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26B1 - 비화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비화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26B1
KR102647226B1 KR1020230019407A KR20230019407A KR102647226B1 KR 102647226 B1 KR102647226 B1 KR 102647226B1 KR 1020230019407 A KR1020230019407 A KR 1020230019407A KR 20230019407 A KR20230019407 A KR 20230019407A KR 102647226 B1 KR102647226 B1 KR 102647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radio equipment
signal
encryption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아정
이성종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로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비;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전장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비화장비; 및 상기 무전장비들과 상기 비화장비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장비, 상기 무전장비들, 및 상기 비화장비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비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비;를 포함하고, 비화장비와 무전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화통신장치{APPARATUS FOR SECURIT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비화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화장비와 무전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비화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는 무전장비가 탑재된다. 조종사는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무전장비를 이용하여 다른 항공기 및 지상 관제탑과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다.
이때,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항공기에는 신호를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기 위한 비화장비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조종사의 음성 신호를 비화장비로 암호화한 후 무전장비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거나, 무전장비로 수신된 암호화된 음성 신호를 비화장비로 복호화하여 조종사에게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무전장비 하나당 하나의 비화장비가 연결되도록 설계하였다. 이에, 비화장비와 연결된 무전장비가 사용하는 통신채널만 비화통신이 가능하여 그 외 통신채널은 비화통신이 불가능하고, 해당 무전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비화장비를 사용하지 못해 비화통신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420977 B
본 발명은 비화장비를 다수의 무전장비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는 비화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전장비를 다수의 비화장비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는 비화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로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비;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전장비;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비화장비; 및 상기 무전장비들과 상기 비화장비를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장비, 상기 무전장비들, 및 상기 비화장비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비로부터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비화장비에서 암호화시키고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로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비;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전장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비화장비; 및 상기 무전장비와 상기 비화장비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장비, 상기 무전장비, 및 상기 비화장비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비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상기 무전장비로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로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비;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전장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비화장비; 및 상기 무전장비들과 상기 비화장비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장비, 상기 무전장비들, 및 상기 비화장비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비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중계장비;를 포함한다.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전장비들은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 가능하고, 상기 비화장비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하고, 상기 중계장비는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복호화시키고 상기 출력장비로 전달한다.
상기 중계장비는, 상기 무전장비들 각각과 상기 입력장비 및 상기 출력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비화장비들과 선택적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중계부; 상기 입력장비와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송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 또는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장비 사이에서 수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신호가 이동하도록 상기 중계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부는, 무전장비의 통신상태를 송신상태 및 수신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통신상태 설정부; 무전장비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입력장비로 입력된 송신신호가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송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송신설정부; 및 무전장비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가 상기 출력장비로 이동하는 수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수신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설정부는, 송신신호가 암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처리방식 선택부; 및 송신신호를 송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무전장비 선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설정부는,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무전장비 선택부; 및 수신신호가 복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처리방식 선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부는, 선택대상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터치로 선택대상들이 선택될 수 있도록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입력장비는 송신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비는 수신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체는 항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는 항공기 조종사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비화장비를 다수의 무전장비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비화장비가 무전장비들 각각으로 수신되는 암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거나, 신호를 암호화하여 원하는 무전장비로 전달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통신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전장비를 다수의 비화장비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이에, 무전장비에 수신된 신호가 암호화된 방식에 맞추어 복호화할 비화장비를 선택하거나, 원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암호화하여 무전장비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비화장비(1400), 및 중계장비(1500)를 포함한다. 비화통신장치(1000)는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항공기일 수 있다. 이동체의 운용자는 항공기 조종사일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사는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항공기에 탑재된 비화통신장치(1000)를 통해 다른 항공기의 조종사나 관제소의 운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입력장비(1100)는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비(1100)는 송신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일 수 있다. 