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612B1 -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612B1
KR102639612B1 KR1020230137495A KR20230137495A KR102639612B1 KR 102639612 B1 KR102639612 B1 KR 102639612B1 KR 1020230137495 A KR1020230137495 A KR 1020230137495A KR 20230137495 A KR20230137495 A KR 20230137495A KR 102639612 B1 KR102639612 B1 KR 102639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notching
unit
fold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공조
Priority to KR102023013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덕트 제조장치는 투입부, 비딩생성부, 노칭부, 성형부 및 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칭부는 전방노칭부 및 후방노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성형고정부, 상기 성형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재단부 및 상기 성형재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측에서 상방으로 승강하거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재단부는 상기 제2절개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상기 성형절곡부는 재단된 상기 피가공물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를 절곡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덕트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제조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Duct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ystems}
본 발명은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공기와 같은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산업현장에 사용된다. 특히, 직육면체 형상의 덕트는 고압용으로 반도체와 배터리 등의 제조공정 등에 사용된다.
즉, 덕트가 첨단산업의 제조공정에 사용됨에 따라 덕트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늘어나는 수요에 의해 덕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즉, 고압용 사각 덕트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고압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제작 정밀도가 향상된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덕트 제조시 덕트의 용이한 모양 형성을 위해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덕트 제조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임에 따라 절개부가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덕트 제조시 덕트의 모양을 형성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수결합부와 암결합부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81969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 공정의 정밀성이 향상되어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시 덕트의 모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제작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시 덕트의 모양을 형성하는 폴딩부 작동 시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덕트 제조장치는 성형고정부, 성형재단부 및 성형절곡부의 작동을 통해 피가공물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통과하며 비딩이 형성되는 비딩생성부, 상기 비딩생성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비딩생성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의 상하단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노칭부, 상기 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노칭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암결합부를 형성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노칭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가공물의 폴딩선을 따라 접도록 구비되는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칭부는 상기 비딩생성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제1면적의 제1절개부를 형성하는 전방노칭부 및 상기 전방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의 제2절개부를 형성하는 후방노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부는 상기 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성형고정부, 상기 성형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재단부 및 상기 성형재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측에서 상방으로 승강하거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재단부는 상기 제2절개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상기 성형절곡부는 재단된 상기 피가공물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를 절곡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고정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성형재단부 및 상기 성형절곡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가압된 상태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접철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암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노칭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노칭본체부,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는 전방노칭가이드부 및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노칭가이드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전방노칭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노칭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노칭본체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후방노칭펀칭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펀칭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후방노칭분사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분사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후방노칭분사부 바람 분사시 불순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노칭방지부 및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펀칭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후방노칭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재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성형재단본체부, 상기 성형재단본체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는 성형재단커터부, 상기 성형재단본체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인식하는 성형재단인식부 및 상기 성형재단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재단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재단커터부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할수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성형재단인식부는 상기 피가공물을 촬영하여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인식하고, 상기 성형재단분사부는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칭부와 상기 성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부 및 상기 투입부, 상기 비딩생성부, 상기 노칭부, 상기 성형부, 상기 폴딩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불량판단본체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불량판단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촬영부의 