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106B1 -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 Google Patents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106B1
KR102628106B1 KR1020220160562A KR20220160562A KR102628106B1 KR 102628106 B1 KR102628106 B1 KR 102628106B1 KR 1020220160562 A KR1020220160562 A KR 1020220160562A KR 20220160562 A KR20220160562 A KR 20220160562A KR 102628106 B1 KR102628106 B1 KR 102628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concentration
sensor
hazard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디티
Priority to KR102022016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1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을 포함하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이 있는 고위험 작업공간에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된 비콘을 통하여 작업자가 지니고 있는 감지기의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각 감지기에서 센싱한 유해화학물질이 임계치에 도달할 경우 해당 작업자 및 모니터링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자는 해당 작업자의 신상정보 및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빠르고 정확한 사고대응이 가능한,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azard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It include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is equipped with a beac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laces in a high-risk workspace with a risk of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carried by the worker can be derived, and when the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each detector reaches the threshold, a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work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provides the worker's personal information. This relates to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azardous chemical leaks and enable quick and accurate accident response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evant worker.

Description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을 포함하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이 있는 고위험 작업공간에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된 비콘을 통하여 작업자가 지니고 있는 감지기의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각 감지기에서 센싱한 유해화학물질이 임계치에 도달할 경우 해당 작업자 및 모니터링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자는 해당 작업자의 신상정보 및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빠르고 정확한 사고대응이 가능한,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azard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It include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is equipped with a beac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laces in a high-risk workspace with a risk of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carried by the worker can be derived, and when the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each detector reaches the threshold, a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work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provides the worker's personal information. This relates to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azardous chemical leaks and enable quick and accurate accident response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evant worker.

화학 공장이 밀집된 국가산업단지의 산업 설비들의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배관, 밸브, 플랜지 등에서 누출 및 유출, 화재, 악취 발생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유해 가스)와 관련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The aging of industrial facilities in national industrial complexes where chemical plants are concentrated is progressing, and as a result, accidents related to hazardous chemicals (hazardous gases), such as leaks and spills, fires, and odors from pipes, valves, flanges, etc., frequently occur. .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 등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2022년 현재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관련 사고는 누적 670여 건에 이른다. 누출사고 주요 물질로는 암모니아, 염산, 질산, 황산 등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Accidents such as fires, explosions, and leaks caused by chemicals occur in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as of 2022, according to the Chemical Substances Information System, there are a cumulative 670 related accidents in Korea. The most common substances in leak accidents were ammonia, hydrochloric acid, nitric acid, and sulfuric acid, in that order.

안전보건공단에서 발행한 "화학 공장의 사고사례를 활용한 정상 및 비정상 작업 시의 화재폭발 원인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서 화학사고 재해자 수는 2008년 1,447명에서 2017년 688명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나, 화학물질 누출 및 접촉에 의한 재해자 수는 상대적으로 그 감소 폭이 작아졌으며 전체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Causes of Fire and Explosion During Normal and Abnormal Work Using Accident Cases at Chemical Plants” publish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he number of chemical accident victims in all industries in Korea decreased by less than half from 1,447 in 2008 to 688 in 2017. However, the number of casualties caused by chemical leaks and contact has shown a relatively small decline, and the overall proportion tends to increase.

한편, 화재, 폭발 사고 1명당 사망자는 화학제품제조업이 1.33명, 선박 건조 및 수리업이 1.56명, 기계 기구제조업이 1.1명으로 작업 공간과 작업 환경 등에 따라 그 피해규모가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고, 같은 산업이라도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계, 기구, 설비별로 사고 분포가 다르게 보고되었다. 즉, 기존의 유해화학물질 혹은 유해가스 등의 임계치는 사람이 직접 흡입하거나 접촉하는 양에 따라 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위와 같이, 작업장에 따른 별도의 기준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Meanwhile, the number of deaths per fire or explosion accident was 1.33 in the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1.56 in the ship building and repair industry, and 1.1 in the machinery manufacturing industry. The scale of damage was reported to vary depending on the work space and work environment, etc. Even so, the distribution of accidents was repor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achines, instruments, and equipment used at the site. In other words, the existing threshold for hazardous chemicals or harmful gases is generally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that a person directly inhales or comes into contact with, but as above, separate standard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workplace.

