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51B1 -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51B1
KR102645451B1 KR1020180106228A KR20180106228A KR102645451B1 KR 102645451 B1 KR102645451 B1 KR 102645451B1 KR 1020180106228 A KR1020180106228 A KR 1020180106228A KR 20180106228 A KR20180106228 A KR 20180106228A KR 102645451 B1 KR102645451 B1 KR 10264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camera device
authentication cod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8514A (en
Inventor
김재형
이경재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to KR102018010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51B1/en
Publication of KR20200028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2335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e.g. by converting from one coding standard to an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8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udi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따르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 확인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 인증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operation server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n the method implemented,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re received from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and a camera device provided at the base. Receive camera devic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amera device and store it in the management DB, confir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and upon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output the sound output of the camera device. Generate and store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process the encoded sound signal with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and output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es wit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check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he authentication code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to authenticate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When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 procedure is performed to enable video information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to be transmitted to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escription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 확인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 인증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mplemented through an operation server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re received from the app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DB, and camera devic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amera device installed at the base is received and managed. A first step of storing in DB, a second step of check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and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is confirmed,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will be output. A third step of generating and stor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and processing a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through a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A fourth step of checking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by communicating wit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 fif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when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sixth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setti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t's about.

종래에 다수개의 웹 PC 카메라가 설치된 병원 또는 조산원 또는 산후 조리원에서 회원으로 가입된 아기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및 신생아 정보(예컨대, 태몽, 초음파 진단 사진 등)를 인터넷을 통해 회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안된 바 있다(특허공개번호 특2001-0091236(2001년10월23일)).In the past, hospitals, midwifery centers, or postpartum care centers equipped with multiple web PC cameras provide a service that provides members with video or still images of babies and newborn information (e.g., fetal dreams, ultrasound diagnosis photos, etc.) via the Internet. (Patent Publication No. Special 2001-0091236 (October 23, 2001)).

그러나 종래의 서비스는 단순히 아기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및 신생아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특별한 어려움 없이 설치가 용이하여, 촬영되는 정보가 악의적으로 유출되거나 엉뚱한 곳으로 전송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However, conventional services simply provide video or still images of babies and newbor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are easy to install without any particular difficulties, so there are cases where the captured information is maliciously leaked or transmitted to the wrong place.

최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예를들어, 아마존사의 '에코', SK텔레콤사의 '누구', KT사의 '기가지니' 등의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Recently, a stationary sound device that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provid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voice has been sold. For example, stationary sound devices such as Amazon's 'Echo', SK Telecom's 'NUGU', and KT's 'Giga Genie' are being sold.

