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899B1 -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899B1
KR102657899B1 KR1020210070611A KR20210070611A KR102657899B1 KR 102657899 B1 KR102657899 B1 KR 102657899B1 KR 1020210070611 A KR1020210070611 A KR 1020210070611A KR 20210070611 A KR20210070611 A KR 20210070611A KR 102657899 B1 KR102657899 B1 KR 10265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space
vacuum
organic matte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2301A (en
Inventor
오형윤
박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오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오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오딘
Priority to KR102021007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899B1/en
Publication of KR2022016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8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11Purifying organic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제공한다.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that purifies a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organic matter according to a purification process. The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is located is partitioned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 a main body module in which different processes for purifying the organic matter are carried out in a plurality of the partitioned spaces, and in a closed state, the partitioned spaces are individually controlled to set the internal air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ed space.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creates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wherein the main body module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rification tube is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Provides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Description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for organic substances and a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for organic substances and a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 is carried out in a single purification equipment by performing different purification processes in isolated spaces, and proceeding in batches. It relates to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ime consumption by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organic matter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a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matter using the same.

자발광 소자의 경우, 발광층 물질의 순도가 발광 특성과 밝기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OLED의 경우 유기재료 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그 불순물이 캐리어의 트랩이 되거나 소광의 원인이 되어 소자의 발광 강도 및 발광 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유기물을 정제하여 사용하는 정제방법을 활용하고 있다.In the case of self-luminous devices, the purity of the light-emitting layer material affects the light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brightn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LED, if impurities are mixed in the organic materials, the impurities become carrier traps or cause quenching, thereby damaging the device. Because the luminous intensity and luminous efficiency are greatly reduced, a purification method that purifies organic materials is used.

이는 진공 상태에서 승화되어 재결정하는 승화정제방법을 이용하여 불순물과 유기물을 서로 분리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4시간의 절차가 필요하며, 모두 수동으로 동작하고,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소요와 경제적인 소요가 크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This is a process of separating impurities and organic substances from each other using a sublimation purification method that sublimes and recrystallizes in a vacuum. This process requires at least 24 hours, is all operated manually, and requires It had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significant time and economic costs because it had to be confirmed.

아울러 동일한 챔버 내에서 여러 차례 다른 과정들이 진행되며, 이에 따라 챔버의 내부를 세척하는 시간과 챔버 내부의 환경을 매번 조절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시간적 소요는 더 크게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different processes are carried out several times within the same chamber,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time required due to the disadvantages of having to clean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adjust the environment inside the chamber each time.

그렇기 때문에 유기물을 정제하는 과정을 단축하거나 과정의 편의를 통한 시간단축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refore, various methods are being designed to shorten the process of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or to shorten the time through process convenience, and a means to overcome this is need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performs different purification processes in isolated spaces, proceeds through a single purification equipment, and processes the processes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task is to effectively reduce time consumption by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organic matt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정제방법은,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r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that purifies a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organic matter according to a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is locat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Forming a main body module in which different processes for purifying the organic matter are performed in a plurality of the partitioned spaces, and the partitioned spaces are individually controlled in a closed state to adjust the internal air pressure to the partitioned spaces.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creates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space, and the main body module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rification tube is located in the partition. It is characterized by sequentially moving between the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refining process.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의 배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을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ain body module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locat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rtitioned space, and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to move the purification tube to another adjacent partitioned space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ail unit.

아울러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정제관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성공간, 상기 조성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이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에서 내부로 이동되고,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 및 상기 정제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회수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odule includes a composition spac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for primary purific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by creating a first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purification tube with the purification tube located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and In another adjacent partitioned space, the purification tube is moved inward from the composition space through the rail unit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interior is created as a second vacuum environment to secondly purify the organic material that has been first purified. The purification space and another partitioned space adjacent to the purification spac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vided into a recovery space that creates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secondary purified organic matter.

또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진공환경으로 조성되기 위해 각각이 개폐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are each partitioned by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o create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by the control module.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각각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is completed,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respec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everything is finishe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ned and the purification tube is moved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rail unit.

이 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회수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경우, 내부의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기 위해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recovery space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creates the inside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so that the internal atmospheric pressure is similar to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in order to recover the internal purification tube. It is characterized by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은,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되어 상기 유기물을 가열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히팅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조성공간과 상기 펌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히팅부에 의해 증발되는 수분을 응결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space is operated in a closed state and has a heating unit that provides heat to heat the organic material, and is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to exhaust the air inside to the outside to create a first vacuum environ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ump unit and a cooling unit located between the composition space and the pump unit to condense moisture evaporated by the heating unit.

