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869B1 -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869B1
KR102641869B1 KR1020230091775A KR20230091775A KR102641869B1 KR 102641869 B1 KR102641869 B1 KR 102641869B1 KR 1020230091775 A KR1020230091775 A KR 1020230091775A KR 20230091775 A KR20230091775 A KR 20230091775A KR 102641869 B1 KR102641869 B1 KR 10264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communication unit
smart hom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영
Original Assignee
캠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캠플러스(주) filed Critical 캠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23009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생성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렌즈지지대를 포함하는 렌즈부;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라 상기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Camera for establishing smart ho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홈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가정 내의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을 연결하고 자동화하는 개념이며, 스마트홈을 이용하면, 가정 생활의 편의성, 안전성,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스마트홈에서는 주로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기기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을 통해 가전제품, 조명, 보안 시스템, 난방/냉방 시스템, 창문/장치 제어 등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다.
스마트홈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편의성이다. 일상 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가전제품을 스마트하게 조작할 수 있어 휴대폰 한 번으로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집을 떠나기 전에 스마트폰을 이용해 가전제품을 꺼놓거나, 집에 도착하기 전에 에어컨이나 난방 시스템을 원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홈은 안전성을 강화한다. 보안 시스템과 카메라를 연동하여 원격으로 집안을 감시하고,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알림을 받을 수 있다.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화재 경보, 가스 누출 감지 등의 장치와도 연동할 수 있어 집 안의 안전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스마트홈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환경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스마트 타이머를 통해 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 친환경적인 가정을 유지할 수 있다.
스마트홈은 기술의 발전으로 점점 더 진보되고 있으며,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장비 구매 및 설치 전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보안기술이 과거에 비해 대폭 발전되었으나, 역설적이게도 해킹기술도 발전되고 있고, 꾸준한 해킹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용 카메라를 해킹하여 개인 사생활 노출의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이 고령화사회에 돌입함에 따라서, 노인가구 및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 및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 사전 조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대비하여, 사용자들은 보안을 위하여 여러 장비들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로 악용한 해킹 등으로 인하여 개인 사생활 노출이 다양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각종 장비들에도 기본적인 보안 기능은 구현되어 있지만, 해커들의 공격으로 보안이 뚫린 이후에는 기존의 장비들과 동일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점을 마찬가지이고, 해킹이 발생되더라도 의미없는 데이터만 유출되어 사생활 노출 우려가 없고, 이에 관한 직관적으로 보안기능이 구현되는 솔루션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23520호 (2023.02.1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영상을 생성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렌즈지지대를 포함하는 렌즈부;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라 상기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한다.
상기 카메라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마이크의 동작만 활성화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렌즈부에 대한 동작은 일시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렌즈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덮개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상기 렌즈를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기 루틴명령에 설정된 제1방향에 우선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의 색구성, 품질을 변경하거나, 상기 렌즈의 조리개(IRIS)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마이크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 대응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단말의 GPS정보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상기 루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기설정된 주파수의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기반의 통신포맷을 통해서 상기 루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여, 등록된 IoT장치에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탐지하고, 상기 등록된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렌즈,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루틴명령에 따라 상기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성이 강화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홈 카메라가 해킹되었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택에 있을 경우에 한해 실행되는 프라이버시 모드에 의해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해킹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거주지에 머무르고 있을 경우에도, 프라이버시 모드를 통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카메라의 렌즈가 보이지 않은 동작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안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루틴 명령을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루틴 명령을 설정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루틴 명령을 2개 요소로 나누어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프로세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체시스템(1)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제1서드파티 클라우드(15), 제2서드파티 클라우드(16) 및 사용자단말(17)이 통신망(20)을 통해서 관리서버(50)가 논리적으로 구축한 메인 클라우드(30)에 접속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집에 