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326B1 -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326B1
KR102638326B1 KR1020230136807A KR20230136807A KR102638326B1 KR 102638326 B1 KR102638326 B1 KR 102638326B1 KR 1020230136807 A KR1020230136807 A KR 1020230136807A KR 20230136807 A KR20230136807 A KR 20230136807A KR 102638326 B1 KR102638326 B1 KR 102638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ration module
water supply
cleaning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정대용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3013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5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관로본체와,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관로본체로 이송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관로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여과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세척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여과모듈과, 상기 여과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여과모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척 밸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본체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모듈을 설치하여 상수도의 청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관로본체 또는 여과모듈의 유체흐름을 감지하여 여과모듈을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s}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본체의 내부에 유체에 포함되는 소형생물 및 유충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모듈을 설치하여 상수도의 청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관로본체 또는 여과모듈의 유체흐름을 감지하여 여과모듈을 세척할 수 있고, 여과모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수도 관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세척 가능하여 상수도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상수도(drinking water supply, 上水道)는 직접 음용 가능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되는 물을 수도관을 이용하여 주택, 아파트, 빌딩, 공장 등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수도 시설은 수원의 물을 각 사용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의 수송과 분배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도수관과 펌프 시설, 집중되는 물 사용량의 시간변동 및 화재와 진재에 대비한 시가지 내의 정수 저류시설, 수량의 유통과 수압을 급수구역의 전역에 걸쳐 제어하는 컨트롤 시스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수도 시설에 사용되는 상수도관은 특성상 장기간 사용되고, 지하에 매설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로 인하여 상수도관은 유지보수 및 관리가 매우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상수도 관로에 소형생물 및 유충 등이 포함됨은 물론 상수도관의 노후화로 인해 녹 발생하고, 도막이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와 같은 문제로 각종 이물질이 침착되어 유출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수도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3521호(등록일:2022.04.28)에는 "혼탁수 방지용 복합여과시스템을 구비한 교체 기능이 개선된 상수도 관로형 자동 필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본체의 내부에 여과모듈을 설치하여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소형생물 및 유충 등의 발생과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수도의 청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 관로의 유체이송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세척 밸브부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유체의 차이를 이용하여 여과모듈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여과모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수도 관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수도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관로본체와,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관로본체로 이송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관로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여과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세척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여과모듈과, 상기 여과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여과모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척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모듈은,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세척 드레인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세척 밸브부의 상기 개폐부재를 밀폐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속의 변화에 의해 흡착된 이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세척 드레인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 밸브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 지지축을 통해 상기 관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기 관로본체 또는 상기 여과모듈에 유량, 유속 및 유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유체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기 유체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세척 밸브부와 상기 세척 드레인부를 개폐를 제어하는 세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세척 밸브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로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과, 이물질의 여과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필터 스크린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세척 드레인부와 연결되는 드레인 집수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 집수경사부는,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면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외면이 통기성이 없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본체의 내부에 여과모듈을 설치하여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수도의 청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관로본체의 내부에 여과모듈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관로본체를 상수도 관로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과 시공 편의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여과모듈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여과모듈을 세척할 때 상수도 관로의 유체이송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세척 밸브부의 개폐에 따라 발생하는 유체의 유속 차이를 이용하여 여과모듈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여과모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상수도 관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수도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여과모듈을 세척할 때 유속의 흐름이 여과모듈 외부에서 내부로 빨라짐으로 인하여 유속에 의해 여과모듈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이 여과모듈의 내부로 이탈되어 세척 드레인부를 통해 배수되므로, 여과모듈 세척시에 이물질이 상수도 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여과모듈 개방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여과모듈 밀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여과모듈 개방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여과모듈 밀폐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크게 상수도 관로(10)에 연결되는 관로본체(110)와, 상수도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모듈(120)과, 여과모듈(120)의 세척을 위한 세척 밸브부(130)와, 유체를 감지하기 이한 유체압력센서부(140)와, 세척 제어를 위한 세척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상수도 관로(10)에 관로본체(1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여과모듈(120)을 세척할 때 상수도 관로(10)의 수돗물 이송을 멈추지 않고 진행할 수 있어 수돗물의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관로본체(110)는 양단부가 상수도 관로(10)의 입수측 배관(11)과 출수측 배관(13)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로 이송되는 수돗물의 여과를 위한 여과모듈(120)이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로본체(110)는 상수도 관로(10)의 입수측 배관(11)에 연결되는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여과모듈(120)의 설치를 위하여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출수측 배관(13)에 연결되는 출수연결 관체부(113)와, 출수연결 관체부(113)의 연결을 위한 관로연결 신축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관로본체(110)를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출수연결 관체부(113)로 분할 형성하는 것은 여과모듈(1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입수연결 플랜지부(111)는 일단부에 입수측 배관(11)과 연결되는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출수연결 관체부(113)에 연결되는 확장 플랜지부(11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에는 여과모듈(120)의 입수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수도 관로(10)의 입수측 배관(11)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인 수돗물이 여과모듈(120)을 통과하여 관로본체(110)로 이송될 수 있다.
