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146B1 -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146B1
KR102646146B1 KR1020160126588A KR20160126588A KR102646146B1 KR 102646146 B1 KR102646146 B1 KR 102646146B1 KR 1020160126588 A KR1020160126588 A KR 1020160126588A KR 20160126588 A KR20160126588 A KR 20160126588A KR 102646146 B1 KR102646146 B1 KR 10264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air flow
flow path
display unit
ai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245A (ko
Inventor
정민우
이한춘
김세현
한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146B1/ko
Priority to PCT/KR2017/002023 priority patent/WO2018062645A1/ko
Priority to US16/338,115 priority patent/US1090503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36Heat pipes, e.g. wicks or capillary pu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9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열교환 효율을 높이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는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내부를 통해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파이프와 열교환 단면적을 높이기 위한 핀 구조를 적용하되, 히트파이프가 순환식으로 이루어져 냉매 유동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한 냉각기 구조와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A COOLING APPARATUS FOR DISPLAY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냉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열교환 효율을 높이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림화할 수 있는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평판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대면적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디스플레이의 온도가 상승하면 오동작을 일으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등의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이에 대한 냉각도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은, 주변 환경의 온도, 주변 환경이 밝아 디스플레이를 더 밝게 하면서 생기는 발열 등 다양하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대면적화 되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대한 효율적인 냉각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전면과 후면을 순환하는 공기 순환 경로를 만들고, 공기가 순환하면서 외부에 열을 배출하도록 하는 냉각 구조를 적용하였다. 순환하는 공기는 외부로 열을 배출하는 열교환기를 거치며 열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술한 순환 공기는 디스플레이 전면을 지나기 때문에 냉각을 하는 과정에서 순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섞이게 되면 디스플레이 전면에 이물질이 들어가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순환 공기는 외부의 공기와는 혼합되지 않도록 격리된 상태에서 순환하도록 설계된다. 순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섞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에서 열전도(heat conduction)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배출하게 되며,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이 전도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커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열교환기는 디스플레이의 후방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디스플레이의 면적에 대응하는 만큼 디스플레이의 후방 공간에는 큰 면적의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열전도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만 보면 디스플레이 후방에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는, 디스플레이 후방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판이나 관련 부품들의 위치를 회피하여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특히 곡면 디스플레이에 대응하여 설계하거나 생산하기는 매우 까다롭다.
특히 열교환기 자체가 어느 정도 두께를 차지하기 때문에, 열교환기를 디스플레이 후방에 배치하면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슬림한 제품을 설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는 디스플레이의 전면과 후면을 순환하는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접촉하면서 격벽을 통한 열 전도를 통해 열을 외부로 배출하였다. 이처럼 종래의 열교환기는 고온의 공기와 저온의 공기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전도를 통해 열교환을 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격벽의 면적이 넓고 격벽의 두께는 얇아야 하며, 격벽은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야 했다.
따라서 종래의 열교환기는 구조가 매우 복잡할 수밖에 없으며,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만큼 열교환기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매의 증발에 의한 흡열과 냉매의 응축에 의한 발열 효과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적용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열교환 효율을 높인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하여 슬림하거나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구조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지 않는 냉각 모듈과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이 더 많은 부위를 더욱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의 유지보수가 간편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를 통해 냉매가 유동하는 히트파이프와 열교환 단면적을 높이기 위한 핀 구조를 적용하되, 히트파이프가 순환식으로 이루어져 냉매 유동이 효율적으로 일어나도록 한 냉각기 구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다.
특히 순환식 히트파이프가 흡열하는 구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열에 의해 증발한 냉매가 쉽게 부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발열 구간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발열에 의해 응축한 냉매가 쉽게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히트파이프 내의 냉매 순환력을 더욱 발생시켜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특히 순환식 히트파이프의 냉매가 증발하는 구간에서 제1핀과 접하게 하고, 순환식 히트파이프의 냉매가 응축하는 구간에서 제2핀과 접하게 하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유동시키는 구조로도 히트파이프와 공기 간 열교환이 원활히 일어나 냉각 효과를 더 높이게 된다.
