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32B1 - 차량용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32B1
KR102632432B1 KR1020210082985A KR20210082985A KR102632432B1 KR 102632432 B1 KR102632432 B1 KR 102632432B1 KR 1020210082985 A KR1020210082985 A KR 1020210082985A KR 20210082985 A KR20210082985 A KR 20210082985A KR 102632432 B1 KR102632432 B1 KR 10263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friction member
force
pedal ar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643A (ko
Inventor
김태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32B1/ko
Priority to US17/577,481 priority patent/US11789485B2/en
Priority to CN202220145384.6U priority patent/CN216886278U/zh
Priority to DE202022101309.8U priority patent/DE202022101309U1/de
Publication of KR2023000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용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는,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단부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페달 아암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답력 발생부;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 마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페달 장치{Peda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차량용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가속 페달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힘에 의해 페달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이나 엔진에 분사되는 연료량을 조절하여 차량을 가속시키는 장치이다.
가속 페달은 장착 구조에 따라 대시 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팬던트 타입과 플로어 패널에 설치하는 오르간 타입이 있고, 작동 방식에 따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나뉘어진다.
가속 페달은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경우와 페달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운전자의 발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할 때 느끼게 되는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도록 히스테리시스(Hysterisis)가 발생되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히스테리시스는 페달의 회전 시 페달과 연동하여 마찰을 일으키도록 작동하는 장치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부품 수가 증가하여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부품 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8817호 (2005.05.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경우와 페달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는,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단부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페달 아암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답력 발생부;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 마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페달 하우징에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제2 마찰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제1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마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페달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수용 시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 부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페달 하우징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결합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항력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가압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작동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2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항력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운전자가 상기 페달 패드를 밟는 경우,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과,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페달 아암에 상기 작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페달 패드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과,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답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페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페달에 가해지는 작동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페달을 밟는 경우와 페달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마찰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여 히스테리시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각도로 회전된 페달 아암이 도시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각도로 회전된 페달 아암이 도시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마찰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하우징이 도시된 후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압 부재와 제2 마찰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아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마찰 부재와 접촉되는 페달 아암의 타단부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과 제2 마찰 부재와 접촉되는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이 도시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위치 감지부를 기준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마그넷이 도시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도시된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및 외부 자계 발생원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100)는 페달 아암(110), 가압 부재(120), 답력 발생부(130),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페달 장치(100)는 대시 패널에 매달아 설치하는 팬던트 타입으로서, 차량의 가속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페달 장치(100)는 차량의 감속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설치되는 오르간 타입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페달 아암(110)은 페달 하우징(160)에 제1 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페달 아암(110)에는 운전자가 발로 밟아 페달 아암(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페달 패드(111a)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거나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페달 아암(110)이 제1 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페달 장치(100)가 팬던트 타입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페달 패드(111a)는 페달 아암(110)에서 차량의 플로어 패널에 가까운 일단부(111)에 형성될 수 있고,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거나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페달 하우징(160)의 제1 개구부(161)를 통해 페달 하우징(16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는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가 제1 축(Ax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달 패드(111a)가 페달 아암(110)과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페달 패드(111a)는 페달 아암(110)과 별도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가압 부재(12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페달 아암(110)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따라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압 부재(12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와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답력이 발생되는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되도록 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압 부재(120)는 페달 하우징(160)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162)를 통해 페달 하우징(16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가압 부재(120)가 페달 하우징(16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된 경우 제2 개구부(162)가 차폐되도록 커버(163)가 페달 하우징(160)에 결합되어 가압 부재(120)가 페달 하우징(16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163)는 제2 개구부(162) 부근에 형성되는 결합 홈(162a)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163a)가 형성되어 페달 하우징(160)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163)는 후크 결합, 나사 결합, 끼움 결합, 접착제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2 개구부(162)가 차폐되도록 페달 하우징(16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163)는 페달 하우징(16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16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부(163b)는 커버(163)가 페달 하우징(160)에 결합될 때 결합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압 부재(120)는 페달 하우징(160)에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부재(120)가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는 것은 가압 부재(120)가 실제로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가압 부재(120)가 주변 구조물로 인하여 실제로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되지는 못하나 주변 구조물의 제거 시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가압 부재(120)는 페달 하우징(160)에 형성되는 삽입 홈(164)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 돌기(121)가 제2 축(Ax2)을 중심으로 하는 삽입 홈(164)에 삽입됨에 따라 가압 부재(120)가 페달 하우징(16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답력 발생부(130)는 페달 아암(110)과 가압 부재(120) 사이에 위치하여 페달 아암(110)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답력 발생부(13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답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답력 발생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1, 