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400B1 -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400B1
KR102654400B1 KR1020180114734A KR20180114734A KR102654400B1 KR 102654400 B1 KR102654400 B1 KR 102654400B1 KR 1020180114734 A KR1020180114734 A KR 1020180114734A KR 20180114734 A KR20180114734 A KR 20180114734A KR 102654400 B1 KR102654400 B1 KR 10265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t
channel
base station
control channe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9443A (en
Inventor
예충일
김철순
문성현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4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RLLC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변경하여 생성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slot to at least one terminal, and receiving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data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and gener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based on the URLLC data by changing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and transmitting it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Description

TDD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저지연 통신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Low-latency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제어를 바탕으로 한 저지연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w-delay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in a TDD-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급증하는 고속 무선 데이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추가 주파수 대역 확보는 한정된 주파수 자원으로 인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한 방편으로 기존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인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이동 통신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TDD 방식은 데이터(사용자 트래픽이라고도 함) 특성에 따라 다양한 무선 프레임(frame)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하향링크 상의 비대칭적인 자원할당을 통해 상하향링크의 데이터 수요 상황을 맞추면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Securing additional frequency bands to meet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high-speed wireless data is not easy due to limited frequency resources. As a way to address this, the development of TDD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 technology for efficient use of existing frequency bands, is actively underway. The TDD method, which uses the same frequency band for uplink and downlink, can configure various wireless fram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ata (also called user traffic). In other words, through asymmetric resource allocation on the up and downlinks, frequencies can be used efficiently while matching data demand conditions in the uplink and downlinks.

한편, 제4 세대 이동통신보다 최소한 10~100배의 데이터 전송율인 Gbps(Giga bps) 급 지원을 목표로 하는 제5 세대 이동통신은 기존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수십 GHz(Giga Her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 제5 세대 이동 통신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율 지원을 위한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뿐만 아니라 사물 인터넷 지원을 위한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와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또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Meanwhile,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which aims to support the Gbps (Giga bps) level, which is at least 10 to 100 times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covers not only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but also several tens of GHz (Giga Herz) frequency band. Includes.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includes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to support ultra-high data rates, as well a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to support the Internet of Things and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We also aim to provide support.

URLLC 지원을 위해서는 종래보다 짧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및 다양하고 즉각적인 가변 슬롯 구조의 활용 및 제어 기법이 필요하다.To support URLLC, a shorter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than before and utilization and control techniques of various and instantaneous variable slot structures are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TDD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송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transmission device to support high-reliability, low-latency communic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DD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 receiving device to support high-reliability, low-latency communic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TDD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eceiving device for supporting high-reliability, low-latency communic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RLLC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변경하여 생성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의 상기 제2 제어 채널로의 변경은 상기 제2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의 하나 이상의 부반송파들을 통해 전송되는 변경 신호 정보 및 제2 제어채널용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통지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slot to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data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gener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based on the URLLC data by changing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A step of transmitting to one or more terminals, wherein the change of the downlink data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transmitted through one or more subcarriers of a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 to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assigned. The terminal is notified through at least one of change signal information 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본 발명에 의하면,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을 바탕으로 한 동적 TDD 프레임 및 슬롯에 대한 구성 방법과 제어 방법을 통해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igh-reliability, low-latency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a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for dynamic TDD frames and slots based on dynamic resource allocation in a TDD-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5G NR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적 TDD 운영을 위한 슬롯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위치에 따른 링크 간섭 발생의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5G NR에서의 동적 TDD를 위한 슬롯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a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d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 동적 TDD 및 기지국 협력 기술의 운영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5G NR에서 동적 TDD 동작을 위한 슬롯을 사용한 통신시 발생하는 HARQ 처리 지연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통신을 위한 동적 TDD 방식의 슬롯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방식에서의 저지연 통신을 위한 제2 제어 채널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방식에서의 저지연 통신을 위한 제2 제어 채널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a slot structure for dynamic TDD operation in a 5G N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link interfere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lot configuration for dynamic TDD in 5G NR.
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bandwidth portion and dynamic TDD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Figure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bandwidth portion and dynamic TDD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bandwidth portion and dynamic TDD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FIG. 6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bandwidth portion, dynamic TDD, and base station cooperation technology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HARQ processing delay situation that occurs during communication using a slot for dynamic TDD operation in 5G NR.
Figure 8 is a flowchart explain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dynamic TDD slot for low-dela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for low-delay communication in a dynamic TD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for low-delay communication in a dynamic TD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overall understanding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may be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network”.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support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use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wideband CDMA (WCDMA), a communication protocol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C (single carrier)-FDMA-based communication protocol,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s, etc.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a memory 220,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230 that is connected to a network and performs communication.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 storage device 260, etc.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is connected by a bus 27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owever,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individual interface or individual bus centered on the processor 210, rather than the common bus 270. For example, the processor 21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th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230, the input interface device 240, the output interface device 25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The processor 2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 (user equipment). ) may include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terminal 130-3,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terminal 130-2,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fifth terminal 130-5, and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 The first terminal 130-1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Radio base station, radio transceiver, access point, access node, road side unit (RSU), digital unit (DU), cloud digital unit (CDU) , may be referred to as a radio remote head (RRH), radio unit (RU), transmission point (TP),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relay node, gNB, etc. A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include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mobile terminal, It may be referred to as a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node, a device, etc.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Each may support cellular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advanced (LTE-A), 5G new radio (NR) specified in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etc.).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a different frequency band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ideal backhaul or non-ideal backhaul, and ideal backhaul Alternatively,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a core network (not shown) through ideal backhaul or non-ideal backhaul.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 -4, 130-5, 130-6),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sent to the core network. can be transmitted to.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다운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SC-FDMA 기반의 업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can support OFDMA-based downlink transmission and SC-FDMA-based uplink ) can support transmission.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e.g., single user (SU)-MIMO, MU (multi user)-MIMO, massive MIMO, etc.), 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arrier aggreg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device to device (D2D) ) may support communication (or ProSe (proximity services), etc.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a base station Operations corresponding to (110-1, 110-2, 110-3, 120-1, 120-2), by the base station (110-1, 110-2, 110-3, 120-1, 120-2) Supported operations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 signal can b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lternatively,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based on the M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an each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by the MU-MIMO method.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CoMP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terminal 130-4 can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using the CoMP metho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has a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ased on 130-5, 130-6) and CA methods.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each coordinate D2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oordination), and each of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communicates D2D through coordination with each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TDD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고신뢰성 저지연 통신 기술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and high-reliability, low-latency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ll be described. Here, even when a method performed in a first communication node among the communication nodes (e.g.,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a signal)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second communication node is a method corresponding to the method perform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node. (For example, receiving or transmitting a signal) can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can perform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Conversely, when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is described,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n perform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URLCC 구현을 목표로 한다. 무선 구간에서 저지연과 고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과 RTT(round trip time)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 방식의 무선 프레임(이하 프레임) 구조의 재설계와 제어 신호의 타이밍(timing)과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절차 등 재설계가 필요하다.As mentioned above,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ims to implement URLCC. In order to ensure low delay and high reliability in the wireless section, th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and round trip time (RTT) must be reduced.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conventional wireless fr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ame) structure, timing of control signals, and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dures.

특히, 제한된 지연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재전송 횟수의 제한, 전송의 고신뢰성 등이 필요하다. 지연 시간에 민감한 트래픽(traffic)에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시스템 관점의 무선 자원 관리를 통해 저지연 시간과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채널 상태와 필요성에 따라 자원 할당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이동 상태와 응용 서비스를 예측하여 QoS(quality of service) 제약에 따라 자원을 선제적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guarantee a limited delay time, a limit on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and high reliability of transmission are necessary. By allocating resources preferentially to traffic sensitive to latency, low latency and reli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wireless resource management from a system perspective. In addition, rather than determining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current channel status and needs, resources can be preemptively allocated according to QoS (quality of service) constraints by predicting the user's movement status and application services.

