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532B1 -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 Google Patents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532B1
KR102631532B1 KR1020230072613A KR20230072613A KR102631532B1 KR 102631532 B1 KR102631532 B1 KR 102631532B1 KR 1020230072613 A KR1020230072613 A KR 1020230072613A KR 20230072613 A KR20230072613 A KR 20230072613A KR 102631532 B1 KR102631532 B1 KR 102631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nd
elastic bending
sha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종
Original Assignee
박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종 filed Critical 박하종
Priority to KR102023007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평평한 플랫밴드부, 플랫밴드부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커브드아암부, 커브드아암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연결단부를 구비하는 복합링크와; 끼움구멍에 끼워지거나 연결단부에 결합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팅튜브와;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일부를 누르면 눌리지 않은 부분이 팽창되고, 외주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하여 외주구멍에 고정되는 부분팽창봉과; 부분팽창봉의 일부를 눌러 부분 팽창 상태를 유지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는, 힘과 그에 따른 탄성 변형량의 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조합 구성을 통해 원하는 모양의 결과물을 창작하게 함으로써 힘의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성 부품이 소모성이며 가격이 저렴하여 부담이 없고 사용 중 몇 개를 분실하더라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정되어진 모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므로, 그만큼 유연한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Teaching aid kit for improving creativity}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구(敎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힘과 그에 따른 탄성 변형량의 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조합 구성을 통해 원하는 모양의 결과물을 창작하게 하는,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나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완구나 학습용 교구(敎具) 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 하나인 블록형 완구 제품은,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이루어진 육면체, 원기둥, 다각기둥, 막대모양 등의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단위 블록으로 구성되며,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여 인지능력과 소근육을 발달시킨다.
하지만, 블록형 완구는, 개별 단위 블록의 형상이 다양하지 못하여, 만들 수 있는 모양이 한정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흥미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단위블록의 분실 시 짝이 맞지 않아 블록놀이를 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블록형 완구 외에 퍼즐형 완구도 알려져 있는데, 퍼즐형 완구는, 퍼즐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퍼즐조립면 상에 퍼즐 조각들을 채워나가는 것이다. 그런데 퍼즐형 완구는 2차원적이며, 애초에 정해진 그림을 맞추는 것이므로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상당한 집중력을 요구하므로 쉽게 실증이 난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0967호 (두뇌 개발과 창의력 향상을 위한 유아 및 어린이용 블록완구)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블록완구는, 메인블록과, 메인블록에 결합되는 서브블록으로 구성되되, 메인블록은, 원통형 또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블록바디와; 블록바디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상부결합부와; 블록바디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공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결합부와; 블록바디의 저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일정 직경의 회전결합구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끼움결합부 및 상부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되며, 다른 메인블록에 형성된 끼움결합부 또는 서브블록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고, 회전결합부의 각각에는, 회전결합구간의 내부면이 서로 대향된 방향에서 각각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접면부와, 회전결합구간 외부면과 접촉되는 한 쌍의 제2접면부에 의해 4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힘의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부담이 없이 사용 할 수 있고, 무한 확장성을 가져 유연한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평평한 플랫밴드부, 플랫밴드부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된 커브드아암부, 커브드아암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연결단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절제용 노치라인이 형성되어 찢거나 뜯어 사용 가능한 복합링크와; 탄성변형 가능한 중공튜브의 형상을 취하고, 절제용 노치라인과 외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거나 연결단부에 결합 가능하며,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내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팅튜브와;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일부를 누르면 눌리지 않은 부분이 팽창되고, 상기 외주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하여 외주구멍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다수의 인너링과, 상기 인너링을 감싸고 인너링과 함께 물을 수용하며 팽창 가능한 밀폐벌룬을 구비하는 부분팽창봉과; 부분팽창봉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가압블록, 각 가압블록의 대향면에 고정되며 상호간에 인력을 출력하는 자석을 가지고, 부분팽창봉의 일부를 눌러 부분 팽창 상태를 유지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다수의 탄력벤딩밴드와, 링의 형상을 취하고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써라운드링과, 