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66B1 -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966B1
KR102661966B1 KR1020230110157A KR20230110157A KR102661966B1 KR 102661966 B1 KR102661966 B1 KR 102661966B1 KR 1020230110157 A KR1020230110157 A KR 1020230110157A KR 20230110157 A KR20230110157 A KR 20230110157A KR 102661966 B1 KR102661966 B1 KR 10266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oil
water
sk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소정
최연희
김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디
Priority to KR102023011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O/W형 제형을 가져 피부 (예컨대, 입술)에 도포시 오일리하지 않고 수분감이 느껴지면서 가볍게 도포되고, 수용성 색소가 피부에 빠르게 착색되며, 도포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과 피부 온도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W/O형으로 빠르게 전상되면서 피부의 표면에 오일막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광택감이 증가하며, 수분 손실을 막아 보습력 및 착색력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상 분리 없이 안정된 O/W형 제형이 유지되어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A cosmetic composition that imparts an excellent glossiness by phase transition when applied to the ski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화제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친수기인 에칠렌옥사이드와 물과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친수성 성질이 줄어들게 된다. 물, 실리콘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3종의 성분 및 유화제를 포함하여 유화된 제형의 경우, 특정 온도에서는 O/W형 에멀젼이 형성되고, 상기 특정 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W/O형 에멀젼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전이를 야기할 수 있는 온도를 전상 온도라 부른다. 즉, 전상 온도는 에멀젼계에 있어서 친수-친유 성질이 평형을 이루는 온도라 할 수 있다. 또한, 전상 온도 부근에서는 오일-계면활성제-물과의 계면 장력은 극히 낮아지므로 적은 힘만 가하여도 오일과 물은 쉽게 혼합되며 또 비중차에 의하여 분리도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인 화장료는 O/W형 제형, W/O형 제형, 가용화 제형 등으로 존재하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O/W형 제형은 가장 일반적인 유화 제형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가능하고 특히 O/W형 젤 타입은 가볍고 시원하게 발리며 사용감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W/O형 제형은 고보습 크림이나 선 제품 등에 주로 사용되는 제형으로 사용감은 좀 떨어지지만 O/W형 제형에 비해 보습 지속력이 높고 방수 (waterproof)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O/W형 제형 및 W/O형 제형 각각의 장점을 살리기 위한 연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전이 온도 등을 이용하여 전상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상 효과가 있는 화장료의 경우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해야 하고, 안정성을 잡는 조건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어, 전상의 효과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중에 나와있는 많은 립 제품들 중에서 광택이 우수한 제품은 도포시 끈적이는 사용감을 나타내는 것들이 대부분이므로 이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이고, 이와 대조적으로 산뜻함과 착색 효과를 강화시킨 립 제품들도 다수 출시되었는데, 이들은 높은 수분 함량을 가져 현저하게 낮은 광택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들 또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채우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 수분 함량의 립 제품에 광택 소재를 추가로 첨가하는 시도들이 존재하였는데, 대표적인 광택 소재로 에틸셀룰로스 (ethylcellulose)가 다양하게 연구되었다. 그러나, 상기 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립 제품의 경우 립에서 다소 균일하지 못한 도포만이 가능하였으며, 자극이슈가 있는 강한 계면활성제 물질의 함유 없이는 제형 안정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 오일 총 함량,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 등을 조절하여, 수용성 색소를 포함하는 수중유 (O/W)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는 특성에 의해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 (발림성, 수분감, 보습력, 착색력, 광택감 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수용성 성분,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일 양상은 수상 성분 (즉, 수용성 성분), 유상 성분 (즉, 지용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상 성분은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비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페닐 디메치콘류, 실리콘 레진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티콘, 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콘올, 세틸다이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아모다이메티콘, 메틸트리메티콘, 피씨에이디메티콘, 트리실록산, 트라이메틸실록시페닐다이메티콘, 다이페닐다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Phenyl Methicone, Phenyl Isopropyl Dimethicone, Trimethylsiloxysilicate, 및 Polyphenylsilsesquioxa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오일에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비실리콘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식물성오일, 동물성 오일, 및 광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폴리이소부텐, 비스-다이글리세릴폴리아실아디페이트-2, 비스-베헤닐/아이소스테아릴/피토스테릴다이머다이리놀레일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등이 있고, 상기 에스터류 오일로는 다이부틸아디페이트,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칸올, 메칠퍼플루오로이소부틸에텔, C12-15알켈벤조에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세틸에칠헥사노인, 