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019B1 - 의류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019B1
KR102665019B1 KR1020180143299A KR20180143299A KR102665019B1 KR 102665019 B1 KR102665019 B1 KR 102665019B1 KR 1020180143299 A KR1020180143299 A KR 1020180143299A KR 20180143299 A KR20180143299 A KR 20180143299A KR 102665019 B1 KR102665019 B1 KR 10266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lothing
hanger plate
airfl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772A (ko
Inventor
서동필
장의영
옥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019B1/ko
Priority to PCT/KR2019/013436 priority patent/WO2020105864A1/ko
Priority to US17/309,347 priority patent/US20220018057A1/en
Publication of KR2020005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의류의 먼지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개시한다.
의류관리장치는 의류 관리실을 갖는 본체와, 의류 관리실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와, 의류 관리실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행거와, 행거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행거 플레이트, 및 행거 플레이트를 틸팅 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관리장치{Clothes Care Device}
본 발명은 의류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류의 먼지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의류관리장치는 세탁물 등을 세탁 또는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관리장치 중에는 건조기능을 가지는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의류 등의 구김제거, 탈취 제거, 정전기 제거 등과 같은 리프레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관리장치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된다. 캐비닛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되고,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한다. 수납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관리장치의 수납실에 수납된 의류는 옷걸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바람 혹은 스팀 발생장치에서 나오는 스팀이 옷감에 분포되고, 이를 통해 옷감 내의 먼지를 제거 및 세탁하는 관리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류의 먼지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의류 수용공간 상단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마찰 면적을 가변 시킬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옷걸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의류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의류 관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행거; 상기 행거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를 틸팅 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행거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에어 공급구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를 상기 행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 공급구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기류 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류 배출부는,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를 상기 행거로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기류를 상기 에어 공급구에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행거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행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행거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행거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상기 행거를 각각 틸팅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마련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는, 의류 관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의 내부로 기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유입되는 에어 유입구를 갖는 행거;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공기를 상기 행거의 내부로 제공하도록 상기 에어 유입구에 대응되는 노즐이 마련되는 행거 플레이트; 상기 행거 플레이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노즐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틸팅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브라켓 또는 링크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행거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상기 행거를 각각 틸팅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옷걸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의류수용공간 상단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마찰 면적을 가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토출 공기와 의류의 마찰 면적을 가변 시킴으로써 의류의 먼지 및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부분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틸장치가 장착된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4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도 9 의 C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 부분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관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2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되는 의류 관리실(11)과, 의류 관리실(11) 내부에 마련되어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행거(100)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하거나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가 구비되는 기계실(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의류 관리실(11)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설치된다. 도어(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힌지, 링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의류 관리실(11)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되는 상면(10b), 하면(10b), 좌측면(10c), 우측면(10d), 그리고 후면(10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전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개구(10a)를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의류 관리실(11)의 개구도 함께 개폐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구(10a) 상단에서는 후술하는 도어(20)의 배출유로(29)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출 브라켓(16)이 마련될 수 있다. 토출 브라켓(16)은 도어(20)의 배출유로(29)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 슬릿(16a)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1기류 배출구(11b)와, 제2기류 배출구(12a)와, 증기 배출구(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와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0c)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배출구(11b)는 의류 관리실(11)의 하면(10c)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기류 유입구(11a)과 제1기류 배출구(11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43)는 제1기류 배출구(1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잇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 대략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는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이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은 응축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급수통(15b)은 후술하게 되는 스팀발생장치(40)에서 스팀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이 저장된다. 급수통(15b)의 물이 스팀발생장치(40)로 공급되어 스팀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급수통(15b)은 물 보충이 용이하도록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수통(15a)과 급수통(15b)은 기계실(13)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13)은 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의류 관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된다. 기계실(13)은 필요에 따라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열 교환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13)의 내부에는 제1 송풍팬(32)과, 열 교환장치(30)와, 스팀발생장치(40)가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장치(30)는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열 교환장치(3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33)와, 압축기(35)와, 응축기(34)를 구비하며,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열 교환장치(30)의 증발기(33)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 (35)를 거쳐 응축기(34)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33)와 응축기(34)가 열 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제1 송풍팬(32)에 의해 기계실(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게 된다.