132)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압축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복원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1, 132)로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답력 발생부(13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압축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답력 발생부(130)는 양단부가 페달 아암(110) 및 가압 부재(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가압 부재(120)를 마주보는 페달 아암(110)의 일면이 가압 부재(120)에 가까워지면서 답력 발생부(130)가 압축되어 복원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답력 발생부(130)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아 페달 아암(110)을 회전시키는 각도가 커질수록 압축되는 정도가 커지게 되어 복원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더 큰 답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답력 발생부(13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θ1, θ2)에 따라 압축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답력 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의 크기도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5과 같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지 않은 상태에서의 페달 아암(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페달 아암(110)이 제1 각도(θ1)로 회전되는 경우에 비하여 도 6과 같이 페달 아암(110)이 제1 각도(θ1)보다 큰 제2 각도(θ2)로 회전되는 경우 답력 발생부(130)가 압축되는 정도가 더 커지게 되어 더 큰 답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부재(120)에는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접촉되도록 위치하는 제1 마찰 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마찰 부재(1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고, 가압 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141)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122)이 형성되어 제1 마찰 부재(140)가 가압 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마찰 부재(14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141)와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122) 뿐만 아니라 후크 결합,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가압 부재(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마찰 부재(140)는 페달 아암(110)에 작동력이 가해지는 경우 답력 발생부(130)와 가압 부재(120)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력에 따라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과 제1 마찰 부재(140) 사이에서 제1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찰 부재(140)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접촉되는 접촉면(140a)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마찰 부재(140)의 접촉면(140a)은 제1 축(Ax1)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이는 페달 아암(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제1 마찰 부재(140)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 사이에서 제1 마찰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압 부재(120)는 페달 하우징(160)에 제2 축(A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나, 제1 마찰 부재(140)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과 접촉되어 가압 부재(12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답력 발생부(130)가 압축되는 정도가 증가하도록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커지는 경우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게 되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항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1 마찰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마찰력은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에는 페달 아암(110)에 작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힘이 더 커지도록 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찰 부재(140)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직접 접촉되어 제1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마찰 부재(140)는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제1 마찰 부재(140)와의 접촉을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마찰 패드 등과 접촉되어 적절한 크기의 제1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가압 부재(120)는 제1 축(Ax1) 방향으로 제1 마찰 부재(140)의 양측에 각각 격벽(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23)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가 제1 축(Ax1)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마찰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하우징이 도시된 후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마찰 부재(150)는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에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과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제2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마찰 부재(150)는 제1 축(Ax1)을 기준으로 제1 마찰 부재(140)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마찰 부재(150)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접촉되는 접촉면(150a)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이 제1 축(Ax1) 을 중심으로 소정이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제2 마찰 부재(150)의 접촉면(150a)도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이는 전술한 제1 마찰 부재(140)와 마찬가지로 페달 아암(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제2 마찰 부재(150)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 사이에서 제2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가압 부재(120)는 도 14와 같이 제2 마찰 부재(150)와 소정 간격(t)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20)가 제2 마찰 부재(150)와 소정 간격(t)으로 이격된다는 것은 가압 부재(120)에서 제2 마찰 부재(150)에 가장 가까운 부위, 즉 제1 축(Ax1) 방향으로 제1 마찰 부재(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격벽(123)이 제2 마찰 부재(150)와 소정 간격(t)으로 이격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압 부재(120)가 제2 마찰 부재(150)와 소정 간격(t)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은 제2 마찰 부재(150)에 제1 마찰 부재(140)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가하는 힘 뿐만 아니라 가압 부재(120)에 의해 직접 힘이 전달되는 경우 적절한 크기의 마찰력이 발생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제1 마찰 부재(140)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 사이에서 발생되는 제1 마찰력의 크기와 제2 마찰 부재(150)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 사이에서 발생되는 제2 마찰력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가압 부재(120)에 의해 제2 마찰 부재(150)에 직접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제1 마찰력의 크기와 제2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달 아암의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마찰 부재와 접촉되는 페달 아암의 타단부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과 제2 마찰 부재와 접촉되는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마찰 부재(150)는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13)가 삽입되는 적어도 고정 홈(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페달 아암(110)의 회전 시 페달 아암(110)과 일체로 제1 축(Ax)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아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커지는 경우 제1 마찰 부재(140)가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 마찰 부재(150)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제2 마찰 부재(150)와 접촉되는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제2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마찰력은 제1 마찰력과 마찬가지로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페달 아암(110)에 작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힘이 더 커지도록 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어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마찰 부재(150)가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마찰 부재(150)는 페달 하우징(160)과 별도로 제2 마찰 부재(150)와 접촉되도록 페달 하우징(160)에 구비되는 마찰 패드 등과 접촉되어 적절한 크기의 제2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를 통해 히스테리시스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은 단일의 마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한정된 설치 공간 내에서 적절한 크기의 답력을 발생시키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단일의 마찰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설치 공간의 제한으로 인하여 마찰력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마찰 부재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에 한계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마찰력이 발생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설치 공간 내에서 충분한 크기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의 크기 조정을 통해 마찰력의 크기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가 히스테리시스의 발생 뿐만 아니라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위치를 고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생략되어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는 제1 축(Ax1)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이 경우 제1 마찰 부재(140)는 제1 축(Ax1)을 기준으로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을 지지하고, 제2 마찰 부재(150)는 제1 축(Ax1)을 기준으로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타측이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가 제1 축(Ax1)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1 마찰 부재(140) 및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f = μ x N
수학식 1에서 f는 마찰력, μ는 마찰 계수, N은 수직 항력을 의미한다.
