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080B1 -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 Google Patents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080B1
KR102661080B1 KR1020220032976A KR20220032976A KR102661080B1 KR 102661080 B1 KR102661080 B1 KR 102661080B1 KR 1020220032976 A KR1020220032976 A KR 1020220032976A KR 20220032976 A KR20220032976 A KR 20220032976A KR 102661080 B1 KR102661080 B1 KR 10266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groove
switching
installation groo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35458A (en
Inventor
강성준
Original Assignee
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준 filed Critical 강성준
Priority to KR102022003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080B1/en
Publication of KR2023013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0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13/183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for actuation by moving a closing member, e.g. door, c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는, 스위칭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된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설치홈의 개방된 방향으로부터 누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스위칭모듈; 상기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모듈이 탑재되는 설치홈에 진입하고, 스위칭모듈로부터 스위칭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전케이블; 및 상기 설치홈을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고, 설치홈과 인접하여 벽체의 벽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시인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hidden switch includ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an installation surface is disclosed. The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dden switch that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installed on a wall with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switching module can be mounted. I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is installed in the open part of the installation groove. A switching module structured to accommodate pressing operations from any direction; An energizing cable that is constructed on the wall and enters the installation groove where the switching module is mounted,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switching module; and a finishing plate mounted in a structure that seals the installation groove, forming a planar structure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continuous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dden switch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high visibility at the same time by providing a flat surfac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be installed.

Description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본 발명은 히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dden switch, and more specifically, to a hidden switch includ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an installation surface.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다양한 위치에서 여러 형태로 배치된다.For user convenience, switches for operating various devices are placed in various positions and in various shapes.

예를 들어, 캠핑카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공간에 배치된 다양한 장치를 동작시키 위해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가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하고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mping car, as shown in Figure 1, various types of switches are placed at specific locations to operate various devices placed in a limited space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된 공간 내부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구조로서, 사용자의 활동 공간 일부를 차지하는 구조이다.However, in the case of a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it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inside a limited space and occupies a part of the user's activity space.

비록 사용자의 활동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을 극히 적으나, 비교적 협소한 활동 공간을 오가면서 사용자의 몸 또는 옷에 걸려 의도치 않은 스위칭 동작을 가할 수 있거나, 스위치를 파손시킬 수 있다.Although it occupies a very small percentage of the user's activity space, it can get caught on the user's body or clothes while moving around the relatively narrow activity space, causing unintended switching operations or damaging the switch.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7221호 (등록일자: 2019년05월03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77221 (Registration date: May 3, 2019)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시인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dden switch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has high visibility by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be install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히든 스위치는, 스위칭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설치홈이 형성된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로서, 상기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설치홈의 개방된 방향으로부터 누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스위칭모듈; 상기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모듈이 탑재되는 설치홈에 진입하고, 스위칭모듈로부터 스위칭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전케이블; 및 상기 설치홈을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고, 설치홈과 인접하여 벽체의 벽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a hidden switch that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installed on a wall with an installation groove in which a switching module can be mounted, and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fixed. A switching module with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a pressing operation from the open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An energizing cable that is constructed on the wall and enters the installation groove where the switching module is mounted,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switching module; and a finishing plate mounted in a structure to seal the installation groove, forming a planar structure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continuous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는 외부 구조를 형성하고, 설치홈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내부에 누름수용부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여 스위칭 여부를 검출한 후 접속단자부에 해당 검출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칭본체부; 상기 스위칭본체부의 일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마감플레이트로부터 수용되는 누름동작에 의해 눌려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마감플레이트와 맞닿는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접촉면이 형성된 구조의 누름수용부; 및 상기 스위칭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누름수용부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접속단자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module forms an exter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detects whether the switching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 receptor inside. a switching main unit that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press receiving portion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witching main body by a predetermined heigh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pressed by a pressing action received from the finishing plat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tact surface having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nishing plate; And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main body,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ush receptor to the conduction cable, and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conduction cable. It may be a configuration.

