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66B1 - 컨베이어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866B1
KR102628866B1 KR1020230090198A KR20230090198A KR102628866B1 KR 102628866 B1 KR102628866 B1 KR 102628866B1 KR 1020230090198 A KR1020230090198 A KR 1020230090198A KR 20230090198 A KR20230090198 A KR 20230090198A KR 102628866 B1 KR102628866 B1 KR 102628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bar
frames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원
Priority to KR102023009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들을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하는 제관공정(S10)과,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공정(S20)과, 상기 S20 단계 이후에 프레임들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공정(S30)과, 상기 S30 이후에 표면처리된 프레임들을 도장하는 도장공정(S40)과, 상기 S40 단계 이후에 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S50)을 포함하고, 상기 제관공정(S10) 및 용접공정(S20)을 통해 제작된 프레임의 치수를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검사장치를 통해 체크할 수 있는 컨베이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은 레일검사장치를 통해 조립상태의 컨베이어를 검사하기 때문에, 제작오차 및 조립오차를 한번에 측정 및 체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제작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시스템들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물건 또는 소재를 운반하는 기계적 장치(mechanical handling equipment)로서, 포드 자동차에 의해 1913년 최초로 도입되었고, 재료 운반 및 처리의 목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들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시스템들은 연속공정에서 부품들을 연속 또는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때 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77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293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55521호
본 발명은 초도 제작 컨베이어의 불량을 간편하게 감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어셈블리(200); 상기 로어어셈블리(200) 상측에 조립되는 어퍼어셈블리(300); 및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치수 및 조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레일검사장치(40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어어셈블리 및 어퍼어셈블리를 위한 프레임들을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하는 제관공정(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공정(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프레임들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공정(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표면처리된 프레임들을 도장하는 도장공정(S40)과, 상기 S40 단계 이후에 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S50);을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레일검사장치(400)가 조립된 상기 로어어셈블리 및 어퍼어셈블리를 따라 이동되면서 치수 및 조립 상태를 판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로어어셈블리(2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텀프레임(25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레프트프레임(21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라이트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어셈블리(300)는,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에 결합되는 레프트어퍼프레임(31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라이트프레임(220)들에 결합되는 라이트어퍼프레임(32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레프트탑프레임(33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라이트탑프레임(34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을 연결하는 미들프레임(37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레일프레임(381)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레일프레임(3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과,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과,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에 거치되는 제 1 롤러(430)와, 상기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에 거치되는 제 2 롤러(440)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전단을 연결하는 프론트연결바(461)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리어연결바(462)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프론트수직바(471)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프론트수직바(472)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수직바(473)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리어수직바(474)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1 리어수직바(473)를 연결하는 제 1 사이드연결바(48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 및 제 2 리어수직바(474)를 연결하는 제 2 사이드연결바(482)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연결바(491)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 및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연결바(4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지지부(45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지지부(452)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리어지지부(453)와, 상기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리어지지부(4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리어지지부(453)가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의 설치간격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프론트지지부(452) 및 제 2 리어지지부(454)가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의 설치간격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은 레일검사장치를 통해 조립상태의 컨베이어를 검사하기 때문에, 제작오차 및 조립오차를 한번에 측정 및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관 공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접 공정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방향에서 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레일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레일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관 공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용접 공정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방향에서 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레일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은, 프레임들을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하는 제관공정(S10)과,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공정(S20)과, 상기 S20 단계 이후에 프레임들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공정(S30)과, 상기 S30 이후에 표면처리된 프레임들을 도장하는 도장공정(S40)과, 상기 S40 단계 이후에 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S50)과, 상기 S50 단계에 후에 프레임들을 검사하는 검사공정(S60)을 포함한다.
상기 S20 단계의 용접공정을 통해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 중 일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S30 단계는 숏블래스팅이고, 상기 도장공정(S40) 전에 프레임들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샌드블래스팅 또는 연마 등의 공정이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S40 단계에서 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하기 이해 도장이 실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분체도장이 실시된다.
상기 S50 단계에서 분체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한다.
상기 S60 단계에서 제작된 프레임들을 수치 또는 표면처리 상태등을 확인한다.
상술한 컨베이어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프레임들을 조립하여 컨베이어의 프레임어셈블리(100)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어셈블리(200)과, 상기 로어어셈블리(200) 상측에 조립되는 어퍼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치수 및 조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레일검사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어어셈블리(200)는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로어어셈블리, 제 2 로어어셈블리, 제 3 로어어셈블리와 같이 접두어를 붙여 구분하겠다.