기계실(13)에 설치되는 열 교환장치(30)는 증발기(33)와 응축기(34) 및 제1 송풍팬(32)을 연결하는 제1 덕트(31)를 포함하고, 제1 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결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1 덕트(31) 사이를 순환하는 제1 순환유로(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3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1 기류 유입구(11a)와 제1 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31)의 일 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1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타 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1 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31)의 제1 덕트 유입구(31a)는 제1 기류 유입구(11a)에 연결되고 제1 덕트 배출구(31b)는 제1 기류 배출구(11b)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제1 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제1 덕트(31)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기류 배출구(1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다시 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기류 유입구는 의류 관리실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 기류 배출구는 의류 관리실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유입구와 기류 배출구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덕트(31)는 제1 기류 유입구(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여 제1 기류 배출구(11b)로 배출하도록 마련된다. 제1 송풍팬(32)은 제1 덕트(31) 상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를 제1 덕트(3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기계실(13)은 급수통(15b)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형성하는 스팀발생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기계실(1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40)는 급수통(15b)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부(41)와, 생성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42)로 안내하는 스팀 공급관(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42)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발생부(41)의 내부에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의류 관리기(1)는 실내 제습 시, 의류 관리실(11)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도어(20)에 마련되는 제습유로(80)를 포함한다. 제습유로(80)는 도어(20)에 마련될 수 있다. 제습유로(8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는 의류 관리실(1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습유로(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1 도어부재(21)와, 제1 도어부재(21)와 결합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제2 도어부재(22)를 포함한다.
제습유로(80)는 제1 도어부재(21)와 제2 도어부재(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8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도어부재(21)와 제2 도어부재(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80)는 제1 도어부재(21)와 제2 도어부재(2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습유로(80)는 도어(20)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유로(81)와,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도어부재(21)는 거울, 유리,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도어부재(21)는 판 형상의 거울 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도어부재는 의류 관리기(1)가 설치되는 실내의 가구 등과의 일체감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다양한 재질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부재(21)는 제2 도어부재(22)의 전방에 설치되어 의류 관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유입유로(81)는 제1 유입구(8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1 배출구(81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유입유로(81)는 제1 배출구(81b)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 댐퍼장치(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응축수 가이드(24)를 포함한다. 응축수 가이드(24)는 도어(20)의 배면에 응결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응축수 가이드(24)는 제2 도어(22)의 배면으로부터 의류 관리실(11)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곡면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82)는 제2 유입구(82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여 제2 배출구(82b)를 통해 의류 관리실(1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배출유로(82)는 도어(20)에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를 배출유로(82)로 전달하도록 본체(10)는 제2 순환유로(70)와 배출유로(8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90)를 더 포함한다.
연결유로(9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커버(50)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제2 순환유로(7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제2 순환유로(70)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91)는 탑 커버(5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로(90)는 연결덕트(91)가 탑 커버(5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50)는 연결유로 홀(51)을 포함한다. 연결유로 홀(51)은 탑 커버(50)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91)의 전면에는 본체(10)의 개구(10a)에 연결되는 연결덕트 배출구(94)가 형성된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연결덕트(91)의 전면에 형성되어 연결유로 홀(51)을 통해 유입되는 제2 순환유로(70)의 공기가 연결유로(90)로 유입되어 연결덕트 배출구(94)를 통해 본체(10)의 개구(10a)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덕트(91)의 내부에는 제2 순환유로(70)와의 사이를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댐퍼장치(95)가 마련된다. 제2 댐퍼장치(95)는 탑 커버(50)의 연결유로 홀(51)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도어(20)에 형성되는 제습유로(8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도어(20)의 배출유로(82)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배출유로(82)의 제2 유입구(8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덕트 배출구(94)는 배출유로(82)의 제2유입구(82a)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82)는 제2 유입구(82a)와, 제2 유입구(82a)를 통해 유입되는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를 본체(10) 및 도어(2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배출구(82b)를 포함한다.
