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149B1 -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149B1
KR102662149B1 KR1020190043024A KR20190043024A KR102662149B1 KR 102662149 B1 KR102662149 B1 KR 102662149B1 KR 1020190043024 A KR1020190043024 A KR 1020190043024A KR 20190043024 A KR20190043024 A KR 20190043024A KR 102662149 B1 KR102662149 B1 KR 10266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nsor
sensors
data acquisition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297A (ko
Inventor
강광구
최종웅
권현호
이진호
진창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4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14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1Measur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sources to, or emission from, the device under test, e.g. EMC, EMI, EMP or ESD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에서의 데이터 취득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데이터 취득 방식에 따라 복수의 센서 중에서 적어도 일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시간 분배를 통해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sition Data for Electric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센싱 기술은 전력설비 및 전기자동차 분야에서 전기장비의 예방 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부분방전 센싱 기술은 전기장비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초음파, 빛 또는 진동을 검출하여 부분방전의 발생 여부를 사전에 예방 진단하는 비파괴 진단 기술에 해당한다. 이중에서도 전자기파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센싱 기술은 상대적으로 검출의 용이성 및 결과의 신뢰성 등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형태에 해당하고, 외부에서 안테나 센서를 이용하는 전자파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부분방전 여부를 검출한다.
최근에는 부분방전 센싱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수행한다.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서는 전력설비에 구비 또는 전력설비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취득 장치(data acquisition unit)는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 장치는 전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취득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전력설비의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를 진단한다. 이와 같은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은 하기의 도 1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는 부분방전 센서(partial discharge sensor, 이하, PD센서라 함)일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PD센서를 구비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취득 장치는 1초 동안 취득해야 하는 주파수를 분배하고, 1초 동안 분배된 주파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4개의 PD센서를 제어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a)와 같이, 4개의 PD센서인 제1 PD센서, 제2 PD센서, 제3 PD센서, 제4 PD센서에는 각각 CH1, CH2, CH3, CH4와 같은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4개의 PD센서 모두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각각의 PD센서는 1초 동안 정해진 주파수 대역 예컨대, 300MHz 내지 799MHz의 대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데이터 취득 장치는 1phase마다 각 PD센서에 화살표와 같은 시간을 배분하여 배분된 시간에만 해당 PD센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한다.
또한, 도 1의 (b)와 같이, 4개의 PD센서 중 2개의 PD센서 즉, 제2 PD센서와 제4 PD센서만 활성화되면, CH2와 CH4만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도 1의 (a)에서와 같이 제2 PD센서와 제4 PD센서 각각에는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이 배분된 상태이므로, 제2 PD센서와 제4 PD센서는 배분된 시간에만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때, 제1 PD센서와 제3 PD센서는 비활성화 상태이므로, 제1 PD센서와 제3 PD센서에 배분된 시간에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못하여 데이터 수집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도 1의 (a) 및 (b)와 같이 정해진 주파수 대역 예컨대,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를 모두 취득하기 때문에 전력설비에서 발생된 결함을 분석할 때 분석해야 하는 데이터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의 취득 시간 분배를 관리하여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 대역 테이블을 설정하여 노이즈 데이터의 취득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의 추가 없이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은,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에서의 데이터 취득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취득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센서 중에서 적어도 일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상기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시간 분배를 통해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분배를 통해 활성화된 상기 적어도 일부 센서가 비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던 시간에 연속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는, 주파수 테이블에 따라 300MHz 내지 1.5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상기 데이터만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취득된 데이터에 대한 신호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복수의 센서 중에서 노이즈 센서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는,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 및 데이터의 취득 시간 분배를 관리하여 데이터를 취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는,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 대역 테이블을 설정하여 노이즈 데이터의 취득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의 추가 없이 신뢰성 높은 데이터의 취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 취득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한 시스템(200)은 센서부(210), 표시부(230), 메모리(240) 및 데이터 취득 장치(250)를 포함하고,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부(251), 제어부(252), 취득부(253) 및 분석부(254)를 포함한다.
센서부(210)는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개의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센서를 의미한다. 센서부(210)는 제1 센서(211), 제2 센서(212), 제3 센서(213) 및 제4 센서(214) 등 총 4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부(210)는 각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취득 장치(25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210) 또는 각 센서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와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취득 장치(250)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210)가 4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의 개수는 증가 또는 감소가 가능하다.