이와 관련하여, 화학물질누출을 모니터링하는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4634호와 같이, 복수의 IoT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의 누출에 따른 신속한 유해화학물질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예방하는 기술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장별로 각기 다른 환경을 고려한 별도의 임계치에 대해서는 시사하는 바가 없으며, 사용자가 감지기를 지니고 있지 않아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화학물질의 양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regard, the conventional technology for monitoring chemical leaks, such a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44634, utilizes multiple IoT devices to effectively prevent the rapid spread of hazardous chemicals due to leaks. There are technologies to prevent damage to people and facilit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suggestion about a separate threshold considering the different environments for each workplace, and it is difficult to measure the amount of chemicals to which the user is actually exposed because the user does not have a detector. There are problems, and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4634호 (2021.04.20.)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44634 (2021.04.20.)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을 포함하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이 있는 고위험 작업공간에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된 비콘을 통하여 작업자가 지니고 있는 감지기의 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각 감지기에서 센싱한 유해화학물질이 임계치에 도달할 경우 해당 작업자 및 모니터링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고, 상기 모니터링 관리자는 해당 작업자의 신상정보 및 해당 작업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빠르고 정확한 사고대응이 가능한,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azard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It include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is equipped with a beac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workplaces in a high-risk workspace with a risk of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carried by the worker can be derived, and when the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each detector reaches the threshold, a warning alarm is provided to the work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provides the worker's personal inform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azardous chemical leaks and enable quick and accurate accident response based 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levant worker.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되고, 기입력된 작업장별 작업장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1주기마다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작업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휴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작업자 주변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고, 내장된 BLE스캐너를 이용하여 복수의 비콘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해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특정 기간동안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감지기; 상기 비콘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장 및 복수의 작업자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감지기 및 상기 관제서버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고, 고정식 유해가스센서를 포함하여 인근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which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is pre-entered for each workplace. A beacon that broadcast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t a preset first cycle; It has a sh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is portable, sense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round the worker, and uses a built-in BLE scanner to select one according to preset rules for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from multiple beacons. And,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and visual and auditory notifications are provided to the worker based on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sensed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apable detector; a control server that monitor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a plurality of worker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and the sensor; and a repeater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or and the control server and senses the concentration of nearby hazardous chemicals, including a fixed hazardous gas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상기 작업자 인근의 복수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센싱하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정형화한 수치를 도출하는 움직임센서; 상기 감지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비콘으로부터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기로 유해화학물질농도, 움직임정형화수치, 감지기위치정보, 온습도정보, 및 배터리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장의 위험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에서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의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센싱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전달할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include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hazardous chemicals near the worker at preset intervals; A motion sensor that senses the worker's movement and derives a standardized value of the worker's movement;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is locate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and transmits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movement standardization valu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battery information to the repeater; And the level of risk of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nd when a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is sensed at the worker's location. ,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leak warning alarm to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는 위치파악부;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하는 누출판단부;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1리포팅부;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2주기보다 짧은 제3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2리포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der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 leak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 first reporting unit that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an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 preset second cycle;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ion an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 third cycle tha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econd cycle. It may include a second repor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비콘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출한 RSSI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감지기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이상인 경우, 가장 큰 RSSI값에 상응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감지기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미만인 경우, 소정의 횟수만큼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재수신한 뒤, 재수신한 결과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deriv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SSI value derived by receiving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beacon, and the detector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preset standard,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RSSI value, and the detector provid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re re-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re-reception results.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1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1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generates a concentration profile over time based on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nd a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preset first period. is derived, and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integration standard value, a leak warning alarm can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보다 긴 제2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2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derives a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second period longer than the preset first period,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If it is higher than the set second integration standard, a leak warning alarm can be deliver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기설정된 피크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generates a concentration profile over time based on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nd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hat recorded the highest value during the preset first period is the preset peak reference value. In the case of the above, a leak warning alarm can be deliver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기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도출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고, 기설정된 제3기간 이후 상기 감지기는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다시 송신하고,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한 관제서버는, 첫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와 두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해당 작업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및 해당 작업장정보를 고려한 작업장별 기준치를 상기 감지기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작업장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transmit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to the control server, and after a preset third period, the detector transmit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It is transmitted back to the control server, and the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f the first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hazardous chemical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workplace and the corresponding workplace information are sent back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sidered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is transmitted to the sensor, and if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the detector can transmit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제서버는,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의 수가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는 해당 작업장의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rece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ensor, determines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and, if the number of workers is less than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the worker and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manager, and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workpl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직접 몸에 지니고 있는 감지기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어, 작업자가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can be sensed through a sensor worn by the worker directly on the body, which has the effect of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o which the worker is actually expos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휴대하는 감지기는, 작업장별로 구비되어 해당 작업장의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관제서버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carried by the worker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eacon provided for each workplace and broadcas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thereby enabling the control server to determine the worker's location in real time. can be demonst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휴대용 감지기가 방폭 문제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만 가능하여 넓은 공장 혹은 작업장에서는 모니터링이 어려웠으나, 통신 중계기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공장 혹은 작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작업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ing in large factories or workshops was difficult because conventional portable detectors only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due to explosion-proof issues. However, by using a communication repeater, workers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even in large factories or workshops. It can be effecti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되는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순간 임계치와 누적 노출량을 모두 고려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generating a warning alarm by considering both the instantaneous threshold value and the cumulative exposure amount for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기뿐만 아니라 중계기에도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없는 구역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한 뒤 위험구역을 판단하고 위험구역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작업자가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etector but also the repeater is equipped with a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in the area without workers is sensed, the hazardous area is determined, and information about the hazardous area is transmitted to the worker. This can be effective in preventing workers from being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장별로 구비되는 비콘에도 이동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장 별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사고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provided for each workplace is also equipped with a mobil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leaking from each workplace can be sensed, and the diffusion path of hazardous chemicals can be tracked through this. This allows you to respond to incidents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작업자의 위치 및 각 작업장에서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어, 안전 사고 발생 시, 안전관리자는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사고 대응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 규모를 감소시키고,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worker can be known in real time, and the worker's loc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each workplace can be sensed, so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the safety manager can respon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By responding, the accident response time can be reduced,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scale of the accident and minimizing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에서 감지기가 위치하는 작업장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 내부의 제1리포팅부 및 제2리포팅부가 동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가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감지기가 제1농도적분값 및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가 도출한 제1 내지 제2농도적분값에 기초하여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감지기가 피크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사고유무를 판단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장별 기준치를 해당 감지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장별 권장 인원수를 점검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가 없는 구역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센싱되었을 때, 위험구역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서 센싱되는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작업장별 누출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대피할 대피경로를 작업장별 누출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workplace where the sensor is located in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reporting unit and the second reporting unit inside th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by a sensor to deriv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by which the sensor derives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for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generating a leak warning alarm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s derived by th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a detector derives peak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nd generates a leak warning alarm based on th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worker has an accident throug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to the corresponding sensor based on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schematically shows the execution steps of checking the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for each workplace based 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of generating hazardous area information and providing this information to workers when hazardous chemicals are sensed in an area without wor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leakage sum score for each workplac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work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deriving an evacuation route for workers to evacuate when an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eak sum score for each workplace.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exampl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tilized, and the written descriptio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dditionally,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4000)에서 감지기(1000)가 위치하는 작업장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hows the location of the detector 1000 in the control server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workplace is schematically show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되고, 기입력된 작업장별 작업장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1주기마다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2000); 작업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휴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작업자 주변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고, 내장된 BLE스캐너를 이용하여 복수의 비콘(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해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특정 기간동안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감지기(1000); 상기 비콘(2000) 및 상기 감지기(10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장 및 복수의 작업자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4000); 및 상기 감지기(1000) 및 상기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고, 고정식 유해가스센서를 포함하여 인근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는 중계기(30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is a hazard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due to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and is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stores the pre-enter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workplace in a preset location. A beacon (2000) broadcasting every first cycle; It has a sh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is portable, sense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round the worker, and uses a built-in BLE scanner to broadcast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multiple beacons (2000) according to preset rules. Select one, derive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nd visually and audibly notify the worker based on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sensed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detector (1000) capable of providing; A control server (4000) that monitor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a plurality of workers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2000) and the detector (1000); and a repeater 3000 tha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or 1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and senses the concentration of nearby hazardous chemicals, including a fixed hazardous gas sensor.