제2 유입구(82a)는 도어(20)의 제2 도어부재(22)에 마련된다. 제2유입구(82a)는 제2 도어부재(22)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 유입구(82a)는 제2 도어 부재(22)의 후면에 형성된다. 제2 유입구(82a)는 연결덕트(91)의 연결덕트 배출구(9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유입구(82a)를 통해 유입되는 제2 순환유로(70) 즉,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는 제2 배출구(82b)로 배출된다. 제2 배출구(82b)는 도어(20)의 상부에 마련된다. 제2 배출구(82b)는 제2 도어부재(22)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2 유입구(82a)와 제2 배출구(82b)는 연통되게 형성된다. 제2 순환유로(70)로 유입되는 의류 관리실(11)의 공기는 의류 관리실(11)의 제습 시, 연결유로(90)를 통해 도어(20)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관리장치()의 제습 동작 시에, 도어(20)에 마련되는 제습유로(80)를 통해 본체(10)의 의류 관리실(11)과 실내를 연통하게 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행거(100)가 설치된다. 행거(100)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에 설치될 수 있다. 행거(100)는 의류가 끼워질 수 있도록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100)는 그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의류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행거(100)에는 의류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 공급구는 행거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단의 에어 공급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 외측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 공급구는 공급되는 공기를 의류에 광범위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에는 행거(100)가 설치되는 행거 플레이트(200)가 마련된다. 행거(100)는 행거 플레이트(2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와 연통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에어 공급구(101)를 통해 행거(100)로 전달되어 의류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는 행거 플레이트(200)에 연통될 수 있다.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행거 플레이트(200)를 통해 행거(100)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기류 배출구(12b)는 행거(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기류 배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의류의 내부에 공급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기류 배출구(12b)는 공기를 다양한 방향으로 의류에 분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장치(72)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제2덕트(71)를 포함하고, 제2덕트(71)의 내부에는 송풍장치(7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에 연통되게 마련되어 의류 관리실(11)과 제2덕트(71)를 순환하는 제2순환유로(70)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장치(72)는 제2순환유로(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 상측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필터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 상부에 배치되는 탑 커버(8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덕트(71)는 탑 커버(80)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송풍장치(72)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72)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송풍모터(72a)와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72b)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72b)은 팬 케이스(72c)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팬 케이스(72c)는 의류 관리실(11)의 상면(10b)에 마련되는 덕트 브라켓(74)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브라켓(74)에는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덕트 홀(74a)에 각각 송풍팬(32)이 결합되어 제2덕트(71)의 공기를 제2덕트(71)의 제2기류 배출구(12b)로 이동하게 한다.
제2덕트(71)는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와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일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타단은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의 제2덕트 유입구(71a)는 제2기류 유입구(12a)에 연결되고 제2덕트 배출구(71b)는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덕트(71)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72)는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2기류 유입구(12a)를 통해 흡입하여 제2덕트 배출구(71b) 및 제2기류 배출구(12b)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기류 유입구(12a)에는 필터부재(60)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에 형성된다. 의류 관리실(11)의 후면(10f)에는 필터부재(60)가 설치되기 위한 필터부재 설치부(11c)가 마련된다. 제2기류 유입구(12a)는 필터부재 설치부(11c)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내부 공기는 제2덕트(71)로 유입 시 제2기류 유입구(12a)의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제2덕트(71)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부재(60)에 의해 먼지 및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필터부재(60)에 의해 필터링 된 공기는 송풍장치(72)를 통해 제2덕트 배출구(71b) 및 행거(100)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재(60)는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필터(미도시) 또는 탈취를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 관리 시, 의류 지지부재(50)에 의류를 거치하고 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동작시킨다. 이때, 의류 관리실(11)은 제1순환유로(39)와 제2순환유로(70)를 따라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덕트 배출구(71b)는 행거 플레이트(2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덕트 배출구(71b)는 행거(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제2덕트 배출구(71b)는 행거(10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덕트 배출구(71b)는 행거(100)의 에어 공급구(101)와 연통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100)는 에어 공급구(101)를 통해 제2덕트 배출구(71b)로부터 공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 관리 장치(1)는 행거 플레이트(200)를 틸팅 가능하게 하는 틸팅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장치(300)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200)는 일정 각도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의 이동에 의해 행거(100)에 걸린 옷과 행거(100) 내로 이동하는 공기가 맞는 면적은 가변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틸장치가 장착된 의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내지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200)는 본체(10)의 상단에 마련되게 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본체(10)의 상면(10b)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송풍장치(72)를 통해 형성되는 공기가 행거(100)에 거치된 의류로 안내되도록 마련되는 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행거(100)의 에어 공급구(101)를 통해 공기가 전달되도록 마련되는 기류 배출부(210)를 포함한다. 