또한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표준 규격 중 하나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NR(new radio)(이하 NR이라 칭함)에서는 종래 20MHz 최대 대역폭과 15kHz 단일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과 달리 5MHz부터 400MHz까지의 광대역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하나의 scs만으로는 전체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렵다. In addition,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NR (new rad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NR), one of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tandards, uses a 5MHz maximum bandwidth and 15kHz single subcarrier spacing (scs), unlike the conventional 20MHz maximum bandwidth and 15kHz single subcarrier spacing (scs). Since the goal is to support wide bandwidth from 400MHz to 400MHz,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manage the entire bandwidth with only one scs.

그래서 주파수 대역폭 별로 scs 간격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관련하여 scs 간격에 따른 슬롯(slot) 및 미니 슬롯(mini-slot)을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넓은 scs를 사용하면 한 슬롯의 길이가 반비례적으로 짧아지게 되어 무선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methods of differentially applying scs intervals for each frequency bandwidth are being studied. In relation to this, methods of applying slots and mini-slots according to the scs interval are being studied. If a wide scs is used, the length of one slot is inversely shortened, thereby reducing transmission delay in the wireless section.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URLLC 구현에 필수적이어서 종래 슬롯 단위의 스케줄링(scheduling)외에도 미니 슬롯(일례로 2 OFDM 심볼, 4 OFDM 심볼, 7 OFDM 심볼로 이루어진 슬롯) 단위 스케줄링이 연구되고 있다(기본적으로 NR에서는 슬롯을 스케줄링의 기본단위로 하며, 한 슬롯에 들어가는 OFDM 심볼의 개수를 scs 간격과 무관하게 14심볼로 하고 있음)This is essential for implementing URLLC required by 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so in addition to conventional slot-based scheduling, mini-slot (e.g., slots consisting of 2 OFDM symbols, 4 OFDM symbols, and 7 OFDM symbols) unit scheduling This is being studied (basically, in NR, a slot is the basic unit of scheduling,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in one slot is set to 14 symbols regardless of the scs interval)

또한 NR에서는 다양한 슬롯 길이, 미니 슬롯의 사용 및 서로 다른 scs를 사용하는 전송 방식에 대해 심볼 레벨의 시간 정렬을 사용함으로써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eMBB, ULRCC 등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다중화시킬 수 있도록한다. 그리고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하나의 슬롯 내의 OFDM 심볼 레벨로 정의한다.In addition, NR uses symbol-level time alignment for various slot lengths, use of mini-slots, and transmission methods using different scs to efficiently multiplex various services such as eMBB and ULRCC in the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do. And uplink and downlink resource allocation is defined at the OFDM symbol level within one slot.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지연을 줄이기 위해 전송 슬롯 내에서 바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는 슬롯 구조(self-contained slot 구조라 함)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동적 TDD 방식을 도입하여 트래픽(traffic) 특성에 따라 개별 셀의 전송 방향을 자유롭게 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동적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To reduce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delay, a slot structure (referred to as self-contained slot structure) that can transmit HARQ ACK (acknowledgement)/NACK (non-acknowledgement) directly within the transmission slot can be used. In addition, by introducing a dynamic TDD method,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individual cells can be freely and dynam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raffic characteristics. Next, the dynamic TDD (time division duplex) method is explained.

도 3은 5G NR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적 TDD 운영을 위한 슬롯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a slot structure for dynamic TDD operation in a 5G N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3을 참조하면, SCS에 따라 슬롯의 길이가 변하고, 슬롯 당 심볼의 개수가 변하는 NR에서의 슬롯 구조를 나타낸다. 종래 3GPP LTE 및 LTE-A에서의 TDD 방식은 7가지 서브프레임 구성(configuration)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1ms 서브프레임 단위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할당하였다.Referring to FIG. 3, it shows a slot structure in NR in which the length of the slot changes depending on the SCS and the number of symbols per slot changes. Conventionally, the TDD method in 3GPP LTE and LTE-A allocates uplink and downlink in 1ms subframe units using one of seven subframe configuration methods.

반면에, 동적(dynamic) TDD는 동일한 반송파 내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에서 전달되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슬롯, 심볼 등을 구성함에 있어서, 슬롯을 구성하는 심볼의 수, 슬롯 내 각 상하량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이를 채널이라 칭함)를 구성하는 심볼의 수, 슬롯 내 각 채널의 위치 및 절체(switchover) 심볼의 수를 슬롯 단위로 자유롭게 변화(동적으로)하여 자원 할당하는 방식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dynamic TDD configures subframes, slots, symbols, etc. within a radio frame transmitted in the uplink and downlink within the same carrier, including the number of symbols constituting the slot and each uplink and downlink data within the slot. It refers to a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by freely changing (dynamically) the number of symbols constituting control information (referred to as a channel), the position of each channel within a slot, and the number of switchover symbols on a slot-by-slot basis.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scs(15kHz, 30kHz, 60kHz)에 대한 scs별 슬롯 당 변동 심볼 할당(14개, 2개, 4개, 7개)의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kHz scs에서 슬롯 당 14개 심볼을 가지는 슬롯(310)과 2개의 심볼을 가지는 슬롯(340), 30kHz scs에서 슬롯 당 14개 심볼을 가지는 슬롯(320)과 4개의 심볼을 가지는 슬롯(350) 및 60kHz scs에서 슬롯 당 14개 심볼을 가지는 슬롯(330)과 7개의 심볼을 가지는 슬롯(360)이 도시되어 있다(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 구성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3, the case of variable symbol allocation (14, 2, 4, 7) per slot per scs for various scs (15kHz, 30kHz, 60kHz) is shown, specifically in 15kHz scs. Slot 310 with 14 symbols per slot and slot 340 with 2 symbols at 30 kHz scs, slot 320 with 14 symbols per slot and slot 350 with 4 symbols at 60 kHz scs A slot 330 with 14 symbols per slot and a slot 360 with 7 symbols are shown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vary depending on system configuration).

동적 TDD에서는 이러한 슬롯 당 할당되는 OFDM 심볼을 필요에 따라 슬롯 단위로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용,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용,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상하향링크 절체 구간용 등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동적 TDD의 슬롯 할당의 예로, 슬롯의 선두에 해당 슬롯의 하향링크 할당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용 OFDM 심볼,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하항링크 데이터가 할당되는 OFDM 심볼, 상하향링크 전환 구간에 해당 하는 심볼 및 상향링크 할당에 관한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심볼로 이루어진 슬롯(370)으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In dynamic TDD, OFDM symbols allocated per slot are divided into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downlink data transmission,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plink data transmission, uplink and downlink transfer section, etc. on a slot-by-slot basis as needed. Can be assign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as an example of slot allocation in dynamic TDD, an OFDM symbol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downlink allocation of the slot at the head of the slot, downlink data for one or more terminal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lot 370 with an OFDM symbol to which is allocated, a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link and downlink switching section, and a symbol to which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uplink allocation is allocated.

이와 달리 슬롯의 선두에 해당 슬롯의 하향링크 할당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 심볼, 상하향링크 전환 구간에 해당 하는 심볼,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상항링크 데이터가 할당되는 심볼 및 상향링크 할당에 관한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심볼로 이루어진 슬롯(380)으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동적 TDD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슬롯 할당에 구애되지 않고, 시스템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슬롯 및 슬롯 내 심볼 구성이 가능하다. In contrast, a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ymbol containing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the downlink al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lot at the head of the slot, a symbol corresponding to the uplink and downlink switching section, a symbol to which uplink data for one or more terminals is allocated, and uplink alloc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slot 380 consisting of symbols to which control information regarding is assigned. In dynamic TD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various slots and symbols within slots according to the system situation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lot allocation shown in FIG. 3.

