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10B1 -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10B1
KR102634910B1 KR1020160114133A KR20160114133A KR102634910B1 KR 102634910 B1 KR102634910 B1 KR 102634910B1 KR 1020160114133 A KR1020160114133 A KR 1020160114133A KR 20160114133 A KR20160114133 A KR 20160114133A KR 102634910 B1 KR102634910 B1 KR 10263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liquid
core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049A (ko
Inventor
박승룡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1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1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EP17789982.0A priority patent/EP3451029B1/en
Priority to EP20192427.1A priority patent/EP3770650B1/en
Priority to PCT/KR2017/004615 priority patent/WO2017188798A1/ko
Priority to JP2018556335A priority patent/JP6938540B2/ja
Priority to CN201780026581.8A priority patent/CN109073792B/zh
Priority to US15/651,838 priority patent/US9880327B2/en
Priority to US15/820,119 priority patent/US10281621B2/en
Publication of KR2018002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49A/ko
Priority to US16/366,992 priority patent/US10908326B2/en
Priority to US17/132,751 priority patent/US1154356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과 상기 캐비티의 내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고, 모서리에 상부홀이 위치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모서리에 하부홀이 위치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모서리와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홀을 지나는 상부도전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의 모서리와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홀을 지나는 하부도전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모서리의 내측에 위치하는 액체 렌즈와 상기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와 상기 렌즈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LIQUID LENS, LENS MODULE, CAMERA MODULE, OPTICAL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ENS MODULE}
본 실시예는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의 모듈이다.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인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기능을 갖춘 AF 카메라 모듈과,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을 보정하는 기능인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갖춘 OIS 카메라 모듈이 있다.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 기능은, 렌즈 홀더의 코어에 고정되어 광축이 정렬된 여러 개의 렌즈 모듈이, 광축 또는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틸팅(Tilting)하여 수행되고, 렌즈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렌즈 구동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렌즈 구동 장치는 전력 소모가 높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카메라 모듈과 별도로 커버 글라스를 추가하여야 하는바 전체 두께가 두꺼워 진다.
따라서 두 가지 액체의 계면의 곡률을 전기적으로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액체 렌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서, 액체 렌즈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렌즈 모듈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문제가 있다.
또, 액체 렌즈가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액체 렌즈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의 렌즈들을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렌즈 홀더가 필요하고, 2개의 렌즈 홀더는 별도의 코어 성형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그 결과, 상부와 하부의 렌즈들이 각각 정렬되어 렌즈들 간의 광축이 어긋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액체 렌즈가 중간에 위치하여 모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단일 코어에 의해 렌즈들을 일체로 정렬할 수 있는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과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렌즈들을 삽입하는 경우,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액체 렌즈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과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코너부는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변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4개이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4개일 수 있다.
상기 홈은 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에 형성된 홈은 상기 상부기판을 관통하는 홀 형태이고,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홈은 상기 하부기판을 관통하는 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캐비티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상부가이드홀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홀에 수용되는 액체 렌즈;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상기 렌즈 홀더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액체 렌즈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제1렌즈부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상부가이드홀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에서 최하측에 배치되는 렌즈는, 밑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경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내측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은, 광축방향으로 형성된 홀과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면의 일부를 개방시킨 삽입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를 성형하는 제1단계; 광축방향으로 상기 홀의 상측에 제1렌즈부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홀에서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액체 렌즈를 삽입하는 제3단계; 광축방향으로 상기 홀의 하측에 제2렌즈부를 삽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홀에 수용되는 액체 렌즈;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메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액체 렌즈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부연결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부연결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하부연결기판;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부연결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렌즈 모듈의 렌즈들은 단일 코어에 의해 정렬될 수 있어 광축이 비틀어지거나 어긋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액체 렌즈는, 렌즈 모듈의 중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 액체 렌즈의 삽입시, 이웃하는 렌즈와 마찰이 없어 삽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액체 렌즈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 모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전기습윤 현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쉴드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렌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제1실시예의 렌즈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제1,2실시예에서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캐비티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개념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액체렌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제1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제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제1,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카메라 모듈의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는, 액체 렌즈의 계면의 곡률을 변화시켜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 기능"은, 외력에 의해 이미지 센서에 발생되는 진동(움직임)을 상쇄하도록 액체 렌즈의 계면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손떨림 보정"은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를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 디스플레이부(미도시), 카메라 모듈(1000,20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일례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례로서 본체는 적어도 일부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 모듈(1000,2000)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2000)은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2000)은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2000)은 적어도 일부가 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2000)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2000)과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과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2000)이 배치된 면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20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제1,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제1실시예의 쉴드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제1실시예의 렌즈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제1실시예의 렌즈 홀더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제1,2실시예에서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캐비티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개념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AF 구동용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1000)은 "AF 카메라 모듈"이라 칭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000)이 OIS 구동용 카메라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커버부재(100), 렌즈 모듈, 적외선 필터(600), 메인기판(700), 이미지 센서(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 모듈(1000)에서 커버부재(100), 적외선 필터(600), 메인기판(700) 및 이미지 센서(미도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재(100)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또는 커버부재(100)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재(1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이와 같은 특징 때문에, 커버부재(1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커버부재(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00)는, 커버부재(100)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부재(100)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커버부재(100)의 재질이 금속의 판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20)과 여러 개의 측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상판(120)과 상판(120)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여러 개의 측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렌즈 홀더(200)의 외측면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여러 개의 측판(130)의 하단은, 렌즈 홀더(200)에 장착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의 여러 개의 측판(130)의 하단은, 렌즈 홀더(200)의 하부의 단차부(250)에 장착될 수 있다.
