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462B1 -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 Google Patents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462B1
KR102635462B1 KR1020210184589A KR20210184589A KR102635462B1 KR 102635462 B1 KR102635462 B1 KR 102635462B1 KR 1020210184589 A KR1020210184589 A KR 1020210184589A KR 20210184589 A KR20210184589 A KR 20210184589A KR 102635462 B1 KR102635462 B1 KR 10263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ap
bar
cross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3055A (ko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비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비레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비레어
Publication of KR2023007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hooks engaging end-pieces on the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은, 일단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트랩이 연결된 채 풀림 없이 고정된 결합상태를 이루고, 타단에는 스트랩을 자유롭게 끼우고 분리할 수 있되 끼움은 편리하고 분리 절차는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으면서도 임의의 분리는 방지되는 스트랩 클립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은, 사각의 판상으로 테두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 및 길이조절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평 배치되는 끼움지지부;를 포함하되, 길이조절부는, 끼움지지부에 접하며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크로스; 일측크로스에 맞은편에 대향 형성되는 타측크로스;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일단포스트;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타단포스트; 및 일단포스트와 타단포스트의 중앙을 연결하며 길이조절부 내측 중공의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을 구획하는 중앙크로스;를 더 포함하고, 끼움지지부는, 일단포스트에서 연장되는 지지일단바; 지지일단바의 선단에서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하단바; 지지하단바의 선단에서 타단포스트에 나란히 향하며 절곡 형성되는 지지타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에서 지지일단바를 향해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상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과 타단포스트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삽입단; 및 지지상단바의 선단과 지지일단바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끼움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Strap Clip that's Easy to Combine and Release}
본 발명은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트랩이 연결된 채 풀림 없이 고정된 결합상태를 이루고, 타단에는 스트랩을 자유롭게 끼우고 분리할 수 있되 끼움은 편리하고 분리 절차는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으면서도 임의의 분리는 방지되는 스트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랩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클립에 있어서 사각의 판상으로 테두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와 길이조절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평 배치되는 끼움지지부로 구성되되, 길이조절부는 테두리와 중앙부 크로스바로 구획되어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이 형성되며 스트랩의 일단이 연결된 채 길이조절 및 위치 고정을 위한 부재로 사용되고, 끼움지지부는 길이조절부와의 연결지점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단이 형성됨으로써 길이조절부의 일측에서 알파벳 지(G)자 형상을 갖추게 되어, 스트랩을 뒤집어 삽입단으로 삽입한 후 끼움지지부 내측에서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 뒤집게 되면 쉽게 끼움 장착이 되고, 스트랩의 방향을 임의로 전환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됨으로써 결합 및 해제는 쉽고 고정은 단단하며 임의의 분리가 이뤄지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트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스트랩이 끼워지면서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클립은 의류, 가방, 하네스, 벨트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적용되어 사용 중인데 종전 클립은 한 번 끼워서 고정하면 길이 조절은 가능하나 스트랩 자체를 다시 풀거나 다시 끼우는 결합 및 해제는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에 결합 및 해제가 쉬운 클립은 고정이 부실하거나, 또는 다수의 삽입창과 이에 대응되는 수용구가 형성되는 복잡하고 부피가 큰 장치로써 심플함이 저하되고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가령 결합 및 해제가 쉬운 클립은 기본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로스바가 형성된 날 일(日)자 유사 형상인 것이 대부분으로 일측에 개방홈이 있어서 스트랩을 끼우고 빼는 것이 수월하도록 형성된 것인데, 탈착이 쉬운 반면 사용 중 임의로 스트랩이 분리되는 일 또한 쉽게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위험한 작동을 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고자 클립에 고정 장치로써 스프링, 누름장치 및 끼움홈, 내부에 고정부재와 미로가 형성된 케이스 구조 등이 사용된 다수의 클립이 제시되고 있으나, 고정능력을 높이기 위해 실시되는 상기 장치들은 클립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장치를 복잡하게 하여 스트랩의 보조 부재로써 슬림한 장치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장치가 복잡할수록 사용은 어렵고 고장 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가 복잡할수록 사용가능한 스트랩 패턴에 한계가 있어서 확장성 있는 사용에 제약이 있어서 그 용도가 제한되므려,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불편하고 고장 발생률이 높아지며 특정 용도로만 사용되는 단점 및 한계가 극명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과 작은 부피로서 활용도가 높고 스트랩을 끼워서 고정이 견고하고 길이 조절은 쉬우면서도 결합 및 해제가 자유로워 필요시마다 쉽게 끼우고 풀러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클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1976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트랩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클립에 있어서 사각의 판상으로 테두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와 길이조절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평 배치되는 끼움지지부로 구성되되, 길이조절부는 테두리와 중앙부 크로스바로 구획되어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이 형성되며 스트랩의 일단이 연결된 채 길이조절 및 위치 고정을 위한 부재로 사용되고, 끼움지지부는 길이조절부와의 연결지점 일측이 개방되어 삽입단이 형성됨으로써 길이조절부의 일측에서 알파벳 지(G)자 형상을 갖추게 되어, 스트랩을 