이미지 촬영을 통해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를 촬영하여 절개면적의 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판단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통해 상기 피가공물의 이동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의 위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폴딩안착부, 상기 폴딩안착부를 마주하며,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폴딩고정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폴딩이동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의 위치를 인지하는 폴딩인지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폴딩회동부 및 상기 폴딩안착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폴딩이동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폴딩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딩이동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폴딩이동본체부, 상기 폴딩이동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폴딩이동파지부, 상기 폴딩이동파지부와 상기 폴딩이동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폴딩이동파지부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폴딩이동연결부 및 상기 폴딩이동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폴딩이동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 공정의 정밀성이 향상되어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시 덕트의 모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제작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덕트 제조시 덕트의 모양을 형성하는 폴딩부 작동 시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덕트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 비딩생성부 및 노칭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칭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통해 피가공물에 수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포함하는 피가공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부, 비딩생성부 및 노칭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칭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부를 통해 피가공물에 수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포함하는 피가공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전방노칭부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후방노칭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조장치(S))는 투입부(1), 비딩생성부(2), 노칭부(3), 성형부(4), 절곡부(5) 및 폴딩부(6)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투입될 수 있다. 즉, 투입부(1)는 피가공물이 롤형태로 감겨져 거치되고 풀리면서 투입될 수 있다. 피가공물은 덕트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이나 철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비딩생성부(2)는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되는 피가공물이 통과하며 비딩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딩생성부(2)는 복수 개의 롤러로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압착하여 피가공물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고, 복수 개의 롤러 중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피가공물에 비딩을 생성할 수 있다. 피가공물에 형성된 비딩은 완성품이 되면 완성품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칭부(3)는 비딩생성부(2)의 후방에 배치되어 비딩생성부(2)를 통과한 피가공물의 상하단부의 일부를 절개할 수 있다. 즉, 노칭부(3)는 피가공물의 상하단부의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롤러 형태로 감겨져 있는 긴 상태의 피가공물이 후술할 성형부(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절단되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어 사각 형태의 덕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노칭부(3)는 피가공물의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후술할 폴딩부(6)에 의해 피가공물이 용이하게 접혀 사각형태의 덕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성형부(4)는 노칭부(3)의 후방에 배치되어 노칭부(3)를 통과한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G1)를 형성하며,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압결합부(G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성형부(4)는 노칭부(3)의 절단의 기준이 되는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고, 사각 형태의 덕트가 될 때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피가공물에 후술할 수결합부(G1)와 암결합부(G2)를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5)는 성형부(4)의 후방에 배치되어 성형부(4)를 통과한 피가공물의 상하단부를 절곡할 수 있다. 즉, 절곡부(5)는 피가공물이 완성물인 덕트가 되어 사용되는 반도체나 배터리 제조시설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하단부를 절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5)는 피가공물의 상하단부를 피가공물의 전체길이의 0.02 내지 0.06 절곡하여 완성물이 되었을 때 반도체나 제조시설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곡부(5)는 피가공물의 상하단부를 피가공물의 전체길이의 0.03 내지 0.05 절곡하여 완성물이 되었을 때 반도체나 제조시설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폴딩부(6)는 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되어 노칭부(3)에 의해 형성된 피가공물의 폴딩선을 따라 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부(6)는 노칭부(3)에 의해 형성된 폴딩을 위한 절개부를 통해 피가공물을 접어 사격 형태의 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폴딩선은 노칭부(3)에 의해 형성된 폴딩을 위한 절개부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칭부(3)는 전방노칭부(31) 및 후방노칭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노칭부(31)는 비딩생성부(2)의 후방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에 제1면적의 제1절개부(E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절개부(E1)는 상술한 폴딩선 이자 폴딩을 위한 절개부 일 수 있다.
후방노칭부(33)는 전방노칭부(31)의 후방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에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의 제2절개부(E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방노칭부(33)는 접어서 사각 형태의 덕트가 되는 길이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의 기준이 되는 제2절개부(E2)를 피가공물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성형부(4)는 성형고정부(41), 성형재단부(43) 및 성형절곡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고정부(41)는 노칭부(3)의 후방에 배치되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성형고정부(41)는 피가공물을 고정하여 성형재단부(43)에 의해 피가공물이 절단되거나 성형절곡부(45)에 의해 피가공물이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성형재단부(43)는 성형고정부(41)의 후방에 배치되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성형재단부(43)는 제2절개부(E2)를 기준으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고, 피가공물에 후술할 암결합부(G2)를 형성하기 위해 회동하여 피가공물을 접을 수 있다.
