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450B1 - Liquid crystal panel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450B1
KR102647450B1 KR1020180164341A KR20180164341A KR102647450B1 KR 102647450 B1 KR102647450 B1 KR 102647450B1 KR 1020180164341 A KR1020180164341 A KR 1020180164341A KR 20180164341 A KR20180164341 A KR 20180164341A KR 102647450 B1 KR102647450 B1 KR 102647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liquid crystal
display area
substrate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5546A (en
Inventor
이호준
김도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450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정표시패널에 따르면, 다수의 화소들은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제1 기판 위에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배열된다. 제2 기판은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제1 기판에 결합되고, 액정층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다수의 컬러필터들은 제1 기판 또는 제2 기판 위에 배치되고, 다수의 컬러필터들은 다수의 화소들과 중첩된다. 오버코트층은 다수의 컬러필터들을 커버한다. 표시영역의 라운드진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행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배열된 소정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그룹이 정의된다. 화소그룹에서 화소들의 개구율은 경계라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화소그룹에서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최외곽에 배열된 화소에 중첩된 컬러필터에는 오버코트층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According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row and column directions on the first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The second substrate is opposite to the first substrate and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the liquid crystal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are disposed on the first or second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overlap with the plurality of pixels. The overcoat layer covers multiple color filters. A pixel group including predetermined pixels arranged in a row or column direction is defined adjacent to a boundary line defining a rounded area of the display area. The aperture ratio of pixels in a pixel group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creases, and an opening accommodating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in the color filter overlaid on the pixel arranged in the outermost position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in the pixel group.

Figure R1020180164341
Figure R1020180164341

Description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PANEL}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IQUID CRYSTAL PANEL}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드 형상의 표시영역을 갖는 액정표시패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ore specifically, to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round-shaped display area.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출력하고, 액정표시패널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패널은 표시영역을 통해 영상을 표시하며, 액정표시패널은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기판 위에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assembly. The backlight assembly outputs ligh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using the light output from the backlight assemb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isplays images through a display area,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on a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액정표시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표시되는 영상의 디자인의 수려함을 위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of various design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i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applied to smartphones, the corners of the display area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are being developed to have a round shape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displayed image.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 형상의 표시영역에서 표시품질이 향상된 액정표시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improved display quality in a round-shaped display area.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은 제1 기판, 다수의 화소들, 제2 기판, 액정층, 다수의 컬러필터들 및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화소들은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 위에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은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은 상기 다수의 화소들과 중첩된다.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을 커버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plurality of pixels, a second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and an overcoat layer. The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row and column directions on the first substrat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The second substrate faces the first substrat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The liquid crystal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ar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overlap the plurality of pixels. The overcoat layer covers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상기 표시영역의 라운드진 영역을 정의하는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상기 행방향 또는 상기 열방향으로 배열된 소정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그룹이 정의된다. 상기 화소그룹에서 화소들의 개구율은 상기 경계라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상기 화소그룹에서 상기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최외곽에 배열된 화소에 중첩된 컬러필터에는 상기 오버코트층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A pixel group including predetermined pixel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is defined adjacent to a boundary line defining a rounded area of the display area.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s in the pixel group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creases, and an opening accommodating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in the color filter overlapping the pixel arranged in the outermost position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in the pixel group.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영역의 라운드된 부분을 정의하는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행방향 또는 열방향으로 배열된 화소그룹이 정의되며, 화소그룹에 속하는 화소들의 개구율은 경계라인에 멀어질수록 증가된다. 따라서, 경계라인에 인접한 화소들의 각진 형상이 흐릿하게 시인되어 에일리어싱(aliasing)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ixel groups arranged in the row or column direction are defined adjacent to a boundary line defining a rounded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nd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s belonging to the pixel group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creases. increases. Accordingly, the angular shapes of pixels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are viewed as blurry, and the aliasing phenomenon can be reduced.

또한, 화소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화소들 중 경계라인에 가장 인접한 최외곽 화소에 형성된 컬러필터에는 오버코트층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최외곽 화소의 개구율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최외곽 화소에 형성된 차광층의 부피가 주변 화소에 형성된 차광층의 부피보다 크더라도, 최외곽 화소에서 증가된 차광층의 부피에 대응되도록 최외곽 화소에 형성된 컬러필터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ening accommodating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in the color filter formed in the outermost pixel closest to the boundary line among the plurality of pixels belonging to the pixel group.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aperture ratio of the outermost pixel, even if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formed in the outermost pixel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formed in the surrounding pixels,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formed in the outermost pixel is increased to correspond to the increased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in the outermost pixel.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formed color filter.

따라서, 최외곽 화소에 형성된 차광층의 부피와 컬러필터의 부피의 합 및 주변 화소에 형성된 차광층의 부피와 컬러필터의 부피의 합 간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최외곽 화소와 그 주변화소에 일괄적으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셀갭의 크기가 균일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Therefore, the deviation between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formed in the outermost pixel and the volume of the color filter and the sum of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formed in the surrounding pixels and the volume of the color filter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outermost pixel and its surrounding pixels Steps in the uniformly formed overcoat layer are prevented, and the size of the cell gap can be made uniform, thereby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제1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서브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화소그룹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 화소그룹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some component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hown in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bpixel shown in FIG. 4.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II′ shown in FIG. 5A.
FIG.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pixel group shown in FIG. 4.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pixel group shown in FIG. 4.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II-II′ shown in FIG. 7.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urpos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nderstood through the drawings and relat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appli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rovided to make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learer and further to enab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drawing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when a part of a membrane, area,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it does not only mean that i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part, but also that there is another membrane, area, component, etc. in between. Also includes cases.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lan view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some component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This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of the panel.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5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500)의 하나의 예인 스마트폰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is a device that displays images, and in this embodiment, a smartphone, which is an exam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is shown.

