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28B1 - 암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암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28B1
KR102645428B1 KR1020197034121A KR20197034121A KR102645428B1 KR 102645428 B1 KR102645428 B1 KR 102645428B1 KR 1020197034121 A KR1020197034121 A KR 1020197034121A KR 20197034121 A KR20197034121 A KR 20197034121A KR 102645428 B1 KR102645428 B1 KR 102645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male
connector
tapered surfa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819A (ko
Inventor
야스마사 우에하라
가즈히코 다키모토
준지 우키타
게이타 가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20000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bonding obtained by vulcanisation, gluing, melt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33Swivel nut connectors, e.g. threaded connectors, bayonet-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44Verifying the connection, e.g. audible feedback, tactile feedback, visual feedback, using external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83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a plurality of female connectors, e.g. Lu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4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having complementary physical shapes for indexing or regi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암형 커넥터(1)는 암형 부재(1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1)의 내주면은, 제1 영역(11)과, 제1 영역(11)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제2 영역(12)을 포함한다. 제1 영역(11)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다. 제2 영역(12)은, 그 내경이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이다.

Description

암형 커넥터
본 발명은, 암형 테이퍼면을 구비한 암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유연한 튜브 등을 이용하여, 액상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유로(회로라고 불리기도 한다)가 형성된다. 다른 부재를 접속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접속구가 이용된다. 이러한 접속구로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사이로부터의 액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수형 커넥터의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커넥터의 암형 테이퍼면을 끼워맞추는(테이퍼 끼워맞춤) 접속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수형 테이퍼면은, 통형상의 수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경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진다. 암형 테이퍼면은, 통형상의 암형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경은,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진다.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테이퍼면은, 직경 및 테이퍼 각도가 일치한다. 이 때문에,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테이퍼면은 면접촉하여, 양자 사이에 시일이 형성된다.
테이퍼 끼워맞춤을 구성하는 수형 테이퍼면 및 암형 테이퍼면에 관해 치수(예를 들면 직경)가 다른 복수의 규격이 존재한다. 의료 현장에서는, 액상물의 투여 부위(예를 들면 정맥, 소화관, 기관 등)마다 규격이 다른 접속구(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다른 유로를 구성하는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를 잘못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수형 테이퍼면 및 암형 테이퍼면의 각 규격에서는, 각 부의 치수에 관해, 공칭값과, 공칭값에 대한 허용 범위가 정해져 있다. 제조업자는, 이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제조한다. 이 때문에, 서로 적합하도록 제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여도, 실제로 이들을 접속하면,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테이퍼면이 항상 넓은 영역에서 면접촉한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수형 테이퍼면이, 암형 테이퍼면의 선단측(대경측)의 일부만 또는 기단측(소경측)의 일부에만 끼워맞춰지는 것과 같은 사태(본 발명에서는, 이들 「편측 접촉」이라고 한다)가 일어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2-075495호 공보
테이퍼 끼워맞춤 방식의 접속구에서는,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 내에 강하게 삽입하면 할수록, 수형 테이퍼면과 암형 테이퍼면 사이의 시일성은 향상된다. 이 때, 암형 부재는 수형 부재로부터 확경(擴徑)되는 힘을 받는다.
암형 부재의 선단측 부분은, 그 기단측 부분에 비해 강도가 낮다. 이 때문에, 수형 테이퍼면이 암형 테이퍼면의 선단측의 일부에만 끼워맞춰지는 경우에,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 내에 너무 강하게 삽입하면, 암형 부재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질 재료로 구성된다. 암형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서, 암형 부재를 포함하는 암형 커넥터의 전체를, 높은 인성을 갖는(즉, 끈기 있는) 재료(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암형 커넥터의 재료의 변경은, 제조 방법의 변경이 필요해지며, 또 고비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암형 테이퍼면을 구비한 암형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본래 접속해야 할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보다 큰 수형 부재를 갖는 수형 커넥터를 잘못 암형 커넥터에 접속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의 암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암형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다. 상기 제2 영역은, 그 내경이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암형 커넥터에서는, 상기 제1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제1 암형 테이퍼면이다. 상기 제2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제2 암형 테이퍼면이다. 상기 제2 암형 테이퍼면은, 상기 제1 암형 테이퍼면보다 작은 테이퍼 각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수형 커넥터의 수형 부재를, 항상, 암형 부재의 제1 영역에 끼워맞출 수 있다. 제1 영역은,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암형 부재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암형 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암형 부재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이, 원통면 또는 제1 암형 테이퍼면보다 작은 테이퍼 각도를 갖는 제2 암형 테이퍼면이므로, 암형 부재의 선단측의 개구직경은 과대하게 커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래 접속해야 할 수형 부재보다 큰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잘못 접속해 버린다는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에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수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수형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D는, 수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A~도 2D에 나타낸 수형 커넥터에 설치된 수형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암형 커넥터에 설치된 암형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4에 나타낸 수형 부재와,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암형 부재가, 이상적인 테이퍼 끼워맞춤을 형성하여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공칭값에서 벗어난 치수를 갖는 도 4에 나타낸 수형 부재와, 도 5에 나타낸 종래의 암형 부재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에 설치된 암형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4에 나타낸 수형 부재와, 도 7A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에 설치된 암형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4에 나타낸 수형 부재와, 도 8A에 나타낸 비교예에 따른 암형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암형 커넥터에 설치된 암형 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인접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의 구성을 간단화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암형 커넥터는, 막대형의 수형 부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어도 된다.