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49B1 -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949B1
KR102637949B1 KR1020180094876A KR20180094876A KR102637949B1 KR 102637949 B1 KR102637949 B1 KR 102637949B1 KR 1020180094876 A KR1020180094876 A KR 1020180094876A KR 20180094876 A KR20180094876 A KR 20180094876A KR 102637949 B1 KR102637949 B1 KR 10263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nterest
image
area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398A (ko
Inventor
장수은
박학선
원인수
천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94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9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썸네일(thumbnail)을 관리하는 서버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THUMBNAIL, AND DEVICE FOR USING THUMBNAIL}
본 발명은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검출 방식은 최초로 이벤트를 감지한 카메라에서 다른 카메라로 이벤트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 카메라에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객체를 탐색한다. 이때, 이벤트 데이터는 단순 텍스트 형태의 다발성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 카메라에서는 이벤트 데이터만으로 관심 객체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기 힘들고, 해당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내에서 관심 객체를 검출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다.
한편, 이벤트 검출 시마다 생성되는 썸네일 이미지는 임시 파일에 저장되었다가 별다른 사용없이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상 상황이 좋지 않을 때는 불필요한 이벤트 검출이 다수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썸네일 수가 많아지는데 이 중 유효한 이벤트가 포함된 썸네일의 수는 극히 적으며 의미없는 썸네일이 많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130717호 (2015.11.24.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썸네일(thumbnail)을 생성하고,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썸네일(thumbnail)을 관리하는 서버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썸네일을 이용하는 대상 단말은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썸네일 관리 서버로부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이 생성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이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은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썸네일(thumbnail)을 생성하고,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단말에서 썸네일을 이용하여 촬영 중인 관심 영역 내에서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썸네일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적은 수량의 대상 단말의 설치 대수로도 다수의 소스 단말과 연동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 검출 및 객체 추적을 위한 별도의 단말을 설치할 때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thumbnail)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썸네일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에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대상 단말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thumbnail)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썸네일 관리 시스템은 썸네일 관리 서버(100), 소스 단말(110) 및 대상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썸네일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썸네일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예를 들면,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단말(110)은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고정된 위치에서 촬영하는 고정형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썸네일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검출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소스 단말(110)에 대한 정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대상 단말(120)이 촬영하는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단말(120)은 기설정된 관심 영역 내에서 특정 객체를 추적할 수 있는 비고정형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존에 의미없이 버려지는 썸네일을 이미지 분석 시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썸네일 관리 서버(100)에서 썸네일의 헤더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대상 단말(120)에서는 썸네일의 헤더로부터 추출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해 관심 영역 내 관심 객체를 검출하는데 썸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썸네일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썸네일 관리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영상 수신부(200), 검출부(210), 썸네일 생성부(220), 수집부(230), 관리부(240), 저장부(250) 및 전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영상 수신부(200)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관심 영역은 예를 들면, 소스 단말별로 지정된 촬영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소스 단말(110)은 예를 들면, 소스 단말(110)의 주변에 설치된 복수의 IoT 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IoT 센서로부터 이벤트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벤트 감지 데이터를 전송한 IoT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IoT 센서로부터 모션 감지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감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소스 단말(110)은 제 1 IoT 센서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영역을 관심 영역(301)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관심 영역(301)을 촬영할 수 있다.
검출부(210)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이벤트는 썸네일 관리 서버(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된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부(210)는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22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생성부(220)는 검출된 이벤트의 전후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을 더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썸네일 생성부(220)는 수신한 영상 중 물체의 움직임 감지 이벤트가 검출된 장면에 대하여 썸네일(303)을 생성할 수 있다.
수집부(230)는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검출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예컨대, 관심 영역 내 물체 타입 또는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소스 단말(110)에 대한 정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이벤트가 검출된 시각에서의 지역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집부(230)는 영상을 전송한 소스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서 소스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230)는 이벤트가 검출된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IoT 센서에 대한 정보(예컨대, IoT 센서의 위치, 식별정보, 종류 등)를 수집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수집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50)는 썸네일의 EXIF 헤더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JSON 포맷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의 파일 형식인 JPEG의 헤더의 사용자 코멘트(User comment) 영역이나, 메이커 노트(Maker note) 영역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와 같이, 썸네일의 헤더 영역(305)에는 검출된 이벤트 종류, 관심 영역 내 물체의 타입 정보, 관심 영역 내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관심 영역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소스 단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은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Event”:”eventData",
“eventType”:”MotionDetection”,
“objectType”:”Tree”,
“ROIinfo”:
[{“posX”:943,”posY”:734,”W”:35,”Y”:70}],
“location”:”area A3”,
“weather”:”Cloudy, strong winds are blowing”,
“camInfo”:[{“IP”:”XX.XX.XX.XX.XX.XX”, …}]
…}]
저장부(250)는 썸네일을 이벤트 타입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50)는 움직임 감지 이벤트 타입, 가려짐 감지 이벤트 타입 및 통과 감지 이벤트 타입 중 하나의 타입으로 썸네일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50)는 제 1 썸네일이 물체의 움직임 감지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경우, 제 1 썸네일을 움직임 감지 이벤트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 2 썸네일이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경우, 제 2 썸네일을 가려짐 감지 이벤트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 3 썸네일이 관심 영역으로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경우, 제 3 썸네일을 통과 감지 이벤트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썸네일 내에 존재하는 물체를 명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관리부(240)는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썸네일에 대한 이미지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240)는 썸네일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 중,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에 대한 이미지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의 날씨가 안개가 낀 날씨(또는 비가 내리거나 흐린 날씨)인 경우, 썸네일에 대한 이미지 품질(즉, 썸네일의 이미지 명확도)이 떨어질 수 있다.