액정표시장치(500)는 액정표시패널(100), 커버 윈도우(300) 및 모듈(10)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5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외에 액정표시패널(100) 측으로 광을 출력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 배터리(미도시), 커버 윈도우(300)와 결합되는 하우징(미도시) 및 액정표시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보드(미도시)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100) 외 구성요소들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이하 액정표시장치(500)의 액정표시패널(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 cover window 300, and a module 10.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includes a backlight assembly (not shown) that outputs light towar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 battery (not shown), and a housing (not shown) combined with the cover window 300. and other components such as a main board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hereinaft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500) is described.

액정표시패널(100)에는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이 정의된다. 액정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DA)에 대응하여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화소들의 각각에는 액정층의 액정분자의 방향자를 배열을 제어하는 화소전극(도 5a의 50)과 공통전극(도 5a의 52)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D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영역(DA)은 커버 윈도우(300)의 투과영역(TA)와 중첩되며, 표시영역(DA)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투과영역(TA)을 투과하여 커버 윈도우(300)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defines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DA. A pixel electrode (50 in FIG. 5A) and a common electrode (52 in FIG. 5A) that control the arrangement of the director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are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has a display area ( The image is displayed using the light emitted through DA).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DA) overlaps the transmission area (TA) of the cover window 300, and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display area (DA) passes through the transmission area (TA) to the outside of the cover window 300. can be printed.

액정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비표시영역(NDA)에 대응하여서는 액정표시패널(100)에는 차광층(도 6의 BM)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표시영역(NDA)은 커버 윈도우(300)의 비투과영역(NTA)에 중첩될 수 있다.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has a shape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DA). A light blocking layer (BM in FIG. 6)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NDA). Additionally, the non-display area (NDA) may overlap the non-transmissive area (NTA) of the cover window 300.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단의 중앙에는 골(V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영역(DA)의 상단의 중앙은 골(V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움푹 파인 형상인, 소위 노치(notc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장방형을 갖는 표시영역을 갖는 일반적인 액정표시패널 대비, 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은 상단이 보다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In this embodiment, a valley VA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display area DA may have a so-called notch shape, which is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alley VA. In other words, compared to a typical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rectangular display area, the display area D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more expanded shape at the top.

상술한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의 형상에 따라,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영역(DA)은 메인 표시영역(MDA), 제1 보조 표시영역(ADA1) 및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display area (D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area (DA) includes the main display area (MDA),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may be included.

메인 표시영역(MDA)은 액정표시패널(100)의 중앙부, 좌측부, 우측부, 하단부 및 상단부의 일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보조 표시영역(ADA1)은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단부의 일 측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은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단부의 타 측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조 표시영역(ADA1)은 메인 표시영역(MDA)의 상단의 중앙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은 메인 표시영역(MDA)의 상단의 중앙의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main display area (MDA) may correspond to portions of the center, left, right, bottom, and upper portion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may correspond to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may correspon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re is. Accordingly,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center of the main display area (MDA),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enter of the main display area (MDA). can be located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단에 형성된 골(VA)은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골(VA)에 인접한 제1 보조 표시영역(ADA1)과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의 각각의 일 영역은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VA)에 인접한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을 정의하는 제1 경계라인(BL1)은 곡선의 형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valley VA formed at the to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may have a round shape. Accordingly, one area of each of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adjacent to the valley VA may have a rounded shap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oundary line BL1 defining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adjacent to the valley VA may be viewed as having a curved shape.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영역(DA)의 다른 영역이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영역(DA)의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의 모서리는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의 모서리르 정의하는 제2 경계라인(BL2)은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other area of the display area DA may have a rounded shape. For example, the corners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of the display area DA may have a rounded shape, and accordingly, the second border line BL2 defines the corners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 may have the shape of a curv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계라인(BL1)은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에 계단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5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점에서 제1 경계라인(BL1)이 곡선의 형상으로 시인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식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을 바라보는 시점에서는 제1 경계라인(BL1)은 계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boundary line BL1 may be defined by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a staircase shape in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oundary line BL1 may be viewed as a curved shape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500, but as shown in FIG. 4, it is arranged in steps. When looking at multiple pixels, the first boundary line BL1 may have a staircase shape.

커버 윈도우(300)는 액정표시패널(100)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 윈도우(300)는 커버 글라스일 수 있고, 커버 윈도우(30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액정표시패널(100)을 보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 윈도우(300)는 아크릴 수지와 같이 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window 300 cover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window 300 may be a cover glass, and the cover window 300 protects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from external shock. In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window 3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such as acrylic resin.

커버 윈도우(300)에는 비투과영역(NTA)에 대응되어 차광층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차광층은 광을 차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300)의 비투과영역(NTA)은 액정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NDA)에 중첩될 수 있고, 커버 윈도우(300)의 투과영역(TA)은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에 중첩될 수 있다. A light blocking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window 300 corresponding to the non-transmissive area (NTA),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The non-transmissive area (NTA) of the cover window 300 may overlap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missive area (TA) of the cover window 300 may overlap the non-display area (ND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t may overlap the display area (DA).

모듈(10)은 액정표시패널(100)에 형성된 골(VA)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모듈(10)은 카메라(11)와 스피커(12)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모듈(10)에 구비된 소자들의 종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module 10 is disposed inside the valley VA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10 may include a camera 11 and a speaker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s of elements provided in the module 10.