특히 순환식 히트파이프가 발열하는 구간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 배치하면,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과 후방 및 측방 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인접하여 유동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되는 제1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마련되는 제2핀;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1핀에 접하는 증발구간, 증발구간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연장되는 기체상 구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핀에 접하는 응축구간, 및 상기 응축구간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연장되는 액체상 구간을 포함하는 순환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순환 히트파이프는 제1핀과 접하는 증발구간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을 순환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고, 내부의 냉매가 증발하며 부력에 의해 상부로 오르게 되며 냉매의 순환을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핀과 접하는 응축구간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방출하며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냉매가 응축되며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냉매의 순환을 촉진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열교환 과정에서 액체와 기체의 이상(二相) 간의 상변화가 적용되어 열교환 효율을 현저히 높이고, 또한 히트파이프 내의 냉매 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열교환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져 냉각 효과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내의 공기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면을 가리지 않으면서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을 따라 유동하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 깊이를 줄일 수 있어 더욱 슬림한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는 덕트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덕트에 의해 마련된 유로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제2핀과 히트파이프 구조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2핀과 히트파이프에 집중적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핀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덕트에 마련된 유동팬에 의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동팬은 덕트의 입구나 출구 쪽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팬의 유지 보수가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순환 히트파이프의 응축구간에서 히트파이프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기에 매우 적합한 위치이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는 구조가 된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이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을 유동 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각기 구조에서 제2핀과 히트파이프의 응축구간이 마련되는 위치가 반드시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응축구간이 마련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과 응축구간이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의 증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과 응축구간이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는 것은 히트파이프를 사용할 경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분에 히트파이프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일부분에 히트파이프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종래의 열교환기 구조와는 명백히 구별되는 점이다.
상기 제1핀은 상하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은 상기 제1핀을 관통하며 접할 수 있다. 제1핀에 접촉되는 히트파이프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을 포함하므로, 제1핀의 구조를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1핀과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핀은 좌우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거나, 전후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측방 또는 우측방에 마련할 경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은 원활하게 하면서 순환 히트파이프의 응축구간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제2핀은 상하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마련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유동은 원활하게 하면서도 순환 히트파이프의 응축구간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의 응축 구간은 상하 방향의 연장 구간을 가지면서 상기 제2핀을 관통하며 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내장하고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외부 연통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이격된 전방에 배치되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면판;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전면판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연통구와 연통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및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흡열하여 냉매가 증발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발열하여 냉매가 응축하며, 냉매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이동하는 경로가 별도로 마련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히트파이프 구조를 순환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구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증발한 냉매가 부력에 의해 원활히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구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응축한 냉매가 자중에 의해 원활히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된 제1핀과 접하도록 하여 냉매의 흡열과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마련된 제2핀과 접하도록 하여 냉매의 발열과 응축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을 따라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슬림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이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을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구조를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으면서도 슬림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구조를 컴팩트하면서도 단순화할 수 있고, 냉각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이 많은 부위를 더 집중적으로 냉각할 수 있어 그만큼 냉각기를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냉각 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우징의 후면판을 생략한 상태에서 바라본 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실시예의 후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제1실시예의 열교환기 구조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실시예의 후면도,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열교환기 구조만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냉각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냉각 구조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우징의 후면판을 생략한 상태에서 바라본 후방 이다.
LCD나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30)은 모듈화되어 하우징(50)의 내부에 수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전면은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면(31)이 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면(31)은 하우징의 전면판(51)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면(31)을 볼 수 있도록 한 전면판(51)과,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화면(31) 사이에는 공간(gap)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통해 후술할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이루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에는 전원 회로, 화면 제어 회로 등을 포함하는 기판과 관련 부품들이 설치되며, 이는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브래킷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방에는 상기 기판과 관련 부품들을 덮는 후면판(53; 도 2 이하 참조)이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과 하우징의 후면판(53)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이 주어진다. 이러한 공간 역시 후술할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이루며, 이를 통해 공기가 순환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제1측면판(55)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 모서리 부분 중 짧은 변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덮는다. 그리고 하우징의 제2측면판(57)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 모서리 부분 중 긴 변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덮는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우징(50)은, 내부 구성인 디스플레이 유닛(30)과 관련 부품을 내장하며 이를 외부의 공기와 격리시킨다.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측면으로서 네 모서리 부분 중 짧은 부분 쪽에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가 되는 덕트(70)가 설치된다. 덕트의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하우징(50) 에 의해 외부와 격리된 공간에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CC; Closed Air Circulation Pathway)가 마련된다.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는 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전방에 마련된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 마련된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마련된 공간을 순환하는 경로로서, 이러한 경로를 순환하는 공기는 외부의 공기와 섞이지 않도록 격리된다.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83)은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킨다. 일 예로서 순환팬(83)은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 일측 단부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짧은 일측 측방의 공기를 흡인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짧은 타측 측방으로 토출시킨다. 순환팬은 이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 후술할 열교환기의 제1핀 전방이나 후방 등 다양한 위치에,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따라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짧은 일측 측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짧은 타측 측방 공간을 순환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긴 일측 측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긴 타측 측방 공간을 순환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긴 일측 측방 공간과 짧은 일측 측방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긴 타측 측방 공간과 짧은 측방 공간을 모두 순환하는 구조 역시 적용 가능하다. 특히 긴 변과 짧은 변을 모두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는, 종래의 격벽을 사이에 둔 공기 대 공기 열교환기 설치 구조에서는 적용하기 어렵거나 부적합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후술할 히트파이프와 핀 구조를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 열교환기를 배치한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측면 쪽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긴 변과 짧은 변을 모두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하기에 문제가 없다.
