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698B1 - 교량받침의 마찰재 - Google Patents

교량받침의 마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698B1
KR102637698B1 KR1020220169783A KR20220169783A KR102637698B1 KR 102637698 B1 KR102637698 B1 KR 102637698B1 KR 1020220169783 A KR1020220169783 A KR 1020220169783A KR 20220169783 A KR20220169783 A KR 20220169783A KR 102637698 B1 KR102637698 B1 KR 10263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aterial
upper plate
bridge support
collision preven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원
한원일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6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를 제시함으로써,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교량받침의 마찰재{FRICTION MEMBER FOR BRIDGE BEARING}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의 마찰재에 관한 것이다.
교량받침이란, 교량의 상부 구조물(상판, 거더 등)과 하부 구조물(교각, 코핑 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하부 구조물에 전달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는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상대변위를 허용함으로써, 유해응력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한다.
종래의 마찰재 방식의 교량받침의 경우, 상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재(마찰계수가 작은 재질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를 설치하고, 그 마찰재와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상대변위를 허용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런데 종래의 교량받침은 강재 상부 플레이트와 강재 마찰재를 사용하므로, 강재의 부식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점, 유지보수를 위하여 교량받침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수고와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38767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27794 유럽공개특허 2179189 유럽등록특허 26784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를 제시한다.
원판형 구조로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편평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량의 상부 구조물(10)의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편평부(110) 사이의 슬라이딩 발생 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 사이의 저촉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모따기 구조로 형성된 저촉 방지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하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인 급경사형 모따기부(12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함몰된 깊이에 비해 함몰된 폭이 크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인 완경사형 모따기부(1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종단면이 만곡진 구조이고, 곡률중심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만곡형 모따기부(12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곡형 모따기부(123)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마찰재(100)를 이용한 교량받침으로서, 교각(20) 또는 코핑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300);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찰재(100); 상기 마찰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마찰재(100) 상면의 편평부(11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을 제시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는 강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에는 세라믹의 코팅에 의한 세라믹 코팅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의 세라믹 코팅부(210)와 상기 마찰재(100) 상면의 편평부(11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마찰재(100)의 하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삽입홈(30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를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교량받침의 단면도.
도 2는 마찰재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마찰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하중재하시험을 위한 시험장비의 사진.
도 5는 하중재하시험의 구성도.
도 6 내지 10은 하중재하시험의 결과에 관한 사진.
도 11은 하중재하시험의 결과의 그래프.
도 12는 마찰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마찰재의 제1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도.
도 14는 마찰재의 제1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분포도.
도 15는 마찰재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마찰재의 제2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도.
도 17은 마찰재의 제2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분포도.
도 18은 마찰재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19는 마찰재의 제3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도.
도 20은 마찰재의 제3 실시예의 구조해석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분포도.
도 21은 마찰재의 저촉 방지부의 구체적 실시예들의 단면도.
도 22 내지 25는 마찰재의 저촉 방지부의 구체적 실시예들의 구조해석에 의한 응력분포도 및 상부 플레이트의 변위분포도.
도 26은 상부 플레이트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받침은 기본적으로, 하부 플레이트(300), 마찰재(100), 상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플레이트(300)는 교각(20) 또는 코핑의 상부에 설치된다.
마찰재(100)는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 플레이트(200)는 상부 구조물(상판, 거더 등)의 하부로서, 마찰재(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마찰재(100) 상면의 편평부(11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함으로써,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의 상대변위를 허용하여, 유해응력의 발생을 방지한다.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면 중앙부에는, 마찰재(100)의 하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삽입홈(301)이 형성된다.
종래의 교량받침은 강재 마찰재를 사용하므로, 강재의 부식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점, 유지보수를 위하여 교량받침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세라믹 재질에 의한 마찰재를 사용하므로,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점, 이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이 있다.
마찰재(100)를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한다는 전제 하에, 상부 플레이트(200)는 종래와 같이 강 재질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 플레이트(200) 또한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전자는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라믹 재질과 강 재질의 경도 차이(세라믹이 강재에 비해 높은 경도를 가짐)로 인하여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후자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마찰계수가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하, 마찰재(100)를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하고, 상부 플레이트(200)는 종래와 같이 강 재질에 의해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마찰재(100)는, 원판형 구조로 형성된 몸통부;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편평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3)
1) 하중 재하시험
세라믹 재질의 마찰재(100)와, 강 재질의 상부 플레이트(200) 사이의 마찰성능, 내구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ton 2축 동적 시험기에 의해, 상재하중 및 수평하중(좌우 슬라이딩 구동을 위한) 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도 4)
효율적인 시험을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200)를 하부에 설치하고, 하부 플레이트(300)를 상부에 설치하며, 그 사이에 마찰재(10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서 하중을 재하함과 아울러, 하부의 상부 플레이트(200)가 좌우로 구동하도록 하였다.(도 5)
시험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재질의 경도가 강재에 비해 높기 때문에, 세라믹 재질의 마찰재(100)의 슬라이딩면에는 쓸림 자국 정도가 발생함에 비해,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는 큰 손상이 발생하였다.(도 6 내지 10)
도 11은 수평하중의 재하에 따른 변위-하중 그래프로서, x축은 상부 플레이트(200)의 수평방향 변위이고, y축은 상부 플레이트(200)에 가해진 수평하중을 의미한다.