또한, 액정표시패널(100)에 형성된 골(VA)의 내부에 배치된 모듈(10)은 커버 윈도우(300)에 의해 커버된다. 액정표시패널(100), 모듈(10) 및 커버 윈도우(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모듈(10)의 일 측에 제1 보조 표시영역(ADA1)이 위치하고, 모듈(10)의 타 측에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보조 표시영역들(ADA1,ADA2)은 상술한 위치와 관련된 특성을 가지므로, 제1 보조 표시영역(ADA1)과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에는 시간, 날짜, 배터리 용량 및 와이파이 상태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dule 10 disposed inside the valley VA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s covered by the cover window 300.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he module 10, and the cover window 300 are combined,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dule 10, and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1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dule 10. A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is located. Therefo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s (ADA1 and ADA2) hav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position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s (ADA1)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s (ADA2) include time, date, and battery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capacity and Wi-Fi status may be display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액정표시패널의 제1 영역(A1)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area A1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hown in FIG. 3.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100)의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에 다수의 화소들이 배열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도 3에서는 제1 경계라인(도 3의 BL1)은 곡선의 형상으로 도시되나, 도 4에서는 제1 경계라인(도 4의 BL1)은 계단 형상으로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in FIG. 3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n FIG. 3) is shown in the shape of a curve, but in FIG. 4,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n FIG. 4) is shown in the shape of a step.

제1 경계라인(BL1)을 경계로 액정표시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DA)과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이 구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100)에는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여 제1 경계라인(BL1)을 따라 다수의 더미화소(DPX)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하여 액정표시패널(100)에는 차광층(미도시)과 실런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차광층은 광을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실런트는 액정표시패널(100)을 구성하는 제1 기판(도 5b의 20)과 제2 기판(도 5b의 6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The non-display area (NDA)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may be divided by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dummy pixels DPX may be dispos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along the first boundary line BL1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NDA.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 light blocking layer (not shown) and a sealan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corresponding to the non-display area (NDA),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transmits light. It contains a blocking material, and the sealant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20 in FIG. 5B) and the second substrate (60 in FIG. 5B)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to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100)에는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에 대응하여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와 같은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화소들의 각각은 3개의 서브화소(SPX)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화소를 구성하는 3개의 서브화소(SPX)는 적색 서브화소,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 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such as a first pixel (PX1), a second pixel (PX2), and a third pixel (PX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 Addition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include three sub-pixels (SPX), and the three sub-pixels (SPX) constituting each pixel may be a red sub-pixel, a green sub-pixel, and a blue sub-pixel.

이하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서브화소(SPX)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ub-pixel (SPX)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as follows.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서브화소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5A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bpixel shown in FIG. 4,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shown in FIG. 5A.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액정표시패널의 서브화소(SPX)는 제1 기판(20), 제2 기판(60),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구동 트랜지스터(TR), 화소 전극(50), 공통 전극(52), 액정층(70) 및 오버코트층(66)을 포함한다. 5A and 5B, the subpixel (SPX)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substrate 20, a second substrate 60, a gate line (GL), a data line (DL), and a driving transistor (TR). , a pixel electrode 50, a common electrode 52, a liquid crystal layer 70, and an overcoat layer 66.

제1 기판(20)과 제2 기판(60)의 각각은 글라스 기판과 같이 투명기판일 수 있다. 게이트 라인(GL)은 제1 기판(20) 위에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DL)은 게이트 절연막(16)에 의해 게이트 라인(GL)에 절연되어 게이트 라인(GL)에 교차한다.Each of the first substrate 20 and the second substrate 6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The gate line GL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20 . The data line DL is insulated from the gate line GL by the gate insulating film 16 and intersects the gate line GL.

구동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극(GE), 액티브 패턴(AP),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라인(G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액티브 패턴(AP)은 게이트 절연막(16)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GE)에 중첩된다. 소스 전극(SE)은 데이터 라인(D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액티브 패턴(AP)에 콘택된다. 드레인 전극(DE)은 소스 전극(SE)에 이격되어 액티브 패턴(AP)에 콘택되며, 드레인 전극(DE)은 콘택홀(CH)을 통해 화소 전극(50)에 콘택된다. The driving transistor (TR) includes a gate electrode (GE), an active pattern (AP), a source electrode (SE), and a drain electrode (DE). The gate electrode G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active pattern AP overlaps the gate electrode GE with the gate insulating film 16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ource electrode (S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and contacts the active pattern (AP). The drain electrode DE is spaced apart from the source electrode SE and is in contact with the active pattern AP, and the drain electrode DE is in contact with the pixel electrode 50 through the contact hole CH.

절연층(40)은 제1 기판(20) 위에 배치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R)를 커버하고, 절연층(40) 위에는 화소 전극(50)과 공통 전극(52)이 서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소 전극(50)과 공통 전극(52)의 각각은 다수의 바 형상을 갖는 분기부들을 포함하고, 절연층(40) 위에 화소 전극(50)의 분기부들과 공통 전극(52)의 분기부들이 서로 이격되어 교번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50)과 공통 전극(52) 간에 프린지 필드가 생성되어 액정층(70)의 액정분자의 방향자의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layer 40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20 to cover the driving transistor TR, and the pixel electrode 50 and the common electrode 52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sulating layer 40.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pixel electrode 50 and the common electrode 52 includes a plurality of bar-shaped branches, and the branch parts of the pixel electrode 50 and the common electrode 52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40. The branch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alternately. Accordingly, a fringe field is generat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50 and the common electrode 52,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irector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70 can be adjusted.

