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164B1 -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164B1
KR102654164B1 KR1020210134390A KR20210134390A KR102654164B1 KR 102654164 B1 KR102654164 B1 KR 102654164B1 KR 1020210134390 A KR1020210134390 A KR 1020210134390A KR 20210134390 A KR20210134390 A KR 20210134390A KR 102654164 B1 KR102654164 B1 KR 102654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thentication
virtual code
cod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140A (ko
Inventor
유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스톤
Priority to PCT/KR2022/00186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86492A1/ko
Publication of KR2022012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4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time-dependent-passwords, e.g. periodically chang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온오프제어 장치 및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재밍(Jamming) 동작 또는 차단을 해제하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VIRTUAL CODE FOR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카쉐어링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카쉐어링 사용자 및 대상 차량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카쉐어링은 원하는 자동차를 필요한 시간만큼 임대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렌터카 서비스로, 일반적인 렌터카와의 가장 큰 차이는, 차량 소유주 또는 카쉐어링 서비스 사업자와 대면하지 않고, 서비스 앱을 통해 이용할 차량을 예약하고, 키가 없이도 스마트폰으로 차량 도어를 열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비스 사업자와 대면하지 않고 차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디지털키를 주고받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스마트폰으로 차량 도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에 차량 제어 장치를 장착하고, 차량용 디지털키는 해당 차량 제어 장치에 내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디지털키를 차량 내부에 두게 되면 차량과 디지털키 간의 지속적인 통신작용으로 인해 디지털키의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고, 도난의 위험도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쉐어링 서비스는 모든 과정이 서비스앱을 통해서 처리되기 때문에 서비스앱과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통신이 매우 중요하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를 원활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서버 간의 통신이 필수적인데, 만약 사용자가 통신이 되지 않은 지역에 가게 되면 서비스앱을 통한 차량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6466호, 2013.10.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온오프제어 장치 및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내부에 상기 차량의 디지털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키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증은, 상기 검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 제어 장치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간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생성 시점 및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점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정상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상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로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연결 차단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이 보내는 제1 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디지털키에 상기 제1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연결 차단 동작의 해제가 결정되면, 상기 차량이 보내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지털키에 전달되고, 상기 디지털키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의 OBD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권한을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에 부여하고,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내부에 상기 차량의 디지털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간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생성 시점 및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점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정상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의 OBD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권한을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에 부여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을 수신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서버 및 차량 간 통신 연결 여부와 관계 없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서비스앱을 통해 도어 개폐와 같은 차량 제어를 요청하면, 차량 내부에 장착된 검증 장치가 요청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 후 요청에 따른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검증 장치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검증 장치는 제어 요청의 신호 세기를 기초로 사용자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방식과는 달리 fob키를 해체하지 않고 형상을 보존한 채로 차량 내부에 보관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스마트폰을 통해 차량 제어를 요청할 수 있어 불편함 없이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 및 서비스 서버 간 통신이 가능한 경우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하여 k각형의 구름이동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는 탐색알고리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 간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인증용가상코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카쉐어링 및 카렌트와 같은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차량 소유자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차량 대여 기간 동안 자신이 대여한 차량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해 차량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비스 서버는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가입을 완료한 후에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대여 기간 및 대여 차량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차량 또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또는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등록한다.
이때, 서비스앱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대여 기간 및 대여 차량과 같은 권한 정보를 차량 또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에 상기 권한 정보가 매칭되어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대여 기간 동안 차량을 사용할 때 마다 차량은 서비스 서버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는 코드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대문자알파벳, 소문자알파벳,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코드'는 문자가 나열된 문자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용가상코드'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코드로서, 인증용가상코드검증수단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즉, '인증용가상코드'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검증할 수 있도록 단위카운트마다 임시적으로 부여된 가상의 코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은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인증용가상코드검증수단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제어 장치(예를 들어, CMS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부코드'는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되는 일부코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카운트'는 특정한 시간간격으로 설정되어, 시간간격이 경과됨에 따라 변경되는 것으로 정의된 단위이다. 