있는 IoT장치들의 일 예로서, 도 1에서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장치들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통신망(20)을 통해서 전달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그에 따라서 사람의 입력 없이 자동으로 동작이 가능한 IoT장치들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17)을 통해서,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를 메인 클라우드(30)에 등록시킬 수 있고, 메인 클라우드(30)에 등록된 IoT장치들은 사용자단말(17)을 통해서 직접 수신한 명령에 따라서 동작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루틴(routine)명령에 따라서, 조건이 달성이 달성되거나 전원의 공급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반복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서드파티 클라우드(15), 제2서드파티 클라우드(16)는 메인 클라우드(30)가 폐쇄형 플랫폼이 아니고, 관리서버(50)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브랜드와 서로 다른 브랜드의 제품도 메인 클라우드(30)에 등록되어 스마트홈을 구현하도록 호환이 가능한 오픈형 IoT 플랫폼의 클라우드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서는 2개의 서드파티 클라우드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2개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1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단말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사용자단말(17)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사용자단말의 입력이나 단말의 처리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디스플레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smart device)를 의미하므로, 전술한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통신모듈만 포함하고 있다면, 크기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자단말(17)은 스마트폰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단말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와 통신가능한 PC, 노트북, 넷북 등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17)에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에서 제공되는 클라이언트(client)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17)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냉장고(11), 에어컨(12), 전동 커튼(13), 반려동물용 웨어러블 디바이스(14)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자동화(automation) 동작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클라우드(30)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14)는 사용자와 동거하고 있는 반려동물의 신체에 장착되어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생체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17)에 송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5)는 WD(14)로 약칭하기로 한다. WD(14)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 사용자단말(17)과 통신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LTE, 5g와 같은 통신망(20)이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단말(17)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WD(14)는 반려동물의 목 부위에 장착되는 목걸이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반려동물의 발목, 반려동물의 몸통 등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 WD(14)는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 복수의 파츠(parts)로 구성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특히, 복수의 파츠로 구성된 WD(14)는 반려동물의 신체 곳곳에 부착되어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7)에 설치된 반려동물과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파츠로 구성된 WD(14)로부터 생체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반려동물의 행동 중에서, 긁기, 핥기, 식사섭취행위, 식수섭취행위, 수면 및 운동량에 대한 신뢰도 높은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망(20)은 도 1에 도시된 전체시스템(1)의 구성요소들을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인터넷 등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통신망(20)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이미 사용되었다가 폐기된 구세대 이동통신망 및 향후 인프라가 구축되어 사용될 예정인 차세대 이동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므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5G(5-Generation) 및 2030년에 서비스 예정인 6G 이동통신망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망(2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요금제에 따라서, 사용자단말(17) 및 WD(14)의 통신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구현되는 망이므로, 도 1의 전체시스템(1)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통신망(20)을 물리적 및 논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ISP기지국서버 및 통신케이블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통신망(20)은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집에 설치되어 있는 홈게이트웨이 장치(home gateway device)에 의해서 구현되는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통신망(20)은 Wi-Fi, HCA, Matter, Zigbee, Z-wave, BLE, Bluetooth, Thread, UWB, IR, KNX 등과 같이 IoT에서 사용되는 무선통신 규격과 프로토콜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통신망(20)을 구현하는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아마존(Amazon)의 에코(Echo), 구글(***)의 온허브(OnHub), 삼성(samsung)의 스마트싱스 허브(SmartThings Hub)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홈게이트웨이 장치는 스마트홈을 구성하는 각종 IoT장비들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관리서버(50)로부터 루틴명령을 수신하여 스마트홈을 구성하는 각종 IoT장비들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사대리점에서 통신계약을 체결하면서, 통신사서버와 통신가능한 모듈(예를 들어, USIM)이 장착된 WD(14)를 수령할 수 있다. 