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398B1 -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398B1
KR102630398B1 KR1020210075806A KR20210075806A KR102630398B1 KR 102630398 B1 KR102630398 B1 KR 102630398B1 KR 1020210075806 A KR1020210075806 A KR 1020210075806A KR 20210075806 A KR20210075806 A KR 20210075806A KR 102630398 B1 KR102630398 B1 KR 10263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heating element
unit
vibration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927A (ko
Inventor
서장원
고경민
배형진
장철호
정민석
정종성
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7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398B1/ko
Priority to CN202280005905.0A priority patent/CN116322396A/zh
Priority to JP2023507629A priority patent/JP2023537583A/ja
Priority to US18/027,198 priority patent/US20230371614A1/en
Priority to PCT/KR2022/005750 priority patent/WO2022260270A1/ko
Priority to EP22820399.8A priority patent/EP4183276A4/en
Publication of KR20220166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삽입되어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요소 및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가열 요소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 요소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열 요소에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AEROSOL-GENERATING APPARATUS HAVING VIBRATING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열 요소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성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 발생시키는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된 가열 요소를 통해 궐련을 가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667124호는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궐련을 삽입하거나 분리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홀더(holder)의 구조를 다루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흡연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로 추출되는 홀더에 궐련을 삽입하여 홀더와 궐련을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하고, 흡연 후에는 홀더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킨 후 홀더에서 궐련을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홀더는 단순히 궐련의 삽입과 제거 동작을 안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흡연 중에 궐련에서 발생한 잔류물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내부 공간과 가열 요소 등의 구성요소들에 남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홀더에 삽입되어 있는 궐련을 손으로 잡아 홀더 밖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궐련을 제거하는데, 궐련과 가열 요소의 접촉면에 형성된 고착물(e.g. 담배 성분) 대부분은 강한 고착력으로 인해 궐련을 제거한 뒤에도 떨어지지 않고 가열 요소에 남게 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청결도는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점차 불량해지게 된다. 더욱이, 가열 요소에 형성된 고착물은 열에 의해 응축되어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더욱 강하게 고착되며, 흡연 시에 탄맛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7124호(2016.10.11 등록)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열 요소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열 요소에 형성된 고착물에 대한 제거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대한 가열 요소의 삽입/제거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흡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가열 요소를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요소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흡연 종료 시점 또는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거되는 도중에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요소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와 상기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진동부를 통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삽입된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진동부를 통해 가열 요소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 요소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흡연 중에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경우, 가열 요소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 간에 미세 간격이 발생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 요소의 표면에 고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국부 탄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고, 고착물로 인해 탄맛이 유발되는 문제도 크게 완화되어 전반적인 흡연 품질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 진동부를 통해 가열 요소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 요소의 삽입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즉,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가열 요소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가열 요소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내부에서 제거되는 도중에 진동부를 통해 가열 요소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 요소의 제거 용이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시간 조건, 온도 조건 및/또는 퍼프 조건 등에 기초하여 진동부가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부의 동작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령, 상술한 조건에 기초하여 고착물 형성 확률이 높은 시점에 진동부를 동작시킴으로써, 진동부의 소비 전력이 감소됨과 동시에 고착물의 형성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와 가열 요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몇몇 용어들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aerosol)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또는 액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 담배 추출물, 보습제 및/또는 다양한 향미제를 기초로 하는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상기 열거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액상은 액상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품(article)을 의미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궐련을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퍼프"(puff)는 사용자의 흡입(inhalation)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상류"(upstream) 또는 "상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downstream) 또는 "하류 방향"은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라는 용어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서, 필터부(2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부(22)의 하류 또는 하류 방향에 위치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부(22)는 필터부(21)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 축에 상응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하우징(11), 히터부, 진동부(13), 제어부(14) 및 배터리(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출력 모듈(e.g. 모터, 디스플레이) 및/또는 사용자의 입력(e.g. 장치 온/오프 등)을 받기 위한 입력 모듈(e.g.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1)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히터부의 가열 요소(12)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구부를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적절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부(22)와 필터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부(21)로 구분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내부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부(2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삽입)되고, 필터부(21)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필터부(21)를 입으로 문 상태에서 흡연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히터부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부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열 요소(12)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 요소(12)는 배터리(15)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내부에서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부의 동작은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열 요소(12)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2)는 봉형, 블레이드형과 같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 요소(12)는 원(또는 반원)의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린더형의 가열 요소(1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내부에서 중심부와 외곽부를 고르게 가열할 수 있어, 흡연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실린더형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대한 삽입 용이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가열 요소(12)가 삽입되는 도중에 가열 요소(12)를 진동(e.g. 상하 진동)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또한, 히터부의 동작 방식 및/또는 구현 형태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부는 저항 가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가령, 히터부는 전기 절연성 기질(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로 형성된 기질) 및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열하는 전기 저항성 가열 요소(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히터부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가령, 히터부는 인덕터(inductor)와 인덕터에 의해 유도 가열되는 가열 요소(12; 즉,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의 예로는 유도 코일(induction coil)을 들 수 있을 것이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도 코일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희망 온도까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가열할 수 있다면 히터부는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되더라도 무방하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기 설정(e.g. 온도 프로파일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동부(13)는 가열 요소(12)를 진동시킬 수 있다. 가령, 진동부(13)는 가열 요소(12)와 기계적으로(물리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e.g. 진동부 13과 가열 요소 12에 밀착 배치됨), 진동부(13)에서 발생된 진동이 가열 요소(12)로 전달될 수 있다. 진동부(13)에 의해 가열 요소(12)가 진동됨에 따라, 흡연 시에 가열 요소(12)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12)에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국부 탄화 현상이 완화되어 흡연 품질이 향상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대한 가열 요소(12)의 삽입/제거 용이성도 향상될 수 있다.