한편 이러한 동적 TDD가 적용되면, 셀간 간섭 및 타 셀 단말로부터의 간섭 문제(링크 간섭)를 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적 TDD를 이용한 링크 간섭 완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when such dynamic TDD is applied, inter-cell interference and interference problems (link interference) from other cell terminals can be alleviated. Next, a method for mitigating link interference using dynamic TDD will be described.

도 4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위치에 따른 링크 간섭 발생의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of link interfere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405), 기지국2(410), 단말1(415), 단말2(420) 및 단말3(425)로 이루어진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기지국 영역 내 위치와 통신 링크의 방향에 따른 링크 간섭 상황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4,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sisting of base station 1 (405), base station 2 (410), terminal 1 (415), terminal 2 (420), and terminal 3 (425),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ithin the base station area and the communication link Indicates the link interference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405)이 송신 모드로서 하향링크 전송(450)을 시도하고 기지국2(410)는 수신 모드인 경우, 기지국1(405)이 전송하는 신호(450)가 기지국2(410)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는 단말1(415)이 상향링크 전송(460)을 하고, 단말2(420)가 수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1(415)이 전송하는 신호가 단말2(420)에게 간섭으로 작용할 수 있다(이를 링크 간섭이라 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base station 1 (405) attempts downlink transmission 450 in transmission mode and base station 2 (410) is in reception mode, the signal 450 transmitted by base station 1 (405) is transmitted by base station 2. It may act as interference to (410). Alternatively, when terminal 1 (415) performs uplink transmission (460) and terminal 2 (420) operates in reception mode, the signal transmitted by terminal 1 (415) may act as interference to terminal 2 (420) ( This is called link interference).

기지국1(405)의 제1 영역(435)이 기지국2(410)의 제1 영역(445)과 충분히 이격되어 있는 경우, 각 기지국의 제1 영역 내 위치한 단말들(미도시)과 통신을 하는 경우 링크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1(405)의 제1 영역(430)은 해당 영역 내 위치한 단말과 기지국1(405)이 통신 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내의 단말에게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하고, 기지국2(410)의 제1 영역(440)은 해당 영역 내 위치한 단말과 기지국2(410)가 통신 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내의 단말에게 간섭을 유발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When the first area 435 of base station 1 (405) is sufficiently spaced from the first area 445 of base station 2 (410), communication with terminals (not shown) located within the first area of each base sta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link interference may not occur. Here, the first area 430 of base station 1 (405) refers to an area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to adjacent base stations and terminals within the adjacent base station when base station 1 (405) and a terminal located in the area communicate, and base station 2 (410) The first area 440 of ) refers to an area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to the adjacent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s within the adjacent base station when the terminal located in the area and base station 2 410 communicate.

반면에 기지국1(405)의 제2 영역(435)은 해당 영역 내 위치한 단말과 기지국1(405)이 통신 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내의 단말에게 간섭을 유발할 수도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기지국2(410)의 제2 영역(445)은 해당 영역 내 위치한 단말과 기지국2(410)이 통신 시 인접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내의 단말에게 간섭을 유발할 수도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rea 435 of base station 1 (405) refers to an area that may cause interference to adjacent base stations and terminals within the adjacent base station when a terminal located in the area and base station 1 (405) communicate, and base station 2 ( The second area 445 of 410) refers to an area that may cause interference to adjacent base stations and terminals within the adjacent base station when a terminal located in the area communicates with base station 2 (410).

도 4의 경우에서의 동적 TDD 운영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1(405)은 기지국1(405)의 관할에 있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의 SNR(signal-to-noise ratio)이나 단말이 보고하는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SNR(하향링크 경로 손실값이나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을 바탕으로 제1 영역(430)에 속한 단말과 제2 영역(435)에 속한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The dynamic TDD operation procedure in the case of Figure 4 is as follows. First, base station 1 (405) determines the SNR (signal-to-noise ratio)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under the jurisdiction of base station 1 (405) or the SNR (downlink path loss ratio) for the base station downlink signal reported by the terminal. Alternatively, a terminal belonging to the first area 430 and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econd area 435 can be distinguished based on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기지국1(405)은 기지국1(405)의 관할에 있는 단말이 전송하는 신호의 SINR(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이나 단말이 보고하는 기지국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 SINR(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바탕으로 제1 영역(430)에 속한 단말과 제2 영역(435)에 속한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Alternatively, base station 1 (405) may use the SINR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of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under the jurisdiction of base station 1 (405) or the SINR (RSRQ (reference signal) for the base station downlink signal reported by th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quality), a terminal belonging to the first area 430 and a terminal belonging to the second area 435 can be distinguished.

인접 기지국에 해당하는 기지국2(410)은 기지국1과 같은 방식으로 기지국2(410)의 제1 영역(440)에 속하는 단말과 기지국2(410)의 제2 영역(445)에 해당하는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기지국1(405)과 기지국2는 이때 각각의 제1 영역에 속한 단말들에게는 동일한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 또는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를 할당할 수 있다.Base station 2 (410), which is an adjacent base station, connects terminals belonging to the first area 440 of base station 2 (410) and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445 of base station 2 (410) in the same manner as base station 1. can be distinguished. At this time, base station 1 (405) and base station 2 may allocate the same bandwidth part (BWP) or component carrier (CC) to terminals belonging to each first area.

요소 반송파란 복수 대역의 반송파들을 이용해 단말에게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송파 집성 (carrier aggregation) 기술에서의 대역별 반송파를 의미한다. 또한 광대역 주파수 방식의 경우 여러 개의 요소 반송파로 세분화해 단말들이 상이한 요소 반송파 상의 자원을 할당 받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대역폭 부분은 하나의 기지국의 관리 영역인 셀에서 운용하는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분을 의미한다.A component carrier refers to a carrier for each band in carrier aggregation technology that provides high-speed data services to terminals using carriers in multiple bands.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broadband frequency method, it is subdivided into several component carriers so that terminals can perform communication by being allocated resources on different component carriers. The bandwidth part refers to a portion of the system bandwidth operated by a cell, which is the management area of one base station.

기지국1(405) 및 기지국2(410)는 각각의 제1 영역(430,440)에 속한 단말들과 동일한 BWP(제1 BWP라 칭함)에서 동적 TDD를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의 제1 영역에 속한 단말들은 기지국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므로 낮은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호간 통신을 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의 제1 영역 간의 거리는 상호 링크 간섭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Base station 1 (405) and base station 2 (410) can apply dynamic TDD in the same BWP (referred to as the first BWP) as the terminals belonging to each first area (430, 440). Terminals belonging to the first area of each base station are close to the base station, so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low transmission pow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eas of each base station is enough to ignore mutual link interference. You can.

기지국1(405)의 제2 영역(435)과 기지국2(410)의 제2 영역(445)에서는 제1 BWP와 다른 제2 BWP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1(405)의 제2 영역(435)과 기지국2(410)의 제2 영역(445)은 상호 인접해 있으므로 각 영역에 속한 단말들과 통신 시 높은 송신 전력을 사용하게 되므로 링크 간섭 제어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지국1(405)와 기지국2(410)의 각각의 제2 영역(435,445)에서의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동적 TDD의 운용 예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선 동적 TDD의 슬롯 구성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A second BWP different from the first BWP may be used in the second area 435 of base station 1 (405) and the second area 445 of base station 2 (410). Since the second area 435 of base station 1 (405) and the second area 445 of base station 2 (410) are adjacent to each other, high transmission power is used when communicating with terminals in each area, so link interference control is required. It can be applied. Next, an operation example of dynamic TDD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the second areas 435 and 445 of base station 1 (405) and base station 2 (410)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lot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dynamic TDD will first be described.