제2 기판(60) 위에는 차광층(BM)이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BM)은 광을 차단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차광층(BM)은 서브화소(SPX)와 서브화소(SPX)에 인접한 다른 서브화소의 경계에 대응하여 제2 기판(6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BM)은 광을 차단하므로, 서브화소(SPX)에서 차광층(BM)에 의해 광이 차단되는 면적에 의해 서브화소(SPX)에 광이 투과하는 면적의 비로 정의되는 개구율(aperture ratio)이 정의될 수 있다. A light blocking layer BM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 The light blocking layer BM includes a material that blocks light, and the light blocking layer BM is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subpixel SPX and another subpixel adjacent to the subpixel SPX. It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light blocking layer (BM) blocks light, the aperture ratio ( aperture ratio) can be defined.

일반적으로는 서브화소(SPX)의 개구율이 클수록 액정표시패널(100)의 표시품질과 저전력 구동에 유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소들의 각진 형상에 의해 제1 경계라인(도 4의 BL1)이 계단형상으로 시인되는 에일리어싱(aliasing)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제1 화소그룹(도 4의 PXG1)의 다수의 화소들이 갖는 개구율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In general, the larger the aperture ratio of the sub-pixel (SPX), the better the display quality and low-power ope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100.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n FIG. 4) is formed due to the angular shape of the pixels. ), the aperture ratios of a plurality of pixels of the first pixel group (PXG1 in FIG. 4)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reduce the aliasing phenomenon, which is recognized as a step shap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s provided later.

제2 기판(60) 위에는 제1 컬러필터(CF1), 제2 컬러필터(CF2) 및 제3 컬러필터(CF3)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컬러필터(CF1)는 적색 필터일 수 있고, 제2 컬러필터(CF2)는 녹색 필터일 수 있고, 제3 컬러필터(CF3)는 청색 필터일 수 있다. 도 5b에서는 서브화소(SPX)에 대응되어 제2 기판(60) 위에 제1 컬러필터(CF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서브화소(SPX)에 인접한 다른 서브화소들에 대응되어 제2 컬러필터(CF2)와 제3 컬러필터(CF3)가 제2 기판(60) 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color filter (CF1), a second color filter (CF2), and a third color filter (CF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lor filter (CF1) may be a red filter, the second color filter (CF2) may be a green filter, and the third color filter (CF3) may be a blue filter. In FIG. 5B, the first color filter CF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b-pixel SPX, and the second color filter CF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b-pixel SPX. CF2) and the third color filter CF3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오버코트층(66)은 제2 기판(60) 위에 배치되어 차광층(BM)과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버코트층(66)은 제2 기판(60) 위에 적층된 층들 중 최상측에 적층되어 액정층(70)에 노출될 수 있다. The overcoat layer 66 is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and covers the light blocking layer BM and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and CF3. In this embodiment, the overcoat layer 66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layers laminated on the second substrate 60 and exposed to the liquid crystal layer 70.

오버코트층(66)의 제조 방법적인 관점에서는, 제2 기판(60) 위에 차광층(BM)과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을 형성한 이후에, 제2 기판(60)의 전체 면적에 대해 절연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절연물질이 열에 의해 경화되어 오버코트층(6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필터들(도 8의 CF1-3 및 CF2-3)에 개구부들(도 8의 H1 및 H2)이 형성되는 경우에, 오버코트층(66)은 개구부들(도 8의 H1 및 H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overcoat layer 66, after forming the light blocking layer BM and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and CF3 on the second substrate 60, the second substrate ( An insulating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60), and the applied insulating material may be cured by heat to form an overcoat layer 66. Therefore, as shown in FIG. 8, when openings (H1 and H2 in FIG. 8) are formed in the color filters (CF1-3 and CF2-3 in FIG. 8), the overcoat layer 66 forms the openings. It can be accommodated inside (H1 and H2 in FIG. 8).

이하 도 4에 도 6을 더 참조하여 제1 경계라인(BL1)의 주변에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around the first boundary line BL1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4 and 6 as follows.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화소그룹(PXG1)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pixel group PXG1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의 라운드진 영역은 제1 경계라인(BL1)으로 정의되고, 제1 경계라인(BL1)에 인접하여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화소그룹(PXG1)이 정의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6 ,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rounded area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is defined as the first border line BL1, and is located at the first border line BL1. A first pixel group PXG1 is defined including pixels arranged adjacently in the first direction D1.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그룹(PXG1)은 제1 방향(D1)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을 구분하는 기준은 개구율에 따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PX1)와 제2 화소(PX2)의 사이에는 제1 화소(PX1)와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다른 화소가 적어도 하나 배열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화소(PX2)와 제3 화소(PX3)의 사이에는 제2 화소(PX2)와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다른 화소가 적어도 하나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ixel group PXG1 includes a first pixel PX1, a second pixel PX2, and a third pixel PX3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embodiment,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is based on the aperture ratio,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a first pixel (PX1) and a second pixel (PX2) between the first and third pixels (PX1, PX2, PX3). At least one other pixel having the same aperture ratio as the pixel PX1 may be arranged,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same aperture ratio as the second pixel PX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third pixel PX3. At least one different pixel may be arranged.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의 각각은 3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의 각각의 3개의 서브화소는 서로 동일한 개구율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may include three sub-pixels,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may include three sub-pixels. Subpixels may have the same aperture ratio.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의 각각의 개구율은 차광층(BM)에 형성된 광 투과부의 크기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화소(PX1)에 형성된 제1 광 투과부들(LH1)의 면적의 크기는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제2 광 투과부들(LH2)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고,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제2 광 투과부들(LH2)의 면적의 크기는 제3 화소(PX3)에 형성된 제3 광 투과부들(LH3)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제1 화소(PX1)의 제1 개구율은 제2 화소(PX2)의 제2 개구율보다 작고, 상기 제2 개구율의 크기는 제3 화소(PX3)의 제3 개구율보다 작다. 즉, 제1 화소그룹(PXG1)이 제1 방향(D1)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화소그룹(PXG1)에 속하는 다수의 화소들의 개구율들은 제1 경계라인(BL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aperture ratio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layer BM. 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area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1 formed in the first pixel PX1 is the size of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2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If the size of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s LH2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rea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arts LH3 formed in the third pixel PX3, The first aperture ratio of the first pixel PX1 is smaller than the second aperture ratio of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size of the second aperture ratio is smaller than the third aperture ratio of the third pixel PX3. That is, when the first pixel group PXG1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aperture ratios of the plurality of pixels belonging to the first pixel group PXG1 are determined by the first boundary line ( It increases as you move away from BL1).