관리부(240)는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이 훼손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복구 알고리즘을 통해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을 복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의 안개 날씨로 인해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되면, 복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으로 인한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을 복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상 상태로 인한 오인식, 원하지 않는 객체에 대한 판별 오류 등을 확인하여 추후 썸네일을 이용한 이벤트 검출 시의 오인식률을 낮출 수 있다.
관리부(240)는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부(240)는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40)는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하고,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부(240)는 썸네일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 중,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풍속이 기설정된 임계 값보다 높을 때, 소스 단말(110)의 진동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흔들림이나, 관심영역 내 물체(예컨대, 나무와 같은 피사체)의 흔들림에 의한 불필요한 이벤트가 감지되고, 감지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개의 썸네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부(240)는 불필요한 이벤트에 따라 생성된 복수개의 썸네일을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다.
관리부(240)는 유효 이미지 및 비유효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한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검출된 이벤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부(240)는 검출부(210)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대하여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이 유효 이미지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인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4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이 비유효 이미지로 필터링된 경우, 관심 영역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무시하고,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이 유효 이미지로 필터링된 경우, 검출된 이벤트를 관심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전달부(260)는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대상 단말(120)은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영상 수신부(200), 검출부(210), 썸네일 생성부(220), 수집부(230), 관리부(240), 저장부(250) 및 전달부(2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409 이후에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1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에 대한 썸네일의 관련 정보를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의 관련 정보는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소스 단말(110)에 대한 정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썸네일에 대한 이미지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이 훼손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복구 알고리즘을 통해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을 복구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01 내지 S5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소스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생성된 영상에 대한 썸네일의 관련 정보를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의 관련 정보는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소스 단말(110)에 대한 정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하고,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유효 이미지 및 비유효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한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검출된 이벤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9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 간에 객체를 추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소스 단말(110) 각각이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한 영상(700)을 썸네일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면,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영상 내 관심 영역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썸네일의 헤더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이후, 썸네일 관리 서버(100)는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썸네일의 헤더에 저장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 내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의 헤더로부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로부터 관심 영역 내에서 추적할 관심 객체에 대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종류(예컨대, 움직임 감지 이벤트, 가려짐 감지 이벤트, 통과 감지 이벤트 등), 썸네일에 포함된 물체의 타입,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추적할 관심 객체에 대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복구 알고리즘을 통해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을 복구할 수 있다.
대상 단말(120)은 대상 단말(120)에서 촬영한 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에서 썸네일에 포함된 객체의 특징과 유사한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 단말(120)은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 중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객체의 움직임 및 관심 객체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대상 단말(120)은 관심 영역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소스 단말(110)과 연동하여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소스 단말(110)과 연동된 IoT 센서(70)에 대한 정보(예컨대, IoT 센서(70)의 식별 정보 및 IoT 센서(70)와의 연결을 위한 IP 정보 등)가 포함된 경우, 대상 단말(120)은 IoT 센서(7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IoT 센서(70)와 접속 연결하여 IoT 센서(70)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IoT 센서(70)는 예를 들면, 움직임 감지센서, 소리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썸네일의 이미지와 함께 관심 객체의 추적에 필요한 정보(즉,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대상 단말(120)에게 전송하기 때문에 복수의 소스 단말(110)과 대상 단말(120) 간에 이벤트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가의 객체 추적 기능이 탑재된 대상 단말(120)(예를 들어, PTZ(Pan-Tilt-Zoom) 카메라)를 다수개 설치하지 않더라도, 소스 단말(110)과의 연동 및 IoT 센서(70)와의 연동을 활용하여 관심 객체의 감시를 위한 보조 역할로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출된 썸네일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단말(120)에서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효율적으로 추적 및 탐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대상 단말(120)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대상 단말(120)은 촬영부(800), 수신부(810) 및 검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대상 단말(1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촬영부(800)는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수신부(810)는 썸네일 관리 서버(100)로부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썸네일은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110)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해당 영상 내 관심 영역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생성된 후에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일 수 있다. 여기서, 검출된 이벤트는 예를 들면,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소스 단말(110)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는 예를 들면, 검출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 관심 영역 내에서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소스 단말(110)에 대한 정보, 소스 단말(110)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이벤트가 검출된 시각에서의 지역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820)는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820)는 썸네일의 헤더에 저장된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단말(120)이 촬영 중인 관심 영역 내에서 추적할 관심 객체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촬영부(800), 수신부(810) 및 검출부(8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썸네일 관리 서버
110: 소스 단말
120: 대상 단말
200: 영상 수신부
210: 검출부
220: 썸네일 생성부
230: 수집부
240: 관리부
250: 저장부
260: 전달부
800: 촬영부
810: 수신부
820: 검출부

Claims (18)

  1. 썸네일(thumbnail)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썸네일 생성부;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가 검출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을 분석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관심 영역 내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한 움직임 감지 이벤트, 상기 소스 단말의 영상이 가려짐을 감지하는 가려짐 감지 이벤트,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해 출입하는 대상을 감지하는 통과 감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관심 영역에 대한 정보, 상기 관심 영역 내에서 상기 이벤트가 검출된 픽셀 정보, 상기 소스 단말에 대한 정보, 상기 소스 단말이 설치된 지역에 관한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썸네일을 이벤트 타입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썸네일에 대한 이미지 품질을 분석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이 훼손된 것으로 분석된 경우, 복구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썸네일의 이미지 품질을 복구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유효 이미지 및 상기 비유효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한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단말을 통해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가 검출되는 것인, 썸네일 관리 서버.
