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174B1 - 건조 분말 흡입기 - Google Patents

건조 분말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174B1
KR102637174B1 KR1020197016892A KR20197016892A KR102637174B1 KR 102637174 B1 KR102637174 B1 KR 102637174B1 KR 1020197016892 A KR1020197016892 A KR 1020197016892A KR 20197016892 A KR20197016892 A KR 20197016892A KR 102637174 B1 KR102637174 B1 KR 10263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powder
capsule
powder inhaler
base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290A (ko
Inventor
빅터 에스테이브
Original Assignee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filed Critical 엠파시스 임포르타도라 익스포르타도라 에 디스트리뷰이도라 엘티디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9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3Mouthpieces therefor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41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with movabl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건조 분말을 함유한 캡슐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에서, 상기 흡입기는 캡슐 리셉터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 및 2개의 천공 니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니들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을 천공하기 위해 정상 위치로부터 작동 방향을 따라 천공 위치로 서로를 향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버튼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의 제2 자유단부는 상기 천공 니들이 원형 라인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천공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건조 분말 흡입기
본 발명은 건조 분말(dry powder)을 함유한 캡슐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inhale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기는 캡슐 리셉터클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 및 2개의 천공 니들(perforation needle)을 포함하며, 각각의 니들은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을 천공하기 위해 작동 방향을 따라 정상 위치로부터 천공 위치로 서로를 향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건조 분말을 함유한 캡슐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기는 캡슐 챔버를 구비한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는 덮개 본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를 덮고 그리고 상기 캡슐 챔버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 가능한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포함한다.
이러한 건조 분말 흡입기는 예를 들어 EP 1 270 034 A1호 또는 US 2003/0000523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들 건조 분말 흡입기는 전형적으로 비-가압식(non-pressurized) 흡입기이다.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의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은, 니들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공기가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환자에 의해 흡입되었을 때, 상기 캡슐은 캡슐 리셉터클로부터 캡슐 챔버 내로 리프팅되어, 상기 캡슐 챔버에서 회전한다. 캡슐의 회전에 따라, 캡슐에 함유된 건조 분말은 회전 중 원심력에 의해 분산되고, 공기와 혼합되므로, 환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캡슐에 함유된 건조 분말을 분산시키기 위해, 상기 캡슐은 니들에 의해 천공되어야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의 흡입기에서의 천공 기술은 제조 시 복잡하거나 또는 많은 가동형 부품을 필요로 하여, 흡입기의 조립을 어렵게 하고 또한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한다.
또한, 알려진 건조 분말 흡입기의 문제점은 건조 분말의 투여량이 제한된다는 점이다. 캡슐을 그 반구형 단부에서 직접 관통시켰을 때, 흡입 중 분산될 분말의 양이 제한되는데, 그 이유는 캡슐의 회전 이동 중에는 관통된 개구로부터의 건조 분말의 흐름이 상기 개구의 배치로 인해 방해를 받기 때문이다. 상기 방해는, 캡슐을 관통하였을 때 니들에 의해 절결되어 상기 캡슐 외피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캡슐 외피의 절결 부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알려진 건조 분말 흡입기는 건조 분말의 최대 투여량이 제한된다. 특정의 응용 분야에서, 낭성 섬유증(cystic fibrosis), 결핵(tuberculosis), 폐동맥 고혈압(pulmonary artery hypertension), 신경 및 선천적 장애(neurologic and congenital disorder), 파킨슨 병(Parkinson), 천식(asthma), 만성 폐쇄성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등의 치료를 위해, 치료 또는 임상 시험에는 약 25 내지 약 200 mg 범위의 고용량의 건조 분말이 요구된다.
더욱이, 알려진 흡입기는 종종 사용자 또는 환자의 폐 용량(pulmonary capacity)에 따라 흡입 저항에 큰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약 60ℓ/분 미만의 전형적인 폐 용량에서는 높은 흡입 저항이 피해져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흡입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건조 분말의 투여량의 용이한 취급 및 효과적인 전달을 제공하는, 건조 분말의 분산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건조 분말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건조 분말 흡입기는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가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또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2 자유단부는 상기 천공 니들이 원형 라인을 따라 이동되도록 천공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은 캡슐 챔버를 구비한 베이스 본체 및 상기 베이스 본체에 연결되는 덮개 본체를 포함한다. 이런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 상기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의 천공을 용이하게 달성하게 하는 비용 효과적이고 간단한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대향 측부 상에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을 배치하고, 또한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2 자유단부에 천공 니들이 배치된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을 하우징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 사이에 배치된 단지 하나의 스프링 요소만 사용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버튼이 상기 정상 위치 내로 사전-로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캡슐 리셉터클은 상기 작동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캡슐 리셉터클은 상기 작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기의 유리한 제1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가,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되는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를 통해 하우징에 연결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은 볼 포인트 스냅-온 연결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하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은 약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피봇 각도의 둘레로 피봇 가능하다.
