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023B1 -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023B1
KR102642023B1 KR1020210087283A KR20210087283A KR102642023B1 KR 102642023 B1 KR102642023 B1 KR 102642023B1 KR 1020210087283 A KR1020210087283 A KR 1020210087283A KR 20210087283 A KR20210087283 A KR 20210087283A KR 102642023 B1 KR102642023 B1 KR 102642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ubject
module
medical diagnostic
bio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3705A (ko
Inventor
조양현
류규하
Original Assignee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62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03119A1/ko
Publication of KR2022006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ard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내에서나 야외에서 다양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확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영이 제거된 무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융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진단함으로써, 다양한 질병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건강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들이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생체신호 및 정보의 융합과 관리, 정보처리(데이터 가공)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료분야 및 진단분야, 진단용 장치 분야, 휴대용 의료기기 분야, 가정용 의료기기 분야, IoT기반의 의료기기 분야, 원격 진료 분야, 비대면 진료 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Portable medical diagnosis device and disease diagnosis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내에서나 야외에서 다양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확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음영이 제거된 무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융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진단함으로써, 다양한 질병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인해 자신의 신체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지역의 병원을 방문하여 의료전문가에게 진단을 받고, 그에 따른 치료와 처방을 받게 된다.
그러나 여행이나 출장 등을 목적으로 거주지역이 아닌 타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가족단위의 여행 중에는 어린아이들이 질병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 등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질병에 대한 진단은 주로 의사에 의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비의료인인 일반인의 경우에는 현재 몸상태가 질병에 의한 것인지 일시적인 것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타지역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병원을 찾는 것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원격진료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 병원과 떨어진 원격지에 특정 장비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여행이나 출장 등을 목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4370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의료기기를 야외에서 휴대하도록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한 후, 응급 치료가 필요한 환자정보를 주변의 의료시설로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진단기기 박스의 구성은 각각의 의료기기를 단순히 배치한 구성한 것이며, 환자에 대한 진단은 의료진이 해야 하므로, 비의료인인 일반인이 진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선행기술은 의료 전문가들만이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명확한 기술이며, 그 구성 또한 박스 내부에 의료기기를 배치한 정도로 단순히 조합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한편, 당뇨병이나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을 가진 환우들의 경우, 자신의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의료기기, 예를 들어 혈당측정기기나 혈압측정기기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의료기기들은 혈당이나 혈압과 같이 어느 하나의 생체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상에 제약이나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4370호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나 야외에서 다양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확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영이 제거된 무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융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진단함으로써, 다양한 질병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자(예를 들어, 환자)의 질환이나 병원 진료기록을 토대로, 필요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대상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는, 대상자의 특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의료용 진단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의 제어에 의해 측정방식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해당 대상자의 환부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부촬영모듈은, 무영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해당 대상자의 환부를 비추어 음영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병원서버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 해당 대상자의 질환, 병원 진료기록 및 원격지서버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LED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LED의 휘도를 조절하여, 해당 대상자의 환부에 대한 최적화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해당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밀착여부를 확인하는 압전센서; 해당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소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압전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의 거리 및 피부밀착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해당 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소리의 패턴을 분석하여, 호흡소리를 포함하는 기본생체소리 및 기침소리를 포함하는 질병생체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진단모?