상판(120)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판(120)의 각 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여러 개의 측판(1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판(120)과 여러 개의 측판(1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120)의 중앙에는 제1투과창(1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투과창(110)은 상판(12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홀로 후술하는 렌즈 모듈의 광축을 중심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를 반사한 빛은 제1투과창(110)을 통하여 렌즈 모듈로 조사될 수 있다.
측판(130)은 여러 개일 수 있다. 측판(130)은 상판(120)의 4개의 변 각각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측판(130)은 총 4개일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측판(130)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측판(130)의 하단은 렌즈 홀더(200)의 하부의 단차부(250)에 장착될 수 있다.
슬릿(140)은 여러 개의 측판(130)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즉, 슬릿(140)은 여러 개의 측판(130) 중 이웃하는 측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릿(140)은 커버부재(100)의 4개의 수직변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슬릿(140)은 제1,2,3간극(142,144,1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간극(142)은 커버부재(100)의 수직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3간극(144,146)은 제1간극(142)의 상단부가 커버부재(100)의 상부 모서리에서 양측으로 갈라져 형성될 수 있다. 제2,3간극(144,146)의 상측 끝단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그 결과, 일체의 평판을 성형하여 전개도 형태의 커버부재(100)를 제작한 후, 여러 개의 측판(130)을 하측으로 접어 커버부재(1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3간극(144,146)의 상단부는 라운드져 있으므로, 측판(130)이 쉽게 접힐 수 있다. 나아가 측판(130)이 접히는 부분의 양 끝단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홀더(200)와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의 하측에는 메인기판(700)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메인기판(7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의 하단부는 메인기판(70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의 하단부는 메인기판(700)의 윗면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을 투과한 광은 메인기판(700)의 윗면 내측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렌즈 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모듈의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메인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플레이트는 메인기판의 윗면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블럭형태의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홀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의 중앙에는 광축 방향으로 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에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 홀더(20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홀(210)은 렌즈 홀더(200)에 위치할 수 있다. 홀(210)은 렌즈 홀더(200)의 중앙에 광축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홀(210)은 렌즈 홀더(200)의 중앙에 광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210)은 렌즈 홀더(20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210)에 의해 렌즈 홀더(200)의 상측과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홀(210)에는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홀(210)에는 제2투과창(211)과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과 삽입홀(232)과 제3렌즈수용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0)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2투과창(211)과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과 제3렌즈수용홀(240)이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홀(210)에는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가 차례로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의 광축은 정렬될 수 있다.
제2투과창(211)은 홀(210)의 최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투과창(211)은 원형일 수 있다. 제2투과창(211)과 상하로 이격되어 제1투과창(1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투과창(211)의 하측에는 제1렌즈수용홀(2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투과창(211)과 제1렌즈수용홀(22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투과창(211)은 제1렌즈수용홀(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투과창(211)은 제1렌즈수용홀(220)의 일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투과창(211)을 통해 제1렌즈부(200)의 최상측 렌즈가 돌출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은 홀(2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의 상측에는 제2투과창(21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의 하측에는 제2렌즈수용홀(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투과창(211)과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투과창(211)과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에는 제1렌즈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은 홀(210)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의 상측에는 제1렌즈수용홀(22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의 하측에는 제3렌즈수용홀(24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과 제3렌즈수용홀(24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1렌즈수용홀(220)과 제2렌즈수용홀(230)과 제3렌즈수용홀(240)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에는 액체 렌즈(4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의 광축은 정렬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에서 광축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의 표면에서부터 홀(210)까지 광축 방향과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의 표면에서부터 홀(210)까지 광축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광축 방향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렌즈 홀더(2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광축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232)에 의해 렌즈 홀더(200)의 일측면의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홀(210)과 연통될 수 있다. 삽입홀(232)은 제2렌즈수용홀(230)과 연통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렌즈(400)가 삽입홀(232)을 통해 렌즈 홀더(2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에서 삽입홀(232)이 관통하는 일측면에는 삽입홀(232)과 연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기판수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수용홈(234)에는 후술하는 상부연결기판(410b)과 하부연결기판(450b)이 수용될 수 있다. 기판수용홈(234)은 렌즈 홀더(20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과 하부연결기판(450b)은 기판수용홈(234)을 따라 위치하므로 렌즈 홀더(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렌즈수용홀(240)은 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수용홀(240)의 상측에는 제2렌즈수용홀(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과 제3렌즈수용홀(24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렌즈수용홀(230)과 제3렌즈수용홀(240)은 광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수용홀(240)에는 제2렌즈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의 광축은 정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렌즈(400)의 경우, 다른 렌즈보다 렌즈 외형의 크기가 크다. 따라서 액체 렌즈(400)를 홀(210)의 하측 개구를 통해 삽입하는 경우,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를 수용하는 상측 홀과 제2렌즈부(500)를 수용하는 하측 홀이 각각 필요하다. 각각의 홀은 별개의 홀 성형공정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축 홀과 하측 홀의 광축이 서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제1실시예에서는 삽입홀(232)에 의해 액체 렌즈(400)가 측면에서 삽입된다. 그 결과, 하나의 홀(210)에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가 모두 수용될 수 있다. 즉, 단일의 홀 성형공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홀(210)에 모든 렌즈가 수용되므로 광축이 비틀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1렌즈부(300)는 1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부(300)는 2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부(300)의 렌즈들은 적층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1렌즈부(300)는 제1렌즈수용홀(22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렌즈부(300)의 렌즈들은, 렌즈의 상부가 제1렌즈수용홀(220)의 단턱이나 오링에 접하고, 렌즈의 하부가 하부 렌즈나 오링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하부는 후술하는 액체 렌즈(400)의 상부플레이트(420)의 윗면과 접할 수 있다.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하부는 후술하는 액체 렌즈(400)의 상부플레이트(420)의 윗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밑면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경사부(310)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310)는 렌즈 홀더(200)의 내측으로 내리막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최하측 렌즈의 밑면의 외측 둘레가 각져 있는 경우,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상부플레이트(420)와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부(310)가 필요하다.
