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99B1 -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99B1
KR102663299B1 KR1020230109087A KR20230109087A KR102663299B1 KR 102663299 B1 KR102663299 B1 KR 102663299B1 KR 1020230109087 A KR1020230109087 A KR 1020230109087A KR 20230109087 A KR20230109087 A KR 20230109087A KR 102663299 B1 KR102663299 B1 KR 10266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pplication
workpiece
inpu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케이
Priority to KR102023010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1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the excess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20Arrangements for spraying in combination with other operations, e.g. drying; Arrangements enabling a combination of spray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는 투입부, 도포부, 물질공급부 및 배출부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투입본체부, 투입센서부 및 투입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탁구 라켓 블레이드에 균일한 양의 물질을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다.

Description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Automatic Applicator For Blade Bonding and Coating Table Tennis Racket}
본 발명은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탁구는 2명(단식) 또는 4명(복식)의 선수가 탁구 라켓을 사용해 가볍고 속이 빈 공을 탁구대 위에서 쳐 넘기며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초기의 탁구 라켓은 딱딱한 프레임 위에 양피지를 늘여 씌워서 만들어졌다.
최근 들어 탁구 라켓은 합판재질로 만들어지며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러버를 붙인다. 탁구 라켓의 나무 부분은 블레이드(blade)라 불리며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진다.
블레이드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85% 이상의 비율의 목재가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그 외에 사용되는 소재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블레이드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목재의 종류에는 발사, 림바, 호두나무, 사이프러스, 히노키 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탁구 라켓의 블레이드는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짐에 따라 각각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블레이드를 접착제를 통해 만드는 과정에서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업을 함에 따라 공정속도가 더디고, 접착제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불량품이 발생하는 확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며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에 러버를 붙여야 우리가 사용하는 탁구 라켓이 될 수 있어 블레이드와 러버의 접착이 잘 되어야 퀄리티 있는 탁구 라켓이 될 수 있다.
블레이드에 러버를 부착하는 과정 중 러버에 의해 블레이드의 목판이 파손되거나 목재의 표면이 일어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블레이드에 얇은 코팅막이 형성되도록 코팅을 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블레이드에 코팅을 사람이 수작업으로 작업을 함에 따라 공정속도가 더디고, 코팅제의 도포량이 일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코팅제가 도포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면 그 부분에 목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코팅제가 다량 도포 된다면 러버가 부착 되었을 때 탁구 라켓의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팅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21838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도포부의 세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는 투입부, 도포부, 물질공급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블레이드에 물질을 도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포부로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물질공급부 및 상기 도포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일단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투입센서부 및 상기 투입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물질을 수집하는 도포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공급부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1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1물질공급부, 상기 제1물질공급부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2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2물질공급부 및 상기 제1물질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분사부는 상기 도포이동부에 고정되는 도포분사본체부, 상기 도포분사본체부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이동부,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승강부 및 상기 도포분사승강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도포분사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분사노즐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되는 도포노즐본체부,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질이 분사되는 도포노즐중앙부, 상기 도포노즐중앙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도포노즐안내부 및 상기 도포노즐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도포에어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본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부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도포히터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포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건조이동부, 상기 건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하는 건조램프부, 상기 건조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램프부를 고정하는 건조고정부 및 상기 건조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이동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건조소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불량판단본체부, 상기 건조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불량판단이동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불량판단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수행부는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광불량판단부 및 상기 광불량판단부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비전불량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입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부는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투입조절본체부, 상기 투입조절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이동시키는 투입조절이동부 및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센서부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투입조절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 