이 경우, 상기 스위칭모듈의 누름수용부는, 좌우측틸팅 스위칭 동작 및 상하측틸팅 스위칭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sh receptor of the switching module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left and right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and up and down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또한, 상기 스위칭모듈은, 상기 스위칭본체부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접속단자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누름수용부의 틸팅 스위칭 동작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추가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modul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main body,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switching operation of the press receptor to the energizing cable, and has a detachable structur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terminal portion that is moun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히든 스위치는, 상기 설치홈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마감플레이트의 두께만큼 만입된 구조이며, 벽체의 표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형 구조의 테두리만입홈; 상기 테두리만입홈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내주면을 따라 도넛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만입홈의 만입 깊이보다 소정 깊이만큼 더 만입된 구조의 테두리그루브; 상기 테두리그루브의 내부에 테두리그루브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테두리그루브의 내부 측벽에 테두리그루브의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관통구; 상기 설치홈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공기를 관통구를 통해 테두리그루브 내부에 제공하는 압축공기제공부;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표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동작검출센서; 및 상기 설치홈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고, 동작검출센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압축공기제공부와 발광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dden switch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groove, has a structure inden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ll by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plate, and is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wall. When the border of the circular structure is indented groove; an edge groove formed in a donut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er direction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and having a structure inde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greater than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a light emitting unit mounted inside the edge groove in a continuou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and emit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edge groov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mounted inside a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providing compressed air to the inside of the edge groove through a through ho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 mo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at the exact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finishing plate and detecting that the user's fing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mounted inside a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provid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이 경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만입홈과 대응되는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기 스위칭모듈이 설치되는 정중앙으로부 테두리그루브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불투명 특성을 가지고, 테두리만입홈의 표면과 실링되어 접착되는 중앙플레이트부; 상기 테두리그루브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중앙플레이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반투명 특성을 가지며, 중앙플레이트부의 두께 대비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테두리그루브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구조의 테두리팽창부; 및 상기 테두리팽창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테두리만입홈의 내주면에 실링되어 접착되며, 중앙플레이트부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nishing plate is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edge groove, extends from the exact center where the switching module is install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groove, has opaque characteristics, and has an edge groove. A central plate portion that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surface of; It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edge groove, is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continuously along the edge of the center plate portion, has translucent characteristics, has a thickness of 10 to 50% of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late portion, and is injected into the edge groove. A border expansion unit having a structure that expands with air; and an edge fixing part that is continuously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expansion portion,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and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central plate por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든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위칭모듈, 통전케이블 및 마감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시인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according to the hidde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module of a specific structure, a conductive cable, and a finishing plate, and has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be installed, thereby providing high visibility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A hidden switch simultaneously equipped with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히든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위칭본체부, 누름수용부, 접속단자부 및 추가단자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구조의 히든 스위치를 시공함과 동시에 누름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틸팅 스위칭 동작까지 검출하여 다양한 동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어, 단순한 켜고 끄는 동작신호부터 특정 방향 동작 제어 및 강도 제어까지 다양한 스위칭 동작에 활용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idde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dden switch has a flat structure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wall to be installed by providing a switching module including a switching body portion, a press receiving portion,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an additional terminal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At the same time as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push switching operations but also tilt switching operations and input various operation signals, providing a hidden switch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switching operations, from simple on and off operation signals to specific direction movement control and intensity control.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히든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테두리만입홈, 테두리그루브, 발광부, 관통구, 압축공기제공부, 동작검출센서, 제어부 및 마감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동작을 검출하여 히든 스위치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구조의 돌출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히든 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여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idde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dge indentation groove, an edge groove, a light emitting part, a through hole, a compressed air supply part, a motion detection sensor, a control part, and a finishing plate of a specific structure, the user's finger approaches the operation. By detecting and forming a circular protruding structure along the edge of the hidden switch and emitting a specific color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dden switch that can guide the user to the exact location of the hidden switch and induce accurate switching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의 히든 스위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테두리팽창부를 구비함으로써, 테두리그루브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단면상 오목렌즈 구조를 형성하고 이때 광투과도가 증가함으로써, 테두리그루브 내부에 탑재된 발광부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색상을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로 발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히든 스위치의 시인성을 극대화 하여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여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idde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edge expansion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it is expanded by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edge groove to form a concave lens structure in cross-section, and at this time, light transmittance increases, so that it is mounted inside the edge groove. The specific color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can be emitted in the form of 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and as a result, it provides a hidden switch that maximizes the visibility of the hidden switch to the user and guides the user to the exact location, leading to accurate switching operation. can do.