기류 배출부(210)는 제2덕트 배출구(71b)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의 기류 배출부(210)는 송풍장치(72)를 통과한 공기가 행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행거(100)의 에어 공급구(101)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행거 플레이트(200)의 기류 배출부(210)는 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220)은 기류 배출부(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220)은 본체(10)의 상면(10b)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220)은 일단이 제2덕트 배출구(71b)에 연결되며 타단은 행거(100) 또는 제2기류 배출구(12b)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22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제2덕트 배출구(71b)로 볼 수 있으며, 노즐(220)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를 제2기류 배출구(12b)로 볼 수 있다. 노즐(220)을 통해 송풍장치(72)가 발생한 공기를 행거(100)에 거치된 의류의 외부 및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노즐(220)은 행거 플레이트(200)의 기류 배출부(210)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류 배출부(210)는 3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류 배출부의 개수는 3개 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노즐의 개수는 3 개 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3 개의 노즐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 하나의 노즐에 대해 설명한다.
노즐(220)은 기류를 행거(100)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송풍장치(72)로부터 형성된 공기를 행거(100)로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행거(100)의 에어 공급구(101)로 기류를 안내하도록 유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송풍장치(72)에 의해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212)는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부분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류 배출부(210)는 가이드 리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30)는 송풍장치(72)에 의해 형성된 공기를 노즐(220)로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 리브(230)는 송풍장치(7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3 개의 노즐로 분배되도록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 리브(230)는 송풍장치(72)에서 배출되어 일측 노즐로 향하는 공기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230)는 송풍장치(72)에서 배출되어 사이드에 배치된 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중심 노즐 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가이드 리브(230)에 의해 사이드 측 노즐(220)로 유입되지 못한 공기는 가이드 리브(230)에 의해 중심 측 노즐(220)로 유입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를 소정 각도로 이동 가능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장치(300)는 모터(310)와, 모터(310)와 행거 플레이트(2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20)를 포함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본체(10)의 상면(10b)에 마련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에는 3 개의 기류 배출부(210)가 적절하게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직 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상면을 형성하는 제1부분(201a)과, 제1부분(201a)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부분(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201a)에는 틸징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제2부분(201b)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3개의 노즐(220)이 기류 배출부(210)에 대응되도록 적절하게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
틸팅장치(300)는 행거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10)는 본체(10)의 상면(10b)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310)의 모터축(311)은 행거 플레이트(200)와 연결부재(320)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재(320)는 연결 브라켓(321)을 포함한다. 연결 브라켓(321)은 행거 플레이트(200)의 제1부분(201a) 중심에 형성된다. 연결 브라켓(321)은 행거 플레이트(200)의 제1부분(201a) 후단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의 제1부분(201a) 전방에는 행거 플레이트(200)의 좌우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330)이 마련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회전 브라켓(330)의 중심에 회전축(33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330)은 행거 플레이트(200)에 설치된 모터(31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200)는 모터(310)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좌우 시소 운동 할 수 있게 된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모터(310)에 의해 일정 각도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행거 플레이트(200)에 연결된 행거(100)에 거치된 의류에 행거(100)로부터 전달되는 공기 및 바람이 맞는 면적이 변화되고, 먼지 제거 및 주름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는 행거(100)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행거(100)는 행거 플레이트(200)의 노즐(2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220)은 행거(1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행거(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220)은 행거(10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일부가 개구(221)되어 형성될 수 있다. 노즐(220)의 적어도 일부는 행거(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개구(221)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즐은 전방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행거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하여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구는 노즐의 측방에 형성될 수 도 있다.