상기 도포부, 상기 물질공급부, 상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도포이동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도포분사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2물질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물질을 통해 상기 도포분사부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부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물질공급부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유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제를 균일하고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도포부의 세척을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질공급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투입부(1), 도포부(2), 물질공급부(3) 및 배출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안착되며 도포부(2)로 안내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는 컨베이어밸트 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효과적으로 안착되며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피가공물은 탁구 라켓의 일부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일 수 있다. 블레이드는 탁구 라켓의 나무 부분으로 대개 여러 겹의 나무, 코르크, 섬유 유리, 탄소 섬유, 알루미늄 섬유 혹은 케블라 소재 합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피가공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질이 도포될 수 있는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2)는 투입부(1)에 의해 투입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즉, 도포부(2)는 자동으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할 수 있으며, 물질의 도포량을 일정하게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부(2)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던 종래에 비해 공정속도를 향상시키며, 도포량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질공급부(3)는 도포부(2)의 일측에 구비되어 도포부(2)로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물질공급부(3)는 물질을 저장하고 있다가 도포부(2)로 피가공물이 안내되면 도포부(2)로 물질을 안내하여 물질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물질공급부(3)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도포부(2)의 일측에 배치시켜 도포부(2)와 거리를 최소화하여 물질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배출부(4)는 도포부(2)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출부(4)는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되고 도포부(2)에서 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는 투입본체부(11), 투입센서부(13) 및 투입이동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본체부(11)는 일단부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즉, 투입본체부(11)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너비를 가질 수 있고, 투입본체부(11)의 일단부는 전단부 일 수 있다. 또한, 투입본체부(11)는 컨베이어벨트 등의 이송수단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투입센서부(13)는 투입본체부(1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투입센서부(13)는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이 투입센서부(13)의 상측에 배치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센서부(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배치되어 투입본체부(11)를 통해 운반되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인식하여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투입이동부(15)를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센서부(13)는 투입이동부(15)가 정확히 배치된 피가공물을 이송시키도록 할 수 있어 도포부(2)에 피가공물이 안내될 때 정확한 위치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투입이동부(15)는 투입센서부(13)의 감지에 따라 피가공물을 도포부(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투입이동부(15)는 투입센서부(13)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투입센서부(13)에 의해 감지되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이동부(15)는 투입이동본체부(151), 투입이동승강부(153), 투입이동흡착부(155) 및 투입이동분리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이동본체부(151)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투입이동승강부(153)가 결합될 수 있다.
투입이동승강부(153)는 투입이동본체부(151)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투입이동흡착부(155)는 투입이동본체부(151)와 투입이동승강부(153)에 의해 전후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투입본체부(11)에 안착되어 있는 피가공물을 흡착하여 도포부(2)로 이동시킨 후 도포부(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투입이동흡착부(155)는 석션으로 구비되어 외주를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구멍을 통해 피가공물을 이동시킬 때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안착되었을 때에는 흡입을 중단하거나 반대로 공기를 내보내어 피가공물을 용이하게 도포부(2)에 안착시킬 수 있다.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중앙에 구비되어 도포부(2)에서 피가공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즉,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투입이동흡착부(155)의 중앙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안착된 상태로 피가공물을 도포부(2)로 가압한 상태로 투입이동흡착부(155)의 흡착을 중단하여 피가공물이 도포부(2)에 위치가 정확히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입이동분리부(157)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할 때 피가공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포부(2)는 도포본체부(21), 도포이동부(22) 및 도포분사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본체부(21)는 외관을 형성하며, 투입본체부(11)와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도포이동부(22)는 도포본체부(21)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도포본체부(21)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도포본체부(21)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투입이동부(15)를 통해 안착될 수 있다.
즉, 도포이동부(22)는 투입이동부(15)에 의해 투입본체부(11)에서 피가공물이 운반되어 안착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비되어 안착된 피가공물을 도포본체부(21)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포분사부(23)는 도포본체부(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도포이동부(2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피가공물에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즉, 도포분사부(23)는 복수 개의 피가공물이 동시에 도포본체부(21) 내부에 이동될 때 이동하며 균일하게 물질을 피가공물에 분사할 수 있다.
배출부(4)는 배출본체부(41), 배출정지부(43), 배출센서부(45) 및 배출이동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본체부(41)는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배출본체부(41)는 도포부(2)에 의해 물질의 도포가 완료된 피가공물, 도포부(2)를 통과하고 후술할 건조부(5)를 통과한 피가공물 또는 건조부(5)와 후술할 불량판단부(6)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외부로 안내시킬 수 있다.
