어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구조를 소개하였다. 그러나 실제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10)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형 제1 캐비티를 구비한다. 상기 원기둥형 제1 캐비티의 벽 상에는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암나사산 및 상기 제2 암나사산은 핸들(1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는 중공의 둥근 관형 구조이다. 그 외표면에는 제1 수나사산(121)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는 상기 핸들(110)의 원기둥형 제1 캐비티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수나사산(121)은 상기 제1 암나사산과 매칭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도 중공의 둥근 관형 구조이다. 그 외표면에는 제2 수나사산(131)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130)는 상기 핸들(110)의 원기둥형 제1 캐비티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120)와 동축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수나사산(131)은 상기 제2 암나사산과 나사산 매칭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핸들의 구체적인 구조를 엄격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가 핸들과 나사산 연결된 후, 핸들의 회전에 따라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가 동시에 역방향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한편으로는, 구동 어셈블리(100)를 통해 상기 외관(200) 및 상기 꼭대기관(300)이 동시에 역방향 직선 운동을 하도록 구동하여, 스텐트(10)를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로 점차 방출시킨다. 동시에 꼭대기관(300)에서 스텐트(10)가 원위 단부를 향해 운동하도록 받치며 밀어 스텐트(10) 팽창 수축으로 인한 변위를 보상한다. 이를 통해 스텐트(10)를 소정 위치까지 이송시켜 치료 효과를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나사산 제공 방식을 통해 외관(200)과 꼭대기관(300)이 운동하도록 구동한다. 이는 외관(200) 및 꼭대기관(300)의 운동 거리를 제어하기 용이하여, 스텐트(10)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구현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대한 요건을 낮추어 준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의 다른 장점은 다음과 같다. 즉,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 및 원위 단부 연결 부재(440)는 호형판(410)을 통해 연결하여 둘레 방향 위치제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이 회전할 때, 근위 단부 연결 부재(430)가 내관(500)을 핸들과 함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스텐트 위치결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있는 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 및 변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4)

  1. 이식물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핸들,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내관, 외관 및 꼭대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제1 캐비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 캐비티에 위치하고,
    상기 외관은 대향하는 제1 근위 단부 및 제1 원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꼭대기관은 대향하는 제2 근위 단부 및 제2 원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외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근위 단부는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내관은 연장되어 상기 외관 및 상기 꼭대기관을 통과하고, 상기 내관과 상기 외관 사이는 캐비티를 형성하여 상기 이식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이식물의 근위 단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나사산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외관과 상기 꼭대기관이 역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상기 이식물이 원위 단부에서 근위 단부로 방출되도록 구현하고,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상기 핸들의 양단에 설치되는 근위 단부 연결 부재 및 원위 단부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 및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는 2개의 호형판을 통해 연결되고, 2개의 상기 호형판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되며 제2 캐비티를 한정하고,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에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1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는 축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제2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내관은 연장되어 상기 제1 통공, 상기 제2 캐비티 및 상기 제2 통공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표면에는 제1 수나사산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외표면에는 제2 수나사산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수나사산과 상기 제2 수나사산의 회전 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내표면에는 제1 암나사산 및 제2 암나사산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은 제1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제1수나사산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하고, 상기 핸들은 제2 암나사산을 통해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제2 수나사산과 매칭되어 나선형 전동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2개의 서브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의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2개의 서브 핸들의 내부 캐비티는 모두 반원호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축선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호형이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오목면과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의 오목면은 