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673B1 -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673B1
KR102646673B1 KR1020210125489A KR20210125489A KR102646673B1 KR 102646673 B1 KR102646673 B1 KR 102646673B1 KR 1020210125489 A KR1020210125489 A KR 1020210125489A KR 20210125489 A KR20210125489 A KR 20210125489A KR 102646673 B1 KR102646673 B1 KR 10264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waddle
baby
chest
blan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265A (ko
Inventor
최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기바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기바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기바당
Priority to KR102021012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47G9/083Sleeping bags for babies and inf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는 아기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속싸개; 및 좌우 양측 단부에 흔들림 방지 쿠션이 위치되고, 상면 중앙 영역에 아기를 감싼 상기 속싸개가 위치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속싸개가 좌우 방향으로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속싸개는, 기설정 면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Cushion module and inner wrap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아기가 안전하게 위치될 수 있는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 속싸개는 사각 평면의 직물로 구성되어 아기의 머리를 일측 모서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아기의 팔이 위치하는 양측 모서리부를 아기의 배 위로 겹치도록 번갈아 가며 감싼 후 아기의 다리가 위치하는 아래측 모서리부를 아기의 다리가 위치하는 아래측 모서리부를 아기의 배 위로 겹쳐서 아기의 몸 전체를 감싸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기 속싸개는 양측 모서리부와 아래측 모서리부가 상호 겹쳐지면서 아기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아기가 몸부림을 치면 쉽게 풀어지면서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지 못하여 칭얼대거나 숙면을 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기의 팔다리가 곧게 뻗어 몸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지면서 태아가 자궁 속에서 취하는 자세와는 달라 아기가 심하게 몸부림치므로 더욱 쉽게 풀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속싸개 내에서 아기가 몸부림치는 과정에서 뒤집어 지는 경우, 아기가 질식하거나 큰 부상을 당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좌우측으로 아기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기를 포근하게 덮어줄 수 있는 이불이 포함된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기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속싸개; 및 좌우 양측 단부에 흔들림 방지 쿠션이 위치되고, 상면 중앙 영역에 아기를 감싼 상기 속싸개가 위치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속싸개가 좌우 방향으로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속싸개는, 기설정 면적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싸개의 상면 방향에서 상기 속싸개에 결합되어 상기 속싸개에 위치된 아기를 아래쪽으로 눌러주는 가슴 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슴 쿠션은, 기설정 두께를 가지고 중앙 영역에 위치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양측에서 각각 좌우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그 외측 단부는 상기 속싸개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쿠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좌우 양측 단부에 흔들림 방지 쿠션이 위치되고, 상면 중앙 영역에 아기를 감싼 속싸개 또는 아기가 위치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속싸개가 또는 아기가 좌우 방향으로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좌우 외측 단부 중 하나에 제공되는 이불 포켓; 일부 영역이 상기 이불 포켓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이불 포켓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이불; 및 좌우 외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위치되어, 상기 이불의 단부가 탈착되는 이불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좌우측으로 아기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아기를 포근하게 덮어줄 수 있는 이불이 포함된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에 아기가 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속싸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속싸개에 이너시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속싸개에 아기가 감싸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쿠션 모듈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쿠션 모듈의 중앙 영역 상면에 아기를 감싼 속싸개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및 속싸개에 결합되는 가슴 쿠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가슴 쿠션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가슴 쿠션이 속싸개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쿠션 모듈의 일측 단부에서 이불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인출된 이불이 쿠션 모듈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이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에 아기가 싸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속싸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속싸개에 이너시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속싸개에 아기가 감싸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속싸개 어셈블리(1)는 아기(B)를 안전하게 감싸는데 사용된다. 특히 속싸개 어셈블리(1)는 신생아에게 사용되어, 신생아가 편안하게 수면하고,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사고가 예방되도록 할 수 있다. 속싸개 어셈블리(1)는 속싸개(10) 및 쿠션 모듈(30)을 포함한다.
이하, 속싸개 어셈블리(1)가 사용될 때, 아기(B)가 위치되어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속싸개 어셈블리(1)의 상면 또는 위쪽이라 한다.