코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노닐소노나노에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디-C12-13알킬말레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트리베헤닌, 트리카프릴린, 디에톡시에칠석시네이트 등이 있고,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오일, 호호바씨오일, 아보카도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로즈힙열매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티트리잎오일, 식물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렌, 포도씨오일, 쌀겨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미국개암씨오일, 산자나무오일, 동백오일, 행인오일, 기믈야자오일, 해바리기씨오일, 바자오일 등이 있으며, 상기 동물성 오일로는 호오스팻, 밍크오일, 난황유, 동물성 스쿠알란, 동물성 스쿠알렌 등이 있으며, 상기 광물성 오일로는 미네랄오일, 이소도데칸, 폴리부텐, 페트롤라툼 등이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약 1 : 1.2 내지 3, 약 1 : 1.3 내지 3, 약 1 : 1.3 내지 2.5, 약 1 : 1.4 내지 2.5, 약 1 : 1.4 내지 2.4, 약 1 : 1.5 내지 3, 약 1 : 2 내지 3, 약 1 : 2 내지 2.5, 약 1 : 2.2 내지 2.5, 또는 약 1 : 2.3 내지 2.4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40 중량% 또는 약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비실리콘 오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5 내지 60 중량% 또는 약 2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 및/또는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일의 총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 내지 80 중량%, 약 30 내지 75 중량%, 약 30 내지 70 중량%, 약 35 내지 80 중량%, 약 35 내지 75 중량%, 또는 약 35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일의 총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수분감,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일의 총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5 중량% 이상, 약 45 내지 80 중량%, 약 45 내지 75 중량%, 또는 약 45 내지 70 중량%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용어 "계면활성제 (surfactant)"는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이 만나는 면 (표면 또는 계면)에서 활성화된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과 같이 자연적인 상태에서 혼합되지 않는 2 이상의 종류의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물질로, 계면에 모이기 쉬운 성질을 갖고 계면의 성질을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계면활성제는 계면에서 이종 (異種)의 물질이 각각 갖는 계면장력 또는 표면장력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한 분자 구조 안에 친수기와 소수기 (또는 친유기)를 모두 포함하는 물질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천연계면활성제 및/또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anionic surfactant), 양이온 계면활성제 (cationic surfactant), 양쪽성 계면활성제 (ampohteric surfactant),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중유적형 (O/W형) 유화제, 유중수적형 (W/O형) 유화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제는 수중유 (O/W)형 제형, 즉, 물에 기름이 분산되어 있는 제형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유화제를 의미한다. 예컨대,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약 8 내지 18인 유화제를 의미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제는 폴리소르베이트류 유화제, 알코올류 유화제, 폴리글리세릴류 유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제는 폴리솔베이트60, 폴리솔베이트80, 폴리솔베이트85, 폴리솔베이트20, 베헤닐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세테아레스-20, PEG-8 Dioleate, Sorbitan Laurate, PEG-40 Sorbitan Peroleate, Laureth-4, PEG-7 Glyceryl Cocoate, PEG-20 Almond Glycerides, PEG-25 Hydrogenated Castor Oil, Stearamide MEA, Glyceryl Stearate (and) PEG-100 Stearate, PEG-7 Olivate, Cetearyl Glucoside, PEG-8 Oleate, Polyglyceryl-3 Methyglucose Distearat, Oleth-10, Oleth-10 / Polyoxyl 10 Oleyl Ether NF, Ceteth-10, PEG-8 Laurate, Cocamide MEA, Isosteareth-20, PEG-60 Almond Glycerides, PEG-20 Methyl Glucose Sesquistearate, Oleth-20, Steareth-20, Steareth-21, Ceteth-20, Isoceteth-20, 및 Laureth-23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2 내지 3.3 중량% 또는 약 2.5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중유적형 유화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수분감,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유중수적형 유화제는 유중수 (W/O)형 제형, 즉, 기름에 물이 분산되어 있는 제형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유화제를 의미한다. 예컨대, HLB 값이 약 2 내지 6인 유화제를 의미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중수적형 유화제는 Alkyl dimethicone류 유화제, Polyether modified silicone류 유화제, Polyglyceryl ester류 유화제, Sugar ester류 유화제, Polyglyceryl modifed silicone류 유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중수적형 유화제는,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Sorbitan Sesquioleate, Glyceryl Stearate, Lecithin, Sorbitan Oleate, Sorbitan Monostearate NF, Sorbitan Stearate, Steareth-2, Oleth-2, Glyceryl Laurate, Ceteth-2, PEG-30 Dipolyhydroxystearate, Glyceryl Stearate SE, Sorbitan Stearate (and) Sucrose Cocoate, PEG-4 Dilaurate, Cetyl PEG/PPG-10/1 dimethicone, 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 PEG-10 dimethicone, Polyglyceryl-4 isostearate, Polyglyceryl-6 polyricinoleate, Sorbitan olivat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및 