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294B1 -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 Google Patents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294B1
KR102659294B1 KR1020230092913A KR20230092913A KR102659294B1 KR 102659294 B1 KR102659294 B1 KR 102659294B1 KR 1020230092913 A KR1020230092913 A KR 1020230092913A KR 20230092913 A KR20230092913 A KR 20230092913A KR 102659294 B1 KR102659294 B1 KR 10265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picture frame
picture
frame
diff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요한
Original Assignee
리트모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트모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트모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는, 바닥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수용 홈이 함입 형성된 받침대; 그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홈보다 작은 면적의 저면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수용 홈에 삽입 고정되는 액자; 상기 액자가 삽입되고 남은 상기 수용 홈의 잔여 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에 의하면, 액자의 프레임을 방향제를 전달하는 매질이나 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어 얇은 두께를 가진 심플한 장식적 심미감을 제공하면서 발향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Diffuser with decorative frame}
본 발명은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장식 기능을 가진 얇은 프레임 형태의 액자를 받침대의 수용 홈에 수용하여 및 책상 등의 바닥에 안착/보관하되 이 수용 홈에 방향제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액자가 방향제 전달체 또는 매질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는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디퓨저(Diffuser)는 물질을 공기에 분산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때 물질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방향제를 공기 중에 분산 처리하여 발향 기능을 제공하는 의미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디퓨저는 초음파와 물을 매개로 물질을 방출하는 초음파 디퓨저, 펌프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 조작 방식으로 물질을 분무하는 스프레이 디퓨저, 열로 가열하여 물질을 증발하는 히팅 방식의 디퓨저, 다공성 재질의 리드나 스틱을 매개로 액상의 물질을 흡수하여 공기 중으로 기화식으로 방출하는 리드 디퓨저 등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여기서, 리드/스틱 기반의 디퓨저는 일반적으로 액상의 방향제를 담은 용기에 하나 이상의 리드/스틱을 꽂아 이 리드/스틱을 타고 방향제가 상승한 다음 공기 중으로 기화/증발하는 방식으로 발향 처리하는데, 몰론 용기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도출될 수 있으나 용기나 스틱의 형상이 나뭇가지를 정형적으로 형상화한 것에 머문 경우가 많다.
한편 디퓨저의 장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공개된 선행기술이 있는바, 구체적으로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20-0088105호인 디퓨저 자석 액자는 액자 프레임의 소정의 두께가 있어 스스로 자립할 수 있고 뒷부분의 못걸이 홈을 이용하여 벽에 걸 수 있는 탁상 겸용 벽걸이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의 뒤쪽에서 사진이나 그림 등을 넣고 자석으로 고정하고 액자의 상부에 나 있는 구멍에 꽃을 직접 꼽거나, 화분 화병 디퓨저 용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장식 효과 및 방향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그림을 담을 수 있는 액자 프레임 내에 디퓨저를 단순히 보관한 구조에 그친 것으로, 디퓨저를 수용하기 위하여 액자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액자의 얇고 심플한 기존의 프레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 액자를 받치는 받침대에 방향제를 보관하여 새롭고 진보한 방식으로 액자를 지지하면서 방향제를 발산 처리할 수 있는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20-0088105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식 기능을 가진 얇은 프레임 형태의 액자를 받침대의 수용 홈에 수용하여 및 책상 등의 바닥에 안착/보관하되 이 수용 홈에 방향제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액자가 방향제 전달체 또는 매질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는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와 액자, 특히 액자를 도자기 조성물을 기반으로 다공성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심미감을 강화하면서 방향제의 더욱 적절하게 발산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 프레임에 스틱을 내장하여 스틱을 통해 집중적으로 방향제를 발산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액자로 흡수된 방향제가 그림을 적시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방수 처리와 함께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는, 바닥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수용 홈이 함입 형성된 받침대; 그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홈보다 작은 면적의 저면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수용 홈에 삽입 고정되는 액자; 상기 액자가 삽입되고 남은 상기 수용 홈의 잔여 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와 액자는,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도자기 조성물의 소성 온도를 조절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액자보다 더 많은 구멍을 가진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에 삽입된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액자는 상기 그림을 감싸는 면에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에 의하면,
1) 액자에서 그림을 둘러싼 프레임을 방향제를 전달하는 매질이나 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어 얇은 두께를 가진 심플한 장식적 심미감을 제공하면서 발향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액자를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하여 고풍스러운 미감과 방향제 전달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을 겸비하며,
3) 액자로 스며든 방향제가 그림을 손상하지 않도록 방수 처리를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물성을 보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퓨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를 중점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에 대한 변형 실시예의 투시 정면도.