입력부(220)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의 관리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220)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패널, 터치 키 및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에서 설정된 데이터 취득 방식을 위한 취득 조건을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240)는 데이터 취득 장치(250)에서 분석된 데이터의 분석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의 동작 조건을 포함하는 취득 조건을 설정하고, 취득 조건을 기반으로 복수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활성화하여 데이터를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취득된 데이터의 전자기신호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전자기신호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면, 복수의 센서 중 노이즈 센서로의 동작이 설정된 센서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복수의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부(251), 제어부(252), 취득부(253) 및 분석부(254)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251)는 입력부(22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취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 중에서 노이즈 센서로 동작할 센서를 설정한다. 예컨대, 설정부(251)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제1 센서(211)를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 설정부(251)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노이즈 센서로 설정한 제1 센서(211)를 제외하고 데이터 취득을 위해 활성화할 센서를 설정한다. 예컨대, 설정부(251)는 제2 센서(212) 내지 제4 센서(214) 모두를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만을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설정부(251)는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만을 활성화하도록 설정되면,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가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한다. 즉, 설정부(251)는 비활성화된 제1 센서(211)와 제3 센서(213)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던 시간에도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에서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설정부(251)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노이즈 데이터의 판단을 위한 임계값을 설정한다. 이때, 임계값은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대한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예컨대, 1600mV 내지 1800mV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설정부(251)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주파수 테이블을 설정한다. 설정부(251)는 위와 같이 복수의 센서 중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도록 선택된 센서, 데이터 취득을 위해 활성화할 적어도 하나의 센서, 노이즈 데이터로의 판단을 위한 임계값, 활성화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취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주파수 테이블을 포함하는 취득 조건을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설정부(251)는 설정된 취득 조건을 제어부(252)로 제공한다. 제어부(252)는 취득 조건을 기반으로 제1 센서(211) 내지 제4 센서(214)에 대한 활성화여부를 확인하여 확인결과에 따라 해당 센서를 활성화한다. 아울러, 제어부(252)는 주파수 테이블을 확인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테이블은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류하여 매핑하기 위한 테이블을 의미한다.
제어부(252)는 활성화된 센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취득요청신호를 취득부(253)로 제공한다. 취득부(253)는 취득요청신호에 따라 센서부(210)를 제어하여 활성화된 센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한다. 취득부(253)는 센서부(210)로부터 데이터가 취득되면, 취득된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취득부(253)는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부(254)로 제공한다.
분석부(254)는 취득부(253)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취득 조건에 포함된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분석부(254)는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면 노이즈 센서로 설정된 제1 센서(211)를 활성화시킨다. 반대로, 분석부(254)는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센서(211)의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분석부(254)는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제1 센서(211) 내지 제4 센서(214)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분석부(254)는 데이터의 분석결과를 표시부(230)에 표시하여 전력설비의 관리자가 전력설비에서 발생된 부분방전 데이터 및 노이즈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 취득 방식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데이터 취득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설정신호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301단계의 확인결과, 설정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303단계를 수행하고, 설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303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 중에서 노이즈 센서로 동작할 센서를 설정한다. 이때, 복수의 센서는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 센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전력설비에 4개의 부분방전 센서가 구비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303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제1 센서(211)를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305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4개의 센서 중에서 데이터 취득을 위해 활성화할 센서를 설정한다. 이때,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4개의 센서 모두를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4개의 센서 중 일부 예컨대,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를 활성화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설정하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활성화된 일부의 센서 즉,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가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한다. 즉,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비활성화된 제1 센서(211)와 제3 센서(213)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던 시간에도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에서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할 수 있다.
307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노이즈 데이터의 판단을 위한 임계값을 설정한다. 이때, 임계값은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대한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를 노이즈 데이터로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 예컨대, 1600mV 내지 1800mV의 값일 수 있다.
309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주파수 테이블을 설정하고, 311단계를 수행한다. 311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303단계 내지 309단계에서 설정된 취득 조건을 저장한다. 이때, 주파수 테이블은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의 주파수를 설정한 것으로 하기의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20MHz로 분배하여 주파수 테이블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300MHz 내지 1.5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주파수 테이블에 포함된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만을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파수 테이블에 320MHz 내지 339MHz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320MHz 내지 339MHz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주파수 테이블 설정 시 무전기 및 진동 등과 같이 노이즈로 판단될 수 있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데이터를 주파수 테이블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취득 후에 분석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는 구성요소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며, 분석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도 3의 305단계에서 설정된 센서를 활성화한다. 예컨대,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제2 센서(211) 내지 제4 센서(214) 모두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제2 센서(212) 및 제4 센서(214)와 같이 복수의 센서 중 일부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211)가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상태이므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제1 센서(211)를 제외한 제2 센서(212) 내지 제4 센서(214)를 활성화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도 3의 309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테이블은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하는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류하여 매핑하기 위한 테이블로 하기의 도 6 및 도 7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은 제2 센서(212) 내지 제4 센서(214) 모두가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데이터 테이블이다. 도 6과 같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20MHz로 분배한 주파수 테이블을 기준으로 각 대역별로 활성화된 제2 센서(212) 내지 제4 센서(214)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컨대, 300Mhz 내지 319Mhz의 대역을 갖는 데이터가 제2 센서(212)에서 취득되면 이를 데이터 테이블의 CH2에 매핑할 수 있고, 제3 센서(213)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의 CH3에 매핑할 수 있으며, 제4 센서(214)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의 CH4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20MHz로 분배한 주파수 테이블을 기준으로 각 대역별로 활성화된 제2 센서(212) 및 제4 센서(214)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컨대, 300Mhz 내지 319Mhz의 대역을 갖는 데이터가 제2 센서(212)에서 취득되면 이를 데이터 테이블의 CH2에 매핑할 수 있고, 제4 센서(214)에서 취득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의 CH4에 매핑할 수 있다.