쩜?,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그립부를 형성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그립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와 더불어,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매칭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형태로 구성되며,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병원 진료기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서 싱크노드(Sink node)로 동작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노드(Sensor node)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은, 상기 의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의 의료용 진단모듈이 싱크노드(Sink node)로 동작되고,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센서노드(Sensor node)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IoT를 이용한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 기반의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가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단계; 및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이 상기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대상자의 질병을 진단하는 질병진단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계 이전에,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이 상기 센서노드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의 매칭여부를 확인한 후, 매칭된 센서노드의 설정정보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디바이스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계는, 등록된 연동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등록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제1 연동디바이이스 등록과정;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진단다비이스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제2 연동디바이스 등록과정;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연동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개인용 진단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질병별 필요생체신호의 대체생체신호로 설정하는 대체신호 설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병진단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를 확인하는 기본생체신호 확인과정;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확인하는 필요생체신호 확인과정; 및 상기 기본생체신호와 필요생체신호를 매칭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융합생체데이터 생성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병진단단계는,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측정이 시작되면, 해당 대상자의 신체 중 진단하고자 하는 질병에 요구되는 기준위치를 안내하는 기준위치 안내과정; 현재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과정; 및 생체신호 측정모듈이 기준위치로 이동하면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이동을 확인하면서, 측정이 필요한 위치를 순차적으로 안내하고, 측정위치별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의 센서노드에는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질병진단단계 이후에, 상기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별와 각각 연동하여, 해당 구성원들에 대한 질병이력데이터의 관리를 각각 수행하는 구성원별 질병이력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는 병원서버 및 보험사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병진단단계 이후에, 각 구성원별 질병이력데이터를 병원용 데이터 및 보험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필요시 해당 원격지서버로 전송하는 질병이력데이터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나 야외에서 다양한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도록 함으로써,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확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영이 제거된 무영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체공학적 설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불편함과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융합하고 이를 분석하여 진단함으로써, 다양한 질병들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자(예를 들어, 환자)의 질환이나 병원 진료기록을 토대로, 필요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대상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모듈들이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생체신호 및 정보의 융합과 관리, 정보처리(데이터 가공)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질환이나 병원 진료기록을 토대로,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최적화된 데이터(생체신호 및 영상 등)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대상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되어 구성된 생체신호 측정모듈과 더불어, 혈압측정기기, 당뇨측정기기, 심전도측정기기 등과 같은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들을 IoT기반으로 연동함으로써, 특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모듈이 없더라도 진단디바이스들을 이용하여 해당 생체신호를 획득하거나 해당 생체신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한정된 자원(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개인용 진단디바이스)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이로센서와 같은 위치확인센서를 이용하여, 의료용 진단모듈이나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위치를 감지하고, 해당 질환이나 병원 진료기록 등에 의해 요구되는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의료인인 일반인이라도 정확한 위치에서 생체신호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획득된 생체신호들을 병원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질병이력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시 의료전문가에게 비대면 원격진료를 받거나 의료전문가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보험사서버와 연계하여 해당 질병에 대한 보험처리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인 환우회 등에서 활용하여 환우들 간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환우들의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의료분야 및 진단분야, 진단용 장치 분야, 휴대용 의료기기 분야, 가정용 의료기기 분야, IoT기반의 의료기기 분야, 원격 진료 분야, 비대면 진료 분야 등은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단계 'S2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사용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및 의료용 진단모듈(200)을 포함한다.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대상자(환자)의 특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 의료용 진단모듈(200)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시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호흡측정, 발열측정, 초음파측정, 혈압측정, 심전도측정, 혈당측정, 산소포화도 측정, 영상촬영, 태아심음측정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구성 및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호흡측정모듈, 발열측정모듈, 영상촬영모듈, 산소포화도측정모듈, 태아심음측정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평상시 산모를 포함하는 대상자(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초음파측정모듈, 혈압측정측정, 심전도측정모듈, 혈당측정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대상자가 만성질환자나 특정 질병이나 사고에 의해 병원에서 진료받은 경우, 해당 질환이나 진료기록에 기초하여 그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는 그 종류별로 측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해당 패턴을 분석하여 1주기 또는 2주기 등을 추출함으로써, 생체신호의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심장소리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심장박동 3회)만큼의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체신호의 