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수형 부재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제1 영역에서 시일이 형성되므로, 암형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액체 및 기체의 누설 없이 접속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내주면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상대적으로 저강도인 암형 부재의 선단측 부분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은, 그 외경이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형 테이퍼면보다 큰 테이퍼 각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제1 영역에 대해 수형 테이퍼면이 끼워맞춰지는 영역이 비교적 좁아지므로, 암형 부재와 수형 부재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수형 부재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수형 커넥터에 맞닿도록 구성된 맞닿음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작업자가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를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삽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암형 부재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을 더욱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암형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암형 커넥터가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와 나사식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의 접속을 강고하게 하고, 또, 암형 부재와 수형 부재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에 강하게 나사식 결합시켜도, 암형 부재가 손상될 가능성은 낮다.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에 상기 수형 커넥터에 형성된 지표와 일치하는 지표가, 상기 암형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는, 작업자가 암형 커넥터에 수형 커넥터를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나사식 결합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암형 부재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을 더욱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 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추가하거나 혹은, 도면에 나타난 임의의 부재를 변경 혹은 생략하거나 해도 된다.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인용하는 도면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형태에서 인용한 도면에 나타난 부재에 대응하는 부재에는, 당해 선행하는 실시형태의 도면에서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러한 부재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되어 있으며, 선행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을 적절히 참작해야 한다.
(실시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암형 커넥터(1)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암형 커넥터(1)의 측면도, 도 1D는 암형 커넥터(1)의 정면도이다. 도 1B에 있어서, 일점 쇄선 1a는, 암형 커넥터(1)의 중심축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심축(1a)에 평행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상」 및 「하」는, 도 1A~도 1D에 의거하여 정의한다. 단, 「상」 및 「하」는, 암형 커넥터 조립체(1)의 실제의 사용 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중심축(1a)에 수직인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 중심축(1a)에 직교하는 방향을 「반경 방향」또는 「경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1a)의 둘레를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암형 커넥터(1)는, 일단에 암형 부재(끼워맞춤통)(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접속통(20)을 구비한다. 암형 부재(10)와 접속통(20)은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암형 부재(10)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암형 부재(10)의 내주면은, 형상이 다른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을 포함한다(도 1B 참조).
제1 영역(11)은, 그 내경이, 암형 부재(10)의 선단(도 1B에 있어서 상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형 테이퍼면)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 1의 제1 영역(11)의 내주면을 「암형 테이퍼면(11)」이라고 한다. 암형 테이퍼면(11)의 테이퍼 각도는 임의이지만, 예를 들면 6% 테이퍼여도 된다.
제2 영역(12)은, 암형 테이퍼면(11)에 대해 선단측에 인접한다. 제2 영역(12)은, 그 내경이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으로서, 그 내경은, 암형 테이퍼면(11)의 최대 내경(암형 테이퍼면(11)의 선단측 끝에서의 내경)과 일치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 1의 제2 영역(12)의 내주면을 「원통면(12)」이라고 한다.
암형 커넥터(1)는, 암형 테이퍼면(11)보다 기단측(접속통(20)측)에, 암형 테이퍼면(11)의 최소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경부(13)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10)의 외주면은, 외경이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15)을 포함한다. 원통면(15)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6)는, 중심축(1a)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즉, 현권선(弦卷線))을 따라 연장된 나선형 돌기(수형 나사)이다. 단, 본 발명에서는, 돌기(16)는, 나선이 아니라,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돌기(16)를 생략해도 된다.
접속통(20)도, 전체적으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고 있다. 접속통(20)은, 소경부(13)를 통해 암형 부재(10)와 연통되어 있다. 접속통(20)에, 유연한 튜브(도시 생략)가 삽입된다. 튜브는 접속통(20)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튜브는, 액상물(예를 들면 혈액, 약액, 영양제 등)을 흐르게 하는 유로를 구성한다.
접속통(20)의 외주면은, 대략 원통면이다. 한 쌍의 그립편(28)이, 접속통(20)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그립편(28)의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중공의 대략 「U」자형상이다. 한 쌍의 그립편(28)과, 그 사이의 접속통(20)이,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를 구성한다. 그립부는,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인 사각기둥체이다. 수평 방향을 따른 당해 단면 형상의 길이 방향을, 그립부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 방향, 즉, 한 쌍의 그립편(28)이 대향하는 방향이, 그립부의 길이 방향이다. 그립부는, 작업자가 암형 커넥터(1)를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립부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 1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이다. 예를 들면, 그립편(28)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얇은 판형상물이어도 된다. 그립부가 2개의 그립편(28)과 그 사이의 접속통(20)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그립부가,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인 중공의 사각기둥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그립부는, 접속통(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그립편(28)을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접속통(20)의 외주면을 예를 들면 다각기둥면(사각기둥면, 육각기둥면 등)으로 형성하고, 이를 그립부로 해도 된다.
