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31B1 -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431B1
KR102664431B1 KR1020170000157A KR20170000157A KR102664431B1 KR 102664431 B1 KR102664431 B1 KR 102664431B1 KR 1020170000157 A KR1020170000157 A KR 1020170000157A KR 20170000157 A KR20170000157 A KR 20170000157A KR 102664431 B1 KR102664431 B1 KR 102664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oral composition
weight
polyacrylate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684A (ko
Inventor
김찬호
김기정
장성환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0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4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29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r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vinylmethyl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렌지 주스나 이온음료 등의 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치에 효과적인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불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산에 의한 치아 표면의 거칠기를 완화시켜줌으로써 충치 예방 및 초기 충치 진행 억제에 효과적인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Or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본 발명은 오렌지 주스나 이온음료 등의 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치에 효과적인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불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산에 의한 치아 표면의 거칠기를 완화시켜줌으로써 충치 예방 및 초기 충치 진행 억제에 효과적인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는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무기질로서 그 질환은 크게 충치와 치주질환이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질병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치과의사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아동의 90% 이상이 치아 우식(Dental caries)을 경험하며, 성인의 80% 이상이 잇몸질환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런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은 구강내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즉, 구강내 세균의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음식물과 타액, 치온구액 등에 의하여 계속 공급되고 구강 내의 환경이 미생물이 발육하기에 적합한 온도(37℃), pH(중성부근)를 갖는다.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가 있다. 이런 미생물들은 음식물 내에 존재하는 자당(Sucrose)을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으로 생성하는 미생물 대사과장을 일으켜 포도당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글루칸에 의해 구강내 다른 미생물들과 치면에 부착하여 치면세균막, 즉 플라그(Dental plaque)가 형성된다. 형성된 플라그의 내부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를 포함한 젖산균에 의해 축적된 젖산이 치아표면의 에나멜을 용해하여 치아 표면이 거칠어지게 되면 세균 부착률이 더 높아지게 되어 충치가 발생된다. 또한 그러한 각종균의 증식에 따른 산물들에 의해 치조골이 용해되므로 치주질환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충치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해서 항균물질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NaHCO3), 트리클로산(Triclosan, C12H7Cl3O2),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 및 불화소다(NaF),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및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의 항생물질, 또는 유기/무기 불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충치 예방에는 효과가 있으나, 구토, 설사, 항생물질 내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충치 예방을 위해, 기존에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등과 같은 불소화합물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충치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치약과 같은 구강 조성물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폴리올 성분, 특히 솔비톨에 의해 불소에 의한 충치 예방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불소의 과다 사용은 연골의 경화 및 복통을 유발한다는 부작용이 있어, 불소화합물의 사용에 따른 효과에는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오렌지 주스, 이온음료와 같은 산성음료의 소비가 증가하여 충치가 잘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져 있다는 과제도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이 없으면서, 충치 예방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이 더욱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불소가 치아 표면에 더 오래 남아있을 수 있도록 하여, 불소에 의한 치아 표면 거칠기 개선 및/또는 충치 예방 효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일반적으로는 불소의 효능이 조성물에 함께 포함되는 폴리올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폴리올은 구강 조성물의 제형화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므로 표면 거칠기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이러한 효능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소와 특정 고분자 물질을 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불소에 의한 치아 표면 거칠기 개선 및/또는 충치 예방 효능이 상승되고, 초기 충치의 진행을 억제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불소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사용시 종래의 구강 조성물에 비하여 치아 표면에 대한 불소화합물의 부착력을 현저히 개선시켜 치아에 더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게 함으로써 유효성분과 치아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불소화합물을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와 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불소에 의한 치아 표면 거칠기 개선 및/또는 충치 예방 효능이 현저하게 상승되어, 특히 충치 예방 및 초기 충치 진행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시트르산으로 처리한 치약 시편 표면을 불소화합물만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시트르산으로 처리한 치약 시편 표면을 불소화합물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의 조합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시트르산으로 처리한 치약 시편 표면을 불소화합물,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의 조합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불소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소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구강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가능한 불소화합물로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불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는 구강용으로 사용가능한 것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이하, 'PVM/MA 코폴리머'라 함)를 함유한다. PVM/MA 코폴리머는 물로 헹구어 낸 이후에도 어느 정도의 양이 치아 표면에 잔존하는 특성이 있어 불화나트륨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가 치아에 보다 오랫동안 남아있을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불소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0ppm 내지 1500ppm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33중량%에 해당함). 