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585B1 -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585B1
KR102652585B1 KR1020210151693A KR20210151693A KR102652585B1 KR 102652585 B1 KR102652585 B1 KR 102652585B1 KR 1020210151693 A KR1020210151693 A KR 1020210151693A KR 20210151693 A KR20210151693 A KR 20210151693A KR 102652585 B1 KR102652585 B1 KR 10265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rtual
artist
exhibition space
pictur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5778A (en
Inventor
신호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to KR102021015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85B1/en
Publication of KR2023006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8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and performing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Description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Virtual gallery system performing automated content batch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gallery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거나, 온라인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갤러리이다.Recently, various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offline are moving online or being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online activitie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is the online gallery.

온라인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들이 온라인으로 방문하여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nline gallery allows artists to post their works online and allows online visitors to visit online and view each artist's works.

예를 들어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웹 서버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갤러리에 접속한 후, 해당 온라인 갤러리에 게시된 각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열람할 수 있다.For example, an online gallery may be operated by a web server, in which case online visitors can access the online gallery using a web browser and then view the works of each artist posted in the online gallery.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상에게 전시되던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In this way, online galleries have the positive effect of allowing many people to appreciate the works of each artist that were previously displayed offline by displaying them online.

그런데 각 아티스트들은 작품 활동 분야에 있어서는 나름 전문가라 할 수 있음에도, 제작된 작품을 게시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although each artist can be said to be an expert in his or her own field of work, he or she often complains of difficulties in posting the created work.

특히 오프라인과 달리 온라인상의 작품들(콘텐츠들)은 가상 전시 공간내에서의 배치 및 교체가 자유롭고 그만큼 선택권이 많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아티스트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많은 고민을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In particular, unlike offline works, online works (contents) can be freely placed and replaced with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there are many options, but this is a cause for concern for artists.

예를 들어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어떠한 순서 또는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지, 또는 각 콘텐츠들의 프레임은 어떠한 것을 해야 적절한지 등에 대해 많은 고민들을 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가 전무한 실정이다.For example, artists worry a lot about the order or location in which their content should be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r the appropriate frame for each content, but there are currently no services to support this. This is the situation.

등록특허 제10-2219367호Registered Patent No. 10-221936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라인상의 가상 전시 공간에 콘텐츠를 배치함에 있어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배치 위치 또는 배치 방법 등에 대해 자동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appropriate placement location or plac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ent when placing content in an onlin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It provides the control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It may include performing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Here, after extracting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extracted object are determined, and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the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determined object. The placement location can be determined.

여기서,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Here, a grouping process can be performed on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determined object,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be determined by grouping the grouped contents.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s judged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already registered style information, and a frame for the conten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yle and combined with the content, and then dis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t can be placed.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that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analyzes content uploaded by artists; It may include a content placement unit that performs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into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analysis unit extracts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then determines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extracted object, and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can perform a grouping process on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and determine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y grouping the grouped contents. there is.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painting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pre-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creates a frame for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painting style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After selecting and combining it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it can be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티스트들은 작품제작에만 힘쓰면 되고, 제작된 작품의 게시와 관련해서는 자동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아티스트들의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tists only need to focus on producing their works, and automatic processing is performed regarding the posting of the produced works, thereby significantly increasing artists' convenience.

특히, 콘텐츠 자체의 크기가 아닌,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기초하여 배치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온라인 관람객이 콘텐츠의 내용과, 그 콘텐츠가 배치된 공간과의 조화를 통해 더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lacement posi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rather than the size of the content itself, so that online visitors can enjoy a larger experience through harmony between the content and the space where the content is placed. You can feel the emotion.

더 나아가 화풍에 따른 액자 프레임에 대한 선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아티스트의 고민을 많이 덜어줄 수 있다.Furthermore, the selection of the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ainting style is made automatically, which can alleviate a lot of the artist's worr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ntire system including a virtual galler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of Figure 1;
3 to 6 are control flow diagrams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of FIG. 1.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low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ri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for convenience, alphabet letters such as '(a)' are included in some claims, but these alphabet letters do not specify the order of each step.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signal mentioned below in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singl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connection, etc., but may also mean a series of signal groups transmitt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described later. . That is, in each embodiment, a plurality of signals transmit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or afte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the other device can be expressed as one signal name fo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low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ri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for convenience, alphabet letters such as '(a)' are included in some claims, but these alphabet letters do not specify the order of each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아티스트 단말기(200),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entire system may be comprised of an artist terminal 200, a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d an online viewer terminal 300.