여기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성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ump unit creates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by sucking air from the composi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to maintain an air pressure relatively lower tha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또한, 상기 히팅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ing unit is characterized by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한편,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은 복수개가 서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main bod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정제하는 정제방법으로서, 상기 조성공간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 상기 1차 정제단계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정제공간에서 제2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회수공간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 및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a purification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using an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mary purification step of first purifying the organic substances by creating the in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as a first vacuum environment; A second purification step in which the organic material purified i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is secondarily purified by creating a second vacuum environment in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organic material purified in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is cooled in the recovery space. , the interior of the recovery space is created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determine whether the cooling recovery step of recovering the purification tube, the primary purification step,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are completed, an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it is completed, It includes a delivery step of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organ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또한, 상기 1차 정제단계가 종료되어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정제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제관을 상기 조성공간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상기 냉각회수단계가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정제과정을 수행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is completed and the first purified organic material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the purification tube is placed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to perform the first purification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repeating step of performing an individually repeated purification proces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유기물 정제방법은 서로 격리된 공간에서 서로 다른 정제과정을 진행하여 하나의 정제장비를 통해 진행하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진행하며,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유기물이 수납된 정제관을 이동시켜 시간적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for organic matter and the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matter using the sam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 different purification processes in isolated spaces and proceed through one purification equipment in batches, There is an effect of effectively reducing time consumption by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organic matter according to the proces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조성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회수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1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2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냉각회수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히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The summary set forth above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an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osition space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space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covery space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purification step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cooling recovery step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sequentially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heating unit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First,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lained through FIGS. 1 to 8.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조성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회수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1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2차 정제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냉각회수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an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osition space of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space of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the drawing showing the composition space of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A diagram showing the recovery space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first purification step of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is shown to explain the cooling recovery stag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방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유기물(O)이 수용된 정제관(R)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켜 정제하는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R)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O)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100)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vacuum purification machine for organic substances and the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urification equipment that purifies by moving a purification tube (R)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O)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R) is located is divided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nd a main body module 100 in which different processes for purifying the organic matter (O) are carried out in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that individually controls the partitioned space in a closed state to create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air pressure in the partitioned space.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상기 본체모듈(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odule 100 is formed to be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s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odule 100, and the purification tube (R) runs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during the purification process. It can be moved sequentially according to.

여기서 상기 본체모듈(100)은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레일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일유닛(120)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에서 상기 정제관(R)을 이동시킬 수 있다.Here, the main body module 100 may include a rail unit 120 that moves the purification tube (R) locat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rail unit 120 Can move the purification tube (R)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또한, 상기 본체모듈(100)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정제관(R)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조성공간(140), 상기 조성공간(140)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이동되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160) 및 상기 정제공간(16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회수공간(180)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y one of the partitioned spaces of the main body module 100, the interior is created as a first vacuum environment by the control module with the purification tube (R) located therein, so that the organic matter (O) is 1. The tea refining composition space 140 and another partitioned space adjacent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purification tube (R) is moved by the rail unit 120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is located inside. A purification space 160 is placed adjacent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for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firstly purified organic matter (O) by creating a second vacuum environment inside, and the secondarily purified organic matter (O ) may be divided into a recovery space 180 that creates a third vacuum environment inside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in which the purification tube (R) is stored.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은 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제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부가 폐쇄적으로 독립된 진공 상태로 진행되어야 하며,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정제관(R)을 삽입하여야 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을 구분하도록 서로를 폐쇄시키면서도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는 동안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정제관(R)을 삽입하거나 회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개방되는 개폐모듈(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are formed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terior is closed and conducted in an independent vacuum state while the purification process is in progress, and the composition space ( In 140), the purification tube (R) must be inserted, and the purification tube (R) must be recovered in the recovery space (180), so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Th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90 is opened by the control module while the purification tube (R) is moved while closing each other to separate the purification tube (R), and is opened by the control module even when the purification tube (R) is inserted or retrieved. More may be included.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을 나누어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조성공간(120)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공간(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상기 개폐유닛(190)이 구비되되,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방부(192)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 사이에는 각각에서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서로를 구획시키면서도 각각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획부(194)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order to explain this more effectively, to explain each separately, first, the composition space 120 can be described, and the composition space 120 is equipp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units 190 at both ends as shown in FIG. 2. However, an opening 19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purification tube (R) can be stored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140 may be provided, and an opening 192 is provided between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A partition 194 may be provided to seal the interior of each space while partitioning i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ongoing purification process does not affect another adjacent partitioned space.

또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고, 1차 정제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정제관(R) 내부에 수납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히팅부(142), 상기 조성공간(140)을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펌프부(144) 및 상기 펌프부(144)를 통해 이동되는 공기 중의 물질을 응결시키는 냉각부(146)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and heat is provided to the purification tube (R) loc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proceed with the first purification process, thereby purifying the purification tube (R). A heating unit 142 for heating the organic matter (O) stored inside, a pump unit 144 for moving th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so as to create the composition space 140 into a first vacuum environment, and the pump. A cooling unit 146 may be provided to condense substances in the air moving through the unit 144.

아울러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는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레일유닛(12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unit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move the purification tube (R)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이 때, 상기 히팅부(14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기 정제관(R)을 향해 열기를 제공하여 상기 정제관(R) 내부에 위치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unit 142 provides heat toward the purification tube (R) loc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purify the organic matter (O) located inside the purification tube (R). It can be heated.