그 결과, 제1 화소그룹(PXG1)의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 중에서 제1 경계라인(BL1)에 가장 인접한 제1 화소(PX1)로부터 출력되는 제1 광양이 가장 적다. 따라서, 제1 화소(PX1)의 휘도는 제2 화소(PX2)의 휘도 또는 제3 화소(PX3)의 휘도보다 낮으며, 그 결과 제1 화소(PX1)의 각진 형상이 외부에서 흐릿하게 시인되어 전술한 에일리어싱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As a result, among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of the first pixel group (PXG1), the first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first pixel (PX1) closest to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s the highest. little. Accordingly, the luminance of the first pixel (PX1) is lower than the luminance of the second pixel (PX2) or the luminance of the third pixel (PX3), and as a result, the angular shape of the first pixel (PX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as blurry. The aliasing phenomenon described above can be reduced.

또한, 제1 화소그룹(PXG1)에서 제2 화소(PX2)는 제1 화소(PX1)와 제3 화소(PX3)의 사이에 배열되고, 제2 화소(PX2)로부터 출력되는 제2 광양은 상기 제1 광양보다 적고, 상기 제2 광양은 제3 화소(PX3)로부터 출력되는 제3 광양보다 크다. 따라서, 제2 화소(PX2)에 의해 제1 화소(PX1)와 제3 화소(PX3) 간에 휘도 변화가 급격해지는 것이 완화되고, 그 결과 제1 화소그룹(PXG1)에서 표시되는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first pixel group (PXG1), the second pixel (PX2)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pixel (PX1) and the third pixel (PX3), and the second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second pixel (PX2) is as described above. It is less than the first light amount, and the second light amount is larger than the third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third pixel (PX3). Accordingly, the sharp change in luminance between the first pixel (PX1) and the third pixel (PX3) is alleviated by the second pixel (PX2), and as a result, the display quality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group (PXG1) is improved. You can.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2 화소그룹(PXG2)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cond pixel group PXG2 shown in FIG. 4.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보조 표시영역(ADA2)의 라운드진 영역은 제1 경계라인(BL1)으로 정의되고, 제1 경계라인(BL1)에 인접하여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화소그룹(PXG2)이 정의된다. Referring to FIGS. 4 and 7 , the rounded area of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DA2 is defined as the first boundary line BL1, and is adjacent to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n the second direction D2. A second pixel group (PXG2) including arranged pixels is defined.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화소그룹(PXG2)은 제2 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및 제6 화소(PX6)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을 구분하는 기준은 개구율에 따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4 화소(PX4)와 제5 화소(PX5)의 사이에는 제4 화소(PX4)와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다른 화소가 적어도 하나 배열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5 화소(PX5)와 제6 화소(PX6)의 사이에는 제5 화소(PX5)와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다른 화소가 적어도 하나 배열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ixel group PXG2 includes a fourth pixel PX4, a fifth pixel PX5, and a sixth pixel PX6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In this embodiment, the standard for distinguishing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is according to the aperture ratio,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re is a fourth pixel (PX4) At least one other pixel having the same aperture ratio as the pixel PX4 may be arranged,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same aperture ratio as the fifth pixel PX5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xth pixel PX6. At least one different pixel may be arranged.

도 6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화소들(도 6의 PX1,PX2,PX3)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에서는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의 각각은 3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의 각각의 3개의 서브화소는 서로 동일한 개구율을 가질 수 있다. Like the first to third pixels shown in FIG. 6 (PX1, PX2, and PX3 in FIG. 6),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has three subpixels. may include, and each of the three sub-pixels of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may have the same aperture ratio.

이 실시예에서는 제4 화소(PX4)에 형성된 제1 광 투과부들(LH1)의 면적의 크기는 제5 화소(PX5)에 형성된 제2 광 투과부들(LH2)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고, 제5 화소(PX5)에 형성된 제2 광 투과부들(LH2)의 면적의 크기는 제6 화소(PX6)에 형성된 제3 광 투과부들(LH3)의 면적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제4 화소(PX4)의 제4 개구율은 제5 화소(PX5)의 제5 개구율보다 작고, 상기 제5 개구율은 제6 화소(PX6)의 제6 개구율보다 작다. 즉, 제2 화소그룹(PXG2)이 제2 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2 화소그룹(PXG2)에 속하는 다수의 화소들의 개구율들은 제1 경계라인(BL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area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1 formed in the fourth pixel PX4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2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ze of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2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is smaller. The size of the area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2 formed in the pixel PX5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rea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s LH3 formed in the sixth pixel PX6. Accordingly, the fourth aperture ratio of the fourth pixel PX4 is smaller than the fifth aperture ratio of the fifth pixel PX5, and the fifth aperture ratio is smaller than the sixth aperture ratio of the sixth pixel PX6. That is, when the second pixel group PXG2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 aperture ratios of the plurality of pixels belonging to the second pixel group PXG2 are determined by the first boundary line ( It increases as you move away from BL1).