획득시간은 측정대상이 되는 생체신호에 따라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 및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료모듈(200)은 평상시 대상자의 기본적인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모듈들과, 대상자의 질병별로 요구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모듈들 중 적어도 일부와 조합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대상자가 직접 자신의 생체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격지에서 의료전문가가 시진이나 청진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것으로, 진단결과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시각정보나 음성정보로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이용한 시각정보나 음성정보를 통해, 생체신호의 측정방법 등을 안내하거나, 측정시 주의사항 등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지문센서 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대상자만이 작동 및 생체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생체정보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각각의 생체신호 측정모듈(100)로부터 수집된 생체신호의 정당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경우 재측정이 필요함을 알리거나, 생체신호의 분석에 따른 진단결과 등을 시각정보나 음향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가족 구성원별로 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감염질병이나 가족력 등을 관리함으로써, 특정 구성원이 감염질병에 노출된 경우, 다른 구성원들에게 안내하여 감염으로 인한 확산을 방지함은 물론, 가족력으로 인한 특정 질병의 발현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세트로 매칭하여 저장하고, 진단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각종 정보들을 측정시간과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한 세션이 종료되면 이를 하나의 데이터세트로 저장하여 가족 구성원들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길이방향 중 일측(도 1에서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제어에 의해 측정방식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대상자의 환부(예를 들어 구강, 편도, 안구, 귓속, 피부 등)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모듈인 경우, 일측방향(도 1에서 상부방향)의 중앙부에 카메라(110)가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110)를 중심으로 다수의 LED(12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LED(120)는 대상자의 환부를 비추어 음영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카메라(110)는 환부에 대한 무영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대상자의 질병 및 환부에 따라 색상에 의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색대비 등을 통해 환부의 영상을 보다 선명하고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설정정보에 따른 자동제어, 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병원서버와의 연동에 의한 병원 진료기록 및 원격지서버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LED(120)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LED(120)의 휘도를 조절하여, 해당 대상자의 환부에 대한 최적화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해당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130)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소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폰(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온도센서(130)를 통해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고,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호흡소리나 기침소리, 심장의 운동, 맥박, 위, 대장, 소장 등에서 발생하는 소리 등과 같이, 대상자의 체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된 소리는, 각각의 항목(기침, 심장, 맥박, 위, 대장, 소장 등)에 따라 태그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체온이나 산소포화도 또한 태그정보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대상자의 체온이나, 호흡소리, 기침소리 등은 측정위치나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밀착여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의 거리 및 피부밀착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의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생체신호(소리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도시하지 않음)와, 해당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밀착여부를 확인하는 압전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의 거리 및 피부밀착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측정센서는 온도센서(130)에 인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압전센서는 피부와 밀착되는 차음날개(15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음날개(150)는 생체소리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잡음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소리의 패턴을 분석하여, 호흡소리를 포함하는 기본생체소리 및 기침소리를 포함하는 질병생체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여 획득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외측면, 보자 구체적으로는 중앙부 양측면에는, 대상자가 의료용 진단모듈(200)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립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210)는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인체공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적어도 일부에 산소포화도 측정센서(220)를 구성하여, 대상자가 의료용 진단모듈(200)을 파지하게 되면, 산소포화도가 자연스럽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220)는 파장별 광 흡수도를 측정하여 비침습적으로 혈중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두 파장의 광을 그립부(210)에 위치한 손가락 등의 특정 신체부위에 조사하고, 해당 신체부위를 투과한 광들을 수광하여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와 더불어,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매칭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시 원격지의 병원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담당의사는 해당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다른 일측면에는 대상자의 조작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버튼(240)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해당 버튼의 개수는 최소화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다른 일측면에는 현재 각 모듈의 상태(예를 들어 연결상태, 설정정보, 동작정보 등)나 대상자의 생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30)를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하부에 구성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에 초음파송출기 및 초음파수신기를 더 구성함으로써, 대상자에 대한 초음파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의료용 진단모듈(200)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병원 진료기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에 결합되거나, 교환가능하도록 휴대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서 싱크노드(Sink node)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노드(Sensor node)와 연동될 수 있다.