또한, 비화통신장치(1000)가 항공기에 탑재되는 경우 마이크는 웨어러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사는 마이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을 발생시키면, 음성이 입력장비(1100)에 평문의 송신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장비(1100)의 형태 및 송신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비화통신장치(1000)는 출력장비(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비(1200)는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비(1200)는 수신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비화통신장치(1000)가 항공기에 탑재되는 경우 마이크는 웨어러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사는 스피커가 음성으로 출력하는 평문의 수신신호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장비(1200)의 형태 및 수신신호가 출력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무전장비(1300)는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장비일 수 있다. 무전장비(13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서로 다른 통신대상과 통신하기 위한 제1 무전장비(1310), 제2 무전장비(1320), 및 제3 무전장비(13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무전장비(1300)가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비화장비(1400)는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거나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하는 장비일 수 있다. 이에,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평문의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에서 암호화하여 비문의 송신신호로 변환하거나, 무전장비(1300)로 수신된 비문의 수신신호를 비화장비(1400)에서 복호화하여 평문의 수신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장비(1400)를 이용하여 비화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및 비화장비(1400)와 각각 연결(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에서 암호화시키고,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계장비(1500)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비화장비(1400)에서 복호화시키고, 출력장비로 복호화된 평문의 수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장비(1300)들이 중계장비(1500)에 의해 동일한 비화장비(1400)와 연동될 수 있다. 중계장비(1500)는 중계부(1510), 설정부(1520), 및 제어부(1530)를 포함한다.
중계부(1510)는 인터컴(ICS: Inter Communication System)일 수 있다. 중계부(1510)는 무전장비(1300)들과 입력장비(1100) 및 출력장비(1200)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비화장비(1400)와 선택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중계부(1510)는 입력장비(1100)에서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거나,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로 보내 암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계부(1510)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달하거나,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달받은 수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로 보내 복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달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1520)는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입력장비(1100)에서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까지 송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장비(1200)까지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 송신설정부(1522), 및 수신설정부(1523)를 포함한다.
통신상태 설정부(1521)는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를 송신상태 및 수신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면 송신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되고,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면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상태 설정부(1521)는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상태 설정부(1521)는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운용자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하고 터치하여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상태 설정부(152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송신설정부(1522)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송신설정부(1522)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가 작동하여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송신신호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송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송신신호를 송신할 무전장비(1300) 및 송신신호의 암호화 여부를 송신설정부(1522)에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는 입력장비(1100)에서 중계부(1510), 비화장비(1400), 중계부(1510)를 거쳐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신호를 암호화하지 않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는 입력장비(1100)에서 중계부(1510)를 거쳐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설정부(1523)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수신설정부(1523)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수신설정부(1523)가 작동하여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가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1300) 및 수신신호의 복호화 여부를 수신설정부(1523)에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신호의 복호화가 필요한 경우, 수신설정부(1523)는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에서 중계부(1510), 비화장비(1400), 중계부(1510)를 거쳐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신호의 복호화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수신설정부(1523)는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에서 중계부(1510)를 거쳐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고,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설정부(1522)가 설정한 송신경로, 또는 수신설정부(1523)가 설정한 수신경로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5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가 이동하도록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중계장비(1500)를 이용하여 비화장비(1400)를 다수의 무전장비(1300)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화장비(1400)가 무전장비(1300)들 각각으로 수신되는 암호화된 수신신호를 복호화하거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여 원하는 무전장비(1300)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비화통신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무전장비(1300),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 및 중계장비(1500)를 포함한다. 비화통신장치(1000)는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항공기일 수 있다. 이동체의 운용자는 항공기 조종사일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사는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항공기에 탑재된 비화통신장치(1000)를 통해 다른 항공기의 조종사나 관제소의 운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는 출력장비(1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에 구비되는 입력장비(1100) 및 출력장비(1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장비 및 출력장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무전장비(1300)는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통신대상으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장비일 수 있다. 이에, 이동체나 관제소에서 무전장비(1300)를 통해 통신대상과 통신할 수 있다.