여기서 상기 히팅부(142)는 열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는 상기 조성공간(140)을 둘러싸는 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공간(140)과 직접적으로 맞닿도록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열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조성공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조성공간(140)을 둘러싼 케이스의 내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Here, the heating unit 142 may use a heating wire. In FIG. 2, it is shown as being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ase surrounding the composition space 140. However, if necessary, it can be used to directly contact the composition space 140. It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ase, and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provide heat more eff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surrounding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re may be a dog stationed there.

한편, 상기 펌프부(144)는 한 쌍의 스크류가 회전되면서 상기 조성공간(140)의 공기를 상기 조성공간(140)의 외부로 이동시켜 상기 조성공간(140)을 상기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mp unit 144 moves the air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the out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a pair of screws rotates to create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can do.

또한, 상기 펌프부(144)는 종래의 건식펌프를 바탕으로 기술하여 설명할 예정이나, 필요에 따라 오일펌프와 같이 진공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펌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ump unit 144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onventional dry pump, but if necessary, another pump capable of creating a vacuum environment, such as an oil pump,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상기 냉각부(146)는 상기 히팅부(142)에 의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열기가 제공되면서 공기 중에 증발된 수분이나 그 외 다른 화학적 물질이 상기 펌프부(144)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펌프부(144)에 이동되기 전에 냉각시켜 수분이나 화학적 물질 등의 불순물을 응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unit 146 prevents moisture or other chemical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from damaging the pump unit 144 while providing heat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by the heating unit 142. It can be cooled before being moved to the pump unit 144 to condense impurities such as moisture or chemical substances.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 내부는 외부의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in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can smoothly perform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without being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한편, 상기 정제공간(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고,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a space for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O) that was first purifi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shown in FIG. 3,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tube (R) in which the pur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by the rail unit 120, and the inside of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created as a second vacuum environment to remove the organic matter (O). Can be subjected to secondary purification.

여기서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제1 진공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진공상태를 조성하여 본 정제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보다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고진공 펌프부(162), 상기 조성공간(140)과 대응되는 펌프부(164), 냉각부(166) 및 히팅부(168)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Here, since the purification space 160 performs the purification process by creating a relatively high vacuum state compared to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the high vacuum pump unit 162 is used to suck air more effectively than the composition space 140. A pump unit 164, a cooling unit 166, and a heating unit 168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may be provided.

이 때, 상기 히팅부(142, 168), 상기 펌프부(144, 164) 및 상기 냉각부(146, 166)는 서로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각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경우는 제1 히팅부(142), 제1 펌프부(144), 제1 냉각부(146)로 명칭하고, 상기 정제과정(16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2 히팅부(168), 제2 펌프부(164), 제2 냉각부(166)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eating unit 142, 168, the pump unit 144, 164, and the cooling unit 146, 166 are each provid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in order to effectively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1 are referred to as the heating unit 142, the first pump unit 144, and the first cooling unit 146, and when provided in the purification process 160, the second heating unit 168 and the second pump unit ( 164) and the second cooling unit 166.

다만, 이와 같이 구분하는 것은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지만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에 구비되는 상기 히팅부(142, 166), 상기 펌프부(144, 164), 상기 냉각부(146, 166)는 서로 대응되는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발명의 설명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구분하는 것일 뿐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However, this division suggests that they may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but the heating units 142 and 166, the pump unit 144, and the heating units 142 and 166 provid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164), the cooling units 146 and 166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is distinction may be made to effectively understand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구획부(194)에 구분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정제공간(16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한 이후에는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 사이에 상기 구획부(194)가 구비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에는 상기 구획부(194)가 구비되어 서로가 구분될 수 있다.Meanwhile,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located adjacent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because it is a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R) that has been purified first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moved, and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It may be divided into the partition 194, and after performing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the purification tube (R) must be moved to the recovery space 180, so the composition space Similar to the partition 194 being provided between the purifica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the partition 194 is provided between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so that the partition 194 is provided between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can be distinguished.

또한, 상기 정제공간(160)도 상기 조성공간(140)과 유사하게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정제공간(160)을 가로지도록 상기 레일유닛(12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ining space 160, similar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provided with the rail unit 120 to cross the refining space 160 so that the refining tube (R)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refining process. It may be.

한편, 상기 회수공간(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제관(R)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정제공간(16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구획부(194)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부는 개방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부(192)가 구비되어 상기 회수공간(18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very space 180 is formed as a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R) is located, as shown in FIG. 4, and one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by the partition 194. They may be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92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recovery space 180 is completed, the opening 192 is opened and the purification pipe is opened. (R) can be recovered.

또한, 상기 회수공간(180)은 앞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제1 진공환경이 조성되어 1차 정제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제2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2차 정제과정을 수행한 것과 유사하게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상기 유기물(O)을 회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covery space 180, a first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perform a primary purification process, and a second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to perform a secondary purification process. Similar to performing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interior can be created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organic matter (O)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has been completed.