성형절곡부(45)는 성형재단부(43)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측에서 상방으로 승강하거나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성형절곡부(45)는 성형고정부(41) 및 성형재단부(43)와 함께 수결합부(G1)와 암결합부(G2)를 형성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하거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성형재단부(43)는 제2절개부(E2)가 하측에 배치되면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성형절곡부(45)는 재단된 피가공물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상방으로 회동하여 피가공물의 후단부를 절곡시켜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G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형고정부(41)는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가압하고, 성형재단부(43) 및 성형절곡부(45)는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가압된 상태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접철시켜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암결합부(G2)를 형성할 수 있다.
수결합부(G1)는 피가공물의 본체와 직교하여 접힐 수 있고, 암결합부(G2)는 피가공물의 본체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접혀 중간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형태의 덕트 제조시 수결합부(G1)를 암결합부(G2)에 끼워 결합시켜 용이하게 덕트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전방노칭부(31)는 전방노칭본체부(311), 레이저조사부(313), 전방노칭가이드부(315) 및 전방노칭가압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노칭본체부(311)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313)는 전방노칭본체부(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즉, 레이저조사부(313)는 레이저를 통하여 피가공물을 절개하여 제1절개부(E1)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313)는 물리적 가압을 통해 피가공물을 절개하지 않아 제1절개부(E1)의 표면이 매끄럽고 작업 정밀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레이저조사부(313)는 정확한 형상의 사각 형태의 덕트를 제조하는 기준이 되는 제1절개부(E1)의 공정 정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전방노칭가이드부(315)는 전방노칭본체부(311)에 구비되며, 레이저조사부(313)와 이격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방노칭가이드부(315)는 상하로 승강 가능하며, 레이저조사부(313)가 피가공물을 절개할 때 하측으로 이동되어 레이저조사부(313)의 오작동에 의해 피가공물의 절개되지 않을 부분이 절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노칭가이드부(315)는 레이저조사부(313)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전방노칭본체부(311)에 배치되어 공간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방노칭가압부(317)는 전방노칭본체부(311)에 구비되며, 전방노칭가이드부(315)와 이격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전방노칭가압부(317)는 레이저조사부(313)가 정확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피가공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노칭부(33)는 후방노칭본체부(331), 후방노칭펀칭부(333), 후방노칭분사부(335), 후방노칭방지부(337) 및 후방노칭세척부(339)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노칭본체부(331)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후방노칭펀칭부(333)는 후방노칭본체부(331)의 내부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즉, 후방노칭펀칭부(333)는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제2절개부(E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절개부(E2)는 사각 형태의 덕트 제작을 위한 피가공물 절단의 기준이 되는 부분으로 제1절개부(E1)보다 면적이 크게 구비되며, 정밀성도 크게 요구되지 않아 후방노칭펀칭부(333)의 펀칭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후방노칭분사부(335)는 후방노칭본체부(331)에 구비되며, 후방노칭펀칭부(333)와 이격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할 수 있다. 즉, 후방노칭분사부(335)는 후방노칭펀칭부(333)의 가압에 의해 제2절개부(E2) 형성 시 발생되는 불순물이 피가공물에 존재하거나 피가공물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에 존재하는 경우 바람을 분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후방노칭방지부(337)는 후방노칭본체부(331)에 구비되며, 후방노칭분사부(335)와 이격 배치되어 후방노칭분사부(335) 바람 분사시 불순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후방노칭방지부(337)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후방노칭분사부(335) 바람 분사시 하강하여 불순물이 피가공물 중앙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후방노칭세척부(339)는 후방노칭본체부(331)에 구비되며, 후방노칭펀칭부(333)를 향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후방노칭세척부(339)는 후방노칭펀칭부(333)가 다수의 작업 진행 시 외측에 피가공물 절개시 형성된 불순물이 묻을 수 있고, 해당 불순물을 제거하여 후방노칭펀칭부(333)가 지속적으로 정밀한 제2절개부(E2) 형성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성형재단부(43)는 성형재단본체부(431), 성형재단커터부(433), 성형재단인식부(435) 및 성형재단분사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재단본체부(431)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성형재단커터부(433)는 성형재단본체부(431)의 후다눕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재단할 수 있다. 즉, 성형재단커터부(433)는 피가공물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즉, 성형재단커터부(433)는 일정크기의 사각 형태의 덕트가 되도록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 있다.