비화장비(1400)는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거나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하는 장비일 수 있다. 비화장비(14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거나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와 해외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 방식으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1 비화장비(1410), 및 해외 방식으로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비화장비(14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비화장비(1400)가 구비되는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무전장비(1300), 및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와 각각 연결(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무전장비(1300)로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계장비(1500)가 무전장비(1300)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복호화시키고, 출력장비로 복호화된 평문의 수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무전장비(1300)가 중계장비(1500)에 의해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와 연동될 수 있다. 중계장비(1500)는 중계부(1510), 설정부(1520), 및 제어부(1530)를 포함한다.
중계부(1510)는 인터컴(ICS: Inter Communication System)일 수 있다. 중계부(1510)는 무전장비(1300)와 입력장비(1100) 및 출력장비(1200)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비화장비(1400)들과 선택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중계부(1510)는 입력장비(1100)에서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로 전달하거나,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로 보내 암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계부(1510)가 무전장비(1300)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달하거나, 무전장비(1300)에서 전달받은 수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로 보내 복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달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1520)는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입력장비(1100)에서 무전장비(1300)까지 송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전장비(1300)에서 출력장비(1200)까지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 송신설정부(1522), 및 수신설정부(1523)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설정부(15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비에 구비되는 통신설정부(15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송신설정부(1522)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송신설정부(1522)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가 작동하여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송신신호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송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송신신호의 암호화 여부, 및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식을 송신설정부(1522)에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는 입력장비(1100)에서 중계부(1510), 운용자가 선택한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화장비(1400), 중계부(1510)를 거쳐 무전장비(13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신호를 암호화하지 않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는 입력장비(1100)에서 중계부(1510)를 거쳐 무전장비(13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설정부(1523)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수신설정부(1523)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수신설정부(1523)가 작동하여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가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수신신호의 복호화 여부, 및 수신신호의 복호화 방식을 수신설정부(1523)에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신호의 복호화가 필요한 경우, 수신설정부(1523)는 무전장비(1300)에서 중계부(1510), 운용자가 선택한 복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화장비(1400), 중계부(1510)를 거쳐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신호의 복호화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수신설정부(1523)는 무전장비(1300)에서 중계부(1510)를 거쳐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고,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설정부(1522)가 설정한 송신경로, 또는 수신설정부(1523)가 설정한 수신경로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5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가 이동하도록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중계장비(1500)를 이용하여 무전장비(1300)를 다수의 비화장비(1400)와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장비(1300)에 수신된 신호가 암호화된 방식에 맞추어 복호화할 비화장비(1400)를 선택하거나, 원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암호화하여 무전장비(1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 및 중계장비(1500)를 포함한다. 비화통신장치(1000)는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일 수 있다.
이때, 이동체는 항공기일 수 있다. 이동체의 운용자는 항공기 조종사일 수 있다. 따라서, 항공기 조종사는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항공기에 탑재된 비화통신장치(1000)를 통해 다른 항공기의 조종사나 관제소의 운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는 출력장비(1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에 구비되는 입력장비(1100) 및 출력장비(1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장비 및 출력장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에 구비되는 무전장비(1300)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구비되는 무전장비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1000)에 구비되는 비화장비(1400)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구비되는 비화장비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 출력장비(1200),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및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와 각각 연결(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중계장비(1500)는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중계장비(1500)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수신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복호화시키고, 출력장비로 복호화된 평문의 수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장비(1500)에 의해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와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가 선택적으로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중계장비(1500)는 중계부(1510), 설정부(1520), 및 제어부(1530)를 포함한다.