예를 들어, 1카운트는 특정한 시간간격(예를 들어, 1.5초)으로 설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함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름이동'은 대상체가 회전하면서 병진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구름이동'은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함께 수행하면서 이동하는 것으로서, 회전하는 대상체의 각 지점이 이동하는 축 상에 차례대로 접하면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등록이 요청된 시점에 해당하는 트랙 상 지점(카운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키'는 차량의 동작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키로서, 일 예로, 차량 도어 개폐 동작, 차량 시동 온오프 동작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키, 폽(fob) 키, 피지컬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검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사용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 및 서비스 서버 간 통신이 가능한 경우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하여 k각형의 구름이동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는 탐색알고리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 간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의 검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10),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0)은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대여 기간 동안 차량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앱스토어 등의 외부서버에서 서비스앱을 제공받아 자신의 단말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 또는 차량(30)과 연결될 수 있고, 카메라를 구비하며, 화면을 통해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10)의 모든 동작들은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또는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차량 대여 기간 동안 차량을 운행하면서 생성되는 다양한 차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차량(30)은 사용자가 특정 기간(대여 기간) 동안 대여한 차량으로, 대여 기간 동안 차량(30)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제어 요청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차량(30)은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신호출력제어 장치(34) 및 OBD 단자(36)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차량(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30) 내부의 OBD 단자(36)와 연결되는 장치일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해당 차량을 대여한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면서 생성되는 다양한 차량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가 어떻게 차량(30)을 이용하고 있는지 또는 이용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어플리케이션(1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제어 요청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도어 개폐, 트렁크 개폐, 창문 개폐, 비상등 온오프 및 라이트 온오프를 포함하는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차량(30)의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장치로서,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내부에 FOB 키를 형태 유지한 채로(즉, FOB 키의 해체 없이) 보관할 수 있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특정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신호출력제어 장치(34)에 위치한 디지털키가 차량(30)의 시동을 온오프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기본값으로 외부 연결 차단 동작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에 보관된 디지털 키(FOB 키)가 차량(30)에서 보내는 제1 신호(예를 들어, LF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신호출력제어 장치(34)의 외부 연결 차단 동작이 해제되어 디지털 키(FOB 키)가 차량(30)에서 보내는 제1 신호(예를 들어, LF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예를 들어, RF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디지털 키(FOB 키)의 제2 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또는 오프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재밍 동작)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출력제어 장치(34)가 디지털키(FOB 키)의 배터리(일 예로, 건전지)와 연결되어, 디지털키로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기본값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다가(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함)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만 배터리의 전원이 들어오도록 하여(전류가 흐르도록 함), 디지털 키(FOB 키)가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극에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디지털키의 전원이 켜져 디지털키는 차량(30)에서 보내는 제1 신호(예를 들어, LF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키는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예를 들어, RF 신호)를 송신하고, 디지털 키(FOB 키)의 제2 신호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온 또는 오프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출력제어 장치(34)의 재밍 동작 또는 디지털 키의 전원 차단 등을 통해 디지털 키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은, 만약 재밍 동작 또는 전원 차단이 없다면 차량(30)의 내부에 보관된 디지털키는 차량(30)에서 보내는 제1 신호에 대항 응답으로 제2 신호를 계속 출력하게 되고(사용자로부터 제어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이에 따라 디지털키의 배터리가 금방 소모되어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OBD 단자(36)는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부터 차량 개폐, 트렁크 개폐, 창문 개폐, 비상등 온오프 및 라이트 온오프를 포함하는 동작에 대한 캔 데이터(CAN DATA)를 입력받아 차량(30)의 도어, 창문, 트렁크 등을 열거나 닫을 수 있고, 비상등, 라이트 등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0),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은 통신망(미도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0)(보다 상세하게,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서버(20) 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보다 상세하게,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어플리케이션(10)(보다 상세하게,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차량(30)(보다 상세하게,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통신망(미도시)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미도시)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보다 상세하게,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차량(30)(보다 상세하게,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및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차량 대여 시, 사용자는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에 등록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0)에 가입 시 부여받은 회원코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어플리케이션(10)은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으로 권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은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에 권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0)에 가입 시, 어플리케이션(10)과 서비스 서버(20)에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저장하고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차량(30)에 대한 대여를 요청하면, 특정 차량(30)으로 해당 특정 사용자에 대한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대응하는 탐색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특정 차량(30)에 해당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0)에 가입 시 부여받은 회원코드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어플리케이션(10)은 서비스 서버(20)로 권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에 권한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에 대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에 대한 등록 관련 데이터들을 차량(30)으로 전송하여 차량(30)이 해당 데이터들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30)에도 사용자가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사용자의 차량 대여 계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차량(30)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대여 기간 동안 차량(30)을 이용할 때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차량(30)의 도어에 대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S110).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S120),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S130).