아티스트 단말기(200)는 아티스트들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가상 전시 공간을 꾸미는 기능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유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반드시 예술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The artist terminal 200 is for artists to acces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to upload content or decorate a virtual exhibition space. I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o a wired network. It may be possible. Here, an artist does not necessarily refer only to people who specialize in artistic activities, but also to all people who want to upload their content online so that others can view it.

또한 상술한 콘텐츠는 각 아티스트들이 제작하거나 창작한 작품들에 대한 전자적 데이터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described content may be electronic data about works produced or created by each artist.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각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콘텐츠 즉, 작품들을 열람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is a device for viewing content, that is, works, registered in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by each artist, and includes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된 경우,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면 충분하다.For example, i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configured as a web server, a device including a web browser is sufficient for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한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함과 아울러 그 가상 전시 공간에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에 전시 또는 배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erforms certain functions according to requests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for exampl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In addition to construc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rranging predetermined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providing content displayed or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online visitor terminal 300. do.

이를 위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회원제에 기반한 시스템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을 열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o this en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an perform system operation based on a membership system. For example, it can provide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artists who have signed up as members in advance or process registration of content, and similarly, it can provide a virtual exhibition space to artists who have signed up as members in advance. Online visitors who sign up can view each artist's virtual exhibition space.

이러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An example of a specific functional block of this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as shown in FIG. 2.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 콘텐츠 분석부(120), 콘텐츠 배치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nclud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a content analysis unit 120, a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an input unit 140, and a storage unit 150. It can be configured.

여기서 입력부(14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 콘텐츠,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input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various request signals, contents, and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unit 150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content, etc. received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and also dynamically stores information, etc., according to requests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and the online viewer terminal 3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content, etc. created by .

특히,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그 업로드한 아티스트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50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reated at the request of the artist terminal 200, and also has a function of matching and registering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artist terminal 200 to the uploaded artist. Perform.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회원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operated on a membership basis, member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각 회원 정보와, 각 회원이 등록하거나 각 회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저장부(150)에 등록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act that each member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member or generated corresponding to each member are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50 in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더 나아가 저장부(150)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 동작 중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information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nd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in real time.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build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가상 전시 공간은 복수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fers to an area or space where certain content can be plac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i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is composed of a web serve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eb pages. It could be.

일 예로,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각 아티스트들마다 5개의 웹페이지(각 URL로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웹페이지에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제한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may provide five web pages (each web page accessible by each URL) for each artist, and each of these web pages may have a preset number (e.g. For example, a limit to 10 pieces of content may be set in advance by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이러한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에 의해 구축되는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The form of each artist's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by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may vary.

예를 들어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건물과 같은 이미지로 구성된 후에, 온라인 관람객이 조작하는 온라인상의 아바타 등이 해당 건물로 진입하는 건물 안 이미지로 전환하면서 콘텐츠가 게시된 전시 공간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fte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is configured with an image such as a building, an online avatar manipulated by an online visitor switches to an image inside the building entering the building, so that the exhibition space where the content is posted is displayed. It can also be configured.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performs the function of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artists.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may extract objects included in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and then determine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extracted objects.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할 수 있는데, 이처럼 이미지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can separate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within the content. Since the technology for separating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within the image is well know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process of extracting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extracted objects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예를 들어 딥러닝과 같이 기계학습에 기초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콘텐츠(그림 이미지 등)에 포함된 식물, 동물, 사람 등에 대한 객체 추출 과정과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machine learning such as deep learn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objects for plants, animals, people, etc. included in certain content (picture images, etc.) and the process of judging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objects. This can happen simultaneously.

객체의 형태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가로 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고, 객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식물인지, 동물이나 식물이라면 어떠한 동/식물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으며, 크기는 콘텐츠(예를 들어 그림 이미지) 내에서 상대적 크기 또는 절대적 크기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일 예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인지에 대한 판단일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object can be determined as to whether it is stretch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 type of the object is, as described above, whether it is a person, an animal, or a plant, and if it is an animal or plant, what type of animal/plant it is. etc., and size may be a judgment about the relative size or absolute size within the content (for example, a drawing image). For example, it may be a judgment as to whether it is a still life, a portrait, or a landscape.

특히 콘텐츠에 복수 개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그 중 주요 객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objects,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may select a main object among them and determine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selected object.