중계부(1510)는 인터컴(ICS: Inter Communication System)일 수 있다. 중계부(1510)는 무전장비(1300)들과 입력장비(1100) 및 출력장비(1200)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비화장비(1400)들과 선택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중계부(1510)는 입력장비(1100)에서 송신신호를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거나, 입력장비(1100)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로 보내 암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중계부(1510)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송하거나,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달받은 수신신호를 비화장비(1400)들 중 어느 하나로 보내 복호화한 후 다시 전달받아 출력장비(1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정부(1520)는 송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입력장비(1100)에서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까지 송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전장비(1300)들 어느 하나에서 출력장비(1200)까지 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부(1520)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 송신설정부(1522), 및 수신설정부(1523)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설정부(15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비에 구비되는 통신설정부(15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송신설정부(1522)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송신설정부(1522)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송신설정부(1522)가 작동하여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송신신호가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송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송신신호를 송신할 무전장비(1300), 송신신호의 암호화 여부,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식을 송신설정부(1522)에서 설정할 수 있다. 송신설정부(1522)는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 및 제1 무전장비 선택부(1522b)를 포함한다.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는 송신신호가 암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경우, 운용자가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를 통해 국내 방식과 해외 방식 중에서 원하는 암호화하는 방식은 선택할 수 있다. 국내 방식으로 암호화는 경우,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는 중계부(1510)에서 제1 비화장비(1410)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전송했다가 제1 비화장비(1410)에서 국내 방식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전달받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해외 방식으로 암호화는 경우,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는 중계부(1510)에서 제2 비화장비(1420)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전송했다가 제2 비화장비(1420)에서 해외 방식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전달받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송신신호를 암호화하지 않는 경우,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는 중계부(1510)에서 비화장비(14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에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무전장비 선택부(1522b)는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중에서 송신신호를 송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용자가 제1 무전장비 선택부(1522b)를 통해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선택할 수 있다. 운용자가 무전장비(1300)를 선택하면, 제1 무전장비 선택부(1522b)는 중계부(1510)에서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로 이동하는 송신신호의 경로를 송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수신설정부(1523)는 통신상태 설정부(1521)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통신상태 설정부(1521)가 설정한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 정보가 송신설정부(1522)에 전달될 수 있다.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수신설정부(1523)가 작동하여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가 출력장비(1200)로 이동하는 수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1300), 수신신호의 복호화 여부, 및 수신신호의 복호화 방식을 수신설정부(1523)에서 설정할 수 있다. 수신설정부(1523)는 제2 무전장비 선택부(1523a), 및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를 포함한다.
제2 무전장비 선택부(1523a)는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중에서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용자가 제2 무전장비 선택부(1523a)를 통해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선택할 수 있다. 운용자가 무전장비(1300)를 선택하면, 제2 무전장비 선택부(1523a)는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1300)에서 중계부(151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는 수신신호가 복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신호가 암호화된 경우, 운용자가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를 통해 국내 방식과 해외 방식 중에서 원하는 복호화하는 방식은 선택할 수 있다. 국내 방식으로 복호화는 경우,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는 중계부(1510)에서 제1 비화장비(1410)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전송했다가 제1 비화장비(1410)에서 국내 방식으로 복호화된 평문의 전달받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해외 방식으로 복호화는 경우,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는 중계부(1510)에서 제2 비화장비(1420)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전송했다가 제2 비화장비(1420)에서 해외 방식으로 복호화된 비문의 전달받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에 추가할 수 있다. 수신신호가 평문이라 복호화가 필요없는 경우,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는 중계부(1510)에서 비화장비(1400)로 이동하는 수신신호의 경로를 수신경로에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방식 선택부(1522a), 제1 무전장비 선택부(1522b), 제2 무전장비 선택부(1523a), 및 제2 처리방식 선택부(1523b)는, 선택대상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터치로 선택대상들이 선택될 수 있도록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선택부들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확인하고 터치하여 원하는 통신채널이나 신호를 처리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부들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게 연결될 수 있고,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송신설정부(1522)가 설정한 송신경로, 또는 수신설정부(1523)가 설정한 수신경로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53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30)는 설정부(1520)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송신신호 또는 수신신호가 이동하도록 중계부(1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중계장비(1500)를 이용하여 다수의 무전장비(1300)와 다수의 비화장비(1400)를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장비(1300)들이 다양한 비화장비(1400)들과 연동되어 비화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비화통신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은,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암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는 과정, 복수개의 암호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암호화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는 과정, 서로 다른 통신대상과 통신하는 복수개의 무전장비 중 어느 하나로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과정, 및 선택된 무전장비를 이용하여 비문의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화통신방법은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서 수행되는 비화통신방법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은,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비화통신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비화통신장치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비화통신방법에 사용되는 무전장비(1300)는 통신상태에 따라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수신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송신신호를 송신하려는 경우,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식을 선택하기 전에,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를 송신상태로 설정해줄 수 있다(S110). 또한, 통신대상과 통신하기 위해, 비문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화통신 방식과 평문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반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120).