개략적으로, 도 1의 (a)는 하나의 감지기(1000)에 대해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는 감지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복수의 중계기(3000)를 통해 복수의 작업공간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누출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다.Schematically, Figure 1 (a) shows an example of a detection system that sense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for one detector 1000, and Figure 1 (b) shows a plurality of sensors through a plurality of repeaters 3000. An example of a system that monitors the leakage of hazardous chemicals in a workspace is shown.

구체적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제1비콘(2000.1), 제2비콘(2000.2), 및 제3비콘(2000.3)은, 도 2를 참고하여 각기 다른 작업장에 구비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비콘(2000)은 배터리로 작동하여, 작업장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구비된 작업장의 위치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1주기마다 브로드캐스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비콘(2000)은 해당 작업장 면적에 따라 BLE Long Range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장 면적이 넓은 경우, 하나의 작업장에 2 이상의 비콘(2000)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제2작업장이 너무 넓어 2개의 비콘(20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2개의 비콘(2000) 각각은 제2작업장a 및 제2작업장b와 같이 구분된 형태의 작업장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beacon (2000.1), the second beacon (2000.2), and the third beacon (2000.3) shown in (a) of FIG. 1 are provided in different workplaces with reference to FIG. 2. More specifically, the beacon 2000 operates on a battery, can be used by attaching it to a workplace, and broadcasts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equipped with the beacon and its ow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very preset first cycle. Cas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2000 may operate in BLE Long Range mode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relevant workplace.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rea of the workplace is large, two or more beacons are installed in one workplace. A beacon 2000 may be provided. If the second workshop shown in FIG. 2 is too wide and is provided with two beacons (2000), each of the two beacons (2000) is a separate workplace location such as a second workshop a and a second workshop b. Information can be broadcast.

또한, 상기 비콘(2000)은 온도센서 및 LoRa트랜시버(LoRa Transceiver)를 포함하며, 자신의 배터리 상태와 해당 작업장의 온도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주기는 하루에 1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계자에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비콘정보는 LoRa통신방식으로 관제서버(40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중계기(3000)를 거쳐 관제서버(400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비콘정보는 상기 비콘(2000) 내에 구비되는 비콘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비콘제어부는 1 이상의 메모리 및 1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eacon 20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a LoRa transceiver, and can transmit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its battery status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levant workplace to the control server 4000 at regular intervals. It is desirable to set the above schedule cycle to once a day, but this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hanged as much as desired depending on the designer's intention. The beac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LoRa communication, and preferably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repeater 3000. The beac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 beaco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beacon 2000, and the beacon control unit includes one or more memories and one or more processors.

감지기(1000)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 움직임센서(1220) 및 온습도센서(1230)를 포함하고,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혹은 작업장비에 부착될 수 있는 형상 및 부재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감지기(100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가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기(1000)는 비콘(2000)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감지기(1000)가 위치하는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감지기(1000)는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 복수의 센서를 통해 센싱한 센싱정보, 및 상기 감지기(1000)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정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The sensor 1000 include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 motion sensor 1220, and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30, and has a shape and member that can be carried by a worker or attached to work equipment.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detector 1000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o which the worker carrying the detector 1000 is actually exposed. Additionally, the detector 1000 can receiv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from the beacon 2000 and deriv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detector 1000 is located. The detector 1000 transmits its own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sens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and operator information carrying the detector 1000 to the control server 4000 at preset intervals.

한편, 비콘(2000)은 작업장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감지기(10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비콘(2000)으로부터 복수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지기(1000)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한 복수의 작업장위치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한다. 도 1의 (a)의 도시된 점선은 제1비콘(2000.1) 및 제2비콘(2000.2)이 작업장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을 의미하고, 도 1의 (a)에 도시된 실선은 감지기(1000)가 제3비콘(2000.3)에서 보내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한 것을 의미한다.Meanwhile, because the beacon 2000 broadcasts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he detector 1000 can receive a plurality of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beacons 2000, as shown in (a) of FIG. 1. there is. At this time, the detector 1000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a preset rule and derive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he dotted line shown in (a) of FIG. 1 means that the first beacon (2000.1) and the second beacon (2000.2) broadcast work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olid line shown in (a) of FIG. 1 means that the detector (1000) ) means that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3rd beacon (2000.3) has been selected.

