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685B1 - 유아용 약물투여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약물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685B1
KR102633685B1 KR1020210082300A KR20210082300A KR102633685B1 KR 102633685 B1 KR102633685 B1 KR 102633685B1 KR 1020210082300 A KR1020210082300 A KR 1020210082300A KR 20210082300 A KR20210082300 A KR 20210082300A KR 102633685 B1 KR102633685 B1 KR 102633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handle
push
wing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96A (ko
Inventor
변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드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드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드어스
Priority to KR1020210082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6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11Holders therefor, e.g. to prevent loss or to hold in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07Holders for bottles having aesthetic features, e.g. toy-like or imitating a female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23Holders for bottles facilitating grip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약물투여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약물 배출 경로가 구비되며, 전단에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약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주사 팁; 상기 주사 팁 후단에 체결되며, 체결 시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중공의 약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약물 수용체; 상기 약물 수용공간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약물 수용공간 내에서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밀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중공의 팁 결합공간에 상기 주사 팁이 삽입 결합되는 팁 커버; 및 상기 팁 커버의 좌우 양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날개는, 일단에 상기 팁 커버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체결부분이 마련되며, 상하로 개방되어 손잡이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형 판 구조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으로부터 ㄱ자로 절곡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상기 밀대의 후단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마련된 밀림 날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약물투여기 {DRUG DELIVERY FOR INFANTS}
본 발명은 유아용 약물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어린 아기에게 액상 약물을 쉽고 간편하게 투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경구용 약물 디스펜서들의 형태는 기존의 주사기 형태를 변형하여 단순히 주사기의 팁 부분을 아이가 물고 있도록 한 뒤, 부모가 실린더 내에 삽입된 플런저를 밀어 주사가 분사 출력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유아용 약물투여기의 경우, 액상 약물을 혀 안쪽 깊숙한 부위까지 쉽게 투여할 수 있고, 약물 투여에 어려움을 겪은 아동들에게 간편하게 이용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주삿바늘을 제거한 주사기의 형태 혹은 젖병 형태를 띠거나 이러한 기초 형태에서 일정 변형을 가하여 유아용에 적합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유야용 약물투여기 형태는 약물을 투여받는 대상인 아동의 경우 기구의 전단에 형성된 팁 부분을 입 가까이 위치시키거나 입에 물린 상태에서 단순히 투여되는 약물을 받아먹는 사용형태를 보이게 되고, 실질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약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투여하기 위해 필런저를 전단측으로 밀어주는 작업은 아동이 아닌 부모님과 같은 타인이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투여가 이루어지는 전단 팁을 투여대상의 입에 물린 뒤 힘을 가해 내부에 수용된 약물이 쉽게 배출되도록 하여 아동에게 약물을 간단히 투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99477호의 "약물투여기가 있는 젖병"(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아용 약물투여기의 경우, 플런저의 밀림 방향에 대응되어 직접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해 약물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상 급작스럽게 많은 약물이 투여되거나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약물이 투여되지 못하였으며, 약물을 투여받는 대상과 투여를 위해 플런저 이동을 수행하는 대상이 달라 약물 투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부주의로 인해 쉽게 투여받는 대상인 아동이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야용 약물투여기의 경우, 기구의 보관 및 관리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아동이 약물 투여를 거부하는 부분에 대한 대처가 어려웠으며, 약물을 투여하는 내역을 부모가 쉽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투여의 형태 및 배출양에 있어 투여 대상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안정적인 약물 투여가 이루어지며, 무엇보다 약물 투여를 위한 밀림작용에 가해지는 힘이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투여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아동과 같은 투여 대상이 피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투여를 마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약물투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의 관리가 용이하며, 아동이 기구를 사용해 약물 투여 기능을 제공받음에 있어 충분한 흥미와 관심을 일으켜 약물 투여를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약물 투여를 수행한 내역에 관해 부모가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약물투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약물투여기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약물 배출 경로가 구비되며, 전단에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약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주사 팁; 상기 주사 팁 후단에 체결되며, 체결 시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중공의 약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약물 수용체; 상기 약물 수용공간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약물 수용공간 내에서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밀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중공의 팁 결합공간에 상기 주사 팁이 삽입 결합되는 팁 커버; 및 상기 팁 커버의 좌우 양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날개는, 일단에 상기 팁 커버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체결부분이 마련되며, 상하로 개방되어 