흡입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는 하우징 상에 배치된 반구형 돌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구형 돌출부와 상보적인 반구형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피봇 축선을 따라 연장된다.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반구형 돌출부는 상기 피봇 축선의 방향을 따라 해제 위치로 탄성 가능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하우징 상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의 오목부와 상기 하우징의 돌출부가 중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는 오목부와 결합하여 상기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의 결합 위치로 다시 탄성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천공 니들이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2 자유단부의 영역에 배치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공 니들은 서로 대면하는 액추에이터 버튼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2 자유단부의 영역에 천공 니들을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제1 단부를 하우징에 연결했음에도 불구하고, 큰 이동 범위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는, 액추에이터 버튼이 정상 위치 내로 사전-로딩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에 작용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요소는 헬리컬 스프링이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액추에이터 버튼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외측면과 액추에이터 버튼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버튼과 개구 엣지 사이로 실질적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액추에이터 버튼이 정상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실질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폐쇄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9의 특징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이러한 건조 분말 흡입기는, 캡슐 리셉터클이 작동 방향에 대해 약 40° 내지 약 50°범위 내의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식으로 캡슐 리셉터클을 배치하면, 상기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될 수 있는 캡슐이, 상기 캡슐의 반구형 단부와 관형 중간 섹션의 천이 영역에서 관통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슐 리셉터클은, 도중에 분말 흐름에 약간 방해되거나 또는 거의 방해되지 않으면서, 흡입 프로세스에서 회전 운동 중 분말이 분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서 캡슐이 관통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니들은 작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 본체의 중간 평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중간 평면은, 베이스 본체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평면이다. 니들을 작동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베이스 본체의 중간 평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은 캡슐의 절결 부분이 캡슐 내로 굴곡될 수 있는 각도로 관통될 수 있어서, 흡입 중 건조 분말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니들은 상기 중간 평면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캡슐 리셉터클에 배치된 캡슐의 관통 시, 상기 절결 부분이 플랩형(flap-like) 방식으로 캡슐 내로 굴곡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캡슐 리셉터클은 흡입기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는 니들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2개의 중공 니들 가이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니들 가이드 섹션은 흡입기의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캡슐 리셉터클에서 종료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니들 가이드 섹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니들이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의 작동 중 안내되고 지지될 수 있어서, 상기 캡슐 리셉터클 내에 삽입된 캡슐이 항상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관통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 본체는 캡슐의 회전을 위한 캡슐 챔버를 갖는다. 이러한 캡슐 챔버를 제공하면, 건조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를 통해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캡슐이 캡슐 챔버 내로 리프팅될 수 있고 또한 흡입 시 캡슐 챔버에 발생된 공기 흐름으로 인해 캡슐 챔버에서 회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캡슐 리셉터클이 캡슐 챔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에 연결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슐 챔버는 원형의 원통형 섹션 및 원추형 섹션을 갖고 있으며, 캡슐 리셉터클이 상기 원추형 섹션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캡슐 챔버의 상기 원형의 원통형 섹션은 캡슐 리셉터클의 길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직경은, 흡입 중 캡슐이 상기 캡슐 챔버 내로 리프팅되어, 캡슐 챔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흡입 중 캡슐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본체가 캡슐 챔버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에서 접선 방향으로 종료되는 적어도 2개의 공기 입구를 갖는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공기 입구는 베이스 본체의 중간 평면과 직교하는 캡슐 챔버 내로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입구는 캡슐 챔버의 원형의 원통형 섹션에서 종료된다. 공기가 캡슐 챔버와 유동 가능하게 연통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의 마우스피스를 통해 흡입되었을 때, 주위 공기가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캡슐 챔버 내로 흡입될 수 있어서, 캡슐이 리프팅되어 캡슐 챔버에서 회전된다.
주위 공기를 베이스 본체의 공기 입구로 안내하기 위해, 건조 분말 흡입기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부에 배치된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베이스 본체의 공기 입구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하게는 2개의 공기 입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들 공기 입구는 마우스피스의 횡방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흡입기 본체는 마우스피스의 공기 입구를 거쳐 베이스 본체의 공기 입구를 통한 흡입 중 공기가 캡슐 챔버 내로 흡입되는 공기 완충 영역(air buffer area)으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캡슐 리셉터클은 약 400 내지 약 500 mm3 범위의 체적을 구비한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캡슐은 437 mm3 의 체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리셉터클의 크기는 캡슐의 크기에 대응하므로, 액추에이터 버튼을 가압하여 바늘로 캡슐을 관통할 때, 캡슐이 캡슐 리셉터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상기 캡슐 리셉터클은 캡슐보다 단지 미세하게 더 크다.