배출정지부(43)는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며, 배출본체부(41)의 전방에 배치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정지될 수 있다. 즉, 배출정지부(43)는 배출이동부(47)에 의해 배출본체부(41)로 피가공물이 운반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안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배출정지부(43)는 공정의 추가에 따라 건조이동부(52) 또는 불량판단이동부(6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출센서부(45)는 배출정지부(43)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배출센서부(45)는 배출정지부(43)의 특정위치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배출이동부(47)가 피가공물을 정확히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센서부(4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어 복수 개의 피가공물의 위치를 동시에 파악하고 동시에 배출이동부(47)에 의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센서부(45)는 상술한 투입센서부(13)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배출이동부(47)는 배출센서부(45)의 감지에 따라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4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배출이동부(47)는 공정이 완료된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41)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이동부(47)는 상술한 투입이동부(15)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출이동부(47)는 배출이동본체부(471), 배출이동승강부(473), 배출이동흡착부(475), 배출이동분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이동부(15)를 자세히 설명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부(2)는 도포포집부(25)를 포함할 수 있고, 물질공급부(3)는 제1물질공급부(31), 제2물질공급부(33) 및 압력유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포집부(25)는 도포본체부(21)의 내부에 구비되며, 도포이동부(22)의 하측에 배치되어 도포분사부(23)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즉, 도포포집부(25)는 물질이 외부로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처리를 하도록 할 수 있다. 물질은 친환경물질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배출 전 다시 한번 확인 및 후처리를 통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포집부(25)는 도포이동부(22)와 멀어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하단부가 관통형성되어 물질이 용이하게 모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면적은 상단부의 면적의 0.5 내지 0.6으로 구비되어 물질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물질공급부(31)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제1물질을 도포부(2)로 공급할 수 있고, 제2물질공급부(33)는 제1물질공급부(31)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제2물질을 도포부(2)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물질은 피가공물의 접착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고, 피가공물의 코팅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코팅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물질은 제1물질을 통한 공정이 수행된 후 도포분사부(23)로 공급되어 제1물질이 통과한 유로를 포함한 도포분사부(23)의 세척을 진행하여 공정이 복수 회 진행되더라도 도포품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압력유지부(35)는 제1물질공급부(31)에 연결되어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압력유지부(35)는 도포분사부(23)에 의해 제1물질이 복수 개의 피가공물에 동시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제1물질의 공급압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포분사부(23)는 도포분사본체부(231), 도포분사이동부(233), 도포분사승강부(235) 및 도포분사노즐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분사본체부(231)는 도포이동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포분사본체부(231)는 외관을 형성하며, 도포이동부(22)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도포분사본체부(231)는 도 1에 도포분사노즐부(237)의 전방에 배치되게 도시되어 있으나도 도 2 처럼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포분사이동부(233)는 도포분사본체부(231)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포분사이동부(233)는 일열로 배치된 복수 개의 피가공물 상부를 움직이며 복수 개의 피가공물 전체에 균일하게 물질을 도포할 수 있다.
도포분사승강부(235)는 도포분사이동부(233)와 연결되며, 도포분사이동부(233)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포분사승강부(235)는 피가공물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분사승강부(235)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물질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분사본체부(231), 도포분사이동부(233) 및 도포분사승강부(235)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며, 피가공물을 향하여 물질을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포분사노즐부(237)는 도포노즐본체부(2371), 도포노즐중앙부(2373), 도포노즐안내부(2375) 및 도포에어토출부(237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노즐본체부(237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될 수 있다. 즉, 도포노즐본체부(2371)는 도포분사승강부(235)에 연결되어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에 물질 및 에어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포노즐중앙부(2373)는 도포노즐본체부(2371)의 중앙에 구비되어 물질이 분사될 수 있고, 도포노즐안내부(2375)는 도포노즐중앙부(2373)와 이격 배치되며, 도포노즐본체부(2371)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즉, 도포노즐중앙부(2373)는 소정압력으로 물질을 토출할 수 있고, 도포노즐안내부(2375)는 도포노즐중앙부(2373)를 통해 토출되는 물질을 피가공물로 안내할 수 있따.
도포에어토출부(2377)는 도포노즐안내부(2375)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될 수 있다. 즉, 도포에어토출부(2377)는 도포노즐중앙부(2373)를 통해 토출되는 물질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피가공물로 최대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건조부(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부(5)는 도포본체부(21)와 배출부(4) 사이에 배치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될 수 있다.