여기서 주요 객체인지 여부는 객체의 배치 위치(예를 들어 콘텐츠 중심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콘텐츠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Here, whether or not it is a major object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object's placement location (for example, whether i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ntent) and the proportion it occupies within the content.

한편,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may determine the painting style of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based on the degree of similarity with pre-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가 동양화인지 서양화인지, 또는 인상파 화풍, 입체파 화풍, 초현실주의 화풍, 바로크 화풍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 corresponds to an oriental painting, a western painting, or an impressionist painting style, a cubist painting style, a surrealist painting style, or a baroque painting style.

이러한 화풍 판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각 화풍에 대한 주요 색조, 터치 기법 등에 대한 기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is judgment of the painting style may be made by artificial intelligence, as described above, but it may also be made using pre-stored information about the main color tone, touch technique, etc. for each painting style.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각 콘텐츠의 색조, 사용된 색상의 종류, 터치 기법 등에 대한 분석과, 각 화풍별 기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화풍을 해당 콘텐츠에 매칭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can analyze the color tone, type of color used, touch technique, etc. of each content and compare information indicating the technique for each painting style to match the most similar painting style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한편,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 즉,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한다.Meanwhile, the content placement unit 130 performs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that is, placement processing in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특히,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추출되고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 등이 판단된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n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tract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and the shape, type, size, etc. of the object are determined,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determines the shap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콘텐츠가 세로방향으로 쭉 뻗은 나무를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가상 전시 공간 중 세로 방향으로 긴 위치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ontent corresponds to a picture of a tree stretching vertically, the content placement unit 130 can place the content in a vertically long position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즉,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 자체의 크기가 아니라, 그 콘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콘텐츠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ntent by considering the size of objects included in the content, etc., rather than the size of the content itself.

콘텐츠 자체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를 배치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으로 획일적 이미지를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별 유사도에 따른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다.When conten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ent itself, an overall uniform image is given.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inspiration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each content without causing such a problem.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처리를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performs grouping processing on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and groups the grouped contents into a virtual exhibition space. You can also decide on the placement location.

예를 들어 콘텐츠 배치부(130)는 비슷한 종류의 피사체(예를 들어 동물들)를 그린 그림들끼리 가상 전시 공간의 비슷한 위치에 함께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can arrange pictures depicting similar types of subjects (e.g., animals) together at similar positions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특히 종래에는 아티스트가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는 키워드 혹은 카테고리 분류 등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이상, 별도의 수동 조작 과정을 거쳐서 복수의 콘텐츠를 그루핑해야 했는데,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과정이다.In particular, in the past, when an artist uploaded content, unless keywords or category classification were set by default, multiple contents had to be grouped through a separate manual operation process, which was a very cumbersome process.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콘텐츠 배치부(130)가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그루핑 처리를 해주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된다.Therefore, when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automatically performs grouping processing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for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user convenience is significantly increased.

물론 이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그루핑 결과에 대해서 아티스트에게 제공해주고, 최종 결정(일 예로 확인 버튼 클릭 등)은 아티스트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provides the grouping results to the artist, and the final decision (for example, clicking the confirmation button, etc.) may be made according to the artist's selection.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액자 프레임을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ent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the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already registered style information,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determines the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You can select a picture frame for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selected painting style, combine the selected picture frame with the content, and then place i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실질적으로 콘텐츠(작품)마다 어떤 액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작품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액자 프레임의 선택은 그만큼 중요하다.In reality, the selection of the fram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quality of the work is affected depending on which frame is used for each piece of content (work).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는 액자 프레임의 중요성 및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가장 부합하는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may analyze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the picture frame and select the picture frame that best matches the content.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전시 공간에 게시되는 각 콘텐츠는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유사한 화풍에 대한 기존 다양한 액자 프레임으로 전시된 콘텐츠들의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현재 새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each content post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ay be sold online. In this case, statistics on the sales rate of content displayed in various existing picture frames for similar painting styles a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urrently newly registered content. You can also choose a picture frame.

물론 판매 뿐만 아니라 일명 '좋아요'버튼 등과 같이 온라인 관람객의 호응도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유사한 화풍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액자 프레임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ich picture frame is suitable for content with a similar style by examining statistics on the response of online visitors, such as the so-called 'Like' button, as well as sales.

이때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액자 프레임의 모양이나 재질 뿐만 아니라,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 즉,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lection of the picture frame may include not only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picture frame, but also the location where the content is placed within the picture fram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picture frame and the content.