더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작업자가 제3작업장에서 작업하고 있는 경우,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기설정된 규칙을 통해 자신과 가장 가까이 있는 비콘(2000)을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3비콘(2000.3)에서 송신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한다. 이후 상기 감지기(1000)는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중계기(3000)를 통해 관제서버(4000)로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상기 기설정된 규칙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2, when a worker is working in a third workplace, the sensor 1000 can determine the beacon 2000 closest to the worker through the preset rule, and as a result Select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hird beacon (2000.3) to derive your ow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fterwards, the sensor 1000 periodically transmits it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repeater 3000.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t rules will be provid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5.

중계기(3000)는 감지기(1000)와 관제서버(4000) 혹은 비콘(2000)과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3000)와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중계기(3000)는 감지기(1000), 비콘(2000), 및 관제서버(4000)와 LoRa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LoRa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더넷트랜시버(Ethernet Transceiv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3000)는, 바람직하게는, 사고 혹은 재난 발생에 대응하기 위하여, 10대 이상의 동시 수용 능력을 갖추고, 재난 대응 무선 채널을 빠르게 할당하고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3000)는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중계기(3000) 인근에서 누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는 복수의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The repeater 3000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or 1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or the beacon 2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3000 and the control server ( 4000) can relay communications. The repeater 3000 includes a detector 1000, a beacon 2000, and a LoRa transceiver for performing LoR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server 4000, and further includes an Ethernet transceiv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The repeater 3000 preferably has a simultaneous capacity of 10 or more units to respond to an accident or disaster, and can quickly allocate and switch disaster response wireless channels. In addition, the repeater 3000 can further include a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hereby detecting hazardous chemicals leaking from the vicinity of the repeater 3000. The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can sense the concentration of multiple type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중계기(3000)는 미세먼지센서를 더 포함함으로써, 중계기(3000) 인근의 흄 혹은 분진으로 인한 사고에 대응할 수 있으며, 내압 방폭 구조를 가져, 유해화학물질 누출 등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감지기(1000)와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3000)는 배터리로 동작 가능하며, 유사 시에 대비한 예비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3000 can respond to accidents caused by fume or dust near the repeater 3000 by further including a fine dust sensor, and has a pressure-resistant explosion-proof structure to protect against hazardous chemicals. Even when an accident such as a leak occurs, communication relay between the detector 1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can be performed. The repeater 3000 can operate on a battery and may further include a spare battery for emergency situations.

상기 중계기(3000)는 LoRa통신을 통해 상기 감지기(1000)에서 송신한 정보 및 상기 비콘(2000)에서 송신한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중계기(3000)를 통해 큰 규모의 작업장에서도 상기 감지기(1000) 혹은 상기 비콘(2000)에서 감지한 유해화학물질을 빠르게 관제서버(4000)로 전송할 수 있고, 관제서버(4000)에서는 복수의 작업장 전체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repeater 300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1000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2000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LoRa communication, and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2000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LoRa communication. Even in the workplace, hazardous chemicals detected by the detector (1000) or the beacon (2000) can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can efficiently monitor all multiple workplaces. can be demonstrated.

관제서버(4000)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계기(3000)를 통해 복수의 감지기(1000)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b)는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의 일 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3000)는 중계기(3000)와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으며, 비콘(2000)과 관제서버(40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1, the control server 4000 can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detectors 1000 through a plurality of repeaters 3000. For explanation purposes, Figure 1(b) shows only an example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peater 3000 is located between the repeater 3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It is possible to rela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2000) and the control server (4000).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감지기(1000)별로 작업자를 등록하여 작업자의 위치와 해당 작업자가 작업하는 구역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제서버(4000)에는 작업장의 도면이 저장되어 있어, 작업자의 위치를 상기 작업장의 도면에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4000)는 상기 감지기(1000) 및 상기 중계기(3000)에서 송신한 센싱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계자료를 만들어 모니터링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모니터링 관리자는 상기 통계자료를 통해 효율적인 모니터링 및 유사 시 발생한 사고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4000 can register workers for each sensor 1000 and monitor the worker's location and the status of the area where the worker work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4000 stores a drawing of the workplace, so that the location of the worker can be mapped to the drawing of the workplace.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4000 can create a plurality of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1000 and the repeater 3000 and provide it to the monitoring manager, and the monitoring manager can use the statistical data to Efficient monitoring and emergency response to accidents are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3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작업자 인근의 복수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센싱하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정형화한 수치를 도출하는 움직임센서(1220); 상기 감지기(1000)가 위치하는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1230); 상기 비콘(2000)으로부터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기(3000)로 유해화학물질농도, 움직임정형화수치, 감지기위치정보, 온습도정보, 및 배터리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1300); 및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장의 위험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에서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의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센싱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4000)에 전달할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제어부(1500);를 포함하고,As shown in FIG. 3, the detector 1000 include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hat senses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hazardous chemicals near the worker at preset intervals; A motion sensor 1220 that senses the worker's movement and derives a standardized value of the worker's movement;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30 that sens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1000 is located; A communication module (1300) that receive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2000) and transmits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movement standardization valu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battery information to the repeater (3000); And the level of risk of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nd when a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is sensed at the worker's location. , a control unit 1500 that generates a leak warning alarm to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는 위치파악부(1510);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서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하는 누출판단부(1520);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전송하는 제1리포팅부(1530);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2주기보다 짧은 제3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전송하는 제2리포팅부(154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500 includes a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that der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first reporting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an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0 according to the preset second cycle. Bu (1530); And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re sent to the control server (4000) according to a third cycle tha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econd cycle. It includes a second reporting unit 1540 that transmits to ).