Cetyl Diglyceryl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중수적형 유화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2 내지 5.3 중량% 또는 약 4.3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유중수적형 유화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수분감,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계면활성제의 총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내지 10 중량%, 약 2 내지 9 중량%, 약 2 내지 8 중량%, 약 3 내지 10 중량%, 약 3 내지 9 중량%, 약 3 내지 8 중량%, 약 4 내지 10 중량%, 약 4 내지 9 중량%, 약 4 내지 8 중량%, 약 5 내지 10 중량%, 약 5 내지 9 중량%, 약 5 내지 8 중량%, 약 6 내지 10 중량%, 약 6 내지 9 중량%, 약 6 내지 8 중량%, 약 6.4 내지 10 중량%, 약 6.4 내지 9 중량%, 또는 약 6.4 내지 8 중량%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포제, 분산제, 습윤제, 및 가용화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포제, 분산제, 습윤제, 및 가용화제의 구체적인 종류 및 제형 특성에 따른 적절한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은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및 친유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되는 값을 의미한다. HLB 값의 정의 및 계산법은 예를 들어, 문헌 [W. C. Griffin, J. Soc. Cosmetic Chem., volume 5,249 (1954)] 및 문헌 [K. H. Schrader, Grundlagen und Rezepturen der Kosmetika [Fundamentals and formulations of cosmetics], Huethig Verlag, 2nd edition, 1989]에 기재되어 있다. 예컨대, 1954년 개발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그리핀식 HLB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식]
HLB = 20 * Mh/M
여기서 Mh는 분자 친수성 부분의 분자 질량이며, M은 전체 분자의 질량이다. 이 식을 통해 계산하면 0부터 20 사이의 값이 나온다. HLB 값이 완전 0인 경우 완전한 친유성/소수성 분자이며, HLB 값이 20이면 완전한 친수성/소유성 분자임을 의미한다. 또한, 수많은 종류의 계면활성제에 대한 각각의 HLB 값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 (예컨대, 2종 내지 10종 또는 2종 내지 5종)일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예컨대, HLB 값을 가지는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weighted average) HLB 값은 약 6.6 내지 8.9, 약 7 내지 8.9, 약 7 내지 8.8, 약 7 내지 8.7, 약 7.1 내지 8.9, 약 7.1 내지 8.8, 약 7.1 내지 8.7, 약 7.2 내지 8.9, 약 7.2 내지 8.8, 약 7.2 내지 8.7, 약 7.3 내지 8.9, 약 7.3 내지 8.8, 또는 약 7.3 내지 8.7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피부 도포시 전상 효과 (예컨대, 전상 속도, 전상 정도 등), 발림성, 수분감, 광택감 (또는 도포 후 광택감의 점진적 증가), 수분 지속력 (보습력), 또는 착색력 등의 특성 또는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가중 평균 HLB 값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개별 HLB 값과 그들의 양을 고려하여 가중 평균으로 계산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 (A1, A2, A3, ......)에 대한 가중 평균 HLB 값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식]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을 약 6.6 내지 8.9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로서, 수중유적형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60 및 세테아레스-20, 및 유중수적형 유화제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및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솔베이트60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7 내지 2.7 중량% 또는 약 2 내지 2.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세테아레스-20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 또는 약 0.3 내지 0.7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3 내지 3.3 중량% 또는 약 2.5 내지 3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를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3 중량% 또는 약 1.3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상 성분 (즉, 수용성 성분)은 정제수, 폴리올, 수용성 색소, 및 수용성 폴리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다이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글리세레스-26, 피이지-32,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메칠글루세스-20, 피이지-8, 피이지-75,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소르비톨, 말티톨, 및 메칠글루세스-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내지 10 중량%, 약 3 내지 7 중량%, 또는 약 4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O/W형 제형의 유화 안정화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성 폴리머로서, O/W 유화능이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레이트/탄소수 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 폴리머, 카르복시 메칠셀룰로오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코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디메칠아크릴아마이드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피이지-150/데실알코올/에스엠디아이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2-22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레스-20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아마이드/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포타슘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및 암모늄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검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중량%, 약 0.3 내지 5 중량%, 약 0.3 내지 3 중량%, 약 1 내지 3 중량%, 또는 약 1.