즉, 액자 프레임은 단순히 콘텐츠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백(즉, 액자 프레임으로부터 콘텐츠까지의 거리)을 통해 오히려 콘텐츠(작품)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icture frame not only serves as a border for the content, but can also make the content (work) stand out through the blank space (i.e., the distance from the picture frame to the content).

이러한 최적의 액자 프레임의 선정 및 콘텐츠와의 결합 후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를 통해 온라인 관람객에게 실제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fter selecting the optimal picture frame and combining it with content, it can be placed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to provide online visitors with the feeling that it is an artist's work displayed in an actual offline exhibition hall.

이에 따라 화풍에 따라 온라인 관람객에도 익숙한 종류의 액자 프레임이 자동으로 콘텐츠와 결합하여 게시(온라인상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풍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 형태나 종류에 대한 지식이 없는 아티스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depending on the painting style, types of picture frames that are familiar to online viewers can be automatically combined with content and posted (provided online), which is of great help to artists who do not have knowledge about the shape or type of picture frames according to the painting style. It can b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control flow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 구축을 한 후 해당 아티스트에 할당 처리한다(단계 S1).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each artist and then assigns it to the corresponding artist (step S1).

이어서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아티스트로부터 콘텐츠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용 분석을 처리한다(단계 S3).Nex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ntent registration from an artist allocated a virtual exhibition spac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rocesses content analysis of the uploaded content (step S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콘텐츠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Thereafter,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erforms placement processing of the content in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for each content (step S5).

예를 들어, 아티스트들이 올리는 순서대로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되거나, 사후적으로 아티스트들의 수동 조작에 따라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 콘텐츠의 내용 분석 결과에 따라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으로 그 배치 위치가 결정되거나, 배치를 위한 액자 프레임이 자동으로 선정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contents are not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uploaded by artists, or are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fter the fact by manual manipulation by artists, but are instead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f each content (virtual gallery system) 100), the placement position can be determined automatically, or the picture frame for placement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도 4는 도 3의 과정에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배치 위치가 결정되는 구체적인 과정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 specific process in which the arrangement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ontent in the process of Figure 3.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추출한다(단계 S11).That i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extracts key objects included in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step S11).

최근 기계 학습에 의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참고하면, 소정의 이미지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 동물이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은 상당히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Referring to recent image analysis results using machine learning, judgments about whether there are people or animals in a given image are made quite accurately.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를 판단하고(단계 S13), 그 판단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15).Next,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determines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extracted main object (step S13), and determines the placement position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judgment (step S15).

배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위치에 콘텐츠를 게시한다(단계 S17).After the placement location is determine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osts content at that location (step S17).

여기서 콘텐츠를 게시한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 관람객이 열람할 수 있도록 가상 전시 공간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온라인상의 소정의 페이지에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posting content means placing it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o that online visitors can view it, as mentioned earlier, but the technology itself for placing content on a certain page online is only known. Therefo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4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인데, 유사한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끼리 비슷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Figure 4 show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lacement position for one content. Contents containing similar objects can be placed in similar positions, and this process is shown in Figure 5.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되는 각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단계 S21),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를 판단한다(단계 S23).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extracts main objects included in each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step S21) and determines the type, shape, and size of the extracted main objects (step S2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 등에 대한 유사도에 기초하여 그루핑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5).Thereafter,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erforms grouping processing based on the similarity in type, shape, size, etc. of the extracted main objects (step S25).

예를 들어 유사한 피사체를 그린 그림들끼리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다.For example, setting pictures of similar subjects in the same group.

이러한 그루핑 과정을 수행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그룹별로 가상 전시 공간내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27).After performing this grouping process,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an determine the arrangement position with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group (step S27).

즉,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 전시 공간이 복수 개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각 웹페이지마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끼리 모아서 배치/게시할 수 있는 것이다(단계 S29).In other words, as mentioned, whe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ists of a plurality of web pages, content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can be collected and placed/posted on each web page (step S29).

도 6은 액자 프레임을 자동으로 선정해주는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the processing proces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picture frame.

우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와 기 등록된 화풍 정보를 비교한다(단계 S31).First,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ompares the uploaded content and pre-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step S31).

비교결과 유사도에 기초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단계 S33),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장 유사한 화풍을 해당 콘텐츠의 화풍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imilarity (step S33). For exampl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may determine that the most similar painting style is the painting style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판단된 화풍에 매칭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다(단계 S35).Next,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selects a picture frame that matches the determined painting style (step S35).