이때, 상기 검증은,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각각 상이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30)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차량 제어 요청, 예를 들어, “도어 오픈(open)”을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제어 요청이 “도어 오픈”인 경우에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도어 클로즈드(closed), “창문 오픈/클로즈드”, “트렁크 오픈/클로즈드”, “비상등 온/오프”, “라이트 온/오프” 등 모든 차량 제어 요청에 대해서 “도어 오픈”과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의 제어 요청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10) 및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 각각 제공할 수 있다(S1111 및 S1112). 이때, 어플리케이션(10)으로 송신되는 인증용가상코드는 제1 인증용가상코드라 하고,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 송신되는 인증용가상코드는 제2 인증용가상코드라 한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 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증용가상코드가 복수의 세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복수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부코드를 생성하고, 복수의 세부코드를 결합하는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이용하여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인증용가상코드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 즉, 서비스 서버(20)에 설치된 전용프로그램에 의해 단위카운트마다 생성되는 것으로서, OTP(one time password, OTP)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의 시드데이터 중 하나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서비스 서버(20)는 하나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각 세부코드생성함수의 시드데이터로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차량 제어가 요청된 시점 또는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20)는 세부코드생성함수로 제1 함수와 제2 함수를 포함하여,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코드를 생성하는 제1 함수와 제2 코드를 생성하는 제2 함수를 세부코드생성함수로 포함할 뿐, 제1 코드와 제2 코드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용가상코드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용가상코드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특정한 규칙에 따라 결합하여 생성된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조합하는 규칙(즉, 세부코드결합함수)을 포함한다. 즉, 서비스 서버(20)는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이용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세부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세부코드결합함수의 일 예로, 서비스 서버(2)는 N자리의 제1 코드와 N자리의 제2 코드를 번갈아 배치하는 방식으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세부코드결합함수는 제1 코드 뒤에 제2 코드를 결합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되는 세부코드가 늘어남에 따라 세부코드결합함수도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특정한 규칙에 따른 조합으로 생성되는 경우, 제1 코드와 제2 코드는 탐색알고리즘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는 저장위치탐색의 시작지점을 설정하고, 제2 코드는 특정한 탐색방식에 따라 상기 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즉,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로의 탐색경로를 설정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20)에서 단위카운트마다 정상적으로 생성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가 제공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시작지점으로부터 제2 코드에 상응하는 탐색경로에 따라 이동한 지점을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으로 판단한다. 인증용가상코드를 구성하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후술한다.
서비스 서버(20)가 세부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20)는 단위카운트마다 새로운 세부코드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20)는 단위카운트마다 새로운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한다. 단위카운트마다 신규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는 중복되어 생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20)는 단위카운드마다 신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가 특정한 사용자의 대여 계약에 따라 정해진 대여 기간 동안 중복생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간에도 중복생성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의 중복생성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M개 문자로 N자리의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되는 세부코드생성함수는 MN개의 코드를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생성할 수 있고, 각각의 코드를 세부코드생성함수가 구동되는 초기시점으로부터 각 카운트마다 매칭한다. 예를 들어, 단위카운트를 1초로 설정하는 경우, 세부코드생성함수가 최초 구동된 시점에서부터 매 초에 상이한 MN개의 코드를 매칭한다. 그리고, 특정한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는 주기를 MN 카운트에 해당하는 시간길이(예를 들어, 1카운트가 1초인 경우, MN 초)보다 짧은 시간길이로 설정하면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는 사용주기 동안에 동일한 코드가 중복 생성되지 않는다. 즉, 시간이 흐름에 따라 카운트가 증가할 때, 사용자가 특정시점에 서비스 서버(20)에 차량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특정시점에 대응되는 카운트에 매칭된 코드값을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파벳 대문자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코드에 포함 가능한 문자로 사용(즉, 36개의 문자를 사용)하고, 제1 코드와 제2 코드에 각각 6자리를 할당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366개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는 각각의 코드를 각 카운트마다 매칭시켜서, 각 카운트마다 변경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의 중복생성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함수의 사용주기가 경과되면,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를 생성하는 함수(즉, 제1 함수 또는 제2 함수)를 변경하거나 제1 코드와 제2 코드의 매칭관계를 변경하여 이전 사용주기와 상이한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되도록 한다.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함수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코드와 제2 함수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코드가 결합되는 경우, 제1 코드생성함수 또는 제2 코드생성함수가 변경되면, 서비스 서버(20)는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가 등장하는 순서가 이전 사용주기와 달라짐에 따라 이전 주기와 상이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신규 사용주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는 이전 사용주기에서 사용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동일한 코드가 신규 사용주기 내 각 카운트의 제1 인증용가상코드로 등장하지 않도록(즉, 제1 함수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코드와 제2 함수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코드의 매칭관계가 신규 사용주기의 모든 카운트에서 이전 사용주기 내에 포함된 매칭관계 중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1 함수와 제2 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MN 개의 코드를 1회씩 적용할 수 있는 사용주기를 경과한 후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 조절 또는 갱신을 통해 이전 사용주기와 겹치는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되지 않는 신규 사용주기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또는 세부코드생성함수)는, M개의 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다수의 나열규칙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즉, 서비스 서버(20)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 내에 포함되는 세부코드생성함수에 M개 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규칙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대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나열규칙은, 일반적인 순서인 A, B, C,…, Z 순서가 될 수 있고, A, C, B,…, Z 순서가 될 수도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서 나열규칙이 달라짐에 따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가 구동되는 초기시점부터 각 카운트에 차례대로 코드가 매칭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서비스 서버(20)가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서버(20) 내에 포함된 인증용가상코드 생성을 위한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10)은 서비스 서버(20)부터 수신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 송신할 수 있다(S1113).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어플리케이션(10)로수터 수신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서비스 서버(20)로부터 제2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의한 차량 제어 요청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의한 차량 제어 요청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20)에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가 사용자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함께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즉,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검증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의 매칭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각각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 추출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일치 여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전용프로그램(서비스 서버에 전용프로그램이 포함됨)에 의해 생성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제2 인증용가상코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는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제2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각각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각각 복수의 세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적용하여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제2 인증용가상코드에서 각각 복수의 세부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에서 두 개의 세부코드(즉, 제1 코드 및 제2 코드)가 결합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각각의 문자배열에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적용하여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각각 분리해낼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탐색알고리즘 내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탐색알고리즘은 서비스 서버(20)에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때 이용했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매칭되는 것이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에서 각각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가 복수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저장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세부코드 간에는 상관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된 시점에 해당하는 트랙 상 지점(카운트)을 의미한다. 