  11. 썸네일(thumbnail)을 이용하는 대상 단말에 있어서,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
    썸네일 관리 서버로부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검출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이 생성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이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가 검출되고,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이 분석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되는 것인, 대상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은 상기 관심 영역과 관련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소스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관심 객체를 검출하는 것인, 대상 단말.
  13. 썸네일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썸네일(thumbnail)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가 검출되고,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방법.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이미지 및 상기 비유효 이미지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한 분류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이미지로 분류된 썸네일을 상기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대상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썸네일 관리 방법.
  18. 썸네일(thumbnail)을 관리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경우,
    기설정된 관심 영역을 촬영하는 소스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영상 내의 관심 영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장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 대한 썸네일을 생성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 또는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상기 썸네일에 대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영역 내의 관심 객체가 검출되고,
    상기 썸네일의 헤더에 기입된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썸네일을 통해 포착된 객체에 대한 유효성을 분석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썸네일을 유효 이미지로 분류하고, 상기 포착된 객체가 유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썸네일을 비유효 이미지로 분류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94876A 2018-08-14 2018-08-14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KR102637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76A KR102637949B1 (ko) 2018-08-14 2018-08-14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76A KR102637949B1 (ko) 2018-08-14 2018-08-14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98A KR20200019398A (ko) 2020-02-24
KR102637949B1 true KR102637949B1 (ko) 2024-02-20

Family

ID=6963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76A KR102637949B1 (ko) 2018-08-14 2018-08-14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9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114B1 (ko) * 2004-08-1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의 비디오 정보 검색 방법
KR101427248B1 (ko) * 2012-10-11 2014-08-13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20584B1 (ko) * 2015-12-29 2017-03-29 주식회사 카카오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8032994A (ja) * 2016-08-24 2018-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追跡支援装置、追跡支援システムおよび追跡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96B1 (ko) 2014-05-14 2021-02-03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주차시 차량용 블랙박스의 이벤트 감지시스템 및 그 이벤트 감지방법
KR20180038241A (ko) * 2016-10-06 2018-04-1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114B1 (ko) * 2004-08-1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의 비디오 정보 검색 방법
KR101427248B1 (ko) * 2012-10-11 2014-08-13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의료영상의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20584B1 (ko) * 2015-12-29 2017-03-29 주식회사 카카오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8032994A (ja) * 2016-08-24 2018-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追跡支援装置、追跡支援システムおよび追跡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98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94091A1 (zh) 一种图像抓拍方法、监控相机及监控***
US9208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vidence video
CN102891960B (zh) 用于确定图像调整参数的方法和相机
CN101918989B (zh) 带有对象跟踪和检索的视频监控***
US83148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recognition of facial areas in photographic images from a digital camera
JP5213105B2 (ja) 映像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映像データ管理方法
CN112183353B (zh) 一种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和相关设备
EP2688296B1 (en) Video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88363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11318B (zh) 一种基于视频流的多人脸检测与跟踪方法
CN104200671A (zh) 一种基于大数据平台的虚拟卡口管理方法及***
KR20110132884A (ko) 다중 동영상 색인 및 검색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183473B1 (ko) 영상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1405222B (zh) 视频告警方法、视频告警***及告警图片的获取方法
US11363234B2 (en) Video management system and video management method
CN104869316B (zh) 一种多目标的摄像方法及装置
CN103324919A (zh) 基于人脸识别的视频监控***及其数据处理方法
CN116916049B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视频数据在线采集与存储***
CN111753743B (zh) 一种基于网闸的人脸识别方法及***
Yang et al. Pedestrian tracking algorithm for dense crowd based on deep learning
KR102637949B1 (ko) 썸네일을 관리하는 서버, 방법, 썸네일을 이용하는 단말
CN112131915B (zh) 人脸考勤***以及摄像机和码流设备
JP5455101B2 (ja) 映像処理システムと映像処理方法、映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KR102656084B1 (ko) 이동경로 기반 객체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2242693B1 (ko) Vms 기반의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