구체적으로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기 때문에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앞서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but to briefly explain, in the recovery space 180, the opening 192 is opened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so that the internal air pressure is A third vacuum environment can be created in the same state as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urification tube (R) previously he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can be cooled.

아울러 상기 회수공간(180)은 전달부(182)를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펌프부(144)와 연통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펌프부(144)를 통해서 상기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독립된 제3 펌프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covery space 18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pump unit 144 provid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rough the delivery unit 182, and the first pump unit 144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ump unit 144. A third vacuum environment can be created, and an independent third pump unit may be provided as needed.

여기서 상기 제1 펌프부(144)는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흡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Here, the first pump unit 144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outlet to discharge the air sucked from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recovery space 180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상기 정제과정 각각이 모두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190)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120)을 통해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is completed, respectivel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each of the purification processes in th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is complete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90) is opened to allow the purification tube (R) to enter the purification process through the rail unit (120). You can control it to move accordingly.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면 또 다른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회수공간(160)에서도 유사하게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completed and the purification tube (R)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purification tube ( The opening 192 can be opened to position R)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which allows the purification tube (R) to be recovered similarly in the recovery space 160. ) can be opened.

다만, 상기 조성공간(140)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부(192)는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된 이후에 개방되어 상기 정제공간(160)에 제2 진공환경이 과도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회수공간(180)은 상기 정제공간(160)의 작업이 종료되기 이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것이 상기 정제공간(160)의 제2 진공환경을 과도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opening 192 provid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opened after the purification tube (R)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so that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is excessive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overy space 180 from changing, and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by opening the opening 192 before the operation of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changes in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of (160).

즉, 상기 조성공간(140)의 상기 개방부(192)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이후, 상기 조성공간(140)의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어야 개방되지만, 상기 회수공간(180)은 상기 정제공간(160)의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기 이전에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192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opened only when the purification tube (R)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recovery space 180 can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by opening the opening 192 before the purification tube (R) is moved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아울러 상기 제어모듈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제어하여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고,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위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회수공간(160)은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되,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odule creates a first vacuum environment by controlling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creates a second vacuum environment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for the corresponding purification process. The recovery space 160 can be controlled to create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but can be controlled to be similar to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앞서 상술한 바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활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S10), 상기 1차 정제단계(S10)에서 1차적으로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S20), 상기 2차 정제단계(S20)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이 수용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S30) 및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판단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과정에 맞게 이동시키는 전달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 explain the organic material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organic material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the in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shown in FIG. A first purification step (S10) in which the organic material (O) is first purified by creating a first vacuum environment, and the organic material (O) primarily purified i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is purified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 a secondary purification step (S20) of secondary purification by creating a second vacuum environment, the organic matter (O) purified in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S20) is cooled in the recovery space 180, and the recovery A cooling recovery step (S30) in which the inside of the space 180 is created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R) containing the purified organic material (O),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and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10). A transfer step (S40) of determining whether the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are completed, and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R) containing the organic matter (O)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nd determination. )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1차 정제단계(S10)는 상기 조성공간(140)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일 수 있으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을 1차 정제하는 예비 정제과정일 수 있다.Here,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may be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may be a preliminary purification process of first purifying the organic material (O) as described above.

이 때, 상기 1차 정제단계(S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장입과정(S11), 상기 조성공간(140)을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상기 제1 펌프부(144)를 동작시키는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S12), 제1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팅부(142)를 동작시켜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S13) 및 앞서 조성된 제1 진공환경을 통해 상기 유기물(O)을 예비 정제하는 예비 정제과정(S14)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is a charging process (S11) of placing the purification tube (R) containing the organic matter (O)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shown in FIG. 6, A first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12) of operating the first pump unit 144 to create the creation space 140 into a first vacuum environment, and the first heating unit ( It may include a first heating process (S13) in which the organic substance (O) is heated by operating 142) and a preliminary purification process (S14) in which the organic substance (O) is preliminarily purified through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created previously. .

한편, 상기 2차 정제단계(S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정제단계(S10)가 종료된 이후,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이동되는 상기 전달단계(S40)가 수행되고, 상기 정제공간(160)이 상기 구획부(194)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펌프부(164) 및 고진공 펌프부(162)를 통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S21), 상기 제2 히팅부(168)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2차 가열하는 제2 가열과정(S22) 및 상기 제2 진공환경이 조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열과정(S22)을 지속하여 상기 유기물(O)을 2차 정제하는 본 정제과정(S23)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s shown in FIG. 7, after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is completed, the compartment 194 is opened by the control module and the purification tube (R) The transfer step (S40) of moving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performed, and the second pump unit 164 and the high vacuum pump unit ar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closed to the partition 194. A secon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21) of creating a second vacuum environment through (162), a second heating process (S22) of secondary heating of the organic material (O) through the second heating unit 168, 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the second heating process (S22) may be continued to perform a main purification process (S23) for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O).