속싸개(10)는 아기(B)를 감싸는데 사용된다. 속싸개(10)는 몸체부(11) 및 날개부(12, 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는 아기(B)의 머리에서 발까지 지지할 수 있도록 기설정 면적을 갖도록 제공된다. 몸체부(11)에는 이너시트(20)가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부(11)의 하면에는 내측으로 이너시트(20) 삽입을 위한 이너시트 삽입 포켓(100)이 형성되어, 이너시트(20)는 몸체부(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너시트(20)는 속싸개(10)로 아기(B)를 감싸기에 앞서 속싸개(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너시트(20)는 3D 에어메쉬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너시트(20)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고 또한 발한 능력이 낮은 아기(B)가 속싸개(10)에 감싸인 경우에도 충분한 체존 조절 기능을 갖도록 한다.
날개부(12, 13)는 몸체부(11)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날개부(12, 13)는 몸체부(11)의 우측에 위치되는 우측 날개부(12) 및 좌측에 위치되는 좌측 날개부(13)를 포함한다. 날개부(12, 1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날개 결합부(13a)가 제공되어, 몸체부(11)에 아기(B)가 위치된 상태에서, 날개부(12, 13)의 양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날개 결합부(13a)는 좌측 날개부(13) 또는 우측 날개부(12)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상면에 위치되어 다른 하나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는 벨크로 구조 일 수 있다.
아기(B)가 속싸개(10)의 몸체부(11)에 위치된 상태에서, 아기(B)의 팔이 아래쪽에 위치된 상태로 좌측 날개부(13)와 우측 날개부(12)로 아기(B)를 감싸고, 좌측 날개부(13)와 우측 날개부(12)의 단부를 서로 결합하면, 아기(B)는 속싸개(10)에 감싸진 상태가 된다. 날개부(12, 13)로 아기(B)를 감쌀 때, 아기(B)의 팔은 나비잠 자세로 모아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기(B)는 날개부(12, 13)를 갖는 속싸개(10)에 감싸짐에 따라 안정감을 가지면서, 연약한 척추와 목이 지지되며, 이동 시에도 쿠션감으로 인해 안정감을 가져 흔들림중후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쿠션 모듈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쿠션 모듈의 중앙 영역 상면에 아기를 감싼 속싸개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쿠션 모듈(30)은 상면 중앙 영역에 속싸개(10)가 위치되도록 제공되어, 아기(B)를 감싼 속싸개(10)가 좌우 방향으로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한다. 쿠션 모듈(30)은 흔들림 방지 쿠션(33) 및 쿠션 스트랩(31, 32)을 포함한다.
흔들림 방지 쿠션(33)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제공되고, 기설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흔들림 방지 쿠션(33)은 쿠션 모듈(30)의 좌우 양측 단부에 위치된다.