개략적으로, 도 3의 (a)는 감지기(1000)의 전체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의 (b)는 감지기(100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15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다.Schematically, Figure 3 (a) shows the overall internal structure of the detector 1000, and Figure 3 (b)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1500 provided inside the detector 1000.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기(1000)는 부저(1110); 디스플레이(1120); 및 긴급신고버튼(1130)을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감지기(1000)의 외부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외부구성은 감지기(10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거나, 혹은 하기 내부구성에서 생성된 시각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부저(1110)는 작업자 인근 혹은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장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일정량 이상 누출되었을 때 작업자에게 누출경고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밖의 위험상황 혹은 경고상황일 때 중계기(3000)로부터 경고알람을 수신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20)는 상기 감지기(1000)가 센싱한 유해화학물질의 농도; 상기 감지기(1000)가 감지한 온습도정보; 상기 감지기(1000)의 배터리 상태; 및 상기 감지기(1000)에 전달된 알람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20)는, LCD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LED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신고버튼(1130)은 작업자가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빠르게 관제서버(4000)로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해 누를 수 있는 버튼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자가 상기 긴급신고버튼(1130)을 누르게 되면, 상기 관제서버(4000)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자 인근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도 경고알람이 전송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3, the detector 1000 includes a buzzer 1110; display 1120; and an emergency report button 1130, which correspond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detector 1000. The external configura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etector 100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operator to directly operate the sensor or receive visual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internal configuration below. The buzzer 1110 can provide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when a certain amount of hazardous chemicals leaks near the worker or in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In addition, in case of other dangerous or warning situations, a warning alarm is sent from the repeater 3000. can receive and provide visual and auditory alarms to the operator. The display 1120 display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the detector 1000;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1000; Battery status of the sensor 1000; and an alarm situation transmitted to the detector 1000; Information such as this can be provided visually to the user. The display 1120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LCD panel,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mposed of an LED panel. The emergency report button 1130 is a button that the worker can press to quickly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0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reports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button 1130 is pressed, a warning alarm can be sent not only to the control server 4000 but also to workers located near the worker.

상기 감지기(1000)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 움직임센서(1220), 온습도센서(1230), 통신모듈(1300), 배터리관리부(1410), 배터리모듈(1420) 및 제어부(1500)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기 감지기(1000)의 내부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유해화학물질을 기설정된 주기마다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예로는 신나,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황산가스 등 복수의 종류의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센서(1220)는 상기 감지기(1000)를 휴대하는 작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작업자 활동 감시용 알고리즘이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움직임센서(1220)는 작업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뒤 이를 정형화된 수치로 나타낸 움직임정형화수치를 도출한다. 상기 온습도센서(1230)는 상기 작업자 인근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고, 상기 통신모듈(1300)은 중계기(300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LoRa통신부(1310); 및 비콘(20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BLE통신부(1320);를 포함한다. 상기 BLE통신부(1320)는 상기 감지기(1000) 인근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2000)을 찾기 위한 BLE스캐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감지기(1000)의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체크하는 배터리관리부(1410);를 포함한다.The detector 1000 include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 motion sensor 1220,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30, a communication module 1300, a battery management unit 1410, a battery module 1420, and a control unit 1500. Includes, and these correspond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nsor 1000.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can sens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floating in the air at preset intervals. Examples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include a plurality of types of chemicals such as thinner, carbon dioxide, ammonia, and sulfuric acid gas. Includes. The motion sensor 1220 is a sensor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worker carrying the detector 1000, and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with a built-in algorithm for monitoring worker activity. The motion sensor 1220 senses the worker's movement and then derives a standardized movement value expressed as a standardized valu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30 sens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near the worke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00 includes a LoRa communication unit 131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repeater 3000; and a BLE communication unit 132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beacon 2000. The BLE communication unit 1320 includes a BLE scanner to find a beacon 2000 broadcasting near the detector 1000. In addition, the sensor 1000 includes a battery that provides power to the sensor 1000; and a battery management unit 1410 that checks the state of the battery.

상기 제어부(1500)는, 1 이상의 메모리 및 1 이상의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서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장에서의 누출여부 및 위험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장에서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의 유해화학물질농도가 센싱되는 경우 해당 작업자 및 관제서버(4000)에 전달할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0)는, 위치파악부(1510), 누출판단부(1520), 제1리포팅부(1530), 및 제2리포팅부(1540)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500 includes one or more memories and one or more processes, and based on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nd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the corresponding worker 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and the level of risk at the workplace where is located, and when a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is sensed at the workplace, a leak warning alarm is generated to be delivered to the relevant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b) of FIG. 3, the control unit 1500 includes a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a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a first reporting unit 1530, and a second reporting unit. Includes (1540).

상기 위치파악부(1510)는 상기 BLE통신부(1320)를 통해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만약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위치파악부(1510)는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한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 중 하나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파악부(1510)가 해당 감지기(1000)에서 가장 가까운 비콘(2000)에서 보낸 작업장위치정보라고 판단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한 뒤, 이에 기초하여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생성한다.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generates its ow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LE communication unit 1320. If the receiv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two or more, 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can select on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according to a preset rule. That is, 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select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determined to b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beacon 2000 closest to the sensor 1000, and then generates its own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로부터 수신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기설정된 기준농도값을 비교하여 작업자 인근 환경에서 유해화학물질 누출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농도값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0)에 저장된 값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제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값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어부(1500)에 저장된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하고, 유사 시 혹은 특정 작업장에서는 상기 관제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whether a hazardous chemical leak has occurred in the environment near the worker by comparing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received from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with a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corresponds to a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1500,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rresponds to a value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4000. . Preferably, in normal times, leak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1500, and in emergencies or specific workplaces, leak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4000. can do.