암형 커넥터(1)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지만,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도가 700MPa 이상인 재료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경질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1)는,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하나의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1)는, 암형 부재(10)와 끼워맞춰지는 수형 부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에 접속된다. 수형 커넥터의 일례를 도 2A~도 2D에 나타낸다. 도 2A는 수형 커넥터(100)의 사시도, 도 2B는 수형 커넥터(100)의 단면도, 도 2C는 수형 커넥터(100)의 측면도, 도 2D는 수형 커넥터(100)의 정면도이다. 수형 커넥터(100)는, 일단에 막대형의 수형 부재(끼워맞춤통)(110)를 구비하고, 타단에 접속통(120)을 구비한다.
수형 부재(110)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유로(114)가, 수형 부재(110)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있다. 수형 부재(110)의 외주면은, 그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수형 테이퍼면)(111)을 포함한다. 원통형상의 외통(115)이 수형 부재(110)를 둘러싸고 있다. 외통(115)의 수형 부재(110)에 대향하는 내주면에는 암형 나사(116)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통(115) 및 암형 나사(116)를 생략해도 된다.
접속통(120)도, 전체적으로 중공의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접속통(120)은, 수형 부재(110)와 같은 축에 배치되어, 유로(114)와 연통되고 있다. 접속통(120)에, 유연한 튜브(도시 생략)가 삽입된다. 튜브는 접속통(120)의 내주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접속통(120)의 외주면은, 대략 원통면이다. 암형 커넥터(1)의 그립편(28)과 동일하게, 한 쌍의 그립편(128)이, 접속통(120)의 외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그립편(128)의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중공의 대략 「U」자형상이다. 한 쌍의 그립편(128)과, 그 사이의 접속통(120)이, 수형 커넥터(100)의 「그립부」를 구성한다. 그립부는,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장방형인 사각기둥체이다. 수평 방향을 따른 당해 단면 형상의 길이 방향을, 그립부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상기 대략 장방형의 장변 방향, 즉, 한 쌍의 그립편(128)이 대향하는 방향이, 그립부의 길이 방향이다. 그립부는, 작업자가 수형 커넥터(100)를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수형 커넥터(100)의 그립부는, 본 실시형태 1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와 동일하게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100)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지만, 외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기계적 강도(강성)를 갖는 단단한 재료(경질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암형 커넥터(1)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 재료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수형 커넥터(100)의 재료는, 암형 커넥터(1)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수형 커넥터(100)는, 상기의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전체를 하나의 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A는, 암형 커넥터(1)에 수형 커넥터(100)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그 단면도이다.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100)는,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10)에 삽입하고, 또한, 돌기(16)와 암형 나사(116)를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 접속된다. 돌기(16)와 암형 나사(116)의 나사식 결합은,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100)의 접속을 강고하게 하고, 또, 암형 부재(10)와 수형 부재(110)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와 테이퍼 끼워맞춤되는 종래의 암형 부재는, 수형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긴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커넥터(1)는, 암형 부재(10)의 내주면에, 암형 테이퍼면(11) 및 원통면(12)을 구비함으로써, 이 과제가 해소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커넥터(1)의 작용을, 종래의 암형 커넥터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수형 커넥터(100)에 설치된 수형 부재(11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형 테이퍼면(111)의 테이퍼 각도는, 실제보다 과장되어 있다. 또,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외통(115) 및 암형 나사(116)(도 2B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테이퍼면(111)의 최소 외경(수형 테이퍼면(111)의 선단측 끝에서의 외경)은 φDm1, 최소 외경 φDm1을 갖는 지점(地點)으로부터 중심축을 따라 기단측으로 길이 Lm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수형 테이퍼면(111)의 외경은 φDm2(φDm2>φDm1)이다. 직경 φDm1, φDm2 및 길이 Lm은, 수형 커넥터(100)에 관한 규격의 공칭값이다.