이러한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불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환부촬영모듈과 더불어 초음파측정모듈, 호흡측정모듈, 발열측정모듈, 영상촬영모듈, 산소포화도측정모듈, 태아심음측정모듈 등의 다양한 모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S'는 스마트폰이고, 미설명 부호 'C'는 의료용 진단모듈(200)과 스마트폰(S)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이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과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에서 싱크노드(Sink node)로 동작될 수 있으며,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센서노드(Sensor node)로 동작될 수 있다.
더하여,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대상자나 다른 가족구성원들이 사용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와도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로 연동될 수 있으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도 센서노드(Sensor node)로 동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는 혈압측정용 기기(310), 심전도측정용 기기(320) 및 혈당측정용 기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싱크노드로 동작되는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센서노드로 동작되는 모듈이나 기기들로부터 다양한 생체신호들을 수집하고, 대상자별로 선택적으로 융합하여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하여, 원격지의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는,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은 디바이스등록단계(S100), 생체신호측정단계(S200) 및 질병진단단계(S30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등록단계(S100)는 의료용 진단모듈(200)에 연동될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을 등록하는 단계로, 의료용 진단모듈(200)이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에 구성된 센서노드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의 매칭여부를 확인한 후, 매칭된 센서노드의 설정정보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한다.
생체신호측정단계(S200)에서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시작되면 연동디바이스로 등록된 센서노드들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한다.
이때,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노드들은 사용자(대상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되거나, 대상자의 질환이나 진료기록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연동디바이스의 종류 및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질병진단단계(S300)에서는 의료용 진단모듈(200)이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대상자의 질병을 진단한다.
이때,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의료용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질병을 진단할 수 있으며, 필요시 원격지의 병원서버로 전송하여 담당의사에게 진단을 의뢰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질병진단단계(S300) 이후에,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와 각각 연동하여, 해당 구성원들에 대한 질병이력데이터의 관리를 각각 수행하는 구성원별 질병이력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한 질병진단단계(S300) 이후에, 각 구성원별 질병이력데이터를 병원용 데이터 및 보험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필요시 해당 원격지서버로 전송하는 질병이력데이터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단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7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및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를 포함하는 센서노드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S111),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을 확인 한 후(S112),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 생체신호의 매칭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3).
이때,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을 등록하여 저장하거나, 원격지의 병원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의 매칭된 생체신호, 다시 말해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에 의해 측정이 필요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노드의 설정정보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할 수 있다(S114).
이와 같이 필요한 센서노드들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의 생체신호 측정시, 측정이 필요한 생체신호와 해당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나 기기를 해당 대상자에게 안내하고, 필요한 생체신호들이 모두 수집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집되지 못한 생체신호는 해당 대상자에게 측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매칭되지 못한 센서노드들을 부가디바이스로 등록할 수 있으며(S115), 부가디바이스는 하기에서 설명될 대체생체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단계 'S100'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등록단계(S100)는 제1 연동디바이이스 등록과정(S124), 제2 연동디바이스 등록과정(S127) 및 대체신호 설정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 중 적어도 하나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로 연동될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연동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을 확인하고(S121), 대상자의 질환이나 진료기록에 따른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를 확인할 수 있다(S122).
이때, 생체신호 측정모듈(100)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할 수 있다(S124).
만약, 생체신호 측정모듈(100)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S123),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를 확인하고(S125)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26).
이때,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할 수 있다(S127).
만약,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다시 말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연동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 중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를 확인하고, 해당 개인용 진단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질병별 필요생체신호의 대체생체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S128).
도 10은 도 7의 단계 'S2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제어에 의해 측정방식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은 해당 대상자의 환부(예를 들어 구강, 편도, 안구, 귓속, 피부 등)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환부촬영모듈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당 대상자의 환부를 비추는 적어도 하나의 LED(120)를 포함할 수 있다.
LED(12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상자의 환부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그림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무영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환부촬영모듈에 의해 촬영된 환부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23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촬영하고자 하는 환부에 따라 영상의 명암이나 선명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촬영하고자 하는 환부에 따라 LED(120)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해당 대상자의 질환(S211), 병원 진료기록(S212) 및 원격지서버의 요청(S213)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LED(120)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S215).