진동부(13)의 동작은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진동부(13)의 진동 방향, 가열 요소(12)와의 연동 구조, 구현 방식, 제어 방식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13)가 가열 요소(12)를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상하 방향(즉, 길이 방향; 점선 화살표 참조)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대한 가열 요소(12)의 삽입/제거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고, 가열 요소(12) 인접 영역(221)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가열 요소(12)에 고착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진동에 의해 가열 요소(12)에 기 형성된 고착물은 가열 요소(12)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다만,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진동부(13)가 가열 요소(12)를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거나 트위스트 형태(e.g. 가열요소 12에 트위스트 진동을 가하는 형태)로 진동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열 요소(12)와 인접 영역(221)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 간에 미세 간격이 잘 발생되어, 국부 탄화 현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13)가 진동 본체(132)와 홀더(131)로 구성될 수 있고, 홀더(131)에 가열 요소(12)가 장착(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본체(132)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홀더(131)는 발생된 진동을 가열 요소(12)로 전달함과 동시에 가열 요소(12)를 고정(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생된 진동이 가열 요소(12)로 손실없이 전달됨에 따라 진동부(13)에 따른 효과들(e.g. 고착물 형성 방지, 고착물 제거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홀더(131)는 예를 들어 진동 본체(132)로부터 돌출된 세장형(e.g. 뿔 형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진동부(13)가 압전 효과에 의해 전기전 신호를 물리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e.g. 초음파 진동자)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동부(13)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진동부(13)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는 대략 20KHz 내지 40KHz 범위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진동부(13)가 진동 방향에 대한 변경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가령, 진동부(13)는 상하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 서브 진동부와 좌우 방향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2 서브 진동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진동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13)는 경우에 따라 다른 진동 방향으로 가열 요소(12)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진동부(13)는 가열 요소(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삽입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는 동안에는 가열 요소(12)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켜 삽입/제거 용이성을 보장하고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13)는 흡연 중에서는 간헐적으로 가열 요소(12)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켜 가열 요소(12)와 인접 에어로졸 형성 기재 간에 미세 간격이 잘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국부 탄화 현상과 고착물 형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진동부(13), 히터부와 배터리(1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진동부(13)의 동작(e.g. 진동 온/오프, 진동 속도, 진동 강도, 진동 방향 등), 배터리(15)가 공급하는 전력, 히터부의 가열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4)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어부(14)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1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5)는 진동부(13)와 히터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4)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5)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미도시), 센서(미도시), 모터(미도시) 등의 전기적 구성요소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진동부(13)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1)는 진동부(13)를 통해 가열 요소(12)를 진동시킴으로써 가열 요소(12)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고, 고착물로 인해 탄맛이 유발되는 문제도 크게 완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e.g. 1)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후술될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e.g. 1)의 제어부(e.g. 14;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e.g. 1)의 제어부(e.g. 14)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가 도 1에 예시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제어부(14)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동작의 주어가 생략된 경우, 제어부(14)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어부(14)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제어부(14)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수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200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수용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4)는 가열 요소(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열 요소(12)가 진동되면서(e.g. 상하 방향으로 진동)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내부로 삽입되므로, 가열 요소(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령, 가열 요소(12)가 봉형 또는 블레이드형이 아니라 실린더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진동의 도움을 받아 가열 요소(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제어부(14)는 가열 요소(12)를 통해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을 예열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는 예열 도중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열 시에 이루어지는 가열 요소(12)의 급속한 승온에 의해 진동부(13)에 고착물이 형성되거나 국부 탄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제어부(14)는 흡연 중에 진동부(13)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예열이 종료된 이후에, 제어부(14)는 흡연 시작 시부터 종료 시까지 진동부(13)에 대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제어 방식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4)는 소정의 시간 조건에 따라 진동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는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시간 동안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흡연 중에 주기적으로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4)는 주기와 무관하게 지정된 흡연 시점(e.g. 