도 5는 5G NR에서의 동적 TDD를 위한 슬롯 구성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lot configuration for dynamic TDD in 5G NR.

도 5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과 달리 하나의 슬롯 내에 OFDM 심볼 단위로 상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할당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동적 TDD를 적용하는 경우 시스템은 단말에게 제공하려는 데이터 및 시스템 자원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전술한 도 3의 적절한 슬롯 구조를 선택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unlike the prior art, uplink and downlink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can be allocated in units of OFDM symbols within one slot. When applying dynamic TDD, the system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slot structure of FIG. 3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to be provided to the terminal and the system resource situation.

동적 TDD를 운용하는 경우,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 슬롯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채널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수, 각 채널의 슬롯 상의 위치 및 절체(switching)용 OFDM 심볼의 수를 슬롯 단위로 변화시킬 수 있다(단,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슬롯 당 14개의 OFDM 심볼을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operating dynamic TDD, the number of OFDM symbols constituting a slot, the number of OFDM symbols constituting a channel to distinguish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lot, the position of each channel in the slot, and the number of OFDM symbols for switching. The number can be changed on a slot basis (however,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14 OFDM symbols per slot are assum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동적 TDD를 위한 슬롯은 다음과 같은 채널들 및 정보들이 할당되는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적 TDD를 위한 슬롯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채널(520)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530)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550)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HARQ ACK/NACK 정보(560)를 전송하는 HARQ ACK 채널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 및 SR(schedule request) 정보가 전송되는 SR 채널(570)이 할당되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A slot for dynamic TDD may be composed of symbols to which the following channels and information are allocated. That is, a slot for dynamic TDD is one or more OFDM symbols to which a control channel 520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s allocated, one or more OFDM symbols to which a downlink data channel 530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is allocated, and uplink data. One or more OFDM symbols to which a downlink data channel 550 is allocated, one or more OFDM symbols to which a HARQ ACK channel is allocated to transmit HARQ ACK/NACK information 560, and an SR to which schedule request (SR) information is transmitted. Channel 570 may be comprised of one or more assigned OFDM symbols.

또한, 하향링크/상향링크 간 절체를 위한 OFDM 심볼(슬롯 내에서 1회의 절체를 위해서는 하나의 OFDM 심볼이 필요)인 GAP 심볼이 동적 TDD를 위한 슬롯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절체에 필요한 시간이 1 심볼 구간 보다 작을 경우 남는 시간 구간에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할당할 수도 있다(이 경우 GAP 심볼은 상향링크 전송 구간과 하향링크 전송 구간을 구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GAP 심볼은 다른 기지국이나 다른 단말에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a GAP symbol, which is an OFDM symbol for switching between downlink/uplink (one OFDM symbol is required for one switch within a slot), may be included in the slot for dynamic TDD. At this time, if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is less than 1 symbol section, downlink and/or uplink data may be allocated to the remaining time section (in this case, the GAP symbol is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uplink transmission section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can be placed). The GAP symbol can also be used to avoid causing interference to other base stations or other terminals.

슬롯 내 각 채널의 구체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다. 제어 채널(520)은 하향링크 채널로서 해당 슬롯의 채널 할당 구조를 명시할 수 있다(또는 특정 슬롯 이후의 채널 할당 구조를 명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슬롯(510)처럼 채널이 구성된 경우 제어 채널은 슬롯(510) 내의 심볼들이 어떤 채널용으로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필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한편, 하향링크용 제어 채널과 상향링크용 제어 채널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specific role of each channel within the slot is as follows. The control channel 520 is a downlink channel and can specify the channel allocation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slot (or can specify the channel allocation structure after a specific slot). For example, when a channel is configured like the slot 510 shown in FIG. 5, the control channel may include field information indicating for which channel the symbols in the slot 510 are allocated (on the other hand, the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The uplink control channel can also be used separately).

도 5의 슬롯(510)의 경우 "C-D-D-D-G-U-U-U-U-U-U-A-S-G"와 같은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제어 채널, D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U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G는 절체를 위한 OFDM 심볼, A는 HARQ-ACK 정보, S는 SR 채널을 의미한다. 제어 채널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ACK 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Slot 510 in FIG. 5 may include fields such as “C-D-D-D-G-U-U-U-U-U-U-A-S-G”. Here, C is a control channel, D is a downlink data channel, U is an uplink data channel, G is an OFDM symbol for switching, A is HARQ-ACK information, and S is an SR channel. The control channel can also transmit HARQ-ACK information for the uplink data channel.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기지국이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단말이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HARQ-ACK 채널은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HARQ 피드백을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다.The downlink data channel is used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The uplink data channel is used by the terminal to transmit data to the base station. The HARQ-ACK channel can be used when transmitting HARQ feedback for the downlink data channel.

SR 채널은 단말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에 사용된다. 즉,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을 경우 SR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해당 데이터용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하는 SR 채널을 수신하면, SR 채널이 포함된 슬롯의 다음 슬롯에서 해당 단말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무선 자원을 허여(grant)할 수 있다. The SR channel is used for the terminal's uplink resource allocation request. That is, if the terminal has data to transmit to the base station, it can request the base station to allocate radio resources for transmission of the data using the SR channel.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R channel transmitted by the terminal, it can grant uplink data channel radio resources to the terminal in the next slot of the slot containing the SR channel.

도 5에 도시된 슬롯(510)은 동적 TDD를 위한 슬롯으로서 슬롯당 14개의 OFDM 심볼이 할당된 경우를 도시한다. 그 중에서도 제어채널용 OFDM 심볼(520), 3개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용 OFDM 심볼들(530)과 6개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용 OFDM 심볼들(550), 2개의 GAP 채널용 OFDM 심볼들(540), 하나의 HARQ-ACK 채널용 OFDM 심볼(560) 및 하나의 SR 채널용 OFDM 심볼(570)들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들에 할당되는 OFDM 심볼들의 개수 및 위치는 슬롯(510) 선두의 제어채널(520)에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slot 510 shown in FIG. 5 is a slot for dynamic TDD and shows a case where 14 OFDM symbols are allocated per slot. Among them, OFDM symbols 520 for control channels, OFDM symbols 530 for three downlink data channels, OFDM symbols 550 for six uplink data channels, and OFDM symbols 540 for two GAP channels. , shows a case consisting of one OFDM symbol 560 for a HARQ-ACK channel and an OFDM symbol 570 for one SR channel.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and location of OFDM symbols allocated to each channel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channel 520 at the head of the slot 510.

도 5에 도시된 슬롯(510)의 채널 구성에서 단말(UE1~U10) 별로 서로 같거나 다른 BWP에 할당된 경우(BWP별 단말에 대한 할당 정보(590)에 따라 BWP가 할당됨), 단말 별로 슬롯 내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슬롯(580)참조). 다음으로 이러한 동적 TDD 동작을 위한 슬롯 구조를 이용한 링크 간섭 제어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In the channel configuration of the slot 510 shown in FIG. 5, when each terminal (UE1 to U10) is assigned to the same or different BWP (BWP is assigned according to allocation information 590 for each BWP terminal), each terminal It can be assigned to one of the uplink and downlink data channels within the slot (see slot 580). Next, link interference control technology using a slot structure for such dynamic TDD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6a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과 동적 TDD의 운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d는 5G NR에서 링크 간섭 제어를 위한 대역폭 부분, 동적 TDD 및 기지국 협력 기술의 운영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bandwidth portion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and operation of dynamic TDD in 5G NR, and FIG.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width portion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and operation of dynamic TDD in 5G NR. This is a drawing explaining an embodiment. FIG. 6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bandwidth portion and dynamic TDD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and FIG. 6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andwidth portion, dynamic TDD, and base station cooperation technology for link interference control in 5G NR. This is a diagram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

도 6a를 참조하면, 기지국1(605)과 기지국2(610)의 제2 영역에서는 서로 동일한 BWP(제2 BWP)를 사용하고, 기지국1(605)과 기지국2(610)의 제1 영역에서는 이와 다른 BWP(제1 BWP)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적 TDD를 통한 링크 간섭 제어를 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A, the second areas of base station 1 (605) and base station 2 (610) use the same BWP (second BWP), and the first areas of base station 1 (605) and base station 2 (610) use the same BWP (second BWP). This indicates that link interferenc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dynamic TDD when a different BWP (first BWP) is used.