도 5는, 수형 커넥터(100)에 적합한, 종래의 암형 커넥터(900)에 설치된 암형 부재(910)의 확대 단면도이다. 종래의 암형 부재(910)의 내주면에는, 그 내경이, 암형 부재(910)의 선단(도 5에 있어서 상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형 테이퍼면)(911)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911)은, 암형 부재(910)의 선단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커넥터(1)의 암형 부재(10)에는 설치되어 있었던 원통면(12)은, 암형 부재(91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테이퍼면(911)의 최대 내경(암형 부재(910)의 개구단에서의 내경)은 φDf91(φDf91>φDm1), 암형 테이퍼면(911)의 최소 내경(암형 테이퍼면(911)의 소경부(13)측 끝에서의 내경)은 φDf92(φDf92<φDf91, φDf92<φDm1), 암형 테이퍼면(911)의 중심축을 따른 길이(최대 내경 φDf91을 갖는 지점으로부터 최소 내경 φDf92를 갖는 지점까지의 중심축을 따른 거리)는 Lf9이다. 암형 테이퍼면(911)의 테이퍼 각도는 수형 테이퍼면(111)(도 4 참조)의 테이퍼 각도와 일치한다. 직경 φDf91, φDf92 및 길이 Lf9는, 암형 커넥터(900)에 관한 규격의 공칭값이다. 도 5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암형 테이퍼면(911)의 테이퍼 각도는, 실제보다 과장되어 있다. 또,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원통면(15)에 형성된 돌기(16)(도 1A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6A는, 수형 부재(110)(도 4 참조)와 암형 부재(910)(도 5 참조)가, 이상적인 테이퍼 끼워맞춤을 형성하여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형 부재(110)의 수형 테이퍼면(111)과 암형 부재(910)의 암형 테이퍼면(911)이, 영역 A9에서 면접촉하고 있다. 영역 A9는, 수형 테이퍼면(111)이 최소 외경 φDm1을 갖는 지점으로부터, 암형 테이퍼면(911)이 최대 내경 φDf91을 갖는 지점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110) 및 암형 부재(910)의 각 규격에서는, 수형 테이퍼면(111)의 각 부의 치수, 및, 암형 테이퍼면(911)의 각 부의 치수에 관해, 공칭값과, 공칭값에 대한 허용 범위가 정해져 있다. 의료 현장에서는, 허용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수를 갖는 수형 커넥터(100)와, 허용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수를 갖는 암형 커넥터(900)가 접속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00)와 암형 커넥터(900)의 조합에 의해서는, 수형 테이퍼면(111)과 암형 테이퍼면(911)이, 항상 도 6A와 같이 이상적인 테이퍼 끼워맞춤을 형성한다고는 할 수 없다.
도 6B는 공칭값에서 벗어난 치수를 갖는 수형 커넥터(100)와 암형 커넥터(900)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의 수형 테이퍼면(111)의 외경은, 도 4에 나타낸 외경의 공칭값(φDm1, φDm2)보다 약간 크다. 즉, 수형 테이퍼면(111)은, 허용된 치수의 범위 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도 6B에서는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910)에 대해, 도 6A 정도로 깊게 삽입할 수 없다. 수형 테이퍼면(111)은, 암형 테이퍼면(911)의 선단 근방의 비교적 좁은 영역 Ae에서, 암형 테이퍼면(911)과 끼워맞춰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6B와 같이, 수형 테이퍼면(111)이 암형 테이퍼면(911)의 선단측의 일부에만 끼워맞춰지는 상태를 「선단측 편측 접촉」이라고 한다.
수형 테이퍼면(111)과 암형 테이퍼면(911)을 끼워맞추는 테이퍼 끼워맞춤 방식의 접속구에서는,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910) 내에 강하게 삽입하면 할수록, 수형 테이퍼면(111)과 암형 테이퍼면(911) 사이의 시일성은 향상된다. 도 6B와 같은 선단측 편측 접촉 상태에서는, 수형 부재(110)의 암형 부재(910)에 대한 삽입 깊이가 얕기 때문에, 작업자는,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910)에 더욱 깊게 삽입하려고 강하게 밀어넣을 가능성이 높다. 선단측 편측 접촉 상태로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910) 내에 너무 강하게 삽입하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 Ae에 있어서 암형 부재(910)는 수형 부재(110)로부터 확경되는 힘을 받는다. 암형 부재(910)의 선단측의 부분은, 암형 부재(910)의 개구에 가깝고, 또, 두께가 얇기 때문에, 암형 부재(910)의 기단측의 부분에 비해 강도가 낮다. 따라서, 암형 부재(9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도 6B에 나타낸 선단측 편측 접촉 상태는, 예를 들면, 암형 테이퍼면(911)의 최대 내경 및 최소 내경이, 허용된 치수의 범위 내에 있어서, 그들 공칭값(φDf91, φDf92, 도 5 참조)보다 작은 경우에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도 7A는, 수형 커넥터(100)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암형 커넥터(1)에 설치된 암형 부재(1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암형 테이퍼면(11)의 테이퍼 각도는, 실제보다 과장되어 있다. 또,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원통면(15)에 형성된 돌기(16)(도 1A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테이퍼면(11)의 최대 내경(원통부(12)측 끝에서의 내경)은 φDf1(φDf1>φDm1), 암형 테이퍼면(11)의 최소 내경(암형 테이퍼면(11)의 소경부(13)측 끝에서의 내경)은 φDf2(φDf2<φDf1, φDf2<φDm1), 암형 테이퍼면(11)의 중심축을 따른 길이(최대 내경 φDf1을 갖는 지점으로부터 최소 내경 φDf2를 갖는 지점까지의 중심축을 따른 거리)는 Lf1(Lf1<Lf9)이다. 원통면(12)의 내경은 φDf1이며, 이는 중심축(도 1B의 중심축(1a))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원통면(12)의 중심축을 따른 길이는 Lf2이다. 본 예에서는, 암형 테이퍼면(11)의 길이 Lf1과 원통면(12)의 길이 Lf2의 합은, 종래의 암형 테이퍼면(911)의 길이 Lf9(도 5 참조)와 일치한다(Lf1+Lf2=Lf9). 직경 φDf1, φDf2 및 길이 Lf1, Lf2는, 암형 커넥터(1)에 관한 규격의 공칭값이다. 암형 테이퍼면(11)의 직경 φDf1, φDf2 및 길이 Lf1은, 암형 테이퍼면(11)의 테이퍼 각도가 종래의 암형 테이퍼면(911)(도 5 참조)의 테이퍼 각도보다 커지도록, 또한, 수형 테이퍼면(111)(도 4 참조)의 테이퍼 각도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직경 φDf1 및 원통면(12)의 길이는 Lf2는, 암형 부재(10)에 수형 부재(110)를 접속했을 때에(후술하는 도 7B 참조), 수형 테이퍼면(111)이 원통면(12)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도 7B는, 수형 부재(110)(도 4 참조)와 암형 부재(10)(도 7A 참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테이퍼면(111)의 선단 부분(최소 외경 φDm1을 갖는 부분 및 그 근방의 영역, 도 4 참조)이, 영역 A1에서 암형 테이퍼면(11)과 끼워맞춰져 있다. 영역 A1에 있어서,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 사이에 시일이 형성된다. 영역 A1은, 도 6A의 영역 A9보다 좁다. 이 때문에, 영역 A1에서의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 사이의 접촉 압력은 높아진다. 이는,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 사이의 시일성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영역 A1에서는, 수형 테이퍼면(111) 및/또는 암형 테이퍼면(11)이 국소적으로 변형되어 있어도 된다.