건조부(5)는 물질이 코팅제인 경우에만 구비될 수 있다. 즉, 물질이 접착제인 경우 건조를 진행하게 되면 접착제가 굳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부(5)는 코팅제를 분사할 경우메나 구비되어 코팅제가 도포된 피가공물의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부(5)는 건조본체부(51), 건조이동부(52), 건조램프부(53), 건조고정부(54) 및 건조소화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본체부(5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건조본체부(51)는 내부에 건조이동부(52), 건조램프부(53), 건조고정부(54) 및 건조소화부(55)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이동부(52)는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며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즉, 건조이동부(52)는 도포이동부(22)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안착된 피가공물이 건조본체부(51) 내부에서 건조가 이동된 후 외부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건조램프부(53)는 건조본체부(51)의 내측에 배치되며, 건조이동부(52)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할 수 있다. 즉, 건조램프부(53)는 IR램프등으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에 열을 효과적으로 가할 수 있다.
건조고정부(54)는 건조본체부(51)와 연결되어 건조램프부(53)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피가공물과 건조램프부(5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피가공물에 가해지는 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건조소화부(55)는 건조본체부(51)의 상측에 배치되어 건조이동부(52)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피가공물이 탁구 라켓 블레이드로 구비되는 경우 화재에 취약할 수 있어 건조소화부(55)는 혹시 모를 화재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소화부(55)는 건조본체부(51) 내부의 온도가 건조램프부(53)의 설정온도의 1.5배 이상으로 상승되는 경우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건조본체부(51)의 내부 온도를 통해 화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부(5)는 건조포집부(56)를 포함할 수 있고, 건조포집부(56)는 건조소화부(55)가 작동하여 배출된 소화물질이 화재를 진압한 후 포집할 수 있다.
도포부(2)는 도포히터부(26) 및 도포개폐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히터부(26)는 도포본체부(21)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포히터부(26)는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은 환경에 작동되어 도포본체부(21)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도포분사부(23)에 의해 분사되는 물질이 얼거나 굳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포개폐부(27)는 도포본체부(21)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도포개폐부(27)는 작업자가 도포본체부(21) 내부를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판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불량판단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판단부(6)는 건조부(5)와 배출부(4) 사이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불량판단부(6)는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도포되었는지 여부, 도포량이 적절한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판단부(6)는 불량판단본체부(61), 불량판단이동부(63) 및 불량판단수행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판단본체부(61)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불량판단본체부(61)는 불량판단수행부(65)에 의해 불량판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킬 수 있다.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이동부(52)와 연결되며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부(5)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도포이동부(22)와 연결되어 물질이 도포된 피가공물이 이동될 수 있다. 즉, 불량판단이동부(63)는 건조이동부(52)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불량판단본체부(61)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불량판단수행부(65)는 불량판단본체부(61)의 내부에 배치되며, 불량판단이동부(63)의 상측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판단수행부(65)는 광불량판단부(651)와 비전불량판단부(653)를 포함할 수 있다.
광불량판단부(651)는 광을 조사하여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광불량판단부(651)는 광조사부(6511)를 통해 광을 조사하고 피가공물에 반사된 광이 광인식부(6513)로 인식될 수 있다. 즉, 광불량판단부(651)는 반사광의 반사율을 통해 도포량이 일정한지 여부 및 도포량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광불량판단부(651)는 도포량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를 이용하여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비전불량판단부(653)는 광불량판단부(651)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비전불량판단부(653)는 전체적 이미지를 촬영하여 피가공물 전체에 물질이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투입부(1)는 투입조절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조절부(17)는 투입본체부(11)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조절부(17)는 투입조절본체부(171), 투입조절이동부(173) 및 투입조절분사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조절본체부(171)는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피가공물과 접촉되어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투입조절이동부(173)는 투입조절본체부(171)의 후방에 배치되어 투입조절본체부(1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투입조절이동부(173)는 투입조절본체부(171)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투입조절본체부(171)가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투입조절분사부(175)는 투입조절본체부(171)를 관통하여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투입센서부(13)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투입조절분사부(175)는 투입센서부(13)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할 수 있고, 투입센서부(13)에 먼지 등이 쌓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입조절부(17)는 투입조절미세부(177)를 포함할 수 있고, 투입조절미세부(177)는 투입조절본체부(171)에 투입센서부(13)를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투입조절미세부(117)는 하나의 면적이 투입조절본체부(171)의 0.045 내지 0.055로 구비될 수 있어 투입조절본체부(171)로 피가공물의 전체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투입조절미세부(117)가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조절미세부(117)는 하나의 면적이 투입조절본체부(171)의 0.048 내지 0.052로 구비될 수 있어 투입조절본체부(171)로 