그러나 종래의 거치형 사운드장치는 음원 서비스와 음성인식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서,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음성인식을 통해 제공하거나 재생하는 서비스 위주로 동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분야에는 사용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tionary sound device combines sound source service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operates mainly as a service that simply provides or reproduces the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has problems that make it difficult to use in other field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 확인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 인증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hrough an operation server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n the method implemented,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re received from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and a camera device provided at the base. A first step of receiving camera devic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the management DB,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 generating and stor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outputting a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 third step of processing to be possible, and a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confirm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Step 4, and a fif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verifying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When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us, a sixth step is performed to set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aim is to provide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 확인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 인증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rough an operation server that has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n the method implemented,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re received from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stored in the management database, and a camera device provided at the base. A first step of receiving camera devic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the management database, a second step of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Generate and store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process the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 third step and a fourth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confirm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 fif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when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A sixth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setti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o.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s to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by ad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 step of generating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amera device, wherein the camera device receive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output.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transmitt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camera device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wherein the camera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encod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outputs the cod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ound signal in an inaudible frequency band.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1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is further encoded with firs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fourth step is to convert the sound signal to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hecking the first time information recognized by reading, and the fif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paring the confirmed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to verify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valid tim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ncludes first authentication recognized by reading a sound signal input from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a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cod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rom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reading the received sound data and recogniz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무선단말의 화면에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s to generate and store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fourth step is,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camera device and checking the recogniz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by reading a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wherein the fifth authentication code is read. The step may further include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confirm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generating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de image to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code image and outputs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증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transmitt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And,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s a code image enco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outputs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무선단말의 화면을 지정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 촬영 범위를 지향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8,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outputs the code image to indicate the camera module shooting range of the designated camera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that encourages orienta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third step is to read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 whether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and whe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processing the sound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third step is to read the video information and check whether the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and if the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process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제2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image is further encoded with seco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fourth step is to set the code image. 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hecking the second time information recognized by reading, and the fif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paring the confirmed second tim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to verify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valid tim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제2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s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and store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the step of reading a code image within a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recogniz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encoded in the code imag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ncludes receiv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by read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코드는, 상기 제1 인증코드와 다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de value different from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정보와 고유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를 관계형으로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is to link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with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linked storage.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영상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confirming access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mong the video information stored in the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it as an app.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기 위해 참조할 참조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is to send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ep of checking reference information to be referenced and stor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it to the app.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참조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실시간 저장되는 영상정보나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confirming access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is stored in real time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reference information or video reques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method further includes providing information to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공유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를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D/B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deo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provided for sharing. A step of receiving and receiv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at identifies at least one other wireless terminal, and linking with a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that has installed a designated app on the wireless terminal to receive other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Confirming whether the app is installed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if the app is installed in anoth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e image is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for setting the stored video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othe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신뢰할 수 있는 보안 수준으로 카메라장치를 등록하여, 신뢰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아기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hotograph a baby existing at a designated b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camera device can be registered with a reliable security level within the base, thereby enabling filming of the baby using a trustworth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카메라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설정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sett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set u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an app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description below are for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below.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That is, the following examples correspond to examples of preferred union forms among the numer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in which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examples, or specific configurations (or steps) are omitted. An embodiment of dividing the function implemented in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an embodiment of integrating the function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s) into one configuration (or step),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t is clearly stated that embodiments that replace the operation sequence of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refore, based on the examples below, it is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plements can be divided retroactively to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a means to efficiently explain the advanced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s just that.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setting system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에서 통신 연결된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출력된 사운드 코드가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입력되면,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출력된 사운드 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된 인증코드와 상기 무선단말을 통해 입력된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코드를 통해 카메라장치와 무선단말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여, 상기 무선단말로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1 has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camera device connected to communication by an operation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sound code including a code is output, and when the output sound code is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the output sound code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is read and an authentication code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When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is verified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authentication code in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This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that performs a procedure for setting up a terminal app to enable transmiss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1 to enter the authentication cod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a system that authenticates the short-distance status of a camera device and a wireless terminal and transmit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to the wireless terminal (e.g., some components are omitted, subdivided, or A combined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장치(200)와,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단말(300)과,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제공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출력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해 입력되어 수신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제공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상기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designated base and stores captured image information,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to output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stored imag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 100), the sound signal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is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when the close proximity state with the camera device 200 is verified, the A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es it to the camera device 200, and receiv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When the included sound signal is output and the output sound signal is input and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to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by compar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 It may include an operation server 100 that transmits to 300).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프로그램(255)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지정된 프로그램(255)을 설치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 통신모듈을 구비한 형태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camera device 200 is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is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includes a first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 general term for a camera device that outputs a sound signal encoded with information, preferably a program 255 designated to perform at least one device-side function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encoded with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You can install and run. For example, the camera device 200 may include a variety of devices including a sound input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installed with a designated program 255, a camera module,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2 below.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인증코드에 대한 비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촬영되어 상기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고,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촬영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355)을 설치 실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앱(355)을 설치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provides it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receiv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s a general te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a user who wishes to receiv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result, preferably, the sound signal is input and the operation server ( 100), and install and execute a designated app 355 to perform at least one terminal-side function for receiving shoot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phone, smartphone, tablet PC, etc. of a user who has installed the designated app 355. Fo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Figure 3 below.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인증코드의 생성과 비교 인증, 영상정보의 제공을 위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카메라장치(200) 및 무선단말(300)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코드의 생성과 비교 인증, 영상정보의 제공을 위한 기능이 기기 및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기기 및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기기 및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operating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serv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erver software installed on a previously equipped server. For convenience, some of the functions for generating and comparing authentication codes and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through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embodiments below as being implement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some other functions will be explained by the camera device.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through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s for generating and compar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re clearly divided into device and terminal-side functions and server-side functions. There is no distinction, and some of the device and terminal-side functions shown and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being included in the server-side functions, or conversely, some of the server-side functions may be performed by being included in the device and terminal-side func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se embodiment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고유식별정보 및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장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카메라장치(200)와 통신연결을 확인하는 통신연결 확인부(110)와,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제공하여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코드생성 처리부(115)와, 상기 무선단말(300)로 입력된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인증코드 확인부(120)와, 상기 인증코드를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 간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상태 인증부(125)와, 상기 무선단말(300)와 카메라장치(2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도록 설정하는 전송 설정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operation server 100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camera device inform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a camera devi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10 that confirm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200), a code generation processor 115 that generates an authentication code and provides it to the camera device 200 to b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and processed to be output, An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that reads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checks the authentication code, and verifies the authentication code to determine the short distance state between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A state authentication unit 125 for authentication, and a transmission setting unit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information stored in a storage medium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amera device 200 is authenticated. It may be configured by providing (120).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355)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135)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135)에 저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receives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app 355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manages D/ It is stored in B (135), and camera device information uniquely identifying the camera device 200 provided at the base can be received and stored in management D/B (135).