기지국1(605)은 제2 영역(제2 BWP 사용)에 있는 단말1(615)에게 특정 동적 TDD 슬롯 구조(일례로 7개의 OFDM 심볼을 갖는 구조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갖는 슬롯(625)을 전송하고, 기지국2(610)는 제2 영역(제2 BWP 사용)에 있는 단말2(620)에게 기지국1(605)가 단말1(615)에게 전송한 것과 동일한 동적 TDD 슬롯 구조를 갖는 슬롯(627)을 전송하여 링크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Base station 1 (605) provides a slot (625) with a specific dynamic TDD slot structure (for example, a structure with 7 OFDM symbo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o terminal 1 (615) in the second area (using the second BWP). ), and base station 2 (610) has the same dynamic TDD slot structure as that transmitted by base station 1 (605) to terminal 1 (615) to terminal 2 (620) in the second area (using the second BWP). Link interference can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the slot 627.

도 6b를 참조하면, 기지국1(630)과 기지국2(635)의 제2 영역에서는 서로 동일한 BWP(제2 BWP)를 사용하고, 기지국1(630)과 기지국2(635)의 제1 영역에서는 이와 다른 BWP(제1 BWP)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적 TDD를 통한 링크 간섭 제어를 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b, the second areas of base station 1 (630) and base station 2 (635) use the same BWP (second BWP), and the first areas of base station 1 (630) and base station 2 (635) use the same BWP (second BWP). This indicates that link interferenc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dynamic TDD when a different BWP (first BWP) is used.

기지국1(630)는 제2 영역(제2 BWP 사용)에 있는 단말1(640)에게 특정 동적 TDD 슬롯 구조(일례로 7개의 OFDM 심볼을 갖는 구조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갖는 슬롯(650)을 전송하고, 기지국2(635)는 제2 영역(제2 BWP 사용)에 있는 단말2(645)에게 기지국1(630)이 단말1(640)에게 전송한 것과 다른 동적 TDD 슬롯 구조를 갖는 슬롯(655)을 전송할 수 있다.Base station 1 (630) provides a slot (650) with a specific dynamic TDD slot structure (for example, a structure with 7 OFDM symbo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o terminal 1 (640) in the second area (using the second BWP). ), and base station 2 (635) has a dynamic TDD slot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transmitted by base station 1 (630) to terminal 1 (640) to terminal 2 (645) in the second area (using the second BWP). Slot 655 can be transmitted.

이때, 양 슬롯(650, 645)간의 링크 간섭을 제어하기 위해 기지국들은 전력 제어와 같은 간섭 제어 기술을 이용하고, 기지국들은 단말과 통신 시 사전에 약속된 슬롯 구조를 갖는 슬롯들을 이용하도록 하여 링크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link interference between both slots 650 and 645, base stations use interference control technology such as power control, and base stations use slots with a pre-arranged slot structure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to prevent link interference. can be removed.

도 6c를 참조하면, 기지국1(630)의 제2 영역에서는 제2 BWP를 사용하고 기지국2(635)의 제2 영역에서는 제3 BWP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기지국1(660)의 제1 영역과 기지국2(665)의 제1 영역에서는 모두 제1 BWP를 사용하는 경우임). 이 경우 기지국1(660)이 단말1(670)과 동적 TDD 방식 통신 시 사용하는 슬롯(677)은 기지국2(665)가 단말2(675)와 동적 TDD 방식의 통신을 수행 시 사용하는 슬롯(679)과 서로 다른 구조의 슬롯을 사용해도 링크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이때, 슬롯 내 OFDM 심볼의 숫자, 심볼 내 채널의 종류 및 위치를 다르게 운영할 수 있음).Referring to FIG. 6C, it shows a case where the second BWP is used in the second area of base station 1 (630) and the third BWP is used in the second area of base station 2 (635) (the first BWP of base station 1 (660) This is the case where the first BWP is used in both the area and the first area of base station 2 (665). In this case, the slot 677 used by base station 1 (660) when performing dynamic TDD communication with terminal 1 (670) is the slot (677) used by base station 2 (665) when performing dynamic TDD communication with terminal 2 (675) ( 679), link interference may not occur even if slots of different structures are us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OFDM symbols within the slot and the type and location of channels within the symbols can be operated differently).

도 6d를 참조하면, 기지국1(680)과 기지국2(685)의 제2 영역에서는 서로 동일한 BWP(제2 BWP)를 사용하고, 기지국1(680)과 기지국2(685)의 제1 영역에서는 이와 다른 BWP(제1 BWP)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기지국간 협력 및 동적 TDD를 이용한 링크 간섭 제어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d, the second areas of base station 1 (680) and base station 2 (685) use the same BWP (second BWP), and the first areas of base station 1 (680) and base station 2 (685) use the same BWP (second BWP). In the case of using a different BWP (first BWP), link interference control using cooperation between base stations and dynamic TDD is shown.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680)은 기지국2(685)의 제2 영역과 겹치는 기지국1(680)의 제2 영역에 있는 단말1(690)에게 특정 동적 TDD 슬롯 구조(일례로 7개의 OFDM 심볼을 갖는 구조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갖는 슬롯(697)을 전송하는 경우이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D, base station 1 (680) provides a specific dynamic TDD slot structure (as an example) to terminal 1 (690) in the second area of base station 1 (680) that overlaps the second area of base station 2 (685). This is a case of transmitting a slot 697 with a structure having 7 OFDM symbols (but not limited thereto).

이 때 슬롯(697)의 세 번째 심볼에서 단말1(690)에게 상향링크 허여를 하고, 기지국2(685)가 제2 영역에 있는 단말2(695)(기지국1(680)의 제2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임)에게 동적 TDD가 적용된 슬롯(699)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슬롯(699)의 세 번째 심볼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695)는 단말1(690)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인한 링크 간섭을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link is granted to terminal 1 (690) in the third symbol of the slot 697, and base station 2 (685) is in the second area (the second area of base station 1 (680) and terminal 2 (695) A slot 699 to which dynamic TDD is applied can be transmitted to (if located in an overlapping area). At this time, a downlink data channel may be allocated to the third symbol of the slot 699 and transmitted. In this case, Terminal 2 (695) may receive link interference due to uplink transmission of Terminal 1 (690).

또는 기지국1(680)과 단말1(690)간의 슬롯(697)의 다섯 번째 OFDM 심볼과 기지국2(685)와 단말2(695)간의 슬롯(699)의 다섯 번째 OFDM 심볼이 모두 상향링크 허여인 경우 기지국1(680)과 기지국2(685)는 상대 기지국의 상향링크 전송으로 인한 링크 간섭을 받을 수 있다. 이때 기지국간 협력 기술(CoMP; coordinated multi-point)를 적용해서 링크 간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어느 한 기지국이 전송하는 슬롯의 특정 심볼 위치에서는 아무런 송수신을 하지 않도록 하여 링크 간섭을 제어할 수도 있다. Or, the fifth OFDM symbol of the slot 697 between base station 1 (680) and terminal 1 (690) and the fifth OFDM symbol of the slot 699 between base station 2 (685) and terminal 2 (695) are both uplink granted. In this case, base station 1 (680) and base station 2 (685) may experience link interference due to uplink transmission from the other base station. At this time, link interference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coordinated multi-point (CoMP) between base stations. In addition, link interference can be controlled by preventing any transmission or reception at a specific symbol position in a slot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기지국간 협력 기술은 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이웃한 셀들이 상호 협력하여서 서빙(serving) 셀 뿐만이 아니라 다른 셀들도 서빙 셀의 특정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해서 셀간 간섭을 줄이고, 셀 경계에서의 단말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이는 기술이다.Inter-base station cooperation technology is a technology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terminals located at cell boundaries. Neighboring cell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enable not only the serving cell but also other cells to communicate with a specific terminal in the serving cell. This is a technology that reduces interference and increases terminal throughput at cell boundaries.