여기서 상기 제2 진공환경은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진공환경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기압 상태, 즉, 더 높은 진공환경을 의미할 수 있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may mean a relatively lower atmospheric pressure state than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that is, a higher vacuum environment.

한편,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정제단계(S10) 및 상기 2차 정제단계(S20)를 통해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시키는 냉각과정(S31),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S32) 및 상기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S32)을 통해 외부 대기압과 유사한 상태에서 냉각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도록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는 회수과정(S33)으로 구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is a cooling process (S31) of cooling the purification tube (R) heated through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and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s shown in FIG. ), a thir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32) for creating the inside of the recovery space 180 into a third vacuum environment, and the purification tube cooled in a state similar to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the thir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32). It can be divided into a recovery process (S33) of opening the opening 192 to recover (R).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모두 개별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can all be performed individually. Specifically,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the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또한,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상기 냉각회수단계(S30)가 개별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조성공간(140)에 상기 정제관(R)을 장입하고,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are operated individually, the purification tube is install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so that this process is continuously repeated. It may further include a repeat step of charging (R) and recovering the purification tube (R) from the recovery space (180).

앞서 상술한 바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정제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의 히팅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9 to 10 may be referred to in order to more easily understand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FIG. 9 sequentially shows the purification process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shown for explanation and FIG. 10 are diagrams shown to explain the heating unit of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기물(O)을 상기 정제관(R)에 수납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정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material (O) can be stored in the purification tube (R), and the organic material (O) can be purified through the organic material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re is.

상술한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1차 정제단계(S10)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유기물(O)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조성공간(140)으로 장입하는 상기 장입과정(S11)을 수행하고,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성공간(140)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S12)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펌프부(144)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냉각부(146)를 동작시키고, 상기 제1 히팅부(142)를 통해 상기 유기물(O)을 가열하는 제1 가열과정(S13)을 수행할 수 있다.To describe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more detail, first, the charging process ( S11) is performed, and a first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12) is performed to create the in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as a first vacuum environment while the purification tube (R) is loc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A first heating process (S13) in which the first pump unit 144 is operated and the first cooling unit 146 is operated simultaneously, and the organic material (O) is heated through the first heating unit 142. )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과정을 지속하는 상기 예비 정제과정(S14)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정제단계(S10)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성공간(140)에 위치되었던 상기 정제관(R)을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상기 레일유닛(120)을 통해 이동시키고, 상기 구획부(194)는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에 위치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을 격리하는 상기 전달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eliminary purification process (S14) that continues this process is perform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is completed, the purification tube (R) locat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moved through the rail unit 120, and the partition 194 is closed while the purification tube (R) is located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thereby forming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tablets. The transfer step (S40) can be performed to isolate the space 160.

이와 동시에 상기 조성공간(140)은 상기 개방부(192)를 통해 내부를 개방하여 새로운 상기 정제관(R)을 내부에 위치시키고 앞서 상술한 상기 제1 정제단계(S10)를 재차 수행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can be opened through the opening 192, the new purification tube (R) can be placed inside, and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described above can be performed again.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며, 상기 조성공간(140)과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 기압은 서로 평균치를 유지하도록 변화되며,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제2 펌프부(164) 및 고진공 펌프부(162)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며, 상기 정제공간(160)의 내부 기압은 상대적으로 평균상태의 대기압보다 낮아진 상태이므로 제2 진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내부 기압을 낮추는 과정의 시간적 소요가 줄어들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partition 194 is opened,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are changed to maintain each other's average value,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operated by the second pump. The unit 164 and the high vacuum pump unit 162 are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to create a second vacuum environment, and since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average atmospheric pressure,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lower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to create an environment can be reduced.

이 때,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상기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S21)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히팅부(168)를 동작시켜 상기 제2 가열과정(S22)을 진행하며, 이와 같은 상태를 지속하는 본 정제과정(S23)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는 상기 제1 정제단계(S10)가 수행되고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21) is performed in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68 is operated to proceed with the second heating process (S22). The main purification process (S23)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may be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한편, 상기 제2 정제단계(S20)가 종료된 경우,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상기 정제관(R)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에 위치된 상기 구획부(194)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의 내부 기압은 다시 평균으로 맞춰질 수 있으며,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정제공간(160)에서 상기 회수공간(180)으로 이동되고 난 후에는 상기 구획부(194)를 통해 서로를 격리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is completed, the compartment located between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to move the purification tube (R) to the recovery space 180. By opening the unit 194,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can be adjusted to the average again, and the rail unit 120 allows the purification pipe (R) to be adjusted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 can be isolat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partition 194 after being moved to the recovery space 180.

이 때, 상기 회수공간(180)에서는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를 수행하고, 상기 조성공간(140)에서 상기 정제공간(160)으로 또 다른 상기 정제관(R)이 이동되어 상기 정제공간(160)에서는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수행되는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와 동시에 상기 2차 정제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is performed in the recovery space 180, and another purification pipe (R) is moved from the composition space 140 to the purification space 160 to form the purification space 160. ),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S20)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performed in the recovery space (180).