한편,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카메라장치(3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3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can receiv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300 and store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상기 통신연결 확인부(110)는 상기 관리정보 저장부(1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 무선단말(300)의 고유식별정보,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장치정보가 저장된 이후,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할 수 있다.After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10 stores the user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camera device inform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through the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05,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You can check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camera device.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통신연결 확인부(110)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200)의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10,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outputs the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can be generated and stored, and a sound signal encoded with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Here, the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may include a sound signal in an inaudible frequency ban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제1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generates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Encod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device 200. At this time, the camera device 200 receive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제1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may transmit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camera device 200, and at this time, the camera device 200 ) may receiv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encod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output it.

여기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는 상기 제1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될 수 있다.Here, firs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may be further encoded in the sound sig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을 통해 무선단말 화면에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 화면에 상기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generates and stores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code image to be output on the wireless terminal screen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user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can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제2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generates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stores the generated code image in the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t this time,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code image and output the code image on the wireless terminal scree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제2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증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may transmit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at this time,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 a code image enco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output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무선단말 화면을 지정된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 촬영 범위를 지향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output an interface screen that directs the wireless terminal screen that outputs the code image toward the camera module shooting range of the designated camera device 200.

또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제2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de image may be further encoded with seco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이 인식되는지 확인하고,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reads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 whether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and if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und of the camera device 200. It can be processed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되는지 확인하고, 무선단말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is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reads the image information. Check whether the code image in the wireless terminal screen area is recognized, and if the code image in the wireless terminal screen area is recognized, generat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output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It can be process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355)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outputs a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through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and then outputs the unique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can be confirmed by reading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by communicating with the app 355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또한,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further encoded in the sound signal,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reads the sound signal to check the recognized first time information. You ca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reads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recognizes the sound signal. 1 You can receive an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provi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input from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read the received sound data to recogniz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코드생성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된 후,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outputs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15. After that,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recognized by communicating with the camera device 200 and reading the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You can check.

여기서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코드 이미지에 상기 제2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된 경우,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Here, when seco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further encoded in the code image,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can read the code image to confirm the recognized second time information.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제2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receiv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d in the video information can be read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encoded in the code image can be recogniz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reads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provides a recogniz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You can receive i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인증코드는 상기 제1 인증코드와 다른 코드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 인증코드와 제1 인증코드가 동일할 수 있음을 밝힌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preferably includes a code value different from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may be the same.

상기 상태 인증부(125)는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카메라장치(2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confi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the status authentication unit 125 compares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authenticate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user. The short-distance status of (300) and the camera device (200) can be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태 인증부(125)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시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1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ime information recognized by reading the sound signal is confirmed, the status authentication unit 125 compares the confirmed first time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time within a preset valid time. It can be authentic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태 인증부(125)는 상기 인증코드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제2 인증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2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카메라장치(2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confirm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0, the status authentication unit 125 compares the confirm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uthentication,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amera device 200 can be authenticat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태 인증부(125)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시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제2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ime information recognized by reading the code image is confirmed, the status authentication unit 125 compares the confirmed second time information with the current time within a preset valid time. It can be authenticated.

상기 전송 설정부(120)를 상기 상태 인증부(125)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과 카메라장치(2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 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amera device 200 is authenticated by 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through the status authentication unit 125, a photograph is taken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lternatively, a procedure can be performed to set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상기 전송 설정부(120)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정보와 고유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를 관계형으로 연계 저장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may link and store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in a relational mann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설정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영상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receiv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confirming access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the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Imag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상기 전송 설정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제공하기 위해 참조할 참조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참조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대응하는 주소정보,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이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refers to provid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You can check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be used and store it in conjunction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eference information is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that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is stored in the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It may include access code information for acces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설정부(1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면,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참조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실시간 저장되는 영상정보나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receiv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the connection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video information stored in real time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reference information or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video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app can be provid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한편, 상기 전송 설정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공유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를 입력받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D/B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mission setting unit 120 provides sharing of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from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other wireless terminal to be received can be input and received, and the received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linked with a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that has installed the designated app. Check whether the app is installed in anoth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if the app is installed in anoth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the image is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 procedure can be performed to enable video information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other wireless terminal.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카메라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device set up using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300)로 출력하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 내의 제2 인증코드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카메라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In more detail, Figure 2 is provided at a designated base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shown in Figure 1, and transmits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as shown in Figure 1. Shows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that outputs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captures a code image contain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with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provides it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s su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func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Figure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2.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제어부(205)와 메모리부(240)와 카메라모듈(210)과 구동모듈(215)과 사운드 입력부(220)와 사운드 출력부(225)와 근거리망 통신부(230)와 유선망 통신부(23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24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camera device 200 has a control unit 205, a memory unit 240, a camera module 210, a driving module 215, a sound input unit 220, and a sound output unit 225 at a short distance. It is provided with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wired network communication unit 235, and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245 including a battery for power supply.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그램(250)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05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camera device 200 and a bus ( can be connected via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5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camera device 2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performs calculations, and outpu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component through the bus. By transmitting it to the uni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can be controll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250 of the camera device 200,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will be illustrated and explained within the control unit 205.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그램(25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240 is a general term for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resources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5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used. Save and maintain the data set. The memory unit 240 basically contain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camera device 2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one application data set are stored, and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250 of the camera device 200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상기 카메라모듈(210)은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210)은 자동초점 기능 등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210 may be composed of an optical unit,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 camera module that drives the same, and can obtain bitmap data input to the CCD through the optical unit. The bitmap data may include both still image image data and video data.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210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and/or various filters (eg, IR filters, etc.) for an autofocus function.