손잡이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형 판 구조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으로부터 ㄱ자로 절곡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상기 밀대의 후단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마련된 밀림 날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팁 커버는, 상기 팁 결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주사 팁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버 몸체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체결홈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날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회동 체결부분은 상기 날개 체결부에 구비된 상기 체결홈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밀대는, 밀대 몸체부; 상기 밀대 몸체부의 전단에 상기 패킹부재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패킹부재 끼움부; 및 상기 밀대 몸체부의 후단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제1걸림홈이 마련된 고리 형태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밀대 고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대는, 상기 밀대 몸체부의 후방 측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해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대 고리부와 상호 소정의 이격 공간을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하여 한 쌍의 밀림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슬롯 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일 손잡이 날개의 일 밀림 날개부는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한 쌍의 밀림 슬롯 중 일 밀림 슬롯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타 손잡이 날개의 타 밀림 날개부는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한 쌍의 밀림 슬롯 중 타 밀림 슬롯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일 손잡이 날개는 상기 밀대 고리부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높게 위치하고, 타 손잡이 날개는 상기 밀대 고리부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낮게 위치하며,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상기 밀대 고리부를 상하 높이방향 기준 가운데 두고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기 손잡이 날개가 위치하며 일부분이 겹쳐져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림 날개부는 일측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제2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되어 상기 밀림 날개부가 상기 밀대의 후단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끝까지 밀어줄 경우, 상기 밀대 고리부의 상기 제1걸림홈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밀림 날개부의 상기 제2걸림홈이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하에 걸쳐 상기 제1걸림홈 및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홈이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아용 약물투여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알림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모듈은,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을 구비한 모듈 몸체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된 결함홈에 삽입 결할 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모듈 결합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 명령을 위한 제1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1입력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정지 명령을 위한 제2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2입력부; 상기 제1입력부를 통해 생성된 제1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입력부를 통해 생성된 제2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 가능한 알림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투여 대상인 아동이 직접적으로 한 쌍의 손잡이 날개의 손잡이 공간을 잡고 길이방향 중심측을 향해 회동시켜 모으는 과정에서 밀대를 전단측으로 밀어 약물 투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약물 투여의 형태 및 배출양에 있어 안정적인 약물 투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약물 투여를 위한 밀림작용에 가해지는 힘이 간접적으로 작용하여 투여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아동과 같은 투여 대상이 피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게 투여를 마칠 수 있다.
셋째, 손잡이 날개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한 회동이 끝까지 진행되어 약물 투여가 완료된 상태에서 밀대과 손잡이 날개에 구비된 걸림홈들이 상호 상하에 걸쳐 대응되는 위치를 형성하여 별도의 걸림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기구의 보관 및 관리가 이를 활용할 경우 매우 용이해진다.
넷째, 아동이 기구를 사용해 약물 투여 기능을 제공받음에 있어 알림모듈을 통해 음성 형태의 알림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아동에게 충분한 흥미와 관심을 일으켜 약물 투여를 지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약물 투여를 수행한 내역에 관해 부모가 해당 정보를 쉽게 연동되어진 단말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약물 투여 주기 및 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약물투여기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약물투여기의 세부 구성 및 구성 간 연결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원터치 커플러의 작동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별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원터치 커플러 내 밀대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약물투여기의 세부 구성 및 구성 간 연결 관계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원터치 커플러 내 알림모듈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용 원터치 커플러 내 알림모듈의 세부구성 및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유아용 약물투여기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아용 약물투여기(100)는 아동과 같은 투여 대상이 쉽고 간편하게 약물을 투여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안정적인 투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구로서, 이를 위해 주사 팁(110); 약물 수용체(120); 밀대(130); 팁 커버(140);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 및 알림모듈(160);을 포함한다.
우선, 실질적인 약물 투여의 주사를 위한 실린더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은 주사 팁(110)과 약물 수용체(120)가 상호 연결된 하나의 구성체에 해당한다.
주사 팁(11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약물 배출 경로(110P)가 구비되며, 전단에 약물 배출 경로(110P)와 연통되는 다수의 약물 배출구(110H)가 구비된다.