수형 테이퍼면(111)은, 암형 테이퍼면(11)과 끼워맞춰진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수형 테이퍼면(111)의 각 부의 치수 및 암형 테이퍼면(11)의 각 부의 치수가, 허용된 치수의 범위 내에 있어서 그들 공칭값에서 벗어나면, 수형 테이퍼면(111)과 암형 테이퍼면(11)의 끼워맞춤 영역 A1의 중심축(도 1B의 중심축(1a)) 방향의 위치와 중심축 방향의 치수가 변화한다. 그러나, 수형 테이퍼면(111)은, 반드시 암형 테이퍼면(11)과 끼워맞춰지고, 원통면(12)과 끼워맞춰지는 일은 없다. 즉, 영역 A1는, 항상, 암형 부재(10)의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기단측에 위치한다. 도 7B를 도 6B와 비교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암형 부재(10)와 수형 부재(100)가, 도 6B와 같은 선단측 편측 접촉 상태로 끼워맞춰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10) 내에 강하게 삽입했다고 해도, 암형 부재(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은 낮다.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암형 부재(810)의 확대 단면도이다. 암형 부재(810)의 내주면에는, 단일 암형 테이퍼면(811)이 형성되어 있다. 암형 테이퍼면(811)의 테이퍼 각도는, 도 7A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테이퍼면(11)의 테이퍼 각도와 동일하다. 즉, 암형 테이퍼면(811)은,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부재(10)(도 7A 참조)에 있어서, 암형 테이퍼면(11)을 원통면(12)(도 8A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의 영역으로도 연장한 것에 상당한다. 암형 테이퍼면(811)의 최대 내경(암형 부재(810)의 개구단에서의 내경)은 φDf81(φDf81>φDf1), 암형 테이퍼면(811)의 최소 내경(암형 테이퍼면(811)의 소경부(13)측 끝에서의 내경)은 φDf82(φDf82=φDf2, φDf82<φDm1)이다. 암형 테이퍼면(811)의 중심축을 따른 길이(최대 내경 φDf81을 갖는 지점으로부터 최소 내경 φDf82를 갖는 지점까지의 중심축을 따른 거리)는 Lf8(Lf8=Lf1+Lf2)이다.
도 8B는, 수형 부재(110)(도 4 참조)와 암형 부재(810)(도 8A 참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와 동일하게, 수형 테이퍼면(911)의 선단 부분이, 영역 A1에서 암형 테이퍼면(811)과 끼워맞춰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부재(10)와 동일하게,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810) 내에 강하게 삽입했다고 해도, 암형 부재(8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은 낮다.
암형 부재(810)는,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부재(10)의 선단측 개구직경 φDf1(도 7A 참조)보다 큰 선단측 개구직경 φDf81을 갖는다(도 8A 참조). 따라서, 암형 부재(810)에는, 암형 부재(810)에 접속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는 수형 부재(110)보다 큰 외경을 갖는 다른 수형 부재(제2 수형 부재)를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암형 부재(810)에 대해 제2 수형 부재를 액밀하게 끼워맞출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 현장에서는, 액상물의 투여 부위(예를 들면 정맥, 소화관, 기관 등)마다, 규격(예를 들면 직경)이 다른 접속구(이것은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로 구성된다)가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선단측에 큰 개구직경 φDf81을 갖는 암형 부재(810)는, 본래 접속해야 할 수형 부재(110)가 아닌 다른 제2 수형 부재를 접속해 버린다는 오접속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부재(10)의 내주면에는, 암형 테이퍼면(11)보다 선단측에 원통면(12)이 설치되어 있다(도 7A 참조). 이 때문에, 암형 부재(10)의 선단측의 개구직경은 과대하게 커지지 않는다. 이는, 상기의 오접속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고, 암형 부재(810)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커넥터(1)와 수형 커넥터(100)의 접속은,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영역 A1에서 끼워맞춰질(도 7B 참조) 때까지 돌기(16)를 암형 나사(116)에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써(도 3B 참조) 달성된다.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졌을 때,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길이 방향(즉, 한 쌍의 그립편(28)이 대향하는 방향)과 수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길이 방향(즉, 한 쌍의 그립편(128)이 대향하는 방향)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방향과 수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방향이 일치할 때까지 암형 커넥터(1)에 대해 수형 커넥터(100)를 회전시키면,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졌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돌기(16)를 암혐 나사(116)에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나사식 결합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암형 부재(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암형 테이퍼면(11) 및 수형 테이퍼면(111)의 각 부의 치수가 그 허용 범위 내에서 변화하면, 영역 A1의 중심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고, 이 때문에, 암형 나사(116)에 대한 돌기(16)의 삽입 깊이가 변화한다. 이는,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졌을 때의,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에 대한 수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회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킨다.