즉,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내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트랙이 구동되고,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되면, 해당 시점에 대응되는 카운트(즉, 트랙의 최종 구동시로부터 등록시점까지 경과된 카운트)에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에는 해당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0)에 가입을 완료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트랙의 구동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가입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차량 대여을 위해 등록을 요청하면, 트랙 상에서 해당 등록 요청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이 완료되게 된다. 해당 차량 대역 계약이 끝나고, 이후에 해당 사용자가 두번째 차량 대여를 원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동일한 트랙 상에서 두번째 등록 요청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구성되는 경우, 세부코드 간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탐색시작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 제2 코드에 상응하는 탐색경로에 따라 이동한 지점을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로 찾을 수 있다. 즉, 상기 세부코드는, 탐색의 시작지점을 설정하는 제1 코드 및 특정한 탐색방식에 따라, 상기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로의 탐색경로를 설정하는 제2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서비스 서버(20)가 단위카운트마다 신규 인증용가상코드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각 카운트마다 변경되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기반으로 탐색시작지점과 탐색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찾기 위해, 탐색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탐색알고리즘은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세부코드 적용 시에 저장위치(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서, 서비스 서버(20)에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때 이용했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매칭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증용가상코드가 저장위치의 탐색시작지점을 결정하는 제1 코드와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의 저장위치 방향을 제시하는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탐색알고리즘은 제1 코드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제2 코드에 대응되는 방향을 지시할 때, 해당 위치에 사용자의 등록 시점이 매칭되는 저장위치가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알고리즘이다.
탐색알고리즘을 이용함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된 제1 코드와 제2 코드가 변경되어도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다만, 탐색알고리즘은 후술되는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탐색알고리즘이 제1 코드에 해당하는 MN개의 코드가 나열된 트랙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k각형(k는 MN)이며, k각형의 꼭지점이 제1 코드 트랙 상에 코드가 배치되는 지점에 대응되면서 이동하는 경우, k각형의 각 꼭지점이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와 매칭되고, 제1 코드 트랙(즉, 제1 트랙)과 k각형이 대응되는 지점이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저장위치 탐색시작지점이 될 수 있다. 이때,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추출된 제1 코드에 대응되는 지점에 k각형의 꼭지점이 접하도록 k각형을 구름이동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k각형이 접한 제1 트랙 상의 위치에서 제2 코드에 상응하는 각도(예를 들어, k각형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180도를 MN개로 분할한 특정한 각도)로 지시함에 따라, 인증용가상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저장위치인 k각형의 꼭지점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k각형을 구름이동(즉, k각형의 각 꼭지점과 트랙 상의 각 지점이 차례대로 접하도록 하면서 이동)시킨다. 그 후,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2 코드에 상응하는 각도 방향을 지시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에 상응하는 꼭지점을 탐색한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에에 의해 탐색알고리즘 내에서 제1 인증용가상코드 및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각각의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가 탐색되면, 각각 탐색된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판별한다. 두 개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개폐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차량(30) 내부의 OBD 단자(36)로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30)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차량 제어 요청, 예를 들어, “도어 오픈(open)”을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제어 요청이 “도어 오픈”인 경우에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도어 클로즈드(closed), “창문 오픈/클로즈드”, “트렁크 오픈/클로즈드”, “비상등 온/오프”, “라이트 온/오프” 등 모든 차량 제어 요청에 대해서 “도어 오픈”과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 단말과 서비스 서버(20)와의 통신이 불가함을 판단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도어 제어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0)은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고(S1121),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 송신할 수 있다(S1122).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S1123). 실시예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제어 요청 신호와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지만, 상기 제어 요청 신호와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은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증용가상코드가 복수의 세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복수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부코드를 생성하고, 복수의 세부코드를 결합하는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이용하여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인증용가상코드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수단, 즉, 어플리케이션(10)에 포함된 전용프로그램에 의해 단위카운트마다 생성되는 것으로서, OTP(one time password, OTP)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의 시드데이터 중 하나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어플리케이션(10)은 하나의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각 세부코드생성함수의 시드데이터로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가 차량 제어를 요청한 시점 또는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세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10)은 세부코드생성함수로 제1 함수와 제2 함수를 포함하여,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0)은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제1 코드를 생성하는 제1 함수와 제2 코드를 생성하는 제2 함수를 세부코드생성함수로 포함할 뿐, 제1 코드와 제2 코드의 상관관계에 대한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은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조합하여 인증용가상코드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용가상코드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특정한 규칙에 따라 결합하여 생성된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조합하는 규칙(즉, 세부코드결합함수)을 포함한다. 즉, 어플리케이션(10)은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이용하여 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세부코드를 결합하여 하나의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세부코드결합함수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10)은 N자리의 제1 코드와 N자리의 제2 코드를 번갈아 배치하는 방식으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세부코드결합함수는 제1 코드 뒤에 제2 코드를 결합하는 함수일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되는 세부코드가 늘어남에 따라 세부코드결합함수도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코드 및 제2 코드의 특정한 규칙에 따른 조합으로 생성되는 경우, 제1 코드와 제2 코드는 탐색알고리즘 내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기 위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드는 저장위치탐색의 시작지점을 설정하고, 제2 코드는 특정한 탐색방식에 따라 상기 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즉,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로의 탐색경로를 설정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10)에서 단위카운트마다 정상적으로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가 제공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시작지점으로부터 제2 코드에 상응하는 탐색경로에 따라 이동한 지점을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으로 판단한다. 제2 인증용가상코드를 구성하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후술한다.