이는 500ppm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치아 강화의 효과가 적고, 1500ppm을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는 약사법에서 정한 불소 농도의 함량 수치를 초과하게 되어, 의약외품으로서 인,허가 요건을 불충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3.7중량%, 바람직하게는 0.5~3.6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0.2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효과가 나타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3.8중량% 초과이면 제형화가 어렵다.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PVM/MA 코폴리머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3.7중량%, 바람직하게는 0.4~3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0.3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효과가 나타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3.7중량% 초과이면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PVM/MA 코폴리머를 모두 포함할 경우에, 이들의 합한 함량은 0중량% 초과 4중량%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4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에 따른 단가가 상승되고, 점도가 상승하여 제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생기게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PVM/MA 코폴리머는 상기 함량 범위로 사용되면 조합비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5:1 ~ 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8:1 ~ 1:3,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1 ~ 1:2의 중량비율로 조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구강 내 환경에 따른, 특히 구강 내 산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 표면 거칠기의 변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치아 표면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여, 유효성분과 치아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충치 예방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아의 표면, 즉 치아의 에나멜에 생긴 얕은 충치인 초기 충치가 더 이상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충치는 진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초기, 중기 및 말기 3단계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초기 충치”는, 치아를 육안으로 봤을 때 검게 얼룩진 부분이나 검은 점, 그리고 결을 따라 검은 선이 보이는 단계로서, 치아 바깥쪽 에나멜에만 충치가 생기고,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 상태의 충치를 말한다. 즉, 초기 충치는 구강 내 존재하는 세균이 음식의 잔여물을 분해하여 발생하는 산에 의해 생기게 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산에 의해 치아 에나멜의 손상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치약, 구강세정제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제형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겔, 페이스트 등의 형태로 솔, 면봉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도구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도포되어 사용되거나 치아용 트레이에 조성물을 담은 후 치아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구강 조성물의 제형이 치약류인 경우, 상기한 유효성분 이외에 습윤제, 연마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등의 성분이 필요하며, 그 밖에 감미제, pH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습윤제의 경우는 치약이 굳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폴리올, 특히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마제의 경우는 플라그제거 및 이물질 제거를 통해 치아를 깨끗이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등이 있고, 통상적으로는 실리카와 탄산칼슘 등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경우는 구강 세정과 사용시 기포발생을 통해 편의성을 제공해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특히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릴사르코시네이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5중량%, 바람직하게는 0.5~3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점증제의 경우는 칫솔 위에서의 치약의 보형성을 위해 필요하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소듐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잔탄검, 알긴산 나트륨 등이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혼합하여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2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의 경우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이리톨, 감초산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조절제의 경우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주석산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의 경우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수 있다.
약효성분으로는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트리클로산, 염화세틸피리디움,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백제로는 산화티탄류, 색소로는 식용색소, 용제로는 정제수 및 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첨가제를 목적 및 조건에 따라 조성 및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함으로써 통상의 치약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구강용 조성물 제형의 준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치약 시료 #1-1 내지 #1-3을 제조하였다.