약물 수용체(120)는 주사 팁(110) 후단에 체결되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시 약물 배출 경로(110P)와 연통되는 중공의 약물 수용공간(120T)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결과적으로, 실린더의 역할을 하는 주사 팁(110)과 약물 수용체(120)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아래 설명될 플런저 역할을 수행하는 밀대(130)가 전후방향을 이동함에 따라 약물 수용공간(120T)의 부피,압력 변화에 발생되는 것에 대응되어 약물 배출구(110H)를 통해 약물 배출 경로(110P)를 거쳐 약물 수용공간(120T)으로 약물이 유입되어 수용되거나 약물 수용공간(120T)으로부터 약물 배출 경로(110P)를 거쳐 약물 배출구(110H)를 통해 외부로 약물이 배출되며 투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주사 팁(110)과 약물 수용체(120)가 상호 연결을 이루는 나사형성 부위에는 별도의 O-링(120R)이 삽입되어 상호 체결성능을 더욱 확실하고 높게 만들 수도 있다.
밀대(1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수용공간(120T)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는 주사기 내 플런저의 구성으로,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서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130P)가 전단에 결합되어 패킹부재(130P)를 전후 이동시켜 약물 수용공간(120T)의 부피,압력 변화에 발생시켜 약물의 수용 혹은 투여가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실시에 따라서는 약물 수용체(120) 일측에 별도의 개폐 가능한 약물 주입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직접적으로 해당 약물 주입구를 열어 약물 수용공간(120T)에 약물을 주입시킨 뒤, 약물 주입구를 닫고 밀대(130)를 전단측으로 이동시켜 약물 투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밀대(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의 기저 몸체가 되는 밀대 몸체부(131)를 기준으로 전방 측과 후방 측에 일체를 이루어 연장 형상되는 패킹부재 끼움부(132), 밀대 고리부(133) 및 슬롯 형성부(134)를 포함한다.
우선, 패킹부재 끼움부(132)는 밀대 몸체부(131)의 전단에 패킹부재(130P)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밀대 고리부(133)는 밀대 몸체부(131)의 후단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제1걸림홈(133H)이 마련된 고리 형태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부분에 해다한다.
여기서, 밀대 고리부(133)에 구비된 제1걸림홈(133H)에 손가락을 넣어 후방측으로 당김으로서 밀대(130) 전체를 약물 수용체(120)의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약물의 수용 및 투여 준비를 마치도록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에 따라 밀대 고리부(133)에 구비된 제1걸림홈(133H)은 추후 설명될 밀림 날개부(152)의 제2걸림홈(152H) 한 쌍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하로 겹쳐지게 되어 소정의 개방공간을 제공함으로서, 기구 전체의 보관을 위한 걸림구멍으로서의 역할과 기구의 미사용으로 인해 밀대(130) 및 손잡이 날개(15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움직임 제한용 기둥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슬롯 형성부(134)는 밀대 몸체부(131)의 후방 측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해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밀대 고리부(133)와 상호 소정의 이격 공간을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하여 한 쌍의 밀림 슬롯(130S)이 형성되도록 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팁 커버(14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중공의 팁 결합공간(140T)에 후방측으로부터 주사 팁(110)이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팁 커버(140)는 주사 팁(110)과의 결합을 위한 커버 몸체부(141)와 아래 설명될 손잡이 날개(150)와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날개 체결부(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 몸체부(14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결합공간(142T)이 내부에 마련되어 주사 팁(110)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팁 커버(140)의 중앙 부분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날개 체결부(142) 커버 몸체부(14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체결홈(142H)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팁 커버(140)의 좌측과 우측 부분으로 쌍을 이루어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되, 형성 위치에 관해서는 상호 높이가 차이 나게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전방측에서 팁 커버(140)를 바라보았을 때, 팁 커버(140)의 좌측에 형성된 날개 체결부(142)와 우측에 형성된 날개 체결부(142)는 팁 커버(140)의 상하 높이방향 기준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나는 상측으로 나머지 하나는 하측으로 동일한 간격반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서 각 날개 체결부(142)에 체결 결합되는 손잡이 날개(150)가 회동되더라도 높이 차로 인해 상호 부딪치는 것이 아니라 상하로 ??쳐지며 스쳐 지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손잡이 날개(150)는 팁 커버(140)의 좌우 양측 각각에 마련된 날개 체결부(14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투여 대상이 기구 전체(10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손잡이 날개(150)를 움직여 간접적으로 밀대(130)를 전방측으로 밀어주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손잡이 날개(150)는 손잡이부(151) 및 밀림 날개부(152)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51) 및 밀림 날개부(152)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를 이루며 하나의 구조체로 마련되되 평명상 ㄱ자형 구조를 이룬 판 형상을 형성한다.