[열교환기 구조]
도 4 또는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기 구조의 열교환기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CC)에 배치된 제1핀(81), 개방형 공기유동경로(OF)에 배치된 제2핀(72), 그리고 상기 제1핀(81)과 제2핀(72)을 연결하며, 내부에 냉매가 수용된 순환 히트파이프(90)를 포함한다.
히트 파이프는 히트파이프 내부 유체의 증발을 통해 일측의 열을 타측으로 빠르게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는 내부를 배기(排氣)하여 감압한 파이프로서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는 내부 공간에 휘발성 액체(즉 냉매)를 가득 넣은 것이다. 이 파이프의 한쪽 끝에 열을 가하면 휘발성 액체가 증발하여 열에너지를 가지면서 다른 끝으로 이동한다. 증발된 기체는 파이프의 다른 끝에서 방열하며 액화되고, 액체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시 본래의 위치로 돌아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보다도 50배 정도 열전달 속도가 빠르다. 본체의 재료는 구리, 스테인리스강, 세라믹, 텅스텐 등이 사용되고, 안벽은 다공질의 파이버 등이 사용된다. 내부의 휘발성 물질로는 메탄올, 아세톤, 물, 수은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트 파이프를, 일단과 타단이 구비된 바(bar) 형태가 아닌, 순환 가능한 루프(close loop) 형태로 마련한 것을 하나의 기술적 특징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순환 히트 파이프는 냉매의 순환 순서에 따라 증발구간(91), 기체상 구간(92), 응축구간(93), 액체상 구간(9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순환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배치된다.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히트파이프 간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증발구간(91)에는 제1핀(81)이 접할 수 있다. 즉 증발구간의 히트파이프 부분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제1핀을 관통하며 제1핀에 접한다. 제1핀은 평판 형태로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기체상 구간(92)은, 상기 증발구간(91)에서 흡열하여 증발한 히트파이프 내의 기체상의 냉매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구분하는 구획부를 관통하여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부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이르는 히트파이프 구간이다.
응축구간(93)은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배치된다.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지나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와 히트파이프 간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응축구간(93)에는 제2핀(72)이 접할 수 있다. 즉 응축구간의 히트파이프 부분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제2핀을 관통하며 제2핀에 접한다. 제2핀은 평판 형태로서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액체상 구간(94)은, 상기 응축구간(93)에서 발열하며 응축한 히트파이프 내의 액체상의 냉매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와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구분하는 구획부를 관통하여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부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이르는 히트파이프 구간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상기 히트파이프가 순환구조를 이루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91)이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응축구간(93)이 상하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91)이 상하로 연장된 구조에 의하면, 히트파이프 내에서 흡열에 의해 증발된 냉매가 기화되면서, 기화된 냉매가 그 주변에서 아직 기화되지 않은 액체 상의 냉매보다 밀도가 낮아져 부력에 의해 상방을 향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기화된 냉매는 기체상 구간(92)을 따라 이동하여 응축구간(93)에 도달하게 된다. 응축구간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흐르는 공기에 발열을 하여 응축하게 된 냉매는, 주변의 기체상의 냉매보다 밀도가 높아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액화된 냉매는 액체상 구간(94)을 따라 이동하여 다시 증발구간(91)에 도달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증발구간(91)의 일부와 응축구간(93)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히트파이프 내의 냉매의 순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세관 현상뿐만 아니라, 상술한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 및 응축구간에서의 형상에 의해, 순환 히트파이프 내의 냉매는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히트파이프 구조는 고온의 일측 단부와 저온의 타측 단부 사이에서 기체 상의 냉매와 액체 상의 냉매가 서로 하나의 파이프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에서, 신속한 열전달에 바람직하기 않은 구조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 히트파이프는 기체 상의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92)와 액체 상의 냉매가 이동하는 경로(94)를 별도로 마련하고 순환식으로 구성하여, 열전달이 매우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해 몇 가지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실시예의 후면도,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제1실시예의 열교환기 구조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는, 전면판(51),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 이격 배치된 후면판(53),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좌우측 단변을 서로 연결하는 제1측면판(55),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하측 장변을 서로 연결하는 제2측면판(57)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에 마련된 순환팬(83)에 의해 유동하며, 전면판(51)과 디스플레이 면(31) 사이의 공간, 디스플레이 유닛(30)의 측면과 상기 측면판(55)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면부와 하우징의 후면판(53) 사이의 공간을 순환한다. 