이때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특정 화풍에 매칭된 액자 프레임이 복수 개 있는 경우, 가장 인접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액자 프레임이 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picture frames matching a specific painting styl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may select different picture frames for the most adjacent content.

액자 프레임이 선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선정된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를 결합하는데(단계 S37), 예를 들어 콘텐츠 주변으로 동일한 마진을 두고서 액자 프레임이 배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After the picture frame is selecte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ombines the selected picture frame and the content (step S37). For example, the picture frame can be combined so that the picture frame is arranged with the same margin around the content. .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액자 프레임과 결합된 콘텐츠를 게시하여 온라인 관람객이 온라인을 통해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39).Next,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osts the content combined with the picture frame so that online viewers can view it online (step S39).

배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위치에 콘텐츠를 게시한다.After the placement location is determine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posts content at that location.

여기서 콘텐츠를 게시한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 관람객이 열람할 수 있도록 가상 전시 공간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온라인상의 소정의 페이지에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posting content means placing it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so that online visitors can view it, as mentioned earlier, but the technology itself for placing content on a certain page online is only known. Therefor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일단 구축된 가상 전시 공간에 대한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only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but it can also perform a function of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nce built.

즉, 콘텐츠 분석부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면,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content analysis unit analyzes content uploaded by an artis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may change the configur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is content.

예를 들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지고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추출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if content uploaded from an artist is analyzed and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is extracte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uses the extracted object to create a virtual exhibition space where the content is placed. You can change at least one of the color and background image.

구체적으로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3차원 형상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배치부(13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30)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assuming tha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shape including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front surfaces that have the effect of extending toward the front based on the front, the content placement unit 130 ) can extract each main object existing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areas by analyzing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t this tim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extracts the images extracted by the content placement unit 130. , main objects for each lower, left, and right area can be placed separately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respectively.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가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30)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determines the type of main object extracted from the cont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unit 110 creates a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corresponding to the types of each main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130. Each object can be extracted from a database (not shown), and the plurality of similar objects extracted can be placed separately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이러한 처리 과정이 도 7에 도시되었다.This processing process is shown in Figure 7.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500)를 상, 하, 좌, 우(510, 520, 530, 540)로 구분하여 그 각각의 영역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divides the content 500 into top, bottom, left, and right (510, 520, 530, and 540) and includes them in each area, as shown in FIG. 7(a). Key objects can be extracted by area.

도 7(a)에서는 상부 영역(510)에는 A 객체가, 하부 영역(520)에는 B 객체가, 좌측 영역(530)에는 C 객체가, 우측 영역(540)에는 D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고, 이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A,B,C,D 의 주요 객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In Figure 7(a), as an example, there is an A object in the upper area 510, a B object in the lower area 520, a C object in the left area 530, and a D object in the right area 540. In this cas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an extract the main objects of A, B, C, and D, respectively.

만일, 도 7(a)와 같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500)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는 그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If, as shown in FIG. 7(a), the content 500 uploaded by the artist is analyzed and each main object existing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areas is extracted,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extracts the extracted images. , main objects for each lower, left, and right area can be separately arranged on the top 610, bottom 620, left side 630, and right side 64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respectively.

이러한 결과가 도 7(b)에 도시되었다.Thes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7(b).

즉, 도 7(b)를 참조하면,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에는 콘텐츠(500)의 상부 영역(510)에 있던 A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하면(620)에는 콘텐츠(500)의 하부 영역(520)에 있던 B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좌측면(630)에는 콘텐츠(500)의 좌측 영역(530)에 있던 C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우측면(640)에는 콘텐츠(500)의 우측 영역(540)에 있던 D객체가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7(b), object A in the upper area 510 of the content 5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61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 The B object in the lower area 520 of the content 500 is placed in 620, and the C object in the left area 530 of the content 500 is placed on the left side 63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It can be seen that the D object in the right area 540 of the content 500 is placed on the right side 64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공간(600)의 정면에는 콘텐츠(500)를 있는 그대로 배치하여 마치 오프라인 갤러리에 그림이 걸려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Of course,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can place the content 500 as is in the front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giving the same effect as if a picture is hanging in an offline gallery.