도 1은 캠핑카 내부에 설치된 종래 기술에 따른 다양한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의 압축공기제공부의 작동에 의해 마감플레이트의 테두리팽창부가 팽창하고, 발광부가 작동하여 특정 색상의 빛이 발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부분 확대도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switch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ed inside a camping car.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7.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edge expansion part of the finishing plate expands when the compressed air supply part of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7 operates,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perates to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ure 9.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plan view showing 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show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2.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100)는, 스위칭모듈(110)이 탑재될 수 있는 설치홈(11)이 형성된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100)로서, 특정 구조의 스위칭모듈(110), 통전케이블(120) 및 마감플레이트(130)를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높은 시인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hidden switch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hidden switch 100 capable of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constructed on a wall having an installation groove 11 on which the switching module 110 can be mounted. ), by providing a switching module 110, an energizing cable 120, and a finishing plate 130 of a specific structure, it has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o be installed, thereby providing high visibility without protruding to the outside. A hidden switch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hidden switch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4 shows an exploded view of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5 shows a front view showing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3, and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idden switch according to is show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모듈(110)은, 설치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설치홈(11)의 개방된 방향으로부터 누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Referring to FIGS. 2 to 6, the switching module 1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a pressing operation from the open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모듈(110)은, 특정 구조의 스위칭본체부(111), 누름수용부(112) 및 접속단자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스위칭본체부(111)는, 설치홈(11)과 대응되는 외부 구조를 형성하고, 설치홈(11)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누름수용부(112)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여 스위칭 여부를 검출한 후 접속단자부(113)에 해당 검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누름수용부(112)는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마감플레이트(130)로부터 수용되는 누름동작에 의해 눌려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마감플레이트(130)와 맞닿는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접촉면이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단자부(1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누름수용부(11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120)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1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switching module 1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ing body 111, a push receptor 112, and a connection terminal 113 of a specific structure. The switching body unit 111 forms an exter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detects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pressure receptor 112 inside. Afte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switching,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113. The push receptor 112 is a component that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switching body 111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pressed by a push action received from the finishing plate 130.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ontact surface having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unit 113 is a component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body unit 111,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detects a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ush receptor 112. It is a structure that transmits to the conduction cable 120 and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conduction cable 120.