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폴리머를 상기 수치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수상이 적절히 점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O/W형 제형에서 내상이 고 함량이지만 작고 안정한 유화 입자가 생성되어 제형 안정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용성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색소는 적색227호, 적색104호의(1), 황색5호, 황색4호, 청색1호, 및 등색205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색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 중량% 또는 약 0.2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용성 색소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 사용감 (예컨대 착색력), 또는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외관색 부여를 위해, 수상부에 적용가능하고 착색력이 없는 무기안료 (예컨대, 티타늄디옥사이드,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의 함량은, 조색하는 컬러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1.5 중량%로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상 성분 (즉, 유상 성분 (즉, 지용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수용성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70 중량%, 약 20 내지 60 중량%, 또는 약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수상 성분의 총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 사용감, 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 또는 보존제로는 페녹시에탄올, 1,2-헥산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에틸헥실글리세린, 클로로페네신, 클로로헥시딘디글루코네이트, 소듐하이드로아세테이트,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트리콜로산,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칠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트리클로카반 등이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부제 또는 보존제의 함량은 선택된 방부제 또는 보존제의 특성 및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사항을 바탕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방부 또는 보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O/W)형 제형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중유 (O/W)형 제형은 유상 성분 (예컨대, 오일 등을 포함하는 지용성 성분)이 수상 내부에 에멀젼 형태로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는 제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전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상 효과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특정 자극에 의하여 상전이 (phase transition)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O/W형 제형을 가지지만, 피부 도포 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과 피부 온도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W/O형 제형으로 상전이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 상기 오일의 총 함량, 상기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 등을 조절하고, 유화 안정을 위해 상기 수용성 폴리머 등을 이용함으로써, 제조시에는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는 수중유 (O/W)형 제형을 가지고, 피부에 도포시에는 피부 온도 및 물리적인 힘 등에 의하여, 유중수 (W/O)형 제형으로 빠르게 전상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 (발림성, 수분감, 보습력, 착색력, 광택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상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계 공지의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담체, 유화제, 분산제, 보습제, 보존제, 피부 컨디셔닝제,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pH 조절제, 윤활제, 가용화제, 용제, 색소 (안료), 점증제 (예컨대, 수용성 폴리머),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물질 예컨대, 보습 또는 각질 개선, 주름 또는 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등의 효과를 갖는 기능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향료 (예컨대, 천연향 또는 화장품향 등) 또는 식물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또는 보조제들의 함량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화장품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들 또는 보조제들의 투입 방식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어, 적절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는 유상부에 또는 수상부에 투입될 수 있으며, 일부는 에멀젼이 제조된 다음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액상 타입, 고체 타입, 밤 (balm), 크림, 겔, 립스틱, 페이스트, 파우더, 아이새도우,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볼연지, 액상 파운데이션 등에 적합하게 제형화되어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으로 제조되는 경우, 립스틱, 립밤, 립크림, 립펜슬, 액상루즈, 또는 립글로스 제형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상부 및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오일 및 계면활성제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중유적형 (O/W형) 유화제, 유중수적형 (W/O형) 유화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용성 성분은 정제수, 폴리올, 수용성 색소, 및 수용성 폴리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은 첨가제 및/또는 보조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수득된 혼합물을 냉각 및/또는 탈포하는 단계 또는 냉각한 후 탈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 (성분)의 구체적인 종류, 혼합 중량%, 또는 혼합 중량비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제조상 구체적인 조건 및 방식은 통상의 기술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선택적으로 첨가되는 첨가제들 및/또는 보조제들은 필요에 따라, 상기 각 단계 중 적절한 단계에서 투입되거나, 필요에 따라, 수상부 및/또는 유상부에 투입되거나, 에멀젼이 제조된 다음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언급된 용어 또는 요소 중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것은, 앞에서 