상기 로어어셈블리(2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텀프레임(25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레프트프레임(21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라이트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어셈블리(200)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술한 제 1 로어어셈블리(201), 제 2 로어어셈블리(202), 제 3 로어어셈블리(203), 제 4 로어어셈블리(204)의 넘버링에 따라 "제 1", 제 2", "제 3" 등의 접두어를 붙여 상세 구성을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로어어셈블리(201)는, 바닥에 지지되는 제 1 바텀프레임(251)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51)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로어레프트프레임(211)과, 상기 제 1 바텀프레임(251)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로어라이트프레임(2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로어어셈블리(202)는, 바닥에 지지되는 제 2 바텀프레임(25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52)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로어레프트프레임(212)과, 상기 제 2 바텀프레임(252)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로어라이트프레임(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로어어셈블리(203)는, 바닥에 지지되는 제 3 바텀프레임(253)과, 상기 제 3 바텀프레임(253)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로어레프트프레임(213)과, 상기 제 3 바텀프레임(253)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3 로어라이트프레임(2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로어어셈블리(204)는, 바닥에 지지되는 제 4 바텀프레임(254)과, 상기 제 4 바텀프레임(254)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4 로어레프트프레임(214)과, 상기 제 4 바텀프레임(254)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4 로어라이트프레임(224)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어셈블리(300)는,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에 결합되는 레프트어퍼프레임(31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라이트프레임(220)들에 결합되는 라이트어퍼프레임(32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레프트탑프레임(33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라이트탑프레임(34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을 연결하는 미들프레임(37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레일프레임(381)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레일프레임(38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이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이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 및 레프트탑프레임(330)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 및 라이트탑프레임(340)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은 제 1 레프트수직프레임(351), 제 2 레프트수직프레임(352), 제 3 레프트수직프레임(353), 제 4 레프트수직프레임(3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프트수직프레임(351), 제 2 레프트수직프레임(352), 제 3 레프트수직프레임(353) 및 제 4 레프트수직프레임(354)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은 제 1 라이트수직프레임(361), 제 2 라이트수직프레임(362), 제 3 라이트수직프레임(363), 제 4 라이트수직프레임(36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라이트수직프레임(361), 제 2 라이트수직프레임(362), 제 3 라이트수직프레임(363) 및 제 4 라이트수직프레임(364)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프레임(370)은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의 높이 중간 부분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프레임(370)은, 상기 제 1 레프트수직프레임(351) 및 제 1 라이트수직프레임(361)을 연결하는 제 1 미들프레임(371)과, 상기 제 2 레프트수직프레임(352) 및 제 2 라이트수직프레임(362)을 연결하는 제 2 미들프레임(372)과, 상기 제 3 레프트수직프레임(353) 및 제 3 라이트수직프레임(363)을 연결하는 제 3 미들프레임(373)과, 상기 제 4 레프트수직프레임(354) 및 제 4 라이트수직프레임(364)을 연결하는 제 4 미들프레임(37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미들프레임(371), 제 2 미들프레임(372), 제 3 미들프레임(373) 및 제 4 미들프레임(374)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 및 제 2 레일프레임(382)이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상기 로어어셈블리(200)를 통해 지지된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과,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과,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에 거치되는 제 1 롤러(430)와, 상기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에 거치되는 제 2 롤러(440)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전단을 연결하는 프론트연결바(461)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리어연결바(462)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프론트수직바(471)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프론트수직바(472)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수직바(473)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리어수직바(474)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1 리어수직바(473)를 연결하는 제 1 사이드연결바(48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 및 제 2 리어수직바(474)를 연결하는 제 2 사이드연결바(482)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연결바(491)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 및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연결바(49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이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의 외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 상기 제 1 롤러(4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외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 상기 제 2 롤러(44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430)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롤러(440)도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롤러(430)가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롤러(440)가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의 상측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지지부(45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지지부(452)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리어지지부(453)와, 상기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리어지지부(4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제 2 프론트지지부(452), 제 1 리어지지부(453) 및 제 2 리어지지부(454)의 돌출길이가 동일하다.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리어지지부(453)가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들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들의 설치간격 및 수직도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들이 수직하게 설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리어지지부(453)가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의 내측단과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의 불량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프론트지지부(452) 및 제 2 리어지지부(454)가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들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들의 설치간격 및 수직도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들이 수직하게 설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제 2 프론트지지부(452) 및 제 2 리어지지부(454)가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의 내측단과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의 불량을 체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프론트지지부(452)의 간격 보다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의 간격이 좁게 설치된 경우, 레일검사장치(4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간섭 또는 걸림을 유발시키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의 좌측단(493)이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의 우측단(494)이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어퍼연결바(492)의 좌측단(495)이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어퍼연결바(492)의 우측단(496)이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를 이동시켜 상기 좌측단(493)(495) 또는 우측단(494)(496)이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 또는 라이트탑프레임(340)과 접촉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불량을 체크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레일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제작방법은, 프레임들을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하는 제관공정(S110)과,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공정(S120)과,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프레임들을 가조립하는 가조립공정(S130)과, 상기 S130 단계 이후에 상기 가조립된 프레임들을 검사하는 검사공정(S140)과, 상기 S14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들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공정(S150)과, 상기 S150 이후에 표면처리된 프레임들을 도장하는 도장공정(S160)과, 상기 S160 단계 이후에 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S170)을 포함한다.