어플리케이션(10)이 세부코드를 생성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10)은 단위카운트마다 새로운 세부코드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10)은 단위카운트마다 새로운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한다. 단위카운트마다 신규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는 중복되어 생성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0)은 단위카운드마다 신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가 특정한 사용자의 대여 계약에 따라 정해진 대여 기간 동안 중복생성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간에도 중복생성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의 중복생성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M개 문자로 N자리의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되는 세부코드생성함수는 MN개의 코드를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생성할 수 있고, 각각의 코드를 세부코드생성함수가 구동되는 초기시점으로부터 각 카운트마다 매칭한다. 예를 들어, 단위카운트를 1초로 설정하는 경우, 세부코드생성함수가 최초 구동된 시점에서부터 매 초에 상이한 MN개의 코드를 매칭한다. 그리고, 특정한 세부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는 주기를 MN 카운트에 해당하는 시간길이(예를 들어, 1카운트가 1초인 경우, MN 초)보다 짧은 시간길이로 설정하면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는 사용주기 동안에 동일한 코드가 중복 생성되지 않는다. 즉, 시간이 흐름에 따라 카운트가 증가할 때, 사용자가 특정시점에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차량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은 특정시점에 대응되는 카운트에 매칭된 코드값을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로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파벳 대문자와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코드에 포함 가능한 문자로 사용(즉, 36개의 문자를 사용)하고, 제1 코드와 제2 코드에 각각 6자리를 할당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10)은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366개의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0)은 각각의 코드를 각 카운트마다 매칭시켜서, 각 카운트마다 변경된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의 중복생성을 방지하는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로, 특정 사용자에 대한 함수의 사용주기가 경과되면,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를 생성하는 함수(즉, 제1 함수 또는 제2 함수)를 변경하거나 제1 코드와 제2 코드의 매칭관계를 변경하여 이전 사용주기와 상이한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되도록 한다.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함수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코드와 제2 함수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코드가 결합되는 경우, 제1 코드생성함수 또는 제2 코드생성함수가 변경되면, 어플리케이션(10)은 제1 코드 또는 제2 코드가 등장하는 순서가 이전 사용주기와 달라짐에 따라 이전 주기와 상이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신규 사용주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은 이전 사용주기에서 사용된 인증용가상코드와 동일한 코드가 신규 사용주기 내 각 카운트의 인증용가상코드로 등장하지 않도록(즉, 제1 함수에 따라 생성되는 제1 코드와 제2 함수에 따라 생성되는 제2 코드의 매칭관계가 신규 사용주기의 모든 카운트에서 이전 사용주기 내에 포함된 매칭관계 중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1 함수와 제2 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MN 개의 코드를 1회씩 적용할 수 있는 사용주기를 경과한 후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 조절 또는 갱신을 통해 이전 사용주기와 겹치는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되지 않는 신규 사용주기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상기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또는 세부코드생성함수)는, M개의 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다수의 나열규칙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된다. 즉, 어플리케이션(10)은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 내에 포함되는 세부코드생성함수에 M개 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규칙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대문자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는 나열규칙은, 일반적인 순서인 A, B, C,…, Z 순서가 될 수 있고, A, C, B,…, Z 순서가 될 수도 있다.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서 나열규칙이 달라짐에 따라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가 구동되는 초기시점부터 각 카운트에 차례대로 코드가 매칭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10)이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10) 내에 포함된 인증용가상코드 생성을 위한 전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증용가상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어플리케이션(10)으로수터 수신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검증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수신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할 수 있다.