흡연 시작 후 3초 경과 시, 7초 경과 시, 12초 경과 시, 흡연 종료 3초 전, 흡연 종료 시, 흡연 종료 후 1초 경과 시 등)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14)가 소정의 온도 조건에 따라 진동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14)가 소정의 퍼프 조건에 따라 진동부(13)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하여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500에서, 제어부(14)는 흡연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퍼프횟수(e.g. 8회의 퍼프가 수행된 경우 흡연 종료로 판단함), 흡연 시작 후 경과된 시간(e.g. 흡연 시작 후 30초가 경과한 경우 흡연 종료로 판단함), 일정 시간 이상 퍼프가 미감지되는지 여부(e.g. 퍼프가 2초 이상 미감지되는 경우 흡연 종료로 판단함), 흡연 종료를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기초하여 흡연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흡연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600에서, 흡연이 종료되었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4)는 흡연 종료 시점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 동안 가열 요소(12) 표면에 형성된 고착물이 제거될 수 있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1)의 청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음 흡연 시 가열 요소(12)에 형성된 고착물로 인해 탄맛이 발현되는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14)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제거되는 도중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즉, 가열 요소 12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 2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음), 고착물의 제거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4)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흡연 중에는 가열 요소(12)를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로 진동시키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수용/제거 시점에는 가열 요소(12)를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수용 및 제거 시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이 진동에 의해 떨리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4)는 흡연 중보다 흡연 종료 후에 가열 요소(12)를 더 강한 강도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흡연 중에 가열 요소(12)에 형성된 고착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적절한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를 동작시킴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물품(2)에 대한 가열 요소(12)의 삽입 및 제거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고, 가열 요소(12)에 고착물이 형성되는 것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흡연 중에 진동부(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몇몇 예시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가열 요소(12)의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어부(14)가 가열 요소(12)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S410에서 시작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가열 요소(12)의 온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 요소(12)의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420에서, 제어부(14)는 모니터링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때, 기준치는 기 설정된 고정값일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변동값일 수도 있다.
단계 S430에서, 모니터링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는 모니터링된 온도의 상승 속도(기울기)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가열 요소(12)가 고온으로 발열할수록 가열 요소(12)에 인접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열에 의해 응축되어 고착물을 형성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14)가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모니터링 온도가 상승할수록(또는 온도의 상승 속도가 증가할수록)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가열 요소(12)의 온도가 상승할수록 고착물이 형성될 확률이 증가하고, 형성된 고착물이 더 강한 고착력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모니터링된 온도가 하강할수록(또는 온도의 하강 속도가 증가할수록) 제어부(14)는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적절한 시점에 진동부(13)가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부(13)의 동작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령,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고착물 형성 확률이 높은 시점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킴으로써, 진동부(13)의 소비 전력이 감소됨과 고착물의 형성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퍼프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제어부(14)가 사용자의 퍼프(e.g. 퍼프 여부, 퍼프 강도, 퍼프 강도 등)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S440에서 시작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기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퍼프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단계 S450에서, 제어부(14)는 모니터링 중에 사용자의 퍼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퍼프가 감지된다는 판단에 응답하여, 제어부(14)는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퍼프가 감지된 시점부터 퍼프 종료 시까지(즉, 퍼프 길이만큼) 진동부(13)를 동작시킬 수 있다. 퍼프 시에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2) 내로 기류가 유입됨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물품(2)의 가열이 가속화되고, 이로 인해 가열 요소(12)에 고착물이 형성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제어부(14)가 퍼프 조건에 기초하여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가령, 제어부(14)는 퍼프 강도에 기초하여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e.g. 퍼프 강도가 강해질수록 진동부(13)의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증가시킴). 다른 예로서, 제어부(14)는 퍼프 길이 또는 퍼프 간격에 기초하여 진동 속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e.g. 퍼프 길이가 길어지거나 퍼프 간격이 짧아질수록 진동 속도, 진동 기간 및/또는 진동 강도를 증가시킴).