또한, 상기 조성공간(140)에서도 상기 2차 정제단계(S20)와 상기 냉각회수단계(S30)와 함께 상기 1차 정제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may be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along with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즉, 서로 구획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상기 정제과정이 개별적으로 진행되며, 지속적으로 상기 정제단계를 진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hat is, the purific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dividually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which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there may be an effect of continuously progressing the purification step. .

한편, 상기 회수공간(180)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O)을 회수하는 공간이므로, 상기 히팅부(142, 168)에 의해 가열된 상기 정제관(R)을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과정(S31)을 수행하면서도, 상기 개방부(192)가 열리면서 외부와의 기압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질소 및 비활성 가스로 대기압을 갖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recovery space 180 is a space for recovering the secondary purified organic matter (O), the cooling process (S31) of cooling the purification tube (R) heated by the heating units (142, 168) While performing this, the opening 192 can be opened to maintain atmospheric pressure using nitrogen and inert gas so that there is no atmospheric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 모두 독립적인 진공환경인 제1 진공환경 및 제2 진공환경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both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can be made to have a first vacuum environment and a second vacuum environment, which are independent vacuum environments.

또한, 상기 전달단계(S04)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진공환경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기 구획부(194)가 기압차에 의해 개방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달단계(S04)가 수행되기 이전에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의 진공환경을 서로 동일한 제4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전달 진공환경 조성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delivery step (S04), the vacuum environment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are set differently, which causes the partition 194 In order to prevent opening from being difficult due to pressure difference, the vacuum environment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are kept the same before the delivery step (S04) is performed. The transfer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to create the fourth vacuum environment can be performed separately.

이에 따라,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은 각각이 개방되어 외부의 대기압과 유사한 환경으로 변화하며,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과 상기 구획부(194)에 의해 독립적으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제공간(160)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공환경의 변화가 최소화되어 정제과정에서 제2 진공환경을 재 조성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recovery space 180 are each opened to change into an environment similar to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formed by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recovery space 180. ) and the partition 194, the purification space 160 has relatively minimal changes in the vacuum environment compared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recovery space 180, so that it can be used during the purification process. There may also be an effect of shortening the time to recreate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즉, 상기 개방부(192)를 개방하여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고, 상기 개방부(192)가 폐쇄된 이후에 제1 펌프부(144)를 이용하여 제1 진공환경을 재차 조성하고, 상기 정제 공간(160)의 고진공 펌프부(162)의 작동을 중지한 상태에서 제4 진공환경을 조성하여 상기 정제공간(160)과 상기 회수공간(180) 사이의 상기 구획부(194)가 개방되어 상기 정제관(R)이 상기 레일유닛(12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e purification tube (R) is recovered by opening the opening 192, and after the opening 192 is closed,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again using the first pump unit 144, The partition 194 between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is opened by creating a fourth vacuum environmen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igh vacuum pump unit 162 of the purification space 160 is stopped. Thus, the purification pipe (R) can be moved by the rail unit (120).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정제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나, 상기 제1 히팅부(142)와 상기 제2 히팅부(168)는 직접 전류를 통해 가열되는 열선 형태가 아닌 외부의 유도가열코일(C)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에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the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l other configurations the same as shown in FIG. 10, but include the first heating unit 14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68. ) is heated by an external induction heating coil (C) rather than in the form of a heating wire heated directly through electric current, and can provide heat to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여기서 상기 유도가열코일(C)은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정제공간(160)의 외부, 즉,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가열코일(C)이 구비되는 위치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 히팅부(142) 및 상기 제2 히팅부(168)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Here, the induction heating coil (C)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space 160, that is, outside the case,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the induction heating coil ( The location where C) is provided may not necessarily be limited, and this may also apply to the first heating unit 142 and the second heating unit 168.

앞서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60)은 서로 구획된 공간으로 개별적으로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걸리는 시간적 차이가 있더라도 종래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는 본 발명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와 같이 구획된 공간별 상기 정제과정이 수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시간적 소요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To briefly explai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60 are partitioned spaces and can individually perform the respective purification process. ,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each, th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dramatically reduce the time required due to the purification process not being performed in each partitioned space, like th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some effect.

아울러 앞서 여러 차례 언급하였지만 상기 1차 정제단계(S10), 상기 2차 정제단계(S20)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S30)는 서로 개별적으로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에서 구분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정제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고진공 펌프부(162)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조성공간(140), 상기 정제공간(160) 및 상기 회수공간(180)을 제4 진공환경으로 조성하고, 구획부(192)가 개방되면서 인접한 공간끼리 영향을 주어 서로의 내부 기압을 평균으로 형성하므로, 상기 정제공간(160)의 진공환경을 과도하게 변경하지 않으면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진공환경, 제2 진공환경,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걸리는 시간적 소요 또한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as mentioned several times before, the first purification step (S10),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S20),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S30) are individually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140, the purification space 160, and the Since it is carried out separately in the recovery space 180, there may be an advantage in that the purification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by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igh vacuum pump unit 162,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purification The space 160 and the recovery space 180 are created as a fourth vacuum environment, and as the partition 192 is opened, adjacent spaces influence each other to average each other's internal air pressure, so that the purification space 160 Since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without excessively changing the vacuum environment, there may be an advantage in that the time required to create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the second vacuum environment, and the third vacuum environment can also be dramatically shortened.