통신계약이 체결된 이후, WD(14)는 통신사서버에서 운용하는 통신망(20)을 통해서, 사용자단말(17)과 통신이 가능해지고, WD(14)에서 수집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는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17)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D(14)가 블루투스(Bluetooth), Wifi,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한 장치인 경우, 사용자단말(17)은 WD(14)가 수집한 반려동물의 생체신호를 사용자단말(17)이 사용자의 집 안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만 한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50)는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로서, 메인 클라우드(30)를 논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포함하고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관리서버(50)는 메인 클라우드(30)를 논리적으로 구현하고, 메인 클라우드(30)를 통해서, 사용자의 각종 IoT장치들이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는 카메라를 의미하고,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단말(17)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메인 클라우드(30)에 등록된 후에, 사용자단말(17)에서 설정된 루틴(routine) 명령에 따라서, 자동화 프로세스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가 촬영한 영상은 메인 클라우드(30)에 누적적으로 저장되며, 사용자는 메인 클라우드(3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단말(17)에 자유롭게 다운로드하고 재생(play)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DB(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에는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와 유선/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 이동 통신부(미도시) 및 방송 수신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B(230)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메모리)로서,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DB(2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블루레이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렌즈부(미도시), 렌즈덮개(미도시), 마이크(미도시),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lens unit)는 피사체가 있는 방향의 영상을 생성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가 촬영하는 방향을 물리적인 움직임을 통해 변경시키는 렌즈지지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렌즈를 물리적으로 차폐시키는 렌즈덮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마이크(미도시)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고, 스피커(미도시)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미도시), 통신부(210), DB(2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DB(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이 수신되면, 루틴명령에 따라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루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세서(22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다.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에는 영상을 생성하는 렌즈(320)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렌즈(320)를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렌즈지지대가 렌즈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실시예에 따라서, 소리입출력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입출력부(310)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와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입출력부(310)에 포함되어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는, 전술한 프로세서(220)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3의 (b)에는 도 3의 (a)에서 설명한 렌즈(320)가 렌즈지지대에 의해서 180도만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이동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320)가 렌즈지지대에 의해서 180도만큼 회전이동한 경우, 렌즈가 차폐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의미 있는 영상이 렌즈(320)에 의해서 생성될 수 없다. 프로세서(220)는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이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통신부(210)에 수신된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320)를 회전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영상이 생성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소리입출력부(310)에 대한 동작도 같이 중지될 수도 있다.
도 3의 (c)에는 프로세서(220)가 렌즈덮개(330)가 렌즈(320)를 차폐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의 (b)와 마찬가지로,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이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통신부(210)에 수신된 경우에, 프로세서(220)는 렌즈덮개가 구동되어 렌즈(320)를 차폐시키고, 사용자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루틴 명령을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루틴(routine) 명령은 사용자의 집안에 있는 IoT장치들에 대해서, 특정한 동작조건이 성립시 일련의 동작(하나 이상의 동작을 여러개 결합하여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퀀스)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루틴 명령이 설정된 IoT장치들은 설정되어 있는 동작조건이 성립되면 즉시 동작을 개시하여, 별도로 설정된 동작종료 조건이 성립되거나, IoT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소진되어 IoT장치의 전원이 OFF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루틴 명령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도 4는 그중에서 루틴 명령에 따른 동작 개시 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가 매일 아침 8시에 동작을 개시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외출하는 경우에 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루틴 명령을 설정하는 다른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루틴 명령에 따른 동작 유형을 설정하는 것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사용자가 외출했을 때,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가 방범용 모드로 동작하도록 루틴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귀가한 경우에는 도 3의 (b)나 (c)처럼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가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루틴 명령을 2개 요소로 나누어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을 통해서, 루틴 명령을 구성하는 2개 요소로서, 동작 개시 시점 및 동작 유형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홍동완"이라고 하는 사용자가 집에 있을 경우에 여러 대의 홈카메라 중 "거실"에 있는 홈카메라의 동작을 끄는 루틴을 설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루틴 명령은 메인 클라우드(30) 및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에 전송되어 저장되며, 루틴 명령을 구성하는 동작 개시 조건이 성립되면, 동작 유형에 따른 루틴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사용자가 부재 중일 때에 루틴 명령에 따라서 사용자의 집 내부를 촬영하고 있다가, WD(735)를 장착한 반려동물(730)이 인덕션(710)과 같이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IoT장치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해당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통신부(210)를 통해 송신시킬 수 있다. 