상기 제1리포팅부(1530)는, 상기 누출판단부(1520)에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기준농도값 미만으로 판단한 경우, 즉 평상시인 경우, 상기 감지기(1000)에서 센싱한 센싱정보 및 상기 감지기(1000)의 감지기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2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제2리포팅부(1540)는, 상기 누출판단부(1520)에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으로 판단하는 경우, 즉 유해화학물질이 작업자에게 유해할 정도로 누출된 경우, 상기 감지기(1000)에서 센싱한 센싱정보 및 상기 감지기(1000)의 감지기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3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이 때, 상기 제3주기는 상기 제2주기에 비해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whe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below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that is, in normal times, the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or 1000 and the detector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of (10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every second preset cycle. Meanwhile, whe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that is, when the hazardous chemicals leak to the extent that they are harmful to workers,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Sensing information sensed by the detector 1000 and sens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100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every third preset cycle. At this time, the third cycle is characterized as being shorter than the second cycle.

더 구체적으로, 상기 누출판단부(1520)에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기준농도값 미만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게 상기 제2주기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라고 명령한 뒤,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서 상기 제2주기마다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제1리포팅부(1530)를 통해 상기 제2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출판단부(1520)에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게 상기 제3주기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라고 명령한 뒤,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서 상기 제3주기마다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제2리포팅부(1540)를 통해 상기 제3주기마다 관제서버(40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리포팅부(15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기(3000)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4000)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송신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less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sends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o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in the second cycle. After commanding to sense the substance concentration, the detector 1000 sends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ion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every second cycle to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along with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every second cycle. And, whe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that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reports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ion to the hazardous chemical detection sensor 1210 in the third cycle. After commanding to sense, the detector 1000 sends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with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every third cycle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ogether with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every third cycle. 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reporting units 1540 transmi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repeater 3000,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0) 내부의 제1리포팅부(1530) 및 제2리포팅부(1540)가 동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and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inside the detecto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개략적으로,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1000)가 상기 제1리포팅부(1530) 및 제2리포팅부(1540)를 통해 센싱정보와 감지기위치정보를 관제서버(4000)로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Schematically, Figure 4 shows,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or 1000 transmits sensing information an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and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Show the process.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기(1000)의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 움직임센서(1220), 및 온습도센서(1230)에서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 움직임정형화수치 및 온습도정보를 포함하는 센싱정보를 누출판단부(1520)로 송신한다.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상기 센싱정보와 기설정된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유해화학물질 누출여부를 판단한 뒤, 상기 누출여부에 기초하여 누출판단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기준농도값 미만이면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제2주기마다 상기 제1리포팅부(1530)로 전달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이면 상기 센싱정보를 상기 제3주기마다 제2리포팅부(1540)로 전달한다.Specifically,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movement standardization value,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motion sensor 1220,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30 of the detector 1000. It is transmitted to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whether hazardous chemicals are leak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and a preset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and then derives leak determin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leak. If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the sen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every second cycle, 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more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the sen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every third cycle.

이 때, 위치파악부(1510)는 비콘(2000)으로부터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누출판단부(1520)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제1리포팅부(1530) 혹은 상기 제2리포팅부(1540)로 전달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기준농도값 미만이면, 상기 위치파악부(1510)는 감지기위치정보를 제1리포팅부(1530)로 전달하고,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이면, 상기 위치파악부(1510)는 감지기위치정보를 제2리포팅부(1540)로 전달한다.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1리포팅부(1530) 혹은 상기 제2리포팅부(15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3000)를 통해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실선은 평상시에 센싱정보와 감지기위치정보를 중계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도 4에 도시된 실선은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기준농도값 이상이 되었을 때 센싱정보와 감지기위치정보를 중계기로 송신하는 과정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510 derive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2000,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first It is transmitted to the reporting unit 1530 or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More specifically, if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transmit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value. If this is the case, 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transmit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The first reporting unit 1530 or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which has receive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nd sensing information, receives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repeater 3000, as shown in FIGS. 2 and 4. ) and send it to Meanwhile, the solid line shown in Figure 4 indicate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an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o a repeater in normal times, and the solid line shown in Figure 4 indicate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sensing information an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o a repeater whe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exceeds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This refers to the process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repeat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0)가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by the sensor 1000 to deriv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비콘(2000)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함(S10)으로써 도출한 RSSI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감지기(1000)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S11)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이상인 경우(S13), 가장 큰 RSSI값에 상응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4)하고, 상기 감지기(1000)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S11)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미만인 경우(S13), 소정의 횟수만큼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재수신(S15)한 뒤, 재수신한 결과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6)한다.As shown in FIG. 5, the detector 1000 deriv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SSI value derived by receiving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beacon 2000 (S10), and the detector 1000 When (1000)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preset standard (S13),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RSSI value is received. Based on thi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S14), the detector 1000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1),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 S13), the abov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re re-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15), and the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re-received results (S16).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여, 감지기(1000)가 비콘(2000)으로부터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S10)하고, 위치파악부(1510)에 의해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2 이상의 비콘(2000)으로부터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감지기(1000)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11),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 중 자신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는 비콘(2000)이 송신한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3 내지 S16)한다. 한편, 단 하나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2)한다.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4, the detector 1000 receive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2000 (S10) and der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510.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the sensor 1000 can receiv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beacons 2000. If the sensor 1000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1), according to a preset rule, the detector 1000 selects a beacon ( 2000) selects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and derive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3 to S16). Meanwhile, when receiving only on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receiv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2).