캡슐 챔버가 약 2500 내지 3000 mm3 의 체적을 갖는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적을 갖는 캡슐 챔버를 제공함으로써, 흡입 중 캡슐이 효율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캡슐의 크기가 1:5 내지 1:6 의 범위에서 상기 캡슐 챔버의 크기에 비례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니들은 약 1.35 내지 약 1.85 mm의 니들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니들 직경에 의해, 높은 투여량의 건조 분말의 방출이 보장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니들은 니들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약 20 내지 약 35°범위로 절단 팁 각도를 갖는 절단 팁을 갖는다. 이러한 절단 팁 각도는, 캡슐 외피로부터 절결 부분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캡슐의 관통 중 캡슐 외피의 정확한 절단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결 부분은 힌지 형태로 내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이 길이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에 대해 약 25 내지 35° 범위의 각도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 축선과 평행한 평면에 놓이는 횡방향 절단 엣지를 갖는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니들은 중간 평면에 대칭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25의 특징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이러한 건조 분말 흡입기는, 중간 공기 챔버가 베이스 본체와 덮개 본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캡슐 챔버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입구 및 상기 마우스피스의 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중간 공기 챔버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캡슐 챔버 및 중간 공기 챔버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캡슐 챔버에서 종료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본체가 덮개 본체에 연결되므로, 상기 베이스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 사이의 접합면에서는 공기가 상기 캡슐 챔버로부터 흡입될 수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흡입될 수 없다. 정상 위치와 천공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덮개 본체의 대향 측부 상에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이 제공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은 정상 위치에서 덮개 본체를 실질적으로 기밀 방식으로 폐쇄하므로, 액추에이터 버튼과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의 개방 엣지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통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 버튼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덮개 본체와 액추에이터 버튼 사이에서는 실질적으로 공기가 흡입될 수 없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는 캡슐 챔버 내로 접선 방향으로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가 제공된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할 때, 액추에이터 버튼을 정상 위치로부터 작동 방향을 따라 천공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캡슐 챔버에 배치된 캡슐이 관통될 수 있다. 캡슐을 관통시킨 후,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이 다시 정상 위치로 이동된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의 흡입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였을 때, 캡슐 챔버에 부분 진공이 발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기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를 통해 캡슐 챔버를 통해 흡입되며, 상기 공기 흐름은 상기 캡슐 챔버에 함유된 건조 분말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을 리프팅하여, 상기 캡슐을 캡슐 챔버에서 회전시킨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를 통해 캡슐 챔버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로부터 상기 중간 공기 챔버를 통해 지향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공기 챔버를 통해 공기 흐름을 지향시킴으로써, 이러한 중간 공기 챔버를 갖지 않는 건조 분말 흡입기와는 달리, 낮은 유속에서 적은 저항을 제공하고 또한 높은 유속에서 비교적 큰 저항을 제공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가 제공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캡슐 챔버는 원형의 원통형이고, 또한 캡슐 리셉터클을 갖는 반구형 단부-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 리셉터클은 액추에이터 버튼의 작동 방향에 대해 각도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캡슐 리셉터클이 작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우스피스는 캡슐 챔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우스피스의 원통형 돌출부는 캡슐 챔버 내로 연장되며, 상기 원통형 돌출부의 횡방향 표면은 캡슐 챔버의 내측면 상에 밀봉식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는 캡슐 챔버의 내측면과 상기 원통형 돌출부의 횡방향 표면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공기가 캡슐 챔버로부터 흡입될 수 없는, 상기 캡슐 챔버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와 중첩되고 또한 이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 덕트는 상기 중간 공기 챔버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중간 공기 챔버에서 종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본체 덕트는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와 중첩되는 베이스 본체의 개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본체는 타원형이 바람직한 원통형 숄더, 및 상기 원통형 숄더와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타원형이 바람직한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는 중간 공기 챔버의 외측 벽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덕트는, 상기 중간 공기 챔버가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와 중첩되는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의 개구이다.
건조 분말 흡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슐 챔버는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 내로 개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 및 이점은, 도면에 도시되고 또한 더욱 상세히 기재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재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베이스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베이스 본체의 사시 평면도이다.