액체 렌즈(400)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계면의 곡률을 제어하여 AF기능과 OIS기능을 수행하는 렌즈이다.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수용되고, 전극과 절연체가 적층되어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압의 세기에 따라 전도성 액체와 절연체로 코팅된 캐비티의 내측면의 접촉각이 변화하는 전기습윤(electrowetting) 현상이 발생한다. 도 1을 참고하여, 전기습윤(electro wetting) 현상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전기적으로 절연된 절연막(14)의 윗면에 전도성 액적(40)을 떨어뜨리면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난 구형을 이루게 된다. 절연막(14) 밑의 제1전극(13)과 전도성 액적(40) 사이의 제2전극(15)에 전압을 인가하면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난 것처럼 전도성 액적(40)과 절연막(13)의 윗면의 접촉각이 변화하는 전기습윤 현상이 일어난다. 나아가 전압이 인가되는 위치를 변경하면 전기습윤 현상이 발생하는 위치가 변경된다. 상술한 전기습윤 현상에 의해, 액체 렌즈(400)에서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의 계면의 곡률이 변화하고, 이러한 곡률의 변화가 제어되어 AF기능 및 OIS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4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부전극부는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내벽전극부는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액체 렌즈(400)는 렌즈 홀더(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상부가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아랫면과 제2렌즈수용홀(230)의 윗면에 접하고, 하부가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의 윗면과 제2렌즈수용홀(230)의 아랫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면에서 삽입되어 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계면의 곡률은 제어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렌즈 홀더(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상부가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아랫면과 제2렌즈수용홀(230)의 윗면에 접하고, 하부가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의 윗면과 제2렌즈수용홀(230)의 아랫면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렌즈 홀더(200)의 일측면에서 삽입되어 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계면의 곡률은 제어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기판과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상부기판(410)과 상부플레이트(420)와 코어플레이트(430)와 하부플레이트(440)와 하부기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액체 렌즈(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의 하부에는 상부플레이트(4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과 코어플레이트(430) 사이에는 상부플레이트(4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의 윗면은 제2렌즈수용홀(230)의 상측 내벽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코어플레이트(430)에 배치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메인기판(700)에 의해 제어되어 후술하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전극부(a)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전극부(a)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파장과 전류가 인가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상부회로기판(410a)과 상부연결기판(41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에는 후술하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 또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에서부터 일측변으로 연장된 상부가이드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변은 액체 렌즈(400)가 삽입홀(232)에 삽입되는 방향의 초입(初入)에 위치하는 변일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밑면과 상부회로기판(410a)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부가이드홀(415)에 의해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밑면은 상부플레이트(420)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삽입된 제1렌즈부(300)의 렌즈가 요동하지 않고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상부회로기판(410a)이 마모되거나 상부회로기판(410a)이 상부플레이트(420) 또는 코어플레이트(430)로부터 탈착되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에는 시계방향으로 제1상부코너부(411)와 제2상부모서리(412)와 제3상부코너부(413)와 제4상부코너부(414)가 위치할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기판(410)의 코너부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코너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가 위치할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제2렌즈수용홀(230)의 상측 내벽 및 측벽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코어플레이트(430)간의 접착이 떨어져 상부회로기판(410a)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상부회로기판(410a)의 변은 코어플레이트(430)의 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는 코어플레이트(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는 이와 대응(대향)하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전극부(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상부코너부(411)는 제1전극부(a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상부코너부(412)는 제2전극부(a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상부코너부(413)는 제3전극부(a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상부코너부(414)는 제4전극부(a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는 4개의 상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도전부(미도시)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대응(대향)하는 제1 내지 제4상부홈(421,422,423,424)을 지날 수 있다. 또, 상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는 전도성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 상부도전부는 전극패드일 수 있다.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코어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은, FPCB(Fr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은 상부회로기판(41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은,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메인기판(700)은 상부연결기판(410b)과 상부회로기판(410a)을 통해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은, 상부회로기판(410a)의 타측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타측변은 액체 렌즈(400)가 삽입홀(232)에 삽입되는 방향의 말미(末尾)에 위치하는 변일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과 상부회로기판(410a)의 접합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상부연결기판(410b)은, 기판수용홈(234)에 수용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에는 커버부재(100)가 위치하기 때문에 상부연결기판(410b)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상부기판(4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상부기판(410)과 접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코어플레이트(430)와 접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은 제1가이드홀(415)을 관통한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밑면과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는 상부플레이트(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투명재질일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절연성일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유리재질일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반사방지 코팅(Anti Reflection Coating)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는 후술하는 캐비티(431)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420)는 커버글라스로 불릴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의 밑면 중앙에는 제5상부홈(425)이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본 제1실시예에서는 캐비티(431)의 상부에 전도성 액체(L1)가 위치하고, 캐비티(431)의 하부에 비전도성 액체(L2)가 위치하므로 캐비티(431)에 수용된 전도성 액체(L1)는 제5상부홈(425)에 채워질 수 있다. 제5상부홈(425)은 후술하는 중앙플레이트(430)의 윗면에 환형으로 코팅된 절연부(b)와 대응(대향)할 수 있다. 제5상부홈(425)의 면적은 중앙플레이트(430)의 윗면에 환형으로 코팅된 절연부(b)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그 결과, 제5상부홈(425)에 채워진 전도성 액체는 제1 내지 제4전극(a1,a2,a3,a4)과 접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의 꼭지점 부분 또는 외측 둘레 또는 코너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제1상부홈(421), 제2상부홈(422), 제3상부홈(423), 제4상부홈(424)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420)의 모서리는 내측으로 파여 시계방향으로 제1상부홈(421), 제2상부홈(422), 제3상부홈(423), 제4상부홈(424)이 형성될 수 다. 