이처럼 정면을 기준으로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정면에 배치되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한 객체를 다시 배치함으로써, 콘텐츠(500)와 입체적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In this way, by rearranging the objects extracted from the content 500 placed in front on the top 610, bottom 620, left side 630, and right side 640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600 based on the front, the content (500) and the three-dimensional background can harmonize with each other, doubling the emotion of online viewers.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Meanwhile, of course,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or application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eg, computer-readable). Here, recording media include electronic recording media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recording media such as hard disks, and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s (Compact Disk).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gram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can be executed on hardware such as a computer or smartphone to perform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particular, at least on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virtual gallery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such a program or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가상 갤러리 시스템 200 : 아티스트 단말기
300 :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 110 :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
120 : 콘텐츠 분석부 130 : 콘텐츠 배치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100: Virtual Gallery System 200: Artist Terminal
300: Online visitor terminal 110: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department
120: Content analysis unit 130: Content placement unit
140: input unit 150: storage unit

Claims (10)

(a)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b)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화풍과 유사한 화풍의 다양한 전시된 콘텐츠들의 온라인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한 후, 판매된 콘텐츠들의 액자 프레임에 기초한 통계치를 이용하여 특정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 후 그 선정된 특정 액자 프레임을 상기 (b) 단계에서 업로드되는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는 액자 프레임의 모양과 재질 및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 build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b) analyzing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c) performing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 of step (b),
In step (b), the painting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already 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In step (c), after examining statistics on the online sales rate of various displayed contents with a style similar to the style determined in step (b), a specific picture frame is selected using statistics based on the picture frames of the sold content. Then, the selected specific picture frame is combined with the content uploaded in step (b) and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the picture frame includes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picture fram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ontent is placed within the pictur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step (b), the object included in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is extracted, and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extracted object are determined,
In step (c), the virtual position of the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in step (b). Gallery system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In step (c), a grouping process is performed on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in step (b),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determined by grouping the grouped contents. A control method of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화풍과 유사한 화풍의 다양한 전시된 콘텐츠들의 온라인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한 후, 판매된 콘텐츠들의 액자 프레임에 기초한 통계치를 이용하여 특정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 후 그 선정된 특정 액자 프레임을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는 액자 프레임의 모양과 재질 및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nstruction department that builds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ach artist;
a content analysis unit that analyzes content uploaded by artists;
A content placement unit that performs placement processing of each content into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tist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unit,
The content analysis unit determines the painting style of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based on the similarity with the already registered painting style information,
The content placement unit examines statistics on the online sales rate of various displayed contents with a style similar to the style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selects a specific picture frame using statistics based on picture frames of the sold content, and then selects the picture frame. After combining the specific picture frame with the content uploaded by the artist, it is plac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the picture frame includes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picture frame and the position where the content is placed within the pictur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In clause 7,
The content analysis unit extracts objects included in content uploaded from the artist and determines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extracted objects,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placement processing, wherein the content placement unit determines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content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ent arrangement unit performs a grouping process on a plurality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hape, type, and size of the object determined by the content analysis unit, and determin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y grouping the grouped contents. A virtual gallery system that performs automated content batch processing.
삭제delete
KR1020210151693A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52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8A KR20230065778A (en) 2023-05-12
KR102652585B1 true KR102652585B1 (en) 2024-03-29

Family

ID=8638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en) 2021-11-05 2021-11-05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104B1 (en) * 2024-02-14 2024-06-13 (주) 알트소프트 Digital galle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en)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dimensional virtual-reality museum
KR102219367B1 (en)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KR102276936B1 (en)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581A (en)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 virtual sp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en)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dimensional virtual-reality museum
KR102219367B1 (en)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KR102276936B1 (en)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8A (en)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30294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7862018B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for food cooking method
CN103686344B (en) Strengthen video system and method
US201503319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hythmic and Polyrhythmic Pattern Search and Publishing
KR200200624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bject label images in video sequence
US10025777B2 (en) User interface screen creation supporting system
CN111494946B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652585B1 (en) 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JP57144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9685593A (en) Data obje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407493B1 (en) Solution for making of art gallery employing virtual reality
CN109074679A (en) The Instant Ads based on scene strengthened with augmented reality
CN110889718B (en) Scheme screening method, scheme screening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837108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238091B2 (en) Art image characterization and system training in the loupe art platform
JP201704537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N108718422A (en) 2 D code information shared system
US10268640B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object-directed feelings
KR102616846B1 (en) Virtual gallery system comprising reward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16848B1 (en) 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86665B2 (en) Art image characterization and system training in the loupe art platform
JP2017059245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291624B (en)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18652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diting Webpage
JP662266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