초기에는 원활한 슬라이딩 구동이 발생함에 따라, 그래프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수평하중 하에서 일정한 수평방향 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에는 점진적으로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하여 마찰재(100)와 그 손상부 사이의 마찰계수가 커짐에 따라, 그래프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동일한 수평방향 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하중이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에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발생한 큰 손상부가 마찰재(100)의 수평방향 구동을 방해함에 따라, 그래프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수평하중이 가해짐에 불구하고 초기와 같은 수평방향 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라믹 재질의 경도가 강재에 비해 높기 때문에, 마찰재(10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구동 시, 세라믹 재질의 마찰재(100)의 가장자리가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을 파고듦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찰재(100)는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모따기 구조로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된 구조를 제시한다.(도 15,18)
이는 교량의 상부 구조물(10)의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편평부(110) 사이의 슬라이딩 발생 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 사이의 저촉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저촉 방지부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구조해석
도 12 내지 20은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에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된 경우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구조해석(ABAQUS model에 의한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200)를 하부에 설치하고, 하부 플레이트(300)를 상부에 설치하며, 그 사이에 마찰재(10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서 하중을 재하함과 아울러, 하부의 상부 플레이트(200)가 좌우로 구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도 5)
도 12 내지 14는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에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15 내지 17은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1.25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 18 내지 20은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2.50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만곡형 모따기부(123)는 종단면이 만곡진 구조이고, 곡률중심이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구조를 의미하고, 위 실시예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한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12,15,18은 위 마찰재(100)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16,19는 하중(수직하중, 수평하중)의 재하에 따라 마찰재(100)에 발생하는 응력에 관한 해석결과로서, 도면 (a)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고, 도 (b)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6mm 이격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며, 도 (c)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15mm 이격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다.
도 12,13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음)의 경우,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6mm 이격된 상태에서 최대 528MPa의 응력이 발생하였고(도 (b)),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15mm 이격된 상태에서 최대 2440MPa의 응력이 발생하는 것(도 (c))으로 나타났다.
위 응력은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와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 사이의 저촉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위 해석결과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도 15,16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1.25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됨)의 경우, 도 16의 (a),(b),(c) 모든 경우 40MPa 이내의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할 확률이 낮음을 의미한다.
도 18,19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2.50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됨)의 경우, 도 19의 (a),(b),(c) 모든 경우 10MPa 이내의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할 확률이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도 14,17,20은 하중(수직하중, 수평하중)의 재하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발생하는 변위(손상)에 관한 해석결과로서, 도면 (a)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에 위치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고, 도 (b)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6mm 이격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며, 도 (c)는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15mm 이격된 상태의 응력에 관한 것이다.
도 12,14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음)의 경우,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6mm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최대 0.06mm 깊이의 변위(함몰부)가 발생하였고(도 (b)), 마찰재(100)의 중심이 상부 플레이트(200)의 중심으로부터 15mm 이격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최대 0.4mm 깊이의 변위(함몰부)가 발생하는 것(도 (c))으로 나타났다.
위 변위는 마찰재(100)의 가장자리와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 사이의 저촉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위 해석결과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크게 발생함을 의미한다.
도 15,17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1.25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됨)의 경우, 도 17의 (a),(b),(c) 모든 경우 일정한 깊이의 변위(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작게 발생함을 의미한다.
도 18,20의 실시예(마찰재(100)에 저촉 방지부(120)로서 곡률이 2.50mm인 만곡형 모따기부(123)가 형성됨)의 경우, 도 20의 (a),(b),(c) 모든 경우 일정한 깊이의 변위(함몰부)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에 손상이 작게 발생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찰재(100)의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모따기 구조로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세라믹 재질의 경도가 강재에 비해 높음에 불구하고, 마찰재(10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구동 시, 세라믹 재질의 마찰재(100)의 가장자리가 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을 파고드는 문제점을 완화함을 확인할 수 있다.