우선, 손잡이부(151)는 일단에 팁 커버(140)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체결부분(151C)이 마련되며, 상하로 개방되어 손잡이 공간(151T)을 형성하는 날개형 판 구조의 영역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1)의 일단에 마련된 회동 체결부분(151C)은 손잡이 체결홈(151Ca)와 너트형 나사 및 볼트형 나사로 구성된 나사체결수단(151Cb)을 포함하여, 날개 체결부(142)의 체결홈(142H)과 회동 체결부분(151C)의 손잡이 체결홈(151Ca)이 상하 높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나사체결수단(151Cb)이 상측과 하측에서 손잡이 체결홈(151Ca)과 체결홈(142H)을 모두 삽입 관통하여 상호 나사 결합을 이룸으로서 손잡이 날개(150)가 팁 커버(1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 연결 되도록 한다.
따라서 손잡이부(151)의 회동 체결부분(151C)은 날개 체결부(142)에 구비된 체결홈(142H)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체결된다.
다음으로, 밀림 날개부(152)는 손잡이부(151)의 타단으로부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약물 수용체(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손잡이부(151)가 회동될 시(W1) 밀대(130)의 후단에 접촉하며 도3에서 도4로 변화하는 것과 같이 밀대(130)를 전단 측(W3)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마련된 영역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 중 일 손잡이 날개(150)의 일 밀림 날개부(152)는 도4와 같이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손잡이부(151)가 회동될 시(W1), 한 쌍의 밀림 슬롯(130S) 중 일 밀림 슬롯(130S)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30)를 전단 측(W3)으로 밀어주게 된다.
아울러,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 중 타 손잡이 날개(150)의 타 밀림 날개부(152)는 도4와 같이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손잡이부(151)가 회동될 시(W1), 한 쌍의 밀림 슬롯(130S) 중 타 밀림 슬롯(130S)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30)를 전단 측(W3)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와 관련해, 앞 설명한 팁 커버(140)의 좌측에 형성된 날개 체결부(142)와 우측에 형성된 날개 체결부(142)의 형성 높이 차에 연계되어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 중 일 손잡이 날개(150)는 밀대 고리부(133)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높게 위치하고, 타 손잡이 날개(150)는 밀대 고리부(133)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낮게 위치한다.
이를 통해, 약물 수용체(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손잡이부(151)가 회동될 시(W2) 밀대 고리부(133)를 상하 높이방향 기준 가운데 두고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손잡이 날개(150)가 위치하며 일부분이 겹쳐져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의 손잡이부(151)에 구비된 손잡이 공간(151T)을 투여 대상인 아동 혹은 투여를 해주고자 하는 부모가 잡은 상태에서 해당 손잡이부(151)를 약물 수용체(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회동시켜 모으게 되면(W1),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 날개(150)의밀림 날개부(152)는 밀대(130)의 후단에 형성된 한 쌍의 밀림 슬롯(130S) 각각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밀대(130)를 전단 측(W3)으로 밀어주어 약물 수용공간(120T)에 수용된 약물이 약물 배출 경로(110P)를 거쳐 약물 배출구(110H)를 통해 외부로 약물이 배출(W2)되며 투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약물 수용체(120)의 길이 방향 중심축(X)을 향해 손잡이부(151)가 회동되어 밀림 날개부(152)가 밀대(130)의 후단에 접촉하며 밀대(130)를 전단 측으로 끝까지 밀어줄 경우, 밀대 고리부(133)의 제1걸림홈(133H)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밀림 날개부(152)의 제2걸림홈(152H)이 대응되게 위치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걸쳐 제1걸림홈(133H) 및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홈(152H)이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하여 기구 전체의 보관을 위한 걸림구멍으로서의 역할과 기구의 미사용으로 인해 밀대(130) 및 손잡이 날개(15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움직임 제한용 기둥부재가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삽입구멍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알림모듈(160)은 입력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알림정보를 출력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몸체부(141)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는 정보처리 및 음성출력 모듈의 하나로서, 이를 위해,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몸체부(161), 모듈 결합부(162), 제1입력부(163), 제2입력부(164), 출력부(165), 통신부(166), 저장부(167), 감지정보 분석부(168), 충전단자(160S)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우선, 모듈 몸체부(161)는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을 구비한 알림모듈(160)의 기저가 되는 하우징 몸체에 해당한다.