제1 내지 제4상부홈(421,422,423,424)은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제1 내지 제4전극(a1,a2,a3,a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홈(421,422,423,424)을 통해 제1 내지 제4코너부(411,412,413,414)와 제1 내지 제4전극(a1,a2,a3,a4)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상부홈(421,422,423,424)을 지나가는 상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제1 내지 제4코너부(411,412,413,414)와 제1 내지 제4전극(a1,a2,a3,a4)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또, 상부도전부는 전극패드일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상부플레이트(4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상부플레이트(420)와 접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하부플레이트(4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하부플레이트(440)와 접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의 중앙에는 캐비티(43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431)에는 제1액체(L1)와 제2액체(L2)가 수용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에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중앙을 관통하는 캐비티(431)가 형성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의 표면과 캐비티(431)의 내측면에는 전극부(a)가 코팅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에는 상부전극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전극부는 서로 나뉘어진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431)의 내벽과 캐비티(431)의 내벽에서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와 코어플레이트(430)의 하부로 연장된 내벽전극부가 배치될 수 있다. 내벽전극부는 서로 나뉘어진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전극부와 내벽전극부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윗면)에서 단절될 수 있다. 캐비티(431)의 내벽의 전극부(a)에 절연층(b)이 코팅될 수 있다. 또,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에서 캐비티(431)의 주변의 전극부(a)에 절연층(b)이 코팅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상부기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어플레이트(430)는 하부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캐비티(431)는 코어플레이트(430)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티(431)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티(431)는 코어플레이트(4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43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캐비티(43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캐비티(431)에는 제1액체(L1)와 제2액체(L2)가 수용될 수 있다. 캐비티(431)의 내벽에는 전극부(a)가 코팅될 수 있다. 캐비티(431)의 내벽에는 내벽전극부(a5,a6,s7,a8)이 코팅될 수 있다.
전극부(a)의 재질은 전도성 금속일 수 있다. 전극부(a)는 상부전극부와 내벽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전극부는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를 포함할 수 있다. 내벽전극부는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부(a)는 코어플레이트(430)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부(a)는 상부기판(4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a)는 상부기판(410)과 상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또, 상부도전부는 전극패드일 수 있다. 전극부(a)는 하부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a)는 하부기판(450)과 하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이거나 전극패드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4전극부(상부전극부, a1,a2,a3,a4)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는 제1액체(L1)와 접하여 제1액체(L1)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는 시계방향으로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윗면)를 4개의 섹터로 분할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전극부(내벽전극부, a5,a6,a7,a8)는 캐비티(431)의 내벽과 코어플레이트(430)의 아랫면과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는 시계방향으로 캐비티(431)의 내벽과 코어플레이트(430)의 아랫면과 윗면을 4개의 섹터로 분할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전극부(내벽전극부, a5,a6,a7,a8)와 제1,2액체(L1,L2)사이에는 절연층(b)이 개재될 수 있다. 즉, 제5 내지 제8전극부(내벽전극부, a5,a6,a7,a8)와 제1,2액체(L1,L2)는 서로 접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4전극부(상부전극부, a1,a2,a3,a4)와 제5 내지 제8전극부(내벽전극부, a5,a6,a7,a8)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윗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전극부(상부전극부, a1,a2,a3,a4)와 제5 내지 제8전극부(내벽전극부, a5,a6,a7,a8)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상부에서 단절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 각각의 모서리는 상부기판(410)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 각각과 대응(대향)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 각각의 모서리에 대응(대향)되는 상부기판(410)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 각각은 4개의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전극부(a1)와 제1상부코너부(411)는 제1상부홈(421)을 지나가는(관통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2전극부(a2)와 제2상부모서리(412)는 제2상부홈(422)을 지나가는(관통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3전극부(a3)와 제3상부코너부(413)는 제3상부홈(423)을 지나가는(관통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4전극부(a4)와 제4상부코너부(414)는 제4상부홈(424)을 지나가는(관통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이거나 전극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상부기판(410)에 의해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의 일부에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에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 극성은 제어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 각각의 코너부는 하부기판(450)의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 각각과 대응(대향)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 각각의 코너부에 대응(대향)되는 하부기판(450)의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 각각은 4개의 하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전극부(a5)와 제1하부코너부(451)는 제1하부홈(441)을 지나가는(관통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6전극부(a6)와 제2하부코너부(452)는 제2상부홈(442)을 지나가는(관통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7전극부(a7)와 제3하부코너부(453)는 제3하부채널(443)을 지나가는(관통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제8전극부(a8)와 제4하부코너부(454)는 제4하부홈(444)을 지나가는(관통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 또는 전극패드일 수 있다. 그 결과, 하부기판(450)에 의해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의 일부에만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 극성은 제어될 수 있다.
절연층(b)은 절연성 중합체일 수 있다. 절연층(b)은 페럴린(Parylene)코팅일 수 있다. 절연층(b)은 절연성(비전도성) 산화물(oxide)일 수 있다. 절연층(b)은 전극부(a)에 코팅될 수 있다. 절연층(b)은 전극부(a)에 적층되어 코팅될 수 있다. 절연층(b)은 캐비티(431)의 내벽을 따라 전극부(a)에 코팅될 수 있다. 절연층(b)은 캐비티(431)와 대향하는 하부플레이트(440)에 코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층(b)은 하부플레이트(440)의 윗면과 접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하부플레이트(440)의 제5하부홈(445)에 접할 수 있다. 절연층(b)은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에서 캐비티(431)의 둘레를 따라 전극부(a)에 코팅될 수 있다. 캐비티(431)의 내벽과 하부플레이트(440)와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에서 캐비티(43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절연층(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절연층(b)은 제1액체(L1) 및 제2액체(L2)와 접하여 제1액체(L1) 및 제2액체(L2)를 수용할 수 있다. 절연층(b)의 두께는 200nm이상일 수 있다. 특히, 하부플레이트(440)에 배치되는 절연층(b)의 두께가 200nm미만인 사용시 마모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절연층(b)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 특히, 430nm-680nm 범위의 파장을 갖는 광에 대해서 절연층(b)의 투과율은 85%이상일 수 있다. 이의 미만인 경우, 이미지센서에 조사될 수 있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지 못해 출력되는 이미지나 동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진다.