피가공물의 전체 위치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하며, 투입조절미세부(117)가 피가공물의 미세 위치를 더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제어부(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P)는 투입부(1), 도포부(2), 물질공급부(3), 배출부(4), 건조부(5) 및 불량판단부(6)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P)는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도포이동부(22)의 작동을 정지하고, 도포분사부(23)와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제2물질공급부(33)를 작동시켜 제2물질을 통해 도포분사부(23)를 세척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소정횟수 마다 세척을 진행하여 도포분사부(23)를 통해 제1물질이 원활히 분사되도록 할 수 있고, 도포불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불량판단부(6)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제1물질공급부(31)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압력유지부(35)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P)는 도포량이 설정값보다 작게 도포되는 경우 압력유지부(35)를 통해 공급압력을 상향시킬 수 있고, 도포량이 설정값보다 크게 도포되는 경우 압력유지부(35)를 통해 공급압력을 하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공급압력 조절 후에도 불량이 지속되는 경우 도포이동부(22)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2물질을 공급하여 도포분사부(23)를 세척하고 다시 재가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P)는 세척 후에도 지속적으로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작동을 정지하고 외부로 알람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물질분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분사부(23)를 통해 제1물질 도포 후 제2물질로 세척한 경우 도포포집부(25)에 제1물질과 제2물질이 함께 포집될 수 있다. 물질분리부는 도포포집부(25)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물질과 제2물질이 혼합되 혼합물에서 제1물질과 제2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질분리부는 열분리부와 회전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분리부는 열을 가하여 제1물질과 제2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회전분리부는 회전을 통하여 제1물질과 제2물질을 2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S)는 화학분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분석부는 물질분리부와 이격 구비되어 물질분리에 의해 분리된 제2물질의 조성비를 분석하여 제1물질이 완벽하게 분리되었는지 판단하여 외부로 화학성분이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자동 도포장치 P: 제어부
1: 투입부 2: 도포부
3: 물질공급부 4: 배출부
5: 건조부 6: 불량판단부

Claims (10)

  1. 피가공물이 투입되어 이동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투입된 상기 피가공물에 물질을 도포하는 도포부;
    상기 도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포부로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물질공급부; 및
    상기 도포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일단부에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투입본체부;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투입센서부; 및
    상기 투입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도포부로 이동시키는 투입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본체부와 이격 구비되는 도포본체부;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전방에 배치되는 전단부에서 상기 도포본체부의 외측 후방에 배치되는 후단부까지 상기 도포본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투입이동부를 통해 안착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도포이동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포이동부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상기 피가공물에 상기 물질을 분사하는 도포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안내되는 배출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출본체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정지되는 배출정지부;
    상기 배출정지부에 안착된 상기 피가공물을 감지하는 배출센서부; 및
    상기 배출센서부의 감지에 따라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본체부로 이동시키는 배출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포이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포분사부에 의해 분사되는 상기 물질을 수집하는 도포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질공급부는
    제1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1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1물질공급부;
    상기 제1물질공급부와 이격 배치되며, 제2물질이 수용되어 상기 제2물질을 상기 도포부로 공급하는 제2물질공급부; 및
    상기 제1물질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물질의 공급압력을 측정하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질은 접착제 및 코팅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질은 물 및 세척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분사부는
    상기 도포이동부에 고정되는 도포분사본체부;
    상기 도포분사본체부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이동부;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포분사이동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포분사승강부; 및
    상기 도포분사승강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상기 물질을 공급하는 도포분사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분사노즐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물질 및 에어가 이동되는 도포노즐본체부;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질이 분사되는 도포노즐중앙부;
    상기 도포노즐중앙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포노즐본체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도포노즐안내부; 및
    상기 도포노즐안내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으로 에어가 토출되는 도포에어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포본체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의 건조가 진행되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본체부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열원을 제공하는 도포히터부; 및
    상기 도포본체부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포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본체부;
    상기 도포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건조이동부;