도 5는 수용 홈에 형성된 돌기와 액자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6은 액자에서 그림을 감싸는 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퓨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를 중점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퓨저는 외관상 그림이 수용된 액자(200)와 이 액자를 받치는 받침대(1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외관의 구조만을 보면 일반적으로 탁자나 책상 등에 올려진 액자(200)와 받침대(100)의 조합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디퓨저는 이러한 받침대(100)에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300)를 수용하여 액자(200)의 장식 기능과 일반적인 디퓨저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디퓨저는 받침대(100)와 액자(200) 및 방향제(3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받침대(100)는 책상, 탁자의 표면(본 발명에서는 이를 '바닥'이라 한다)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자(200)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액자(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얇은 직육면체 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액자(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해당 액자(200)의 가로 길이와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진 직육면체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반드시 받침대(100)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높이가 낮은 원통 형상, 정육면체 형상이나 반구 형상 등의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받침대(100)의 상면에는 액자(200)를 꽂는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홈(110)이 함입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110)은 액자(200)의 저면의 사이즈에 상응한 사이즈를 가져 액자(200)가 수용 홈(110)에서 불필요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제작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용 홈(110)이 액자(200)의 저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수용 홈(110)이 액자(200)의 저면보다 큰 면적을 갖는 이유는 이 수용 홈(110)에 후술할 방향제(300)를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액자(200)는 통상적인 일반 액자와 같이 그림(이미지)(210)를 수용한 상태에서 그림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투명창(220)을 포함한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그림(210)은 액자(200)의 후면에 형성된 개폐구를 통해 교체할 수 있거나 아니면 도면에 도시된 액자(200)와 같이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액자(200)는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받침대(100)의 수용 홈(110)에 삽입되어 받침대(1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액자(200)의 저면은 상술한 받침대(100)의 수용 홈(110)보다 작은 면적을 가져 액자(200)가 수용 홈(1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수용 홈(110)에 잔여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제(300)는 이러한 수용 홈(110)의 잔여 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공지의 디퓨저에서 사용되는 방향 물질과 용매가 혼합된 액체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방향물질은 라벤더, 유칼립투스, 티트리와 같은 에센셜 오일, 아로마화합물과 에센셜 오일의 조합 물질로 제작된 프래그런스 오일이나 아로마 컴파운드와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고 용매로는 방향물질의 성질에 따라 알코올이나 물과 같은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즉, 이러한 방향제(300)는 공기 중에 노출 시 용매가 증발/휘발되면서 이에 혼합된 방향물질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면서 고유의 향기를 발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방향제(300)가 액자(200)가 삽입되고 남은 수용 홈(110)의 잔여 공간에 수용되어 수용 홈(110) 내에서 자연스럽게 증발/휘발되면서 곧바로 공기 중으로 비산되거나 아니면 액자(200)를 타고 은은하게 비산되면서 발향하는 특징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액자(200)는 시각적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공지의 디퓨저에서 스틱(240)과 같이 방향제(3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방향제(300)가 이 액자(200)를 타고 올라 자연스럽게 공기 중으로 비산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디퓨저는 액자(200)를 받침대(100)로 거치/지지하면서 액자(200)가 수용되는 수용 홈(110)에 방향제(300)를 함께 수용하여 수용 홈(110) 자체 또는 액자(200)를 매질로 활용하면서 발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액자(200)는 공지의 스틱(240)과 마찬가지로 방향제(300)의 이동 경로 또는 매질과 같은 역할을 겸비할 수 있는바, 이러한 기능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자기 조성물을 포함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액자(200)를 비롯하여 받침대(100)는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될 수 있다.