이 때 CoMP 협력 셀(CoMP cooperating set)에 속하는 셀들은 단말의 채널 정보를 공유하여 전송 셀들을 결정한다. CoMP 기술로는 CS(coordinated scheduling), CB(coordinated beamforming), JP(joint processing), JT/DPS(joint transmission/dynamic point selection) 등이 있다.At this time, cells belonging to the CoMP cooperating set share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determine transmission cells. CoMP technologies include coordinated scheduling (CS), coordinated beamforming (CB), joint processing (JP), and joint transmission/dynamic point selection (JT/DP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NR은 자동 주행, 공장 자동화, 증강 현실과 같은 고신뢰성 및 낮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서비스도 지원을 목표로 한다. 이들 서비스는 1ms 이하의 지연시간 및 10-5 이하의 패킷 에러율(packet error rate)를 요구하므로 종래 서비스 상의 평균 수십 ms의 지연시간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일반적으로 지연시간은 단말의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 기지국의 MAC 계층 사이의 처리로 인한 지연시간을 의미한다).Meanwhile, as mentioned above, NR also aims to support services that require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such as autonomous driving, factory automation, and augmented reality. These services require a delay time of 1 ms or less and a packet error rate of 10 -5 or less, so data processing is required much faster than the average delay time of several tens of ms in conventional services (generally, the delay time is determined by the terminal's MAC (means delay time due to processing between the medium access control layer and the MAC layer of the base station).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줄이는 방법(일례로 1ms이하로 함)과 같은 무선 프레임 구조 변경 방법, L2(layer 2) 계층에서 HARQ 기법을 조정하는 방법, 최초 접속 절차 및 스케줄링을 개선하는 방법 등이 가능하다.Methods for reducing delay time include changing the wireless frame structure such as reducing th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for example, to 1 ms or less), adjusting the HARQ technique at the L2 (layer 2) layer, Methods for improving the initial access procedure and scheduling are possible.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다중 연결(multiple connectivity), 주파수/공간 차원에서 다중 링크 다이버시티(multi-link diversity), 상위 계층에서의 데이터 중복 및 상하향링크에서의 반지속적(semi-persistent) 스케줄링 기법 개선 등이 논의되고 있다. 관련하여 동적 TDD를 적용한 경우에서 URLCC 구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하에서의 URLCC 구현을 위한 슬롯 제어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Ways to improve reliability include multiple connectivity, multi-link diversity in the frequency/space dimension, data redundancy in upper layers, and improvement of semi-persistent scheduling techniques in uplink and downlink. etc. are being discussed. In relation to this, a method for implementing URLCC is needed in cases where dynamic TDD is applied. Next, a slot control technology for URLCC implementation under dynamic T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5G NR에서 동적 TDD 동작을 위한 슬롯을 사용한 통신시 발생하는 HARQ 처리 지연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HARQ processing delay situation that occurs during communication using a slot for dynamic TDD operation in 5G NR.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이 단말과 동적 TDD 방식으로 동작 시 사용하는 슬롯 구조의 일 예들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후 수 개의 OFDM 심볼만큼의 시간 후 해당 데이터에 대한 HARQ-ACK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7, in examples of a slot structure used when a base station operates with a terminal in a dynamic TDD manner, a situation in which HARQ-ACK information for the data is received after transmitting uplink and downlink data for a period of time equivalent to several OFDM symbols. represents.

첫 번째 슬롯(710)처럼 구성된 경우, 단말1(UE1)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730)에 대한 HARQ-ACK 정보(750)는 10 OFDM 심볼 후에 전송이 된다. 또한 단말1(UE1)은 상향링크 데이터(740) 전송 후 7 OFDM 심볼 후에 그에 대한 HARQ-ACK 정보(750)를 수신할 수 있다(즉, 해당 슬롯(710)의 다음 번 슬롯(도면 미도시)에서의 첫 번째 OFDM 심볼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 가능함).When configured as the first slot 710, HARQ-ACK information 750 for the downlink data channel 730 allocated to UE1 is transmitted after 10 OFDM symbols. Additionally, UE1 may receive HARQ-ACK information 750 7 OFDM symbols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740 (i.e., the next slot of the corresponding slot 710 (not shown)). can be received via the control channel assigned to the first OFDM symbol in ).

또 다른 슬롯 구성에 해당하는 두 번째 슬롯(720)처럼 구성된 경우, 단말1(UE1)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770)에 대한 HARQ-ACK 정보(780)는 3 OFDM 심볼 후에 전송이 된다. 또한 단말1(UE1)은 상향링크 데이터(760) 전송 후 11 OFDM 심볼 후에 그에 대한 HARQ-ACK 정보(780)을 수신할 수 있다(즉, 해당 슬롯(72)의 다음 번 슬롯(도면 미도시)에서의 첫 번째 OFDM 심볼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 가능함).In the case of a second slot 720 corresponding to another slot configuration, HARQ-ACK information 780 for the downlink data channel 770 allocated to UE1 is transmitted after 3 OFDM symbols. In addition, terminal 1 (UE1) may receive HARQ-ACK information 780 11 OFDM symbols afte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760 (i.e., the next slot of the corresponding slot 72 (not shown)) can be received via the control channel assigned to the first OFDM symbol in ).

이와 같은 HARQ-ACK 피드백 지연은 URLLC 구현에 있어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저지연 요구 정도 및 도착되는 저지연 트래픽의 빈도를 반영하여 인접 셀과의 링크 간섭을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적 TDD 슬롯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저지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슬롯을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Such HARQ-ACK feedback delay can be a problem in URLLC implemen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dynamic TDD slots independently, without considering link interference with adjacent cells, by reflecting the degree of low-delay demand and the frequency of arriving low-delay traffic. Next,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dynamic TDD s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low-latency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지연 통신을 위한 동적 TDD 방식의 슬롯을 이용한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explaining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dynamic TDD slot for low-delay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URLLC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슬롯 내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변경하여 URLLC에 기초한 슬롯 내 채널 할당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URLLC data from the terminal, it changes the downlink data channel within the slot and transmits a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within the slot based on URLLC to the terminal.

기지국은 슬롯 단위로 하나 이상의 단말에 대한 상하향링크 데이터를 OFDM 심볼 단위로 할당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1 제어 채널에 포함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810). 관련하여 저지연이 요구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기지국은 ?K은 슬롯 구성을 이용할 수 있고, 스케줄러는 슬롯 내 OFDM 심볼 단위로 상하향링크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allocate uplink and downlink data for one or more terminals on a slot basis in OFDM symbol units, include information about this in the first control channel, and transmit it to one or more terminals (S810). In relation to this,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requiring low delay, the base station can use a ?K slot configuration, and the scheduler can perform uplink and downlink scheduling on an OFDM symbol basis within the slot.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기지국에게 URLLC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820). 일례로, 자율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송신장치로부터의 긴급 상황 데이터 정보, 자동 생산 공장 기계에 있는 송신 장치에서의 긴급 처리 요청 데이터 정보 등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기지국에게 전송될 수 있다.URLLC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to the base station (820). For example, emergency situation data information from a transmitter of a self-driving car, emergency processing request data information from a transmitter of an automatic production factory machine, etc. may be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terminals to the base station.