뒤집어 삽입단으로 삽입한 후 끼움지지부 내측에서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 뒤집게 되면 쉽게 끼움 장착이 되고, 스트랩의 방향을 임의로 전환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됨으로써 끼움은 편리하고 분리 절차는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으면서도 임의의 분리는 방지되는 견고하고 안전한 스트랩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은, 사각의 판상으로 테두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 및 길이조절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평 배치되는 끼움지지부;를 포함하되, 길이조절부는, 끼움지지부에 접하며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크로스; 일측크로스에 맞은편에 대향 형성되는 타측크로스;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일단포스트;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타단포스트; 및 일단포스트와 타단포스트의 중앙을 연결하며 길이조절부 내측 중공의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을 구획하는 중앙크로스;를 더 포함하고, 끼움지지부는, 일단포스트에서 연장되는 지지일단바; 지지일단바의 선단에서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하단바; 지지하단바의 선단에서 타단포스트에 나란히 향하며 절곡 형성되는 지지타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에서 지지일단바를 향해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상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과 타단포스트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삽입단; 및 지지상단바의 선단과 지지일단바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끼움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일단바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만곡부의 양단은 각각 지지상단바와 지지하단바에 곡선으로 연결되고, 만곡부의 중심은 지지상단바의 선단에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상단바의 선단은 만곡부에 대응되는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크로스와 지지상단바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 지지상단바와 지지하단바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공;을 더 포함하고, 삽입공 및 끼움공 각각의 상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상단바의 선단과 지지일단바의 간격은 삽입공 및 끼움공 각각의 상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길이조절기와 끼움지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길이조절기에 연결된 스트랩은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길이조절이 수월하고, 끼움지지부로는 스트랩의 끼움과 분리가 수월하되 일단 끼움 결합하면 일부러 분리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끼움지지부는 스트랩이 끼워질 수 있는 납작한 틈새로 형성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데, 삽입단을 통해 스트랩을 뒤집어 끼운 뒤 끼움홈을 지나면서 본래 방향대로 되집어 주면 좁은 틈새로 스트랩을 쉽게 장착할 수 있어 끼움 장착이 매우 수월하고 임의로 빠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고리에 연결된 스트랩에 자유롭게 결합이 가능하여 하네스 연결장치, 가방 어깨끈 조절장치, 각종 포장물 결박장치 등 다양한 사용처에 확장성 있는 사용이 가능하고, 가슴줄, 허리줄, 손목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넷째, 얇고 작으며 간단한 구조의 판상으로 형성되므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고 사용이 복잡하지 않으며 고장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 다양한 제품군에 적용이 원활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길이조절부에만 스트랩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길이조절부 및 끼움지지부에 스트랩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스트랩 결합 완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가슴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허리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손목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길이조절부에만 스트랩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길이조절부 및 끼움지지부에 스트랩이 연결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스트랩 결합 완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가슴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허리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클립의 손목줄 사용 예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10)은 길이조절부(100)와 끼움지지부(200)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100) 및 끼움지지부(200)는 사각의 판상으로써 테두리 형성되어 중심부에 넓은 통공이 형성되는 형상으로써, 일측에 길이조절부(100)가 구비되고 길이조절부(100)로부터 타측으로 끼움지지부(200)가 연장되는 형상으로 연이어 배치되면서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길이조절부(100) 및 끼움지지부(200)는 서로 유사한 형상과 크기로 나란히 배치되되 길이조절부(100)는 폐곡선을 형성하고 끼움지지부(200)는 틈새가 구비되는 개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조절부(100)에는 스트랩(20)의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풀어지지 않고 길이조절이 이뤄지는 기능을 하게 되고, 끼움지지부(200)에는 스트랩(20)의 타단이 결합 및 해제가 자유롭되 임의로 해제하지 않는 한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결합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로써 스트랩(20)의 양단이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10)에 결합되면서 길이 조절과 결속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세부적인 구조로 분류하면 길이조절부(100)는 일측크로스(110), 타측크로스(120), 일단포스트(130), 타단포스트(140), 중앙크로스(150) 및 상부장공(160), 하부장공(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지지부(200)는 지지일단바(210), 지지타단바(220), 지지상단바(230), 지지하단바(240), 삽입단(250), 끼움단(260), 삽입공(270) 및 끼움공(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길이조절부(100)는 날 일(日)자 형상을 하게 되고, 끼움지지부(200)는 길이조절부(100)의 일측에서 알파벳 지(G)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길이조절부(100)와 끼움지지부(200)가 나란히 배치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일측크로스(110)는 끼움지지부(200)에 접하는 테두리로 길이조절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크로스(120)는 일측크스로스의 맞은편에 대향 형성되며, 일단포스트(130)는 일측크로스(110) 및 타측크로스(120) 각각의 일단을 연결하고, 타단포스트(140)는 일측크로스(110) 및 타측크로스(120)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면서 사각형을 구성하게 되며, 중앙크로스(150)는 일단포스트(130)와 타단포스트(140) 각각의 중앙을 연결하면서 전체적으로 한문 날 일(日)자를 형성하게 된다.