하부플레이트(440)는 하부기판(45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하부기판(450)과 접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코어플레이트(4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코어플레이트(430)와 접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의 아랫면은 제2가이드홀(455)을 관통한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의 윗면과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는 하부플레이트(4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변형례(미도시)에서는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하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코어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투명재질일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절연성일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유리재질일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반사방지 코팅(Anti Reflection Coating)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는 후술하는 캐비티(431)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플레이트(440)는 커버글라스로 불릴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에는 절연층(b)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의 윗면에서 캐비티(431)와 대향하는 부분은 절연층(b)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의 밑면 중앙에는 제5하부홈(445)이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의 제5하부홈(445)은 절연층(b)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5하부홈(445)에 채워진 제2액체(L2)는 제5 내지 제8전극(a5,a6,a7,a8)과 접할 수 없다.
하부플레이트(440)의 코너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제1하부홈(441), 제2하부홈(442), 제3하부홈(443), 제4하부홈(444)이 위치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440)의 코너부는 내측으로 파여 시계방향으로 제1하부홈(441), 제2하부홈(442), 제3하부홈(443), 제4하부홈(4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홈(441,442,443,444)은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a5,a6,a7,a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홈(441,442,443,444)을 통해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a5,a6,a7,a8)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홈(441,442,443,444)을 지나가는 하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a5,a6,a7,a8)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액체 렌즈(400)의 최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440)가 위치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의 아랫면은 제2렌즈수용홀(230)의 하측 내벽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코어플레이트(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메인기판(700)에 의해 제어되어 후술하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파장과 전류가 인가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하부회로기판(450a)과 하부연결기판(450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에는 후술하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 또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에 하부가이드홀(45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가이드홀(455)에 의해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의 윗면은 하부플레이트(440)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가 전기제어 측면에서 중요하고 마찰에 의해 마모 및 박리될 수 있는 하부회로기판(450a)에 접하여 고정되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하부플레이트(440)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에는 시계방향으로 제1하부코너부(451)와 제2하부코너부(452)와 제3하부코너부(453)와 제4하부코너부(454)가 위치할 수 있다. 하부회로기판(450a)의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부기판(450)의 코너부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코너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가 위치할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2렌즈수용홀(240)의 하측 내벽 및 측벽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코어플레이트(430)간의 접착이 떨어져 하부회로기판(450a)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는 코어플레이트(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는 이와 대응(대향)하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전극부(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하부코너부(451)는 제5전극부(a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하부코너부(452)는 제6전극부(a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하부코너부(453)는 제7전극부(a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하부코너부(454)는 제8전극부(a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는 4개의 하부도전부(미도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도전부(미도시)는 후술하는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대응(대향)하는 제1 내지 제4하부홀(441,442,443,444)을 지날 수 있다. 또, 하부도전부는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는 전도성 에폭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는 전극 패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은, FPCB(Fr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은 하부회로기판(4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은,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메인기판(700)은 하부연결기판(450b)과 하부회로기판(450a)을 통해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은, 하부회로기판(450a)의 타측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타측변은 액체 렌즈(400)가 삽입홀(232)에 삽입되는 방향의 말미(末尾)에 위치하는 변일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과 하부회로기판(450a)의 접합부는 라운드질 수 있다. 하부연결기판(450b)은, 기판수용홈(234)에 수용되어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에는 커버부재(100)가 위치하기 때문에 하부연결기판(450b)은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제1실시예의 다양한 액체 렌즈(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피사체에서 반사된 광은 액체 렌즈(400)를 상부에서 하부로 투과한다. 또, 다양한 액체 렌즈(400)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가지는 상부기판(410)과 하부기판(450)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9a의 액체 렌즈(400)는 상부플레이트(420)에 제5상부홈(425)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플레이트(440)에 제5하부홈(44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극부(a)는 캐비티(431)의 내벽과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과 아랫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전극부(a1,a2,a3.a4)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에 배치되고,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의 캐비티(431)의 둘레에서 단절될 수 있다. 내벽전극부(a5.a6a,a7,a8)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의 캐비티(431)의 둘레와 캐비티(431)의 내벽과 코어플레이트(430)의 아랫면에 배치되고,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의 캐비티(431)의 둘레에서 단절될 수 있다. 즉, 상부전극부(a1,a2,a3.a4)와 내벽전극부(a5.a6a,a7,a8)는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에서 단절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절연층(b)은 코어플레이트(430)의 캐비티(431)의 둘레를 따라 전극부(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층(b)은 상부전극부(a1,a2,a3.a4)와 내벽전극부(a5.a6a,a7,a8)가 단절된 부분을 지나 배치될 수 있다. 또, 제5하부홈(445)의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절연층(b)은 밑면이 제5하부홈(445)에 배치될 수 있고, 밑면으로부터 캐비티(431)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어 내벽전극부(a5.a6a,a7,a8)에 배치될 수 있고, 캐비티(431)의 내벽에서 코어플레이트(430)의 윗면을 따라 내벽전극부(a5.a6a,a7,a8)를 지나 상부전극부(a1,a2,a3.a4)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액체(L2)는 캐비티(4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절연층(b)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액체(L1)는 캐비티(4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절연층(b)과 상부와 제5상부홈(425)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액체(L2)는 상부전극부(a1,a2,a3.a4)와 접할 수 있다.