URLLC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미 전송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를 변경하여 동일한 슬롯 내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URLLC 데이터에 대한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슬롯 내의 이러한 상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할당 변경에 대한 정보(슬롯 내 채널 구성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S830).The base station that has received the URLLC data can change the previously transmitted uplink and downlink data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processing results for the URLLC data through the downlink data channel within the same slot. The base station may create a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change in uplink and downlink data channel allocation within the slot (channel configuration change information within the slot) (S830).

제2 제어 채널을 생성하는 방법은 제1 제어 채널에서 지시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중 하나(일례로 URLLC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해당 URLLC 데이터 처리를 하고, 이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를 제2 제어 채널로 변경하는 방법이 가능하다.The method of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is to select one of the downlink data channels indicated in the first control channel (for example, receive URLLC data, process the URLLC data, and provide the fastest available downlink data channel). 2 It is possible to change to a control channel.

기지국은 생성된 제2 제어 채널을 URLLC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을 포함한 제1 제어 채널을 통해 자원 할당되는 단말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S840). 제2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들은 기수신한 제1 제어 채널에 따른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 대신 제2 제어 채널에서 지시하는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generated second control channel to terminals to which resources are alloca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URLLC data (S840).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the second control channel can use the intra-slot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stead of the intra-slot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ly received first control channel.

이 때 단말은 제2 제어 채널에 해당하는 OFDM 심볼을 수신 한 경우, 원래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OFDM 심볼이 아닌 제2 제어 채널용 OFDM 심볼임을 알아야 한다. 이때 기지국은 슬롯 내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제2 제어 채널로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제2 제어 채널이 차지하는 OFDM 심볼의 일정 부반송파들을 통해 제2 제어 채널로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과 제2 제어 채널이 사용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다르게 생성하여 이를 채널 내 삽입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OFDM symbo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it must know that it is the OFDM symbol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not the OFDM symbol assigned to the original downlink data channel.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signal notifying the change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through certain subcarriers of the OFDM symbol occupied by the second control channel to notify that th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has been changed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differen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 used by the downlink data channel and the second control channel and insert them into the channel.

이와 같이 단말이 하향링크로 수신한 OFDM 심볼의 일부 부반송파에서 제2 제어 채널로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확인하거나, 제2 제어 채널용 DMRS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해당 하향링크 채널은 제2 제어 채널용 OFDM 심볼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In this way, when the terminal confirms a signal indicating a change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 some subcarriers of the OFDM symbol received in the downlink or receives the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downlink channel is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 channel.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OFDM symbol for a channel. Next, a specific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second control channel and the downlink data cha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방식에서의 저지연 통신을 위한 제2 제어 채널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for low-delay communication in a dynamic TD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스케줄러(scheduler)가 구성한 방식대로 동적 TDD 방식 통신을 수행하던 중 어느 한 단말로부터 URLLC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2 제어 채널을 URLLC 데이터를 수신한 바로 다음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제2 제어 채널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9, when URLLC data is received from one terminal while performing dynamic TD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configured by the base station scheduler,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changed to the downlink data channel immediately after receiving the URLLC data. Indicates changing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즉, 제1 제어 채널(905)에서 설정된 동적 TDD 슬롯 구성으로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던 중 단말3(UE3)으로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구간(910)에서 어느 한 단말로부터 URLLC 데이터가 기지국에 도착한 경우, 기지국은 바로 다음 OFDM 심볼 전송 구간에서 단말4(UE4)로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대신 제2 제어 채널(915)을 생성하여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이때 제2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구간은 시스템의 구현 상황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That is, while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re communicating with the dynamic TDD slot configuration set in the first control channel 905, URLLC data is transmitted from on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in the downlink data channel transmission section 910 to UE3. When arriving at , the base station may generate a second control channel 915 and transmit it to the UEs instead of transmitting a downlink data channel to UE4 in the immediately next OFDM symbol transmission period (at this time,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channel The sectio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situation of the system).

이 때 단말들은 해당 OFDM 심볼 구간을 단말4(UE4)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제1 제어 채널을 통해 지시됨)로 인식하는 대신 제2 제어 채널임을 인식하기 위해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DMRS(930)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s do not recognize the OFDM symbol section as a downlink data channel (indica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channel) for UE4, but instead recognize it as a second control channel (DMRS (DMRS) of the received downlink data. 930) can be confirmed.

단말들은 DMRS 확인 후 그 결과 제어 채널용 DMRS로 확인되면 해당 OFDM 심볼은 제2 제어 채널용 OFDM 심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채널용 DMRS에는 데이터 채널용 DMRS와 서로 다른 시퀀스를 사용해 생성할 수 있다(일례로 데이터 채널용 DMRS는 제1 시퀀스를 사용하고 제어 채널용 DMRS는 제2 시퀀스를 사용해 생성할 수 잇다). 제2 제어 채널의 데이터(920)는 제2 제어 채널 OFDM 심볼의 데이터 전송용 부반송파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After checking the DMRS, the terminals can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OFDM symbol is the OFDM symbol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if it is confirmed to be the DMRS for the control channel. The DMRS for the control channel can be generated using a different sequence from the DMRS for the data channel (for example, the DMRS for the data channel can be generated using the first sequence, and the DMRS for the control channel can be generated using the second sequence). Data 920 of the second control channel may be transmitted through subcarriers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second control channel OFDM symbol.

또는 단말이 제1 제어 채널을 통해 확인한 하향링크 구간에서 수신한 OFDM 심볼의 특정 위치에 제어 채널로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940)가 검출되면 단말은 해당 OFDM 심볼은 제2 제어 채널용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 채널의 DMRS(950)은 데이터 채널의 DMRS와 동일한 시퀀스(제1 시퀀스)를 사용해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채널의 데이터(960)는 제2 제어 채널 OFDM 심볼의 데이터 전송용 부반송파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 signal 940 indicating a change to a control channel is detected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OFDM symbol received in the downlink section confirmed by th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ntrol channel, the terminal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OFDM symbol has been changed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Able to know. In this case, the DMRS 950 of the second control channel can be generated using the same sequence (first sequence) as the DMRS of the data channel. Additionally, data 960 of the second control channel may be transmitted through subcarriers for data transmission of the second control channel OFDM symbol.

한편, 상황에 따라서는 여러 단말로부터 URLLC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이를 처리하기 위해 전술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3 제어 채널, 제4 제어 채널 등을 연이어 생성 후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가장 늦게 수신한 제어 채널을 최종적인 제어 채널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방식에서의 저지연 통신을 위한 제2 제어 채널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URLLC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multiple terminals. Therefore, in order to process this, the base station can sequentially create a third control channel, a fourth control channel, etc.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s and then transmit them to the terminals. At this time, the terminal may recognize the latest received control channel as the final control channel. Next, a method for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for low-latency communication in a dynamic TD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적 TDD 방식에서의 저지연 통신을 위한 제2 제어 채널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Figure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re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for low-delay communication in a dynamic TDD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 스케줄러(scheduler)가 구성한 방식대로 동적 TDD 방식 통신을 수행하던 중 어느 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긴급히 URLLC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SR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URLLC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다. SR 채널을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을 반영한 제2 제어 채널을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re is a need to urgently transmit URLLC data from on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while performing dynamic TDD communication in the manner configured by the base station scheduler, resources for transmitting URLLC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R channel are provided. Indicates a request for allocation. The base station that receives the SR channel can create and transmit a second control channel reflecting the terminal's request.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제3의 통신 장치로부터 URLLC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를 기지국으로 긴급히 전달해야 하는 경우 기지국으로 SR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SR 채널을 수신한 경우 이에 기초한 제2 제어 채널을 생성하여 URLLC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을 포함한 제1 제어 채널에서 지시하는 단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receives URLLC data from a third communication device and urgently needs to transmit it to the base station, the SR channel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R channel, it can create a second control channel based on i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s indicated by the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URLLC data.