경우에 따라서, 스위칭모듈(111)의 누름수용부(112)는, 좌우측틸팅 스위칭 동작 및 상하측틸팅 스위칭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추가단자부(114)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추가단자부(114)는, 틸팅 스위칭 동작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120)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1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이다.In some cases, the push receptor 112 of the switching module 111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left and right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and up and down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In this case, an additional terminal unit 114 may be furth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body unit 111. The additional terminal unit 114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switching operation to the conduction cable 120, and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electrically connect to the conduction cable 120.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통전케이블(120)은,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모듈(110)이 탑재되는 설치홈(11)에 진입하는 구성으로서, 스위칭모듈(110)로부터 스위칭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rrent-carrying cable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structed on the wall and enters the installation groove 11 where the switching module 110 is mounted, and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switching module 110. It can be deliver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플레이트(130)는, 설치홈(11)을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설치홈(11)과 인접하여 벽체의 벽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nishing plate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mounted in a structure that seals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is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to form a planar structure continuous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and has a predetermined structure. It is made of a material that has elastic recovery ability.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위칭본체부(111), 누름수용부(112), 접속단자부(113) 및 추가단자부(114)를 포함하는 스위칭모듈(110)을 구비함으로써,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의 표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구조의 히든 스위치를 시공함과 동시에 누름 스위칭 동작 뿐만 아니라 틸팅 스위칭 동작까지 검출하여 다양한 동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어, 단순한 켜고 끄는 동작신호부터 특정 방향 동작 제어 및 강도 제어까지 다양한 스위칭 동작에 활용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a switching module 110 including a switching body portion 111, a press receiving portion 112,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3, and an additional terminal portion 114 of a specific structure, the installation By constructing a hidden switch with a flat structure that is continuous with the surface of the desired wall, various operation signals can be input by detecting not only push switching operations but also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from simple on/off operation signals to specific direction operation control and intensity. Hidden switches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switching operations, including control, can be provided.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7에 도시된 히든 스위치의 압축공기제공부의 작동에 의해 마감플레이트의 테두리팽창부가 팽창하고, 발광부가 작동하여 특정 색상의 빛이 발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B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7 show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idden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show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ure 7. In addition, Figure 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how the edge expansion part of the finishing plate expand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supply part of the hidden switch shown in Figure 7,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perates to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Figure 10 show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of Figure 9.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 스위치(100)는, 특정 구조의 테두리만입홈(12), 테두리그루브(13), 발광부(141), 관통구(142), 압출공기제공부(143), 동작검출센서(144) 및 제어부(14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hidden switc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dge indentation groove 12, an edge groove 13, a light emitting part 141, a through hole 142, and an extruded air providing part of a specific structur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143), a motion detection sensor 144, and a control unit 145.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만입홈(12)은, 설치홈(1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마감플레이트(130)의 두께만큼 만입된 구조이며, 벽체의 표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형 구조이다. 이때, 테두리그루브(13)는, 테두리만입홈(12)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내주면을 따라 도넛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테두리만입홈(12)의 만입 깊이보다 소정 깊이만큼 더 만입된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has a structure inden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ll to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plate 130, and is indented into the wall. It is a circular structure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edge groove 13 is formed in a donut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toward the center, and is formed in a donut shape by a predetermined depth than the indentation depth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It has a more indented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41)는, 테두리그루브(13)의 내부에 테두리그루브(13)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14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unted inside the edge groove 13 in a continuou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13, and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continuous structur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5. It can emit colored ligh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142)는, 테두리그루브(13)의 내부 측벽에 테두리그루브(13)의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설치홈(11)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는 압축공기제공부(143)는,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공기를 관통구(142)를 통해 테두리그루브(13)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holes 14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edge groove 13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13. 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143 mounted inside the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inside of the edge groove 13 through the through hole 14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5. can be provided.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검출센서(144)는, 마감플레이트(130)의 표면 정중앙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14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mounted at the exact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finishing plate 130, and can detect 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transmit this to the control unit 145.

이때, 설치홈(11)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145)는, 동작검출센서(144)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압축공기제공부(143)와 발광부(14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5 mounted inside the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providing unit 143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41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44. You can control 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플레이트(130)는 테두리만입홈(12)과 대응되는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로서, 특정 구조의 중앙플레이트(131), 테두리팽창부(132) 및 테두리고정부(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7, the finishing plate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and includes a central plate 131 of a specific structure and an edge expansion portion ( 132) and a border fixing part 133.