제1액체(L1)는 전도성 액체이고, 제2액체(L2)는 비전도성 액체일 수 있다. 제1액체(L1)는 물을 포함하고, 제2액체(L2)는 오일(Oi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L1)와 제2액체(L2)는, 제2액체(L2)의 상부에 제1액체(L1)가 위치하고, 서로 굴절률이 상이하며, 서로 접촉하여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계면은, 전극부(a)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캐비티(431)의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렌즈(400)는, 전극부(a)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마이너스(-)디옵터를 갖고, 전극부(a)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플러스(+)디옵터를 갖게 될 수 있다. 즉, 계면은 초기상태에서 하부로 곡률진 형태로 이 경우, 액체 렌즈(400)는 오목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전극부(a)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계면은 점점 상부로 곡률지게 되어, 액체 렌즈(400)는 볼록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 초기상태에서 아래로 볼록한 계면의 곡률반경은 전극부(a)에 최대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의 위로 볼록한 계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도 9b의 액체 렌즈에는 도 9a의 액체 렌즈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9a의 액체 렌즈와 비교하여 제5하부홈(445)이 생략되었다. 그 결과, 절연층(b)이 하부플레이트(440)에서 캐비티(431)와 대향하는 윗면에 바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c의 액체 렌즈에는 도 9a의 액체 렌즈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다만, 고 9a의 액체 렌즈와 비교하여 제5하부홈(445)이 생략되었다. 나아가 하부플레이트(440)에는 절연층(b)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d의 액체 렌즈에는 도 9a의 액체 렌즈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다만, 캐비티(431)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431)의 폭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캐비티(431)의 수평 단면적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나아가 도 9e의 액체 렌즈는 도 9b의 액체 렌즈에서 캐비티(431)가 경사진 경우이고, 도 9f의 액체 렌즈는 도 9c의 액체 렌즈에서 캐비티(431)가 경사진 경우이다.
도 9g에는 도 9a의 액체 렌즈가 유추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9h의 액체 렌즈에는 제5상부홈(425)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대신 상부플레이트(420)와 코어플레이트(430)는 제1접착부재(427)와 제2접착부재(42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플레이트(420)와 코어플레이트(430)는 제1접착부재(427)와 제2접착부재(426)에 의해 이격되고, 제2액체(L2)는 이격공간에 채워져 상부전극(a1,a2,a3,a4)와 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접착부재(427)와 제2접착부재(426)는 비전도성 물질일 수 있다. 도 9h의 액체 렌즈는 도 9b의 액체렌즈에서 상부홈(425) 대신 제1,2접착부재(427,428)가 배치되는 경우이고, 도 9i의 액체렌즈는 도 9c의 액체 렌즈에서 상부홈(425) 대신 제1,2접착부재(427,428)가 배치되는 경우이고, 도 9j의 액체 렌즈는 도 9d의 액체 렌즈에서 상부홈(425) 대신 제1,2접착부재(427,428)가 배치되는 경우이고, 도 9k의 액체 렌즈는 도 9e의 액체 렌즈에서 상부홈(425) 대신 제1,2,접착부재(427,428)가 배치되는 경우이고, 도 9l의 액체 렌즈는 도 9f의 액체 렌즈에서 제5상부홈(425) 대신 제1,2접착부재(427,428)가 배치되는 경우이다.
본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400)는 상하 반전되어 렌즈 모듈에 배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 이 경우, 전극부(a)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플러스(+)디옵터를 갖고, 전극부(a)에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마이너스(-)디옵터를 갖게 될 수 있다. 즉, 계면은 초기상태에서 상부로 곡률진 형태로 이 경우, 액체 렌즈(400)는 볼록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전극부(a)에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계면은 점점 하부로 곡률지게 되어, 액체 렌즈(400)는 오록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 초기상태에서 위로 볼록한 계면의 곡률반경은 전극부(a)에 최대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의 아래로 볼록한 계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부(500)는 1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부(500)는 3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부(500)의 렌즈들은 적층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2렌즈부(500)는 제2렌즈수용홀(24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렌즈부(500)의 렌즈들은, 렌즈의 상부는 제2렌즈수용홀(240)의 단턱이나 오링에 접하여 하부는 하부 렌즈나 오링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렌즈부(500)의 최상측 렌즈의 상부는 액체 렌즈(400)의 하부플레이트(440)의 아랫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렌즈 모듈과 메인기판(7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600)는 적외선 차단 필터 또는 적외선 흡수 필터일 수 있다.