써라운드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써라운드링과의 사이에 상기 탄력벤딩밴드를 갖는 완충박스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다수의 탄력벤딩밴드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탄력벤딩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형상기억금속으로 제작된 형상기억밴드가 내장된 탄력커넥터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탄력커넥터 대신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겹쳐진 상태의 탄력벤딩밴드의 굴곡부 내측의 홈부에 끼워지는 환봉형자석봉과, 이웃 굴곡부의 홈부에 끼워지며 두 겹의 탄력벤딩밴드를 사이에 두고 자석봉 측으로 당겨져 탄력벤딩밴드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금속봉이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는, 힘과 그에 따른 탄성 변형량의 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조합 구성을 통해 원하는 모양의 결과물을 창작하게 함으로써 힘의 원리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성 부품이 소모성이며 가격이 저렴하여 부담이 없고 사용 중 몇 개를 분실하더라도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결정되어진 모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므로, 그만큼 유연한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에 포함되는 복합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링크의 연결 방식의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링크의 연결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링크의 연결 방식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구세트를 충격 실험의 용도로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써라운드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복합링크의 변형 예와 연결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결튜브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연결튜브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에 포함되는 팽창봉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팽창봉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의 팽창봉이 눌린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팽창봉을 팽창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압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팽창봉의 사용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복합링크와 커넥팅튜브와 부분팽창봉과 압착부가 조합된 구조체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에 포함되는 복합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복합링크의 연결 방식의 하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복합링크의 연결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구세트를 충격 실험의 용도로 구성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써라운드링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복합링크의 변형 예와 연결튜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연결튜브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연결튜브의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10은 교구세트에 포함되는 팽창봉의 절제 사시도이고, 도 11은 팽창봉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의 팽창봉의 사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팽창봉을 팽창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착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5는 도 10의 팽창봉의 사용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는, 복합링크(10), 커넥팅튜브(31), 탄력벤딩밴드(33), 밴드커넥터, 써라운드링(23), 완충박스(21), 부분팽창봉(40), 압착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며 교구세트 상자에 함께 수용된다. 또한 각 아이템이 하나 씩만 포함된 것이 아니라 수십 개 내지 수백 개가 함께 포함된다.
본 실시예의 교구세트는 소모품으로서 사용 중 변형되거나 찢어진 것은 버린다. 즉, 사용 중 분실되더라도 계속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정형화된 모양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각자가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만드는 것이므로,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정해진 것은 없다. 그리고, 사용 중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절단하거나 접을 수 있어 창작의 범위가 거의 무한하다.
상기 복합링크(10)는,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띠형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된 일체형 부재이다. 복합링크(10)는, 플랫밴드부(11), 커브드아암부(13), 연결단부(15)를 갖는다. 복합링크(10)는 가요성을 갖는다.
플랫밴드부(11)는 다수의 끼움구멍(11a)을 갖는 평평한 부분이다. 끼움구멍(11a)에는 가령 커넥팅튜브(31)나 부분팽창봉(40) 또는 커넥터(17)이 끼워질 수 있다. 그러나, 끼움구멍(11a)에 무엇을 결합시킬지는 정해진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본인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활용한다.
아울러 플랫밴드부(11)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아암부(12)가 연결될 수 있다. 확장아암부(12)는 플랫밴드부(11)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커넥팅튜브(31)와 결합 가능하다. 플랫밴드부(11)와 확장아암부(12)의 사이에도 노치라인(10b)이 형성되어 있다. 확장아암부(12)가 필요 없다면 짤라 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확장아암부(12)에도 다수의 끼움구멍(12a)이 마련되어 있다.
커브드아암부(13)는, 플랫밴드부(11)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도면상 상하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된 부분이다. 커브드아암부(13)의 굴곡부(13c)의 피치는 일정하다. 또한 굴곡수의 개수는 복합링크(1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커브드아암부(13)를 힘을 가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커브드아암부(13)를 당김에 따라 플랫밴드부(11)와 연결단부(15)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링크(10)의 위치를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복합링크(10)로부터 고정대상물(10)의 간격이 멀 경우, 커브드아암부(13)를 당겨 연결단부(15)를 고정대상물(70)에 도달시켜 연결 가능하다.