쿠션 스트랩(31, 32)은 흔들림 방지 쿠션(33)이 고정되어, 서로 연결되게 한다. 쿠션 스트랩(31, 32)은 흔들림 방지 쿠션(33)이 속싸개(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쿠션 스트랩(31, 32)은 좌우 외측 단부에 흔들림 방지 쿠션(3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결합홀(320)이 형성되게 제공된다. 쿠션 스트랩(31, 32)의 중앙 영역 상면에는 속싸개(10)와 결합되는 쿠션 결합부(32a)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 결합부(32a)는 벨크로 구조로 제공되어, 쿠션 스트랩(31, 32)의 중앙 영역 상면에 속싸개(10)를 위치시키면, 벨크로 구조가 속싸개(10)의 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쿠션 스트랩(31, 32)은 제1 스트랩(31) 및 제2 스트랩(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31)과 제2 스트랩(32)은 흔들림 방지 쿠션(33)이 삽입되는 쪽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일측 단부가 서로 결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트랩(32)의 일측 단부에는 벨크로 구조로 제공되는 쿠션 결합부(32a)가 제공되어, 제1 스트랩(31)과 제2 스트랩(32)은 쿠션 결합부(32a)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쿠션 결합부(32a)의 길이는 제1 스트랩(31) 및 제2 스트랩(32)이 상호 결합되는 영역의 길이보다 길게 제공되어, 제1 스트랩(31) 및 제2 스트랩(32)이 상호 결합되면 쿠션 결합부(32a)의 일부가 상면으로 노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면으로 노출된 쿠션 결합부(32a)는 속싸개(10)와의 결합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스트랩(32)은 제1 스트랩(31)에 비해 길이가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트랩(31)의 일측 방향 단부의 저면에 쿠션 결합부(32a)과 결합되는 스트랩 결합부(31a)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랩 결합부(31a)는 벨크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1)는 속싸개(10)가 아기(B)를 편안하게 감싸도록 되어 있어, 아기(B)가 엄마 배속과 같은 안정감을 가지고 편안한 수면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속싸개(10)의 날개부(12, 13)가 아기(B)의 배를 부드럽고 따뜻하게 감싸주어, 배앓이가 방지되고, 안정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1)는 쿠션 모듈(30)에 의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B)가 뒤집어지거나 매트리스 위에서 떨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쿠션 모듈(30)은 속싸개(10)와 함께 또는 속싸개(10)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및 속싸개에 결합되는 가슴 쿠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가슴 쿠션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가슴 쿠션이 속싸개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속싸개(10)의 상면에는 몸체부(11)와 날개부(12, 13)가 연결되는 영역에 가슴 쿠션 고정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슴 쿠션 고정부(112)는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슴 쿠션 고정부(112)는 벨크로 구조일 수 있다. 가슴 쿠션 고정부(112)의 위쪽에는 덮개부(111)가 제공될 수 있다. 덮개부(111)는 가슴 쿠션 고정부(112)의 위쪽에 위치되고, 외측 방향으로 개방된 포켓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덮개부(111)에 의해 가슴 쿠션 고정부(112)가 아기(B)의 피부와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다.
가슴 쿠션(40)은 속싸개(10)의 상면 방향에서 속싸개(1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속싸개(10)에 결합되면 속싸개(10)에 위치된 아기(B)를 아래쪽으로 눌러준다. 가슴 쿠션(40)은 쿠션부(410) 및 쿠션 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쿠션부(410)는 기설정 두께를 가지고 가슴 쿠션(40)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쿠션부(410)는 좌우 방향에 따른 위치별로 상하 두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410)는 아기(B)의 좌우 가슴 각각에 위치되는 영역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쿠션부(410)는 바이오비드폼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이오비드폼은 세균, 곰팡이, 진드기의 번식이 불가능하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신소재로, 통풍성과 받침성이 우수해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형태의 변화가 없으며, 세탁이 편리하다.
쿠션 지지부(420)는 쿠션부(410)의 양측에서 각각 좌우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쿠션 지지부(4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쿠션 지지부(420)의 폭은 날개부(12, 13)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가슴 쿠션 고정부(112)의 폭보다 작게 제공되어, 가슴 쿠션(40)이 속싸개(10)에 결합될 때 아기(B)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쿠션 지지부(420)의 외측 단부에는 가슴 쿠션 고정부(112)와 결합되는 가슴 쿠션 보조 고정부(421)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슴 쿠션 보조 고정부(421)는 벨크로 구조일 수 있다. 