이어서, 505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활성화된 센서에서 데이터가 취득됨이 확인되면 507단계를 수행한다. 507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취득된 데이터를 503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 테이블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509단계를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에 대한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도 3의 307단계에서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의 존재여부를 확인한다. 509단계의 확인결과, 전자기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511단계를 수행하고, 임계값 이상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513단계를 수행한다.
511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도 3의 303단계에서 설정된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제1 센서(211)를 노이즈 센서로 동작시키고 515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513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제1 센서(211)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515단계를 수행한다. 515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517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제1 센서(211) 내지 제4 센서(214)에서 노이즈 센서로 동작하는 센서 및 활성화된 센서에서 취득된 데이터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517단계에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데이터의 분석결과를 표시부(230)에 표시하여 전력설비의 관리자가 전력설비에서 발생된 부분방전 데이터 및 노이즈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는 주파수 테이블에 320MHz 내지 339MHz 대역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제1 센서(211)는 노이즈 센서로 설정되었으므로,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도 8의 (a)와 같이 제2 센서(212) 내지 제4 센서(214)로부터 300MHz 내지 799MHz 중 주파수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은 320MHz 내지 339MHz 대역의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도 8의 (b)는 제1 센서(211)와 제3 센서(213)가 비활성화되고,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만이 활성화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b)와 같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활성화된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가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한다. 이를 통해,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는 설정된 시간 분배에 따라 300MHz 내지 799MHz 사이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아울러, 도 8의 (c)는 주파수 테이블에 320MHz 내지 339MHz 대역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이고, 제1 센서(211) 내지 제4 센서(214) 중에서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만이 활성화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c)와 같이 데이터 취득 장치(250)는 활성화된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가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시간 분배를 설정한다. 제2 센서(212)와 제4 센서(214)는 설정된 시간 분배에 따라 300MHz 내지 799MHz 중 주파수 테이블에 포함되지 않은 320MHz 내지 339MHz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를 제외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전력설비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 중에서 노이즈 센서로 동작할 센서와 데이터 취득을 위해 활성화할 적어도 일부 센서를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데이터 취득을 위한 시간 분배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전력설비의 온라인 상태진단을 위한 데이터 취득 시에 상기 복수의 센서 중에서 상기 적어도 일부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상기 설정된 시간 분배를 통해 교대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분배를 통해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가 비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에서 데이터를 취득하던 시간에 연속적으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된 적어도 일부 센서가 주파수 테이블에 따라 300MHz 내지 1.5G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상기 데이터만을 취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취득된 데이터에 대한 신호가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노이즈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KR1020190043024A 2019-04-12 2019-04-12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KR10266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4A KR102662149B1 (ko) 2019-04-12 2019-04-12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024A KR102662149B1 (ko) 2019-04-12 2019-04-12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97A KR20200120297A (ko) 2020-10-21
KR102662149B1 true KR102662149B1 (ko) 2024-04-29

Family

ID=7303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024A KR102662149B1 (ko) 2019-04-12 2019-04-12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1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554B1 (ko) * 2016-09-13 2017-09-12 주식회사 에너솔라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143B1 (ko) * 2011-10-31 2017-07-21 한국전력공사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고전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진단장치 및 방법
KR101937195B1 (ko) * 2016-11-11 2019-01-10 이문수 양방향 디지털 무선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554B1 (ko) * 2016-09-13 2017-09-12 주식회사 에너솔라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97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504B2 (en) Diagnostic system for electric power equipment
US10416213B2 (en) Ultra-sensitive, ultra-low power RF field sensor
US7791531B2 (en) VOR monitoring receiving apparatus and VOR monitor receiving method
JP2015099462A (ja) 座標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
US9622098B2 (en) Beacon detection structures, systems and processes for interference testing
CN106649126B (zh) 一种对应用程序进行测试的方法和装置
US116217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cyber tampering, physical tampering, and changes in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US11946968B2 (en) Diagnosis of mobile devices using built-in actuators and sensors
Kinugawa et al. Electromagnetic information extortion from electronic devices using interceptor and its countermeasure
KR102662149B1 (ko) 전력설비를 위한 데이터 취득 방법 및 장치
CN106997425B (zh) 一种显示生理状态信息的方法、装置和***
JP5263884B2 (ja) 情報を含んだ漏洩電磁波評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47248B2 (ja) リッスンビフォアトークlbtサブバンド区分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CN207318639U (zh) 一种基于无线传输技术高压开关柜局部放电测试***
CN106681875B (zh) 触摸屏抗电源干扰能力的检测方法及***
US9594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ransducer elements of an acoustic probe
WO20040384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rveillance devices
KR20200119532A (ko) 부분방전 진단 및 위치 검출 방법
JP6281403B2 (ja) センサシステム、電圧変換装置およびセンサ
KR101427804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그것의 신호 처리 방법
JP2021150186A (ja) 推定装置、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および推定プログラム
CN10549070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674168B1 (ja) 電源断時異常状態検出装置および電源断時異常状態検出方法
JP6390192B2 (ja) 部分放電検出装置、及び部分放電検出装置の故障自己診断方法
US9397765B2 (en) Method for the self-testing of a reactive radio interfe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