(함량: 중량%)
#1-1 #1-2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불화나트륨 - 0.22 -
일불소인산나트륨 - - 0.76
[시험예 1] 불소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치아 표면 거칠기 변화율 평가
산 성분에 의해 치아가 공격을 받으면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이로부터 초기 충치의 발생 정도를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상이한 불소화합물을 포함한 시료를 처리한 치아 시편에 산 성분을 가하여 표면의 거칠기 변화율을 각각 측정함으로써, 불소화합물의 종류에 따른 초기 충치 예방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면 거칠기 측정을 위하여 치아 시편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1) 치아 시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디스크 이용(HAP 디스크)(3D Biotek LLC, New Jersey, USA)
2) 치약 시료 처리: 치약 슬러리(치약 : 이온수 = 1 : 3) 제조 후 HAP 디스크에 150rpm으로 10분간 처리. 이 때 사용한 치약은 상기 참고예 1에 기재된 #1-1 내지 #1-3임
3) 헹굼: 수돗물로 1분간 세척(육안 관찰시 치아 표면에 남아 있는 것 없음)
4) 탈회: 시트르산 1% 용액에 헹군 HAP 디스크를 담구고 100rpm 으로 10분 처리
5) 헹굼: 수돗물로 1분간 세척
6) 건조: 최소 2시간 이상 자연 건조
7) 평가: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LEXT OLS4500, Olympus)을 사용하여 HAP 디스크의 표면 거칠기 측정. 이 때, 대물렌즈 ×100을 이용하고, 평가 영역을 80μm × 80μm로 3군데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
HAP 디스크의 표면 거칠기는 치약 시료로 처리하기 전과 처리한 후에 각각 측정하였으며, 표면 거칠기 변화율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치아의 표면 거칠기 및 표면 거칠기 변화율 측정값은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단위 (nm) 시료 처리 전 시료 처리 후 변화율 (%)
측정 #1 측정 #2 측정 #3 평균 측정 #1 측정 #2 측정 #3 평균
#1-1 147 197 131 158 498 542 547 529 234
#1-2 204 182 203 196 282 368 271 307 56
#1-3 153 205 240 199 455 445 402 434 118
상기 표 2 및 도 1을 보면, 시트르산만 처리하고 불소화합물이 포함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치아 표면 거칠기가 상당히 증가된 반면(#1-1을 처리), 불소화합물이 포함된 시료를 처리하게 되면 표면 거칠기의 정도가 상당히 감소된다(#1-2 및 #1-3을 처리)는 것을 확인활 수 있다.
특히, 시료 #1-2의 불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경우에는 시료 #1-3의 일불소인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시료를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표면 거칠기 변화율이 현저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나, 불화나트륨이 일불소인산나트륨보다 산에 의한 표면 거칠기 방어 효과 우수하여, 초기 충치 예방에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참고예 2]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치약 시료 #2-1 내지 #2-9를 제조하였다.
(함량: 중량%)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불화
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솔비톨 - 35 - - - - - - -
글리세린 - - 35 - - - - - -
연마용
실리카
- - - 10 - - - - -
점증용
실리카
- - - - 10 - - - -
경질
탄산
칼슘
- - - - - 10 - - -
중질
탄산
칼슘
- - - - - - 10 - -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 - - - - - - 2 -
소듐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 - - - - - - - 1
[시험예 2] 구강 조성물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성분의 종류에 따른 치아 표면 거칠기 변화율 평가
일반적인 치약의 제형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므로, 치약 제형에 필요한 성분과 불소화합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치아 시편에 처리한 시료로서 상기 참고예 2에 기재된 #2-1 내지 #2-9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치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표면거칠기
변화율 (%)
#2-1 불화나트륨 56
#2-2 불화나트륨 + 솔비톨 35% 167
#2-3 불화나트륨 + 글리세린 35% 94
#2-4 불화나트륨 + 연마용실리카 10% 56
#2-5 불화나트륨 + 점증용실리카 10% 61
#2-6 불화나트륨 + 경질탄산칼슘 10% 51
#2-7 불화나트륨 + 중질탄산칼슘 10% 100
#2-8 불화나트륨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2% 38
#2-9 불화나트륨 +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1% 67
상기 표 4를 보면, 치약 제형 내 존재하는 여러 성분에 의한 간섭으로 불소화합물이 효과를 내는데 있어 한계가 있으며, 특히 폴리올류인 솔비톨, 글리세린이 불화나트륨의 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연마제 종류인 중질탄산칼슘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치약 제형을 구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폴리올은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성분이므로, 상기 데이터는 폴리올이 사용되는 조건에서도 치아의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낮출 수 있는 다른 성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참고예 3]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치약 시료 #3-1 내지 #3-8을 제조하였다.
(함량: 중량%)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불화
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 1 - - - - - -
잔탄검 - - 1 - - - - -
소듐
알지네이트
- - - 1 - - - -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 - - - 1 - -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 - - - - 1 - -
PVM/MA 코폴리머 - - - - - - 1 -
폴리쿼터늄-10 - - - - - - - 1
[시험예 3]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치아 표면 거칠기 변화율 평가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고분자 물질을 불소화합물과 함께 사용하여 이에 따른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평가하였다. 이 때, 고분자로는 대표적인 치약에서 사용 가능한 음이온, 양이온 계열의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치아 시편에 처리한 시료로서 상기 참고예 3에 기재된 #3-1 내지 #3-8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치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표면거칠기
변화율 (%)
#3-1 불화나트륨 56
#3-2 불화나트륨 +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1% 67
#3-3 불화나트륨 + 잔탄검 1% 93
#3-4 불화나트륨 + 소듐 알지네이트 1% 151
#3-5 불화나트륨 +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 184
#3-6 불화나트륨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1% 38
#3-7 불화나트륨 + PVM/MA 코폴리머 1% 93
#3-8 불화나트륨 + 폴리쿼터늄-10 1% 63
상기 표 6 및 도 2를 보면,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께 사용한 경우가 표면 거칠기 변화율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PVM/MA 코폴리머의 경우는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만큼 낮추지는 못하였으나, 다른 고분자 물질에 비하여 치아 표면에 오래 남아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추가적인 성분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참고예 4]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통상적인 치약 제조 방법에 따라서 치약 제형을 제조하였다.