구체적으로, 마감플레이트(130)의 중앙플레이트부(131)는, 스위칭모듈(110)이 설치되는 정중앙으로부 테두리그루브(13)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불투명 특성을 가지고, 테두리만입홈(12)의 표면과 실링되어 접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테두리팽창부(132)는, 테두리그루브(13)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중앙플레이트부(131)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팽창부(132)는, 테두리그루브(1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구조로서, 반투명 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팽창 시 두께가 점차 얇아지면서 광 투과도가 증가하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테두리팽창부(132)의 두께는, 중앙플레이트부(131)의 두께 대비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entral plate portion 131 of the finishing plate 130 extends from the exact center where the switching module 110 is install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groove 13, has opaque characteristics, and has an edge indentation groove 12. )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surface. In addition, the edge expansion portion 132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edge groove 13, and is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continuously along the edge of the central plate portion 131. At this time, the edge expansion portion 132 is a structure that expands by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edge groove 13, and is made of a material with translucent characteristics, so when expanded,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and the light transmittance increases. desirable. More specifically, the edge expansion portion 132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10 to 50% of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late portion 131.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플레이트(130)의 테두리고정부(133)는, 테두리팽창부(132)의 양측을 실링하며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테두리팽창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두리고정부(133)는, 테두리만입홈(12)의 내주면에 실링되어 접착되며, 중앙플레이트부(13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edge fixing part 133 of the finishing plate 1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seal and fix both sides of the edge expansion part 132, an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expansion part 132.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form a continuous, integrated structure. In addition, the edge fixing part 133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and is preferably structur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central plate part 131.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테두리만입홈(12), 테두리그루브(13), 발광부(141), 관통구(142), 압축공기제공부(143), 동작검출센서(144), 제어부(145) 및 마감플레이트(13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동작을 검출하여 히든 스위치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구조의 돌출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특정 색상을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히든 스위치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여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an edge indentation groove 12, an edge groove 13, a light emitting part 141, a through hole 142, and compressed air of a specific structure. By providing a providing unit 143, a motion detection sensor 144, a control unit 145, and a finishing plate 130, the user's finger approaching motion is detected to form a circular protruding structure along the edge of the hidden switch.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dden switch that emits a specific color to guide the user to the exact location of the hidden switch and induce accurate switching operation.

경우에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팽창부(132)는, 테두리그루브(1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함과 동시에 광투과도가 증가하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테두리팽창부(132)는, 테두리그루브(13)의 중앙선을 따라 양측 폭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단면 두께 구조이며, 팽창한 상태에서 단면상 오목렌즈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edge expansion portion 1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pands by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edge groove 13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s light transmittanc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material. At this time, the edge expansion portion 132 has a cross-sectional thickness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in both width directions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edge groove 13, and is preferably a structure that forms a concave lens structure in cross-section in the expanded state.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테두리팽창부(132)를 구비함으로써, 테두리그루브(1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여 단면상 오목렌즈 구조를 형성하고 이때 광투과도가 증가함으로써, 테두리그루브(13) 내부에 탑재된 발광부(141)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색상을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형태로 발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히든 스위치의 시인성을 극대화하여 정확한 위치를 안내하여 정확한 스위칭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providing an edge expansion portion 132 of a specific structure, the edge groove 13 is expanded by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inside to form a concave lens structure in cross-section, and at this time, light transmittance increases. , a specific color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41 mounted inside the border groove 13 can be emitted in the form of 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thereby maximizing the visibility of the hidden switch to the user and guiding the user to the exact location. A hidden switch that can induce accurate switching operations can be provid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al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has to be.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벽체
11: 설치홈
12: 테두리만입홈
13: 테두리그루브
100: 히든 스위치
110: 스위칭모듈
111: 스위칭본체부
112: 누름수용부
113: 접속단자부
114: 추가단자부
120: 통전케이블
130: 마감플레이트
131: 중앙플레이트부
132: 테두리팽창부
133: 테두리고정부
141: 발광부
142: 관통구
143: 압축공기제공부
144: 동작검출센서
145: 제어부
10: Wall
11: Installation groove
12: Border indentation groove
13: Edge groove
100: Hidden switch
110: switching module
111: Switching main body
112: Pressing receptor
113: Connection terminal part
114: Additional terminal section
120: Current-carrying cable
130: Finishing plate
131: Central plate part
132: Border expansion part
133: Border fixing unit
141: light emitting unit
142: Through hole
143: Compressed air provision unit
144: Motion detection sensor
145: control unit

Claims (5)