중앙크로스(150)와 타측크로스(120) 사이에는 일단 및 타단포스트(140)와 함께 둘러싸이는 중공으로써 상부장공(160)이 형성되고, 중앙크로스(150)와 일측크로스(110) 사이에는 하부장공(17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장공(160)과 하부장공(170)은 각 상하 폭 및 너비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너비는 결합시키고자 하는 스트랩(20)의 너비에 대응되고, 각 상하 폭은 스트랩(20)의 두께를 수용하되 3~4배 이내 수준에서 형성되어 헐겁지 않으면서 적절한 움직임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끼움지지부(200)의 지지일단바(210)는 일단포스트(130)의 선단에서 일단포스트(13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테두리 형성되고, 지지하단바(240)는 지지일단바(210)의 선단에서 절곡되면서 타측크로스(120)와 평행하고 타측크로스(120)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며, 지지타단바(220)는 지지하단바(240)의 선단에서 지지일단바(210)에 평행하고 타단포스트(140)를 나란하게 향하면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사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타단바(220)의 선단은 타단포스트(140)에 닿지 않고 절곡되어 지지타단바(220)와 타단포스트(140) 사이 소정의 틈새인 삽입단(250)을 형성한다.
지지상단바(230)는 지지타단바(220)의 선단에서 삽입단(250) 지점으로부터 지지일단바(210)를 향하며 타측크로스(120)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지지상단바(230)의 선단은 지지일단바(210)에 닿지 않도록 구비되어 지지상단바(230) 선단과 지지일단바(210) 사이에 소정의 틈새인 끼움단(260)을 형성하게 되는데, 삽입단(250)과 끼움단(260)의 폭은 상호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끼움지지부(200)는 일측크로스(110)와 합쳐진 형태가 알파벳 지(G)자 형상을 갖추면서 길이지지부의 일측에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측크로스(110)와 지지상단바(230)는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공간으로써 삽입공(270)을 형성하고, 지지상단바(230)와 지지하단바(240) 사이에도 상호 이격된 공간으로써 끼움공(280)이 형성된다.
끼움공(280)은 스트랩(20)이 끼워진 채 위치가 고정되는 공간으로써 기능을 하며, 삽입공(270)은 스트랩(20)이 끼움공(280)에 끼워지기 위해 통과하는 안내 통로로써 기능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공(270)과 끼움공(280)의 상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공(270) 및 끼움공(280)의 간격은 스트랩(20)을 수용할 수 있되 스트랩(20)의 두께에 대응되는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래야 스트랩(20)이 삽입단(250) 및 끼움공(280)을 통해 쉽게 장착이 이뤄지되 일단 끼워진 후에는 임의로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에 밀접한 구조이다.
상술한 구조로 지지상단바(230)의 선단은 지지일단바(210)의 내측면을 향하게 되고 끼움단(260) 만큼 이격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지상단바(230)의 선단이 지지일단바(210)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이때 지지일단바(210)의 안쪽 방향, 즉 지지상단바(230)와 마주하는 지지일단바(210)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만곡부(211)가 구성될 수 있다.
만곡부(211)는 지지일단바(210)의 내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오목해지는 형상을 가지며, 만곡부(211)의 중심은 지지상단바(230)의 선단에 대향되고, 만곡부(211)의 양단은 각각 지지상단바(230)와 지지하단바(240)에 곡선으로 연결된다.