지금까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부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따르면, 퍼프 조건에 기초하여 적절한 시점에 진동부(13)가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부(13)의 동작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령, 퍼프 조건에 기초하여 고착물 형성 확률이 높은 시점에 진동부(13)를 동작시킴으로써, 진동부(13)의 소비 전력이 감소됨과 고착물의 형성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개시가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하우징
12: 가열 요소
13: 진동부
14: 제어부
15: 배터리
2: 에어로졸 발생 물품
21: 필터부
22: 에어로졸 형성 기재부
221: 인접 영역
131: 홀더
132: 진동 본체

Claims (11)

  1.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가열 요소를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되,
    상기 상하 방향은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상기 가열 요소를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거나 트위스트 형태로 진동시키되,
    상기 좌우 방향은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요소가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흡연 종료 시점 또는 상기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거되는 도중에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열 시점에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요소의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판단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요소의 온도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 강도, 진동 기간 또는 진동 속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가 감지됨에 응답하여, 상기 진동부를 동작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퍼프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부의 진동 강도, 진동 기간 또는 진동 속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10075806A 2021-06-11 2021-06-11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3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06A KR102630398B1 (ko) 2021-06-11 2021-06-11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2280005905.0A CN116322396A (zh) 2021-06-11 2022-04-21 具有振动部的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3507629A JP2023537583A (ja) 2021-06-11 2022-04-21 振動部を具備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8/027,198 US20230371614A1 (en) 2021-06-11 2022-04-21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vibration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2/005750 WO2022260270A1 (ko) 2021-06-11 2022-04-21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2820399.8A EP4183276A4 (en) 2021-06-11 2022-04-21 AEROSOL GENERATION DEVICE HAVING VIBRATION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806A KR102630398B1 (ko) 2021-06-11 2021-06-11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927A KR20220166927A (ko) 2022-12-20
KR102630398B1 true KR102630398B1 (ko) 2024-01-29

Family

ID=84426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806A KR102630398B1 (ko) 2021-06-11 2021-06-11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1614A1 (ko)
EP (1) EP4183276A4 (ko)
JP (1) JP2023537583A (ko)
KR (1) KR102630398B1 (ko)
CN (1) CN116322396A (ko)
WO (1) WO20222602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590258U (zh) 2020-05-28 2021-02-2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单侧振荡组件的密封加热烟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550B2 (en) * 2003-01-30 2004-10-12 Philip Morris Usa Inc. Inductive cleaning system for removing condensates from electronic smoking systems
PL2782463T5 (pl) 2011-11-21 2022-09-05 Philip Morris Products S.A. Ekstraktor do urządzenia do wytwarzania aerozolu
US20170055580A1 (en) * 2015-08-31 2017-03-0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for heating smokable material
MX2018004861A (es) * 2015-11-02 2018-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un elemento vibratorio.
KR102487080B1 (ko) * 2016-12-16 2023-01-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BR112020000801A2 (pt) * 2017-08-09 2020-07-14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com camada susceptora
KR102447360B1 (ko) * 2018-04-25 2022-09-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2188837A (zh) * 2018-06-14 2021-01-05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具有热解催化材料的气溶胶生成装置
CN109222246A (zh) * 2018-09-30 2019-01-18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交互式电加热气雾生成***及其操作方法
CN213307430U (zh) * 2020-05-27 2021-06-01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多功能加热针的密封加热烟具
CN111728282B (zh) * 2020-05-29 2023-07-25 深圳葭南科技有限公司 一种蒸发器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590258U (zh) 2020-05-28 2021-02-26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单侧振荡组件的密封加热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0270A1 (ko) 2022-12-15
JP2023537583A (ja) 2023-09-04
EP4183276A4 (en) 2024-03-20
EP4183276A1 (en) 2023-05-24
US20230371614A1 (en) 2023-11-23
KR20220166927A (ko) 2022-12-20
CN116322396A (zh)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63B1 (ko) 퍼프 인식을 통한 적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31415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7701B1 (ko) 원뿔형 유도 코일을 갖는 유도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3868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JP6798062B2 (ja) パフ認識を介した適応的な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20079239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JP6912066B2 (ja) 微細粒子発生装置
JP6878685B2 (ja) 側面開口部を有する誘導ヒーター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102082948B1 (ko) 에어로졸 형성기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시스템
US11622582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KR20180085365A (ko) 가열 방식의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20200024313A (ko) 모듈형 유도 히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A115434C2 (uk) Спосіб і пристрій для очищення нагрівального елемента пристрою для утворення аерозолю
WO2020084776A1 (ja)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KR20230061439A (ko) 퍼프 빈도에 기초한 가열 프로파일을 갖는 흡연 장치
WO2020084775A1 (ja)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KR102630398B1 (ko) 진동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33112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그의 히터 제어 방법
JP2023531734A (ja) 吸煙検出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および吸煙検出方法
JP733126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RU280962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истки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EP4074201A1 (en) Induction heating-type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