가슴 쿠션 보조 고정부(421)는 쿠션 지지부(420)의 외측 단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B)가 속싸개(10)의 몸체부(11)에 위치되면, 가슴 쿠션(40)의 양측 단부를 속싸개(10)에 결합하여, 가슴 쿠션(40)이 아기(B)의 가슴을 눌러주게 한다. 이 때, 아기(B)의 팔은 가슴 쿠션(40)의 위쪽에 오도록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속싸개(10)의 날개부(12, 13)로 아기(B)를 감싼 후 날개부(12, 13)를 서로 결합하면, 아기(B)는 가슴 쿠션(40)이 가슴쪽에 위치된 상태로 속싸개(10)에 감싸진 상태가 된다. 또한, 이 후 속싸개(10)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쿠션 모듈(3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10) 및 속싸개(10)에 결합되는 가슴 쿠션(40)은 아기(B)들이 놀라지 않도록 가슴을 살짝 눌러주면 엄마 뱃속에 있는 듯한 안정감을 느껴 자다가 깜짝 놀라는 모로반사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가슴 쿠션(40)에 의해 아기(B)가 속싸개(10) 안에서 바둥거리다가 속싸개(10)가 아기(B) 얼굴 쪽으로 밀려 올라가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가슴 쿠션(40)은 속싸개(10)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어, 가슴을 눌러주는 용도 외에 배에 위치되게 하여 배앓이방지기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7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9는 쿠션 모듈의 일측 단부에서 이불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인출된 이불이 쿠션 모듈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이불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속싸개 어셈블리(1)는 속싸개(10) 및 쿠션 모듈(30)을 포함한다. 이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 어셈블리(1)에 있어, 도 1 내지 도 10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속싸개(10)는 도 11 내지 도 16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속싸개(10)와 같이 제공되어, 가슴 쿠션(40)이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쿠션 모듈(30)의 좌우 외측 단부 중 하나에는 이불 포켓(310)이 제공되고, 이불 포켓(310)의 내측에는 이불(315)이 수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불(315)은 이불 포켓(310)의 내측면에 일부 영역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불 포켓(310)은 포켓 개폐 부재(311)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 개폐 부재(311)는 지퍼 등일 수 있다. 이불 포켓(310)은 흔들림 방지 쿠션(33)이 고정되는 쿠션 스트랩(31, 32)의 좌우 외측 단부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이불 포켓(310)이 쿠션 스트랩(31, 32)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쿠션 모듈(30)의 좌우 외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는 이불(315)의 단부가 탈착되는 이불 고정부(32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불 고정부(320)는 벨크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불 고정부(320)는 쿠션 스트랩(31, 32)의 좌우 외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불(315)의 단부에는 이불 고정부(320)와 결합을 위한 이불 보조 고정부(316)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불 보조 고정부(316)는 벨크로 구조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아기(B)가 속싸개(10)에 감싸진 상태로, 속싸개(10)가 쿠션 모듈(30)에 결합되며, 이불(315)은 이불 포켓(310)에서 꺼내진 후, 단부가 이불 고정부(32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이불(315)이 펼쳐지면, 아기(B)의 위쪽면은 이불(315)에 덮여지게 된다. 이불(315)을 덮어주면 보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쿠션 모듈(30)은 속싸개(10)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아기(B)가 속싸개(10)에 감싸인 상태에 대해 답답해할 경우, 속싸개(10) 없이 아기(B)를 쿠션 모듈(30) 위에 눕혀준 후 쿠션 모듈(30)의 이불(315)을 꺼내 덮어주면 아기(B)의 손이 단단하게 고정되어있지는 않지만, 위에 덮여진 고정 이불(315)로 인하여, 아기(B)가 자면서 자기 손에 놀라 깨는 모로반사현상을 막아줄 수 있으며, 아기(B)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속싸개 11: 몸체부
12: 우측 날개부 13: 좌측 날개부
20: 이너시트 30: 쿠션 모듈
31: 제1 스트랩 32: 제2 스트랩
33: 흔들림 방지 쿠션

Claims (5)

  1. 내측으로 이너시트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에 아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서로 결합가능한 날개부를 갖는 속싸개; 및
    상기 속싸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흔들림 방지 쿠션과, 양측 단부에 상기 흔들림 방지 쿠션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며, 중앙 영역의 상면에 상기 속싸개가 결합되는 쿠션 결합부가 제공되는 쿠션 스트랩을 갖는 쿠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속싸개에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날개부가 연결되는 영역 각각에 가슴 쿠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에는 이불 포켓이 제공되고, 다른 하나에는 이불 고정부가 제공되며,