도자기는 도기와 자기를 총칭하는 합성어로써 일상적으로는 도기 및 자기를 구분하여 부르지 않고 도자기로 부르고 있지만 도기와 자기의 원료와 제조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우선, 도기는 진흙으로 형태를 빚은 다음 1100℃ 이하의 온도에서 구워내 모양을 잡은 것으로서, 도기에 사용되는 진흙은 쉽게 구할 수 있고 요구되는 온도 또한 매우 높지 않아 고대 인류가 가장 먼저 창조한 도구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도기를 구울 때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는데, 이를 통해 진흙의 금속 성분이 산화되어 흙의 탁한 색깔이 드러나고, 높지 않은 경도 및 강도를 보이는 특징을 가진다.
더불어, 자기는 규석, 장석과 같은 돌을 으깬 가루를 반죽하고 형태를 빚은 다음 1200℃ 이상의 온도에서 구워내 모양을 잡은 것으로서, 도기의 원료인 진흙과 달리 형태를 빚기 어렵고 높은 온도가 요구되어 도기보다 늦게 제작되기 시작하였으나, 수려한 광택과 경도를 가진 자기는 예로부터 생활용품 또는 예술 작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상술하였듯이 받침대(100)와 액자(200)는 도자기 조성물로 제조되는데, 도자기 조성물은 도기의 재료인 흙 또는 자기의 재료인 돌가루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도자기 조성물에 따라 받침대(100) 및 액자(200)는 도기 재질 또는 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흙은 소지로도 불리는 도기의 주재료로서 예를 들어 황토, 옹기토, 세인토와 같은 흙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흙이 포함된 도자기 조성물은 후술할 돌가루를 혼합한 도자기 조성물보다 유동성이 높아 혼합 및 성형이 용이하고 받침대(100) 및 액자(200)에 거친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돌가루는 장석, 규석과 같이 자기의 재료인 돌을 곱게 분쇄한 것으로서, 돌가루의 입자 크기는 반죽되기 용이한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가루가 혼합된 도자기 조성물은 흙이 혼합된 도자기 조성물보다 단단하고 유동성이 적어 성형이 어려울 수 있으나, 성형된 다음 형태를 잘 유지하고 받침대(100) 및 액자(200)에 매끄러운 질감과 높은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도자기 조성물에는 흙 및 돌가루를 반죽하기 위한 물이 포함될 수 있는데, 물이 포함된 도자기 조성물은 힘을 가하면 형태가 변하고 힘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형태가 고정되는 성질인 가소성(可塑性)을 보유하게 된다.