행거(100)는 대략 삼각 형상을 갖는 옷 걸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행거(100)는 그 내부에 송풍장치(72)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유로(120)가 형성되는 행거 바디(110)를 포함한다. 행거 바디(110)의 상단에는 에어 공급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110)의 하단에는 에어 배출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110)의 상부는 목 부분(110a)을 형성하고 하부는 의류가 걸림되는 걸림 부분(110b)을 형성할 수 있다. 에어 공급구(101)는 목 부분(110a)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목 부분(110a)의 외주면은 노즐(2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220)과 행거(100)는 행거 연결부(2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행거 연결부(250)는 노즐(2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251)와, 행거(100)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251)는 노즐(2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252)는 행거(100)의 목 부분(110a)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220)의 제1연결부(251)와 행거(100)의 제2연결부(25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 는 도 4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도 9 의 C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200)는 틸팅장치(300)에 의해 좌우 소정 각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행거 플레이트(20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270)는 행거 플레이트(200)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271)와 본체(10)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271)는 행거 플레이트(200)의 제1부분(201a)의 좌우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72)는 제1가이드부(271)에 대응되도록 본체(10)의 상면(10b)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10b)에는 행거 플레이트(200)가 설치되기 위한 행거 플레이트 설치부(10g)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72)는 본체(10)의 행거 플레이트 설치부(10g)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72)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272)는 하단이 상단 보다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200)가 좌우로 소정 각도로 이동 시, 제1가이드부(271)의 상부는 제2가이드부(272)의 하단에 의해 간섭되어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11 을 참조한다.
도 12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1A)는 의류를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행거(100A)와, 행거(100A)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 플레이트(200A)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행거(100A)는 3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A)는 행거(100A)에 대응되도록 3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행거와 행거 플레이트는 각각 3 개가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행거와 행거 플레이트의 개수는 3 개 이상 및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행거 플레이트(200A)에는 행거 플레이트(200A)의 각도를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300A)가 마련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의 좌측으로부터 제1행거(101A), 제2행거(102A), 제3행거(103A)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행거(100A)에 대응되도록 제1행거 플레이트(201A), 제2행거 플레이트(202A), 제3행거 플레이트(203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행거(101A)는 제1행거 플레이트(201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행거(102A)는 제2행거 플레이트(202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행거(103A)는 제3행거 플레이트(203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행거 플레이트(201A)는 제1틸팅장치(301)에 의해 좌우로 소정 각도 이동될 수 있다. 제2행거 플레이트(202A)는 제2틸팅장치(302A)에 의해 좌우로 소정 각도 이동될 수 있다. 제3행거 플레이트(203A)는 제3틸팅장치(303A)에 의해 좌우로 소정 각도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행거 플레이트(200A)는 서로 다른 각도로 이동시켜 행거(100A)를 통해 나오는 바람의 방향을 변경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행거 플레이트(202A)는 수평 상태로 유지하고, 제1행거 플레이트(201A)와 제3행거 플레이트(203A)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행거(101A)와 제3행거(103A)가 중심을 향하도록 각각 제1각도(θ1)와 제2각도(θ2)로 이동시킨다.
제2행거(102A)에 거치된 의류에 제1행거(101A)와 제3행거(103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및 바람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및 바람이 맞는 면적의 변화는 의류의 먼지 제거 및 주름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 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11 을 참조한다.
도 14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200B)를 틸팅 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300B)는 모터(301B)와, 모터(301B)에 연결되어 모터(301B)의 회전력을 행거 플레이트(200B)에 전달하는 링크(320B)를 포함한다.