도 7은 개방 위치에서의, 도 1 내지 4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 및 6의 베이스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관통 위치에서의, 캡슐 및 2개의 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4의 건조 분말 흡입기의 니들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니들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11의 니들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흡입 중 관통된 캡슐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12는 건조 분말(도 13에 도시됨)을 함유한 캡슐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베이스 본체(14) 및 덮개 본체(16)를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마우스피스(1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마우스피스(18)는 마우스 부분(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 부분은 건조 분말 흡입기(10)에 배치되는 캡슐에 함유된 건조 분말과 혼합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중앙 개구(22)를 갖는다.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하우징(1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을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은 건조 분말 흡입기(10)에 배치된 캡슐을 천공하기 위해 정상 위치로부터 천공 위치로 화살표(26)로 도시된 작동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하우징(1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하우징(12)은, 액추에이터 버튼(24)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12)의 외측면(25)과 액추에이터 버튼(24)이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2개의 개구(23)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 및 2의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은 덮개 본체(16), 즉 하우징(12)에 부착되며, 여기서 천공 니들(28)은 액추에이터 버튼(24)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도 3은 오직 하나의 천공 니들(28)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니들(28)이 도 3의 절단면에 관해 오프셋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1 단부(30)는 하우징(12)에, 즉 하우징(12)의 하부 부분에서 덮개 본체(16)에 연결된다. 천공 니들(28)은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2 자유단부(32)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런 제2 자유단부(32)는 제1 단부(3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2 자유단부(32)는, 천공 니들(28)의 팁이 원형 라인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정상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된 천공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1 단부(30)는 피봇 축선의 둘레로 피봇되는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의 사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1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며,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은 약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약 10°로 피봇 각도(36)°의 둘레로 피봇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천공 니들(28)은, 액추에이터 버튼(24)이 천공 위치에 있을 때, 약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천공 각도(42)로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길이방향 축선(40)과 직교하는 평면(38)에 대해 경사져 있다.
상기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는 하우징(12) 상에 배치된 반구형 돌출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 상에 배치된 반구형 오목부(44)(도 4에 도시되어 있음)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상기 피봇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오목부와 결합된다.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을 하우징(1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하고 또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을 하우징(12)의 하부 부분에서 하우징(12)에 연결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버튼(24)은 오직 하나의 스프링 요소의 사용에 의해 정상 위치 내로 사전-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요소는, 건조 분말 흡입기의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액추에이터 버튼(24)이 화살표(26)로 도시된 방향에 대해 정상 위치 내로 사전-로딩되도록, 상기 베이스 본체(12)의 외피형 스프링-가이드 부재(48)에 배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 상에 동작한다.
하나의 부재로 제조된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베이스 본체(14)가, 도 5 및 6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5 및 6의 베이스 본체(14)의 평면도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타원형 또는 계란형의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 및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와 직교하여 연장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에 연결되는 계란형의 원통형 숄더(5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건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한 캡슐 리셉터클(56)을 갖는 캡슐 챔버(54), 및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하향 연장 플레이트 부재(58)를 포함한다. 스프링-가이드 부재(48)는 작동 방향(26)과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부재(58)는 작동 방향(26)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58)의 자유단부에는, 액추에이터 버튼(24)을 위한 베어링 섹션(60)이 제공된다.
캡슐 챔버(54)는 베이스 본체(14)의 상단부 부분(62)을 향해 개방된다. 상기 캡슐 부재(54)는 원형의 원통형 섹션(64) 및 반구형 또는 원추형 단부 섹션(66)을 가지며, 캡슐 리셉터클(56)은 캡슐 부재(54)의 반구형 단부 섹션(66)에 배치된다. 상기 캡슐 챔버(54)는 약 2500 내지 약 3000 mm3 의 체적을 갖는다.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길이방향 축선(40)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작동 방향(26)에 대해 40° 내지 50°범위 내의 경사각(68)으로 추가로 배치된다. 베이스 본체(14)는, 니들(28)을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흡입기(10)의 길이방향 축선(40)과 직교하여 연장되어,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에서 종료되는 2개의 중공 니들 가이드 섹션(70)을 포함한다. 이들 니들 가이드 섹션(70) 및 니들(28)은 작동 방향(26)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 본체(14)의 중간 평면(72)으로부터 거리(74)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니들(28)은 상기 중간 평면(7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작동 방향(26)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지 않지만, 그러나 작동 방향(26)으로는 평행하다. 이 경우, 니들 가이드 섹션(70) 및 니들(28)은 작동 방향(26)에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그러나 베이스 본체(14)의 중간 평면(72)으로부터는 이격되어 있지 않다. 이런 실시예에 의해, 캡슐 리셉터클(56)에 배치된 캡슐은 캡슐의 반구형 단부-섹션에서 직접 천공될 수 있다.
