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317B1 -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 Google Patents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317B1
KR102664317B1 KR1020240023291A KR20240023291A KR102664317B1 KR 102664317 B1 KR102664317 B1 KR 102664317B1 KR 1020240023291 A KR1020240023291 A KR 1020240023291A KR 20240023291 A KR20240023291 A KR 20240023291A KR 102664317 B1 KR102664317 B1 KR 10266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cision
area
inner door
forc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창현
Original Assignee
주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현 filed Critical 주창현
Priority to KR10202400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t least two axes of rotation without additional frame withi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 E06B2003/34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dditional rotating frame within the wing where the additional frame rotates around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구가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를 잡아 당겨 절개구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emergency door with double open structure}
본 발명은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 관한 것이다.
점차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폭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수 정비가 미비한 저지대나 낙후지역의 경우 특히 지하세대 및 지하상가, 지하 주차장 등으로 우수가 순간적으로 유입되어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소방 방화문 구조는 안에서 밖으로 밀어 개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측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차오르게 되면 일반 성인은 안에서 밖으로 방화문을 밀어 오픈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62936호에는 양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한 비상용 탈출 방화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화문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문의 하단과 외측의 외측문 하단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예를 들어 실외 공간이 침수된 상태이고 실내에서 사람이 내측 문을 개방시키게 되면, 현재 실외 공간에 있는 물이 그대로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방화문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문의 하단과 외측의 외측문 하단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침수 높이에 대응하는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문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문의 모든 부위에 수압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측문과 내측문의 수압 작용 부위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내측문이 제대로 오픈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62936호(2021. 6. 1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 문의 하단부와 외측 문의 하단부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거리를 형성함으로써, 내측 문의 개방시에도 실외측 영역에 있는 물의 실내 측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내측 문의 뒤틀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이 제공된다.
상기 절개구의 최하측과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의 사이거리는 5 내지 3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문부의 오픈시, 상기 내측 문부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와 상기 내측 문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며,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잠금돌기를 상기 잠금홈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를 갖는 도어 핸들; 및 상기 도어 핸들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을 허용 또는 구속 가능한 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핀 삽입홀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레버의 구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락킹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돌출되되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회전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도어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때,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절개구의 내벽이 상기 내측 문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절개구의 내벽을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도어 핸들에 마련된 제2 로드 삽입홀에 삽입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면서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과 상기 노브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제 개방제한부재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노브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사용자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문은, 상기 도어 핸들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 및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 접이식 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 의하면, 절개구가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를 잡아 당겨 절개구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수에 따른 제2 영역의 물이 내측 문부에 작용하는 수압을 최소화하여 내측 문부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내측 문부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가 마련됨으로써, 비상상황시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으로만 대피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인명피해 발생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문부와 내측 문부의 접촉 부위에 끼인 이물질이 고화된 상황에서도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여 내측 문부가 원활하게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외측 문부와 내측 문부의 오픈 동작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부분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의 도어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에서 도 3의 강제 개방부 작동에 의해 도어 핸들이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가정집과 상가 등과 같이 보안이 필요한 출입구에 마련되거나, 창고, 학교, 주차장 등 상대적으로 보안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장소의 출입구에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방화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양방향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특히 침수 발생시 사람이 신속하게 탈출 가능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외측 문부(100)는 가정집, 상가, 창고, 학교, 지하 주차장 등의 출입구에 설치된 문틀(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내측에 절개구(110)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방향으로만 회전'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측 문부(100)는 경첩 등을 통해 문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소방법 기준상 방화문은 실내에서 실외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출입구를 오픈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화재시 기밀성을 위해 반대로 실외방향에서 실내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덧붙이자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틀(10)의 내면에는 돌출턱(11)이 마련되어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은 실외방향에서 실내측 방향을 향해 회전하여 출입구를 오픈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실외측에 침수가 발생하여 대략 50cm 정도로 물이 차오르는 상황이 발생하면, 수압에 의해 실내측에 있는 사람들은 방화문, 즉 외측 문부(100)를 실외측을 향해 푸시하여 출입구를 오픈하기 힘들게 되며, 이에 따라 인명 사고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외측 문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타측방향으로만 회전'이라 함은 실외에서 실내측 방향으로만 회전, 즉 실내측에 있는 사용자가 내측 문부(200)를 잡아 당기는 방식으로 절개구(110)를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내측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실외측을 제2 영역이라 칭한다.