해당 요청은 메인 클라우드(30)를 통해 인덕션(710)에 전달되어 인덕션(710)이 전원이 일시적으로 잠금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객체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에 대해서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반려동물(730) 또는 반려동물(730)과 WD(735)를 함께 인식하고, 그 인식에 대한 결과로서, 반려동물(730)이 인덕션(710)이나 정수기와 같이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IoT장치에 접근하는 것이 탐지되면, 해당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통신부(210)를 통해 송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동물(730)뿐만 아니라 WD(735)를 함께 인식함으로써, 반려동물(730)이 인덕션(710)이나 정수기에 근접한 것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어서, 오인식률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따른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0).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프로세서(220)는 루틴명령이 수신되었다면, 루틴명령에 따라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30).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프로세서(220)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렌즈(320)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S850).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통신부(210)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마이크의 동작만 활성화상태로 유지하고, 렌즈부에 대한 동작은 일시중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렌즈덮개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통신부(210)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렌즈덮개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렌즈를 차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통신부(210)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루틴명령에 설정된 제1방향에 우선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은 도 3의 (a)에 도시된 렌즈(320)의 방향, 제2방향은 도 3의 (b)에 도시된 렌즈(320)의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통신부(210)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의 색구성, 품질을 변경하거나, 렌즈의 조리개(IRIS)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프로세서(220)는 렌즈에 의해서 수집되는 영상대신 임의의 단색(흰색 또는 검정색 등)으로 구성된 배경화면이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마이크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프라이버시 모드에 대응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서 간편하게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를 프라이버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사용자단말의 GPS정보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루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외출하여 사용자단말(17)의 GPS정보가 사용자의 집 외부에서 탐지되는 경우에,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루틴이 시작되는 실시예를 반영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220)는, 통신부(210)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스피커를 통해서 기설정된 주파수의 음원을 재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다양한 주파수에 대한 소리를 출력시켜서, 모기와 같은 해충의 출현을 막거나, 동식물에 다양한 영향을 부여하는 실시예를 반영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20)는,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여, 등록된 IoT장치에 접근하는 반려동물을 탐지하고, 등록된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통신부(210)를 통해 송신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프로세스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에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탑재되어 있는 객체 인식 모듈을 통해서,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도 3에서 설명한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프라이버시 모드에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렌즈덮개를 덮거나, 렌즈의 방향이 기설정된 방향을 지향하도록 렌즈지지대를 회전시켜서, 프라이버시 모드가 지속되는 동안,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이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의 (a)와 같은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사용자의 얼굴정보(face information)를 관리서버(50)에 등록할 필요성이 있다. 관리서버(50)에 사용자의 얼굴정보가 등록되면, 사용자의 얼굴은 관리서버(50)에 의해 구축된 메인 클라우드(30)에서는 유효한 인증정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선택적 일 실시예로서, 도 9의 (a)에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미리 설정된 루틴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때 미리 설정된 루틴명령은 프라이버시 모드 외의 다른 모드일 수도 있다. 즉,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가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루틴명령의 트리거(trigger)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서,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탑재되어 있는 객체 인식 모듈을 통해서,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미등록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트래킹 모드(tracking mode)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트래킹 모드가 발동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단말에는 알람(alarm)이 제공될 수 있고,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의 렌즈가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움직이면서 미등록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트래킹 모드를 발동하게 만든 미등록사용자에 대한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탑재되어 있는 객체인식모듈을 통해서, 렌즈(렌즈모듈)가 생성한 영상에서 집에 들어온 사람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S1010).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단계 S1010에서 인식된 사람의 얼굴이 등록된 사람의 얼굴인지 판단하고(S1020), 맞다면, 프라이버시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030). 한편,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200)는 단계 S1010에서 인식된 사람의 얼굴이 미등록사용자의 얼굴이라면, 트래킹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04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0: 카메라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230: DB

Claims (11)

  1. 영상을 생성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렌즈지지대를 포함하는 렌즈부;
    외부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라 상기 렌즈부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하고,