상기 가조립공정(S130)에서 최종 조립 전에 프레임들을 가조립하고, 이후 실시되는 S140 단계에서 레일검사장치를 통해 가공오차 또는 불량을 찾을 수 있다.
상기 가조립공정(S130) 및 검사공정(S140)을 먼저 실시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도장공정(S160)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과,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과,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에 거치되는 제 1 롤러(430)와, 상기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에 거치되는 제 2 롤러(440)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전단을 연결하는 프론트연결바(461)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리어연결바(462)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프론트수직바(471)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프론트수직바(472)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수직바(473)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리어수직바(474)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1 리어수직바(473)를 연결하는 제 1 사이드연결바(48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 및 제 2 리어수직바(474)를 연결하는 제 2 사이드연결바(482)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연결바(491)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 및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연결바(492)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지지부(45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지지부(452)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리어지지부(453)와, 상기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리어지지부(454)와,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에 배치되고,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을 감지하는 제 1 사이드감지부(501)와, 상기 제 2 프론트지지부(452)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을 감지하는 제 2 사이드감지부(502)와, 상기 제 1 리어지지부(453)에 배치되고,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을 감지하는 제 3 사이드감지부(503)와, 상기 제 2 리어지지부(454)에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을 감지하는 제 4 사이드감지부(504)와, 상기 제 1 사이드감지부(501) 및 제 3 사이드감지부(503)에서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510)와, 상기 제 2 사이드감지부(502) 및 제 4 사이드감지부(504)에서 감지된 값을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사이드감지부(501), 제 3 사이드감지부(503), 제 2 사이드감지부(502) 및 제 4 사이드감지부(504)는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사이드감지부(501) 및 제 3 사이드감지부(503)가 좌측 방향으로 음파를 방출하고 반사된 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감지부(502) 및 제 4 사이드감지부(504)가 우측 방향으로 음파를 방출하고 반사된 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제 1 사이드감지부(501) 및 제 3 사이드감지부(503)가 좌측에 배치된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의 간격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사이드감지부(502) 및 제 4 사이드감지부(504)가 우측에 배치된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의 간격을 감지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프론트지지부(452)의 간격을 통해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의 간격이 좁은 경우만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사이드감지부(501) 및 제 3 사이드감지부(503)를 통해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의 간격이 유효설치거리와 비교할 때, 좁은지 또는 넓은지를 수치화하여 확인할 수 있고, 감지된 거리값이 제 1 디스플레이(510)에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사이드감지부(502) 및 제 4 사이드감지부(504)를 통해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의 간격이 유효설치거리와 비교할 때, 좁은지 또는 넓은지를 수치화하여 확인할 수 있고, 감지된 거리값이 제 2 디스플레이(520)에 표시된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510)는 좌우로 분할된 제 1-1 영역(511) 및 제 1-2 영역(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영역(511)에 제 1 사이드감지부(501)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표시하고, 상기 제 1-2 영역에 제 3 사이드감지부(503)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표시된다.
상기 제 1 사이드감지부(501)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1 영역(511)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사이드감지부(503)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2 영역(512)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520)는 좌우로 분할된 제 2-1 영역(521) 및 제 2-2 영역(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1 영역(521)에 제 2 사이드감지부(502)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표시하고, 상기 제 2-2 영역에 제 4 사이드감지부(504)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표시된다.