아래 설명될 제1입력부(163), 제2입력부(164), 출력부(165), 통신부(166), 저장부(167), 감지정보 분석부(168), 충전단자(160S) 및 배터리(미도시)는 모듈 몸체부(161)는 내부에 구비된 설치공간에 수용 설치된다.
다음으로, 모듈 결합부(162)는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커버 몸체부(161)의 일측에 마련된 결함홈(141H)에 삽입 결할 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영역으로, 알림모듈(160)이 유아용 약물투여기(1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듈 결합부(162)는 단순 구조적인 체결 구조를 갖춘 구조체로 마련될 수 있는 수 있지만, 실시에 따라 전자적으로 신호, 데이터, 명령, 정보 등의 송, 수신을 위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단자 형태로 마련되고, 커버 몸체부(161)의 일측에 마련된 결함홈(141H) 역시 단자 결합을 통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삽입 슬롯의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입력부(163)는 가압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식 입력수단으로서 모듈 몸체부(161)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 명령을 위한 제1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버튼 혹은 터치스크린 형태의 전자버튼으로 마련된 제1입력부(163)를 눌러 가압할 시 제1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아래 설명될 출력부(165)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제2입력부(164)는 가압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식 입력수단으로서 모듈 몸체부(161)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정지 명령을 위한 제2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또한, 제1입력부(163)와 구분되는 별개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 혹은 터치스크린 형태의 전자버튼으로 마련되어, 제2입력부(164)를 눌러 가압할 시 제1입력신호가 생성되어 아래 설명될 출력부(165)에 전달되게 된다.
다음으로, 출력부(165)는 제1입력부(163)를 통해 생성된 제1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수행하거나, 제2입력부(164)를 통해 생성된 제2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는 출력모듈에 해당한다.
이러한 출력부(165)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모듈로서, 제1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시켜 기 설정 저장된 음악과 같은 소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아동에 해당하는 투여대상이 약물 투여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부모는 제1입력부(163)를 눌러 음악이 들리도록 하여 아동이 약물을 투여받는 과정에서 불편하지 않고 심적으로 안정을 받으며 투여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되고, 해당 약물 투여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부모는 제2입력부(164)를 눌러 음악이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67)는 출력부(165)를 통해 출력 가능한 알림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알림모듈(160)은 실시에 따라 전자적으로 더욱 발전된 스마트 기능을 갖추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약물 수용체(120) 내부에는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 채워진 약물의 용량 변화와 이와 연계된 투여 작업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모듈(170)이 설치된다.
여기서, 감지모듈(170)는 수위감지 센서에서부터 패킹부재(130P)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측정 센스 등 다양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약물 수용체(120) 내부에는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 채워진 약물의 용량이 변화를 시작하는지, 얼마만큼 변화하는지, 변화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시모듈의 다양한 종류 내에서 변형 가능하다.