이를 위하여,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병원서버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상자는 디스플레이(230)에 출력된 영상을 확인하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의료용 진단모듈(200)에 구성된 버튼(240)을 이용하여(S214) 직접 LED(120)의 발광색을 조절할 수 있다(S215).
더불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LED(120)의 휘도를 조절하여(S216), 해당 대상자의 환부에 대한 최적화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217).
특히, 이러한 LED(120)의 색상 및 휘도의 조절은, 원격지의 병원서버로부터 요청될 수 있으며, 병원서버는 딥러닝에 의한 AI를 이용하여 해당 질환이나 질병을 정확히 진단하도록 해당 영상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LED(120)의 색상 및 휘도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환부촬영모듈은 가족 구성원 이외에, 반려견이나 반려묘 등의 피부나 특정 부위를 촬영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으며, 동물병원 등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질병진단단계(S300)는 기본생체신호 확인과정(S311), 필요생체신호 확인과정(S312) 및 융합생체데이터 생성과정(S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와 더불어(S311),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S312).
예를 들어, 대상자가 고혈압 환자인 경우,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기본생체신호인 체온과 더불어, 고혈압에 필요한 혈압 등의 필요생체신호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질환이나 진료기록에 의해 매칭이 필요한 경우(S313), 두 생체신호(체온 및 혈압)을 융합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314).
의료용 진단모듈(200)이 이러한 융합생체데이터를 원격지의 병원서버로 전송하면, 의사는 해당 융합생체데이터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자의 상태를 다양한 관점에서 진단할 수 있다.
만약, 매칭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S313),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측정된 생체신호를 각각의 개별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S315).
도 12는 도 7의 단계 'S300'의 구체적인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질병진단단계(S300)는 기준위치 안내과정(S322), 위치확인과정(S325) 및 생체신호 측정과정(S3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온을 호흡소리를 측정하는 경우, 전문적인 의료지식이 없는 일반인인 대상자는 자신의 신체에서 어느 부위의 호흡소리를 측정해야 하는지 모를 수 있다.
이에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대상자의 조작 등에 의해 생체신호의 측정이 시작되면(S321), 자신 또는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이 신체의 기준위치로 이동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S322).
예를 들어, 대상자가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버튼(240)을 조작하여 호흡소리의 측정을 선택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도 14와 같은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S322), 대상자는 출력된 이미지를 확인하여 신체의 기준위치(P0)로 호흡을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등)을 이동시키고 측정시작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S323).
이와 같이 기준위치(P0)의 확인이 완료되면(S323),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대상자의 호흡소리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P1)를 확인하고(S324), 이를 디스플레이(230)에 출력하며, 대상자의 움직임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이 기준위치(P0)에서 첫번째 호흡소리 측정위치(P1)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325).
이러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의 위치이동은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 등의 위치확인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에 레이저포인터를 더 구성하고, 레이저포이터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가 대상자의 신체 중 어디를 지시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대상자(또는 사용자)가 현재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이나 의료용 진단모듈(200)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생체신호 측정모듈(100)가 정위치(P1)에 위치한 경우(S326), 해당 생체신호(호흡소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S327), 정위치(P1)가 아닌 경우에는(S326) 지속적으로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S328).
이와 같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도 12의 단계 'S324' 내지 'S328'을 반복하여,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자의 호흡소리를 측정해야 할 위치를 순차적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위치확인센서를 통해 생체신호 측정모듈(10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유도)할 수 있다.