3) 저촉 방지부의 구체적 실시예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구조해석
저촉 방지부(120)는 다음과 같은 3종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첫째, 급경사형 모따기부(121)로서,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하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이다.(chamber)
둘째, 완경사형 모따기부(122)로서, 함몰된 깊이에 비해 함몰된 폭이 크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이다.(taper)
셋째, 만곡형 모따기부(123)로서, 종단면이 만곡진 구조이고, 곡률중심이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구조이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하다.(round)
위와 같은 저촉 방지부(120)의 3종류의 구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7가지 실시예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도 21)
Case A-1 : 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Case B-1 : 급경사형 모따기부(121)로서,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1.25mm인 경우
Case B-2 : 급경사형 모따기부(121)로서,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0.625mm인 경우
Case C-1 : 만곡형 모따기부(123)로서, 곡률이 1.25mm인 경우
Case C-2 : 만곡형 모따기부(123)로서, 곡률이 0.625mm인 경우
Case D-1 : 완경사형 모따기부(122)로서, 단부의 경사도가 5°인 경우
Case D-2 : 완경사형 모따기부(122)로서, 단부의 경사도가 3°인 경우
표 1은 위 7가시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 하중재하 구조해석을 실시한 결과인 응력, 변위를 나타낸 것이다.
Case A-1(저촉 방지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은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가장 많은 응력과 변위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력이 많이 발생한 순서는 Case A-1, Case B-2, Case C-2, Case B-1, Case C-1, Case D-1, Case D-2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Case D-2(완경사형 모따기부(122)로서, 단부의 경사도가 3°인 경우)가 가장 작은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위가 많이 발생한 순서는 Case A-1, Case C-2, Case D-1, Case D-2, Case C-1, Case B-2, Case B-1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Case B-1(급경사형 모따기부(121)로서,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1.25mm인 경우)이 가장 작은 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2 내지 25는 Case A-1, Case B-1, Case C-1, Case D-1, Case D-2에 관한 구체적 해석결과로서, 수직하중이 12.5tonf이고, 수평변위 30mm 지점을 전제로 한 것이다.
세라믹 마찰재(100)의 물성은 인장강도 248MPa, 압축강도 2,000~2,500MPa, 휨강도 900MPa, 포아송비 0.23~0.32를 전제로 한 것이다.
표 2는 위 구조해석 결과를 정리한 것으로서, 각 실시예의 상당응력(von mises), 최대 주응력(Max. Principal), 함몰변위(z-axis Displacement)를 나타낸 것이다.
Case D-1(완경사형 모따기부(122)로서, 단부의 경사도가 5°인 경우)이 가장 작은 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마찰재(100) 및 상부 플레이트(200)를 모두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슬라이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마찰계수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에는 세라믹의 코팅에 의한 세라믹 코팅부(210)가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200)의 세라믹 코팅부(210)와 마찰재(100) 상면의 편평부(11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한다.(도 26)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재료는 강재에 비해 고가이므로, 상부 플레이트(200) 전체를 세라믹 재질로 제조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며,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에 세라믹의 코팅에 의한 세라믹 코팅부(210)를 형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표 3은 마찰재의 소재(Ceramic, STS(Stainless Steel))와 미끄럼판(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의 소재(Ceramic, STS(Stainless Steel))를 다양하게 조합한 실시예들에 대한 마찰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마찰재 및 미끄럼판(상부 플레이트(200)의 슬라이딩면)의 소재를 모두 세라믹(Ceramic)으로 한 경우, 가장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시험에서 사용된 세라믹 재질은 질화 규소(Silicon Nitride)로서, 그 구체적 성분은 다음과 같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상부 구조물 20 : 교각
100 : 마찰재 110 : 편평부
120 : 저촉 방지부 121 : 급경사형 모따기부
122 : 완경사형 모따기부 123 : 만곡형 모따기부
200 : 상부 플레이트 210 : 세라믹 코팅부
300 : 하부 플레이트 301 : 삽입홈

Claims (11)

  1. 강 재질에 의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200)와 접촉하여 슬라이딩이 발생하도록,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된 교량받침의 마찰재(100)로서,
    세라믹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원판형 구조로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편평부(110);를 포함하고,
    교량의 상부 구조물(10)의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교량받침의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편평부(110) 사이의 슬라이딩 발생 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 사이의 저촉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통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모따기 구조로 형성된 저촉 방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함몰된 깊이에 비해 함몰된 폭이 크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인 완경사형 모따기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하고, 종단면이 직선형 구조인 급경사형 모따기부(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촉 방지부(120)는,
    종단면이 만곡진 구조이고, 곡률중심이 상기 몸통부의 내부에 형성된 만곡형 모따기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형 모따기부(123)는,
    함몰된 깊이 및 함몰된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마찰재(100).