비화통신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개의 암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130). 상세하게는, 송신신호의 암호화 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 중에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할 비화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통신대상이 비문의 신호를 복호화하는 해석방식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석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비화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대상이 국내 방식의 비화장비를 사용하면 운용자는 국내 방식으로 암호화를 수행하는 제1 비화장비(1410)를 선택하고, 통신대상이 해외 방식의 비화장비를 사용하면 운용자는 해외 방식으로 암호화를 수행하는 제2 비화장비(142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비화장비(1400)가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그 다음,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가 음성으로 입력장비(1100)인 마이크에 송신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된 암호화 방식으로 송신신호를 암호화한다(S140). 이를 위해,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평문의 송신신호를 중계장비(1500)로 전달한다. 선택된 비화장비(1400)로 중계장비(1500)가 평문의 송신신호를 전달한다. 선택된 비화장비(1400)는 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달받은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가 완료되면, 비화장비(1400)는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를 중계장비(1500)로 전달한다. 따라서, 통신대상이 사용하는 비화장비에 맞추어 평문의 송신신호가 암호화될 수 있다.
그 다음,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중 어느 하나로 송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중계장비(1500)가 전달받은 비문의 송신신호를 무전장비(1300)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무전장비(1300)는 운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운용자가 통신하기를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전장비(1300)가 송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해당 무전장비(1300)에 송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된 무전장비(1300)를 이용하여 비문의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 이에, 운용자가 통신대상에 맞추어 선택한 방식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송신신호가 운용자가 통신대상에 맞추어 선택한 무전장비(1300)를 통해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대상으로 비문의 송신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되고, 통신대상은 비문의 송신신호를 용이하게 복호화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반통신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입력장비(1100)로 입력된 평문의 송신신호를 비화장비(1400)에 전달하지 않고, 복수개의 무전장비(13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바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무전장비(1300)는 운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운용자가 통신하기를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전장비(1300)가 송신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해당 무전장비(1300)에 송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무전장비(1300)를 이용하여 평문의 송신신호를 외부로 신속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무전장비(1300)와 다수의 비화장비(1400)를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장비(1300)들이 다양한 비화장비(1400)들과 연동되어 비화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비화통신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은,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복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 서로 다른 통신대상과 통신하는 복수개의 무전장비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복수개의 복호화 방식 중에서 선택된 복호화 방식으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는 과정, 및 복호화된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비화통신방법은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서 수행되는 비화통신방법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은,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비화통신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비화통신장치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화통신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비화통신방법에 사용되는 무전장비(1300)는 통신상태에 따라 송신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에서 전송된 수신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를 수신하려는 경우, 수신신호의 복호화 방식을 선택하기 전에, 무전장비(1300)의 통신상태를 수신상태로 설정해줄 수 있다(S210). 또한, 통신대상과 통신하기 위해, 비문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화통신 방식과, 평문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반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220).
비화통신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개의 복호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230). 상세하게는, 수신신호의 복호화 방식을 설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암호화하는 복수개의 비화장비(1400) 중에서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할 비화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통신대상이 평문의 신호를 암호화하는 비화방식을 확인하고, 확인된 비화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신신호를 복호화하는 비화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대상이 국내 방식의 비화장비를 사용하면 운용자는 국내 방식으로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1 비화장비(1410)를 선택하고, 통신대상이 해외 방식의 비화장비를 사용하면 운용자는 해외 방식으로 복호화를 수행하는 제2 비화장비(1420)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비화장비(1400)가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해 활성화될 수 있다.