출수연결 관체부(113)는 그 직경이 여과모듈(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부로 여과모듈(1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출수연결 관체부(113)는 확장 플랜지부(111b)에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113a)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출수측 배관(13)에 연결되는 출수연결 플랜지부(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출수연결 관체부(113)에는 세척 밸브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로본체(110)는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출수연결 관체부(113)로 분할 형성되므로, 여과모듈(120)의 결합과 설치 또는 교체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모듈(120)은 상수도 관로(10)의 수돗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관로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돗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며, 여과되는 이물질을 관로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여과모듈(120)은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21)과,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되는 필터 스크린부(123)과, 이물질의 드레인을 위한 드레인 집수경사부(125)와, 세척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세척 드레인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모듈(120)은 지지 프레임(121)이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에 결합되고, 세척 드레인부(127)가 관로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출수연결 관체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여과모듈(120)은 지지 프레임(121)의 중앙부에 세척 밸브부(130)가 설치되며, 세척 밸브부(130)에 의해 내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여과모듈(120)은 세척 밸브부(130)의 설치를 위하여 지지 프레임(121)이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21)은 제1프레임(121a)과 제2프레임(121b)으로 분할 형성되며, 제1프레임(121a)이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에 결합되고, 제2프레임(121b)에 드레인 집수경사부(125)가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21a)과 제2프레임(121b)은 내부에 세척 밸브부(13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21a)은 입수배관 플랜지부(111a)에 결합되어 입수측 배관(11)과 연통하는 상수도 연통배관부(12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1b)에는 유체압력센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스크린부(123)는 지지 프레임(121)에 결합되며, 수돗물의 미세 이물질까지 여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금속필터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 스크린부(123)는 각각의 금속필터가 서로 다른 메쉬망 크기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스크린부(123)는 이물질이 흡착됨에 따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량 및 유속이 감소하게 되면 세척 밸브부(130)의 작동에 따라 세척이 이루어져 흡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스크린부(123)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여과모듈(1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여과모듈(120)의 내부로 분리되어 드레인 처리된다.