상기 구동모듈(215)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구동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215 can drive the camera of the camera device 200 to move up/down/left/right.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 중 비트 열이 부호화된 사운드신호를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하되, 상기 사운드신호에 부호화된 비트 열을 판독 가능하게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5)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input unit 220 may be composed of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that drives the sound signal, and encode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ccording to specified encoding rules to the control unit 205. It can be delive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put unit 220 transmits a sound signal in which a bit string is encoded among the sound signal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 unit 205, and the bit string encoded i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5. It is desirable to encode the information in a readable mann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205.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225 may be composed of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that drives the speaker, and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among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205. It can be output through speaker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25.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1 인증코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수신된 제1 인증코드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received first authentication code can be encoded and output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25.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230)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30 is a general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10 m) and connects the camera device 2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is. , Preferably, the camera device 200 can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30 can connect the camera device 200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유선망 통신부(23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유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선망을 통해 운영서버(100)와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또는 소정의 케이블 통신포트(예컨대, 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을 제공하는 케이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d network communication unit 235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wired communica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wired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a network communication unit and/or providing communica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wired network. It may include a cable communication unit that provide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cable communication port (e.g., RS-232c, USB (Universal Serial Bus), etc.),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tocol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o provide communication in software. This may include communication applications.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그램(250)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사운드 인증정보 또는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255)와, 사운드 인증정보 또는 인증코드를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처리부(260)와, 무선단말의 화면에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265)와, 코드 이미지가 포함된 영상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전송부(2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program 250 of the camera device 200 includes a receiving unit 255 that receives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a sound output unit that transmit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authentication code. a processing unit 260 that outputs the image through a processing unit 260, a photographing unit 265 that photographs the code imag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and a transmission unit 270 that transmits video information including the code imag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It can be configured by providing.

상기 수신부(255)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제1 인증코드가 생성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hen a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the receiving unit 255 generates, The generat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또한, 상기 수신부(255)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제1 인증코드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receiving unit 255 may receive the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may include a sound signal in an inaudible frequency band.

상기 처리부(260)는 상기 수신부(255)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When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ncoded with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255, the processing unit 260 may output the receiv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상기 처리부(260)는 상기 수신부(255)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부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55, the processing unit 260 may encod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and output the encoded cod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may be further encoded with firs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상기 촬영부(26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When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output on the screen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photographing unit 265 can photograph the output code image.

상기 전송부(270)는 상기 촬영부(265)를 통해 촬영된 코드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270 may transmit image information including a cod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65 to the operation server 100.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설정을 위한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and an app for setting up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제2 인증코드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제공받아 출력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가 촬영하도록 하는 무선단말(300)의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300)에 설치되는 앱(35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Figure 3 shows that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utput from the camera device 200 shown in Figure 2 is input and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utput from the camera device 200 shown in Figure 2 is input and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2 Shows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receive a code image containing an authentication code, output it, and allow the camera device 200 to capture i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 355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300. As such,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Figure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ll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3.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Figure 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mobile phones, various smartphones, and various tablet PCs.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5)와 메모리부(350)와 화면 출력부(310)와 사용자 입력부(315)와 사운드 입력부(320)와 사운드 출력부(325)와 카메라부(330)와 무선망 통신부(335)와 근거리망 통신부(340)와 USIM 리더부(34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05, a memory unit 350, a screen output unit 310, a user input unit 315, a sound input unit 320, a sound output unit 325, and It is provided with a camera unit 330,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a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40, and a USIM reader unit 345, and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for power supply.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355)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3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305 is a general term for component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and each component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It can be connected via a bus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5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provid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performs calculations, and outputs the result to at least one component through the bus. By transmitting it to the uni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controll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 355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will be illustrated and explained within the control unit 305.

상기 메모리부(35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앱(35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350 is a general term for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resources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5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used. Data sets can be saved and maintained. The memory unit 350 basically contains system program code and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one application data set can be stored, and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app 355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350.

상기 화면 출력부(3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는 상기 화면 출력부(3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screen output unit 310 includes a screen output device (e.g., LCD (Liquid Crystal Display), etc.) and an output module that drives it, and is linked with the control unit 305 to produc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305.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middle screen output can b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310.

상기 사용자 입력부(31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315 includes one or more user input devices (e.g., buttons, keypads, touch pads, touch screens linked to the screen output unit 310, etc.) and an input module that drives them, and the control unit 305 ),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305 can be entered,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5 can be input.