만곡부(211)가 형성된 상태에서 끼움지지부(200)는 직선의 삽입공(270)이 끼움공(280)으로 이어질 때 반원을 그리면서 이어지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장공 통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만곡부(211)로 인한 곡선의 장공 통로 구조로 인해 납작한 스트랩(20)이 뒤집어진 채 삽입공(270)에 삽입된 후 끼움단(260)을 지나면서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 뒤집게 되면 아주 쉽게 스트랩(20)이 끼움공(28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스트랩(20)의 끼움단(260)을 지나면서 원활하게 뒤집혀 지기 위해서 지지상단바(230)의 선단은 만곡부(211)에 대응되는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트랩(20)이 만곡부(211)와 끼움단(260)을 지날 때 스트랩(20)의 상면과 하면이 모두 곡면에 접하면서 곡선을 타고 부드럽게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납작하고 넓은 형태의 끈으로써 길게 형성된 단겹의 스트랩(20)이 준비된다.
스트랩(20)의 일단은 길이조절부(100)에 결합되는데 한 겹이 상부장공(160)과 하부장공(170)을 연이어 통과하면서 중앙크로스(150)에 걸친 상태가 되어 일측크로스(110)와 타측크로스(120) 사이에 결합이 된다.
스트랩(20)의 일단은 길이조절부(100)에 결합된 후 타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두 겹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두 겹의 스트랩(20)이 재봉질 등 상호 고정작업에 의해 결속될 수 있으며 그 선단은 두 겹을 형성하면서 길이조절 클립에 결합된 후 끼움지지부(200)를 향하여 결속될 수 있다.
결국 끼움지지부(200)에는 두 겹의 스트랩(20)이 장착이 되는데, 우선 본 발명의 스트랩 클립(10)을 잡고 삽입단(250)을 일측으로 향하게 한 후 스트랩(20)을 꼬이지 않게 한 후 두 겹의 스트랩(20) 중 한 겹만 삽입공(270)에 대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한 겹의 스트랩(20)을 상,하면이 반대가 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그대로 상입공에 끼운다.
뒤집힌 상태에서 삽입공(270)에 끼워진 스트랩(20)은 삽입공(270)을 지나고 만곡부(211)를 타면서 끼움단(260)을 지나게 되는데, 이때 만곡부(211)의 곡면과 지지상단바(230)의 선단 곡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스트랩(20)을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 뒤집게 되면 스트랩(20)은 쉽게 끼움공(280)으로 들어가게 된다.
끼움단(260)과 끼움공(280)의 폭은 스트랩(20)을 뒤집기에는 좁게 형성되므로, 스트랩(20)을 뒤집지 않고 삽입공(270)에 삽입한다면 넓은 너비를 가진 스트랩(20)을 끼움지지부(20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스트랩(20)을 삽입공(270)에 장착한 후 끼움단(260)을 지날 때 좁은 공간에서 억지로 뒤집어 줘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결합도 어렵고 해제도 어려우며 스트랩(20) 및 클립의 훼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반면 스트랩(20)을 한 번 뒤집기만 한 상태로 삽입공(270)에 삽입하면 곡면 형성된 만곡부(211)와 끼움단(260)을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본래 방향으로 되돌리면서 쉽게 끼움공(280)에 안착되고 끼움지지부(200) 결합이 완료된다.
이제 두 겹의 스트랩(20)은 지지하단바(240)를 고리로 하여 끼움지지부(20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맞은 편 선단은 중앙크로스(150)를 고리로 하여 길이조절부(10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스트랩(20)의 너비는 끼움공(280)의 상하 간격 대비 크게 형성되었고, 끼움공(280)의 상하 간격은 스트랩(20)의 두께에 대응되되록 형성되었으며, 끼움지지부(200)는 지지상단바(230)를 중심으로 하여 일측크로스(110)와 지지하단바(240) 사이에서 미로 구조를 형성하므로, 스트랩(20)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한 끼움지지부(200)에서 저절로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반대로 스트랩(20)을 끼움지지부(20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스트랩(20)을 끼움공(280)을 따라 그대로 만곡부(21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만곡부(211)를 지날 때 자연스럽게 뒤집어주게 되면 뒤집어진 스트랩(20)은 삽입공(270)을 지나 쉽게 끼움지지부(200) 외측으로 분리가 될 수 있다.