이러한 물은 도자기 조성물에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능한바, 예를 들어 물을 전체 도자기 조성물 대비 40 중량부로 혼합한 경우, 도자기 조성물은 천천히 흘러내릴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보유하게 되는데, 이 도자기 조성물을 물을 흡수하는 석고 재질의 성형 틀에 넣어 여분의 물을 흡수시킴으로써 받침대(100)나 액자(200)의 형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100)와 액자(200)가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되면 특유의 멋스러움과 심미감을 살릴 수 있는 장식적 기능은 물론 방향제(300)와 같은 액체를 일부 흡수하여 공기 중으로 발산할 수 있는 매질과 같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즉, 도자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유리화 공정, 즉 소성 공정을 거칠 때 소성 온도를 높이면 도자기 조성물이 유리처럼 제작되어 비다공성 성질을 가지나, 소성 온도를 낮추면 다공성 성질을 가져 방향제(300)를 일부 흡수하여 상부 또는 측부 등으로 전달하는 매질이나 전달체의 역할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소성 온도는 도자기 조성물에 포함된 흙과 돌가루의 종류에 따라 미리 계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받침대(100)와 액자(200), 특히 액자(200)를 도자기 조성물을 가지고 다공성 성질을 갖도록 소성 온도를 맞추어 제작함으로써 유리병이나 합성수지재보다 미감이 수려하면서 방향제(300)를 흡수하여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매질로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 1 및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받침대(100)는, 삽입 홈의 전방 측에 삽입 홈보다 작은 체적으로 함입 형성된 보조 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홈(120)은 사용자가 받침대(100)를 이동시킬 때 파지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제공할 뿐 아니라, 소용량의 방향제(300)를 보조적으로 수용하여 액자(2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발향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때, 보조 홈(120)에 수용되는 방향제(300)는 수용 홈(110)에 수용되는 방향제(300)와 같거나 다를 수 있는데,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용 홈(110)에 수용된 방향제(300)를 확인하기 위해 액자(200)를 수용 홈(110)에서 빼낸 다음 번거롭게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직접 노출된 보조 홈(120)에 수용된 방향제(300)를 확인하면서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양자의 방향제(300)가 다를 경우 서로 반대의 향기를 갖지 않고 상호 보완적인 향기를 가져 마치 2개의 향수를 레이어링하여 독특한 발향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더불어, 도 2를 참조하면 액자(200)는 수용 홈(110)의 연장 면(수평 방향 연장)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기립되지 않고 후방 측으로 기운 상태로 기립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홈(110)은 4개의 측면을 구비하되 이러한 4개의 측면 중 전방 및 후방 측면은 상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액자(200)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 홈에 수용될 시에 앞서 언급한 것처럼 후방을 향하도록 기울되 후방 측면에 접한 상태를 가진다.
이에 대응하여 방향제(300)는 액자(200)와 전방 측면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 홈(110)에 방향제(300)와 액자(200)가 수용될 때 액자(200)의 저면이 방향제(300)를 오히려 가로막거나 가려 방향제(300)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발산되지 않을 수 있는 개연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액자(200)를 수용 홈(110)의 후방 측으로 밀착하도록 하되 이 경우 자칫 액자(200)가 기울거나 넘어질 수 있으므로 수용 홈(110) 전방/후방 측면을 아예 경사지게 제작하여 수용 홈(110)이 안정적으로 기운 상태로 후방 측면에 밀착하도록 하여 수용 홈(110)의 전방 측의 공간을 확보한 다음 이 확보 공간에 방향제(300)가 수용되어 방향제(300)가 더욱 자연스럽게 발산될 수 있도록 처리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액자에 대한 변형 실시예의 투시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액자(200)가 방향제(300)를 상부로 전달하는 매질과 같은 역할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액자(200)를 도자기 조성물 기반의 다공성 성질을 갖도록 하여 이러한 매질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데, 액자(200)가 상대적으로 체적이 크므로 방향제(300)를 더욱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액자(200)는 통로(230)와 스틱(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로(230)는 액자(200)의 중앙 부위에 갖춰진 그림(210) 주변, 즉 그림(210)의 좌우 양측의 테두리 부분의 하부(저면)에서 상부(상면)까지 관통 연장된 관로이고, 스틱(240)은 이러한 관로에 수용되어 방향제(300)를 전달하는 매질의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스틱(240)은 도자기 조성물 기반의 액자(200)보다 더 구멍이 많은, 즉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통로(23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이 통로(230)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틱(240)의 재질을 예시하면, 등나무, 대나무와 같은 다공성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틱(240)에 의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방향제(300)를 스틱(240) 자체에 집중하여 상부로 전달하면서 발산할 수 있으므로 방향제(300)의 전체 용량을 기준으로 적은 양의 방향제(300)를 효과적으로 발산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