커브드아암부(13)에는 다수의 끼움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플랫밴드부(11)을 당겨 팽팽하게 유지한 상태로 끼움구멍(13b)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의 '끼움구멍'은 도면부호가 다르더라도, 모두 동일한 목적을 갖는다.
연결단부(15)는, 커브드아암부(13)의 연장 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탭이다. 연결단부(15)에도 끼움구멍(15a)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복합링크(1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단부(15)를 겹친 상태로 끼움구멍(15a)에 커넥터(도 5의 17)를 끼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복합링크(10)에는 다수의 절제용 노치라인(11c)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라인(11c)은 복합링크(10)를 접거나 절단하기 위해 마련한 칼집이다. 사용자는 노치라인(11c)의 좌우를 잡고 비틀어 절단한다. 노치라인(11c)을 절단하면 프랫밴드부(11)와 커브드아암부(13)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노치라인(11c)을 절단하기 위해 칼이나 가위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어린이들이 본 실시예의 교구세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복합링크(10)의 변형 예이다. 도 2에 도시한 복합링크(10)의 경우, 연결단부(15)에, 록킹바(15c)와 대응구멍(15d)이 마련되어 있다. 록킹바(15c)는 수직 상부 또는 수직 하부로 연장된 돌출부이다. 그리고 대응구멍(15d)은 록킹바(15c)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록킹바(15c)를 대응구멍(15d)에 끼움으로써 이웃하는 두 개의 복합링크(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연결단부(15)에는 결합유지자석(16)이 구비된다. 결합유지자석(16)은 연결단부(15)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커넥팅튜브(31)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중공형 튜브이다. 커넥팅튜브(31)는 가요성 및 탄력성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다. 커넥팅튜브(31)를 누르면 찌그러진 상태가 되고 놓으면 처음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커넥팅튜브(31)는 길이방향으로 연결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커넥팅튜브(31)의 일단부에는 삽입부(31c)가, 타단부에는 수용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31c)는 그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수용부(31a)는 내주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31c)를 수용부(31a)에 압입하면 톱니가 상호 치합하며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커넥팅튜브(31)가 톱니 결합하므로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삽입부(31c)나 수용부(31a)도 탄성 변형 가능하다.
커넥팅튜브(31)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단부(15)나 확장아암부(12)에 장착될 수 있다. 커넥팅튜브(31)의 단부를 납작하게 누른 상태에서, 눌린 단부에, 연결단부(15)나 확장아암부(12)를 끼운 후 손을 놓으면, 눌려 있던 단부가 동그랗게 탄성 복원되며 연결단부(15)나 확장아암부(12)의 폭방향 단부를 가압하여 끼움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커넥팅튜브(31)에도 노치라인(31f)이 형성되어 있다. 노치라인(31f)은 사용자가 손으로 절단하는 부분이다. 노치라인(31f)을 절단하면 커넥팅튜브(31)에서 삽입부(31c)와 수용부(31a)가 제거된다. 커넥팅튜브(31)를 단순한 원통형 부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커넥팅튜브(31)에는 다수의 외주구멍(31e)이 마련되어 있다. 외주구멍(31e)을 통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다른 커넥팅튜브나 부분팽창봉(40)을 끼울 수 있는 것이다.
탄력벤딩밴드(33)는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된 부재이다. 탄력벤딩밴드(33)는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되고 탄성변형 가능하다. 탄력벤딩밴드(33)는 복합링크(10)의 커브드아암부(13)과 같은 모양을 갖는다. 탄력벤딩밴드(33)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피치 간격을 갖는 굴곡부(33a)가 포함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33a)의 내측 공간은 홈부(33b)이다. 홈부(33b)는, 두 개의 탄력벤딩밴드(33)를 연결하기 위하여 겹칠 때, 이웃하는 탄력벤딩밴드(33)의 굴곡부(33a)를 수용한다. 탄력벤딩밴드(33)는, 스프링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령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박스(21)를 지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교구세트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부품) 중 일부 부품들을 이용하여 만든 하나의 조립체(60)의 구성도이다. 조립체(60)는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개의 써라운드링(23), 하나의 완충박스(21), 다수의 탄력벤딩밴드(33), 커넥터(17)로 구성된다.