(함량: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이온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일불소인산나트륨 - 0.76 -  -  -  -  -  -  -  -  -  - 
불화나트륨 -  -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0.22
삭카린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글리세린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35
실리카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소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1 1 1 -  -  -  -  -  -  -  -  -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  -  -  0.5 1 -  -  0.5 1 0.5 1.5 3.5
PVM/MA 코폴리머 -  -  -  -  -  0.5 1 0.5 0.5 1 2.5 0.5
1 1 1 1 1 1 1 1 1 1 1 1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2 2 2 2 2 2 2 2 2 2 2 2
[시험예 4]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PVM/MA 코폴리머의 조합에 따른 치아 표면 거칠기 변화율 평가
불소화합물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이외에 PVM/MA 코폴리머의 사용에 의한 표면 거칠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치아 시편에 처리한 시료로서 상기 참고예 4에 기재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시험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치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표면 거칠기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8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표면거칠기
변화율 (%)
303 232 148 158 113 165 160 89 80 85 60 55
상기 표 8을 보면, 불소화합물과 함께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M/MA 코폴리머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 이들을 각각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불소화합물과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만 포함하는 경우에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더라도 원하는 정도의 표면 거칠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불소화합물과 PVM/MA 코폴리머만 포함하는 경우에는 PVM/MA 코폴리머를 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더라도 오히려 표면 거칠기가 더 심해지지만, 불소화합물,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M/MA 코폴리머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와 PVM/MA 코폴리머를 각각 0.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더라도 상당한 치아 표면 거칠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

Claims (10)

  1. 유효성분으로서 불소화합물;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 및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를 함유하며,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3.7중량%이고,
    상기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3.7중량%이고,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와 폴리비닐메틸에테르 말레산 무수물 코폴리머의 합계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중량% 이하인 구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및 불화주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0ppm 내지 1500ppm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계열의 고분자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치아 표면 거칠기 감소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충치 예방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치는 산에 의한 치아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KR1020170000157A 2017-01-02 2017-01-02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KR102664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57A KR102664431B1 (ko) 2017-01-02 2017-01-02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157A KR102664431B1 (ko) 2017-01-02 2017-01-02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84A KR20180079684A (ko) 2018-07-11
KR102664431B1 true KR102664431B1 (ko) 2024-05-09

Family

ID=6291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157A KR102664431B1 (ko) 2017-01-02 2017-01-02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082B1 (ko) 2022-08-14 2023-03-09 김학선 구강 세균 포집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2450A1 (en) 2008-02-08 2009-08-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712A (en) * 1986-03-20 1989-12-2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calculus oral composition
US5202112A (en) * 1991-08-01 1993-04-13 Colgate-Palmolive Company Viscoelastic dentifrice composition
EA002367B1 (ru) * 1997-12-18 2002-04-25 Унилевер Н.В. Состав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2450A1 (en) 2008-02-08 2009-08-1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2011511068A (ja) 2008-02-08 2011-04-07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口腔ケア製品ならびにその使用および製造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684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5951A1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CA3095052C (en)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stannous ion source and an acidic amino acid for promoting gum health
US10596089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US10980728B2 (en) Oral care compositions for promoting gum health
US2006015963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dental stain
KR102664431B1 (ko) 충치 예방용 구강 조성물
US20230404870A1 (en) A fluoride dentifrice containing an iodine component
KR102692743B1 (ko)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N110897935B (zh) 用于抑制生物膜形成的组合物
KR101497061B1 (ko) 구강 세정 조성물
KR20200031990A (ko)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20180081271A (ko) 알킬 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프라그 제거용 구강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