원형의 원통형 섹션(64)은, 캡슐 리셉터클(56)의 길이보다 더 큰 직경(76)을 갖는다. 캡슐 리셉터클(56)의 크기는, 액추에이터 버튼(24)이 가압되어 니들(28)에 의해 상기 캡슐을 관통할 때, 캡슐 리셉터클(56)이 캡슐보다 미세하게 더 커서 상기 캡슐이 캡슐 리셉터클(56) 내에 유지되도록, 캡슐의 크기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리셉터클(56)은 약 400 내지 약 500 mm3 범위의 체적을 갖는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150 내지 400 mm3 범위의 더 작은 캡슐도 가능하다. 그 어떤 경우라도, 캡슐이 1:5 내지 1:6 범위의 캡슐 챔버의 체적에 비례하는 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캡슐 챔버(54) 내로 접선 방향으로 종료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중간 평면(72)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원통형 숄더(52)의 영역에, 2개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78)를 갖는다. 마우스피스(18)는 힌지를 통해 베이스 본체(14)에 조여진다. 상기 힌지의 하부 부분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 부호 80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또한 2개의 베이스 본체 덕트(82)를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14)와 상기 하우징(12)의 덮개 본체(16) 사이에는, 중간 공기 챔버(81)가 형성된다. 마우스피스(18)의 중심 개구(22)는 흡입 입구로서 기능하고,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된 플레이트(83)를 통해 상기 캡슐 챔버(54)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마우스피스(18)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횡방향 외측 상에 2개의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85)를 가지며, 이들은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78)는 중간 공기 챔버(81) 및 캡슐 챔버(54)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본체는,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85)와 중첩되어 이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베이스 본체 덕트(87)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 덕트(87)는 중간 공기 챔버(8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서 종료된다.
마우스피스(18)로부터 멀리 대면하는 측부 상에서, 상기 마우스피스(18)는 캡슐 챔버(5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돌출부(91)를 포함한다. 천공된 플레이트(83)는 상기 원통형 돌출부(91)의 단부-섹션에 배치된다. 상기 원통형 돌출부(91)의 횡방향 표면(93)은, 캡슐 챔버(54)의 내측 표면(95)과 원통형 돌출부의 횡방향 표면(93) 사이로 실질적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캡슐 챔버(54)의 내측 표면(95) 상에 밀봉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도 6의 화살표(84)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 6의 베이스 본체(14)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캡슐 리셉터클(56)은, 작동 방향(26) 또는 중간 평면(72)에 대해 약 40° 내지 약 50° 범위 내의 경사각(68)으로 배치되는 길이방향 축선(86)을 갖는다. 니들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56) 또는 캡슐의 길이방향 축선(86)에 대해 각도(88)로 캡슐 리셉터클(56)에 배치될 수 있는 캡슐을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캡슐(90)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캡슐(90)의 길이방향 축선(86)은 니들(28)의 길이방향 축선(92)에 각도(88)로 배치된다.
도 10은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니들(28) 중 하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니들(28)은 길이(92), 니들 직경(94), 및 절단 팁 각도(96)를 갖는다. 상기 니들 직경(94)은 약 1.35 내지 약 1.85 ㎜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절단 팁 각도(96)는 약 20° 내지 40°범위에 있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98)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 10의 니들(28)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100)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 10 및 11의 니들(28)의 부분 횡단면(A-A)을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니들(28)은 횡방향 절단 엣지(102)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절단 엣지는 니들(28)의 길이방향 축선(92)과 직교하는 축선(106)에 대해 약 25 내지 35°범위의 각도(104)로 배치되고, 또한 길이방향 축선(92)과 평행한 평면에 놓인다. 상기 니들(28)은 중간 평면(110)과 대칭이다.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건조 분말 캡슐(90)을 베이스 본체(14)의 캡슐 리셉터클(56) 내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마우스피스(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80)를 통해 개방 위치 내로 피봇될 수 있다. 캡슐(90)의 삽입 후, 상기 마우스피스(18)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다시 피봇된다. 캡슐(90)을 관통하기 위해, 액추에이터 버튼(24)은 헬리컬 스프링(46)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작동 방향(26) 내로 가압된다.
절단 팁 각도(96), 횡방향 절단 엣지(102), 및 캡슐 리셉터클(56)과 니들(28)의 배치는, 캡슐 외피로부터 절결 부분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상기 캡슐(90)의 관통 중 캡슐(90)의 외피의 정확한 절단을 제공한다.
도 13은 흡입 중 관통된 캡슐(9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절결 부분(112)은 힌지형 또는 플랩형 방식으로 캡슐(90)의 내부로 내향하여 굴곡될 수 있다.
비교적 큰 니들 직경(94)으로 인해, 반구형 단부(116)와 상기 캡슐(90)의 관형 중간 섹션의 천이 영역에서, 비교적 큰 개구(114)가 캡슐(90) 내로 관통될 수 있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건조 분말 흡입기(10)를 사용할 때, 캡슐 리셉터클(56)에 배치된 캡슐(90)은, 액추에이터 버튼(24)을 정상 위치로부터 천공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관통될 수 있다. 캡슐(90)을 관통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은 다시 정상 위치로 이동된다. 환자 또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8)의 흡입 입구(2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때, 캡슐 챔버(54)에 부분 진공이 발생될 수 있고, 공기는 공기 흐름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78)를 통해 캡슐 챔버(54) 내로 흡입되며, 상기 공기 흐름은 캡슐(90)을 캡슐 리셉터클(56)로부터 캡슐 챔버(54) 내로 리프팅하고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18)의 방향으로 캡슐(90)을 캡슐 챔버(54)에서 회전시켜, 캡슐(90)에 함유된 건조 분말이 분산될 수 있다.
캡슐 챔버(54)를 통해 흡입 입구(22) 상에서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는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85)로부터 베이스 본체 덕트(87)를 거쳐 그리고 중간 공기 챔버(81)를 통해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78)를 거쳐 캡슐 챔버(54) 내로 지향된다.
아래에 도시된 표 1(상이한 공기 흐름에서의 유동 저항) 및 표 2(상이한 공기 흐름에서의 유동 저항)는, 중간 공기 챔버(81)를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의 유동 저항과 중간 공기 챔버(81)가 없는 건조 분말 흡입기의 유동 저항의 비교 테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중간 공기 챔버를 구비한 흡입기