상기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것으로 이해된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O/W형 제형을 가져 피부 (예컨대, 입술)에 도포시 오일리하지 않고 수분감이 느껴지면서 가볍게 도포되고, 수용성 색소가 피부에 빠르게 착색되며, 도포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과 피부 온도에 의해 피부에 도포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W/O형으로 빠르게 전상되면서 피부의 표면에 오일막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광택감이 증가하며, 수분 손실을 막아 보습력 및 착색력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어 현저히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상 분리 없이 안정된 O/W형 제형이 유지되어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험자의 입술에 도포한 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약 1분 후에 상기 피험자의 입술을 촬영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과학적 및 기술적인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5.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전상 (상전이: phase transition) 효과를 나타내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용성 성분, 오일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중유 (O/W)형 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 때, 상기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함량 (중량%) 또는 중량비를 달리하는 7 종류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5 및 비교예 1-2)을 제조하였으며, 각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고, 각 성분의 구체적인 함량은 표 1과 같다:
(1) 표 1의 PART A의 성분들 및 PART B의 성분들을 제조부에 투입한 후 약 65 내지 75℃ (구체적으로는, 약 70℃)의 온도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
(2) 표 1의 PART C의 성분들을 별도의 제조부에 투입한 후 약 70 내지 80℃ (구체적으로는, 약 75℃)의 온도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상기 (2)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천천히 투입한 후 약 65 내지 70℃의 온도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유화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의 온도가 약 45 내지 55℃ (구체적으로는, 약 45 내지 50℃)일 때, 상기 (3)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표 1의 PART D의 성분을 투입한 후 약 45 내지 55℃ (구체적으로는, 약 50℃)의 온도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표 1의 PART E의 성분들을 투입한 후 약 35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는 단계; 및
(6) 상기 (5)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약 25 내지 35℃ (구체적으로는, 약 30℃)까지 냉각한 후 탈포하는 단계.
또한, 제조된 상기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 분리 없이 안정적인 제형이 유지되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 확인
상기 제조된 표 1의 화장료 조성물의 평판 및 피부 위에서의 전상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상기 제조된 표 1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약 1g씩 떨어뜨린 후 손가락으로 약 15초간 문질러준 후 접촉각 (contact angle)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접촉각은 접촉각 측정 장치 (Dropmaster DM500, 교와 계면과학 주식회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접촉각 (°) 37.1 39.2 43.6 47.5 51.2 54.4 61.2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은 총 오일 함량 (중량%)이 동일함에도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달라짐에 따라 접촉각이 달라짐을 확인하였고, 특히, 비교예 1 및 비교예 2 대비 실시예 1의 접촉각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과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를 동일하게 유지하고 총 오일 함량이 약 45 중량% 이상으로 증가된 실시예 3 내지 5의 경우, 접촉각이 더욱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에 있어서, 평판 도포 후 접촉각이 증가할수록, 화장료 조성물의 평판 도포 후 O/W형 제형에서 W/O형 제형으로 더 빠르고 더 강하게 전상됨을 의미하는 바, 상기 실험을 통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약 1 : 1.2 내지 3인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평판 도포시 빠르게 O/W형 제형에서 W/O형 제형으로 더 강하게 전상되어 우수한 전상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표 1의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 비교예 1 = 약 1 : 1.115; 비교예 2 = 약 1 : 3.45), 평판 도포시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전상 효과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을 통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를 약 1 : 1.2 내지 3으로 유지하면서, 총 오일 함량이 약 45 중량%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45 내지 80 중량%, 약 45 내지 75 중량%, 또는 약 45 내지 70 중량%)인 표 1의 실시예 3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총 오일 함량이 약 45 중량% 미만인 표 1의 실시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평판 도포시 더욱 빠르고 더욱 강하게 O/W형 제형에서 W/O형 제형으로 전상되어 전상 효과가 더욱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입술에 상기 제조된 표 1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도포한 후, 도포 직후 및 도포 후 약 1분 후에 상기 피험자의 입술을 촬영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상 효과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 1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입술에 도포한 경우, 도포 직후에는 입술에 색소에 의한 착색이 잘 이루어졌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광택감이 느껴진 반면, 도포 후 약 1분이 지난 후에는 입술에 착색이 온전히 유지됨은 물론 현저히 증가된 광택감이 느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상기 표 1의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입술에 