상기 공간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는 디스플레이 유닛이나 그 전장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며 상기 경로를 순환하게 된다.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중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판(53) 사이의 공간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핀(81)이 배치된다. 제1핀(81)은 상하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2내지 도 4에는 이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제1핀의 개수와 간격은 공기 순환을 지나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순환 공기와 제1핀 간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핀(81)에는 상하 방향으로 순환 히트파이프(90)가 관통 고정된다. 즉 제1핀을 관통하는 히트파이프는 관통부위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제1핀의 열은 히트파이프에 매우 신속하게 전달된다. 제1핀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증발구간(91)이 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히트파이프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이를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히트파이프의 개수와 설치 간격은 열교환에 효율성과 공간 확보 문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히트파이프의 제1핀 관통 위치는 제1핀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관통 위치나 배열 역시 열교환에 효율성과 공간 확보 문제, 히트파이프 내의 냉매의 원활한 유동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의 제1측면판(55)에 마련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가 일측에만 마련된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후술할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양측에 있어도 무방하다.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제1측면판(55)의 길이 방향(즉,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된 덕트(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덕트(70)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연통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덕트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유동팬(74)이 마련되어 상기 덕트 내에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공기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도 2에는 하부에 유동팬(74)이 마련된 구조가 예시된다.
상기 덕트 내의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2핀(72)이 배치된다. 제2핀(72)은 전후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도 2내지 도 4에는 이를 2개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것으로, 제2핀의 개수와 간격은 공기 순환을 지나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동 공기와 제2핀 간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증발구간(91)의 상부로부터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향해 연장되며, 제1측면판(55)을 관통하여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이르는 기체상 구간(92)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개방향 공기유동경로에 다다른 기체상 구간(92)에 이어서 연장되는 응축구간(93)은 상기 제2핀(72)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고정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핀을 관통하는 히트파이프는 관통부위를 통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의 열은 제2핀에 신속하게 전달된다.
제2핀에 관통되는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의 위치는 제2핀의 면적에 고루 분포한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히트파이프는 제2핀(72)을 관통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제2핀(72)을 관통하는 부분 외의 부분이 상하로 연장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90)는 상기 응축구간(93)의 하부로부터 다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향해 연장되며, 제1측면판(55)을 관통하여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있는 증발구간(91)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액체상 구간(94)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실시예의 후면도,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그리고 도 7은 제2실시예의 열교환기 구조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제1실시예와 별 차이가 없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열교환기의 배치나 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점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실시예에 따른 냉각 구조에서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양측면의 제1측면판(55)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핀, 제2핀, 순환 히트파이프 모두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핀(81)이 배치된다. 제1핀(81)은 상하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순환 히트파이프(90)의 증발구간(91)은 상기 제1핀(81)에 상하 방향으로 순환 관통 고정된다. 제2실시예에서 히트파이프의 제1핀 관통 위치는 제1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전방으로 치우치거나 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두 증발구간(91)에 각각 이어지는 기체상 구간(92)이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연장됨에 있어서, 이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공간 상에 적절히 안분된다.