L/분


유닛

30

0.74

kPA

60

1.56

kPA

90

3.52

kPA

100

3.81

kPA

중간 공기 챔버가 없는 흡입기

L/분


유닛

30

0.82

kPA

60

2.16

kPA

90

3.83

kPA

100

4.02

kPA
중간 공기 챔버(81)를 통해 공기 흐름을 지향시킴으로써, 중간 공기 챔버(81)를 갖지 않는 건조 분말 흡입기와는 대조적으로, 낮은 유속에서 적은 저항을 갖고, 높은 유속에서 더 많은 저항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가 제공될 수 있다.전체적으로, 전형적인 폐 용량에서 더 적은 유동 저항을 갖는 중간 공기 챔버(81)를 갖는 흡입기(10)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환자가 약 60L/분 미만의 적은 폐 용량을 가질 때, 이러한 중간 공기 챔버(81)가 없는 건조 분말 흡입기에 비해, 상당히 적은 유동 저항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가 제공될 수 있다.
캡슐 리셉터클(56) 및 니들(28)의 배치로 인해, 분말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흡입 프로세스에서의 회전 운동 중 분말이 효율적으로 분산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서, 캡슐(90)이 관통될 수 있다.
요약하면, 매우 효율적인 흡입, 특히 높은 투여량의 흡입을 허용하지만 낮은 투여량의 흡입에도 사용될 수 있는 건조 분말 흡입기(10)가 제공된다.

Claims (31)