성형재단인식부(435)는 성형재단본체부(43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1절개부(E1)및 제2절개부(E2)를 인식할 수 있다. 성형재단인식부(435)는 이미지 센서나 광 센서로 구비되어 제2절개부(E2) 인식 시 성형재단커터부(433)를 작동되어 피가공물을 재단할 수 있다.
성형재단분사부(437)는 성형재단인식부(435)와 이격 배치되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성형재단분사부(437)는 바람을 분사하여 성형재단커터부(433)에 의해 피가공물 재단시 발생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성형재단커터부(433)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할수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공물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성형재단인식부(435)는 피가공물을 촬영하여 제1절개부(E1) 및 제2절개부(E2)를 인식하고, 성형재단분사부(437)는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조장치(S)는 불량판단부(7) 및 제어부(P)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판단부(7)는 노칭부(3)와 성형부(4) 사이에 구비되어 제1절개부(E1)와 제2절개부(E2)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P)는 투입부(1), 비딩생성부(2), 노칭부(3), 성형부(4), 절곡부(5), 폴딩부(6) 및 불량판단부(7)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량판단부(7)는 불량판단본체부(71) 및 불량판단촬영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판단본체부(71)는 외관을 형성하며, 피가공물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불량판단촬영부(73)는 불량판단본체부(71)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P)는 불량판단촬영부(73)의 이미지 촬영을 통해 제1절개부(E1)와 제2절개부(E2)를 촬영하여 절개면적의 불량을 판단하고, 불량판단촬영부(73)의 영상 촬영을 통해 피가공물의 이동속도를 파악하여 제1절개부(E1) 및 제2절개부(E2)의 위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폴딩부의 작동을 통해 제1절개부를 따라 피가공물이 접히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사각 형태의 덕트로 폴딩이 완료되어 폴딩이동부에서 피가공물이 분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부(6)는 폴딩안착부(61), 폴딩고정부(62), 폴딩이동부(63), 폴딩인지부(64), 폴딩회동부(65) 및 폴딩경로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안착부(61)는 피가공물이 안착될 수 있다. 폴딩고정부(62)는 폴딩안착부(61)를 마주하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폴딩고정부(62)는 폴딩회동부(65)에 의해 피가공물이 제1절개부(E1)를 따라 접힐 때 피가공물의 접히지 않는 부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피가공물이 안정적으로 접히도록 할 수 있다.
폴딩이동부(63)는 폴딩고정부(62)의 전방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폴딩이동부(63)는 피가공물이 접히면 이동시키고 다시 접히면 이동시키며 사각 형태의 덕트를 만들 때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폴딩인지부(64)는 폴딩고정부(62)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절개부(E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즉, 폴딩인지부(64)는 제1절개부(E1)의 위치를 인지하고, 폴딩회동부(65)를 통해 제1절개부(E1)를 따라 피가공물을 접어 사각 형태의 덕트가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폴딩회동부(65)는 폴딩고정부(62)의 후방에 배치되어 피가공물의 하측에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회동부(65)는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피가공물을 접을 수 있다.
폴딩경로부(66)는 폴딩안착부(61)에 함몰 형성되어 폴딩이동부(63)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폴딩경로부(66)는 폴딩이동부(63)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폴딩이동부(63)가 사각 형태로 접힌 덕트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딩이동부(63)는 폴딩이동본체부(631), 폴딩이동파지부(633), 폴딩이동연결부(635) 및 폴딩이동조절부(637)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이동본체부(631)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폴딩이동본체부(631)는 폴딩안착부(61)에 구비되어 폴딩이동파지부(633), 폴딩이동연결부(635) 및 폴딩이동조절부(637)의 구조적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폴딩이동파지부(633)는 폴딩이동본체부(631)와 연결되며 피가공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폴딩이동파지부(633)는 피가공물의 양측면을 파지하도록 벌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이동파지부(633)는 사람의 손 형상으로 구비되어 용이하게 피가공물을 파지할 수 있다.