도포한 경우, 도포 직후부터 시간이 흐름에 따라 광택감 증가 수준이 실시예 1 대비 현저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약 1 : 1.2 내지 3인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예컨대, 입술) 도포시 O/W형 제형의 특성으로 높은 착색력을 나타내어 우수한 발림성을 보이고, 피부 (예컨대, 입술) 도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W/O형 제형으로 전상되어 착색력이 유지됨은 물론 광택감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나타내는 도포에 의한 우수한 전상 효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표 1의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도포에 의한 전상 효과가 더 낮기 때문에, 피부 (예컨대, 입술) 도포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광택감 증가 수준이 실시예 대비 현저히 낮은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상기 제조된 표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 연령 만 28.5 세의 피험자 35명 (5명씩 7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표 1의 화장료 조성물 각각을 입술에 사용하게 한 후, 체감 전상 속도 및 사용감에 대한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사용에 의해 느껴지는 체감 전상 속도, 발림성, 도포 직후 수분감, 도포 후 광택감 변화,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및 착색력에 대한 관능적 특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의 평균치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체감 전상 속도는, 입술에 도포된 화장료 조성물의 상 변화에 대한 체감 속도를 1-5점 중 선택하도록 하였고 (도포 후 10초 내: 5점; 도포 후 20초 내: 4점; 도포 후 30초 내: 3점; 도포 후 40초 내: 2점; 도포 후 1분 내: 1점), 발림성은, 만족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1-5점 중 선택하도록 하였고, 도포 후 광택감 변화는, 도포 후 광택감 증가 정도가 클수록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1-5점 중 선택하도록 하였고, 도포 직후 수분감,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및 착색력은, 해당 특성이 강하게 느껴질수록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1-5점 중 선택하도록 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체감 전상 속도 1 1 3 3 4 4 5
발림성 3 3 3 3 4 5 5
도포 직후
수분감
4 4 4 4 4 4 4
도포 후 광택감 변화 1 2 3 3 4 5 5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2 2 3 3 4 4 5
착색력 3 3 4 4 5 5 5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체감 전상 속도, 도포 후 광택감 변화,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및 착색력 항목에서 표 1의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더욱 우수한 특성 및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특히, 표 1의 실시예 3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체감 전상 속도, 발림성, 도포 후 광택감 변화,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및 착색력의 항목에서 표 1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더욱 우수한 특성 및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약 1 : 1.2 내지 3인 표 1의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기본적으로 O/W형 제형을 가짐으로써, 입술에 도포시 오일리하지 않고 수분감이 느껴지면서 가볍게 도포되고, 수용성 색소가 입술에 빠르게 착색되며, 도포 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과 입술 온도에 의해 입술에 도포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W/O형 제형으로 빠르게 전상 (상전이; phase transition)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입술의 표면에 오일막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광택감이 증가되며, 수분 손실을 막아 보습력 및 착색력 또한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표 1의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상 효과가 감소하여 도포 후 입술의 표면에 오일막 형성 정도가 낮고 이로 인해 광택감의 증가 수준이 더욱 낮은 수준이고, 수분 지속력 (보습력) 및 착색력 또한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대비 더욱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를 약 1 : 1.2 내지 3으로 유지하면서, 총 오일 함량이 약 45 중량%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45 내지 80 중량%, 약 45 내지 75 중량%, 또는 약 45 내지 70 중량%)인 표 1의 실시예 3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총 오일 함량이 약 45 중량% 미만인 경우 대비 상술한 바와 같은 전상 효과가 더욱 증가하여, 체감 전상 속도, 발림성, 도포 후 광택감 변화, 도포 1시간 후 수분 지속력, 및 착색력의 항목에서 더욱 증가된 우수한 특성 및 사용감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실시예 7.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을 달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오일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 함량이 약 68.5 중량%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계면활성제의 총 함량 또한 약 7.5 중량%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그 외 나머지 성분의 함량 역시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계면활성제에 포함되는 수중유적형 유화제 및 유중수적형 유화제의 함량만을 변경시켜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을 달리하는 4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6-7 및 비교예 3-4)을 제조하였고, 각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함량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표 4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weighted average)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을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중유적형 유화제인 폴리솔베이트60 (A) 및 세테아레스-20 (B), 및 유중수적형 유화제인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C) 및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D) 각각의 함량 및 HLB 값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을 계산하였다.