도 13은 도 6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모듈(100),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300) 및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로 연동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해당 구성원들에 대한 질병이력데이터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진단모듈(200)은 병원서버(400) 및 보험사서버(5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원별 질병이력데이터를 병원용 데이터 및 보험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필요시 해당 원격지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병원서버(400)는 의료용 진단모듈(200)을 통해 해당 대상자에 대한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험사서버(500)는 원격진료에 따른 보험정보 확인 및 보험금 지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생체신호 측정모듈
110 : 카메라 120 : LED
130 : 온도센서 140 : 마이크로폰
150 : 차음날개
200 : 의료용 진단모듈
210 : 그립부 220 : 산소포화도 측정센서
230 : 디스플레이 240 : 버튼
300 :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310 : 혈압측정용 기기 320 : 심전도측정용 기기
330 : 혈당측정용 기기
400 : 병원서버 500 : 보험사서버

Claims (17)

  1. 대상자의 특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의료용 진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모듈형태로 구성되며,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병원 진료기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어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에서 싱크노드(Sink node)로 동작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노드(Sensor node)와 연동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센서노드가 측정한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대상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센서노드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의 매칭여부를 확인한 후, 매칭된 센서노드의 설정정보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해당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고,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진단다비이스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고,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연동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개인용 진단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질병별 필요생체신호의 대체생체신호로 설정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의 제어에 의해 측정방식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해당 대상자의 환부를 촬영하는 환부촬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환부촬영모듈은,
    무영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해당 대상자의 환부를 비추어 음영을 제거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병원서버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 해당 대상자의 질환, 병원 진료기록 및 원격지서버의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LED의 발광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LED의 휘도를 조절하여, 해당 대상자의 환부에 대한 최적화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
    해당 대상자의 피부에 대한 밀착여부를 확인하는 압전센서;
    해당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해당 대상자의 생체소리를 측정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거리측정센서 및 압전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의 피부까지의 거리 및 피부밀착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 및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의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해당 대상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소리의 패턴을 분석하여, 호흡소리를 포함하는 기본생체소리 및 기침소리를 포함하는 질병생체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그립부를 형성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상기 그립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된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와 더불어,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매칭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의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의 의료용 진단모듈이 싱크노드(Sinknode)로 동작되고, 생체신호 측정모듈 및 별도의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센서노드(Sensor node)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IoT를 이용한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 기반의 질병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노드가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단계; 및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이 상기 센서노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대상자의 질병을 진단하는 질병진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계 이전에,
    상기 의료용 진단모듈이 상기 센서노드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의 종류를 확인하고, 해당 대상자의 질환 및 진료기록과의 매칭여부를 확인한 후, 매칭된 센서노드의 설정정보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디바이스등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단계는,
    등록된 연동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상기 디바이스등록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제1 연동디바이이스 등록과정;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진단다비이스를 연동디바이스로 등록하는 제2 연동디바이스 등록과정;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로부터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인용 진단디바이스로부터도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연동되는 개인용 진단디바이스 중 해당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대체할 수 있는 생체신호를 확인하고, 해당 개인용 진단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생체신호를 질병별 필요생체신호의 대체생체신호로 설정하는 대체신호 설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진단단계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해당 대상자의 기본생체신호를 확인하는 기본생체신호 확인과정;
    해당 대상자의 진단에 요구되는 질병별 필요생체신호를 확인하는 필요생체신호 확인과정; 및