폴딩이동연결부(635)는 폴딩이동파지부(633)와 폴딩이동본체부(631)를 연결하며, 폴딩이동파지부(633)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폴딩이동연결부(635)는 폴딩이동파지부(633)의 회전 자율도를 제공하여 폴딩이동파지부(633)가 용이하게 피가공물을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폴딩이동조절부(637)는 폴딩이동파지부(633)에 구비되어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폴딩이동조절부(637)는 폴딩이동파지부(633)에 의해 피가공물의 전체적이 위치가 조절된 후 제1절개부(E1)를 따라 정확하게 피가공물이 접히도록 미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폴딩이동부(6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피가공물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폴딩이동파지부(633)는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전체적으로 파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 개의 폴딩이동조절부(637)는 개별적으로 피가공물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절개부(E1)를 따라 피가공물이 정밀하게 접힐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덕트 제조장치 P: 제어부
E1: 제1절개부 E2: 제2절개부
G1: 수결합부 G2: 암결합부
1: 투입부 2: 비딩생성부
3: 노칭부 4: 성형부
5: 절곡부 6: 폴딩부
7: 불량판단부

Claims (8)

  1. 피가공물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상기 피가공물이 통과하며 비딩이 형성되는 비딩생성부;
    상기 비딩생성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비딩생성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의 상하단부의 일부를 절개하는 노칭부;
    상기 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노칭부를 통과한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암결합부를 형성하는 성형부; 및
    상기 성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노칭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피가공물의 폴딩선을 따라 접도록 구비되는 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칭부는
    상기 비딩생성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제1면적의 제1절개부를 형성하는 전방노칭부; 및
    상기 전방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에 제1면적보다 큰 제2면적의 제2절개부를 형성하는 후방노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는
    상기 노칭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성형고정부;
    상기 성형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재단부; 및
    상기 성형재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측에서 상방으로 승강하거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재단부는 상기 제2절개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고, 상기 성형절곡부는 재단된 상기 피가공물이 후방으로 이동된 후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를 절곡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후단부에 수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고정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성형재단부 및 상기 성형절곡부는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가 가압된 상태로 상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를 접철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전단부에 암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노칭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노칭본체부;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부;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조사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는 전방노칭가이드부; 및
    상기 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노칭가이드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전방노칭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노칭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후방노칭본체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절단하는 후방노칭펀칭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펀칭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는 후방노칭분사부;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분사부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후방노칭분사부 바람 분사시 불순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방노칭방지부; 및
    상기 후방노칭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노칭펀칭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후방노칭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재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성형재단본체부;
    상기 성형재단본체부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재단하는 성형재단커터부;
    상기 성형재단본체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인식하는 성형재단인식부; 및
    상기 성형재단인식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성형재단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재단커터부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할수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성형재단인식부는 상기 피가공물을 촬영하여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를 인식하고,
    상기 성형재단분사부는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바람을 분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칭부와 상기 성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의 불량을 판단하는 불량판단부; 및
    상기 투입부, 상기 비딩생성부, 상기 노칭부, 상기 성형부, 상기 폴딩부 및 상기 불량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판단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피가공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불량판단본체부; 및
    상기 불량판단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촬영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불량판단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불량판단촬영부의 이미지 촬영을 통해 상기 제1절개부와 상기 제2절개부를 촬영하여 절개면적의 불량을 판단하고,
    상기 불량판단촬영부의 영상 촬영을 통해 상기 피가공물의 이동속도를 파악하여 상기 제1절개부 및 상기 제2절개부의 위치 불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폴딩안착부;
    상기 폴딩안착부를 마주하며, 상기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폴딩고정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폴딩이동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절개부의 위치를 인지하는 폴딩인지부;
    상기 폴딩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폴딩회동부; 및
    상기 폴딩안착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폴딩이동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폴딩경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이동부는
    외관을 형성하는 폴딩이동본체부;
    상기 폴딩이동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피가공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폴딩이동파지부;
    상기 폴딩이동파지부와 상기 폴딩이동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폴딩이동파지부를 회동시키도록 구비되는 폴딩이동연결부; 및
    상기 폴딩이동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가공물의 위치를 조절하는 폴딩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조장치.