이때, 필터 스크린부(123)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드레인 집수경사부(125)를 통해 세척 드레인부(127)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다. 드레인 집수경사부(125)는 제2프레임(121b)의 끝단에 결합되며, 수돗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통기성이 없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레인 집수경사부(125)는 제2프레임(121b)에서 세척 드레인부(127)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집수경사부(125)는 금소판에 의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집수경사부(125)를 이용하여 필터 스크린부(123)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을 세척 드레인부(127)로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세척 드레인부(127)는 일단부가 드레인 집수경사부(125)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출수연결 관체부(113)를 통과하여 관로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세척 드레인부(127)는 여과모듈(120)의 세척시에만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드레인 개폐밸브(127a)를 구비한다. 드레인 개폐밸브(127a)는 여과모듈(120)의 세척시에 세척 제어부(150)의 제어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여과모듈(120)의 세척을 위한 세척 밸브부(130)는, 세척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여과모듈(12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관로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밸브부(130)는 여과모듈(120)의 개폐를 위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131)와, 개폐부재(131)에 연결되도록 관로본체(110)에 구비되는 개폐 구동부(133)를 포함하며, 개폐 구동부(133)가 세척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개폐부재(131)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외주면 양단에 지지 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돌부(131a)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21a)과 제2프레임(121b)에는 회전지지돌부(131a)의 결합을 위한 반원 형태의 결합홈부(121d)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개폐부재(131)는 회전지지돌부(131a)에 결합되며, 개폐 구동부(133)에 연결되는 회전 지지축(135)이 각각 결합된다. 회전 지지축(135)은 일단부가 회전지지돌부(131a)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관로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 밸브부(130)는 여과모듈(120)의 상수도 연통배관부(121c)측으로 더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 밸브부(130)의 작동을 통해 개폐부재(131)가 여과모듈(120)을 밀폐하면 여과모듈(120)로 유입되는 유체가 개폐부재(131)에 충돌하면서 제1프레임(121a)의 외부로 배출된 후, 개폐부재(131)의 외측을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제1프레임(121a)의 내부로 재유입되어 여과모듈(120)의 이물질을 이탈시키게 된다. 이때, 세척 드레인부(127)를 통해 유체가 드레인됨에 따라 여과모듈(1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유속이 더욱 빠르게 흐를 수 있다. 즉, 유속의 증가로 여과모듈(120)의 이물질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체압력센서부(140)는 여과모듈(120)의 입수측 압력과 관로본체(110)의 출수측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여과모듈(120)의 내부 유압과 관로본체(110)의 출수측 압력을 각각 감지하여 세척 제어부(150)로 세척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유체압력센서부(140)는 여과모듈(12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제1유체압력센서(140a)와, 관로본체(110)의 출수연결 관체부(113)의 출수 압력을 감지하는 제2유체압력센서(140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모듈(1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감소하면, 여과모듈(120)의 내부 유체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즉, 여과모듈(120)의 여과효과가 저하되면 여과모듈(12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체압력센서부(140)를 이용하여 여과모듈(120)의 유압을 측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여과모듈(120)의 유체이송 유량 압력 등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압을 감지하여 여과모듈(120)의 이물질 흡착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세척 제어부(150)는 유체압력센서부(140)의 제1유체압력센서(140a)와 제2유체압력센서(140b)에서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세척 밸브부(130)와 세척 드레인부(127)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제어부(150)는 제1유체압력센서(140a)와 제2유체압력센서(140b)에서 세척을 위한 신호가 발생하면, 세척 밸브부(130)를 작동하여 여과모듈(120)의 내부를 밀폐하고, 세척 드레인부(127)의 드레인 개폐밸브(127a)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여과모듈(120)의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세척 드레인부(127)로 배출처리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여과모듈(120)의 유지보수 및 설치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출수연결 관체부(113)와 상수도 관로(10)의 출수측 배관(13)을 연결할 때 관로연결 신축관부(115)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로연결 신축관부(115)을 이용하여 출수연결 관체부(113)와 출수측 배관(13)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밸브부(130)의 조립과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관로본체(110)의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출수연결 관체부(113) 사이에 밸브지지 플랜지관부(117)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밸브지지 플랜지관부(117)는 양단부에 플랜지를 구비하여 양단부가 입수연결 플랜지부(111)와 출수연결 관체부(113)에 각각 결합되며, 외면에 개폐구동부(133)가 고정되고, 회전 지지축(135)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 밸브부(1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시에 세척 밸브부(130)의 분해 조립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상수도 관로(10)에 연결되는 관로본체(110)의 내부에 여과모듈(120)을 설치하여 사용처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상수도의 청결성과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어 이물질로 인한 민원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관로본체(110)의 내부에 여과모듈(12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관로본체(110)만을 상수도 관로(10)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설치 가능하여 시공성과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여과모듈(120)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여과모듈(120)의 세척이 필요할 때 상수도 관로(10)의 유체이송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세척 밸브부(130)의 개폐부재(131) 밀폐만으로 여과모듈(12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드레인시킬 수 있다. 즉, 상수도 관로(10)의 수돗물 이송을 정지하지 않고 상수도 공급을 유지하면서 여과모듈(120)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상수도 공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100)는, 여과모듈(120)을 세척할 때 유속의 흐름이 여과모듈(120) 외부에서 내부로 빨라지게 하는 유속의 변화를 통해 여과모듈(120)의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여과모듈(120)에서 이탈되는 이물질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즉, 여과모듈(120) 세척과 이물질의 배출을 간단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10 : 상수도 관로