상기 사운드 입력부(320)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320)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 중 비트 열이 부호화된 사운드신호를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하되, 상기 사운드신호에 부호화된 비트 열을 판독 가능하게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input unit 320 may be composed of a microphone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that drives the sound signal, and encode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ccording to specified encoding rules to the control unit 305. It can be delive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put unit 320 transmits a sound signal in which a bit string is encoded among the sound signal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 unit 305, and the bit string encoded in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5. It is desirable to encode the information in a readable manner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0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utput from the camera device 200 is input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320.

상기 사운드 출력부(325)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unit 325 may be composed of a speaker that outputs a sound signal and a driving module that drives the speaker, and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among various oper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305. It can be output through speakers.

상기 카메라부(330)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330)는 시선 방향의 피사체 중 지정된 화각 내의 피사체에 대한 광학 신호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3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품질을 보정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330 includes a camera lens, an image sensor, and a camera module that drives them, and an actuator for an autofocus function or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and/or various filters (e.g., IR filters, etc.). It further includes. Preferably, the camera unit 330 may receive an optical signal for a subject within a designated viewing angle among the subjects in the viewing direction through the camera lens, digitize it through an image sensor, generate image data,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305. , an autofocus function or an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the actuator, and the quality of the image data can be corrected through at least one filter.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와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35)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and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40 are general names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s 340.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30)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is a general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and includes an antenna, RF module, baseband module, and signal that transmit and receive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modul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5 to transmit calculation results correspond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305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 data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305, and simultaneously perform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0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an exchange, and in some cases, packet communication without via the exchange. It can be connected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wireless network-based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CDMA/WCDMA/LTE standards. Includes composition.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t least one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in accordance with the IEEE 802.16 related standard. It is clearly st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In other word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35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regardless of the frequency band of the wireless section or the type or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40 is a general term for communication resources that connects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as a communication medium within a certain distance (e.g., 10 m) and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is. ,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300 can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40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ata network that provides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ased on packet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USIM 리더부(345)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The USIM reader unit 345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that exchanges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mounted on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based on the ISO/IEC 7816 standard. As,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half-duplex communication through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45)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SIM is a SIM-type card equipped with an IC chip according to the ISO/IEC 7816 standard, an input/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unit 345,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and an IC chip memory that stores the data set, and is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to calculate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or extract (or process) the data set according to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transmits data to the input/output interface.

상기 무선단말(300)의 제어부(30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3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앱(3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3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300)과 앱(355)의 조합(또는 상기 앱(355)을 설치한 무선단말(300), 또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설치된 앱(3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과 앱(3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esignated app providing server (e.g., Apple's App Store, etc.)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the communication resource is accessible. You can perform the process of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app 355. Meanwhile, the app 355 downloaded and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run for the first time after installation (or run before information registration) by combin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app 355 (or installing the app 355).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device token, UUID, etc.) that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the app 355 installed on the wireless terminal 300 as a unique medium is generated or through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e allo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and the process of registering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ombin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app 355 as a unique medium can be performed o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상기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상기 앱(355)을 설치한 무선단말(3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app 35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performs a procedure to register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e.g., phone number, IMSI, IMEI, etc.)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link and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Meanwhile, the app 35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contain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nique ID (or member ID), name, Date of birth, etc.) can be registered, and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100 can link and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수신부(360)와,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인증코드 인식부(365)와,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하는 사운드신호 확인부(370)와, 상기 인증코드 또는 사운드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전송부(375)와, 운영서버(100)로부터 인증코드가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는 코드이미지 수신부(380)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장치(200)가 촬영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코드이미지 출력부(385)와, 상기 카메라장치(200)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3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app 35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sound receiver 360 that receives a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a sound receiver that recognizes the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An authentication code recognition unit 365, a sound signal confirmation unit 370 for check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and a transmission unit 375 for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code or sound data to the operation server 100. , a code image receiver 380 that receives a code image containing an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a code image output unit 385 that outputs the code image so that the camera device 200 can capture i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information receiver 390 that receiv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device 200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상기 사운드 수신부(36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출력된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When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the sound receiver 360 may receive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output first authentication code.

상기 인증코드 인식부(365)는 상기 사운드 수신부(36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sou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receiver 360, the authentication code recognition unit 365 can recogniz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received sound signal.

상기 사운드신호 확인부(370)는 상기 사운드 수신부(36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ou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ound receiver 360, the sound signal confirmation unit 370 can check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signal.

상기 전송부(375)는 상기 인증코드 인식부(365)를 통해 제1 인증코드가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신호 확인부(370)를 통해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확인되면, 상기 인식된 제1 인증코드 또는 상기 확인된 사운드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recogniz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code recognition unit 365 or the sound data is confirmed through the sound signal confirmation unit 370, the transmitting unit 375 generates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lternatively, the confirmed sound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상기 코드이미지 수신부(380)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 또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de image receiving unit 380 may receive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or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상기 코드이미지 출력부(385)는 상기 코드이미지 수신부(380)를 통해 제2 인증코드 또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화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code image output unit 385 may output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or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ode image receiver 380 through a screen output unit.