써라운드링(2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을 가지며 링의 형상을 취하는 합성수지 부재이다. 써라운드링(23)은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써라운드링(23)에는 다수의 장착구멍(2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멍(23a)은 커넥터(17)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세 개의 써라운드링(23)의 직경은 상호 다르며 서로에 대해 부분적으로 면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써라운드링(23)의 목적은 구(球)의 모양을 모사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써라운드링(23)의 적용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다.
완충박스(21)는 비어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상자이다. 완충박스(21)의 내부에는 충격 실험대상물(Z)이 수용된다. 실험대상물은 날계란 일 수 있다. 완충박스(21)도 자체적 완충능력을 갖는다. 가령 스폰지가 내장될 수 있다.
탄력벤딩밴드(33)는, 완충박스(21)를 써라운드링(23)의 내부 영역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력벤딩밴드(33)의 일단부는 완충박스(21)에, 타단부는 써라운드링(23)에 커넥터(17)로 연결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탄력벤딩밴드(33)는 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박스(21)에 실험대상물(Z)을 넣은 상태로 조립체(60)를 일정 높이에서 낙하시켜, 실험대상물이 어느 정도 높이에서 깨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충격실험이 가능하다.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하다.
커넥터(17)는 압입핀(17a)과 고정링(17b)으로 이루어진다. 압입핀(17a)은 마치 화살촉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장착구멍(23a)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고정링(17b)과 결합한다.
한편, 밴드커넥터는, 탄력벤딩밴드(33)를 상호 연결할 때 사용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예의 교구세트에서는 두 종류의 밴드커넥터가 포함된다.
그 중 하나는 탄력커넥터(도 4의 14)이다. 탄력커넥터(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되어 있는 탄력벤딩밴드(3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탄력커넥터(14)는 탄력벤딩밴드(3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내부에 형상기억밴드(14c)를 갖는다. 형상기억밴드(14c)는 형상기억금속으로 제작된 부재이며 탄력커넥터(14)의 변형 전 모양을 기억한다. 가령 밴드커넥터(14)를 사용하다가 늘어나거나 뒤틀린 경우, 탄력커넥터(14)를 기억온도로 유지시켜 원래의 모양을 복원할 수 있다.
탄력커넥터(14)의 굴곡부(14f)의 내측공간인 수용공간(14a)에는 탄력벤딩밴드(33)의 굴곡부(33a)가 수용된다. 굴곡부(33a)를 수용공간(14a)에 끼움으로서 두 개의 탄력벤딩밴드(33)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다른 하나의 밴드커넥터는, 환봉형 자석봉(25)과 금속봉(27)이다. 자석봉(25)과 금속봉(27)으로 이루어진 밴드커넥터는, 일부가 겹쳐진 상태의 탄력벤딩밴드(33)에 적용되며 탄력벤딩밴드(33)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겹쳐진 상태의 두 겹의 탄력벤딩밴드(33)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자석봉(25)이, 반대편에는 금속봉(27)이 끼워지는 것이다. 금속봉(27)은 자석봉(25)의 자력을 받아 자석봉(25) 측으로 당겨져 결국, 탄력벤딩밴드(33)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킨다.
부분팽창봉(4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끼움구멍 또는 외주구멍(31e)에 끼워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부분팽창봉(4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 따라서 부분팽창봉(40)의 일부를 누르면 눌리지 않은 부분이 팽창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팽창봉(40)을 외주구멍(31e)에 삽입하고 중앙부를 누르면, 양단부가 부풀어 오르며 끼움구멍 또는 외주구멍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부분팽창봉(40)은, 다수의 인너링(43)과 밀폐벌룬(41)과 물(45)을 포함한다. 인너링(43)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한 원통형 플라스틱 부재이며 일직선으로 배열된다. 인너링(43)은 평상시에는 도 12a와 같이 링의 형상을 취하며, 힘을 가하여 누르면 도 12b처럼 납작한 상태가 된다. 납작한 상태에서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다시 도 12a와 같이 둥글게 복원된다.