대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축선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모두 반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결정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1단면을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제1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2개의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2개의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2단면을 구비하고, 2개의 상기 제2단면 상에는 각각 하나의 상기 위치결정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2개의 상기 위치결정홈을 통해 2개의 상기 호형판과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면 상에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제2단면 상에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장착되고, 또는 상기 제1단면 상에는 슬라이딩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단면 상에는 상기 핸들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위치제한 보스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보스는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판은 대향하는 제3 근위 단부 및 제3 원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위 단부 연결 부재 상에는 제1 블라인드 홀이 설치되고, 상기 호형판의 제3 근위 단부는 상기 제1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되고, 상기 원위 단부 연결 부재 상에는 제2 블라인드 홀이 설치되고, 상기 호형판의 제3 원위 단부는 상기 제2 블라인드 홀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상기 꼭대기관의 제2 원위 단부에 설치되는 꼭대기관 헤드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 상에는 유지 구조가 설치되어, 상기 이식물을 유지 및 방출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구조는 상기 꼭대기관 헤드 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분포된 복수의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관은 대향하는 제4 근위 단부 및 제4 원위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관의 제4 원위 단부는 상기 외관의 제1 원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현상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현상 링은 상기 내관의 제4 원위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제1 근위 단부는 외관 연결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꼭대기관의 외벽과 연결되며 상기 꼭대기관의 외벽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연결 어셈블리는 외관 조인트, 제1 밀봉링 및 제1 밀봉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 조인트는 제1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홀의 일단은 상기 외관 상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꼭대기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밀봉링은 상기 꼭대기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밀봉캡을 잠가 상기 외관과 밀봉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조인트 상에는 제1 스냅홈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제1 스냅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스냅홈과 상기 제1 스냅링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에는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는 꼭대기관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는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에 설치되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홀은 상기 내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관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관 연결 어셈블리는 제2 밀봉링 및 제2 밀봉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링은 상기 내관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밀봉캡은 상기 제2 밀봉링을 잠가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를 상기 내관과 밀봉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스냅홈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 상에는 제2 스냅링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스냅홈과 상기 제2 스냅링은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물 이송 시스템은 제1 수액관 및 제2 수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는 상기 꼭대기관의 제2 근위 단부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수액관과 연통되고, 상기 외관 조인트 상에는 제1 분기 연결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분기 연결 헤드 상에는 제3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연결홀은 상기 제2 수액관과 연통되고; 또는
    상기 꼭대기관 조인트 상에는 제2 분기 연결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분기 연결 헤드 상에는 제4 연결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4 연결홀은 상기 제2 수액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에는 내관 연결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상기 내관 연결 어셈블리는 제1 연결 슬리브, 제2 연결 슬리브 및 잠금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슬리브는 상기 내관과 상기 제1 수액관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연결 슬리브는 상기 제1 연결 슬리브의 외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관의 제4 근위 단부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잠금캡은 상기 제2 연결 슬리브, 제1 연결 슬리브와 상기 제1 수액관의 위치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2 내부 슬라이딩 부재는 동축으로 설치된 2개의 중공관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물 이송 시스템.
KR1020227025323A 2019-12-24 2020-09-04 이식물 이송 시스템 KR102665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49231.2A CN110882096A (zh) 2019-12-24 2019-12-24 一种植入物输送***