상기 제 2 사이드감지부(502)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1 영역(521)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사이드감지부(504)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2 영역(522)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의 좌측단(493)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1 높이감지부(505)와,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의 우측단(494)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2 높이감지부(506)와, 상기 제 2 어퍼연결바(492)의 좌측단(495)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3 높이감지부(507)와, 상기 제 2 어퍼연결바(492)의 우측단(496) 저면에 배치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 4 높이감지부(50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높이감지부(505), 제 2 높이감지부(506), 제 3 높이감지부(507) 및 제 4 높이감지부(508)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높이감지부(505), 제 2 높이감지부(506), 제 3 높이감지부(507) 및 제 4 높이감지부(508)가 하측을 향해 음파를 발사하고, 반사된 음파를 수신하여 거리를 감지한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가 이동될 때, 상기 제 1 높이감지부(505) 및 제 3 높이감지부(507)가 상기 레프트탑프레임(330)과의 감지하고, 상기 제 1-1 영역(511)에 상기 제 1 높이감지부(505)에서 감지된 값이 표시되고, 상기 제 1-2 영역(512)에 상기 제 3 높이감지부(507)에서 감지된 값이 표시된다.
상기 제 1 높이감지부(505) 및 제 3 높이감지부(507)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1 영역(511) 및 제 1-2 영역(512)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레일검사장치(400)가 이동될 때, 상기 제 2 높이감지부(506) 및 제 4 높이감지부(508)가 상기 라이트탑프레임(340)과의 감지하고, 상기 제 2-1 영역(521)에 상기 제 2 높이감지부(506)에서 감지된 값이 표시되고, 상기 제 2-2 영역(522)에 상기 제 4 높이감지부(508)에서 감지된 값이 표시된다.
상기 제 2 높이감지부(506) 및 제 4 높이감지부(508)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유효설치거리보다 작거나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1 영역(521) 및 제 2-2 영역(522)의 백라이트색을 변경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치불량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는 레일검사장치(400)의 이동을 통해 오차가 발생된 위치 및 오차발생값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일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검사장치(400)는 좌우 폭이 다른 컨베이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어셈블리(600)가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 제 2 어퍼연결바(492), 프론트연결바(461) 및 리어연결바(462)가 좌우로 분리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어퍼연결바(491)는 좌측에 배치된 제 1-1 어퍼연결바(491a)와, 우측에 배치된 제 1-2 어퍼연결바(491b)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 또는 제 1-2 어퍼연결바(491b)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 1 슬라이더(610)와,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 또는 제 1-2 어퍼연결바(491b)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더(61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드홈(650)과, 상기 제 1 슬라이더(6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더(6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 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슬라이더관통홀들과,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 또는 제 1-2 어퍼연결바(491b) 중 나머지 하나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홈(650)과 연통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드홈(65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 2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홈관통홀들과, 상기 슬라이더관통홀 및 홈관통홀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 및 제 1-2 어퍼연결바(491b)를 고정시키는 고정핀(6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에 제 1 슬라이드홈(65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홈(650)이 우측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 1 슬라이더(610)는 상기 제 1-2 어퍼연결바(491b)의 좌측단에서 우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홈(65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더관통홀들은 제 1-1 슬라이더관통홀(631), 제 1-2 슬라이더관통홀(632), 제 1-3 슬라이더관통홀(633) 및 제 1-4 슬라이더관통홀(6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슬라이더관통홀(631), 제 1-2 슬라이더관통홀(632), 제 1-3 슬라이더관통홀(633) 및 제 1-4 슬라이더관통홀(634)이 각각 제 1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관통홀들은 제 1-1 홈관통홀(641), 제 1-2 홈관통홀(642) 및 제 1-3 홈관통홀(6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홈관통홀(641), 제 1-2 홈관통홀(642) 및 제 1-3 홈관통홀(643)이 각각 제 2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간격 및 제 2 간격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간격 및 제 2 간격을 조합하여 상기 레일검사장치(400)의 좌우 폭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620)이 상기 제 1-1 슬라이더관통홀(631), 제 1-2 슬라이더관통홀(632), 제 1-3 슬라이더관통홀(633) 또는 제 1-4 슬라이더관통홀(63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1 홈관통홀(641), 제 1-2 홈관통홀(642) 또는 제 1-3 홈관통홀(643)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체결조립된다.