  1.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90)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10)에서, 상기 흡입기(10)는 캡슐 리셉터클(56)을 갖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24), 및 2개의 천공 니들(28)을 포함하며, 각각의 니들(28)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에 배치된 캡슐(90)을 천공하기 위해 정상 위치로부터 작동 방향을 따라 천공 위치로 서로를 향해 상기 하우징(1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버튼(24)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로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1 단부(30)는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와 연결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2 자유단부(32)는 상기 천공 니들(28)이 이동되도록 상기 천공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상기 제1 단부(30)는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되는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를 통해 상기 하우징(12)에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상기 제1 단부(30)는, 상기 하우징(12)에 피봇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은 5 내지 15°의 피봇 각도(36)의 둘레로 피봇 가능한, 건조 분말 흡입기(1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는 상기 하우징(12) 상에 배치된 반구형 돌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반구형 돌출부와 상보적인 반구형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는 상기 피봇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 니들(28)은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상기 제1 단부(30)로부터 이격된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상기 제2 자유단부(32)의 영역에 배치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이 상기 정상 위치 내로 사전-로딩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 상에 동작하는 스프링 요소(46)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이 상기 정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12) 및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외측 표면(25)이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상기 액추에이터 버튼(2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개구(23)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9.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90)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10)에서, 상기 흡입기(10)는 하우징(12), 캡슐 리셉터클(56)을 갖는 베이스 본체(14),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24), 및 2개의 천공 니들(28)을 포함하며, 각각의 니들(28)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에 배치된 캡슐(90)을 천공하기 위해 정상 위치로부터 작동 방향을 따라 천공 위치로 서로를 향해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대해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버튼(24)에 고정 가능하게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로서,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작동 방향(26)에 대해 40° 내지 50°범위 내의 경사각(68)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1 단부(30)는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와 연결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2 자유단부(32)는 상기 천공 니들(28)이 이동되도록 상기 천공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상기 제1 단부(30)는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되는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를 통해 상기 하우징(12)에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니들(28)은 상기 작동 방향(26)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중간 평면(72)으로부터 이격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상기 흡입기(10)의 길이방향 축선(40)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상기 니들(28)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중공 니들 가이드 섹션(70)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 가이드 섹션(70)은 상기 흡입기(10)의 길이방향 축선(40)과 직교하여 배치되고 또한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에서 종료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캡슐(90)의 회전을 위해 캡슐 챔버(54)를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상기 캡슐 챔버(54)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54)에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캡슐 챔버(54)는 원형의 원통형 섹션(64) 및 원추형 섹션(66)을 가지며,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상기 원추형 섹션(66)에 배치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원통형 섹션(64)은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의 길이보다 더 큰 직경(76)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상기 캡슐 챔버(54)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54)에서 접선 방향으로 종료되는, 적어도 2개의 공기 입구(78)를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10)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우스피스(18)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18)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상기 공기 입구(78)와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리하게는 2개의 공기 입구(85)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1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캡슐 리셉터클(56)은 400 내지 500 mm3 범위의 체적을 갖는 캡슐(9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캡슐 챔버(54)는 2500 내지 3000 mm3의 체적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니들(28)은 1.35 내지 1.85 mm의 니들 직경(94)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니들(28)은 니들의 길이방향 축선(92)에 대해 20 내지 35°범위로 절단 팁 각도(96)를 구비한 절단 팁을 갖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니들(28)은 횡방향 절단 엣지(102)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절단 엣지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92)과 직교하는 축선(106)에 대해 25 내지 35° 범위의 각도(104)로 배치되어, 상기 길이방향 축선(92)에 평행한 평면(108)에 놓이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니들(28)은 중간 평면(110)과 대칭인, 건조 분말 흡입기(10).
  25.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90)을 위한 건조 분말 흡입기(10)에서, 상기 흡입기(10)는 캡슐 챔버(54)를 구비한 베이스 본체(14),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연결되는 덮개 본체(16)를 갖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대향 측부 상에 배치되는 2개의 액추에이터 버튼(24), 및 2개의 천공 니들(28)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캡슐 챔버(54)를 덮으며 그리고 상기 캡슐 챔버(5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 가능한 마우스피스(18)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로서,
    중간 공기 챔버(81)가 상기 베이스 본체(14)와 상기 덮개 본체(16)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18)는 상기 캡슐 챔버(54)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흡입 입구(22) 및 상기 마우스피스(18)의 횡방향 외측 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85)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상기 캡슐 챔버(54) 및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캡슐 챔버(54)에서 종료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공기 입구(78)를 가지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1 단부(30)는 상기 하우징(12)의 하부와 연결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24)의 제2 자유단부(32)는 상기 천공 니들(28)이 이동되도록 상기 천공 위치 내로 이동 가능하고,
    각각의 액추에이터 버튼의 상기 제1 단부(30)는 피봇 축선 둘레로 피봇되는 볼 조인트 스냅-온 연결부(34)를 통해 상기 하우징(12)에 연결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캡슐 챔버(54)는 원형의 원통형이고, 또한 캡슐 리셉터클(56)을 갖는 반구형 단부-섹션(66)을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8)는 상기 캡슐 챔버(5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돌출부(91)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8)의 상기 원통형 돌출부(91)는 상기 캡슐 챔버(54) 내로 연장되며, 상기 원통형 돌출부의 횡방향 표면(93)은 상기 캡슐 챔버(54)의 내측 표면(95) 상에 밀봉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상기 마우스피스 공기 입구(85)와 중첩되어 이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덕트(87)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 덕트(87)는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중간 공기 챔버(81)에서 종료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는 원통형 숄더(52), 및 상기 원통형 숄더(52)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를 포함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캡슐 챔버(54)는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 본체 플레이트(50) 내로 개방되는, 건조 분말 흡입기(10).
KR1020197016892A 2016-12-20 2016-12-20 건조 분말 흡입기 KR102637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6/001789 WO2018115915A1 (en) 2016-12-20 2016-12-20 Dry powder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90A KR20190095290A (ko) 2019-08-14
KR102637174B1 true KR102637174B1 (ko) 2024-02-16