즉,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차량 제어 요청이 사용자의 대여 기간 동안에 요청된 경우에만 차량의 도어 개폐를 허용한다. 즉,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검증 완료되었어도(즉, 등록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요청이어도), 해당 요청이 대여 기간 이내에 요청된 것이 아니면 차량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서버(20)와의 통신이 안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차량(30)이 해당 요청이 특정 사용자로의 허용된 시간 범위 이내에 수신된 것인지 직접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서비스 서버(20)와 통신이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요청 시점이 대여 기간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이를 서비스 서버(20)가 판단하고 인증용가상코드 자체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요청이 허용된 시간 범위 이내에 수신된 것이 아닌 경우, 차량(30) 또는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 단말로 계약 기간이 끝났음을 알리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차량(30)에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와의 일치 여부와, 인증용가상코드의 수신 시점이 추출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매칭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전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10)에 전용프로그램이 포함됨)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제공받아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는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추출하는 역할을 각각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세부코드추출부(미도시)는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포함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증용가상코드가 복수의 세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적용하여 인증용가상코드에서 복수의 세부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에서 두 개의 세부코드(즉, 제1 코드 및 제2 코드)가 결합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의 문자배열에서 세부코드결합함수를 적용하여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각각 분리해낼 수 있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추출된 하나 이상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탐색알고리즘 내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탐색알고리즘은 어플리케이션(10)에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때 이용했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매칭되는 것이다. 저장위치탐색부(미도시)에서 각각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하는 방식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저장위치탐색부(미도시)가 복수의 세부코드를 기반으로 저장위치를 탐색하기 위해 세부코드 간에는 상관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등록이 요청된 시점에 해당하는 트랙 상 지점(카운트)을 의미한다. 즉,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 내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트랙이 구동되고,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에 의해 등록이 요청되면, 해당 시점에 대응되는 카운트(즉, 트랙의 최종 구동시로부터 등록시점까지 경과된 카운트)에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에는 해당 사용자의 권한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0)에 가입을 완료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트랙의 구동이 시작되고, 사용자가 가입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차량 대여을 위해 등록을 요청하면, 트랙 상에서 해당 등록 요청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등록이 완료되게 된다. 해당 계약이 끝나고, 이후에 해당 사용자가 두번째 차량 대여를 원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 동일한 트랙 상에서 두번째 등록 요청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에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인증용가상코드가 제1 코드 및 제2 코드로 구성되는 경우, 세부코드 간에 상관관계를 가지는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탐색시작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 제2 코드에 상응하는 탐색경로에 따라 이동한 지점을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로 찾을 수 있다. 즉, 상기 세부코드는, 탐색의 시작지점을 설정하는 제1 코드 및 특정한 탐색방식에 따라, 상기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로의 탐색경로를 설정하는 제2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어플리케이션(10)이 단위카운트마다 신규 인증용가상코드를 제공함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각 카운트마다 변경되는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기반으로 탐색시작지점과 탐색경로를 설정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로,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관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세부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찾기 위해, 탐색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탐색알고리즘은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되는 각각의 세부코드 적용 시에 저장위치(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영역)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으로서, 어플리케이션(10)에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할 때 이용했던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에 매칭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증용가상코드가 저장위치의 탐색시작지점을 결정하는 제1 코드와 탐색시작지점으로부터의 저장위치 방향을 제시하는 제2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탐색알고리즘은 제1 코드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제2 코드에 대응되는 방향을 지시할 때, 해당 위치에 사용자의 등록 시점이 매칭되는 저장위치가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알고리즘이다.