    상기 기본생체신호와 필요생체신호를 매칭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진단용 융합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융합생체데이터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진단단계는,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측정이 시작되면, 해당 대상자의 신체 중 진단하고자 하는 질병에 요구되는 기준위치를 안내하는 기준위치 안내과정;
    현재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과정; 및
    생체신호 측정모듈이 기준위치로 이동하면 기준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생체신호 측정모듈의 이동을 확인하면서, 측정이 필요한 위치를 순차적으로 안내하고, 측정위치별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의 센서노드에는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질병진단단계 이후에,
    상기 구성원별 개인용 단말기별와 각각 연동하여, 해당 구성원들에 대한 질병이력데이터의 관리를 각각 수행하는 구성원별 질병이력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IoT기반의 센서네크워크(Sensor network)는 병원서버 및 보험사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원격지서버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질병진단단계 이후에,
    각 구성원별 질병이력데이터를 병원용 데이터 및 보험사용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여 생성한 후, 필요시 해당 원격지서버로 전송하는 질병이력데이터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KR1020210087283A 2020-11-10 2021-07-02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KR10264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6242 WO2022103119A1 (ko) 2020-11-10 2021-11-09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9580 2020-11-10
KR1020200149580 2020-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705A KR20220063705A (ko) 2022-05-17
KR102642023B1 true KR102642023B1 (ko) 2024-02-28

Family

ID=8180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83A KR102642023B1 (ko) 2020-11-10 2021-07-02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157B1 (ko) * 2022-07-04 2023-07-14 한요한 헬스케어 디바이스를 이용한 통합 돌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57B1 (ko) * 2006-02-16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초 체온 측정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2090962A (ja) * 2010-09-27 2012-05-17 Toshiba Corp 生体情報システム
JP2018527997A (ja) * 2015-05-12 2018-09-27 ジップライン ヘルス、インク.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084A (ko) * 2008-08-08 2010-02-18 주식회사 제노웰 휴대용 의료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의료 정보 전송시스템
KR102004370B1 (ko) 2017-07-27 2019-07-3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박스
KR102055185B1 (ko) * 2017-11-16 2019-12-16 주식회사 쉐어 귓속 질병 진단 시스템
WO2019161277A1 (en) * 2018-02-16 2019-08-22 Northwestern University Wireless medical sensor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57B1 (ko) * 2006-02-16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초 체온 측정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2090962A (ja) * 2010-09-27 2012-05-17 Toshiba Corp 生体情報システム
JP2018527997A (ja) * 2015-05-12 2018-09-27 ジップライン ヘルス、インク. 医療診断情報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医療サービスの提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705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582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US20210166811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Medical Diagnostic Information and Provision of Telehealth Services
US116331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health care
US20170000359A1 (en) Comprehensive body vital sign monitoring system
DE202017004216U1 (de) Systeme zum Sammeln von Spirometriedaten
KR102099214B1 (ko) 생체정보 및 영상정보 연계를 통한 인공지능 질환 진단 시스템
WO2016140560A1 (ko) 다중 생체신호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키 장치, 상기 키 장치가 연결되는 스티어링 휠 도킹 스테이션 및 상기 자동차 키 장치와 스티어링 휠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EP1683482B1 (en) Infant movement analysis system and infant movement analysis method
WO2014084441A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환자분석 장치 및 방법
Panigrahy et al. Study and analysis of human stress detection using galvanic skin response (GSR) sensor in wired and wireless environments
KR102642023B1 (ko)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Antunes et al. Employ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chanisms for e-health systems in order to obtain vital signs improving the processes of online consultations and diagnosis
WO2022103119A1 (ko) 휴대용 의료 진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 방법
KR102570064B1 (ko) 통합형 의료 검진 장치
WO2023107642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biometric ocular photometry
Radhakrishnan et al. Applications of Body Sensor Network in Healthcare
Goel et al. A NOVEL ARCHITECTURE FOR MONITORING THE HEALTH OF A DIABETIC PATIENT USING HIOT (HEALTHCARE INTERNET OF THINGS)
Ismail et al. Pain Assessment: A Proof of Concept for the Correlation of Sensor-based Physiological Readings to Self-Report Methods
KR20230111318A (ko) 인공지능 기술기반 수부 동작 학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질병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6574A (ko) 인공지능 기반의 비대면 원격 환자 모니터링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진료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원격진료를 구현하기 위한 원격진료 모니터링 시스템
CN117915835A (zh) 基于深度学习的模型及基于规则的模型统合型心电图判读***
CN104000558A (zh) 人体生理指标数据处理方法及***
GR20170200142U (el) Διαγνωστικος κομβος για την παροχη συνεργατικων υπηρεσιων ηλεκτρονικης υγειας και αμεσης βοηθειας
da Cunha Oliveira Exploring Sensors Fusion on the Design of Dependable Wearable Medical Electronic Systems
Ruiz Calvo Towards a Highly Accurate Mental Activity Detection by Electroencephalography Sensor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