덧붙여, 가정집, 상가, 창고, 학교의 경우 제1 영역은 건물 내부 공간을 의미하고, 제2 영역은 건물 외부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지하 주차장의 경우 제1 영역은 주차 공간이 마련된 장소를 의미하고, 제2 영역은 지상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이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침수 상황 발생시, 실내측(제1 영역)에 있는 사람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제1 영역) 방향을 향해 잡아당겨서 외측 문부(100)의 절개구(110)를 오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실외측(제2 영역)에 전술한 바와 같이 50cm 정도의 수위로 침수가 발생하더라도 실내측(제1 영역)에 있는 사람들은 내측 문부(200)를 오픈한 후 절개구(110)를 통해 실외측(제2 영역)으로 탈출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내측 문부(200)의 경우 외측 문부(100)와 반대로 실외측에서 실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열리는 구조이므로, 수압에 관계없이 노약자도 쉽게 오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개구(110)는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절개구(110)의 최하측과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의 사이거리(d)는 5 내지 30cm로 적용될 수 있다.
사이거리가 5cm 미만인 경우 절개구의 개방시 실외측의 물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저감되고, 사이거리가 30cm를 초과하는 경우 사람이 사이거리만큼의 높이를 넘어 이동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절개구(110)의 최하측, 즉 내측 문부(200)의 최하단이 외측 문부(1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실외측(제2 영역)에 일정이상의 높이로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내측 문부(200)를 잡아 당겨 절개구(110)를 오픈하더라도 제2 영역의 물이 제1 영역(실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한층 최소화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15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 그 차이인 5cm 정도에 대응하는 물만 실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수에 따른 제2 영역의 물이 내측 문부(200)에 작용하는 수압을 최소화하여 내측 문부(200)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내측 문부(20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5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에는 내측 문부(200)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아 내측 문부(200)의 튀틀림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거리(d)가 10cm이고, 제2 영역의 물이 바닥면(외측문부의 하단부와 대응)으로부터 20cm의 높이로 차있는 경우에는 내측 문부(200)의 하부측 일부에만 작은 수압이 작용할 수 있는바 내측 문부(200)가 뒤틀림되는 심각한 상황까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1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잡아당겨 절개구(110)를 오픈하여 절개구(110)를 통해 제2 영역으로 탈출하고자 시도하는 과정에서, 제2 영역의 수위가 사이거리(d)보다 높은 경우 내측 문부(200)에 일부 작용하는 수압으로 인해 내측 문부(200)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측 문부(200)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는 내측 문부(200)의 급격한 회전으로 인해 타격되어 안전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의 오픈시, 내측 문부(200)가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댐퍼(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140)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압 작용에 의해 내측 문부(200)가 실내측(제1 방향)으로 급속도로 오픈되는 것을 완충하여 오픈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내측 문(210), 도어 핸들(220)을 포함한다.
내측 문(2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220)은 내측 문(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221)와, 잠금돌기(221)를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222)를 갖는다. 레버(222)는 도어 핸들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레버의 회동에 따라 잠금돌기(221)는 직선 왕복운동한다.