    객체인식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여, 등록된 IoT장치에 접근하는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함께 탐지하고, 상기 등록된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마이크의 동작만 활성화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렌즈부에 대한 동작은 일시중지시키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렌즈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덮개의 동작을 활성화하여, 상기 렌즈를 차폐시키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기 루틴명령에 설정된 제1방향에 우선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통신부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의 색구성, 품질을 변경하거나, 상기 렌즈의 조리개(IRIS)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음성 및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M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마이크가 프라이버시 모드(privacy mode)에 대한 입력을 추가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프라이버시 모드에 대응되는 일련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단말의 GPS정보를 수신한 서버로부터 상기 루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루틴명령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기설정된 주파수의 음원을 재생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기반의 통신포맷을 통해서 상기 루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10. 삭제
  11. 렌즈,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동작조건 성립시 일련의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루틴(routine)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루틴명령에 따라 상기 렌즈가 영상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루틴명령에 따른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면, 상기 렌즈가 지향하는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객체인식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렌즈를 통해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여, 등록된 IoT장치에 접근하는 반려동물 및 반려동물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함께 탐지하고, 상기 등록된 IoT장치의 전원을 잠금상태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0230091775A 2023-07-14 2023-07-14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KR10264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775A KR102641869B1 (ko) 2023-07-14 2023-07-14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775A KR102641869B1 (ko) 2023-07-14 2023-07-14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869B1 true KR102641869B1 (ko) 2024-03-04

Family

ID=9029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775A KR102641869B1 (ko) 2023-07-14 2023-07-14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8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673B1 (ko) * 1996-01-22 1999-06-15 윤종용 자동 원위치 기능을 가진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자동 원위치 방법
KR20040002639A (ko) * 2002-06-27 2004-01-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방향성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관한 집적 설계
KR20140033654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432B1 (ko) * 2019-04-09 2020-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촬영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23520A (ko) 2021-08-10 2023-02-17 이태양 장거리 모션 제스처 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673B1 (ko) * 1996-01-22 1999-06-15 윤종용 자동 원위치 기능을 가진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자동 원위치 방법
KR20040002639A (ko) * 2002-06-27 2004-01-0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전방향성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관한 집적 설계
KR20140033654A (ko) *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54432B1 (ko) * 2019-04-09 2020-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촬영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23520A (ko) 2021-08-10 2023-02-17 이태양 장거리 모션 제스처 인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10506406B2 (en) Building network hub with occupancy awareness
US10049515B2 (e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US9179105B1 (en) Control of video camera with privacy feedback
US10832665B2 (en) Internet of things (IoT) human interfa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10139897B2 (en) Power-optimized image capture and push
US10306187B2 (en) Adjustable movement detection doorbell
US10057079B2 (en) Wireless building automation
US10506054B2 (en) Building occupancy sensor network
US11375349B2 (en) Electronic-device detection and activity association
US9728077B1 (e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CA2936437C (en) Anti-takeover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attached peripherals
CN104360599A (zh) 基于led照明装置的智能家庭控制方法、设备及***
US10043377B2 (en) Monitoring system
WO2021114700A1 (zh) 一种安防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智能控制器
WO2016112724A1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
Sunehra et al. An intelligent surveillance with cloud storage for home security
US11138344B2 (en) Securing access to user data stored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WO20230151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device person recognition and provision of intelligent alerts
EP3556151A1 (fr) Procédé de contrôle d'un signal radio émis par une passerelle, passerelle et programme d'ordinateur correspondants
KR102641869B1 (ko) 스마트홈 구축용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동작 제어 방법
WO2020000346A1 (en) Intruder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60065910A1 (en) Video gateway device
EP4394635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204795078U (zh) 基于频谱感知的智能家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