CN201911349231.2 2019-12-24
PCT/CN2020/113615 WO2021128940A1 (zh) 2019-12-24 2020-09-04 一种植入物输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679A KR20220119679A (ko) 2022-08-30
KR102665074B1 true KR102665074B1 (ko) 2024-05-20

Family

ID=6975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323A KR102665074B1 (ko) 2019-12-24 2020-09-04 이식물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082491A4 (ko)
JP (1) JP7447273B2 (ko)
KR (1) KR102665074B1 (ko)
CN (1) CN110882096A (ko)
AR (1) AR120907A1 (ko)
BR (1) BR112022012539A2 (ko)
WO (1) WO2021128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2096A (zh) * 2019-12-24 2020-03-17 上海蓝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物输送***
CN113558834B (zh) * 2021-08-09 2024-04-26 广东脉搏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心血管植入物的连接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606A (ja) * 2004-12-28 2006-07-20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双方向に推進可能なカテーテル制御ハンドル
US20140046428A1 (en) * 2012-08-10 2014-02-13 Altura Medical, Inc. Stent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5514546A (ja) * 2012-04-27 2015-05-21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ステントグラフト送達システム
CN209075051U (zh) 2018-01-31 2019-07-09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自膨支架输送***及其输送手柄
CN110882096A (zh) 2019-12-24 2020-03-17 上海蓝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物输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03177D0 (en) * 2002-02-11 2002-03-27 Anson Medical Ltd An improved control mechanism for medical catheters
KR100536405B1 (ko) * 2002-09-09 2005-12-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카테타 미세 위치 조절기능이 부가된 관상동맥 확장장치
US8623064B2 (en) * 2010-04-30 2014-01-07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graft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2283728B (zh) * 2011-06-28 2014-09-10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管腔支架输送***
CN106308986B (zh) * 2015-07-01 2018-06-01 微创心脉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植入物输送***的导管手柄
CN106691648A (zh) * 2016-12-20 2017-05-24 心凯诺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可精确释放的自扩张支架输送***
CN109248012B (zh) * 2017-07-14 2020-12-25 先健科技(深圳)有限公司 植入物的输送***
CN209075052U (zh) * 2018-01-31 2019-07-09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自膨支架输送***及其输送手柄
CN108403269A (zh) * 2018-03-07 2018-08-17 普霖医疗科技(广州)有限公司 一体式支架输送器
US11517458B2 (en) * 2018-04-05 2022-12-06 Microvention, Inc. Implant delivery system
CN211674738U (zh) * 2019-12-24 2020-10-16 上海蓝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物输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606A (ja) * 2004-12-28 2006-07-20 St Jude Medical Atrial Fibrillation Division Inc 双方向に推進可能なカテーテル制御ハンドル
JP2015514546A (ja) * 2012-04-27 2015-05-21 メドトロニック ヴァスキュ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ステントグラフト送達システム
US20140046428A1 (en) * 2012-08-10 2014-02-13 Altura Medical, Inc. Stent delivery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CN209075051U (zh) 2018-01-31 2019-07-09 常州乐奥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自膨支架输送***及其输送手柄
CN110882096A (zh) 2019-12-24 2020-03-17 上海蓝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植入物输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8940A1 (zh) 2021-07-01
EP4082491A4 (en) 2023-01-25
JP2023508958A (ja) 2023-03-06
EP4082491A1 (en) 2022-11-02
BR112022012539A2 (pt) 2022-09-06
JP7447273B2 (ja) 2024-03-11
CN110882096A (zh) 2020-03-17
KR20220119679A (ko) 2022-08-30
AR120907A1 (es)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674738U (zh) 一种植入物输送***
US11950807B2 (en) Puncturing device and anchoring device
KR102665074B1 (ko) 이식물 이송 시스템
JP4441692B2 (ja) 拡張可能な連結/脱連結メカニズムを備えたインプラント送達アセンブリ
EP3054856B1 (en) Device for synchronized injection and aspiration
CN204798072U (zh) 一种用于植入物输送***的导管手柄
CN204909754U (zh) 管腔支架输送***
CN110974502B (zh) 输送器以及植入件输送***
CN108371574B (zh) 自膨支架输送***及其输送手柄
CN109771111B (zh) 一种自膨胀支架的推送***
US11850174B2 (en) Delivery apparatus and system
CN210541958U (zh) 一种同轴驱动式血管支架输送***
WO2021135352A1 (zh) 一种植入体输送***及其内管
CN211674739U (zh) 一种植入体输送***及其内管
CN209221308U (zh) 一种内窥镜下的一次性远程注射针
CN112315638A (zh) 一种支架输送***
CN218356474U (zh) 用于心脏瓣膜输送***的释放装置
CN218220398U (zh) 双向移动释放的心脏瓣膜输送***
CN215960465U (zh) 输送***以及物理限位装置
CN216148294U (zh) 一种多假体输送装置及假体***
CN113017947B (zh) 一种可分段释放的自膨式支架***
US11406327B2 (en) Imaging catheter assembly
CN112089514A (zh) 一种同轴驱动式血管支架输送***
CN115105258A (zh) 含周向限位机构的心脏瓣膜输送***
CN115105256A (zh) 心脏瓣膜输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