이와 같은 감지모듈(170)은 약물 수용체(120) 내부에는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 채워진 약물의 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는 즉시 투여가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투여 결과 약물 수용공간(120T) 내로부터 투여되어 외부로 배출된 약물의 용량을 산출한 제2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약물 수용공간(120T) 내에 채워진 약물의 용량의 변화가 멈춰짐이 기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유지됨이 감지되는 즉시 투여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3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감지모듈(170)을 통해 생성된 제1감지정보 내지 제3감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정보는 커버 몸체부(161)의 일측에 마련된 결함홈(141H)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결합된 모듈 결합부(162)의 단자를 통해 모듈 몸체부(161) 내에 설치된 감지정보 분석부(168)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감지정보 분석부(168)는 감지모듈(170)로부터 수신된 제1감지정보 내지 제3감지정보를 기반으로 투여 시작일시, 투여 종료일시, 투여 시간, 투여 횟수, 회차별 투여 용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감지정보 분석부(168)는 감지모듈(170)로부터 제1감지정보가 수신될 시 자동으로 제1입력부(163)에 제1입력신호 생성 명령을 전달하여, 제1입력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감지정보 분석부(168)는 감지모듈(170)로부터 제3감지정보가 수신될 시 자동으로 제2입력부(164)에 제2입력신호 생성 명령을 전달하여, 제2입력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통신부(166)는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NFC 혹은 Wifi 모듈 등과 같은 통신 모듈로서, 기 설정 등록된 관리자 단말(T)과 상호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 감지정보 분석부(168)를 통해 생성되는 분석정보를 관리자 단말(T)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 단말(T)을 이용하는 부모는 약물 투여 내역에 관해 구체적이고 자세한 내용을 언제든 열람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모듈 몸체부(161) 일측에는 충전단자(160S)가 구비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미도시) 역시 모듈 몸체부(161) 내부에 수용 설치된다.
이를 통해, 충전단자(160S)를 거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은 배터리(미도시)에 축전되고, 이와 같이 축전된 전력은 제1입력부(163), 제2입력부(164), 출력부(165), 통신부(166), 저장부(167), 감지정보 분석부(168)를 비롯한 감지모듈(170)의 동작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유아용 약물투여기
110 : 주사 팁
110P : 약물 배출 경로 110H : 약물 배출구
120 : 약물 수용체
120T : 약물 수용공간
130 : 밀대
131 : 밀대 몸체부 132 : 패킹부재 끼움부
133 : 밀대 고리부 134 : 슬롯 형성부
130P : 패킹부재 133H : 제1걸림홈
130S : 밀림 슬롯
140 : 팁 커버
141 : 커버 몸체부 142 : 날개 체결부
141T : 팁 결합공간 141H : 결합홈
142H : 체결홈
150 : 손잡이 날개
151 : 손잡이부 152 : 밀림 날개부
151H : 손잡이 공간 151C : 회동 체결부분
152H : 제2걸림홈
160 : 알림모듈
161 : 모듈 몸체부 162 : 모듈 결합부
163 : 제1입력부 164 : 제2입력부
165 : 출력부 166 : 통신부
167 : 저장부 168 : 감지정보 분석부
160S : 충전단자
170 : 감지모듈

Claims (8)

  1.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약물 배출 경로가 구비되며, 전단에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약물 배출구가 구비되는 주사 팁;
    상기 주사 팁 후단에 체결되며, 체결 시 상기 약물 배출 경로와 연통되는 중공의 약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약물 수용체;
    상기 약물 수용공간에 일부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약물 수용공간 내에서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재가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밀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중공의 팁 결합공간에 상기 주사 팁이 삽입 결합되는 팁 커버; 및
    상기 팁 커버의 좌우 양측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손잡이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날개는,
    일단에 상기 팁 커버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체결부분이 마련되며, 상하로 개방되어 손잡이 공간을 형성하는 날개형 판 구조의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으로부터 ㄱ자로 절곡되며 소정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상기 밀대의 후단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마련된 밀림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팁 커버는,
    상기 팁 결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주사 팁의 삽입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버 몸체부; 및
    상기 커버 몸체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체결홈을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날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회동 체결부분은 상기 날개 체결부에 구비된 상기 체결홈에 회동 가능한 형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밀대 몸체부;
    상기 밀대 몸체부의 전단에 상기 패킹부재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패킹부재 끼움부; 및
    상기 밀대 몸체부의 후단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제1걸림홈이 마련된 고리 형태를 구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밀대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상기 밀대 몸체부의 후방 측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해 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대 고리부와 상호 소정의 이격 공간을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하여 한 쌍의 밀림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슬롯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일 손잡이 날개의 일 밀림 날개부는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한 쌍의 밀림 슬롯 중 일 밀림 슬롯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타 손잡이 날개의 타 밀림 날개부는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한 쌍의 밀림 슬롯 중 타 밀림 슬롯에 삽입 이동 후 슬롯 내측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6.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손잡이 날개 중 일 손잡이 날개는 상기 밀대 고리부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높게 위치하고, 타 손잡이 날개는 상기 밀대 고리부보다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낮게 위치하며,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될 시 상기 밀대 고리부를 상하 높이방향 기준 가운데 두고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기 손잡이 날개가 위치하며 일부분이 겹쳐져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 날개부는 일측에 상하로 개방된 소정의 제2걸림홈이 마련되고,