상기 덕트 내의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2핀(72)이 배치된다. 제2핀(72)은 좌우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히트파이프(90)의 응축구간(93)은 상기 제2핀(72)에 좌우 방향으로 관통 고정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히트파이프의 상기 응축구간(93)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핀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고정되는 부분, 제2핀을 관통한 히트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하트파이프 하단부에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핀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고 고정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즉 하나의 히트파이프는 제2핀을 2번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90)의 액체산 구간(94)은 상기 응축구간(93)으로부터 다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향해 연장되어 제1측면판(55)을 관통하고,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있는 증발구간(9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보다 히트파이프가 굽어지는 부분이 적어 히트파이프 내를 유동하는 냉매의 순환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제1 및 제2실시예와 달리 제3실시예에서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가 디스플레이 유닛(30)의 후방이면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접하며 열교환을 하는 것이 아니라, 히트파이프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열교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가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이면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루프 안쪽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과 후방 공간에서 순환팬(83)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며 순환한다. 또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공기 역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에 마련된 덕트(70)에서 유동팬(74)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중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판(53) 사이의 공간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핀(81)이 배치된다. 제1핀(81)은 상하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2핀(72)이 배치된다. 제2핀(72)은 상하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가지는 평판 형태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며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핀(81)에는 상하 방향으로 순환 히트파이프(90)의 증발구간(91)이 관통 고정된다. 그리고 증발구간(91)의 상부에서 이어지는 기체상 구간(92)은 하우징의 후면판(53)을 관통하여 제2핀(72) 근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핀(7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응축구간(93)이 관통 고정된다. 그리고 응축구간(93)의 하부에서 이어지는 액체상 구간(94)은 하우징의 후면판(53)을 관통하여 다시 증발구간(91) 하부에 이어진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방향 폭을 줄일 수 있으며, 히트파이프의 기체상 구간과 액체상 구간을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순환 히트파이프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앞서 제3실시예와 대비하여, 도 10에 도시된 제4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후방향 폭을 줄이기 위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에 마련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제2핀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 방향(전후 방향)으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된 제1핀과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한다. 또한 제1핀과 제2핀을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하여 마련하면, 이들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하기가 더욱 수월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의 증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핀과 제2핀이 인접하는 부분의 하우징 후면판(53)은, 두 경로(CC, OF)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경사진 면을 배치한다. 따라서 공기의 이동 경로에 대한 유동 단면적에 변화가 다소 발생하더라도, 경사진 면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여 원활한 공기 순환이나 유동이 가능하다.
제1핀과 제2핀이 각각 분할 구성된 점을 제외하면, 제1핀과 제2핀은 모두 상하방향의 축을 법선으로 하는 평판 형상의 핀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적층된 구조인 점과, 이들을 관통하며 순환하는 순환 히트파이프(90)의 구조 역시 제3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의 히트 파이프(90)와 핀(81)이 폐쇄형 공기순환 경로의 공간에 전체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 파이프와 핀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이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발열이 심하게 일어나는 내부 구성품에 가깝게 배치하여, 해당 공간의 열을 더 집중적으로 흡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냉각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동하면 디스플레이 유닛과 그 후방에 설치된 PCB의 칩 등에서 발열이 일어난다. 순환팬(83)과 유동팬(74)은 각각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공기 순환과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공기 유동을 일으킨다.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부속품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며 순환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후방에 위치하는 제1핀과 접촉하여 그 열을 제1핀에 전달한다. 그러면 제1핀(81)의 열은 히트파이프(90)의 증발구간(91)에 전달되고, 히트파이프로 흡수된 열로 인해 내부의 냉매는 증발하여 부력으로 상승한다. 냉매가 증발할 때 기화열을 흡수함으로 인해 냉매의 흡열 양은 더욱 증가된다. 기화된 냉매는 기체상 구간(92)을 통해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이동한다. 즉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흡수된 열은 히트파이프 자체의 전도와 히트파이프 내부의 기화된 냉매를 통해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있는 제2핀까지 신속하게 전달된다.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는 히트파이프의 응축구간(93)과 제2핀(72)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구간(93)의 기체상 냉매는 제2핀을 통해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공기에 열을 전달하고, 자신은 응축되어 응축열을 발열함으로써, 더욱 많은 열을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공기에 전달한다.