스트랩(20)을 뒤집는 방향은 끼움단(260)을 기준으로 스트랩(20)을 대향했을 때 시계방향이 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트랩 클립(10)을 들고 길이조절부(100)가 좌측, 끼움지지부(200)가 우측으로 놓이게 했을 때 끼움단(260)은 몸에서 멀어지는 외측 방향에 위치하게 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스트랩(20)의 상위 겹을 잡고 끼움단(260) 옆에 위치한 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뒤집게 되면 스트랩(20)의 내측단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트랩(20)의 외측단은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그대로 끼움단(260)을 통과한 후 만곡부(211)를 지나게 되면 끼움단(260)의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뒤집힌 상태로 삽입된 스트랩(20)은 자연스럽게 끼움공(280)을 만나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지게 된다.
그리고 스트랩(20)은 끼움공(280)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상단바(230)와 지지하단바(240) 사이에 갇힌 형상이 되고 일측에 구성된 끼움공(280)은 그 폭이 좁으므로 스트랩(20)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결합과정을 도면을 이용하여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 한 손으로 스트랩 클립(10)을 잡고 다른 손으로 스트랩(20)을 잡는다. 본 설명에서는 왼손으로 클립을 잡고 오른손으로 스트랩(20)을 잡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왼손으로 스트랩 클립(10)을 잡고 끼움단(260)을 상부로 향하게 하며, 오른속에 스트랩(20)을 잡은 후 클립의 우측 방향에 배치한다.(도 4의 (a))
2단계 : 오른손으로 상위 겹을 형성하는 스트랩(20)을 시계 방향으로 뒤집는다.(도 4의 (b)) 이렇게 되면 뒤집기 전 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을 향했던 스트랩(20)의 타측단이 뒤집기를 통해 스트랩(20)의 하부 방향을 향하면서 돌게 된 후 몸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을 향하게 되고, 반대로 뒤집기 전 내측방향의 스트랩(20) 일측단은 뒤집기 후 외측 방향을 향하게 된다.
3단계 : 뒤집어진 스트랩(20) 상위 겹을 세워서 삽입단(250)의 틈새에 대향시킨다.(도 4의 (c))
4단계 : 뒤집어진 스트랩(20)의 타측단을 삽입단(250)에 맞춰 삽입 하고 스트랩(20) 상위 겹을 삽입공(270)을 따라 밀어 넣는다.(도 4의 (d))
5단계 : 스트랩(20) 상위 겹을 만곡부(211)까지 밀어 넣으면, 스트랩(20) 상위 겹은 이미 뒤집힌 상태이므로 좁은 만곡부(211)와 끼움단(260)을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게 되고 따라서 본래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되돌려 뒤집히게 된다.(도 4의 (e))
6단계 : 스트랩(20) 상위 겹이 끼움공(280)으로 장착되고, 스트랩(20) 상위 겹과 하위 겹이 지지하단바(240)를 사이에 두고 걸린 형상이 되어 스트랩(20)이 지지하단바(240)에 끼움 결합된다.(도 4의 (f))
7단계 : 스트랩(20)의 끼움공(280) 삽입이 마무리 되고 길이조절이 이뤄지면(도 4의 (g)), 스트랩(20)은 클립에 장착이 완료된다.(도 4의 (h))
이상의 절차로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10)의 사용절차가 이뤄지게 되며, 상기 예시는 클립(10)을 왼손으로 잡고 오른손으로 스트랩(20)을 잡은 후 스트랩(20)이 하부로 처지도록 배치하고 클립(10)과 스트랩(20)을 상부로 오게 한 상태에서 클립(10)과 스트랩(20)을 결합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므로, 클립(10)과 스트랩(20)을 잡은 손과 상하 위치가 바뀐다면 그에 따라 스트랩(20)의 회전 방향과 클립 결합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결합원리 및 결합방법은 어느 상황에서나 동일하게 적용되며 결합 및 분리의 용이성 및 견고한 결합력 유지는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20 : 스트랩
100 : 길이조절부
110 : 일측크로스
120 : 타측크로스
130 : 일단포스트
140 : 타단포스트
150 : 중앙크로스
160 : 상부장공
170 : 하부장공
200 : 끼움지지부
210 : 지지일단바
211 : 만곡부
220 : 지지타단바
230 : 지지상단바
240 : 지지하단바
250 : 삽입단
260 : 끼움단
270 : 삽입공
280 : 끼움공

Claims (5)

  1. 사각의 판상으로 테두리 형성되는 길이조절부; 및
    길이조절부 일측에서 연장되며 수평 배치되는 끼움지지부;를 포함하되,
    길이조절부는,
    끼움지지부에 접하며 일측에 형성되는 일측크로스;
    일측크로스에 맞은편에 대향 형성되는 타측크로스;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일단포스트;
    일측크로스 및 타측크로스 각각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타단포스트; 및
    일단포스트와 타단포스트의 중앙을 연결하며 길이조절부 내측 중공의 상부장공과 하부장공을 구획하는 중앙크로스;를 더 포함하고,
    끼움지지부는,
    일단포스트에서 연장되는 지지일단바;
    지지일단바의 선단에서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하단바;
    지지하단바의 선단에서 타단포스트에 나란히 향하며 절곡 형성되는 지지타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에서 지지일단바를 향해 타측크로스에 평행하게 절곡되는 지지상단바;