    상기 약물 수용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향해 상기 손잡이부가 회동되어 상기 밀림 날개부가 상기 밀대의 후단에 접촉하며 상기 밀대를 전단 측으로 끝까지 밀어줄 경우, 상기 밀대 고리부의 상기 제1걸림홈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밀림 날개부의 상기 제2걸림홈이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하에 걸쳐 상기 제1걸림홈 및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홈이 소정의 개방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약물투여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알림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삽입 결합되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알림모듈은,
    내부에 소정의 설치공간을 구비한 모듈 몸체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커버 몸체부의 일측에 마련된 결함홈에 삽입 결할 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모듈 결합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 명령을 위한 제1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1입력부;
    상기 모듈 몸체부 일측에 마련되며, 알림정보 출력정지 명령을 위한 제2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제2입력부;
    상기 제1입력부를 통해 생성된 제1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수행하거나, 상기 제2입력부를 통해 생성된 제2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중지시킬 수 있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 가능한 알림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약물투여기.
KR1020210082300A 2021-06-24 2021-06-24 유아용 약물투여기 KR10263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00A KR102633685B1 (ko) 2021-06-24 2021-06-24 유아용 약물투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300A KR102633685B1 (ko) 2021-06-24 2021-06-24 유아용 약물투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6A KR20230000196A (ko) 2023-01-02
KR102633685B1 true KR102633685B1 (ko) 2024-02-05

Family

ID=8492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300A KR102633685B1 (ko) 2021-06-24 2021-06-24 유아용 약물투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6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7246A1 (en) 2007-01-09 2008-07-24 First City Tower Intranasal Cartridge Devices
US20090156990A1 (en) 2007-12-12 2009-06-18 M2 Medical Group Holdings, Inc. Portable Infusion Pump and Media Player
KR101871591B1 (ko) * 2016-10-25 2018-08-02 변재선 유아용 약물 복용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183U (ko) * 1998-04-20 1999-11-25 정병수 유아용 안전투약기
DK1501576T3 (da) * 2002-05-09 2010-05-03 Glaxo Group Ltd Fluiddispenseringsindret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7246A1 (en) 2007-01-09 2008-07-24 First City Tower Intranasal Cartridge Devices
US20090156990A1 (en) 2007-12-12 2009-06-18 M2 Medical Group Holdings, Inc. Portable Infusion Pump and Media Player
KR101871591B1 (ko) * 2016-10-25 2018-08-02 변재선 유아용 약물 복용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96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1224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2024010854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20200297934A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usage monitoring
US11642283B2 (en) Method for fluid delivery
US20210393484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EP2077873B1 (fr) Unité médicale pour le prélèvement, le calibrage, la dilution et/ou l&#39;injection d&#39;un produit radioactif injectable
ES2897697T3 (es) Inhalador adaptado para leer información almacenada en un medio de almacenamiento de datos de un recipiente
US1170223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US1152397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KR101851440B1 (ko) 이송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방법
US11787576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livery
KR101214938B1 (ko) 약봉지 자동 배출 장치
CN202569071U (zh) 安全输液针
JP2004516112A (ja) 薬剤カートリッジ保持機構を具備するペン型注入装置
KR102633685B1 (ko) 유아용 약물투여기
CN109789281A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壳体元件、用于附接至壳体元件的辅助单元、及包括壳体元件的药剂输送装置
KR101224620B1 (ko) 복용시간을 알려주는 약병
KR20240085999A (ko) 유아용 약물투여기
KR20240103368A (ko) 유아용 스마트 약물투여기
JP2019532743A (ja) 機械的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薬剤送達デバイス
TWI728586B (zh) 用於支撐藥物輸送裝置的設備和系統
CN201453784U (zh) 安全输液配件
KR20150030457A (ko) 약제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