즉,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f1,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을 N1이라 할 때 f1= μ1 x N1이 되고, 이와 유사하게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을 f2,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페달 아암(110)의 내측면(160a)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을 N2라 할 때 f2= μ2 x N2가 되는 것이다.
이때, μ1과 μ2은 재질에 따라 일정하고,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아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N1과 N2가 증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f1와 f2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5 및 도 16과 같이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θ1)일 때 제1 마찰 부재(14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N11)에 비하여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θ1)보다 큰 제2 각도(θ2)일 때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 일측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N12)이 더 크기 때문에 제1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와 유사하게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θ1)일 때 제2 마찰 부재(15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따라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N21)에 비하여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제1 각도(θ1)보다 큰 제2 각도(θ2)일 때 페달 하우징(160)의 내측면(160a)에서 발생되는 수직 항력(N22)이 더 크기 때문에 제2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총 답력은 도 17의 (a)와 같이 답력 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되는 답력(f0)과 제1 마찰 부재(140)의 마찰력(f1), 제2 마찰 부재(150)의 마찰력(f2)을 더한 힘으로서 페달 아암(110)의 회전 각도가 커질수록 증가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총 답력은 도 17의 (b)와 같이 답력 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답력(f0)의 일부가 제1 마찰 부재(140)의 마찰력(f1), 제2 마찰 부재(150)의 마찰력(f2)에 의해 의해 상쇄되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보다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총 답력이 감소되어 운전자의 페달 조작 시 느끼게 되는 피로감이 줄어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7의 (c)는 제1 마찰 부재(140)의 마찰력과 제2 마찰 부재(150)의 마찰력이 없을 경우 운전자에게 요구되는 답력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답력 발생부(130)에 의한 답력만 작용하게 되어 운전자가 페달 패드(111a)를 밟는 경우와 페달 패드(111a)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동일한 답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페달 장치(100)는 페달 아암(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연소량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위치 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70)는 페달 아암(11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화되는 마그넷(114)의 위치에 따른 자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114)이 페달 아암(110)의 제1 축(Ax1) 부근에 위치되어 페달 아암(110)의 회전 시 위치가 변화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그넷(114)은 페달 아암(110)의 회전에 따라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이 조합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위치 감지부를 기준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마그넷이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도 18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70a)이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170)는 센서부(171) 및 마그넷(114)과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마그넷(114) 및 외부 자계 발생원 각각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가 차단되도록 하는 복수의 차폐부(172, 17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171) 및 복수의 차폐부(172, 173)는 하우징(170a) 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되어 페달 아암(110)의 타단부(112)에 구비되는 마그넷(114)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센서부(171)는 기판(171a)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는 감지 오류 방지를 위하여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가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센서 각각은 마그넷(114)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차량의 ECU는 복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 사이의 크기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대적으로 큰 감지 신호에 따라 연소량을 제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감지 신호에 따라 연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는 본 발명의 차량용 페달 장치(100)에 외부 자계 발생원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자계에 의한 영향이 없을 경우 도 21과 같이 마그넷(114)으로부터 방출되어 다시 마그넷(113)으로 수렴되는 자기력선(G1)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되나, 외부 자계 발생원에 의한 외부 자계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마그넷(113)에 의한 자계가 외부 자계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어 비정상적인 감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때, 외부 자계 발생원은 차량 내에 위치하는 자성을 띠는 물건이나 전기 차량의 동력원이 되는 모터 등과 같이 마그넷(114)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와 상호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정도의 외부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대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에 의해 감지되는 마그넷(114)의 자계의 세기가 외부 자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그넷(114)과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차폐부(172, 173)를 통해 마그넷(113)의 자계와 외부 자계가 각각 서로 간에 차단되도록 하여 마그넷(114)의 자계와 외부 자계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차폐부(172, 173)는 마그넷(114)의 자계와 외부 자계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판(171a)을 기준으로 마그넷(114)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외부 자계가 발생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의 차폐부(172, 173)가 배열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172, 173)는 높은 투자율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계를 형성하는 자기력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차폐부(172, 173)를 마그넷(114)과 제1 간격(d1)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1 차폐부(172) 및 마그넷(114)과 제1 간격(d1)보다 큰 제2 간격(d2)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제2 차폐부(173)라 칭하기로 한다.