그 다음, 복수개의 무전장비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된 비문의 수신신호를 수신한다(S241). 이때,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1300)는 운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운용자가 통신하기를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전장비(1300)가 수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당 무전장비(1300)의 작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무전장비(1300)로 비문의 수신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그 다음, 선택된 복호화 방식으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한다(S250). 이를 위해, 선택된 무전장비(1300)로 수신된 비문의 수신신호를 중계장비(1500)로 전달한다. 선택된 비화장비(1400)로 중계장비(1500)가 비문의 수신신호를 전달한다. 선택된 비화장비(1400)는 활성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달받은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복호화가 완료되면, 비화장비(1400)는 복호화된 평문의 수신신호를 중계장비(1500)로 전달한다. 따라서, 통신대상이 사용하는 비화장비에 맞추어 비문의 수신신호가 복호화될 수 있다.
그 다음,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한다(S260). 이를 위해, 중계장비(1500)가 전달받은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장비(1200)로 전달한다. 출력장비(1200)는 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 또는 관제소의 운용자에게 출력장비(1200)인 스피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운용자는 청각적으로 수신신호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반통신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개의 무전장비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평문의 수신신호를 수신한다(S242). 이때,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1300)는 운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운용자가 통신하기를 원하는 통신대상과 통신 가능한 무전장비(13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전장비(1300)가 수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당 무전장비(1300)의 작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무전장비(1300)로 평문의 수신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평문의 수신신호를 별도로 복호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계장비(1500)는 무전장비(1300)에서 전달받은 수신신호를 바로 출력장비(1200)로 전달해줄 수 있다. 이에,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무전장비(1300)와 다수의 비화장비(1400)를 연동시켜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전장비(1300)들이 다양한 비화장비(1400)들과 연동되어 비화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비화통신의 확장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식의 암호화된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실시 예들 간에 다양한 조합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비화통신장치 1100: 입력장비
1200: 출력장비 1300: 무전장비
1400: 비화장비 1500: 중계장비
1510: 중계부 1520: 설정부
1521: 통신상태 설정부 1522: 송신설정부
1523: 수신설정부 1530: 제어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비화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체 또는 관제소에 탑재되는 비화통신장치로서,
    평문의 송신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비;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서로 다른 통신대상으로부터 수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무전장비;
    서로 다른 방식으로 평문의 송신신호를 암호화하거나 서로 다른 방식으로 비문의 수신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개의 비화장비;
    상기 무전장비들과 상기 비화장비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장비, 상기 무전장비들, 및 상기 비화장비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비에서 전달받은 송신신호를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암호화시키고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로 수신된 수신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비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복호화시켜 평문의 수신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중계장비; 및
    평문의 수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비화장비는,
    제1 방식으로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제1 비화장비, 및
    상기 제1 방식과 다른 제2 방식으로 송신신호를 암호화하는 제2 비화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장비는,
    통신대상이 사용하는 비화장비가 비문의 신호를 복호화 방식이 상기 제1 방식인지 또는 상기 제2 방식인지 확인하고, 확인된 복호화 방식에 맞추어 상기 제1 비화장비와 상기 제2 비화장비 중 송신신호를 암호화할 비화장비를 선택하고,
    상기 중계장비는,
    상기 무전장비들 각각과 상기 입력장비 및 상기 출력장비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비화장비들과 선택적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중계부,
    상기 입력장비와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송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 또는 상기 무전장비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출력장비 사이에서 수신신호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및
    상기 설정부가 설정한 경로에 따라 신호가 이동하도록 상기 중계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부는,
    무전장비의 통신상태를 송신상태 및 수신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통신상태 설정부,
    무전장비의 통신상태가 송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중계부부터, 선택된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화장비, 및 상기 중계부를 거쳐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까지, 상기 입력장비로 입력된 송신신호를 이동시키기 위한 송신경로를 설정하는 송신설정부, 및
    무전장비의 통신상태가 수신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운용자가 선택한 무전장비부터 상기 중계부, 선택된 복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비화장비, 및 상기 중계부를 거쳐 상기 출력장비까지 수신신호가 이동하는 수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수신설정부를 포함하는 비화통신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신설정부는,
    송신신호가 암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처리방식 선택부; 및
    송신신호를 송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무전장비 선택부;를 포함하는 비화통신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설정부는,
    수신신호를 수신할 무전장비를 선택하기 위한 제2 무전장비 선택부; 및
    수신신호가 복호화되는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처리방식 선택부;를 포함하는 비화통신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방식 선택부 및 상기 제1 무전장비 선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선택대상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터치로 선택대상들이 선택될 수 있도록 터치 디스플레이 형태를 가지는 비화통신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비는 송신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비는 수신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비화통신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항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는 항공기 조종사가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형태를 가지는 비화통신장치.