도 5는 수용 홈(110)에 형성된 돌기(130)와 액자(200)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용 홈(110)의 바닥면에는 일정 높이를 가진 돌기(130)가 적어도 2개로 돌출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돌기(130)는 수용 홈(110)의 좌측/우측 영역 각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씩 형성되어 액자(200)를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스틱(240)은 통로(230)의 하부를 지나 돌기(1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액자(200)의 저면에 수용 홈(110)의 바닥면에 밀착하면 통로(230)로 유입되는 방향제(300)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으므로 돌기(130)의 높이만큼 액자(200)를 수용 홈(110)의 바닥면에서 부상시켜 방향제(300)의 이동 경로를 확보한 다음 이 돌기(130) 사이의 수용 홈(110)의 바닥면까지 스틱(240)이 닿도록 함으로써 스틱(240)의 하단에 충분히 방향제(300)가 흡수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돌기(130)는 수용 홈(110)의 전후 폭을 막을 정도로 크지 않도록 제작되어 수용 홈(110)의 바닥면 주변에서 방향제(300)의 유통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도 6은 액자에서 그림을 감싸는 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액자(200)는 그림(210) 주변의 프레임 자체가 방향제(300)를 전달하는 매질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종이 등으로 제작된 그림(210)에까지 방향제(300)가 스며들어 그림(210)의 변형을 초래할 개연성이 따를 수 있다.
물론 그림(210)을 종이가 아닌 다른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현재 보편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액자용 그림(210)의 형태가 종이 또는 이에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활용성이 뛰어나므로 이러한 재질의 그림(210)을 방향제(300)로부터 보호할 필요성이 대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액자(200)는 그림(210)을 감싸는 면에 방수층(25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직사각형 형태의 액자(200)와 그림(210)을 기준으로 그림을 감싸는 면은 전면의 투명창(220)을 제외한 4개 측면 및 후면일 수 있는데, 이러한 개별적인 각각의 면에 방수층(250)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방수층(250)은 액상의 방향제(300)가 그림(210)으로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방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액자(200)의 재질인 도자기 조성물에 더욱 친화적으로 어울릴 수 있는 특정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수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방수제(300)는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21),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22) 및 방수성 향상제를 완성하는 단계(S2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21)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20 내지 40 중량부,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10 내지 20 중량부 및 테레빈유(turpentine)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한다.
카나우바 왁스는 표면에 부드러운 방수 코팅을 구현해내는 방수성 왁스로서 특히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된 액자(200)에 최적화된 방수 소재라 할 수 있다.
칸데릴라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의 기능을 보조하여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천연 왁스임과 동시에 이 역시 도자기 조성물 베이스의 액자(200)에 최적화된 방수 소재라는 의의를 가짐과 동시에 카나우바 왁스의 유화안정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테레빈유는 소나무에서 얻는 무색의 정유이며, 제 1 물질의 용매로서 기능하여 카나우바 왁스 및 칸데릴라 왁스를 용해한다. 또한 표면에 얇은 유막을 형성하여 방수성을 보다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이다.
(S22)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제 1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 로진(rosin) 3 내지 10 중량부 및 멘틸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한다.
로진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로서, 종이의 사이즈제(劑), 비누·도료·합성수지의 첨가제로도 쓰이며 내수성이 뛰어나 액자(200)와의 접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방수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멘틸안트라닐레이트는 멘톨 및 o-안트라닐릭애씨드의 에스터로서, 자외선의 일종인 UV-A 광선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어 그림(210) 전면의 투명창(220)으로 조사된 실내광에 포함된 자외선을 일부 차단하는 동시에 이러한 자외선으로 인한 방수제 자체의 물성 저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23) 방수제(방수층)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제 2 물질 90 내지 99 중량부, 리모넨(limonene) 1 내지 5 중량부 및 고시폴(Gossyp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수제를 완성한다.
