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876B1 -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876B1
KR102646876B1 KR1020230002635A KR20230002635A KR102646876B1 KR 102646876 B1 KR102646876 B1 KR 102646876B1 KR 1020230002635 A KR1020230002635 A KR 1020230002635A KR 20230002635 A KR20230002635 A KR 20230002635A KR 102646876 B1 KR102646876 B1 KR 10264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ideo
content
image
video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두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002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서, 유저가 입실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훈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케어존 내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헬스케어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 시, 헬스케어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각 영상 컨텐츠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다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컨텐츠 가공부; 가공된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형태 제어부; 및 상기 각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타임을 동기화하는 영상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외에도 본 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MULTI-SIDED IMAGE OUTPUT SYSTEM FOR DIGITAL HEALTHCARE SERVICE SPACE}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케어존에 입실하면, 케어존 내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가공된 영상이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영상 출력을 제어하며,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타임을 동기화함으로써 각 부분 이미지들이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면 상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헬스케어"(혹은 스마트 헬스케어)는 개인의 건강과 의료에 관한 정보, 기기, 시스템, 플랫폼을 다루는 산업분야로서 건강관련서비스와 의료 IT가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로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이 소유한 휴대형, 착용형 기기나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 등에서 확보된 생활습관, 신체검진, 의료이용정보, 인공지능, 가상현실, 유전체 정보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제공되는 개인중심의 건강관리 생태계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특히 최근 안정된 삶을 살고 있는 고령 인구의 증가와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인구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빅데이터의 기술 발전에 따라 지금까지의 헬스케어에서 의사와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끌어져 왔던 것과 달리 언제 어디서나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헬스케어가 미래 헬스케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10-2022-0060054(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는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단말로부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촬영된 개인 의료 건강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관심영역에 대하여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정의된 서비스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 뒤에 저장한 데이터를 학습을 통해 생성된 학습 모델에 적용하여 헬스케어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헬스케어 서비스 데이터가 단말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개인 의료 건강 정보에 기반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사용자가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케어존에 입실 시, 케어존 내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케어존 내부 영역들인 다면에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이 때, 사용자 눈부심 방지 보정 방법 중 적어도 한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가공하여 출력되도록 하며, 가공된 영상이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영상 출력을 제어하며,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몰입감 있게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게 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잇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케어존에 입실 시, 케어존 내에 출력되는 컨텐츠를 케어존 내부 영역들인 다면에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여 출력되도록 하고, 이 때, 사용자 눈부심 방지 보정 방법 중 적어도 한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가공하여 출력되도록 하며, 가공된 영상이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영상 출력을 제어하며,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각 부분 이미지들이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면 상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좀 더 몰입감 있게 디지털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서, 유저가 입실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훈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케어존 내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헬스케어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 시, 헬스케어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각 영상 컨텐츠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다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컨텐츠 가공부; 가공된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형태 제어부; 및 상기 각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타임을 동기화하는 영상 동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은 케어존 내부의 다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헬스케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며,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시간을 동기화함으로써 각 부분 이미지들이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면 상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컨텐츠에 대한 유저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으며 좀 더 높은 집중력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유저의 위치를 표시하고 동작 방향과 이동 방향을 유도하는 반응형 브랜드 아이콘이 포함된 UI 요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나 헬스케어 컨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홍보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케어존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와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 내의 영역 중에서 세 면이 만나는 포인트와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만나는 경계점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 내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컨텐츠를 보정하는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의 영상 동기화부를 설명하는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10)(이하,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 칭함)은 영상 컨텐츠 가공부(11), 출력 형태 제어부(12) 및 영상 동기화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는 유저가 입실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훈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케어존 내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헬스케어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 시, 헬스케어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각 영상 컨텐츠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다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존은 