그 결과, 제2 화소그룹(PXG2)의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 중에서 제1 경계라인(BL1)에 가장 인접한 제4 화소(PX4)로부터 출력되는 제4 광양이 가장 적다. 따라서, 제4 화소(PX4)의 휘도는 제5 화소(PX5)의 휘도 또는 제6 화소(PX6)의 휘도보다 낮으며, 그 결과 제4 화소(PX4)의 각진 형상이 외부에서 흐릿하게 시인되어 전술한 에일리어싱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As a result, among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PX6) of the second pixel group (PXG2), the fourth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fourth pixel (PX4) closest to the first boundary line (BL1) is the highest. little. Therefore, the luminance of the fourth pixel (PX4) is lower than the luminance of the fifth pixel (PX5) or the luminance of the sixth pixel (PX6), and as a result, the angular shape of the fourth pixel (PX4) is visible from the outside as blurry. The aliasing phenomenon described above can be reduced.

또한, 제2 화소그룹(PXG2)에서 제5 화소(PX5)는 제4 화소(PX4)와 제6 화소(PX6)의 사이에 배열되고, 제5 화소(PX5)로부터 출력되는 제5 광양은 상기 제4 광양보다 적고, 상기 제5 광양은 제6 화소(PX6)로부터 출력되는 제6 광양보다 크다. 따라서, 제5 화소(PX5)에 의해 제4 화소(PX4)와 제6 화소(PX6) 간에 휘도 변화가 급격해지는 것이 완화되고, 제2 화소그룹(PXG2)에서 표시되는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second pixel group (PXG2), the fifth pixel (PX5) is arranged between the fourth pixel (PX4) and the sixth pixel (PX6), and the fifth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fifth pixel (PX5) is as described above. It is less than the fourth light amount, and the fifth light amount is larger than the sixth light amount output from the sixth pixel (PX6). Accordingly, the sharp change in luminance between the fourth pixel (PX4) and the sixth pixel (PX6) due to the fifth pixel (PX5) is alleviated, and the display quality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group (PXG2) can be improved. .

이하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에 대응되어 형성된 컬러필터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gain, the structure of the color filter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화소(PX1)는 3개의 서브화소들을 포함하고, 제1 화소(PX1)의 3개의 서브화소들에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이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화소(PX2)의 3개의 서브화소들에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1,CF2-1,CF3-1)이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되고, 제3 화소(PX3)의 3개의 서브화소들에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2,CF2-2,CF3-2)이 일대일 대응되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pixel (PX1) includes three sub-pixels, and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CF3) are applied to the three sub-pixels of the first pixel (PX1). They are plac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1, CF2-1, and CF3-1 are arrang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in the three sub-pixels of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2, CF2-2, and CF3-2 are arrang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in the three subpixels.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PX1)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의 색상들은 서로 상이하나, 제1 화소(PX1)의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의 구조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화소(PX1)의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CF2,CF3)과 마찬가지로, 제2 화소(PX2)의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1,CF2-1,CF3-1)의 구조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3 화소(PX3)의 제1 내지 제3 컬러필터들(CF1-2,CF2-2,CF3-3)의 구조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1 화소(PX1)에서 제1 컬러필터(CF1)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제2 화소(PX2)에서 제1 컬러필터(CF1-1)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제3 화소(PX3)에서 제1 컬러필터(CF1-2)의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lor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and CF3 formed in the first pixel PX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color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and CF3 formed in the first pixel PX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s of (CF1, CF2, CF3)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In addition, like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 CF2, and CF3 of the first pixel PX1,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1, CF2-1 of the second pixel PX2 The structures of CF3-1)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and the structures of the first to third color filters CF1-2, CF2-2, and CF3-3 of the third pixel PX3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 in the first pixel PX1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and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1 in the second pixel PX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2) in the third pixel (PX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화소(PX1)의 제1 컬러필터(CF1)에는 제1 개구부(H1)가 형성되고, 제2 화소(PX2)의 제1 컬러필터(CF1-1)에는 제1 개구부(H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개구부(H1)의 개구된 제1 폭(W1)은 제2 개구부(H2)의 개구된 제2 폭(W2)보다 크다. 또한, 제3 화소(PX3)의 제1 컬러필터(CF1-2)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H1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 of the first pixel PX1, and the first opening H1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1 of the second pixel PX2. (H2) is formed. Additionally, the first open width W1 of the first opening H1 is larger than the second open width W2 of the second opening H2. Additionally, no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2 of the third pixel PX3.

따라서, 제1 화소(PX1)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의 부피는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1)의 부피보다 작고,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1)의 부피는 제3 화소(PX3)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2)의 부피보다 작다.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 formed in the first pixel PX1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1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1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1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1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2 formed in the third pixel PX3.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광 투과부(LH1)의 크기는 제2 광 투과부(LH2)의 크기보다 작고, 제2 광 투과부(LH2)의 크기는 제3 광 투과부(LH3)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제1 화소(PX1)에 형성된 차광층(BM)의 부피는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차광층(BM2)의 부피보다 크고, 제2 화소(PX2)에 형성된 차광층(BM)의 부피는 제3 화소(PX3)에 형성된 차광층(BM)의 부피보다 크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1)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2), and the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2)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3). .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first pixel PX1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2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second pixel PX2. The volume is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third pixel PX3.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차광층(BM)의 부피는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컬러필터의 부피는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에 형성된 차광층(BM)의 부피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더라도,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에 형성된 컬러필터의 부피가 전술된 바와 같이 조절되는 경우에,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에서 차광층(BM)과 컬러필터가 차지하는 부피들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Summarizing the above,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increases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first pixel (PX1),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third pixel (PX3), and the volume of the color filter in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pixel (PX1),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third pixel (PX3). It sequentiall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pixel (PX1), the second pixel (PX2), and the third pixel (PX3). Therefore, even if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increases sequentially, the color filter formed in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When the volume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deviation of the volumes occupied by the light blocking layer BM and the color filter in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may be reduced.