한편, 상기 조성공간(140) 및 상기 회수공간(160)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자동화되어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정제관(R)을 장입하고, 상기 정제관(R)을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챔버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space 140 and the recovery space 160, the purification tube (R) is charged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as needed, and the purification tube (R) is recovered. Separate chambers may each be provided.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We have looked a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will be.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 유도가열코일
O: 유기물
R: 정제관
100: 본체모듈
120: 레일유닛
140: 조성공간
142: 제1 히팅부
144: 제1 펌프부
146: 제1 냉각부
160: 정제공간
162: 고진공 펌프부
164: 제2 펌프부
166: 제2 냉각부
168: 제2 히팅부
180: 회수공간
182: 전달부
190: 개폐유닛
192: 개방부
194: 구획부
S10: 1차 정제단계
S11: 장입과정
S12: 제1 진공환경 조성과정
S13: 제1 가열과정
S14: 예비 정제과정
S20: 2차 정제단계
S21: 제2 진공환경 조성과정
S22: 제2 가열과정
S23: 본 정제과정
S30: 냉각회수단계
S31: 냉각과정
S32: 제3 진공환경 조성과정
S33: 회수과정
S40: 전달단계
C: Induction heating coil
O: organic matter
R: purification pipe
100: Main body module
120: Rail unit
140: Construction space
142: First heating unit
144: First pump unit
146: first cooling unit
160: Refining space
162: High vacuum pump unit
164: Second pump unit
166: second cooling unit
168: Second heating unit
180: Recovery space
182: transmission unit
190: Opening and closing unit
192: opening
194: compartment
S10: First purification step
S11: Charging process
S12: First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13: First heating process
S14: Preliminary purification process
S20: Second purification step
S21: Secon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22: Second heating process
S23: Main purification process
S30: Cooling recovery step
S31: Cooling process
S32: Third vacuum environment creation process
S33: Recovery process
S40: Delivery stage

Claims (12)

유기물이 수용된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정제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로서,
상기 정제관이 위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에서 상기 유기물을 정제하기 위한 서로 다른 과정이 진행되는 본체모듈; 및
상기 구획된 공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된 공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내부 기압을 상기 구획된 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일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정제관이 상기 구획된 공간 사이를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모듈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구획된 공간의 배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을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레일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It is an organic matter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that purifies a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organic matter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 main body module in which the space where the purification tube is located is divided to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nd different processes for purifying the organic matter are carried out in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and
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hat individually controls the partitioned space in a closed state to create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air pressure in the partitioned space,
The main body module is,
It is form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artitioned space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urification tube sequentially moves between the partitioned spaces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main body module is,
Further comprising a rail uni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rtitioned space, and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to move the purification tube to another adjacent partitioned space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정제관이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다수의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성공간;
상기 조성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상기 정제과정에 따라 상기 정제관이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조성공간에서 내부로 이동되고, 내부를 제2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2차 정제하는 정제공간; 및
상기 정제공간과 인접한 또 다른 상기 구획된 공간은 2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도록 제3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회수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body module is,
a composition spac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ed spaces in which the organic matter is first purified by creating a first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purification tube while it is located inside;
In another partitioned space adjacent to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tube is moved inward from the composition space through the rail unit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and the inside is created as a second vacuum environment to purify the organic material that has been primarily purified. Refining space for secondary refining; and
Another partitioned space adjacent to the purification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recovery space for creating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secondary purified organic material,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상기 회수공간이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서로 다른 진공환경으로 조성되기 위해 각각이 개폐유닛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ain bod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are each partitioned by an opening and closing unit to create different vacuum environments by the control modul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수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에서 각각 진행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모두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개폐유닛을 개방시켜 상기 레일유닛을 통해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trol module is,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is completed,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respectively, is determined to be comple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opened to move the purification pipe through the rail unit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회수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정제과정이 종료된 경우, 내부의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기 위해 내부의 기압을 외부의 대기압과 동일하도록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rol module is,
When the purification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recovery space is completed, the interior is created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so that the interior atmospheric pressure is equal to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in order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insid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공간은,
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되어 상기 유기물을 가열하도록 열기를 제공하는 히팅부;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동작되어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도록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조성공간과 상기 펌프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히팅부에 의해 증발되는 불순물을 응결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mposition space is,
A heating unit that operates in a closed state and provides heat to heat the organic material;
a pump unit operated by the control module to discharge internal air to the outside to create a first vacuum environment; and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composition space and the pump unit to condense impurities evaporated by the heating unit.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외부의 대기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기압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성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진공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In clause 7,
The pump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vacuum environment is created by sucking air from the composi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to maintain an air pressure relatively lower tha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In clause 7,
The heating unit,
Characterized by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조성공간, 상기 정제공간 및 상기 회수공간은 복수개가 서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ain bod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omposition space, the purification space, and the recovery space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물 진공 정제장비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정제하는 정제방법으로서,
상기 본체모듈의 조성공간의 내부를 제1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유기물을 1차 정제하는 1차 정제단계;
상기 1차 정제단계에서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본체모듈의 정제공간에서 제2진공환경을 조성하여 2차 정제하는 2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에서 정제된 상기 유기물을 상기 본체모듈의 회수공간에서 냉각하고, 상기 회수공간의 내부를 제3 진공환경으로 조성하여 상기 정제관을 회수하는 냉각회수단계; 및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및 상기 냉각회수단계의 종료여부를 판단하고, 종료여부에 따라 상기 유기물이 수납된 상기 정제관을 정제과정에 따라 이동시키는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물 정제방법.
A purification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substances using the organic vacuum purification equipment of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10,
A first purification step of first purifying the organic matter by creating a first vacuum environment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of the main body module;
A secondary purification step of secondary purification of the organic material primarily purified in the primary purification step by creating a second vacuum environment in the purification space of the main body module;
A cooling and recovery step of cooling the organic matter purified in the secondary purification step in the recovery space of the main body module and creating the inside of the recovery space as a third vacuum environment to recover the purification tube; and
A delivery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purification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are completed, and moving the purification tube containing the organ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urification process depending on whether the first purification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are complete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정제단계가 종료되어 1차 정제된 상기 유기물이 상기 정제공간으로 이동되면, 상기 정제관을 상기 조성공간 내부에 배치하여 상기 1차 정제단계, 상기 2차 정제단계, 상기 냉각회수단계가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정제과정을 수행하는 반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When the first purification step is completed and the first purified organic material is moved to the purification space, the purification tube is placed inside the composition space so that the first purification step, the second purification step, and the cooling recovery step are individually performed.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repeat step of performing a repeated purification process,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KR1020210070611A 2021-06-01 2021-06-01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6578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en) 2021-06-01 2021-06-01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en) 2021-06-01 2021-06-01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01A KR20220162301A (en) 2022-12-08
KR102657899B1 true KR102657899B1 (en) 2024-04-17