여기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제2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될 수 있다.Here, the code image may be further encoded with seco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390)는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 또는 상기 제2 인증코드 또는 상기 제1 인증코드와 제2 인증코드를 통해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3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390 connects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or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is authenticat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300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can be received.

도면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운영서버(100)에서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생성하여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에서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4 shows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an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When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camera device 200, the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mera device 200 is shown, and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f so,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Figure 4 (e.g.,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 can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4.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100)에서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3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한다(400).Referring to Figure 4, the operation server 100 is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and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200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re received from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DB, and a camera device provided at the base Camera device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device (200)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DB (400).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200)에 대한 설정이 개시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405)의 통신 연결을 확인한다(405).When settings for the camera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iti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onfirm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405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405).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운영서버(100)와의 통신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410).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is confirmed, the camera device 200 transmits image information captured o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operation server 100 (4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1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420).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415). Then, the operation server 100 reads the image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420).

만약,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한 결과,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 영역이 인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한다(425).If, as a result of read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recognized,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first signal to be encoded in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42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생성하고(430), 상기 생성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한다(435). Then,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43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amera device 200 (435). .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440), 상기 수신된 사운드 인증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445). The camera device 200 receive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440) and output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445).

도면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운영서버(100)에서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에서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5 shows that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camera device 200. This shows a process of enco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and outputting it in the camera device 200.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5. Thus, it may be possi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for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amera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ll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5.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과 같이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한다(500).Referring to Figure 5,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200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as in the process of Figure 4, the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The authent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camera device 200 (500).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고(505), 상기 수신된 제1 인증코드를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 하여 출력한다(510).The camera device 200 receiv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505), encodes the received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and outputs it (510).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가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제1 인증코드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제1 인증코드를 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와 비교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300)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6 shows that after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4 to 5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the operation server ( In 100),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sound signal is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provided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s an illustration of the proces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6 to receive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It may be possi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authentication process (for example,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is shown in Figure 6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가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면, 무선단말(300)은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확인한다(600).Referring to Figure 6, when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4 to 5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input of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camera device 200 is confirmed (600).

상기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하고(605), 상기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610).When the input of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confirmed, the wireless terminal 300 reads the sound signal, recogniz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605), and sends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operation server. Send to (100) (6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제1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615),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한다(620).The operation server 100 compares and authenticat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previously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615), and determines the short-distance state between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Authenticate (620).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한다(625).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aptures or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Video information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625).

도면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sound signal includ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가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와 비교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단말(300)을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7 shows that after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4 to 5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the operation server ( In 100),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is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by reading the provided sound data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amera device When the short distance state between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verifie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This shows the process of setting up to enable transmiss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7 to send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a wireless terminal ( 300),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recep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for example,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can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7.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4 내지 도면5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가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출력되면, 무선단말(300)은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확인한다(700).Referring to Figure 7, when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4 to 5 is output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input of a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from the camera device 200 is confirmed (700).

상기 제1 인증코드가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705).When the input of the sound signal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confirmed, the wireless terminal 300 transmit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ignal to the operation server 100 (7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하고(710), 상기 인식된 제1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715),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한다(720).The operation server 100 reads th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recogniz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710), and authenticates by comparing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with the previously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715),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720).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한다(725).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aptures or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Video information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725).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과 동시에 또는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 전 후에, 운영서버(100)에서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코드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8 shows the process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 of Figures 6 to 7 or before and after the process of Figures 6 to 7. 2 A process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ing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ting it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outputting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at the wireless terminal 300. As show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8 to output a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Although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can be inferred (for example,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s shown in Figure 8.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solely to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과 동시에 또는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 전 후에, 운영서버(100)는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다(800).Referring to Figure 8,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es of Figures 6 to 7 or before or after the processes of Figures 6 to 7,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second code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80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805),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300)로 전송한다(810).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80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de image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810).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코드 이미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출력한다(815).When the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a code image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it outputs the received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815).

도면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과 동시에 또는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 전 후에, 운영서버(100)에서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에서 상기 제2 인증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9 shows the process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at the same time as the process of Figures 6 to 7, or before and after the process of Figures 6 to 7. 2 A process of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cod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generating a code image enco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outputting it on the screen. As show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9 to output a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Although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can be inferred (for example,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is shown in Figure 9.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solely by the method of implementation.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과 동시에 또는 상기 도면6 내지 도면7의 과정 전 후에, 운영서버(100)는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다(900).Referring to Figure 9, simultaneously with the processes of Figures 6 to 7 or before or after the processes of Figures 6 to 7, the operation server 100 generates a second code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900).

상기 제2 인증코드가 생성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한다(905).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905).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제2 인증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2 인증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한다(910).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wireless terminal 300 generates a code image encoding the receiv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910).