암형 테이퍼면(11)(도 7A 참조)의 테이퍼 각도는, 종래의 암형 테이퍼면(911)(도 5 참조)의 테이퍼 각도보다 크기 때문에, 암형 나사(116)에 대한 돌기(16)의 상기 삽입 깊이의 변화는, 본 실시형태 1의 암형 커넥터(1)는 종래의 암형 커넥터(900)에 비해 작다. 이 때문에, 암형 테이퍼면(11) 및 수형 테이퍼면(111)의 각 부의 치수가 그 허용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달라도,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졌을 때의, 암형 커넥터(1)에 대한 수형 커넥터(100)의 회전 방향의 위치 어긋남량은 작다. 환언하면,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의 끼워맞춤과, 암형 커넥터(1)에 대한 수형 커넥터(100)의 회전 방향의 위치는, 높은 상관을 갖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암형 커넥터(1)의 그립부의 방향과 수형 커넥터(100)의 그립부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암형 커넥터(1)에 대해 수형 커넥터(1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항상, 암형 테이퍼면(11)에 수형 테이퍼면(111)이 적정하게 끼워맞춰지고, 암형 커넥터(1)에 수형 커넥터(100)가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삽입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이 관점에서도, 본 실시형태 1은, 암형 부재(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을 저감하는데 유리하다.
(실시형태 2)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암형 커넥터(2)에 설치된 암형 부재(210)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서는, 암형 부재(10)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제2 영역(12)이 원통면이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제2 영역(212)은, 그 내경이, 암형 부재(210)의 선단(도 9에 있어서 상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테이퍼면(이른바 암형 테이퍼면)이다. 제1 영역(11)의 암형 테이퍼면을 「제1 암형 테이퍼면(11)」이라고 부르고, 제2 영역(212)의 암형 테이퍼면을 「제2 암형 테이퍼면(212)」이라고 불러, 양자를 구별한다. 제2 암형 테이퍼면(212)은, 제1 암형 테이퍼면(11)보다 작은 테이퍼 각도를 갖고 있다. 제2 암형 테이퍼면(212)의 최소 내경(제2 암형 테이퍼면(212)의 제1 암형 테이퍼면(11)측 끝에서의 내경)은 φDf1이며, 이것은, 제1 암형 테이퍼면(11)의 최대 내경과 일치한다. 제2 암형 테이퍼면(212)의 최대 내경(암형 부재(210)의 개구단에서의 내경)은 φDf3(φDf3>φDm1, φDf3>φDf1)이다.
본 실시형태 2의 암형 부재(210)에 수형 부재(110)(도 4 참조)을 접속했을 때, 실시형태 1의 암형 부재(10)의 경우(도 7B 참조)와 동일하게, 수형 테이퍼면(111)은, 반드시 제1 암형 테이퍼면(11)과 끼워맞춰지고, 제2 암형 테이퍼면(212)과 끼워맞춰지는 일은 없다.
암형 부재(210)의 선단측의 개구직경 φDf3은, 도 8A에 나타낸 비교예에 따른 암형 부재(810)의 선단측의 개구직경 φDf81보다 작다. 따라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암형 부재(210)에, 본래 접속해야 할 수형 부재(110)가 아닌 다른 제2 수형 부재를 접속해 버린다는 오접속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저감된다. 단, 오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본 실시형태 2보다 실시형태 1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 2는, 제2 영역(212)이 암형 테이퍼면이므로, 제2 영역(12)이 원통면인 실시형태 1에 비해, 암형 커넥터를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암형 부재(210)의 금형으로부터의 분리(이른바 금형 빠짐성)가 양호하다.
본 실시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형태 2에도 적용된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암형 커넥터에, 제1 영역과 수형 부재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형 커넥터에 맞닿도록 구성된 맞닿음부가 설치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암형 커넥터(3)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암형 커넥터(3)의 단면도이다. 암형 커넥터(3)는, 상기 맞닿음부로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환상의 돌기(18)를 구비한다. 돌기(18)는, 암형 부재(10)의 기단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원판형의 플랜지(17)로부터, 위쪽을 향해(즉, 암형 부재(10)와 같은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18)의 높이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암형 커넥터(3)는 수형 커넥터(100)에 접속된다.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는(도 7B 참조) 것과 거의 동시에, 돌기(18)의 정상부(18a)가 수형 커넥터(100)의 외통(115)의 정상부(115a)(도 2A, 도 2B 참조)에 중심축(1a) 방향으로 맞닿는다. 돌기(118)가 외통(115)에 맞닿으면, 수형 부재(110)를 암형 부재(10)에 더욱 깊게 삽입할 수는 없다. 이는, 암형 부재(10)에 크랙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을 더욱 저감시킨다.