한편, 절개구(100)를 형성하는 내벽면에도 내측 문(21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내측 문(210)과 접촉하여 회동 방향을 제한하는 돌출턱(11)이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하여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내측 문부(200)는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오픈하여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침수상황과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레버(222)를 손으로 잡아당겨 오픈동작을 실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이 회전하여 절개구(110)가 개방되는 상황이 자유롭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내측 문부(200)는 도어 핸들(220)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레버(222)의 동작(잡아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허용 또는 구속 가능한 락킹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부(미도시)는 도어 핸들(220)의 핀 삽입홀(미도시)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레버(222)의 구동을 구속 또는 허용하는 락킹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관리자가 락킹핀(미도시)이 핀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할 수 있고, 침수상황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에는 락킹핀(미도시)을 핀 삽입홀(미도시)로부터 제거하여 누구나 손쉽게 레버(222) 동작을 통해 내측 문(210)을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락킹핀(미도시)은 관리자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손쉽게 핀 삽입홀(미도시)로부터 빼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제2 영역의 침수상황 발생으로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오픈하여 제2 영역으로 탈출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2 영역이 급속도로 수위가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제2 영역(예를 들어 지상으로 올라가는 지하주차장의 계단)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계단을 통해 지상으로 이동하기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지하 주차장의 주차공간 등)으로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하여 절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강제 개방부(300)는 강제 개방로드(310), 노브(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로드(310)는 내측 문(210)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211)에 삽입됨과 더불어 도어 핸들(220)에 마련된 제2 로드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로 마련된다.
노브(3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부재(33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외측 문부(100)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노브(320)에 지지되어 강제 개방로드(310)와 노브(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3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를 도어 핸들(220) 측으로 푸시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220) 내측으로 더욱 삽입(이동)되면서 레버(222)를 가압하여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즉,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가 아닌 내측 문(210)을 제1 영역을 향해 푸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없다.
그러나,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를 제1 영역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레버(222)를 가압하여 잠금돌기(22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노브(3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내측 문(210) 또한 제1 영역을 향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가 오픈될 수 있다.
한편, 강제 개방부(300)는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동작이 불가하도록 하고 침수상황과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특히 호기심많은 영유아들이 호기심에 노브(320)를 가압하여 내측 문(210)을 회전시키는 상황이 자유롭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부(30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면과 노브(320) 사이에서 탄성부재(330)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220)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노브(320)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일정이하의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탄성부재(330)를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는 노브(3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비상시 사용자는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의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도록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노브(320)를 푸시하여 내측 문(2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시킬때,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간극이 탄성부재(330)의 직경보다 작은 초기 상태에서 측면 이탈이 가능하게 적어도 탄성부재(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상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는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실시예의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평상시 오픈되어 출입구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침수상황 등과 같은 비상시의 경우에만 오픈되는 것으로서, 대략 수개월 내지 수년과 같이 장시간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외측 문부(100)와 내측 문부(200)의 접촉 부위에 끼인 이물질이 고화되어 쉽게 회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침수상황이 발생하여 급박하게 대피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레버(제1 실시예 참조)를 당기는 동작만으로 쉽게 내측 문부(200)를 회동시키지 못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200)는 내측 문(210)과 도어 핸들(420)을 포함한다.
내측 문(2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핸들(420)은 내측 문(21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서, 회전축(421), 잠금돌기(422), 레버(423) 및 복수의 돌출편(424)을 포함한다.
회전축(421)은 잠금홈(120) 근방에 위치하는 내측 문(210)의 일측에 별도의 브래킷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잠금돌기(422)는 회전축(421)의 일측에 돌출되며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절개구(110)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이루어진다.
레버(423)는 잠금돌기(422)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로 회전축(421)의 타측에 일정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축(421)을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레버(423)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423)의 단부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겨 회전축(421)을 회전시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423)의 단부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423)의 단부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회전축(421)을 회전시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편(424)은 회전축(421)의 외면에 돌출되되 잠금돌기(422)가 회전축(4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다.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돌출편(424)과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돌출편(424)은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복수의 돌출편(424)은 회전축(42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잠금돌기(422)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다.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긴급 대피를 위해 사용자가 절개구(110)를 개방하고자 레버(423)의 단부를 손으로 잡고 사용자 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회전축(421)을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벗어나서 잠금돌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축(421)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돌출편(424)은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내벽을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사용자가 레버(423)를 회전시킬때, 복수의 돌출편(424)은 절개구(110)의 내벽이 내측 문(210)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내측 문(210)이 절개구(110)의 내벽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절개구(110)의 내벽을 가압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복수의 돌출편(424)은 일종의 지렛대로 기능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장시간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이 고착된 상태에서 이와 같이 지렛대 방식을 통해 강제로 내측 문(210)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미세하게나마 증가하도록 벌림으로써 내측 문(210)을 쉽게 오픈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편(424)이 절개구(110)의 내벽을 가압하여 내측 문(210)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미세하게나마 증가하도록 벌리게 되면, 내측 문(210) 표면과 절개구(110)의 내벽 사이에서 고착화된 이물질이 이로부터 쉽게 이탈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내측 문(210)이 한층 손쉽게 오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내측 문부(200)를 실내측(지하 주차장의 주차공간 등)으로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하여 절개구를 통해 상기 실내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구조를 제공한다.(제2 실시예 참조)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내측 문부(200)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 개방부(3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 개방부(300)는 강제 개방로드(310), 노브(320), 탄성부재(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강제 개방로드(310)는 내측 문(210)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211)에 삽입됨과 더불어 도어 핸들(420)의 레버(423)를 제2 영역에서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일정 이상의 길이로 마련된다.