KR1020230137495A 2023-10-16 2023-10-16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KR102639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495A KR102639612B1 (ko) 2023-10-16 2023-10-16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495A KR102639612B1 (ko) 2023-10-16 2023-10-16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612B1 true KR102639612B1 (ko) 2024-02-22

Family

ID=9005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495A KR102639612B1 (ko) 2023-10-16 2023-10-16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6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50A (ko) * 2008-01-29 2009-08-03 김재수 압축 및 확관 공정을 이용한 롱넥 플랜지 성형방법
KR20130080316A (ko) * 2012-01-04 2013-07-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무 호스 성형 금형 및 그것의 맨드릴 제조방법
KR101336291B1 (ko) * 2013-07-18 2013-12-05 이성구 맞댐 리벳조인트용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59479B1 (ko) * 2013-07-18 2014-02-12 이성구 엠보싱 후 용접 연결형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81969B1 (ko) 2013-04-03 2015-01-14 윤정옥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3050A (ko) * 2008-01-29 2009-08-03 김재수 압축 및 확관 공정을 이용한 롱넥 플랜지 성형방법
KR20130080316A (ko) * 2012-01-04 2013-07-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고무 호스 성형 금형 및 그것의 맨드릴 제조방법
KR101481969B1 (ko) 2013-04-03 2015-01-14 윤정옥 일체형 플랜지부를 갖는 사각덕트
KR101336291B1 (ko) * 2013-07-18 2013-12-05 이성구 맞댐 리벳조인트용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59479B1 (ko) * 2013-07-18 2014-02-12 이성구 엠보싱 후 용접 연결형 고강성 경량 빔과 그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4565B2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US7863542B2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method as well as debris extraction mechanism and debris extraction method
JP5254329B2 (ja) レーザ切断装置およびレーザ溶接装置
AU2012327186B2 (en) Cutting machine waste extraction apparatus
ES2337290T3 (es) Laminador asistido por maquina y metodo.
TWI622442B (zh) 積層造型裝置
CN207057848U (zh) 用于微流控芯片的激光刻蚀机
KR102639612B1 (ko) 덕트 제조장치 및 시스템
CN111098045B (zh) 一种用于玻璃无锥度精密深孔阵列的加工***及方法
WO2008144969A1 (en) A cutting device for a prepreg sheet and the method therefor
RU260892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борок
US20190143456A1 (en) Laser cutting machine for the working of material presented in sheet and/or reel form
JP2016055424A (ja) 自動材料切断システム
CN103212841B (zh) Smt模板激光湿切割及检测的加工设备
CN214882508U (zh) 一种自动纵横分条机构
CN103212837B (zh) Smt模板激光湿切割的加工设备
CN212590483U (zh) 一种立式折叠口罩全自动化生产设备
CN104943235B (zh) 一种方底袋侧边料形成机构
JP6475952B2 (ja) レーザ描画装置、車両用加飾部品の製造方法、レーザ加飾方法
CN103212835B (zh) Smt模板激光湿切割及检测的方法
KR102547957B1 (ko) 이형필름 재생용 이음매 테이프 부착 시스템
JP2003326384A (ja) 合成樹脂切断用レーザ光照射装置
CN106042346B (zh) 折皱的制造方法
JP2015182220A (ja) ストリッピング装置の雌型の加工装置
CN217889885U (zh) 用于切割透明牙科器械的激光切割机的焦点确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