본 실시형태의 맞닿음부(돌기(18))는, 암형 커넥터에 대한 수형 커넥터의 나사식 결합 깊이의 지표(예를 들면 그립부)가 암형 커넥터 및/또는 수형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에 서로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식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를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삽입해 버려 암형 부재를 손상시켜 버린다는 가능성을 저감시킨다.
맞닿음부의 구성은,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돌기(18)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맞닿음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된 돌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둘레 방향으로 비연속인 복수 또는 단일 돌기여도 된다. 맞닿음부는, 수형 커넥터를 향해 돌출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플랜지(17)의 상면을,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수형 커넥터의 외통(115)의 정상부(115a)(도 2A, 도 2B 참조)에 맞닿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플랜지(17)의 상면이 맞닿음부로서 기능한다.
도 10A, 도 10B에서는, 맞닿음부(돌기(18))는, 암형 부재(10)에 대해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맞닿음부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맞닿음부를, 수형 커넥터(100)의 수형 부재(110)의 기단과 외통(115)을 연결하는 원환상의 플랜지(117)(도 2B 참조)에 맞닿도록, 암형 부재(10)의 선단에 설치해도 된다. 혹은, 맞닿음부를, 수형 부재(110)의 선단에 맞닿도록, 암형 부재(10)의 내주면의, 소경부(13) 또는 그 근방의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 3은,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의 설명이 본 실시형태 3에도 적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맞닿음부를, 실시형태 2의 암형 커넥터(2)에 적용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1~3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 1~3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 1~3에서는,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서로 인접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성되었지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사이에, 이들과 형상이 다른 제3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제3 영역이, 그 내경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3 영역의 암형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는, 제1 영역의 암형 테이퍼면의 테이퍼 각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제3 영역이, 그 내경이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이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 1~3에서는,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를 접속했을 때, 수형 부재는, 암형 부재의 내주면 중 제1 영역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내주면 중 제1 영역 이외의 부분이, 이들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로 접촉해도 된다. 시일이 형성되지 않을 정도의 접촉은, 암형 부재를 손상시킬 정도로 접촉 압력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의 실시형태 1~3에서는, 암형 부재에, 수형 테이퍼면(111)을 갖는 수형 부재(110)를 접속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의 암형 부재에는, 이 이외의 임의의 수형 부재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경이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인 외주면을 갖는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수형 부재는 암형 부재의 제1 영역에 끼워맞춰진다.
상기의 실시형태 1~3에서는,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 모두가 유사한 형상의 그립부를 가지며,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졌을 때, 암형 커넥터의 그립부(특히 그립편(28)) 및 수형 커넥터의 그립(특히 그립편(128))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암형 테이퍼면(11)과 수형 테이퍼면(111)이 끼워맞춰진 것을 나타내는 지표는, 그립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지표는, 예를 들면 암형 커넥터 및 수형 커넥터의 각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임의 형상의 안표(예를 들면, 점, 선, 원,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여도 된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의, 암형 부재의 내주면 이외의 구성은 임의이다.
본 발명의 암형 커넥터는, 의료 분야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품이나 화학 분야는 물론, 이들 이외의 각종 기계 등에 있어서, 유체가 흐르는 유로(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암형 커넥터를 흐르는 유체는 제한은 없고, 액체 및 기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이용 분야는 제한은 없지만, 암형 부재에 수형 부재를 끼워넣어 양자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접속구로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각종 액체가 흐르는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구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암형 커넥터 10, 210: 암형 부재
11: 제1 영역(암형 테이퍼면) 12: 제2 영역(원통면)
16: 암형 부재의 돌기 18: 돌기(맞닿음부)
28: 그립편(지표)
15: 암형 부재의 외주면(원통면) 100: 수형 커넥터
110: 수형 부재 111: 수형 테이퍼면
116: 암형 나사(나사식 결합 구조) 128: 그립편(지표)
212: 제2 영역(암형 테이퍼면)

Claims (9)

  1. 중공의 원통형상의 암형 부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로서,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암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제2 영역은, 그 내경이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통면이고,
    상기 암형 커넥터는, 막대형의 수형 부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은, 그 외경이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형 테이퍼면보다 큰 테이퍼 각도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수형 부재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내주면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2. 중공의 원통형상의 암형 부재를 구비한 암형 커넥터로서,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선단측에 배치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제1 암형 테이퍼면이고,
    상기 제2 영역은, 그 내경이 상기 암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커지는 제2 암형 테이퍼면이며,
    상기 제2 암형 테이퍼면은, 상기 제1 암형 테이퍼면보다 작은 테이퍼 각도를 갖고,