리모넨은 소나무나 감귤류 껍질 정유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지방족 탄화수소로 점도를 조절하며 혼합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고시폴(Gossypol)은 목화씨에서 분리된 천연 페놀이며, 산패를 억제하는 항산화력이 뛰어나 방수제에 포함된 다양한 천연 왁스류의 산패를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방수제에 따르면, 천연의 다양한 방수성 물질을 다수 포함하여 뛰어난 내수성 및 방수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유화안정성과 도자기 조성물과의 적합성이 뛰어나며, 자외선에 의한 변질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방수층(250)이 장기간 뛰어난 물성을 나타내게 할 뿐 아니라 부착력을 향상시킨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제의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수제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 1 내지 2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교예는 공지의 코팅제이다.
[실시예 1]
카나우바 왁스 40g, 칸데릴라 왁스 20g, 테레빈유 40g을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였다.
제 1 물질 85g, 로진 10g, 멘틸안트라닐레이트 5g을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였다.
제 2 물질 92g, 리모넨 5g, 고시폴 3g을 혼합하여 방수제 100g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카나우바 왁스 40g, 칸데릴라 왁스 20g, 테레빈유 40g을 혼합하여 방수제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폴리우레탄 100g으로 이루어진 코팅제를 준비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도자기 재질의 액자(200)의 표면에 3회 도포하여 코팅 처리된 후, 코팅 처리된 시편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1. 기계적 물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ASTM D638(50mm/min)에 준하여 파산시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2. 경도: ASTM D2240에 준하여 Shore 경도계(TELCLOCK Type A)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3. 은폐율: KS M ISO 2814에 따라 은폐율을 시험하였다.
4. 내변색성: 315~400nm의 파장을 방출하는 15W의 자외선 램프를 도막과 20cm 거리에서 20일간 조사 후 색상 변색 여부를 확인하였다.
5.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 KS F 4932 "교면용 도막 방수재" 및 KS F 2711 "전기전도도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시험방법"에 준하여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단위를 coulomb으로 나타내었다.
표 1은 실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인장강도
(psi)
신장율
(%)
경도
(Shore A Type)
은폐율
(%)
변색 염화물이온
침투저항성
실시예 1 1849 401 90 95 × 450
실시예 2 1828 388 88 94 × 429
비교예 1750 320 86 92 398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하여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 경도, 은폐율, 내변색성, 염화물이온침투저항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실시예 1이 실시예 2보다 상술한 조건에 대해 상대우위의 장점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액자(200)를 포함한 디퓨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받침대 110: 수용 홈
120: 보조 홈 130: 돌기
200: 액자 210: 그림
220: 투명창 230: 통로
240: 스틱 250: 방수층
300: 방향제

Claims (8)

  1.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로서,
    바닥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에 수용 홈이 함입 형성된 받침대;
    그림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홈보다 작은 면적의 저면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수용 홈에 삽입 고정되는 액자;
    상기 액자가 삽입되고 남은 상기 수용 홈의 잔여 공간에 수용된 액상의 방향제;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와 액자는,
    흙 및 돌가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도자기 조성물로 제작된 것으로서, 상기 도자기 조성물의 소성 온도를 조절하여 다공성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액자는, 상기 그림을 감싸는 면에 방수층을 포함하되,
    상기 방수층은,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20 내지 40 중량부,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10 내지 20 중량부 및 테레빈유(turpentine)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물질 85 내지 95 중량부, 로진(rosin) 3 내지 10 중량부 및 멘틸안트라닐레이트(Menthyl Anthranilate)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2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 물질 90 내지 99 중량부, 리모넨(limonene) 1 내지 5 중량부 및 고시폴(Gossypol)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방수층을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수용 홈의 전방 측에 상기 수용 홈보다 작은 체적으로 함입 형성된 보조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은 4개의 측면을 구비하되,