    상기 건조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열을 가하는 건조램프부;
    상기 건조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램프부를 고정하는 건조고정부; 및
    상기 건조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이동부를 향하여 선택적으로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건조소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불량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불량판단본체부;
    상기 건조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물질이 도포된 상기 피가공물이 이동되는 불량판단이동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불량판단이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량판단수행부는
    광을 조사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광불량판단부; 및
    상기 광불량판단부와 이격 배치되어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물질의 도포불량을 판단하는 비전불량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본체부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투입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부는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투입조절본체부;
    상기 투입조절본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이동시키는 투입조절이동부; 및
    상기 투입조절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투입센서부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투입센서부를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투입조절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상기 도포부, 상기 물질공급부, 상기 배출부, 상기 건조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물질을 도포하는 공정횟수가 소정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도포이동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도포분사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어긋나게 배치한 상태로 상기 제2물질공급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2물질을 통해 상기 도포분사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부를 통해 도포불량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1물질공급부의 공급압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압력유지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KR1020230109087A 2023-08-21 2023-08-21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KR10266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087A KR102663299B1 (ko) 2023-08-21 2023-08-21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087A KR102663299B1 (ko) 2023-08-21 2023-08-21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299B1 true KR102663299B1 (ko) 2024-05-03

Family

ID=9107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087A KR102663299B1 (ko) 2023-08-21 2023-08-21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833A (ja) * 1993-02-09 1994-08-23 Honda Motor Co Ltd 乾燥炉の排気ダクト消火装置
KR101121838B1 (ko) 2011-01-14 2012-03-21 박용권 단판 탁구라켓 및 그 제작방법
US20120234942A1 (en) * 2009-10-20 2012-09-20 Chevron U.S.A Inc. Spray gun
JP2015036127A (ja) * 2013-08-12 2015-02-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塗装装置
KR102068044B1 (ko) * 2019-09-23 2020-02-11 강배익 분체 도장 시스템
CN215354152U (zh) * 2021-05-13 2021-12-31 济南恒力特新机械有限公司 一种乒乓球拍自动喷漆装置
KR102396848B1 (ko) * 2021-07-29 2022-05-10 최원석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장치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친환경 제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833A (ja) * 1993-02-09 1994-08-23 Honda Motor Co Ltd 乾燥炉の排気ダクト消火装置
US20120234942A1 (en) * 2009-10-20 2012-09-20 Chevron U.S.A Inc. Spray gun
KR101121838B1 (ko) 2011-01-14 2012-03-21 박용권 단판 탁구라켓 및 그 제작방법
JP2015036127A (ja) * 2013-08-12 2015-02-23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塗装装置
KR102068044B1 (ko) * 2019-09-23 2020-02-11 강배익 분체 도장 시스템
CN215354152U (zh) * 2021-05-13 2021-12-31 济南恒力特新机械有限公司 一种乒乓球拍自动喷漆装置
KR102396848B1 (ko) * 2021-07-29 2022-05-10 최원석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폴리우레아 코팅장치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친환경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57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solution
US202003464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rface processing
CA127873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veneer sheet into a plywood
CN209348894U (zh) 一种多层板表面喷漆装置
KR20210102332A (ko) 도포 장치용 세정 장치
KR102663299B1 (ko) 탁구 라켓 블레이드 접착 및 코팅용 자동 도포장치
KR101778535B1 (ko) 이중 유리 제조방법
BR112015005296B1 (pt) Método de decoração de um painel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de um painel decorativo
US20120200639A1 (en) Coat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device
US3071106A (en) Plywood edge filler
KR101618810B1 (ko) 패널 양면 코팅 장치
CA2586075C (en) Method and devic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a transport device by freshly glued fibers
JP2014181130A (ja) 画像形成装置
US8087378B2 (en) Apparatus for coating lenses
KR20160121975A (ko) 기능성 패널 제조 자동화 장치
KR200205968Y1 (ko) 에지밴딩기
KR0138683Y1 (ko) 복층유리 세척, 건조장치
KR20050093690A (ko) 농작물 표피 제거장치
JP4077575B2 (ja) 板状体の切欠部への接着剤の塗布方法
JPS5871059A (ja) 装飾用板材の表面加工機
CN218699809U (zh) 一种木段旋切机减损出料机构
KR200205955Y1 (ko) 칩배출장치를 구비한 에지밴딩기의 트리밍장치
KR102220939B1 (ko) 차량용 계기판 제작방법 및 제작장치
KR20140046262A (ko) 자동화 표면 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도장 방법
KR102374372B1 (ko) 가구제조용 판재 모서리 마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