Family

ID=8443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611A KR102657899B1 (en) 2021-06-01 2021-06-01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89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34A (en) * 1999-07-22 2001-04-03 Hoei Shokai:Kk Treating device and treating method
KR102176768B1 (en) 2020-01-28 2020-11-10 정훈도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137A (en) * 2010-10-25 2012-06-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inner glass tube unit thereof
KR20130049935A (en) * 2011-11-07 2013-05-15 황순규 Tube for sublimation purifying
KR101597007B1 (en) * 2013-12-0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Sublimation refining apparatus and sublimation refin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97249B1 (en) * 2018-09-12 2021-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Sublimation purifying apparatus and sublimation purify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7734A (en) * 1999-07-22 2001-04-03 Hoei Shokai:Kk Treating device and treating method
KR102176768B1 (en) 2020-01-28 2020-11-10 정훈도 Sublim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01A (en)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71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JP6741594B2 (en) System for depositing one or more layers on a substrate supported by a carrier, and methods of using the system
JP5072184B2 (en) Deposition method
TWI330382B (en) Manufacturing apparatus
US581736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apparatus therefor
JP53119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KR101707165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ing device
CN1679375B (en) Fabrication system, light-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organic compound-containing layer
JP4842988B2 (en) Apparatus for depositing protective film layer and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JP4481925B2 (en) Multi vacuum deposition system
JP4570403B2 (en) Evaporation apparatus, 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evaporation apparatus in vapor deposition apparatus
JP5042195B2 (en) Deposition mask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KR102059069B1 (en) Manufacturing device of light emitting element
KR102657899B1 (en) Organic matter uum purification equipment and organic matter pur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H08111285A (en) Manufacture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its device
WO2016123853A1 (en) Vapor deposition and material replacement integrated device and use method therefor
KR101304350B1 (en) Apparatus for mass sublimation purification
JP4467876B2 (en) Light emitting device
JP5068924B2 (en) Continuous sealing processing furnace and sealing processing method for glass panel assembly
KR102377850B1 (en) Heat treatment apparatus, heat treatment method, computer storage medium an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KR101516713B1 (en) In-line nitrogen furification system of oled encapsulation process
JP6833610B2 (en) Evaporative Sources for Organic Materials, Devices with Evaporative Sources for Organic Materials, Systems with Evaporative Accumulation Devices Containing Evaporative Sources for Organic Materials, and Methods for Manipulating Evaporative Sources for Organic Materials
CN106337165B (en) Deposition source,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deposition apparatus
CN101068949A (en) Film forming device, thin-film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ilm forming method
KR101225212B1 (en) Ole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