상기 제 2 어퍼연결바(492)는 좌측에 배치된 제 2-1 어퍼연결바(492a)와, 우측에 배치된 제 2-2 어퍼연결바(492b)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연결바(461)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프론트연결바(461a)와, 우측에 배치된 제 2 프론트연결바(461b)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연결바(462)는 좌측에 배치된 제 1 리어연결바(462a)와, 우측에 배치된 제 2 리어연결바(462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제 1-1 어퍼연결바(491a) 및 제 1-2 어퍼연결바(491b)에 배치되는 제 1 간격조절어셈블리(601)와, 상기 제 1 프론트연결바(461a) 및 제 2 프론트연결바(461b)에 배치되는 제 2 간격조절어셈블리(602)와, 상기 제 2-1 어퍼연결바(492a) 및 제 2-2 어퍼연결바(492b)에 배치되는 제 3 간격조절어셈블리(603)와, 상기 제 1 리어연결바(462a) 및 제 2 리어연결바(462b)에 배치되는 제 4 간격조절어셈블리(60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간격조절어셈블리(601) 및 제 2 간격조절어셈블리(60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3 간격조절어셈블리(603) 및 제 4 간격조절어셈블리(604)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간격조절어셈블리(602), 제 3 간격조절어셈블리(603) 및 제 4 간격조절어셈블리(604)의 구성이 상술한 제 1 간격조절어셈블리(601)의 구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프레임어셈블리 200 : 로어어셈블리
210 : 로어레프트프레임 220 : 로어라이트프레임
250 : 바텀프레임 300 : 어퍼어셈블리
310 : 레프트어퍼프레임 320 : 라이트어퍼프레임
330 : 레프트탑프레임 340 : 라이트탑프레임
350 : 레프트수직프레임 360 : 라이트수직프레임
370 : 미들프레임 381 : 제 1 레일프레임
382 : 제 2 레일프레임 400 : 레일검사장치
410 : 제 1 레일검사프레임 420 : 제 2 레일검사프레임
430 : 제 1 롤러 440 : 제 2 롤러
451 : 제 1 프론트지지부 452 : 제 2 프론트지지부
453 : 제 1 리어지지부 454 : 제 2 리어지지부
461 : 프론트연결바 462 : 리어연결바
471 : 제 1 프론트수직바 472 : 제 2 프론트수직바
473 : 제 1 리어수직바 474 : 제 2 리어수직바
481 : 제 1 사이드연결바 482 : 제 2 사이드연결바
491 : 제 1 어퍼연결바 492 : 제 2 어퍼연결바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는 로어어셈블리(200); 상기 로어어셈블리(200) 상측에 조립되는 어퍼어셈블리(300); 및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어퍼어셈블리(300)의 치수 및 조립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레일검사장치(40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어어셈블리 및 어퍼어셈블리를 위한 프레임들을 설계된 치수에 따라 절단 또는 절곡하는 제관공정(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절단 또는 절곡된 프레임들을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용접공정(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프레임들의 표면을 가공하는 표면처리공정(S30);
    상기 S30 단계 이후에 표면처리된 프레임들을 도장하는 도장공정(S40)과, 상기 S40 단계 이후에 도장된 프레임들을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S50);을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상기 레일검사장치(400)가 조립된 상기 로어어셈블리 및 어퍼어셈블리를 따라 이동되면서 치수 및 조립 상태를 판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어셈블리(200)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텀프레임(25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좌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레프트프레임(210)과, 상기 바텀프레임(250)의 우측단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로어라이트프레임(220)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퍼어셈블리(300)는,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에 결합되는 레프트어퍼프레임(31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로어라이트프레임(220)들에 결합되는 라이트어퍼프레임(32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레프트탑프레임(330)과, 복수개의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들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라이트탑프레임(34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레프트어퍼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이트어퍼프레임(3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열되는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 및 라이트수직프레임(360)을 연결하는 미들프레임(370)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레일프레임(381)과, 상기 로어레프트프레임(210) 및 로어라이트프레임(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프레임(37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레일프레임(382)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과,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과,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프레임(381)에 거치되는 제 1 롤러(430)와, 상기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프레임(382)에 거치되는 제 2 롤러(440)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전단을 연결하는 프론트연결바(461)와, 상기 제 1 레일검사프레임(410) 및 제 2 레일검사프레임(420)의 후단을 연결하는 리어연결바(462)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프론트수직바(471)와, 상기 프론트연결바(461)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프론트수직바(472)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좌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리어수직바(473)와, 상기 리어연결바(462)의 우측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리어수직바(474)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1 리어수직바(473)를 연결하는 제 1 사이드연결바(48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 및 제 2 리어수직바(474)를 연결하는 제 2 사이드연결바(482)와,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 및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1 어퍼연결바(491)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 및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어퍼연결바(492)를 포함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일검사장치(400)는,
    상기 제 1 프론트수직바(471)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지지부(451)와, 상기 제 2 프론트수직바(472)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지지부(452)와, 상기 제 1 리어수직바(473)의 좌측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리어지지부(453)와, 상기 제 2 리어수직바(474)의 우측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2 리어지지부(4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론트지지부(451) 및 제 2 리어지지부(453)가 상기 레프트수직프레임(350)과의 설치간격을 감지하고,
    상기 제 2 프론트지지부(452) 및 제 2 리어지지부(454)가 상기 라이트수직프레임(360)과의 설치간격을 감지하는 컨베이어의 제작방법.