그 결과,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에 차광층(BM)과 컬러필터를 커버하도록 일괄적으로 형성되는 오버코트층(66)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액정층(70)에 노출되는 오버코트층(66)의 표면의 평탄도가 향상되며, 제1 내지 제3 화소들(PX1,PX2,PX3)이 갖는 셀갭들이 균일해져 액정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steps ar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overcoat layer 66, which is formed collectively to cover the light blocking layer BM and the color filter in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thereby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 The flatness of the surface of the overcoat layer 66 exposed to 70) is improved, and the cell gaps of the first to third pixels (PX1, PX2, and PX3) are made uniform, so that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an be improved. .

도 8은 도 7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II-II′ shown in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화소그룹(PXG2)은 제2 방향(D2)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및 제6 화소(PX6)를 포함한다. 또한, 제4 화소(PX4)의 서브화소에 제1 컬러필터(CF1-3)가 배치되고, 제5 화소(PX5)의 서브화소에 제1 컬러필터(CF1-4)가 배치되고, 제6 화소(PX6)의 서브화소에 제1 컬러필터(CF1-5)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second pixel group (PXG2) includes a fourth pixel (PX4), a fifth pixel (PX5), and a sixth pixel (PX6)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o. Additionally, the first color filter (CF1-3) is disposed in the sub-pixel of the fourth pixel (PX4), the first color filter (CF1-4) is disposed in the sub-pixel of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xth The first color filter (CF1-5) is disposed in the sub-pixel of the pixel (PX6).

이 실시예에서는, 제4 화소(PX4)의 제1 컬러필터(CF1-3)에 제1 개구부(H1)가 형성되고, 제5 화소(PX5)의 제1 컬러필터(CF1-4)에 제2 개구부(H2)가 형성되고, 제6 화소(PX6)의 제1 컬러필터(CF1-5)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H1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3 of the fourth pixel PX4, and the first opening H1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4 of the fifth pixel PX5. 2 An opening H2 is formed, and no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color filter CF1-5 of the sixth pixel PX6.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개구부(H1)의 제1 폭(W1)은 제2 개구부(H2)의 제2 폭(W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4 화소(PX4)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3)의 부피는 제5 화소(PX5)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4)의 부피보다 작고, 제5 화소(PX5)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4)의 부피는 제6 화소(PX6)에 형성된 제1 컬러필터(CF1-5)의 부피보다 작다. 또한, 제4 화소(PX4)에 형성된 제1 광 투과부(LH1)의 크기는 제5 화소(PX5)에 형성된 제2 광 투과부(LH2)의 크기보다 작고, 제2 광 투과부(LH2)의 크기는 제6 화소(PX6)에 형성된 제3 광 투과부(LH3)의 크기보다 작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opening H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second opening H2. 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3) formed in the fourth pixel (PX4)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4)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and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4)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is smaller.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4 formed in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color filter CF1-5 formed in the sixth pixel PX6. In addition, the size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1) formed in the fourth pixel (PX4)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2)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2) formed in the fifth pixel (PX5). It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 (LH3) formed in the sixth pixel (PX6).

즉, 차광층(BM)의 부피는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및 제6 화소(PX6)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컬러필터의 부피는 제4 화소(PX4), 제5 화소(PX5) 및 제6 화소(PX6)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에 형성된 차광층(BM)의 부피가 순차적으로 증가되더라도,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에 형성된 컬러필터의 부피가 전술된 바와 같이 조절되는 경우에,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에서 차광층(BM)과 컬러필터가 차지하는 부피들의 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That is,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increases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fourth pixel PX4,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xth pixel PX6, and the volume of the color filter increases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the fourth pixel PX4,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xth pixel PX6. It sequentially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fth pixel (PX5) and the sixth pixel (PX6). Therefore, even if the volume of the light blocking layer BM formed in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increases sequentially, the color filter formed in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When the volume is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umes occupied by the light blocking layer BM and the color filter in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can be reduced.

게다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코트층(66)은 컬러필터들(CF1-3,CF1-4,CF1-5)에 형성된 제1 개구부(H1)와 제2 개구부(H2)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4 내지 제6 화소들(PX4,PX5,PX6)에 걸쳐 일괄적으로 형성된 오버코트층(66)에 단차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제4 내지 제6 화소들(PX1,PX2,PX3)이 갖는 셀갭(CG)의 크기가 균일해져 액정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overcoat layer 66 is formed inside the first opening H1 and the second opening H2 formed in the color filters CF1-3, CF1-4, and CF1-5. It is formed into an acceptable struc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steps from occurring in the overcoat layer 66 formed collectively across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4, PX5, and PX6), and as a result, the fourth to sixth pixels (PX1, The size of the cell gap (CG) of PX2, PX3) becomes uniform, resulting in an effect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scope of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100: 액정표시패널 300: 커버 윈도우
500: 액정표시장치 DA: 표시영역
MDA: 메인 표시영역 ADA1: 제1 보조 표시영역
ADA2: 제2 보조 표시영역 NDA: 비표시 영역
TA: 투과영역 NTA: 비투과 영역
BL1: 제1 경계라인 SPX: 서브화소
PXG1: 제1 화소그룹 PX1: 제1 화소
BM: 차광층 DPX: 더미화소
H1: 제1 개구부 LH1: 제1 광 투과부
CF1: 제1 컬러필터
100: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300: cover window
500: Liquid crystal display DA: Display area
MDA: Main display area ADA1: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DA2: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NDA: Non-display area
TA: Transmissive area NTA: Non-transmissive area
BL1: First boundary line SPX: Sub-pixel
PXG1: 1st pixel group PX1: 1st pixel
BM: light blocking layer DPX: dummy pixel
H1: first opening LH1: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
CF1: first color filter