사용자가 훈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실내 공간으로서, 사용자의 헬스케어를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운동 센터나 스마트 재활 센터 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헬스케어 컨텐츠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으로서,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컨텐츠, 사용자 건강이나 관절 가동 범위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및 게임과 결합시킨 운동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는 헬스케어 전문가 등의 유저 단말의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컨텐츠이거나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간 영상 데이터, 녹화되거나 사전 제작된 영상 데이터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에서 수신하는 헬스케어 컨텐츠들은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불러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영상 출력 장치(20)를 통해 출력될 때 추후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상 출력 장치(20)는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거나 빔 프로젝트를 통해서 출력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후 상술할 출력 형태 제어부(12)와 영상 동기화부(13)의 동작 수행에 대해서 다양한 센서(30)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션 센서와 라이다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케어존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 가공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헬스케어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케어존에서 영상을 출력하려는 영역이 천장 영역인 A2, 벽면 영역인 A1, A4, A5, 바닥 영역인 A3으로 총 5면일 경우에 영역별로 5개의 영역으로 구역을 분할하여 가공하거나, 수신한 영상을 투상도로 변환하여 가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형태 제어부(12)는 가공된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은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을 모두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이 총 5면이라고 한다면, 천장에 출력되어야 하는 영상 컨텐츠가 케어존 내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 중에서 천장 영역인 A2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영상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형태 제어부(12)는 각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각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영상 컨텐츠의 출력 각도 및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즉 천장 영역에 출력되어야 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A2의 경계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고 A2 영역에 대해서 120%의 화면 배율로 45도 돌아간 상태로 출력이 되고 있다면 이를 정확히 위치하기 위해서 화면 배율이 100%가 되고, A2 영역에 대해서 0도 돌아가게 하여 정확히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하며 즉, 천장 영역에 출력되어야 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A2의 경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와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형태 제어부(12)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출력 감지부와 출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감지부는 각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각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제어부는 상기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영상 컨텐츠의 출력 각도 및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감지부는 유저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31) 및 라이다 센서(3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주로 사람과 같은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것처럼 단순한 반응에서부터 인간의 섬세한 표정까지 인식하는 전자 장치로서 모션 센서는 선택한 감지 각도 영역(약 90~120도)에서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반응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이동과 같은 큰 동작을 감지하는데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따라서 스마트 홈과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며 현관, 복도 등과 같이 사람이 이동하는 공간에 매우 적합하다.
라이다 센서(LIDAR Sensor)는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약자로서 레이저 스캐너 혹은 레이저 레이더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이저를 목표물에 비춤으로써 물체를 감지한 뒤 사물까지의 거리, 방향, 속도, 온도, 물질 분포 및 농도 특성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한 센서를 말한다.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 신호의 변조 방법에 따라 TOF 방식과 Phase-shift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TOF 방식은 레이저가 펄스 신호를 방출하여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수신기에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Phase-shift 방식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시간 및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라이다 센서가 3D 기술 및 미래 자율주행자동차에 요구되는 핵심 기술로 활용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션 센서(31) 및 라이다 센서(32)중 적어도 하나가 영상 출력 영역인 I1, I2, I3, I4를 촬영하고, 이 결과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은 실선 경계와 일치해야 한다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I1과 I4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실선에 위치하면 정확히 위치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출력 경계면이 점선에 위치하면 정확히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실선에 출력 경계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C1만큼 영상의 각도 및 크기 등을 보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 내의 영역 중에서 세 면이 만나는 포인트와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만나는 경계점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감지부는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 중 세 면이 만나는 포인트들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만나는 경계점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를 참조하면,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 중 세 면이 만나는 포인트들은 P1, P2, P3, P4이고, 케어존 내의 천장과 벽면이 만나는 포인트는 P5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감지부는 천장, 벽면 영역의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만나는 경계점인 포인트가 케어존 내의 천장 영역의 영상 출력 영역인 I2, 왼쪽 벽면 영역의 영상 출력 영역인 I4, 가운데 벽면 영역의 영상 출력 영역인 I1이 만나는 포인트인 P1과 일치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통해 올바른 위치에서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영상 컨텐츠가 올바르게 출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몰입감있게 즐기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제1 조건 및 케어존 내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점검 및 청소가 이루어진 이후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제2 조건 중 어느 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예: 7일)가 되면 제1 조건을 만족하여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게 되고, 케어존 내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점검 및 청소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제2 조건을 만족하여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주기(예: 7일)에 케어존 내를 점검 및 청소를 수행해도 마찬가지로 제1 조건과 제2 조건을 만족하여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수행에서 제1 조건은 영상 출력 장치(20)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정된 위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보정을 통해서 정확한 