  8. 제1항,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마찰재(100)를 이용한 교량받침으로서,
    교각(20) 또는 코핑의 상부에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300);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마찰재(100);
    상기 마찰재(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의 저면과 상기 마찰재(100) 상면의 편평부(110) 사이에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200)는 강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마찰재(100)의 하부가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삽입홈(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KR1020220169783A 2022-12-07 2022-12-07 교량받침의 마찰재 KR10263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83A KR102637698B1 (ko) 2022-12-07 2022-12-07 교량받침의 마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83A KR102637698B1 (ko) 2022-12-07 2022-12-07 교량받침의 마찰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698B1 true KR102637698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783A KR102637698B1 (ko) 2022-12-07 2022-12-07 교량받침의 마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6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9189A1 (en) 2007-07-17 2010-04-28 CVI Engineering S.R.L. Sliding bearing for structural engineering and materials therefor
KR101538767B1 (ko) 2014-08-04 2015-07-22 매크로드 주식회사 마찰면이 밀폐된 마찰형 교좌장치
KR101844041B1 (ko) * 2017-09-12 2018-03-30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가변 저항력 마찰기구와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마찰 댐퍼
KR20180120250A (ko) * 2016-04-15 2018-11-05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량용 면진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190086663A (ko) * 2016-12-13 2019-07-23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티타늄산칼륨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마찰 조정재, 수지 조성물, 마찰재, 그리고 마찰 부재
KR102027794B1 (ko) 2019-01-03 2019-10-04 아이컨 주식회사 마찰판의 이탈 및 손상이 방지된 교량 받침
KR102678496B1 (ko) 2019-12-30 2024-06-25 벤자민무어앤드캄파니 높은 수준의 연쇄 전달제를 갖는 소수성의 낮은 유리 전이 온도 올리고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9189A1 (en) 2007-07-17 2010-04-28 CVI Engineering S.R.L. Sliding bearing for structural engineering and materials therefor
KR101538767B1 (ko) 2014-08-04 2015-07-22 매크로드 주식회사 마찰면이 밀폐된 마찰형 교좌장치
KR20180120250A (ko) * 2016-04-15 2018-11-05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교량용 면진 지지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KR20190086663A (ko) * 2016-12-13 2019-07-23 오츠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티타늄산칼륨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마찰 조정재, 수지 조성물, 마찰재, 그리고 마찰 부재
KR101844041B1 (ko) * 2017-09-12 2018-03-30 주식회사 케이이테크 가변 저항력 마찰기구와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및 마찰 댐퍼
KR102027794B1 (ko) 2019-01-03 2019-10-04 아이컨 주식회사 마찰판의 이탈 및 손상이 방지된 교량 받침
KR102678496B1 (ko) 2019-12-30 2024-06-25 벤자민무어앤드캄파니 높은 수준의 연쇄 전달제를 갖는 소수성의 낮은 유리 전이 온도 올리고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698B1 (ko) 교량받침의 마찰재
CN210216156U (zh) 一种基于扁平千斤顶法桥梁顶升的同步支撑机构
CN107724242A (zh) 一种低回缩钢绞线竖向预应力二次张拉方法
CN213772910U (zh) 一种具有缓冲作用的桥梁支座
JP2008082126A (ja) 耐震壁用の高性能ひび割れ誘発目地
Usami et al. Steel and concrete-filled steel compression members under cyclic loading
CN210657810U (zh) 一种横向连续支撑式浮轨型扣件***
KR102031150B1 (ko) 내진성이 우수한 탄성받침
CN207582289U (zh) 一种桥梁用三级隔振耗能支座
US4424935A (en) Spring rail fastener
JPH07166514A (ja) 橋梁等の扛上支持方法並びに支承装置
KR100401234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일체형 지진격리장치
CN210194453U (zh) 一种水利桥梁墩柱纠偏装置
JP2007024066A (ja) メタルガスケット
CN212000871U (zh) 一种防浪墙施工加固装置
CN209012555U (zh) 一种酸洗管道支撑装置
CN211286070U (zh) 一种高层建筑用的沉降缝装置
CN111441242A (zh) 一种三弧共心单向活动桥梁支座结构
KR101008665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KR100935908B1 (ko) 응력 분산 보강재
CN211228084U (zh) 一种减振降噪桥梁伸缩装置
KR102323737B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한 완충 부재를 갖는 교량 받침
JP7403106B2 (ja) 橋梁支承におけるサイドブロックの固定構造
FR3093862B1 (fr) Structure semi-conductrice optoélectronique comprenant une couche d’injection de type p à base d’InGaN
CN210507109U (zh) 一种无抬梁双曲面减隔震支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