11 : 입수측 배관 13 : 출수측 배관
110 : 관로본체 111 : 입수연결 플랜지부
111a : 입수배관 플랜지부 111b : 확장 플랜지부
113 : 출수연결 관체부 113a : 결합 플랜지
113b : 출수연결 플랜지부 115 : 관로연결 신축관부
117 : 밸브지지 플랜지관부 120 : 여과모듈
121 : 지지 프레임 121a : 제1프레임
121b : 제2프레임 121c : 상수도 연통배관부
121d : 결합홈부 123 : 필터 스크린부
125 : 드레인 집수경사부 127 : 세척 드레인부
127a : 드레인 개폐밸브 130 : 세척 밸브부
131 : 개폐부재 133 : 개폐구동부
135 : 회전 지지축 140 : 유체압력센서부
150 : 세척 제어부

Claims (6)

  1. 상수도 관로에 연결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관로본체; 상기 상수도관에서 상기 관로본체로 이송하는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관로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여과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세척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여과모듈; 및 상기 여과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여과모듈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척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여과모듈은, 상기 세척 밸브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로본체에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 이물질의 여과를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필터 스크린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세척 드레인부와 연결되는 드레인 집수경사부;를 포함하고,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세척 드레인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상기 세척 밸브부의 상기 개폐부재를 밀폐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속의 변화에 의해 흡착된 이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세척 드레인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밸브부는, 상기 개폐부재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 지지축을 통해 상기 관로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관로본체 또는 상기 여과모듈에 유량, 유속 및 유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유체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감지센서에서 감지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세척 밸브부와 상기 세척 드레인부를 개폐를 제어하는 세척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집수경사부는, 이물질의 통과를 방지하면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외면이 통기성이 없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20230136807A 2023-10-13 2023-10-13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2638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807A KR102638326B1 (ko) 2023-10-13 2023-10-13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807A KR102638326B1 (ko) 2023-10-13 2023-10-13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326B1 true KR102638326B1 (ko) 2024-02-21

Family

ID=9005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807A KR102638326B1 (ko) 2023-10-13 2023-10-13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3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6B1 (ko) * 2006-09-27 2007-03-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의 플랩밸브구조.
KR102154227B1 (ko) * 2020-02-06 2020-09-09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26B1 (ko) * 2006-09-27 2007-03-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도 배관용 스트레이너의 플랩밸브구조.
KR102154227B1 (ko) * 2020-02-06 2020-09-09 청정테크주식회사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KR102304127B1 (ko) * 2021-05-03 2021-09-23 주식회사 현대밸브 배관 상의 필터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4257B2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AU2014319027B8 (en) Nozzle-brush automatic cleaning filter with motor reducer
US8221632B2 (en) Surface water filtration device
US20050109693A1 (en) Downspout filter
EP3423413B1 (en) Intake filter for water collection system with pressure activated backwash valve
CN110694324A (zh) 一种前置水过滤器
KR20160069652A (ko) 하수여과스크린
RU2435625C2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ильтрации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KR102638326B1 (ko) 상수도 관로용 이물질 여과장치
US20210039024A1 (en) Household wastewater filter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CN211799300U (zh) 一种观赏水用反冲洗过滤箱
KR20190105307A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200207850Y1 (ko) 이물질 수집통이 장치된 스트레이너
JP5643908B1 (ja) 排水システム
KR100718547B1 (ko) 회전식 상향류 수질 여과 장치
JP2858504B2 (ja) 管内異物排出装置
AU201420045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CN212214823U (zh) 管道过滤器
CN116212502B (zh) 一种给排水的管道过滤设备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CN218990372U (zh) 一种自清洁的市政污水管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