그리고,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출력한다(915).Then, the wireless terminal 300 outputs the generated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915).

도면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8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한 제2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와 비교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10 shows that after the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8 to 9 is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operation server ( In 100), video information obtained by capturing the code image is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code image included in the video information is read and recognized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with a pre-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verified,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 300),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reate a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Figure 10. It may be possi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e.g.,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of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It is included,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10.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8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아미지가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되면,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다(1000).Referring to Figure 10, when the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8 to 9 is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camera device 200 The cod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photographed (1000).

그리고,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100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1010).Then, the camera device 20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operation server 100 (1005).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10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고(1015), 상기 판독된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제2 인증코드를 인식한다(1020).Then, the operation server 100 reads the code image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1015) and recogniz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encoded in the read code image (102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인식된 제2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1025),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한다(1030).The operation server 100 compares and authenticates the recogniz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with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1025), and authenticates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1030). .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한다(1035).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aptures or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Video information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1035).

도면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authenticating a code image includ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a camer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8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가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된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와 비교 인증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이미지를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ure 11 shows that after the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8 to 9 is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operation server ( At 100),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the receiv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compared and authenticat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are authenticated. When the short-distance state is authenticated, the process of setting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shown.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fer to and/or modify Figure 11 to receive and authenticate the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amera device 200. Although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can be inferred (for example, implementation methods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ure 11 The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to this alone.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8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운영서버(100)에서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아미지가 무선단말(300)을 통해 출력되면,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화면에 출력된 코드 이미지를 촬영한다(1100).Referring to Figure 11, when the code image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in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process of Figures 8 to 9 is output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camera device 200 The cod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photographed (1100).

그리고,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제2 인증코드를 인식한다(1105). Then, the camera device 200 read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1105).

상기 제2 인증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상기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1110).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2 인증코드와 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1115),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한다(1120).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recognized, the camera device 200 transmits the recogniz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the operation server 100 (1110). The operation server 100 compares and authenticat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camera device 200 with the pre-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1115), and determines the short-distance state between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Authenticate (1120).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무선단말(300)의 근거리 상태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한다(1125).When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authenticated, the operation server 100 captures or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200 and stores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Set so that vide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1125).

100 : 운영서버 105 : 관리정보 저장부
110 : 통신연결 확인부 115 : 코드생성 처리부
120 : 인증코드 확인부 125 : 상태 인증부
130 : 전송 설정부 135 : 관리D/B
140 : 저장매체
200 : 카메라장치 300 : 무선단말
100: Operation server 105: Manag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Communication connection confirmation unit 115: Code generation processing unit
120: Authentication code confirmation unit 125: Status authentication unit
130: Transmission setting unit 135: Management D/B
140: storage medium
200: Camera device 300: Wireless terminal