한편 응축된 냉매는 자중에 의해 신속하게 하강하여 액체상 구간(94)을 통해 다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증발구간(91)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교환기 구조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적은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효율적인 열교환이 가능하므로,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를 컴팩트하고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C: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OF: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10: 디스플레이 장치
30: 디스플레이 유닛
31: 디스플레이 면
50: 하우징
51: 전면판
53: 후면판
55: 제1측면판(좌우측 단변)
57: 제2측면판(상하측 장변)
70: 덕트
72: 제2핀(OF)
74: 유동팬(OF)
81: 제1핀(CC)
83: 순환팬(CC)
90: 순환 히트파이프
91: 증발구간
92: 기체상 구간
93: 응축구간
94: 액체상 구간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방과 후방 및 측방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인접하여 유동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증발구간, 증발구간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연장되는 기체상 구간,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마련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응축구간, 및 상기 기체상 구간과 별도로 마련되고 상기 응축구간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연장되는 액체상 구간을 포함하는 순환 히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상 구간은 상기 증발구간의 상부와 상기 응축구간의 상부 사이의 구간에 마련되고, 상기 액체상 구간은 상기 응축구간의 하부와 상기 증발구간의 하부 사이의 구간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되는 제1핀; 및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마련되는 제2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구간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1핀에 접하고, 상기 응축구간은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핀에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내의 공기 순환을 유도하는 순환팬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을 따라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는 덕트가 마련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덕트에 의해 마련된 유로로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핀과 이격된 위치에서 덕트에 마련된 유동팬에 의해 유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이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을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핀은 상하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의 증발구간은 상기 제1핀을 관통하며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핀은 좌우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핀은 전후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핀은 상하방향으로 법선을 가지는 평면 형태로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히트파이프의 응축 구간은 상기 제2핀을 관통하며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냉각기.
  15. 디스플레이 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내장하고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외부 연통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이격된 전방에 배치되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면판;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전면판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연통구와 연통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및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흡열하여 냉매가 증발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발열하여 냉매가 응축하며, 냉매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이동하는 경로가 별도로 마련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구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삭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구간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디스플레이 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내장하고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외부 연통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이격된 전방에 배치되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면판;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전면판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연통구와 연통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및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흡열하여 냉매가 증발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발열하여 냉매가 응축하며, 냉매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이동하는 경로가 별도로 마련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증발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 마련된 제1핀과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디스플레이 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내장하고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의 외부 연통구가 마련된 하우징;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이격된 전방에 배치되어,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면판;
    상기 디스플레이 면과 전면판 사이의 공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 공간을 순환하는 폐쇄형 공기순환경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연통구와 연통하는 개방형 공기유동경로; 및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흡열하여 냉매가 증발하고,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발열하여 냉매가 응축하며, 냉매가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에서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로 이동하는 경로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서 폐쇄형 공기순환경로로 이동하는 경로가 별도로 마련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파이프에서 냉매가 응축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에 마련된 제2핀과 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방을 따라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공기유동경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방이면서 상기 폐쇄형 공기순환경로의 후방을 유동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26588A 2016-09-30 2016-09-30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88A KR102646146B1 (ko) 2016-09-30 2016-09-30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7/002023 WO2018062645A1 (ko) 2016-09-30 2017-02-23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6/338,115 US10905036B2 (en) 2016-09-30 2017-02-23 Display cooler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588A KR102646146B1 (ko) 2016-09-30 2016-09-30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45A KR20180036245A (ko) 2018-04-09
KR102646146B1 true KR102646146B1 (ko) 2024-03-08

Family

ID=6197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588A KR102646146B1 (ko) 2016-09-30 2016-09-30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1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78A1 (en) * 2018-09-20 2020-03-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54B1 (ko) * 2005-04-12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US20150009627A1 (en) * 2013-07-08 2015-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gure eight closed loop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54B1 (ko) * 2005-04-12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US20150009627A1 (en) * 2013-07-08 2015-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gure eight closed loop cooling system for electronic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245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961B2 (en) Low-profile thermosyphon-based cooling system for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US7958935B2 (en) Low-profile thermosyphon-based cooling system for computer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KR100861005B1 (ko) 열전모듈과 히트파이프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CN101762196A (zh) 多通道嵌入吸液芯式平板热管
KR102646146B1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083116B2 (en) Cooler for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5874935B2 (ja) 平板型冷却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US10905036B2 (en) Display cooler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4969376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機器
JP5193099B2 (ja) 冷却装置
KR102024567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KR102347941B1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6938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JP5668347B2 (ja) 屋外装置の吸熱構造
KR20180036244A (ko)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3069783U (ja) 気泡循環熱交換構造
KR102186602B1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US20220124945A1 (en) Novel heat pipe configurations
KR20190029923A (ko) 냉각 장치
CN215725357U (zh) 热虹吸器
KR20190013053A (ko) 디스플레이 냉각장치
JP6514552B2 (ja) 照明装置
JP2022108969A (ja) 電子機器
JP3168932U (ja) 放熱装置
KR20080105257A (ko) 수평형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