Claims (11)

제1 기판;
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 위에 행방향과 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들;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들과 중첩되는 다수의 컬러필터들; 및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을 커버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과 비표시 영역 간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상기 행방향 또는 상기 열방향으로 배열된 소정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그룹이 정의되고,
상기 화소그룹에서 화소들의 개구율은 상기 경계라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고, 상기 화소그룹에서 상기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최외곽에 배열된 화소에 중첩된 컬러필터에는 상기 오버코트층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차광층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율은 상기 다수의 차광층들 각각에 형성된 광 투과부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first substrate;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row and column directions on the first substrate corresponding to a display area;
a second substrate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liquid crysta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 plurality of color filter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and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pixels; and
Includes an overcoat layer covering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A pixel group is defined adjacent to a boundary line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and includes predetermined pixel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column direction,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s in the pixel group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line increases, and an opening accommodating the overcoat layer is formed in the color filter overlapping the pixel arranged at the outermost position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in the pixel group. ,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hielding layer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erein the aperture ratio increases as the siz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blocking layers increa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그룹은 상기 경계라인에 인접하여 최외곽에 배열된 제1 화소, 상기 제1 화소의 다음에 배열된 제2 화소 및 상기 제2 화소의 다음에 배치된 제3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부는 상기 제1 화소에 대응되는 제1 광 투과부, 상기 제2 화소에 대응되는 제2 광 투과부 및 상기 제3 화소에 대응되는 제3 광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부의 크기는 상기 제2 광 투과부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제2 광 투과부의 크기는 상기 제3 광 투과부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xel group includes a first pixel arranged at the outermost side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a second pixel arranged next to the first pixel, and a third pixel arranged next to the second pixel. Includ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xel, a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xel, and a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pix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erein a size of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smaller than a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and a size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smaller than a size of the third light transmitt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 중 상기 제1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의 크기는 상기 제2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의 크기보다 작고, 상기 다수의 컬러필터들 중 상기 제2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의 크기는 상기 제3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필터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xel among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xel, and the second pixel among the plurality of color filters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xel.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third pixe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화소에 대응되는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화소에 대응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부의 폭은 상기 제2 개구부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ing includes a first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pixel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ixel, and a width of the first opening is greater than a width of the second opening. Characteriz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claim 5, wherein the overcoat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그룹에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의 사이에는 상기 제1 화소 또는 상기 제2 화소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다른 화소가 더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liquid crystal of claim 3, wherein in the pixel group, another pixel having the same aperture ratio as either the first pixel or the second pixel is further arranged between the first pixel and the second pixel. Display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소들 각각은 서브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개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s sub-pixels, and the sub-pixels have the same aperture rati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은,
메인 표시영역;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단의 일 측에 위치한 제1 보조 표시영역;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의 상단의 타 측에 위치한 제2 보조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영역에는 상단의 중앙에는 골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은 상기 골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area is:
Main display area;
a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locat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display area; and
A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display area,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herein a valley is defined at the center of an upper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valley in betwee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라인은 상기 제1 보조 표시영역과 상기 제2 보조 표시영역의 각각을 정의하는 경계의 일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패널.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f claim 9, wherein the boundary line is a portion of a boundary defining each of the first auxiliary display area and the second auxiliary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라인은 상기 표시영역과 비표시 영역 간 경계를 따라 계단 형상을 갖는 액정표시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boundary lin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a step shape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non-display area.
KR1020180164341A 2018-12-18 2018-12-18 Liquid crystal panel KR102647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41A KR102647450B1 (en) 2018-12-18 2018-12-18 Liquid crysta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41A KR102647450B1 (en) 2018-12-18 2018-12-18 Liquid crystal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46A KR20200075546A (en) 2020-06-26
KR102647450B1 true KR102647450B1 (en) 2024-03-14

Family

ID=7113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41A KR102647450B1 (en) 2018-12-18 2018-12-18 Liquid crystal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4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560A (en) * 2005-12-22 2007-07-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216357A (en) * 2007-02-28 2008-09-18 Optre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13182127A (en) 2012-03-01 2013-09-12 Sharp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2017151414A (en) 2016-02-25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176A (en) * 2003-12-23 2005-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59562B1 (en) * 2014-03-31 2021-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he exposure mask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xposure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KR102401285B1 (en) *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560A (en) * 2005-12-22 2007-07-05 Epson Imaging Devices Corp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216357A (en) * 2007-02-28 2008-09-18 Optre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2013182127A (en) 2012-03-01 2013-09-12 Sharp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2017151414A (en) 2016-02-25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46A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852B2 (en) Color filter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7290909B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0948761B2 (en) Color filter substrat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07171716A (en) Liquid cryst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904096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dual-vis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7171715A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165760B2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158163B2 (en) Display apparatus
KR101411738B1 (en) Image display device
JP5730091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3253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ter substrate
JP2006343615A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6409117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sensor
JP2008083315A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647450B1 (en) Liquid crystal panel
CN107678204B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US10317722B2 (en) Display device
KR102578620B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Having Color Filter
JP2007171560A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4594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 which display of off state reflected light is suppressed
JP7073118B2 (en) Display devices and boards for display devices
JP5306138B2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N107422408B (en) Color filter and display panel
WO20160582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54326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