상기 기설정된 규칙은 하기와 같다. 상기 감지기(1000)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S11)하는 경우,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 각각을 수신함으로써 도출되는 RSSI값을 비교한 뒤 각각의 RSSI값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판단(S13)한다. 이 때 비교되는 RSSI값은 2 이상의 RSSI값 중 가장 큰 2개의 RSSI값에 해당한다. 가장 큰 2개의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가장 큰 RSSI값에 상응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자신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는 비콘(2000)이 송신한 작업장위치정보라고 판단하고, 가장 큰 RSSI값에 상응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4)한다.The preset rules are as follows. When the detector 1000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11), the detector 1000 compares the RSSI values derived by receiving each of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RSSI value. Determine whether it exceeds the set standard (S13). At this time, the RSSI values compared correspond to the two largest RSSI values among two or more RSSI values.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rgest RSSI values is greater than the preset standard,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RSSI value is determined to be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eacon (2000) that is determined to be closest to the user, and the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 RSSI value,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S14).

한편,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의 차이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미만인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소정의 횟수만큼 작업장위치정보를 재수신(S15)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기설정된 제1주기의 배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가장 큰 2개의 RSSI값을 선택하고, 이에 대해서 3회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 RSSI값이 가장 높게 도출된 작업장위치정보를 선택한다. 즉, 상기 감지기(1000)는 재수신결과 과반수 이상 높게 나온 RSSI값의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S16)한다.Meanwhile, if the difference in RSSI values for the received work location information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the work 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re-receiv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time (S15). More specifically, it is desirable to set the predetermined time to be a multiple of the preset first period.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two largest RSSI values are selected, and the highest RSSI value is derived more than two times for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ee times. Select work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detector 1000 derive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whose RSSI value is higher than the majority as a result of re-reception (S16).

전술한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감지기(1000)가 수신한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해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한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eset rule, the detector 1000 selects one of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etector 1000 and derive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감지기(1000)가 제1농도적분값 및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0)가 도출한 제1 내지 제2농도적분값에 기초하여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6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by which the sensor 1000 derives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for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shows the process of deriving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leak warning alarm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s derived by the detector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chematically shown.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1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1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4000)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하고,As shown in Figures 6 and 7, a concentration profile over tim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nd a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preset first period is generated. Derived, and if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first integration standard value, transmitting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보다 긴 제2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2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4000)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한다.The detector 1000 derives a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second period longer than the preset first period,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a preset second integration reference value. If this is the case, a leak warning alarm is sent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개략적으로,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는 복수의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을 센싱할 수 있으며, 도 6은 1가지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도시하고, 도 7은 2가지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도시한다. Schematicall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can sense multiple type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FIG. 6 shows one type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nd FIG. 7 shows two types of hazardous chemicals.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센싱하여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인 제1농도적분값을 도출한다. 상기 제1기간은 15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제1기간이 15분으로 설정된 경우, 작업자가 4시간 동안 작업하였을 때, 상기 작업자가 휴대한 감지기(1000)는 총 16번 제1농도값을 도출한다. 또한, 상기 감지기(1000)는 제2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인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한다. 상기 제2기간은 8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한 구성에 해당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detector 1000 generates a concentration profile by sensing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nd integrates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preset first period. Derive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The first period is preferably set to 15 minutes, but this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signer's intention. When the first period is set to 15 minutes, when the worker works for 4 hours, the detector 1000 carried by the worker derives the first concentration value a total of 16 times. Additionally, the detector 1000 derives a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which is an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second period is preferably set to 8 hours, but this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esigner's intention.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는 유해화학물질a를 센싱하여 제1농도적분값a 및 제2농도적분값a를 도출할 수 있고, 유해화학물질b를 센싱하여 제1농도적분값b 및 제2농도적분값b를 도출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에 의해 도출된 제1농도적분값a, 제2농도적분값a, 제1농도적분값b, 및 제2농도적분값b는 누출판단부(1520)로 전달된다.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제1농도적분값a 및 제1농도적분값b 각각을 제1적분기준치a와 제1적분기준치b와 비교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유해화학물질a에 대한 제1적분기준치a와 유해화학물질b에 대한 제1적분기준치b는 상이하다. 또한, 상기 누출판단부(1520)는 제2농도적분값a 및 제2농도적분값b 각각을 제2적분기준치a와 제2적분기준치b와 비교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유해화학물질a에 대한 제2적분기준치a와 유해화학물질b에 대한 제2적분기준치b는 상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분기준치는 작업장의 크기,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7,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can sense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and derive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and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By sensing substance b,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b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b can be derived. As shown in (b) of FIG. 7,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b, and second concentration deriv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he integral value b is transmitted to the leakage determination unit 1520.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y comparing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and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b with the first integration reference value a and first integration reference value b, respectively. In general, the first integration standard value a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and the first integration standard value b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b are different. In additio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y comparing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and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b with the second integration reference value a and the second integration reference value b, respectively. In general, the second integration standard value a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and the second integration standard value b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b are different,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ion standard value depends on the size,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workplace. It may vary.

