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787B1 -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787B1
KR102642787B1 KR1020230012473A KR20230012473A KR102642787B1 KR 102642787 B1 KR102642787 B1 KR 102642787B1 KR 1020230012473 A KR1020230012473 A KR 1020230012473A KR 20230012473 A KR20230012473 A KR 20230012473A KR 102642787 B1 KR102642787 B1 KR 10264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bot
floor
control serv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이승용
서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엇
Priority to KR1020230012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2Dual arm manipulator; Coordination of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G05D1/0297Fleet control by controlling means in a control 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ROBOT FOR MOVING BETWEEN FLOORS}
본 발명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심부름 서비스, 배송 서비스, 청소 서비스, 안내 서비스 등의 수행(대행)을 목적으로 한 자율 주행형 서비스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건물 내의 위치 및 장소에 제한됨이 없이 전술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로봇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여 자율적으로 층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연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이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23268호 (2015년 5월 20일 등록) 한국특허공개 제10-2022-0161705호 (2022년 12월 7일 공개) 한국특허공개 제10-2022-0169667호 (2022년 12월 28일 공개)
본 발명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으로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에 의하면,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연동하여 층간 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하차 상황에서의 안정성 및 효율성 확립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전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자율 주행 로봇(100)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된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간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와 자율 주행 로봇(100) 간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으며, 자율 주행 로봇(100)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간은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 등)을 통해 통신 연동될 수 있다.
자율 주행 로봇(100)은, 통신부(110)(예를 들어, LTE/5G 등의 무선통신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 센서부(120); 맵 저장부(130); 자율 주행부(140); 제어부(150); 출력부(160)(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 음성/음향 출력 모듈 등); 메모리(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맵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주행환경지도에 의해 설정된 주행경로를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며, 이러한 자율 주행 과정에서 센서부(120)를 통한 장애물 감지 및 회피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센서부(120)로는 LiDAR 센서, IMU 센서, IR(Infrared)센서,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와 연동한 층간 이동을 위해,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로 무선 전송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며, 통신부(210)(이 역시, 유무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음); 승강기 제어부(220); 층 감지 모듈(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기 제어부(220)는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여기서, 층 감지 모듈(230)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과 독립적으로 분리 설치되되,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과 데이터 연동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310); 정보 처리부(330); 운용 관제부(340); 데이터베이스(3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층간 이동을 수행할 운용 로봇을 등록 관리하기 위한 로봇 등록부(320)도 포함할 수 있다.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을 위한 승차 프로세스]
도 2는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층간 이동을 위한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와 연동한 층간 이동을 위해,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로 무선 전송한다[도 2의 S110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자율 주행 로봇(100)은, 맵 저장부(130)에 저장된 주행환경지도 상에서 상기 출발층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의 좌표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른 출발층 및 도착층 정보에 상응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에 설치된 실외 컨트롤보드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출발층 버튼선택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한다[도 2의 S120 참조].
예를 들어, 설정된 출발층이 3층이고 도착층이 10층인 경우, 그 3층의 엘리베이터의 실외 컨트롤보드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 중 업(up) 버튼이 선택되도록 하는 출발층 버튼선택신호가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된다.
이후,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획득하고[도 2의 S130 참조], 여유공간 관련정보가 자율 주행 로봇(10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출발층 버튼선택신호에 따라 해당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이 선택된 이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승강 방향이 상기 출발층으로부터 상기 도착층을 향하는 승강 방향과 일치하면서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일 예로, 3층에서 10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데,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올라오는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기 이전의 사전 지정된 근접 시점 또는 상기 출발층 이전의 직전층에 도달한 이후의 소정 시점에(위 예에 의할 때, 엘리베이터가 2층에서 출발한 시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실내 상방에 설치된 영상 촬영 장치(예를 들어, CCTV 등)로부터 획득된 실내영상을 기준으로 한 영상분석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실내 지면 면적 중 사람 및 물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한다[도 2의 S131 참조].
이후,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도 2의 S133 참조], 상기 출발층 도착 시점의 전후의 소정 시점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으로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에 탑재된 통신 모듈을 통해서 브로드캐스팅되도록 한다[도 2의 S135 참조].