밀폐벌룬(41)은 인너링(43)을 감싸고 인너링과 함께 물을 수용하는 신축성 부재이다. 밀폐벌룬(41)은 팽창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밀폐벌룬(41)은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 가능하다. 즉,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팽창봉(40)의 일부를 압착부(50)를 이용해 압착하면, 압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물(45)이 몰려 팽창하는 것이다.
압착부(50)는 부분팽창봉(40)의 일부를 눌러, 부분팽창봉(40)의 부분 팽창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착부(50)는 한 쌍의 가압블록(51)과 자석(53)을 포함한다. 가압블록(51)은 부분팽창봉(4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부재이며 대향면에 수용홈(51a)을 갖는다. 수용홈(51a)은 압착된 부분팽창봉(40)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또한 자석(53)은 각 가압블록(51)의 대향면에 고정되며 상호간에 인력을 출력한다. 두 개의 가압블록(51)은, 자석(53)의 자기력 작용에 의해, 부분팽창봉(40)을 누른 상태로 밀착상태를 유지한다.
도 15는 2열의 커넥팅튜브(31)를, 다수의 부분팽창봉(40)으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커넥팅튜브(3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기찻길의 형상을 모사한다. 교구세트를 이용해 기찻길을 만들 때 부분팽창봉(40)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팽창봉(40)의 양단부를 커넥팅튜브(31)의 외주구멍(31e)에 삽입한 상태로 부분팽창봉(40)의 중앙부를 압착하면, 부분팽창봉(40)의 양단부가 팽창한다. 양단부가 팽창하므로 팽창된 상태가 유지되는 이상, 커넥팅튜브(31)로부터 부분팽창봉(40)이 이탈되지 않는다.
도 16은 복합링크와 커넥팅튜브와 부분팽창봉과 압착부가 조합된 구조체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복합링크(10)의 일단부가 당겨져 고정대상물(70)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복합링크(10)와 고정대상물(70)의 간격이 멀 경우 커브드아암부(13)를 늘일 수 있음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늘어난 커브드아암부의 반대측 커브드아암부(13)에는 커넥팅튜브(31)가 끼워져 있다. 커넥팅튜브(31)는 끼움구멍(도 1의 13b)에 끼워진다. 커브드아암부(13)에 커넥팅튜브(31)를 끼움으로서 굴곡부(13c)의 늘어짐 현상은 억제된다.
그리고 플랫밴드부(11)의 끼움구멍(11a)에는 부분팽창봉(40)이 끼워져 있다. 부분팽창봉(40)은 가압블록(51)에 의해 부분 팽창되며 복합링크(10)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복합링크 10b:노치라인 11:플랫밴드부
11a:끼움구멍 11c:노치라인 12:확장아암부
12a:끼움구멍 13:커브드아암부 13b:끼움구멍
13c:굴곡부 14:탄력커넥터 14a:수용공간
14c:형상기억밴드 14f:굴곡부 15:연결단부
15a:끼움구멍 15c:록킹바 15d:대응구멍
16:결합유지자석 17:커넥터 17a:압입핀
17b:고정링 21:완충박스 23:써라운드링
23a:장착구멍 25:자석봉 27:금속봉
31:커넥팅튜브 31a:수용부 31c:삽입부
31e:외주구멍 31f:노치라인 33:탄력벤딩밴드
33a:굴곡부 33b:홈부 40:부분팽창봉
41:밀폐벌룬 43:인너링 45:물
50:압착부 51:가압블록 51a:수용홈
53:자석 60:조립체 70:고정대상물

Claims (4)

  1.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평평한 플랫밴드부, 플랫밴드부의 양단부에 일체를 이루고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된 커브드아암부, 커브드아암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연결단부를 구비하고, 다수의 절제용 노치라인이 형성되어 찢거나 뜯어 사용 가능한 복합링크와;
    탄성변형 가능한 중공튜브의 형상을 취하고, 절제용 노치라인과 외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지거나 연결단부에 결합 가능하며,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내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팅튜브와;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일부를 누르면 눌리지 않은 부분이 팽창되고, 상기 외주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하여 외주구멍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고 일직선으로 배열된 다수의 인너링과, 상기 인너링을 감싸고 인너링과 함께 물을 수용하며 팽창 가능한 밀폐벌룬을 구비하는 부분팽창봉과;
    부분팽창봉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가압블록, 각 가압블록의 대향면에 고정되며 상호간에 인력을 출력하는 자석을 가지고, 부분팽창봉의 일부를 눌러 부분 팽창 상태를 유지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일정두께 및 폭을 갖는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며 연장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다수의 탄력벤딩밴드와,