메인기판(70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메인기판(700)은 렌즈 홀더(200)를 지지할 수 있다. 메인기판(700)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일례로서, 메인기판(700)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하고, 메인기판(700)의 상면 외측에는 렌즈 홀더(2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이 메인기판(700)에 실장된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메인기판(700)은 액체 렌즈(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기판(700)은 상부기판(410)을 통해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기판(700)은 하부기판(450)을 통해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메인기판(700)에는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8전극부(a1,a2,a3,a4,a5,a6,a7,a8)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파장과 전류가 인가되는 위치는 제어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메인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메인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내지 제8전극부(a1,a2,a3,a4,a5,a6,a7,a8) 각각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파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액체 렌즈(400)를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1000)의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액체 렌즈(400)를 제어하여 액체 렌즈(400)의 계면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제2실시예의 액체 렌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2000) 구성은 액체 렌즈(400)를 제외하고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구성이 유추적용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의 액체 렌즈(400)는 상하부기판(410,450)을 제외하고는 본 제1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의 액체 렌즈(400)의 구성이 유추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제1실시예의 상하부기판(410,450)과 상이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본 제2실시예의 상하부기판(410,4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액체 렌즈(400)는 기판과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상부기판(410)과 상부플레이트(420)와 코어플레이트(430)와 하부플레이트(440)와 하부기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410)은 상부회로기판(410a)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기판(410)과 하부기판(450)은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과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상부기판(410)과 달리 상부연결기판(410b)은 생략될 수 있다. 하부기판(450)의 하부연결기판(450b)에 의해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상부기판이 상부연결기판을 포함하고, 하부기판의 하부연결기판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하부기판은 상부기판의 상부연결기판을 통해 메인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제2실시예와 변형례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 및/또는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이 존재하는 경우, 상부연결기판 또는 하부연결기판 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제2실시예와 같이 상부기판(410)과 하부기판(4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된 경우, 전극부(a)의 코팅구조가 단순해진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은 사각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상부회로기판(410a)에는 후술하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 또는 캐비티(431)와 대응(대향)되는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에 상부가이드홀(41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의 상부회로기판(410a)과 달리 상부가이드홀(415)이 일측변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과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이 선두로 진입하여 상부회로기판(410a)이 마모되거나 상부회로기판(410a)이 상부플레이트(420) 또는 홀플레이트(430)로부터 탈착되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부회로기판(410a)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는 본 제1실시예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달리 코어플레이트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과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이 선두로 진입하여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와 코어플레이트(430)간의 접착이 떨어져 상부회로기판(410a)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은, FPCB(Fr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은 상부회로기판(410a)과 하부회로기판(450a)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메인기판(700)은 하부회로기판(450a)과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과 상부회로기판(410a)을 통해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은, 상부회로기판(410a)의 일측변에서 턴업(turn-up)되어 하부회로기판(450a)의 일측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2상하부연결기판(410c,410d)은 만곡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일측변은 액체 렌즈(400)가 삽입홀(232)에 삽입되는 방향의 초입(初入)에 위치하는 변일 수 있다.
하부기판(450)은 하부회로기판(450a)과 하부연결기판(450b)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기판(410)과 하부기판(450)은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과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기판(410)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하부기판(450)의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는 본 제1실시예의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달리 코어플레이트(230)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제1,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2000)의 AF, OIS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제1,2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2000)의 기능은 캐비티(431)에 수용되는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의 계면의 곡률이 변화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도성 액체(L1)는 캐비티(43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성 액체(L1)는 상부홈(425)과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와 절연부(b)와 비전도성 액체(L2)에 접하여 캐비티(431)의 상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전도성 액체(L1)는 극성일 수 있다. 전도성 액체(L1)는 예를 들면 물(water)일 수 있다.
비전도성 액체(L2)는 캐비티(43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비전도성 액체(L2)는 절연부(b)와 전도성 액체(L1)에 접하여 캐비티(431)의 하부에 수용될 수 있다. 비전도성 액체(L1)는 무극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전도성 액체(L1)는 기름(oil)일 수 있다. 비전도성 액체(L1)는 실리콘일 수 있다.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의 비중은 유사하거나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가 존재하는 계(system)에서는 중력은 무시될 수 있다. 즉,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가 존재하는 계(system)는 중력의 영향을 덜 받고 표면장력을 영향을 많이 받는다.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의 계면은 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전도성 액체(L1)와 비전도성 액체(L2)의 계면의 곡률은 제어되어 AF 기능 및 OIS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AF 기능의 수행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캐비티(4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와 캐비티(4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의 극성이 반대가 되게 전압을 인가하면, 캐비티(4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도성 액체(L1)는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와 접하여 위치하고,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와 절연체(b) 및 비전도성 액체(L2)에 의해 격리되어 위치하므로 전기습윤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의 세기에 따라 계면의 곡률이 변화하여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의 세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OIS 기능의 수행을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캐비티(4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 중 일부와 캐비티(431)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5 내지 제8전극부(a5,a6,a7,a8)의 극성이 반대가 되게 전압을 인가하면, 계면의 곡률이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 중 일측의 방향으로 편향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의 세기 및 제1 내지 제4전극부(a1,a2,a3,a4) 중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부를 선택하여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압의 세기 및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변형례(미도시)에서는, 비전도성 액체가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도성 액체가 캐비티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부가 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홈의 일부에 원형의 절연부가 코팅될 수 있고, 코어플레이트의 아랫면에서 캐비티의 주변을 따라 환형의 절연부가 코팅될 수 있다. 또, 하부폼의 일부에 원형의 절연부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고, 코어플레이트의 윗면에서 캐비티의 주변을 따라 환형의 절연부가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술한 본 제1,2실시예의 작동이 역으로 수행되어 AF,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제1,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제1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제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 제1,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제1,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은, 렌즈 홀더(200)를 성형하는 제1단계(S1)와 제1렌즈부(300)를 삽입하는 제2단계(S2)와 삽입홀(230)을 통해 액체 렌즈(400)를 삽입하는 제3단계(S3)와 제2렌즈부(500)를 삽입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S1)는 렌즈 홀더(200)를 성형하는 단계이다. 렌즈 홀더(20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렌즈 홀더(200)는 홀(210) 및 삽입홀(230)과 대응되는 홀 주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 주형(미도시)에 용융 플라스틱을 주입한 후 응고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제2단계(S2)는 제1렌즈부(30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제1렌즈부(300)는 홀(210)의 하측 개구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화살표 A 방향) 제1렌즈부(300)는 홀(210)에 삽입되고, 제1렌즈수용홀(220)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단계(S3)는 액체 렌즈(40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렌즈 홀더(200)의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다.(화살표 B 방향) 제1렌즈부(300)의 최하측 렌즈의 밑면에는, 밑면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내리막경사진 경사부(3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렌즈부와 상부플레이트(420)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400)의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 및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는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기판(410)에는 액체 렌즈(400)의 삽입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상부가이드홀(4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액체 렌즈(400)의 삽입시 제1 내지 제4상부코너부(411,412,413,414) 및 제1 내지 제4하부코너부(451,452,453,454)와 코어플레이트(430)간의 접착이 떨어져 상부회로기판(410a)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홀(210)에 삽입되고,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의 액체 렌즈(400)에는 삽입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제1상하부연결기판(410c)과 제2상하부연결기판(410d)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액체 렌즈(4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액체 렌즈(400)는, 삽입홀(232)을 통해 홀(210)에 삽입되고, 제2렌즈수용홀(230)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4단계(S4)는 제2렌즈부(500)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제2렌즈부(500)는 홀(210)의 하측 개구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화살표 C 방향) 제2렌즈부(500)는 홀(210)에 삽입되고, 제3렌즈수용홀(240)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제1,2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액체 렌즈(400)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단일 공정(1 단계, S1)에 의해 성형된 홀(210)에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가 모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제1렌즈부(300)와 액체 렌즈(400)와 제2렌즈부(500)의 광축이 일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2000: 카메라 모듈

Claims (18)

  1.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형태를 갖는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홀 형태를 갖는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액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과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코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액체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변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코너부는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코너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액체 렌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의 변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변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액체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4개이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은 4개인 액체 렌즈.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에 형성된 홈은 상기 상부기판을 관통하는 홀 형태이고,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홈은 상기 하부기판을 관통하는 홀 형태인 액체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캐비티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상부가이드홀이 위치하는 액체 렌즈.