탐색알고리즘을 이용함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에 포함된 제1 코드와 제2 코드가 변경되어도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를 탐색할 수 있다. 탐색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시는 후술한다. 다만, 탐색알고리즘은 후술되는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탐색알고리즘이 제1 코드에 해당하는 MN개의 코드가 나열된 트랙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k각형(k는 MN)이며, k각형의 꼭지점이 제1 코드 트랙 상에 코드가 배치되는 지점에 대응되면서 이동하는 경우, k각형의 각 꼭지점이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와 매칭되고, 제1 코드 트랙(즉, 제1 트랙)과 k각형이 대응되는 지점이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저장위치 탐색시작지점이 될 수 있다. 이때, 저장위치탐색부(미도시)는 세부코드추출부(미도시)에서 추출된 제1 코드에 대응되는 지점에 k각형의 꼭지점이 접하도록 k각형을 구름이동를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장위치탐색부(미도시)는 k각형이 접한 제1 트랙 상의 위치에서 제2 코드에 상응하는 각도(예를 들어, k각형의 꼭지점을 향하도록 180도를 MN개로 분할한 특정한 각도)로 지시함에 따라, 제1 인증용가상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저장된 저장위치인 k각형의 꼭지점을 탐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1 코드에 대응하는 지점으로 k각형을 구름이동(즉, k각형의 각 꼭지점과 트랙 상의 각 지점이 차례대로 접하도록 하면서 이동)시킨다. 그 후,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제2 코드에 상응하는 각도 방향을 지시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저장위치에 상응하는 꼭지점을 탐색한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에 의해 탐색알고리즘 내에서 인증용가상코드의 제1 코드 및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가 탐색되면,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차량(30)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된 권한 정보를 통해 인증용가상코드의 수신 시점이 대여 기간 이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별한다. 사용자 식별 정보가 동일하고 수신 시점이 대여 기간 이내이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 개폐 제어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차량(32) 내부의 OBD 단자(36)로 상기 수신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인증용가상코드를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신한 시점(수신 시점)과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어플리케이션(10)에서 인증용가상코드생성함수를 이용하여 생성된 시점(생성 시점)을 비교하여, 인증용가상코드를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증용가상코드의 생성 시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증용가상코드의 수신 시점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정상 코드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 해제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신호출력제어 장치(34)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차량(30)의 디지털키가 상기 차량(30)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검증이 성공된 후에,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부터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키가 차량 시동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검증이 성공된 후에,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는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10)과 상기 차량(30)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로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재밍 동작은 상기 디지털키 및 상기 차량(30) 간의 통신을 방해하여 디지털키가 차량(30)이 보내는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막는 것이고, 차단은 상기 디지털키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디지털키의 전원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의 재밍 동작 또는 배터리 전원 차단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30)이 보내는 제1 신호(예를 들어, LF 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차량(30)의 디지털키에 상기 제1 신호가 전달되지 못한다. 이후,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32)로부터 도어 개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출력제어 장치(34)의 재밍 동작 또는 차단이 해제되면, 상기 차량(30)이 보내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차량(30)의 디지털키에 전달되고, 상기 차량(30)의 디지털키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예를 들어, RF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30)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키 관련 기술에서는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디지털키(FOB 키)를 해체하는 것이 불가피하였고, 또한 사용자 단말과 서버 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필수적이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차량의 도어, 라이트 등과 같은 기능만 제어할 수 있고, 시동에 대해서는 제조사 정책상 제어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디지털키(FOB 키)를 해체할 필요 없이, 디지털키를 볼트 장치에 보관하고, 이 볼트 장치를 차량에 장착함으로써 도어, 라이트 등과 같은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무리없이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볼트 장치에 보관된 디지털키를 통해 시동을 제어함으로써 제조사 정책 범위 내에서 디지털키 사용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10), 서비스 서버(20) 및 차량(30)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10) 및 서비스 서버(20)는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차량(30)은 사용자가 특정 기간(대여 기간) 동안 대여한 차량으로, 차량(30)은 신호출력제어 장치(34) 및 OBD 단자(36)를 포함할 수 있다. OBD 단자(36)는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상술한 신호출력제어 장치(34)와 동일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차량(30)의 내부에 장착되어 OBD 단자(36)와 연결되는 장치로서,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내부에 디지털키(보다 상세하게는, FOB 키)를 형태 유지한 채로(즉, FOB 키의 해체 없이)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어플리케이션(10) 및 서비스 서버(20)와 통신망(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미도시)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미도시)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어플리케이션(10)로부터의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의 해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증은,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와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각각 상이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되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는 제1 인증용가상코드라 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생성되어 신호출력제어 장치로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는 제2 인증용가상코드라 함)를 기반으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0) 및 상기 서비스 서버(20)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0)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검증이 완료되면, 검증 결과에 따라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신호출력제어 장치의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의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검증 결과에 따라 도어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해당 실시예의 시스템에서는 신호출력제어 장치(34)에 의한 검증이 완료되면 그 결과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재밍 동작 또는 배터리 전원 차단 동작)의 해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10)이 차량의 도어 오픈을 요청한 경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이 해제되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상기 차량 내부의 OBD 단자(36)와 연결되어,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제어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34)는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차량을 렌트한 사용자가 직접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렌트한 차량을 사용자가 아닌 타인이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타인이 사용하는 경우라 함은, 사용자가 렌트한 차량을 사용자의 가족이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렌트한 차량에 대해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본인 소유 차량에 대해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타인이 사용하는 단말에 상기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타인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여, 상기 타인이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 타인의 단말끼리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타인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신된 인증용가상코드는 차량의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또는 신호출력 장치)로 제공되어 해당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검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타인은 차량 이용이 가능해진다.