[식]
그 결과,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은 약 6.4 내지 6.5이고,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은 약 7.3 내지 7.4이고,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은 약 8.1 내지 8.2이고,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은 약 9 내지 9.1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제조된 표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된 표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약 25℃, 약 45℃, 및 Cycle (약 -4℃ ~ 45℃ 순환) 각각의 온도 조건에서 보관한 후, 수상과 유상의 분리 여부를 관찰하여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X: 상 분리됨; O: 상 분리없이 안정함).
비교예 3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4
25℃ X O O O
45℃ - 1개월 X O O X
45℃ - 2개월 X O O X
CYCLE - 1주 X O O X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약 6.6 내지 8.9인 상기 표 4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고온에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상 분리 없이 안정된 O/W형 제형이 유지되어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약 6.6 미만인 상기 표 4의 비교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O/W형 제형이 아닌 W/O형 제형이 만들어져 상 분리가 발생되고 점도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여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성물에 포함된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약 8.9 초과인 상기 표 4의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고온 보관시 상 분리가 발생되어 제형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예를 통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총 함량을 동일하게 적용하더라도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달라짐에 따라 O/W형 제형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약 6.6 내지 8.9인 상기 표 4의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이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화장료 조성물 대비 현저히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나타내는 O/W형 제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별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혼합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HLB 값을 조절하고, 또한 수용성 폴리머를 이용해 수상을 점증시킴으로써, O/W형 제형에서 내상이 고 함량이지만 작고 안정한 유화 입자가 생성된 것에 기인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수용성 성분,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 : 1.2 내지 3이고,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O/W)형 제형을 가지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수중유적형 (O/W형) 유화제, 유중수적형 (W/O형) 유화제,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2종 이상이고, 상기 2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가중 평균 (weighted average)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은 6.6 내지 8.9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시 전상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성분은 정제수, 폴리올, 수용성 색소, 및 수용성 폴리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 4 내지 7 및 9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수상부 및 유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오일 및 계면활성제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실리콘 오일 및 비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으로서,
    상기 실리콘 오일 및 상기 비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 : 1.2 내지 3이고,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 (O/W)형 제형을 가지는 것인, 방법.
    .
KR1020230110157A 2023-08-22 2023-08-22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66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157A KR102661966B1 (ko) 2023-08-22 2023-08-22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157A KR102661966B1 (ko) 2023-08-22 2023-08-22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966B1 true KR102661966B1 (ko) 2024-05-07

Family

ID=9107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157A KR102661966B1 (ko) 2023-08-22 2023-08-22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9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709A (ko) *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림상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9407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상이 빠른 수중유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46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위 전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709A (ko) *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림상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29407A (ko) * 2013-09-10 2015-03-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상이 빠른 수중유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46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위 전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20119T2 (de) Verwendung einer stukturierte Fettphase basierend auf einem verfestigten Siliconöl zum begrenzen der Migration einer Schminkzusammensetzung
US6497861B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2005229B1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050169875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2375282B1 (ko) Oil/IPDI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피부 도포시 가역적인 상전이 성질을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6392419B1 (ja) W/o型乳化物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8333956B2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8779010B2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US20080233065A1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EP1774952A2 (en) Stable cosmetic emulsion with polyamide gelling agent
US20110044919A1 (en) Compositions With Perfluorinated Ingredients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US20160100669A1 (en) Foundation Makeup and Concealer Composition
KR102661966B1 (ko) 피부에 도포시 전상되어 우수한 광택감을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076812A (ko) 유중수 유화형 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69039B1 (ko)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EP2174691A1 (en) Cosmetic core stick with a water based hard core part
EP4062899A1 (en) Water-in-oil cosmetic preparation
CN114746154B (zh) 化妆品组合物及其用途以及改善感官特性的方法
WO2015028733A1 (fr) Distribution contrôlée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de maquillage
JP7485186B1 (ja) 水性分散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20160071744A (ko) 온도 감응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794B1 (ko)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