한편 SR 채널을 제1 제어 채널 뒤와 같은 슬롯의 초반 OFDM 심볼에 배치하면 단말로부터의 긴급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요청을 반영하여 동일한 슬롯 내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므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종류 및 서비스 내용에 따라 SR 채널을 슬롯의 전반부에 배치할 수 있고,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슬롯마다 채널을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SR channel is placed at the beginning of the OFDM symbol of the same slot after the first control channel, it is advantageous to perform uplink resource allocation within the same slot by reflecting the emergency uplink data channel request from the terminal, s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type and service content, the SR channel can be placed in the first half of the slot, and the channel arrangement can be changed for each slot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도 10을 참조하면, n번째 슬롯(1010)에 대한 제1 제어 채널의 슬롯 구성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이 동적 TDD 통신을 수행하던 중 n번째 슬롯(1010)의 3번째 OFDM 심볼 구간에서 단말8(UE8)에게 URLLC 데이터가 도착한 경우 이를 기지국에게 전달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단말8(UE8)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요청 채널(SR채널)(1030)을 통해 상향링크 무선 자원 할당을 기지국에게 긴급히 요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while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re performing dynamic TDD communication through the slot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rol channel for the nth slot 1010, terminal 8 ( When URLLC data arrives at UE8), there may be a need to deliver it to the base station. At this time, UE8 can urgently request up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uplink scheduling request channel (SR channel) 1030.

기지국은 SR 채널(1030)에 기초해서 제2 제어채널(1040)을 생성한 후 단말8(UE8)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8(UE8)이 제2 제어 채널(1040)을 수신해서 URLLC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The base station can create a second control channel 1040 based on the SR channel 1030 and then transmit it to terminal 8 (UE8). UE8 can receive the second control channel 1040 and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uplink data channel through which URLLC data will be transmitted.

도 10의 실시예의 경우는 제2 제어 채널(1040)을 통해 10번째 OFDM 심볼(1060)이 단말8(UE8)에 대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전송할 심볼임을 알 수 있다(도 10의 실시예의 경우는 제2 제어 채널(1040)이 할당되는 6번째 OFDM 심볼 이후인 7번째 OFDM 심볼과 14번째 OFDM 심볼 구간 사이에 이러한 긴급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할당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10th OFDM symbol 1060 is a symbol for transmitting the uplink data channel for terminal 8 (UE8) through the second control channel 104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10) An uplink data channel for transmitting this emergency uplink data is allocated between the 7th OFDM symbol and the 14th OFDM symbol section after the 6th OFDM symbol to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1040 is allocated, but this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단말8(UE8)은 10번째 OFDM 심볼(1060)이 자신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용 전송 구간임을 제2 제어 채널을 통해 알게 되어 10번째 OFDM 심볼을 통해 URLLC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제어 채널은 현재 n번째 슬롯(1010)에서의 슬롯 할당 정보 변경뿐만이 아니라 다음 슬롯에 해당하는 n+1번째 슬롯(1050)의 슬롯 할당 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UE8 learns through the second control channel that the 10th OFDM symbol 1060 is a transmission section for its uplink data channel, and can transmit URLLC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10th OFDM symbol. Meanwhile, the second control channe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slot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n+1th slot 1050 corresponding to the next slot as well as change of slot allocation information in the current nth slot 1010.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Claims (10)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상기 URLLC 데이터에 기초한 제2 제어 채널로 변경하고,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의 채널 할당 변경 정보와 다음 슬롯의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slot to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 data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and
Changing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to a second control channel based on the URLLC data,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channel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es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slot and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xt slo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2 제어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상기 제2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심볼에서 상기 제2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부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을 통해 변경 신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In claim 1,
Channel change from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changed signal information through the remaining subcarriers excluding some subcarriers on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transmitted in the symbol to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assigned.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notifying the terminal by transmitt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2 제어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위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In claim 1,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channel change from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indicated by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위한 DMRS는 데이터 채널을 위한 DMRS와 서로 다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In claim 3,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uses a different sequence from the DMRS for the data channel.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상기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슬롯을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URLLC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로 지시되는 슬롯을 통하여 상기 URLLC 데이터에 기초한 슬롯 내 채널 할당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의 채널 할당 변경 정보와 다음 슬롯의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intra-slot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from a base station;
Transmitting URLLC data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slot indicated by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slot of the first control channel; and
Receiving a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ing intra-slot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based on the URLLC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slot indicated as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by the intra-slot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es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slot and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xt slo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심볼에서 상기 제2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일부 부반송파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반송파들을 통해 변경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변경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상기 제2 제어 채널로 채널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In claim 5,
In the symbol to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assigned, change signal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remaining subcarriers excluding some subcarriers on which the second control channel is transmitted, and the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s configured based on the received change signal information.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urther comprising confirming that the channel has been changed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 상기 제2 제어 채널로의 채널 변경을 지시하는 상기 제2 제어 채널을 위한 DMRS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제어 채널을 위한 DMRS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상기 제2 제어 채널로 채널 변경되었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In claim 5,
Receive a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dicating a channel change from at least one downlink data channel in the slot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and based on the received DMRS for the second control channel,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urther comprising confirming that one or more downlink data channels have been changed to the second control channel.
TDD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슬롯 내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URLLC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스케쥴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URLLC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슬롯의 채널 할당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채널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채널은 상기 슬롯의 채널 할당 변경 정보와 다음 슬롯의 채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TD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a first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slot to at least one terminal;
Receiving a scheduling request for transmission of URLLC data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first control channel; and
Generating a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ing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a slot for transmitting the URLLC data based on the scheduling request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ontrol channel to the at least one terminal,
The second control channel includes channel allocation change information of the slot and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xt slo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URlLC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상기 슬롯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URLLC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In claim 8,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he URLLC data from the at least one terminal through the slot for transmitting the URLLC data.
삭제delete
KR1020180114734A 2017-10-30 2018-09-27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6544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767 2017-10-30
KR20170142767 2017-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43A KR20190049443A (en) 2019-05-09
KR102654400B1 true KR102654400B1 (en) 2024-04-03

Family

ID=6654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34A KR102654400B1 (en) 2017-10-30 2018-09-27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400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053B1 (en) * 2015-10-30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Jia Chen 외 2 명, 'Prioritized Resource Reservation for Reducing Random Access Delay in 5G URLLC,' IEEE, (2017.1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43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533B1 (en) Reliable data packet transmission between entities of a radio access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2489699B1 (en) Dynamic Adjustment of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by Continuous Precoding
EP3051868B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70265207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323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intra-cell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11671890B2 (en) Timing advance group reporting for layer 1/layer 2-centric inter-cell mobility
WO2015079926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722912B2 (en) Radio link failure handling in an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
CN110268658B (en)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6121916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051903A1 (en)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5299120A (en) Physical (PHY) layer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operations after uplink cancellation indication (ULCI)
WO2014192453A1 (en) User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1792841B2 (en) Sidelink intra-UE prioritization
US20220022214A1 (en) Scheduling bias for radio link control (rlc) channels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s
JP2015231097A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2654400B1 (en) Method for low latency communicating in tdd typ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80048401A (en)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an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US20220150940A1 (en) Link adapt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240187922A1 (en) Reliable data packet transmission among entities of a radio access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18020333A (en) Beam fault reporting p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CN117121606A (en) Techniques for multiplex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14731637A (en) User equipment timeline quantization
CN116235597A (en) Techniques to support user equipment-based relay for coverage enhancement
CN115836502A (en) Configuration for carriers overlapping multiple unlicensed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