    링의 형상을 취하고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써라운드링과,
    써라운드링의 내측에 배치되며 써라운드링과의 사이에 상기 탄력벤딩밴드를 갖는 완충박스가 더 포함되는,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탄력벤딩밴드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탄력벤딩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형상기억금속으로 제작된 형상기억밴드가 내장된 탄력커넥터가 더 포함되는,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커넥터 대신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겹쳐진 상태의 탄력벤딩밴드의 굴곡부 내측의 홈부에 끼워지는 환봉형자석봉과,
    이웃 굴곡부의 홈부에 끼워지며 두 겹의 탄력벤딩밴드를 사이에 두고 자석봉 측으로 당겨져 탄력벤딩밴드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금속봉이 더 포함되는,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KR1020230072613A 2023-06-07 2023-06-07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KR10263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13A KR102631532B1 (ko) 2023-06-07 2023-06-07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613A KR102631532B1 (ko) 2023-06-07 2023-06-07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532B1 true KR102631532B1 (ko) 2024-01-30

Family

ID=8971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613A KR102631532B1 (ko) 2023-06-07 2023-06-07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5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531A (ja) * 2003-04-01 2004-10-28 Optonica Kobo Kk 可撓性連接棒、結合部材、及び立体組立て遊戯具
KR200475730Y1 (ko) * 2014-08-01 2014-12-30 허예령 조립식 입체 모형 구조물
US20150104992A1 (en) * 2013-10-14 2015-04-16 Toy Story Co., Ltd. Plaything
KR2020011373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온교육 조립식 학습교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531A (ja) * 2003-04-01 2004-10-28 Optonica Kobo Kk 可撓性連接棒、結合部材、及び立体組立て遊戯具
US20150104992A1 (en) * 2013-10-14 2015-04-16 Toy Story Co., Ltd. Plaything
KR200475730Y1 (ko) * 2014-08-01 2014-12-30 허예령 조립식 입체 모형 구조물
KR20200113732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온교육 조립식 학습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8966B1 (en) Toy that can be assembled independently by a child
US4778184A (en) Multi-dimensional sculpture puzzle/toy
US4194255A (en) Foam spring
US2826000A (en) Knockdown toy
US6241572B1 (en) Manipulable beaded string
US3422565A (en) Tube,plug and resilient link construction device
KR102631532B1 (ko) 창의력 향상용 교구세트
US6568982B2 (en) Ball comprised of interwoven rings
US7040949B2 (en) Flexible connector
US5501626A (en) Polygonal element for constructing polyhedral structures in the form of a flexible peripheral frame
GB2339154A (en) Toy with three or more sound tubes
US4114307A (en) Adjustable configuration toy
EP2622593B1 (en) Chest compression manikin
WO2024062970A1 (ja) 模型玩具、及び可動構造体
KR101933097B1 (ko) 완구용 블럭 조립체
US2206149A (en) Crystal form demonstrator
US20040253902A1 (en) Building toy set
GB1577355A (en) Toy figurine
US11255375B2 (en) Multi-function joint
KR200250880Y1 (ko) 형태가 변형 가능한 모형물
KR102676945B1 (ko) 창의력 개발용 교구세트
KR19990084101A (ko) 완구용 블록
CN209785370U (zh) 一种弹性杆件模型
JP3217282U (ja) ユニット式組立構造物キット
KR101977273B1 (ko) 접이식자바라가 구비된 레고 액세서리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