제1 차폐부(172)는 마그넷(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외부 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제2 차폐부(173)는 외부 자계가 마그넷(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에 공기 간극(A)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필요로 하는 공간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에 공기 간극(A)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그넷(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와 외부 자계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커질 필요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2) 사이에 공기 간극(A)이 형성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의 두께와 공기 간극(A)의 두께를 더한 총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극(A)의 크기는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자기력선이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를 투과할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의 공기 간극(A)이 작아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는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가 하우징(170a)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170a)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하우징(170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하우징(170a)이 비전도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에 공기 간극(A)이 형성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차폐부(172)는 마그넷(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가 외부 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제2 차폐부(173)는 외부 자계가 마그넷(114)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에는 하우징(170a) 뿐만 아니라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 사이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부재가 위치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및 외부 자계 발생원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복수의 차폐부(172, 173)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마그넷(114)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선(G1)이 외부 자계의 자기력선(G2)에 영향을 받아 전술한 도 21에 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서(171b)로부터 마그넷(1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서(131)에 의해 마그넷(114)의 자계 뿐만 아니라 외부 자계가 감지되어 비정상적인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페달 아암(110)의 위치에 대한 오감지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부 자계로 인한 페달 아암(110)의 위치에 대한 오감지가 방지될 수 있도록 마그넷(114)과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제1 차폐부(172) 및 제2 차폐부(173)를 각각 위치시키게 되며, 이 경우 마그넷(114)으로부터 방출된 자기력선(G1)의 일부는 제1 차폐부(172)를 따라 마그넷(114)에 수렴되도록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외부 자계 발생원으로부터 방출된 자기력선(G2) 중 일부는 제2 차폐부(173)를 따라 외부 자계 발생원에 수렴되도록 형성되어 마그넷(114)에 의한 자계와 외부 자계 사이에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페달 아암
120: 가압 부재
130: 답력 발생부
140: 제1 마찰 부재
150: 제2 마찰 부재
160: 페달 하우징
170: 위치 감지부

Claims (23)

  1.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단부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페달 아암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답력 발생부;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 마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제2 마찰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이 회전할 때,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페달 하우징에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축과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기 제1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마찰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상기 제2 마찰 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반경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페달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수용 시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도록 상기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 부근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페달 하우징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결합 위치가 정렬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하우징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항력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가압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작동력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2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하우징 내측면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수직 항력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상기 제1 마찰 부재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페달 패드를 밟는 경우,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과,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페달 아암에 상기 작동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페달 패드로부터 발을 떼는 경우,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과,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답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8.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단부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페달 아암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답력 발생부;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 마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찰 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각각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상기 페달 아암이 회전할 때, 상기 각각의 격벽은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제1 마찰 부재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마찰 부재가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제2 마찰 부재와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가 커지는 차량용 페달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의 위치는, 상기 제1 마찰 부재가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하는 힘과,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이 상기 제2 마찰 부재를 통해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가하는 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지되는 차량용 페달 장치.
  21.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작동력에 의해 단부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페달 하우징에 결합되는 페달 아암;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 시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페달 아암과 상기 가압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력에 대응되는 답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답력 발생부;
    상기 가압 부재에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에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제2 마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마찰 부재 및 상기 제2 마찰 부재는,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페달 아암의 단부가 상기 제1 마찰 부재와 접촉하는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마찰 부재가 상기 페달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페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의 형상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한 제1 곡면 형상이고,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곡면 형상과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제2 곡면 형상인 차량용 페달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 형상의 길이는 상기 제1 곡면 형상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2 곡면 형상까지의 반경은 상기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곡면 형상까지의 반경보다 큰 차량용 페달 장치.