스위칭모듈(110)이 탑재될 수 있는 설치홈(11)이 형성된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히든 스위치(100)로서,
상기 설치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설치홈(11)의 개방된 방향으로부터 누름 동작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스위칭모듈(110);
상기 벽체에 시공되어 스위칭모듈(110)이 탑재되는 설치홈(11)에 진입하고, 스위칭모듈(110)로부터 스위칭 동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통전케이블(120); 및
상기 설치홈(11)을 밀폐하는 구조로 장착되고, 설치홈(11)과 인접하여 벽체의 벽면과 연속되는 평면구조를 형성하며,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된 마감플레이트(130);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모듈(110)은,
상기 설치홈(11)과 대응되는 외부 구조를 형성하고, 설치홈(11)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내부에 누름수용부(112)의 누름 동작을 감지하여 스위칭 여부를 검출한 후 접속단자부(113)에 해당 검출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칭본체부(111);
상기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고, 마감플레이트(130)로부터 수용되는 누름동작에 의해 눌려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마감플레이트(130)와 맞닿는 소정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접촉면이 형성된 구조의 누름수용부(112); 및
상기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누름수용부(11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120)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1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접속단자부(113);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모듈(110)의 누름수용부(112)는, 좌우측틸팅 스위칭 동작 및 상하측틸팅 스위칭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스위칭모듈(110)은,
상기 스위칭본체부(111)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접속단자부(113)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며, 누름수용부(112)의 틸팅 스위칭 동작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를 통전케이블(120)에 전달하고,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통전케이블(1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추가단자부(11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스위치.
A hidden switch 100 that can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installed on a wall with an installation groove 11 on which the switching module 110 can be mounted,
A switching module 11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a pressing operation from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 energizing cable 120 that is constructed on the wall and enters the installation groove 11 where the switching module 110 is mounted,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switching operation from the switching module 110; and
A finishing plate (130) mounted in a structure to seal the installation groove (11), forming a planar structure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continuous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Including,
The switching module 110,
It forms an extern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detects the pressing action of the pressure receptor 112 insid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 switching body unit 111 that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113);
It is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height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body 111,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by being pressed by a pressing action received from the finishing plate 130, and has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n contact with the finishing plate 130. A press receiving portion 112 having a contact surface structure; and
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main body 111,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push receptor 112 to the conduction cable 120, and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to connect the conduction cable 120.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3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Including,
The push receptor 112 of the switching module 110 has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left and right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and up and down tilting switching operations,
The switching module 110,
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witching body 111,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switching operation of the push receptor 112 to the energizing cable 120. An additional terminal portion 114 that is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able 120;
A hidden switch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 스위치는,
상기 설치홈(11)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마감플레이트(130)의 두께만큼 만입된 구조이며, 벽체의 표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형 구조의 테두리만입홈(12);
상기 테두리만입홈(12)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내주면을 따라 도넛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만입홈(12)의 만입 깊이보다 소정 깊이만큼 더 만입된 구조의 테두리그루브(13);
상기 테두리그루브(13)의 내부에 테두리그루브(13)의 연장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41);
상기 테두리그루브(13)의 내부 측벽에 테두리그루브(13)의 연장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관통구(142);
상기 설치홈(11)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공기를 관통구(142)를 통해 테두리그루브(13) 내부에 제공하는 압축공기제공부(143);
상기 마감플레이트(130)의 표면 정중앙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여 제어부(145)에 전달하는 동작검출센서(144); 및
상기 설치홈(11)과 인접하는 벽체 내부에 장착되고, 동작검출센서(144)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압축공기제공부(143)와 발광부(1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스위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idden switch is,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groove 11, has a structure inden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ll to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plate 130, and has an edge indentation groove of a circular structure when view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wall ( 12);
The edge groove 13 is formed in a donut shape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dge groove 12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center direction, and is indented to a predetermined depth more than the edge groove 12. ;
A light emitting unit 141 mounted inside the edge groove 13 in a continuous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13 and emitting light of a specific colo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5;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2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edge groove 13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groove 13;
A compressed air supply unit 143 that is mounted inside the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provides compressed air to the inside of the edge groove 13 through the through hole 14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45. ;
A motion detection sensor 144 that is mounted at the exact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finishing plate 130 and detects 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within a preset distanc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5; and
A control unit 145 that is mounted inside the wall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groove 11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ed air supply unit 143 and the light emitting unit 141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44. ;
A hidden switch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플레이트(130)는,
상기 테두리만입홈(12)과 대응되는 외경과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이고,
상기 스위칭모듈(110)이 설치되는 정중앙으로부 테두리그루브(13)와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불투명 특성을 가지고, 테두리만입홈(12)의 표면과 실링되어 접착되는 중앙플레이트부(131);
상기 테두리그루브(13)와 맞닿는 위치에 형성되고, 중앙플레이트부(131)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반투명 특성을 가지며, 중앙플레이트부(131)의 두께 대비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테두리그루브(13) 내부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구조의 테두리팽창부(132); 및
상기 테두리팽창부(132)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테두리만입홈(12)의 내주면에 실링되어 접착되며, 중앙플레이트부(131)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고정부(1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든 스위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nishing plate 130 is,
It is a plate-shaped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and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A central plate portion 131 that extends from the exact center where the switching module 110 is install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edge groove 13, has opaque characteristics, and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edge groove 12;
It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edge groove 13, is continuously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long the edge of the center plate portion 131, has translucent characteristics, and has a thickness of 10 to 50% of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late portion 131. An edge expansion portion 132 having a thickness and having a structure expanded by compressed air injected into the edge groove 13; and
An edge fixing part 133 that is continuously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dge expansion part 132, is sealed and adher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dge indentation groove 12, and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central plate part 131. ;
A hidden switch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32976A 2022-03-16 2022-03-16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KR102661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76A KR102661080B1 (en) 2022-03-16 2022-03-16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76A KR102661080B1 (en) 2022-03-16 2022-03-16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58A KR20230135458A (en) 2023-09-25
KR102661080B1 true KR102661080B1 (en) 2024-04-25