이때, 최소 승차여유면적은, 시스템 설계 방식에 따라 운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나, 운용 로봇의 승차시의 점유면적을 상회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로봇의 승차 과정에서의 사람과의 충돌 문제 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 엘리베이터 내의 여유공간 관련정보를 수신함으로써[도 2의 S140 참조], 수신된 여유공간 관련정보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도 2의 S150 참조].
이하, 여유공간 관련정보 및 이에 따른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프로세스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로서, 상기 출발층과 동일한 층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컨트롤보드를 통해 선택되지 않은 경우(즉, 로봇의 출발층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탑승자의 도착층에 해당되지 않은 케이스),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불가 메시지가 자율 주행 로봇(10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승차불가 메시지가 자율 주행 로봇(100)에 전달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에 설치된 실외 컨트롤보드에 의해 선택되었던 엘리베이터 호출 버튼을 해제하는 출발층 버튼선택 해제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을 무정차 통과하도록 하는 통과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을 통과한 이후 상기 출발층 버튼선택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로 재전송한다.
제2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이지만, 상기 출발층과 동일한 층 버튼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컨트롤보드를 통해 도착층으로 선택된 상태에 있는 경우(즉, 로봇의 출발층이 엘리베이터를 탑승한 누군가의 도착층에 해당하는 케이스),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대기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차대기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하차 인원에 따라 변동된 비점유 면적을 영상분석을 통해서 재계산하고, 재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의 비교 결과에 따른 여유공간 관련정보가 자율 주행 로봇(100)에 재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여유공간 관련정보로서 승차준비 메시지가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이 사전 지정된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사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로봇의 승차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에 탑재된 음성출력장치를 통해서,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상기 출발층 도착 시점 전후 및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 시점 전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로봇 승차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다음층에 로봇이 승차함을 안내 등) 및 로봇 진입 협조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도어 개방시 로봇 진입을 위한 진입로 확보를 요청함 등)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4 케이스로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승차준비 메시지에는 승차여유면적정보를 포함하여 자율 주행 로봇(1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승차여유면적정보가 포함된 승차준비 메시지사 수신됨에 따라, 상기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으로부터 전방의 엘리베이터 도어를 잇는 엘리베이터 승차 진입로 사이에 선행하여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인원수를 상기 센서부(120)를 통한 객체 추정(예를 들어, LiDAR 기반의 형체 추정 또는 카메라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등)을 통해서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점유될 것으로 예측되는 승차점유면적을 사전 지정된 기준(예를 들어, 대기 인원수 당 지정된 단위점유면적을 곱함)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점유면적을 상기 승차여유면적정보에서 뺀 잔여면적과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엘리베이터 승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비교 결과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진입불가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운용 지연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잔여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라도, 상기 추정된 승차 대기 인원수에 따라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는 엘리베이터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지정된 기준(예를 들어, 대기 인원수 당 지정된 단위소요시간을 곱함)에 따라 계산하고, 계산된 승차소요시간을 사전 설정된 승차요구시간에서 뺀 잔여시간이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에 소요되는 안전 승차소요시간 미만인 경우(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승차요구시간이 40초이고, 계산된 대기 인원의 승차소요시간이 12초(총 4명, 1명당 3초)이며, 로봇의 안전 승차소요시간이 30초인 경우), 진입보류 메시지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안전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승차요구시간은, 도어 개방 버튼을 다시 누르지 않았을 때를 가정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개방된 이후 도어가 닫힘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의 도어 개폐 간격(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승차요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및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율 주행 로봇(1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승차요구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카운팅을 함으로써, 안전 승차 가능여부에 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할 수도 있다.