노브(3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 배치되며 강제 개방로드(310)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탄성부재(330)는 제2 영역을 향하는 외측 문부(100)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노브(320)에 지지되어 강제 개방로드(310)와 노브(3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탄성부재(33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를 도어 핸들(420) 측으로 푸시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도어 핸들(420)의 레버(423)를 가압하여 회전축(421)을 회전시키면서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게 된다.
즉,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와 강제 개방로드(310)가 아닌 내측 문(210)을 제1 영역을 향해 푸시하더라도 내측 문(210)을 회전시켜 개방시킬 수 없다.
그러나, 잠금돌기(422)가 잠금홈(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사람이 노브(32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노브(320)를 제1 영역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강제 개방로드(310)의 단부가 레버(423)를 가압하여 회전축(421)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잠금돌기(422)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노브(32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내측 문(210) 또한 제1 영역을 향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가 오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강제 개방제한부재(340)를 가지며(도 4 참조), 이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은 제1 실시예의 내측 문부 구조가 변경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부(500)는 내측 문(510), 도어 핸들(220)을 포함한다. 도어 핸들(220)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내측 문(510)은 절개구(1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절개구(110)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외측 문부(100)에 경첩 등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 핸들(220)은 내측 문(5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절개구(110)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120)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221)와, 잠금돌기(221)를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 또는 이탈시키도록 동작하는 레버(222)를 갖는다(도어 핸들과 관련된 부분은 제1 실시예 참조).
즉,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내측(제1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내측 문(510)을 회전시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레버(222)를 손으로 잡은 후 레버(222)를 실외측(제2 방향)으로 밀면서 잠금돌기(221)가 잠금홈(120) 내측으로 삽입하여 내측 문(510)이 절개구(110)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문(510)은, 도어 핸들(220)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511)과, 외측 문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제1 내측 문(5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512)을 포함한다. 제1 접이식 문(511)과 제2 접이식 문(512)의 절첩 부위에는 경첩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측 문(510)은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접이식 문(511)과 제2 접이식 문(512)이 서로 접혀진 상태로 외측 문부(100)에 대해 회전하면서 절개구(110)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구(110)를 형성하는 상측 내벽과 하측 내벽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접이식 문(511)의 상하측에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롤러(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문틀 11: 돌출턱
100: 외측 문부 110: 절개구
120: 잠금홈 140: 댐퍼
200: 내측 문부 210: 내측 문
220: 도어 핸들 221: 잠금돌기
222: 레버 300: 강제 개방부
310: 강제 개방로드 320: 노브
330: 탄성부재 340: 강제 개방제한부재
420: 도어 핸들 421: 회전축
422: 잠금돌기 423: 레버
424: 돌출편 500: 내측 문부
510: 내측 문 511: 제1 접이식 문
512: 제2 접이식 문

Claims (7)

  1. 문틀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내측에 절개구가 마련되는 외측 문부; 및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인 타측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 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구는 상기 외측 문부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내측 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잠금돌기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돌출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돌출되되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회전축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갖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레버를 회전시킬때,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절개구의 내벽이 상기 내측 문으로부터 일정이상 이격되도록 지렛대 방식으로 상기 절개구의 내벽을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편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잠금돌기의 양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외측 문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영역에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를 개방하도록 회전하되,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인 제2 영역에서 상기 내측 문부를 강제적으로 푸시하여 상기 