Family

ID=8819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976A KR102661080B1 (en) 2022-03-16 2022-03-16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0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54B1 (en) * 2018-10-31 2020-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switch devic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3457A (en) * 1993-05-26 1994-1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Flush type push-button switch device
JP3470022B2 (en) * 1997-09-30 2003-11-25 ホシデン株式会社 Multi-contact input device
KR20140043697A (en) * 2010-10-20 2014-04-10 택투스 테크놀로지, 아이엔씨.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KR101977221B1 (en) 2018-10-29 2019-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m and hidden switch structure having the same
KR102276019B1 (en) * 2019-10-31 2021-07-13 주식회사 서연이화 Morphing type power window switch device of vehicle
KR102365514B1 (en) * 2020-06-12 2022-02-21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Waterproof Switch Device, and Waterproof Switch Module for Trunk Door of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754B1 (en) * 2018-10-31 2020-04-20 주식회사 서연이화 switch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458A (en)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285B1 (en) Selectively illuminated indicator
TWI478194B (en) Luminous keyboard
TWI459425B (en) Illuminating keyboard
JP2009123183A (en) Keyboard with backlight
JP2009076472A (en) Illumination input device
CN110998772A (en)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JP4284212B2 (en) Illumination device
US10134543B2 (en) Luminous keyboard
KR102661080B1 (en) Hidden Switch Having A Flat Surface Continuous With The Installation Surface
TW201530588A (en) Luminous keyboard
CN110785934A (en) Motor vehicle operating device
JP4609247B2 (en) Luminescent switch
US11634030B2 (en) Vehicle smart garnish
KR20190052976A (en) Call buzzer switch for bus
JP2009117065A (en) Illuminated switch device
KR200468484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JP3181914U (en) Seat with click spring and switch device
KR102594479B1 (en) 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JP5074309B2 (en) switch
JP2007157384A (en) Sheet switch
CN211479907U (en) Optical microswitch and mouse
KR20010076334A (en) Diaphragm switch
JP2008243655A (en) Movable contact unit, and illumination-type panel switch composed of the same
RU2610292C2 (en) Keyboard with keys illumination
JP5973631B1 (en) Capacitance type push-down ke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