Family

ID=6262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92A KR102637174B1 (ko) 2016-12-20 2016-12-20 건조 분말 흡입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517686B2 (ko)
KR (1) KR102637174B1 (ko)
CN (1) CN110234382B (ko)
BR (1) BR112019012727B1 (ko)
PH (1) PH12019501322A1 (ko)
RU (1) RU2730961C1 (ko)
TW (1) TWI752128B (ko)
WO (1) WO2018115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6704B1 (en) * 2020-10-19 2021-11-23 Wenzhou central hospital Dry powder inhalant capable of preventing respiratory tract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DE112020007817A5 (de) * 2020-12-07 2023-09-28 Markus Mezger Inhalator mit elliptischer nutkurve zum aktiven einsaugen pulverförmiger trockensubstanzen
KR20240028696A (ko) * 2022-08-25 2024-03-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입기
KR20240036944A (ko) * 2022-09-14 2024-03-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입기
WO2024057086A1 (en) * 2022-09-14 2024-03-21 Emphasys Importadora Exportadora E Distribuidora Ltda. Dry powder inhaler
KR20240039293A (ko) * 2022-09-19 2024-03-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입기
WO2024100652A1 (en) 2022-11-07 2024-05-16 Kritzman Kadron Amnon High performance dry powder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92945A (en) * 1972-08-23 1975-05-07 Fisons Ltd Inhalation device
DE2346914C3 (de) * 1973-09-18 1980-10-16 Paul Ritzau Pari-Werk, Gmbh & Co, 8130 Starnberg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Substanzen
KR900002951B1 (ko) 1985-01-25 1990-05-03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푸시버튼장치
IT1222509B (it) * 1987-08-17 1990-09-05 Miat Spa Insufflatore per la somministrazione di farmaci sotto forma di polvere predosata in opercoli
IL98441A (en) * 1990-06-14 1995-12-31 Rhone Poulenc Rorer Ltd Powder inhaler
US5797391A (en) * 1991-03-28 1998-08-25 Rhone-Poulenc Rorer Limited Inhaler
AU4829593A (en) 1992-09-23 1994-04-12 Fisons Plc Inhalation device
JP3372105B2 (ja) * 1994-05-26 2003-01-27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吸入式投薬器
ITMI20010357U1 (it) * 2001-06-28 2002-12-30 Plastiape Spa Dispositivo inalatore
ES2310722T3 (es) 2003-03-20 2009-01-16 Galephar M/F Sistema inhalador de polvo seco mejorado.
US20060181517A1 (en) * 2005-02-11 2006-08-17 Apple Computer, Inc. Display actuator
GB0410712D0 (en) * 2004-05-13 2004-06-16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CN2753402Y (zh) * 2004-12-17 2006-01-25 上海医药工业研究院 一种胶囊型干粉吸入装置
GB0602897D0 (en) * 2006-02-13 2006-03-22 Jagotec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y Powder Inhaler Devices
DE102006010089A1 (de) * 2006-02-24 2007-10-18 Aha-Kunststofftechnik Gmbh Trockenpulver-Inhalator
CN102553040B (zh) 2010-12-17 2014-07-02 陈庆堂 滤出药粉吸入器
CN202211916U (zh) * 2011-07-26 2012-05-09 泰安派瑞森机械有限公司 粉雾剂给药器
DE102012103482A1 (de) * 2012-04-20 2013-10-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SG11201501434PA (en) * 2012-08-29 2015-03-30 Chiesi Farma Spa Aerosol inhalation device
UA111442C2 (uk) * 2012-10-02 2016-04-25 Кмс Ді Колозіо Мауро Інгаляційний пристрій
WO2015006838A1 (en) * 2013-07-16 2015-01-22 Victor Esteve Powder inhaler
EP3138600B1 (en) 2015-09-04 2019-11-06 Victor Esteve Dry powder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12727B1 (pt) 2022-11-16
US20190344025A1 (en) 2019-11-14
BR112019012727A2 (pt) 2019-11-26
CN110234382B (zh) 2022-04-15
WO2018115915A1 (en) 2018-06-28
CN110234382A (zh) 2019-09-13
US11517686B2 (en) 2022-12-06
TWI752128B (zh) 2022-01-11
KR20190095290A (ko) 2019-08-14
PH12019501322A1 (en) 2019-09-23
RU2730961C1 (ru) 2020-08-26
TW201829011A (zh)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7174B1 (ko) 건조 분말 흡입기
EP3138601A1 (en) Dry powder inhaler
JP3011898B2 (ja) 吸引器
JP4754758B2 (ja) 同一側部に空気流れの入口及び出口を備えた薬物容器
RU2351369C2 (ru) Ингалятор смесей на одну дозу в капсулах
KR101399480B1 (ko) 향상된 건조 분말 흡입기
EP3021919B1 (en) Powder inhaler
EP3284499A1 (en) Dry powder inhaler with reproducible flow resistance
KR20110134397A (ko) 흡입기
JP2013502247A (ja) カプセルから活性成分を吸入するための吸入デバイス及び方法
KR20200144542A (ko) 건조 분말 흡입기
CN215083633U (zh) 吸入装置
CN211096765U (zh) 一种干粉吸入器
CN209392524U (zh) 一种干粉吸入器
RU2776390C2 (ru) Ингалятор сухого порошка
WO2024057086A1 (en) Dry powder inhaler
CN215083634U (zh) 吸入装置
CN219814917U (zh) 一种干粉吸入器
CN115414558A (zh) 吸入装置
CN114534032A (zh) 干粉吸入装置及干粉吸入装置的操作方法
TWM331377U (en) Medication feeding device and connection tube used for medication feeding device
JP2012000192A (ja) 粉末状薬剤吸入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