절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강제 개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내측 문에 형성된 제1 로드 삽입홀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를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강제 개방로드;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에 비해 확장된 단면적을 갖는 노브; 및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외측 문부의 일측면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노브에 지지되어 상기 강제 개방로드와 상기 노브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를 상기 도어 핸들 측으로 푸시할 때,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잠금홈에 기삽입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부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과 상기 노브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강제 개방로드의 단부가 상기 도어 핸들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강제 개방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개방제한부재는,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상기 내측 문의 일측면에 그 폭방향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노브에 그 폭방향 타단이 지지되며, 그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C자 단면 구조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문부는,
    상기 절개구와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내측 문; 및
    사용자 동작을 통해 상기 절개구의 내벽에 형성된 잠금홈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절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내측 문에 마련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문은,
    상기 도어 핸들이 마련되는 제1 접이식 문; 및
    상기 외측 문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1 접이식 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접이식 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KR1020240023291A 2022-12-20 2024-02-19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KR10266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ko) 2022-12-20 2024-02-19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ko) 2022-12-20 2022-12-20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ko) 2022-12-20 2024-02-19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Division KR102664307B1 (ko) 2022-12-20 2022-12-20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317B1 true KR102664317B1 (ko) 2024-05-08

Family

ID=91072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ko) 2022-12-20 2022-12-20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KR1020240023291A KR102664317B1 (ko) 2022-12-20 2024-02-19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9070A KR102664307B1 (ko) 2022-12-20 2022-12-20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643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2U (ko) * 2011-10-25 2013-05-03 김도수 선박용 방화도어
JP3189155U (ja) * 2013-12-13 2014-02-27 フジメタル株式会社 子扉付きドア
JP2017155445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ティー・タカマツタテグ 折戸
KR20210062936A (ko) 2019-11-22 2021-06-01 방경률 비상용 탈출 방화문
JP7059869B2 (ja) * 2018-08-29 2022-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2U (ko) * 2011-10-25 2013-05-03 김도수 선박용 방화도어
JP3189155U (ja) * 2013-12-13 2014-02-27 フジメタル株式会社 子扉付きドア
JP2017155445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ティー・タカマツタテグ 折戸
JP7059869B2 (ja) * 2018-08-29 2022-04-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10062936A (ko) 2019-11-22 2021-06-01 방경률 비상용 탈출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307B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617A (en) Latch for "sliding" door or window
KR102366950B1 (ko) 차량 및 보행자 사용이 가능한 터널용 차단문
US20100300000A1 (en) Single action vent stop
KR102664317B1 (ko) 이중 오픈구조의 비상문
US4009537A (en) Automatic astragal
KR20110030258A (ko) 안전문
KR102427615B1 (ko) 터치-레버식 리프트 슬라이딩장치
EP3315700A1 (en) Slide and turn door assembly, support mechanism therefor and actuating mechanism for securing the support mechanism
KR102221275B1 (ko) 환기 및 추락방지를 위한 창문의 안전 잠금장치
JP4047196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施錠装置
JPH09273361A (ja) 出入り口の開き扉
KR101840085B1 (ko) 난간 겸용 방범창 이를 갖는 주택용 창문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KR102543106B1 (ko) 접이식 도어
KR200357498Y1 (ko) 이동식 방범창
JP4159458B2 (ja) シャッター
KR200378247Y1 (ko) 이동식 방범창
ES2929419T3 (es) Puerta o ventana y sistema de cierre para puerta o ventana
JP2010043407A (ja) 引戸の雨水浸入防止装置
JP2500871Y2 (ja) 隔板構造
KR20050101258A (ko) 이동식 방범창
JP2007009626A (ja) 開閉装置
KR20230161178A (ko) 미닫이식 창호의 잠금장치
JP3537430B1 (ja) 高水密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障子開放制限装置
JP3450306B2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