    상기 4개의 측면 중 전방 및 후방 측면은 상부가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상기 액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될 시 상기 후방 측면에 접한 상태로 기울고,
    상기 방향제는,
    상기 액자와 상기 전방 측면 사이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상기 그림 주변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관통 연장된 통로와,
    상기 액자보다 더 많은 구멍을 가진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통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통로에 삽입된 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바닥면에는,
    일정 높이를 가진 돌기가 적어도 2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틱은,
    상기 통로의 하부를 지나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7. 삭제
  8. 삭제
KR1020230092913A 2023-07-18 2023-07-18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KR10265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913A KR102659294B1 (ko) 2023-07-18 2023-07-18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913A KR102659294B1 (ko) 2023-07-18 2023-07-18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294B1 true KR102659294B1 (ko) 2024-04-29

Family

ID=9088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913A KR102659294B1 (ko) 2023-07-18 2023-07-18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29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9U (ja) * 1993-02-17 1995-01-06 ナガオ株式会社 室内装飾品
JPH0948180A (ja) * 1995-08-08 1997-02-18 Taiho Ind Co Ltd 水性インク印字物保護剤及び保護方法
KR200371903Y1 (ko) * 2004-09-21 2005-01-10 이상돈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제 용기
JP2015104409A (ja) * 2013-11-28 2015-06-08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装置
KR20180000912U (ko) * 2016-09-25 2018-04-04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CN207590397U (zh) * 2017-05-22 2018-07-10 中国地质大学(武汉) 叶画专用画框
KR20200088105A (ko) 2019-01-14 2020-07-22 브이에스엘 디퓨저 자석 액자
KR20220002897U (ko) * 2020-08-06 2022-12-08 주식회사 단향 디퓨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9U (ja) * 1993-02-17 1995-01-06 ナガオ株式会社 室内装飾品
JPH0948180A (ja) * 1995-08-08 1997-02-18 Taiho Ind Co Ltd 水性インク印字物保護剤及び保護方法
KR200371903Y1 (ko) * 2004-09-21 2005-01-10 이상돈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제 용기
JP2015104409A (ja) * 2013-11-28 2015-06-08 エステー株式会社 揮散装置
KR20180000912U (ko) * 2016-09-25 2018-04-04 이고운 세라믹 디퓨저
CN207590397U (zh) * 2017-05-22 2018-07-10 中国地质大学(武汉) 叶画专用画框
KR20200088105A (ko) 2019-01-14 2020-07-22 브이에스엘 디퓨저 자석 액자
KR20220002897U (ko) * 2020-08-06 2022-12-08 주식회사 단향 디퓨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4198B2 (en) Aroma-releasing polymeric gel matrix
US5679334A (en) Gel air freshe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931487B2 (en) Articles formed of pulp base materials with modulated scent release
JP2007111281A (ja) 固形芳香剤および容器入り芳香剤
US20210030913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JP4761920B2 (ja) 揮散装置
JP2007130439A (ja) 揮散器
KR102659294B1 (ko) 장식용 액자를 포함한 디퓨저
US6698665B2 (en) Fragrance emitting apparatus
KR20220000166A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JPH0359948B2 (ko)
TWI242588B (en) Coating system for application on wood
KR20180034904A (ko) 투명한 겔 형태의 디퓨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디퓨저 및 디퓨저 파우치
JP5361116B2 (ja) 含水ゲル
KR20020073500A (ko) 거품성 방향 및 탈취 겔
KR200188065Y1 (ko) 자연 향을 발산하는 건축용 패널
JP2009532295A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を備える容器
JPH11192296A (ja) ゲル状芳香剤組成物
JP4241058B2 (ja) 放香器
JPH11147802A (ja) 環境改善用成形物
KR20230060938A (ko) 방향 기능의 고체 디퓨져.
US20220323630A1 (en) Modulated scent release device
US20230105980A1 (en) Fragrance diffuser vase
JPS624222A (ja) 発香物
JP2002011086A (ja) 放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