    지지타단바의 선단과 타단포스트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삽입단; 및
    지지상단바의 선단과 지지일단바 사이에 소정 틈새로 형성되는 끼움단; 을 더 포함하되,
    지지일단바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만곡부의 양단은 각각 지지상단바와 지지하단바에 곡선으로 연결되며,
    만곡부의 중심은 지지상단바의 선단에 대향되어,
    지지상단바의 선단은 만곡부에 대응되는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일측크로스와 지지상단바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
    지지상단바와 지지하단바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공;을 더 포함하고,
    삽입단과 끼움단의 폭은 상호 동일하고,
    삽입공 및 끼움공 각각의 상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지지상단바의 선단과 지지일단바의 간격은 삽입공 및 끼움공 각각의 상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직선의 삽입공이 끼움공으로 이어질때 반원을 그리면서 이어지게 형성되며,
    끼움단과 끼움공의 폭은 스트랩을 뒤집기에는 좁게 형성되어, 스트랩의 결합 시 스트랩을 한 번 뒤집은 상태로 삽입공에 삽입하면 곡면 형성된 만곡부와 끼움단을 지나면서 본래 방향으로 되돌려지며 끼움공에 안착되어서, 스트랩은 끼움지지부에 결합이 완료되고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한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며,
    스트랩을 클립에서 분리 시, 스트랩을 끼움공을 따라 만곡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만곡부를 지나 삽입공을 따라 이동시키면 뒤집어진 상태로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84589A 2021-11-18 2021-12-22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KR102635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9750 2021-11-18
KR1020210159750 2021-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055A KR20230073055A (ko) 2023-05-25
KR102635462B1 true KR102635462B1 (ko) 2024-02-08

Family

ID=8654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89A KR102635462B1 (ko) 2021-11-18 2021-12-22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4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9106A1 (en) * 2006-06-16 2007-12-20 Gerald Albert Gyure Strap retain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8972A1 (en) * 1990-06-13 1991-12-13 Murray R. Bedford Quick connect/release/adjust buckle
KR101919760B1 (ko) 2017-02-02 2018-11-20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스트랩 연결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9106A1 (en) * 2006-06-16 2007-12-20 Gerald Albert Gyure Strap retain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055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728A (en) Eyeglass holder
US6076925A (en) Eyeglass holder
BRPI0709929A2 (pt) portador para suportar um item pessoal, e, método para fabricar um portador
JPH1146816A (ja) 紐 具
RU2003137897A (ru) Наплечное подв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шения ребенка
CN110536621A (zh) 磁体钩
JP2004530521A (ja) バックル装置
US20140331461A1 (en) Safety pin for fastening accessories
KR102635462B1 (ko) 결합 및 해제가 간편하고 견고한 스트랩 클립
KR200412933Y1 (ko) 표찰케이스용 정방향 핀온릴
JP2005021564A (ja) ハンガー
JP5268892B2 (ja) 留め具
FR2823655A1 (fr) Dispositif d'attache adulte-enfant pour les deplacements a pied avec pochette de rangement transformable en support d'assise
US20200263860A1 (en) Device to support string lights
JP2008054940A (ja) 背負い鞄およびその背負い鞄の調整方法
JP3099671U (ja) 折りたたみ式携帯電話用ホルダー
US91137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thes hanger device
JP4543288B2 (ja) 背負い鞄用背環
JP3143578U (ja) ドリンクホルダー
US5377390A (en) Adjustable tie chain
JP3157660U (ja) ベルト
JP2000070079A (ja) 子守帯
TWI603689B (zh) Has received the function of the stack with the buckle
JP3222873U (ja) お守り袋及びお守り
US1732684A (en) Napkin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