    상기 속싸개에 놓인 아기의 좌측 가슴에 위치되며 중앙부분이 볼록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제1쿠션부와 상기 아기의 우측 가슴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볼록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제2쿠션부, 그리고 상기 제1쿠션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슴 쿠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고 상기 제2쿠션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슴 쿠션 고정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쿠션 지지부를 포함하는 가슴 쿠션; 및
    일부 영역이 상기 이불 포켓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일 단부에는 상기 이불 고정부와 결합하기 위한 이불 보조 고정부가 형성된 이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에 놓인 아기의 가슴에 상기 제1쿠션부와 상기 제2쿠션부가 각각 놓인 상태에서 상기 쿠션 지지부의 양 단이 상기 가슴 쿠션 고정부 각각과 결합하고, 상기 날개부의 양 단이 상기 제1쿠션부와 상기 제2쿠션부의 상부에서 결합하고, 상기 이불이 상기 날개부를 가로질러 상기 이불 고정부와 결합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25489A 2021-09-23 2021-09-23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KR10264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89A KR102646673B1 (ko) 2021-09-23 2021-09-23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489A KR102646673B1 (ko) 2021-09-23 2021-09-23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265A KR20230043265A (ko) 2023-03-31
KR102646673B1 true KR102646673B1 (ko) 2024-03-13

Family

ID=8600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489A KR102646673B1 (ko) 2021-09-23 2021-09-23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589B2 (ja) * 1995-02-28 2001-07-11 松下電工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60150330A1 (en) 2002-07-31 2006-07-13 Gatten Michael D Swaddling blanket
US20100275373A1 (en) 2009-05-01 2010-11-04 Triboro Quilt Manufacturing Corporation Swaddle blanket
KR200483853Y1 (ko) 2017-01-18 2017-07-03 최성현 기능성 유아용 안전 블랭킷
US20200375372A1 (en) 2019-05-14 2020-12-03 Huixiang Sullivan System and method for infant securing device
KR102240073B1 (ko) *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589U (ja) * 2013-06-11 2013-08-22 陽子 河上 授乳カバ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5589B2 (ja) * 1995-02-28 2001-07-11 松下電工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60150330A1 (en) 2002-07-31 2006-07-13 Gatten Michael D Swaddling blanket
US20100275373A1 (en) 2009-05-01 2010-11-04 Triboro Quilt Manufacturing Corporation Swaddle blanket
KR200483853Y1 (ko) 2017-01-18 2017-07-03 최성현 기능성 유아용 안전 블랭킷
US20200375372A1 (en) 2019-05-14 2020-12-03 Huixiang Sullivan System and method for infant securing device
KR102240073B1 (ko) * 2020-06-25 2021-04-14 황금상 유아용 속싸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265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6819B2 (en) Swaddle blanket
US8032958B2 (en) Swaddling blanket, paticularly for use in connection with premature infa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093947A (en) Children's nap blanket
EP2237687B1 (en) Infant wrap including body padding
US7246392B2 (en) Wearable blanket and a swaddling accessory therefor
US7673354B2 (en) Baby sleeping pouch method and apparatus
US7150054B1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502493C (en) Slumber bag
KR102240073B1 (ko) 유아용 속싸개
US20050210585A1 (en) Infant sleeping system
JP2005530521A (ja) ベビーベッド用安全シーツおよび毛布複合体
KR200493969Y1 (ko) 슬립서포터
US20100115700A1 (en) Sweet dreams blanket
KR102205713B1 (ko) 신생아의 놀람 방지와 포근하게 감쌈이 가능한 속싸개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KR102646673B1 (ko)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KR101376133B1 (ko) 아기용 침대
ES2808129T3 (es) Bolsa de dormir infantil, aparato y pañal
KR101021482B1 (ko) 다기능 이불
US20060272094A1 (en) Safety blanket assembly
US20120110736A1 (en) Pouch blanket
CA2459037A1 (en) Secure infant swaddle with safety features
KR200271294Y1 (ko) 다기능 쿠션
KR102009033B1 (ko) 유아용 겉싸개
KR200496971Y1 (ko) 영유아용 기능성 속싸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