위치에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 제어부의 수행에서 제2 조건은 관리자가 유지, 보수를 위한 점검 시 영상 출력 장치(20)가 초기화될 수 있으며, 청소 작업 이후에는 영상 출력 장치(20)가 틀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것을 보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어존 내부의 평면도로서, 바닥면의 영상에 케어존의 브랜드 아이콘이 포함된 UI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에 의하여 가공되는 다수의 영상 컨텐츠들 중,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적어도 유저가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지정되는 위치로서, 벽면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이용 및 유저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 센서(31) 또는 라이다 센서(32)의 인식을 위하여 기설정되는 위치인 유저 위치를 표시하거나, 유저가 다면의 영상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바라보도록 유도하거나, 유저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UI 요소로서, 적어도 케어존의 브랜드가 포함된 반응형 브랜드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a)를 참조하면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컨텐츠 중에서 홈트레이닝에 대한 컨텐츠를 이용할 때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영역인 I3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가운데 벽면의 영상 출력 영역인 I1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이용과 모션 센서(31)와 라이다 센서(32)로 유저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지정되는 위치(101)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되어 있는 101은 사용자가 헬스케어 컨텐츠 이용을 위해서 유저가 서있어야 하는 위치를 의미하는 UI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b)를 참조하면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컨텐츠 중에서 홈트레이닝에 대한 컨텐츠를 이용할 때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영역인 I3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다면의 영상 컨텐츠 중에서 왼쪽 벽면의 영상 출력 영역(I4)과 가운데 벽면의 영상 출력 영역(I1) 사이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바라보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102처럼 유저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지정되는 위치가 대각선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되어 있는 102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컨텐츠 이용을 위해서 유저가 바라봐야 하는 방향을 유도하는 UI 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c)를 참조하면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사용자가 헬스케어 컨텐츠 중에서 홈트레이닝에 대한 컨텐츠를 이용할 때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영역인 I3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유저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UI 요소가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반응형 아이콘'은 벡터형 아이콘과 반응형 웹 디자인이 결합한 결과물이다. 반응형 웹은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웹페이지의 크기가 자동적으로 재조정 되는 것을 말한다. 즉, 반응형 웹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그에 맞게 사이즈가 변화되어 사용자가 보기 편리하게 하는 웹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어존의 브랜드가 포함된 반응형 브랜드 아이콘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며 크기나 형태도 그에 맞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반응형 브랜드 아이콘에는 케어존의 브랜드가 포함되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을 이용할 때 사용자들에게 케어존의 브랜드를 각인시키고 홍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 컨텐츠를 보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는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가공 시,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 컨텐츠를 보정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는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밝기를 기설정된 조도값 미만으로 가공하는 제1 방식,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배경 이미지 이외의 색을 블랙으로 변환하는 제2 방식,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사이의 경계선을 블랙으로 처리하는 제3 방식 중 적어도 한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영상 컨텐츠를 보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에서 보정하기 전의 영상 컨텐츠(110)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들의 예는 각각 객체(01), 경계선(111)으로, 이후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에 의해 가공되어 영상 출력 영역 I2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가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밝기를 기설정된 조도값 미만으로 가공하는 제1 방식으로 가공하면 I2의 전체적인 밝기가 기설정된 조도값(예: 60% 미만)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가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배경 이미지 이외의 색을 블랙으로 변환하는 제2 방식으로 가공하면 객체(01) 이외의 색(113)이 블랙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11)가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사이의 경계선을 블랙으로 처리하는 제3 방식으로 가공하면 객체 사이의 경계선(112)이 블랙으로 처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동기화하기 위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의 영상 동기화부(1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T(I1, P1)은 I1에서 이미지 P1이 출력될 때의 시간이며, T(I2, P1)은 I2에서 이미지 P1이 출력될 때의 시간이며, T(I4, P1)은 I4에서 이미지 P1이 출력될 때의 시간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동기화부(13)는 각 시간 정보를 수신 시에, 모든 이미지(P1)에 대해서 각 영역별 이미지(예: I1 영역 안의 P1, I2 영역 안의 P1, I4 영역 안의 P1)가 출력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T)를 수신하고, 해당 시간에 대한 정보(T)의 오차를 기준으로 영상을 동기화하여 각 구간별 영상의 특정 시간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I1, I2, I4 등) 모두가 해당 시간에서 P1이라는 이미지가 분할된 부분 이미지로 표현되도록 영상의 출력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상기 영상 동기화부(13)의 수행을 통해서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대에 온전한 P1을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상기 영상 동기화부(13)에 의해 동기화된 영상 컨텐츠는 영상 출력 장치(20)에서 각 객체와 배경 이미지 등이 동기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는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는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으로서,
    유저가 입실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관련된 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훈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케어존 내의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헬스케어 컨텐츠를 외부로부터 수신 시, 헬스케어 컨텐츠를 다면에 출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각 영상 컨텐츠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다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 컨텐츠 가공부;
    가공된 다수의 영상 컨텐츠가 복수의 영상 출력 영역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형태 제어부; 및
    상기 각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출력 타임을 동기화하는 영상 동기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동기화부는,