    상기 암형 커넥터는, 막대형의 수형 부재를 구비한 수형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수형 부재의 외주면은, 그 외경이 상기 수형 부재의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는 수형 테이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형 테이퍼면보다 큰 테이퍼 각도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수형 부재의 상기 수형 테이퍼면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형 부재의 상기 수형 테이퍼면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인접하고 있는, 암형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상기 내주면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수형 부재의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상기 수형 부재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수형 커넥터에 맞닿도록 구성된 맞닿음부를 더 구비하는, 암형 커넥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의 외주면에, 상기 암형 커넥터가 접속되는 수형 커넥터와 나사식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암형 커넥터에 상기 수형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에 상기 수형 커넥터에 형성된 지표와 일치하는 지표가, 상기 암형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8. 삭제
  9. 삭제
KR1020197034121A 2017-05-30 2018-05-28 암형 커넥터 KR102645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6946A JP6946749B2 (ja) 2017-05-30 2017-05-30 メスコネクタ
JPJP-P-2017-106946 2017-05-30
PCT/JP2018/020302 WO2018221441A1 (ja) 2017-05-30 2018-05-28 メス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19A KR20200004819A (ko) 2020-01-14
KR102645428B1 true KR102645428B1 (ko) 2024-03-08

Family

ID=6445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121A KR102645428B1 (ko) 2017-05-30 2018-05-28 암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78578A1 (ko)
EP (1) EP3632501A4 (ko)
JP (1) JP6946749B2 (ko)
KR (1) KR102645428B1 (ko)
CN (1) CN110678221B (ko)
WO (1) WO2018221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675A (en) * 2017-11-21 2019-05-29 Medical Device Creations Ltd An improved fluid line connector device
WO2020194565A1 (ja) * 2019-03-27 2020-10-01 テルモ株式会社 メスシリンジ用バレル及びメスシリンジ組立体
WO2022076908A2 (en) 2020-10-09 2022-04-14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JPWO2022091502A1 (ko) * 2020-10-29 2022-05-05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1758A1 (en) * 2013-03-15 2014-09-18 Medrad, Inc. Connector Assembly for Syrin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5470B (sv) * 1981-06-23 1988-07-18 Terumo Corp Koppling for ihopkoppling av tva slangar for medicinskt, terapeutiskt bruk
US4801160A (en) * 1981-09-17 1989-01-31 Michael J. Caddell High-pressure fluid flow connector
SE453887B (sv) * 1982-03-09 1988-03-14 Terumo Corp Anordning for overforing av medicinsk losning samt anslutningsorgan i sadan anordning
US5423579A (en) * 1983-01-17 1995-06-13 Hydril Company Tubular coupling with metal to metal seal
WO1989006553A2 (en) * 1988-01-25 1989-07-27 Baxter International Inc. Pre-slit injection site and tapered cannula
US5389086A (en) * 1992-07-06 1995-02-14 Sterling Winthrop Inc. Safety cannula
US5984373A (en) * 1998-03-12 1999-11-16 Elcam Plastic Kibbutz Bar-Am Luer connector
JP4273971B2 (ja) * 2004-01-07 2009-06-03 ニプロ株式会社 メスコネクタ
US7347458B2 (en) * 2005-01-14 2008-03-25 C. R. Bard, Inc. Locking luer fitting
JP5464403B2 (ja) * 2009-03-31 2014-04-09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ライン接続具
JP2012075495A (ja) 2010-09-30 2012-04-19 Jms Co Ltd 医療用メスコネクタ
FR3017687B1 (fr) * 2014-02-14 2016-09-09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bague de verrouillage.
JP6468678B2 (ja) * 2015-04-02 2019-02-13 光陽産業株式会社 医療用接続構造
WO2017011641A1 (en) * 2015-07-14 2017-01-19 Neomed, Inc. Dosing control coupling for enteral fluid transf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1758A1 (en) * 2013-03-15 2014-09-18 Medrad, Inc. Connector Assembly for Syrin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201600A (ja) 2018-12-27
KR20200004819A (ko) 2020-01-14
CN110678221B (zh) 2022-07-08
WO2018221441A1 (ja) 2018-12-06
JP6946749B2 (ja) 2021-10-06
EP3632501A1 (en) 2020-04-08
EP3632501A4 (en) 2020-11-25
US20200078578A1 (en) 2020-03-12
CN110678221A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428B1 (ko) 암형 커넥터
US8708376B2 (en) Medium connector
US1053200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mployed with enteral systems
US20080284167A1 (en) Low-volume fittings
US20130090606A1 (en) Syringe tip
US9399098B2 (en) Flushing medical devices
CN204521989U (zh) 一种转接器和药物输送设备
KR102588907B1 (ko) 약물 전달 장치에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JP6240313B2 (ja) 対向するかえしを備えたねじ連結のための機械的摩擦強化構造
US20110071504A1 (en) Connection device for medical tubing
US11957863B2 (en) Luer having microbore tubing retention pocket bond with axial spline
US20220339422A1 (en) Luer having tubing retention pocket bond
US20130079754A1 (en) Connection system
US11027110B2 (en) Medical connector
US20130069365A1 (en) Tapered Bore Connector
JP2017148444A (ja) 医療用コネクタ
US20210106804A1 (en) Keyed fluid line connectors and methods
US9220883B2 (en) Medical connector
JP3134238U (ja) メスコネクター
JP6834120B2 (ja) 医療用コネクタ
JP5821701B2 (ja) 誤接続防止機能を有する流路接続装置、栄養剤容器及び送液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