[로봇전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층간 이동 프로세스]
도 3은 도 1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율 주행 로봇(100)에 의한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에 의해 선택된 호출 엘리베이터가 로봇전용 엘리베이터인 경우의 로봇 승차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에서,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관한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기초하여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하차 프로세스를 실행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로봇전용 엘리베이터 호출 케이스에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는,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호출된 이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승강 방향이 자율 주행 로봇(100)의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을 향하는 목표 승강 방향과 일치하면서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준비를 위한 승차 준비 메시지를 로봇 관제 서버(즉, 층간 이동 로봇들의 운용 상황을 통합 관제하는 서버) 또는 자율 주행 로봇(100)으로 전송한다[도 3의 S210 참조].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로봇 관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승차 준비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차 준비 메시지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를 층간 이동에 이용하기 위해 승차 중인 로봇 및 승차 대기 중인 로봇에 관한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승차 프로세스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도 3의 S230 참조]. 이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방식에 의할 때, 자율 주행 로봇(100)은,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의 하차층 정보, 승차 대기 중인 로봇의 승차층/하차층 정보, 로봇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로봇(100)은,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 탑승수를 산출하고[도 3의 S221 참조],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자율 주행 로봇(100)은,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라도, 상기 로봇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확인되는 로봇별 단위점유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계산한 후[도 3의 S223 참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지면 면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함으로써[도 3의 S225 참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사전 지정된 승차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방식에 의할 때, 상술한 제1 방식과 유사한 정보 처리가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즉,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의 하차층 정보, 승차 대기 중인 로봇의 승차층/하차층 정보, 로봇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 탑승수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불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달리,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로봇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확인되는 로봇별 단위점유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계산한 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지면 면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불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허용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출발층에, 상기 목표 승강 방향이 일치하는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이 승차 대기 중인 경우, 상기 비점유 면적과 상기 출발층의 승차 대기 자율 주행 로봇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간점유예정면적 간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층에 승차 대기 중인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 중 일부 로봇만이 승차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전송 시점의 선후에 따라 선행되는 로봇에만 상기 승차 허용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300)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출발층에 승차 대기 중인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 중, 상기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차가 허용된 로봇의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승차 허용된 복수의 로봇 각각의 도착층 정보에 기초할 때, 도착층이 먼 로봇일수록 상기 출발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먼저 승차되도록 하는 승차 안내 메시지를 상기 승차 허용된 복수의 로봇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층 선택, 승하강 및 도어 개폐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 및 건물 내에 설치된 각각의 엘리베이터의 운용에 관한 통합 관제를 수행하는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와 자율 주행 로봇 간의 통신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기저장된 주행환경지도에 의해 설정된 주행경로에 따라 자율 주행하는 자율 주행부; 장애물 회피를 위해 상기 주행경로 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센서부; 출발층 정보 및 도착층 정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모듈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주행환경지도 상에서 상기 출발층에 대응하여 사전 설정된 엘리베이터 승차 대기 지점의 좌표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선택된 호출 엘리베이터가 로봇전용 엘리베이터인 경우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관한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기초하여 기설정된 엘리베이터 승하차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는,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호출된 이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승강 방향이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출발층으로부터 도착층을 향하는 목표 승강 방향과 일치하면서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승차 준비를 위한 승차 준비 메시지를 로봇 관제 서버 또는 상기 자율 주행 로봇으로 전송하고,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은,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로봇 관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승차 준비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승차 준비 메시지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를 층간 이동에 이용하기 위해 승차 중인 로봇 및 승차 대기 중인 로봇에 관한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승차 프로세스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의 하차층 정보, 승차 대기 중인 로봇의 승차층/하차층 정보, 로봇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 탑승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승차 준비 프로세스를 실행하되,
    상기 로봇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확인되는 로봇별 단위점유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계산한 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지면 면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함으로써,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에 한하여 사전 지정된 승차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의 하차층 정보, 승차 대기 중인 로봇의 승차층/하차층 정보, 로봇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로봇 이용현황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가 상기 출발층에 도착하는 시점에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에 승차 중인 로봇 탑승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불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가 사전 설정된 최대 승차허용 로봇 탑승수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상기 로봇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확인되는 로봇별 단위점유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산출된 로봇 탑승수에 따른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계산한 후, 상기 호출 엘리베이터의 실내 지면 면적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공간점유면적을 뺀 비점유 면적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점유 면적과 상기 자율 주행 로봇의 엘리베이터 승차시 요구되는 최소 승차여유면적 간을 비교하여,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미만인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불가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비점유 면적이 상기 최소 승차여유면적 이상인 경우 상기 자율 주행 로봇에 승차 허용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출발층에, 상기 목표 승강 방향이 일치하는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이 승차 대기 중인 경우, 상기 비점유 면적과 상기 출발층의 승차 대기 자율 주행 로봇에 의한 엘리베이터 공간점유예정면적 간을 비교하여,
    상기 출발층에 승차 대기 중인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 중 일부 로봇만이 승차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호출 신호의 전송 시점의 선후에 따라 선행되는 로봇에만 상기 승차 허용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운용 관제 서버 또는 상기 로봇 관제 서버는,
    상기 출발층에 승차 대기 중인 복수의 자율 주행 로봇 중, 상기 출발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승차가 허용된 로봇의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승차 허용된 복수의 로봇 각각의 도착층 정보에 기초할 때, 도착층이 먼 로봇일수록 상기 출발층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먼저 승차되도록 하는 승차 안내 메시지를 상기 승차 허용된 복수의 로봇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주행 로봇의 층간 이동 운용 시스템.