KR1020230019407A 2023-02-14 2023-02-14 비화통신장치 KR10264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07A KR102647226B1 (ko) 2023-02-14 2023-02-14 비화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407A KR102647226B1 (ko) 2023-02-14 2023-02-14 비화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26B1 true KR102647226B1 (ko) 2024-03-13

Family

ID=9029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407A KR102647226B1 (ko) 2023-02-14 2023-02-14 비화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327A (ja) * 1989-08-10 1991-03-26 Nec Corp 秘話端末装置
KR100929488B1 (ko) * 2009-02-20 2009-12-03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서버 기반의 전자서명 위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863953B1 (ko) * 2016-06-16 2018-06-29 주식회사 티모넷 전자 서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8304A (ko) * 2017-08-23 2020-04-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와이파이 핫스팟 연결 방법 및 단말
KR102420977B1 (ko) 2021-12-22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전기, 비화 장비 및 인터컴 연동을 위한 비화 처리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0327A (ja) * 1989-08-10 1991-03-26 Nec Corp 秘話端末装置
KR100929488B1 (ko) * 2009-02-20 2009-12-03 주식회사 한국무역정보통신 서버 기반의 전자서명 위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863953B1 (ko) * 2016-06-16 2018-06-29 주식회사 티모넷 전자 서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8304A (ko) * 2017-08-23 2020-04-1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와이파이 핫스팟 연결 방법 및 단말
KR102420977B1 (ko) 2021-12-22 2022-07-1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전기, 비화 장비 및 인터컴 연동을 위한 비화 처리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연동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4058B (zh) 接入网络的方法、装置和***
JP2005117511A (ja) 量子暗号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量子暗号鍵配布方法
WO2001045317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point to multi-point messages
JPH06506813A (ja) 暗号化された無線送信のための動的暗号化キー選択
KR100430358B1 (ko)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JPH06216897A (ja) データ送受信装置
CN105306161A (zh) 一种基于多通道信号碎片化传输的信息保密方法及装置
JP2006050526A5 (ko)
CN103222290B (zh) 用于发送和接收安全数据和非安全数据的方法和装置
CN105007163A (zh) 预共享密钥的发送、获取方法及发送、获取装置
KR102420977B1 (ko) 무전기, 비화 장비 및 인터컴 연동을 위한 비화 처리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연동 시스템 및 방법
EP1292166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3079012A (zh) 基于国密算法的航空地空数据链acars***数据保加密/解密技术
KR100968472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무선베어러의 배치 방법 및장치
KR102647226B1 (ko) 비화통신장치
KR102638215B1 (ko) 비화통신방법
CN210183353U (zh) 一种基于数据拆分的数据安全传输***
JP2000059352A (ja) 暗号通信システム
CN104243140A (zh) 通过随机分段加密进行安全通信的***
KR101669481B1 (ko) 전술 데이터링크 체계에서 서브 네트워크 운용 장치 및 방법
CN102118746A (zh) 一种手机信息加密方法
JP467397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101293260B1 (ko) 이동 통신 단말 및 방법
KR20050048936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근거리 무선통신 보호 방법
JPH11261551A (ja) オ―プンな通信網を経由する情報送信を安全化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