틸팅장치(300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장치(300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장치(300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01B)는 본체(10)의 덕트 브라켓(74B)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터는 덕트 브라켓의 우측 전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틸팅장치는 행거 플레이트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01B)는 모터축(302B)을 포함하고, 모터축(302B)에는 회전부재(303B)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재(303B)에는 행거 플레이트(200B)를 상하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링크(320B)가 연결될 수 있다. 링크(320B)는 회전부재(303B)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어 연결될 수 있다.
모터(301B)의 모터축(311B)은 행거 플레이트(200B)와 링크(320B)를 통해 연결된다. 링크(320B)는 모터(301B)의 회전력을 행거 플레이트(200B)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링크(320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링크 연결부(321B)에 연결된다. 링크 연결부(321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우측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321B)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제1부분(201Ba)의 우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321B)는 행거 플레이트(200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B)의 제1부분(201Ba) 전방에는 행거 플레이트(200B)의 좌우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330)이 마련된다. 행거 플레이트(200B)는 회전 브라켓(330)의 중심에 회전축(33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330)은 행거 플레이트(200B)의 전방과 후방 중심에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B)는 링크(320B)에 의해 그 일측이 상하 이동하고, 회전축(331B)을 중심으로 좌우 시소 운동 할 수 있게 된다. 행거 플레이트(200B)는 모터(301B)에 의해 일정 각도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200B)에 연결된 행거(100B)에 거치된 의류에 행거(10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 및 바람이 맞는 면적이 변화되고, 먼지 제거 및 주름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틸팅장치(300B)를 행거 플레이트(200B)의 일측에 배치되게 함으로써 설계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관리장치의 틸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플레이트(200C)를 틸팅 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300C)를 포함한다.
틸팅장치(300C)는 모터(301C)와, 모터(301C)에 연결되어 모터(301C)의 회전력을 행거 플레이트(200C)에 전달하는 벨트(320C)를 포함한다.
틸팅장치(300C)는 행거 플레이트(200C)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장치(300C)는 행거 플레이트(200V)의 전방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장치(300C)는 행거 플레이트(200C)의 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01C)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터는 본체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틸팅장치는 본체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301C)는 모터축(302C)을 포함하고, 모터축(302C)에는 회전부재(303C)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재(303C)에는 행거 플레이트(200C)를 회전 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는 벨트(320C)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301C)의 모터축(311C)은 행거 플레이트(200C)와 벨트(320C)를 통해 연결된다. 벨트(320C)는 모터(301C)에 의해 회전되고, 모터(301C)의 회전력을 행거 플레이트(200C)의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331C)에 전달한다.
벨트(320C)는 행거 플레이트(200C)의 회전축(331C)에 연결된다. 회전축(331C)은 회전 브라켓(330C)에 마련된다. 회전 브라켓(330C)은 행거 플레이트(200C)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330C)은 행거 플레이트(200C)의 전방과 후방 중심에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330C)은 행거 플레이트(200C)가 좌우 시소 이동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행거 플레이트(200C)는 회전 브라켓(330C)의 중심에 회전축(331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331C)은 벨트(320C)에 의해 모터(301C)에 연결된다.