    각 시간 정보를 수신 시에, 모든 이미지에 대해서 각 영역별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시간에 대한 정보의 오차를 기준으로 영상을 동기화하여 각 구간별 영상의 특정 시간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 모두가 해당 시간에서 하나의 전체 이미지가 분할된 부분 이미지로 표현되도록 영상의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에 의하여 가공되는 다수의 영상 컨텐츠들 중, 바닥면에 대응되는 영상 출력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에는, 적어도 유저가 헬스케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지정되는 위치로서, 벽면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이용 및 유저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 센서 또는 라이다 센서의 인식을 위하여 기설정되는 위치인 유저 위치를 표시하거나, 유저가 다면의 영상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를 바라보도록 유도하거나, 유저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UI 요소로서, 적어도 케어존의 브랜드가 포함된 반응형 브랜드 아이콘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거나 크기나 형태가 변화하여 브랜드를 홍보하도록 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 가공부는,
    상기 다수의 영상 컨텐츠를 가공 시,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 컨텐츠를 보정하고,
    다수의 영상 컨텐츠의 밝기를 기설정된 조도값 미만으로 가공하는 제1 방식,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및 배경 이미지 이외의 색을 블랙으로 변환하는 제2 방식, 다수의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 사이의 경계선을 블랙으로 처리하는 제3 방식 중 적어도 한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의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영상 컨텐츠를 보정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은,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이며,
    상기 출력 형태 제어부는,
    각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각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영상 컨텐츠의 출력 각도 및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형태 제어부는,
    각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각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출력 감지부; 및
    상기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영상 컨텐츠의 출력 각도 및 크기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감지부는,
    상기 유저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및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를 촬영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감지부는,
    케어존 내의 천장, 바닥 및 벽면 중 세 면이 만나는 포인트들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만나는 경계점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출력 영역의 경계에 영상 컨텐츠의 출력 경계면이 정확히 위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제1 조건 및 케어존 내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점검 및 청소가 이루어진 이후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제2 조건 중 어느 한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출력 감지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002635A 2023-01-09 2023-01-09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KR10264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35A KR102646876B1 (ko) 2023-01-09 2023-01-09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2635A KR102646876B1 (ko) 2023-01-09 2023-01-09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876B1 true KR102646876B1 (ko) 2024-03-12

Family

ID=9029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635A KR102646876B1 (ko) 2023-01-09 2023-01-09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8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52B1 (ko) * 2012-07-12 2013-09-0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상영 시스템
KR20150100590A (ko) * 2015-08-13 2015-09-02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실내면을 투사면으로 활용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KR101810653B1 (ko) * 2017-05-11 2017-12-21 (주)피플리 프로젝션 영상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5830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유캔스타 몰입형 vr 체험공간에서 모션 베이스 및 트래커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2495A (ko) * 2021-02-04 2022-08-11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투사시스템 및 영상 투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252B1 (ko) * 2012-07-12 2013-09-0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상영 시스템
KR20150100590A (ko) * 2015-08-13 2015-09-02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실내면을 투사면으로 활용하는 다면 상영 시스템
KR101810653B1 (ko) * 2017-05-11 2017-12-21 (주)피플리 프로젝션 영상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220058306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유캔스타 몰입형 vr 체험공간에서 모션 베이스 및 트래커를 이용한 위치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2495A (ko) * 2021-02-04 2022-08-11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투사시스템 및 영상 투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54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virtual objects with virtual displays
US1082712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operty information of external light source for interest object
Ens et al. Spatial constancy of surface-embedded layouts across multiple environments
JP7286208B2 (ja) 生体顔検出方法、生体顔検出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169686A1 (en) Joint Environmental Reconstruction and Camera Calibration
US120081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aze-tracking
KR102220917B1 (ko) 재난영상을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 led전광판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02150116A (zh) 远程控制指示
KR102646876B1 (ko)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공간에 대한 다면 영상 출력 시스템
Ichihashi et al. Estimating visibility of annotations for view management in spatial augmented reality based on machine-learning techniques
KR102540678B1 (ko) 카메라이미지를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정보 출력을 보완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57033B2 (ja) トレーニングイメージの自動生成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30245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for multi-modal tasks
Ogiela et al. Natural user interfaces for exploring and modeling medical images and defining gesture description technology
Payandeh et al. Passive Observer of Activities for Aging in Place Using a Network of RGB‐D Sensors
EP3779645A1 (en) Electronic device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computer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75387B1 (ko) 관절 가동 범위 인식을 기반으로 캐릭터를 구현 및 운동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Chi et al. Embedded AI system for interactive vision screen based on human action recognition
Cobo et al. On the representation and methodology for wide and short range head pose estimation
US120140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Inoue et al. Detection of bed position for automation of patient‐monitoring function
US20240111898A1 (en) Hybrid Camera System For Oscur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Harrington On Clinical Use of Infrared Cameras for Video-Based Estimation of 3D Facial Kinematics
Handa et al. Enhancing metric perception with rgb-d camera
Becerra-Rico The Augmented Wor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