KR1020230090198A 2023-07-12 2023-07-12 컨베이어 제작방법 KR102628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198A KR102628866B1 (ko) 2023-07-12 2023-07-12 컨베이어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198A KR102628866B1 (ko) 2023-07-12 2023-07-12 컨베이어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866B1 true KR102628866B1 (ko) 2024-01-24

Family

ID=8971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198A KR102628866B1 (ko) 2023-07-12 2023-07-12 컨베이어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019B1 (ko) * 1995-11-17 1998-04-23 전성원 검사기능을 갖춘 부품조립용 지그
KR101537711B1 (ko) 2014-01-13 2015-07-20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9358B1 (ko) 2013-08-22 2018-02-19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컨베이어 벨트를 전기 폴리싱 및 전기 도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55521B1 (ko) 2019-04-08 2019-12-12 나윤권 2단 컨베이어를 이용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019B1 (ko) * 1995-11-17 1998-04-23 전성원 검사기능을 갖춘 부품조립용 지그
KR101829358B1 (ko) 2013-08-22 2018-02-19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컨베이어 벨트를 전기 폴리싱 및 전기 도금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37711B1 (ko) 2014-01-13 2015-07-20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5521B1 (ko) 2019-04-08 2019-12-12 나윤권 2단 컨베이어를 이용한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pallet
US10968956B2 (en) Method for diagnosing state of rolling guide device
US96386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ing a surface of an object under adverse external condition
KR102628866B1 (ko) 컨베이어 제작방법
US80284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printed circuit boards with contact pins
EP2444320A3 (de) Frachtladesystem und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Bewegung eines Frachtstücks auf einem Frachtdeck
KR101451549B1 (ko) 회로 패턴 검사 장치
US10088339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edges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other objects using multiple sensors
JP5726666B2 (ja) 基板停止装置
JP6883969B2 (ja) 圧延材の疵検出システム
KR101516642B1 (ko) 투헤드 타입 재료 두께측정 및 fpcb 이중가접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KR20080005094U (ko) 수송 장치의 검지 구조
US8176792B2 (e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ng method
JP7376793B2 (ja) 検査用ワーク回転装置、当該検査用ワーク回転装置を備えるワーク検査装置、当該ワーク検査装置を用いるワーク検査方法
JP5149058B2 (ja) 木材の寸法検査装置
KR101516641B1 (ko) 원헤드 타입 재료 두께측정 및 이중가접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KR20170000122U (ko) 용접 전극 검사장치
KR20160085740A (ko) 결함 검출 능력을 향상시킨 인라인 스테이지
JP5349927B2 (ja) 異径スプリングの内径検査装置及び方向性統一装置
KR200377860Y1 (ko) 파레트 정도 검사장치 및 그 측정부재
EP1460411B1 (de) Prüfeinrichtung für Brems- und Kupplungsbeläge
KR100784027B1 (ko) 벨트 콘베이어 상의 철편검출기의 감도 테스트장치
KR101714879B1 (ko) 도유량 측정장치 및, 도유량 측정방법
JP5022133B2 (ja) 擬似破損パレット
JP3499337B2 (ja) 物品運搬用木製品の腐りおよび欠損検査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