모터(301C)는 시계 방향(C.W) 또는 반 시계방향(C.C.W)으로 회전하면서 행거 플레이트(200C)를 좌우 소정 각도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행거 플레이트(200C)는 회전축(331C)을 중심으로 좌우 시소 운동 할 수 있게 된다. 행거 플레이트(200C)는 모터(301C)에 의해 일정 각도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행거 플레이트(200C)에 연결된 행거(100C)에 거치된 의류에 행거(100C)로부터 전달되는 공기 및 바람이 맞는 면적이 변화되고, 먼지 제거 및 주름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틸팅장치(300C)를 행거 플레이트(200C)의 외측에 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행거 플레이트(200C)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구조에서도 설계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관리장치 10 : 본체
11 : 의류 관리실 13 : 기계실
20 : 도어 30 : 열 교환장치
100 : 행거 101 : 에어 공급구
102 : 에어 배출구 110 : 에어 바디
200 : 행거 플레이트 210 : 기류 배출부
220 : 노즐 300 : 틸팅장치
301 : 모터 320 : 연결부재
321 : 연결 브라켓

Claims (20)

  1. 의류 관리실을 갖는 본체;
    상기 의류 관리실의 내부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송풍장치;
    상기 의류 관리실에 의류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내부를 통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행거로서,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에어 공급구로부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행거;
    상기 행거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를 상기 행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 공급구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기류 배출부와, 상기 송풍장치에서 형성된 기류를 상기 행거로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 공급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행거 플레이트; 및
    상기 행거 플레이트를 틸팅 시켜 상기 노즐의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마련되는 틸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기류를 상기 행거로 안내하여 공기를 하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부분을 갖는 형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행거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기류를 상기 에어 공급구에 안내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와 상기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행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행거설치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는 상기 행거를 각각 틸팅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의류관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상면 중심에 마련되는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행거 플레이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의류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의류관리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43299A 2018-11-20 2018-11-20 의류관리장치 KR10266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299A KR102665019B1 (ko) 2018-11-20 2018-11-20 의류관리장치
PCT/KR2019/013436 WO2020105864A1 (ko) 2018-11-20 2019-10-14 의류관리장치
US17/309,347 US20220018057A1 (en) 2018-11-20 2019-10-14 Clothes car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299A KR102665019B1 (ko) 2018-11-20 2018-11-20 의류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772A KR20200058772A (ko) 2020-05-28
KR102665019B1 true KR102665019B1 (ko) 2024-05-13

Family

ID=7077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299A KR102665019B1 (ko) 2018-11-20 2018-11-20 의류관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18057A1 (ko)
KR (1) KR102665019B1 (ko)
WO (1) WO2020105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10290B (zh) * 2021-03-19 2023-12-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衣架及衣物护理机
USD1011660S1 (en) * 2021-08-04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machine
KR20230080844A (ko) * 2021-11-30 202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40013586A (ko) * 2022-07-22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제어 방법
KR20240037101A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KR20240093162A (ko) * 2022-12-15 2024-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4128858A1 (ko) * 2022-12-15 202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198A (ja) 1999-08-31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静止型乾燥機
KR100524400B1 (ko) 2005-06-15 2005-10-28 박성수 빨래 건조기
KR101108043B1 (ko)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JP2015070930A (ja) * 2013-10-03 2015-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構造及び布材処理装置
CN206680773U (zh) 2017-04-17 2017-11-28 南京奥维思智能科技有限公司 摆动晾衣杆及升降晾衣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032A2 (ko) * 2008-12-09 2010-06-17 엘지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25568B1 (ko) *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113884B1 (ko) * 2009-03-03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30028434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의류 처리 장치
KR101867505B1 (ko) * 2012-03-20 2018-06-1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600788B1 (ko) * 2014-10-29 2016-03-08 양준식 의복 리프레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2198A (ja) 1999-08-31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静止型乾燥機
JP3762582B2 (ja) 1999-08-31 2006-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静止型乾燥機
KR101108043B1 (ko)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KR100524400B1 (ko) 2005-06-15 2005-10-28 박성수 빨래 건조기
JP2015070930A (ja) * 2013-10-03 2015-04-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構造及び布材処理装置
CN206680773U (zh) 2017-04-17 2017-11-28 南京奥维思智能科技有限公司 摆动晾衣杆及升降晾衣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8057A1 (en) 2022-01-20
KR20200058772A (ko) 2020-05-28
WO2020105864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5019B1 (ko) 의류관리장치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50961B1 (ko) 의류 관리기
US1154265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627701B1 (ko) 의류 관리기
CN106574426B (zh) 衣物干燥机
EP3034684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00196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31307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00080962A (ko) 의류 관리기
US1166170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618991B2 (en) Clothes care apparatus
JP6947454B2 (ja) 洗濯機
US20230313436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230138890A1 (en)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KR20230166416A (ko) 의류 관리기
KR2022016113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55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180097227A (ko) 의류처리장치
KR20060060210A (ko) 회전식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