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생성 및 검증 방식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는 인증용가상코드는 고정형가상코드 및 유효기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유형(즉 발렛용, 가족용, 법인용 등)에 따라 상이한 고정형가상코드가 생성되고, 각각의 고정형가상코드에 대한 유효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렛용으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면, 인증용가상코드를 제공받은 타인은 해당 인증용가상코드를 이용해서 유효기간(예를 들어, 3시간) 동안만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타인이 사용하는 단말에 상기 사용자가 설치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등록된 공카드를 타인에게 제공하고, 타인은 공카드를 NFC 태깅을 통해 상기 차량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공카드라 함은, 상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차량의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은 공카드를 의미한다.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또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권한을 부여받은 공카드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카드 등록 시에 공카드에 대한 유효기간이 설정될 수 있고, 유효기간이 만료되면 상기 공카드를 이용한 차량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즉, 상기 타인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공카드를 상기 차량에(예를 들어, 앞유리 측면) 부착된 NFC 리더기를 통해 태깅하면, 차량 내부의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또는 신호출력제어 장치)가 상기 NFC 리더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공카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고 검증할 수 있다. 즉, 등록된 공카드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인증용가상코드에 대한 생성 및 검증 방식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를 차량 내부에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할때 마다(발렛을 이용할 때 마다) 공카드를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차량 내부의 차량온오프제어 장치가 NFC 태깅을 통해 수신된 공카드 정보(시리얼 넘버 등)를 기반으로 인증용가상코드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공카드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해 등록된 카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발렛 파킹을 해주는 주차요원의 단말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렛 파킹을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키를 건네줘야 하고, 이 경우 차량 도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키 대신에 상기 유효기간이 설정된 공카드를 주차요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주차요원이 한정된 시간 동안에만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은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과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및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110 내지 단계 S140과 단계 S210 내지 단계 S23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및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앞에서 설명한 장치(10)일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어플리케이션
20: 서비스 서버
30: 차량

Claims (19)

  1.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온오프제어 장치; 및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내부에 상기 차량의 디지털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이 해제되면, 상기 디지털키가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간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생성 시점 및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점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정상 코드로 판단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로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연결 차단 동작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이 보내는 제1 신호가 차단되어 상기 디지털키에 상기 제1 신호가 전달되지 못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에 대한 외부 연결 차단 동작의 해제가 결정되면, 상기 차량이 보내는 상기 제1 신호가 상기 디지털키에 전달되고, 상기 디지털키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온 또는 오프로 제어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의 OBD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권한을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에 부여하고,
    상기 차량온오프제어 장치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1. 차량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량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증 결과에 따라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신호출력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내부에 상기 차량의 디지털키를 포함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은, 상기 차량이 출력하는 신호가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키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 각각에 제공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 및 상기 서비스 서버 간에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된 제1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용가상코드 간의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인증용가상코드와 상기 제2 인증용가상코드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인증용가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권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인증용가상코드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된 생성 시점 및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시점이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인증용가상코드를 정상 코드로 판단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상기 제어 요청에 따른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외부와의 연결 차단 동작을 해제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의 OBD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검증이 성공하면 도어 개폐 관련 CAN 데이터를 상기 OBD 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어 요청에 대한 권한을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에 부여하고,
    상기 신호출력제어 장치는, NFC 태깅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카드로부터 상기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210134390A 2021-03-04 2021-10-08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654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1868 WO2022186492A1 (ko) 2021-03-04 2022-02-07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29035 2021-03-04
KR1020210029035 2021-03-04
KR1020210081821 2021-06-23
KR20210081821 2021-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140A KR20220125140A (ko) 2022-09-14
KR102654164B1 true KR102654164B1 (ko) 2024-04-03

Family

ID=8327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90A KR102654164B1 (ko) 2021-03-04 2021-10-08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1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167B1 (ko) * 2011-06-13 2018-07-23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316466B1 (ko) 2012-11-20 2013-10-08 신한카드 주식회사 다이나믹 트랙 2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4119A (ko) * 2014-10-14 2016-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 제어장치
KR20180001875U (ko) * 2016-12-14 2018-06-22 노대성 스마트키 차량 해킹 방지 시스템
KR102088746B1 (ko) * 2018-04-11 2020-04-23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 제어권한 인증시스템 및 전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140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50863B (zh) 车辆共享方法及***
CN105976466B (zh) 一种汽车门禁开门方法
US9701280B2 (en) Revocation of mobile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privileges
KR102422326B1 (ko)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384643B2 (en) Virtual keyfob for vehicle sharing
US930541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authentication management and reporting
CN107251105B (zh) 机动车安防和机动车安全***
CN111835689B (zh) 数字钥匙的身份认证方法、终端设备及介质
EP3376475A1 (en) Security apparatus
CN107067563A (zh) 车辆共享附件设备和***
JP2008239021A (ja) 車両制御装置及びそのデータ書換システム
US20110215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n authorized vehicle driveaway
CN112644423B (zh) 用于使用安全密码进入***起动车辆的***和方法
US2011021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vehicle driveaway
JP6338112B2 (ja) シェア車両用キー照合システム
JP5421202B2 (ja) 携帯機
US105090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location of vehicle
EP3720085A1 (en) Moving objec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dge computing in fleet system
CN112819997A (zh) 创建车辆钥匙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102654164B1 (ko) 인증용가상코드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80001314A (ko) 비상 시동 장치 및 방법
WO2020170966A1 (ja) 無人飛行装置、管理装置、操作装置及び飛行管理方法
US201700982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accessing a vehicle
KR10247479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