  10.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홀에 수용되는 액체 렌즈;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및
    상기 렌즈 홀더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액체 렌즈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렌즈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렌즈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에는, 상기 제1렌즈부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상부가이드홀이 위치하는 렌즈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에서 최하측에 배치되는 렌즈는,
    밑면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경사부가 위치하는 렌즈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내측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형성되는 렌즈 모듈.
  15. 광축방향으로 형성된 홀과 상기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측면의 일부를 개방시킨 삽입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를 성형하는 제1단계;
    광축방향으로 상기 홀의 상측에 제1렌즈부를 삽입하는 제2단계;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홀에서 상기 제1렌즈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액체 렌즈를 삽입하는 제3단계;
    광축방향으로 상기 홀의 하측에 제2렌즈부를 삽입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
  16.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홀에 수용되는 액체 렌즈;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상기 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 렌즈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 및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메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홀더는 측면의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액체 렌즈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 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수용하는 캐비티가 위치하는 코어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표면에 코팅된 전극부;
    상기 캐비티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전극부에 코팅된 절연부;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상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상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
    상기 코어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상기 코어플레이트와 결합하며 상기 코어플레이트 하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상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에 배치되는 하부도전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부연결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부연결기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하부연결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기 메인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하부연결기판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14133A 2016-04-29 2016-09-05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KR10263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33A KR102634910B1 (ko) 2016-09-05 2016-09-05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EP20192427.1A EP3770650B1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PCT/KR2017/004615 WO2017188798A1 (ko) 2016-04-29 2017-04-28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및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JP2018556335A JP6938540B2 (ja) 2016-04-29 2017-04-28 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光学機器、及び液体レンズ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17789982.0A EP3451029B1 (en) 2016-04-29 2017-04-28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CN201780026581.8A CN109073792B (zh) 2016-04-29 2017-04-28 相机模块以及包括相机模块的光学装置
US15/651,838 US9880327B2 (en) 2016-04-29 2017-07-17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5/820,119 US10281621B2 (en) 2016-04-29 2017-11-21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6/366,992 US10908326B2 (en) 2016-04-29 2019-03-27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17/132,751 US11543567B2 (en) 2016-04-29 2020-12-23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33A KR102634910B1 (ko) 2016-09-05 2016-09-05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49A KR20180027049A (ko) 2018-03-14
KR102634910B1 true KR102634910B1 (ko) 2024-02-07

Family

ID=6166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33A KR102634910B1 (ko) 2016-04-29 2016-09-05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31B1 (ko) * 2018-12-17 2024-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45839B1 (ko) * 2018-12-18 2024-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5987A1 (en) * 2007-12-13 2010-11-25 Varioptic, S.A. Image stabilization circuitry for liquid lens
US20110274372A1 (en) * 2008-12-30 2011-11-10 Datalogic Scanning Group S.R.L. Liquid lens image captur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5987A1 (en) * 2007-12-13 2010-11-25 Varioptic, S.A. Image stabilization circuitry for liquid lens
US20110274372A1 (en) * 2008-12-30 2011-11-10 Datalogic Scanning Group S.R.L. Liquid lens image capt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49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567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JP7059259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US11665421B2 (en) Camera module having image sensor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circuit boards
US20230384611A1 (en) Lens dri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N107820576A (zh)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KR102569642B1 (ko) 렌즈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476403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TWI724547B (zh) 鏡頭模組及電子裝置
KR102679709B1 (ko) 렌즈 구동 장치,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508493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2634910B1 (ko)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광학 기기 및 렌즈 모듈의 제조방법
KR102623617B1 (ko)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기
KR102344463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027048A (ko) 액체 렌즈, 렌즈 모듈,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00654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2691034B1 (ko) 액체렌즈, 카메라 모듈, 및 액체렌즈 구동 방법
US20230146369A1 (en) Camera module
KR20200144331A (ko) 카메라 장치
KR102652018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00144330A (ko) 카메라 장치
KR20210033377A (ko) 카메라 장치
KR20200144332A (ko) 액체렌즈
KR20200137148A (ko) 액체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