Claims (22)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 가능한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고,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고유 식별하는 카메라장치정보를 수신하여 관리D/B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카메라장치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을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카메라장치의 통신 연결 확인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제3 단계;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상기 확인된 제1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1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 인증 시,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In the method,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an operating server equipped with a sound input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camera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amera device installed at a designated base,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camera device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stores it in the management database, and uniquely identifies the camera device installed at the base. A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management D/B;
A second step of confi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 camer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When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camera device, generate and store a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include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 third step of processing to output a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A fourth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ound signal input to the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confirm the recogniz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 fif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confirm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first authentication code; and
When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us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is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including a sixth step of performing the proced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운드 인증정보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운드 인증정보를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is: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generating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a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It includes; transmitting the generated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camera device,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wherein the camera device receives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outputs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상기 카메라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장치는,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제1 인증코드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is:
When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It includes transmitt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the camera device,
The camera device receiv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encodes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nto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a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and outputs the encoded first authentication c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is: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ound signal in an inaudible frequency b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1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1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1,
The sound signal is further encoded with first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The fourth step further includes checking the recognized first time information by reading the sound signal,
The fif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paring the confirmed first tim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to verify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valid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1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step is: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by reading a sound signal input from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o a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제1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ourth step is:
Receiving sound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ignal input to a sound input unit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rom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reading the received sound data and recognizing a first authentication c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무선단말의 화면에 출력될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될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생성된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인증코드와 상기 저장된 제2 인증코드를 비교 인증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카메라장치의 근거리 상태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1,
The third step is to generate and store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a code image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o generate and store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encoded in the code image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on the screen,
The four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municating with the camera device and checking the recogniz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by reading the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Includes,
The fif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authenticating the short-distance state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by comparing and authenticating the confirm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tored second authentication code. How to set up a camera device using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2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코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ird step is: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generating a code image enco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de image to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code image and outputs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생성한 경우,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증코드를 부호화한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무선단말의 화면에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ird step is:
Whe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generated,
It includes transmitt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o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generates a code image encoding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and outputs the code image on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How to set up a camera device using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은,
상기 코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무선단말의 화면을 지정된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 촬영 범위를 지향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is: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n interface screen that guides the screen of the wireless terminal that outputs the code image to the camera module shooting range of the designated camera device.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이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8,
It further includes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third step is,
Reading the imag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and
Whe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generat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or processing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How to set up a camera device.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가 인식된 경우 상기 제1 인증코드를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제1 인증코드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 or 8,
It further includes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third step is,
reading the video inform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code image with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and
Generat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when a code image in the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s recognized or processing the previously generated first authentication code to be output through a sound output unit of the camera device. How to set up a camera device using a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이미지는, 상기 제2 인증코드의 생성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시간정보가 더 부호화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제2 시간정보와 현재 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효시간 이내인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code image is further encoded with second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time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The fourth step further includes checking the recognized second time information by reading the code image,
The fif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comparing the confirmed second tim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time to verify whether it is within a preset valid tim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에 포함된 무선단말의 화면 영역 내의 코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이미지에 부호화된 제2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ourth step is,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reading a code image within a screen area of the wireless terminal included in the video information and recogniz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encoded in the code ima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판독하여 인식된 제2 인증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ourth step is: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second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by read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from the camera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코드는,
상기 제1 인증코드와 다른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authentication code is: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de value different from the first authentication c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정보와 고유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카메라장치정보를 관계형으로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xth step is:
A camera device setting method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linking and storing at least one of user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nd the camera device information in a relational manner.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영상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18,
It further includes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confirming access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video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mong the video information stored in the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is transferred to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it as an ap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기 위해 참조할 참조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xth step is:
In order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o an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reference information to be referenced is confirmed and stored in conjunction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의 접속 확인 시, 상기 참조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실시간 저장되는 영상정보나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을 통해 요청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20,
It further includes recei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through a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ing it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When confirming access to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is stored in real time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storage medium based on the reference information or video requested through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A method of setting up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information to an app on the user's wireless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공유 제공받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를 입력받아 수신하는 단계;
무선단말에 지정된 앱을 설치한 사용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관리D/B와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단말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무선단말에 상기 앱이 설치된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 내지 수신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상기 다른 무선단말의 앱으로 전송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을 이용한 카메라장치 설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1,
Receiv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other wireless terminal that will share video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a designated storage medium from the app of the user's wireless terminal. receiving;
Checking whether the app is installed in anoth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by linking with a management DB that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on who has installed the specified app in the wireless terminal; and
If the app is installed in another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or received through the camera module of the camera device and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area of the designated storage medium can be transmitted to the app of the other wireless terminal. A method of setting a camera device using a wireless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setting procedure.
KR1020180106228A 2018-09-06 2018-09-06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KR102645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28A KR102645451B1 (en) 2018-09-06 2018-09-06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28A KR102645451B1 (en) 2018-09-06 2018-09-06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14A KR20200028514A (en) 2020-03-17
KR102645451B1 true KR102645451B1 (en) 2024-03-12

Family

ID=7000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228A KR102645451B1 (en) 2018-09-06 2018-09-06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45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024A (en) 2002-11-14 2004-06-10 Hitachi Ltd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08245304A (en) 2008-04-24 2008-10-09 Nikon Corp Setting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information processor
JP2018056986A (en) 2016-09-26 2018-04-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imaging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024A (en) 2002-11-14 2004-06-10 Hitachi Ltd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2008245304A (en) 2008-04-24 2008-10-09 Nikon Corp Setting method of digital camera and information processor
JP2018056986A (en) 2016-09-26 2018-04-0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system and server for imaging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14A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3715B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 and equipm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98200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KR100784971B1 (en) Upgrade system and method using remote control between portable terminal
KR20160003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FILE DOWNLOAD FOR eUICC
CN106717042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ubscription profile on a mobile terminal
KR102645447B1 (en) Method for Registering Camera Device
CN110784908B (en) Wireless network distribution method, wireless router and wireless network distribution system
CN104618987B (en) Access the method and device of network
EP26582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service
KR102645451B1 (en) Method for Setting-up Camera Device by Using Mobile Device
KR20120089388A (en) Method for Requesting Caller Authentication of Voice Network using Data Network, Caller Device and Program
KR102172855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er Type One Time Code for Medium Separation by using User’s Handheld type Medium
KR102645462B1 (en) Method for Providing Moving Picture Summary
KR102645453B1 (en) Camera Device with Projector
KR101828684B1 (en) Method for Automating Login Coupled with Medium
KR102529725B1 (en) Method for Soothing Crying Baby by Using Camera Device
KR20210080701A (en) Method for Soothing Crying Pet by Using Camera Device
KR102195456B1 (en)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by Using Facial Recognition
CN105407518B (en) Equipment networking method and device
KR1014521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Video Contents
CN114844974B (en) Method for sharing address book, mobile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28535A (en) Camera Device with Function of Projection
KR20200028533A (en) Camera Device with Function of Projection
KR101592070B1 (en) Method for Security Relaying by using Code Image
KR20200028531A (en) Camera Device with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