KR1020230012473A 2023-01-31 2023-01-31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KR10264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473A KR102642787B1 (ko) 2023-01-31 2023-01-31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473A KR102642787B1 (ko) 2023-01-31 2023-01-31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787B1 true KR102642787B1 (ko) 2024-03-05

Family

ID=9029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473A KR102642787B1 (ko) 2023-01-31 2023-01-31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78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68B1 (ko) 2013-07-30 2015-05-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층간이동을 위한 모바일 로봇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로봇 시스템
WO2018066057A1 (ja) * 2016-10-04 2018-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自律移動体制御装置
JP2020109039A (ja) * 2019-01-07 2020-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10019341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케이티 엘리베이터 승하차를 위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1066605A (ja) * 2019-10-25 2021-04-30 ネイバーラボ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ボット搭乗のための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2083144A (ja) * 2020-11-24 2022-06-0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20220122961A (ko) * 2020-07-15 2022-09-0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승하차의 안전과 효율을 담보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
JP7168112B2 (ja) * 2020-03-06 2022-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設備サーバ、機器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220161705A (ko) 2021-05-31 2022-12-07 정자영 자율주행로봇의 층간 이동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169667A (ko) 2021-06-21 2022-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268B1 (ko) 2013-07-30 2015-05-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층간이동을 위한 모바일 로봇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로봇 시스템
WO2018066057A1 (ja) * 2016-10-04 2018-04-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自律移動体制御装置
JP2020109039A (ja) * 2019-01-07 2020-07-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20210019341A (ko) * 2019-08-12 2021-02-22 주식회사 케이티 엘리베이터 승하차를 위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1066605A (ja) * 2019-10-25 2021-04-30 ネイバーラボ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ボット搭乗のための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168112B2 (ja) * 2020-03-06 2022-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設備サーバ、機器サーバ、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220122961A (ko) * 2020-07-15 2022-09-05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로봇의 승하차의 안전과 효율을 담보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건물
JP2022083144A (ja) * 2020-11-24 2022-06-0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20220161705A (ko) 2021-05-31 2022-12-07 정자영 자율주행로봇의 층간 이동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169667A (ko) 2021-06-21 2022-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976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自律ロボットの制御方法
CN110476133B (zh) 地图管理装置和自主移动体控制装置
EP3635707B1 (en) Parking objects detection system
KR101287699B1 (ko) 자율 이동 장치 동승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23145B1 (ko) 자율주행 차량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20170057781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bridge
JP7490868B2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US20090120727A1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20135234A (ja) 迎車管理装置、迎車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077630A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a hall and car call for an elevator system
US20200363802A1 (en) Autonomous moving body, control program of autonomous moving body, method of controlling autonomous moving body, and system serv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oving body from remote place
JP201105732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20200298880A1 (en) Self-driving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self-driving vehicle
EP3889090B1 (en) Inferred elevator car assignments based on proximity of potential passengers
US2022021566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558767B1 (ko) 로봇 친화형 건물
KR102303422B1 (ko) 자율성 극대화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자율성 제공 서버
KR102642787B1 (ko)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KR101947570B1 (ko) 사용자 맞춤 동작을 수행하는 승강 시스템
KR102636608B1 (ko)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KR102642782B1 (ko)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KR102640758B1 (ko) 층간 이동 자율 주행 로봇 운용 시스템
US20220308556A1 (en) Delivery robot and notification method
JP200322647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21079736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