KR1020210082985A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페달 장치 KR10263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985A KR102632432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페달 장치
US17/577,481 US11789485B2 (en) 2021-06-25 2022-01-18 Pedal apparatus for vehicle
CN202220145384.6U CN216886278U (zh) 2021-06-25 2022-01-19 车辆用踏板装置
DE202022101309.8U DE202022101309U1 (de) 2021-06-25 2022-03-10 Pedal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985A KR102632432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643A KR20230000643A (ko) 2023-01-03
KR102632432B1 true KR102632432B1 (ko) 2024-02-02

Family

ID=8125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985A KR102632432B1 (ko) 2021-06-25 2021-06-25 차량용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9485B2 (ko)
KR (1) KR102632432B1 (ko)
CN (1) CN216886278U (ko)
DE (1) DE20202210130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2002812T5 (de) 2021-05-25 2024-04-11 KSR IP Holdings, LLC Pedal-baugruppe mit einer elektronischen drosselklappen-steuer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465A1 (ja) 2003-06-05 2004-12-16 Mikuni Corporation 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20110000293A1 (en) 2006-10-23 2011-01-06 Dominique Luce Device for mechanically fastening a tyre sensor to a rim
WO2014079672A1 (de) 2012-11-23 2014-05-30 Hella Kgaa Hueck & Co. Pedalsystem für die erzeugung eines kraftverlaufs mit hysterese
CN104228573A (zh) * 2013-06-17 2014-12-2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迟滞产生机构及带有该迟滞产生机构的车辆踏板
KR102054470B1 (ko)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JP2020157787A (ja) * 2019-03-25 2020-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857B1 (ko) 2003-11-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부여를 위한 가속 페달암 구조
KR100851320B1 (ko) * 2007-05-11 2008-08-08 주식회사 동희산업 답력 및 히스테리시스 조절기능을 갖춘 페달장치
US20110100153A1 (en) * 2008-05-08 2011-05-05 Murray Kaijala Accelerator Pedal Assembly
JP5902818B2 (ja) * 2011-10-07 2016-04-13 シーティーエス・コーポレーションCts Corporation ヒステリシスアセンブリを伴う車両用ペダルアセンブリ
DE102019105271A1 (de) * 2018-03-08 2019-09-12 Kyung Chang Industrial Co., Ltd. Pedalkrafterzeuger mit nocke
CN210680394U (zh) 2019-07-26 2020-06-05 南京奥联汽车电子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迟滞效应的悬挂式电子油门踏板
KR20210082985A (ko) 2019-12-26 2021-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465A1 (ja) 2003-06-05 2004-12-16 Mikuni Corporation アクセルペダル装置
US20110000293A1 (en) 2006-10-23 2011-01-06 Dominique Luce Device for mechanically fastening a tyre sensor to a rim
WO2014079672A1 (de) 2012-11-23 2014-05-30 Hella Kgaa Hueck & Co. Pedalsystem für die erzeugung eines kraftverlaufs mit hysterese
CN104228573A (zh) * 2013-06-17 2014-12-2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迟滞产生机构及带有该迟滞产生机构的车辆踏板
KR102054470B1 (ko) 2019-02-08 2019-12-10 경창산업주식회사 이중 히스테리시스 생성 구조를 갖는 차량용 가속 페달
JP2020157787A (ja) * 2019-03-25 2020-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2101309U1 (de) 2022-04-01
US20220413540A1 (en) 2022-12-29
KR20230000643A (ko) 2023-01-03
US11789485B2 (en) 2023-10-17
CN216886278U (zh)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1678B2 (ja) ペダ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244481B2 (en) Vehicle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assembly
US20080276749A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KR102632432B1 (ko) 차량용 페달 장치
JP4035520B2 (ja) 角度位置センサ
US5013930A (en) Remote control lever module
JPH0849575A (ja) アクセルペダルの操作量検出装置
US10976766B2 (en) Pedal device for vehicle
KR102348898B1 (ko) 차량용 페달 장치
KR102661134B1 (ko) 차량용 페달 장치
KR101518899B1 (ko) 차량용 가속페달 각도 검지장치
KR20180102001A (ko) 페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10293577A1 (en) Stroke sensor module,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stroke sensor module
KR20190081759A (ko) 차량용 페달 장치
CN215921888U (zh) 车辆用踏板装置
JPH02188634A (ja) 移動検出装置
KR20220091234A (ko) 차량용 페달 장치
JP4374181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4155373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KR101510985B1 (ko)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JP2004155374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22130116A (ja) ペダル装置
JP2021148583A (ja) ストローク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4155378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