상기 누출판단부(1520)에서, 전달받은 제1농도적분값 및 제2농도적분값 각각을 각 유해화학물질별 제1적분기준치와 제2적분기준치를 비교하여, 만약 제1농도적분값 혹은 제2농도적분값이 각각에 해당하는 제1적분기준치 혹은 제2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도 4를 참고하여,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여, 제2리포팅부(1540)를 통해 상기 감지기(1000) 및 관제서버(4000)로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한다. 이 때,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누출경고알람과 함께, 감지기위치정보, 유해화학물질 농도, 온습도정보 등을 함께 관제서버(4000)로 전달할 수 있다.In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each of the received first and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s is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integration standards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nd if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or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2 If the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first or second integration standard, referring to FIG. 4, a leak warning alarm is generated, and the detector (1000) and control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reporting unit (1540). A leak warning alarm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0. At this time, the detector 1000 may transmit the leak warning alarm as well a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etc. to the control server 4000.

한편, 도 6 및 도 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1가지 및 2가지 유해화학물질에 대해서만 도시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종류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전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Figures 6 and 7 show only one and two types of hazardous chemic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can be performed for more types of hazardous chemicals.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감지기(1000)가 피크정보를 도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8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detector 1000 derives peak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enerates a leak warning alarm based on thi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기설정된 피크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4000)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한다.As shown in FIG. 8, the sensor 1000 generates a concentration profile over time based on the sensed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that recorded the highest value during the preset first period is recorded. If it is above the set peak standard value, a leak warning alarm is sent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을 센싱하여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동안 상기 농도파일의 피크값인 피크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제1기간동안 가장 높은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도출하여, 이를 피크정보로 생성하고, 상기 제1기간마다 피크정보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감지기(100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간 동안 측정되는 제1시점, 제2시점, 제3시점, 및 제4시점마다 각각의 피크정보를 도출한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detector 1000 senses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and generates a concentration profile. At this time, peak information, which is the peak value of the concentration file during the preset first period, is generated. In other words, the detector 1000 derive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during the first period, generates peak information from this, and derives peak information for each first perio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1000, as shown in (a) of FIG. 7,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irst time point, the second time point, the third time point, and the fourth time point measured during the first period. Each peak information is derived.

이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점의 피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기설정된 피크기준치를 비교한다. 이 때, 상기 피크기준치는 유해화학물질에 따라 상이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장의 크기,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누출판단부(1520)는, 매 시점마다 도출되는 피크정보에 대해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피크기준치를 비교하고, 피크정보가 상기 피크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작업자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여 중계기(3000) 및 상기 감지기(1000)로 전달한다. 상기 중계기(3000)로 전달된 누출경고알람은 관제서버(4000)로 전달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근 중계기(3000) 및 인근 감지기(10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누출경고알람과 함께, 감지기위치정보, 유해화학물질 농도, 온습도정보 등을 함께 관제서버(4000)로 전달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b) of FIG. 7, the peak information at each time point is compared with a preset peak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the peak reference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workplace. The leak determination unit 1520 compares the peak reference value of the hazardous chemical with the peak information derived at each time point, and if the peak information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the peak reference value, it determines that the hazardous chemical has leaked near the worker. And, a leak warning alarm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peater (3000) and the detector (1000). The leak warning alarm transmitted to the repeater 30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40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nearby repeater 3000 and the nearby detector 1000. At this time, the detector 1000 may transmit the leak warning alarm as well a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etc. to the control server 400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00)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통해 작업자의 사고유무를 판단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9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worker has an accident throug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감지기(1000)는, 도 3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움직임센서(1220)를 통해 작업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뒤 이를 정형화된 수치로 나타낸 움직임정형화수치를 도출한다. 관제서버(4000)는 상기 감지기(1000)의 위치파악부(1510)를 통해 도출된 감지기위치정보; 및 상기 움직임정형화수치를 포함하는 움직인정보;를 상기 감지기(1000)로부터 수신(S20)하고, 상기 감지기위치정보가 기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S21)한다. 이때,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의 변화는 작업장의 변화를 의미한다. 만약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장이 변화한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평상시와 같이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FIG. 3, the sensor 1000 senses the worker's movement through the motion sensor 1220 and then derives a movement standardization value expressed as a standardized value. The control server 4000 includ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through the location detection unit 1510 of the sensor 1000; and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otion standardization value; is received from the sensor 1000 (S2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during a preset first reference time (S21). At this time, a change in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means a change in the workplace. If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changes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 server 4000 performs monitoring as usual.

한편,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상기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장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감지기(1000)의 움직임정보의 변화가 기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감지되는지를 판단(S22)한다. 만약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정보의 변화가 감지된다면, 상기 관제서버(4000)로 평상시와 같이 모니터링을 수행하지만,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움직임정보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해당 작업자에게 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S23)하고, 후속 조치를 수행할 것을 관리자 혹은 인근 작업자에게 요청한다.Meanwhil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a change i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1000 is detected during the preset second reference time (S22). If a change in the worker's movement information is detect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monitoring is performed with the control server 4000 as usual, but if no change in the movement information is detect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the control server 4000 performs monitoring as usual. The control server 4000 determines that a problem such as an accident has occurred with the worker (S23) and requests the manager or nearby worker to take follow-up measur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장별 기준치를 해당 감지기(1000)로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0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to the corresponding sensor 1000, based on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비콘(2000)으로부터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도출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송신(S30)하고, 기설정된 제3기간 이후 상기 감지기(1000)는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다시 송신(S31)하고,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한 관제서버(4000)는, 첫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와 두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해당 작업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및 해당 작업장정보를 고려한 작업장별 기준치를 상기 감지기(1000)로 송신(S32 내지 S34)하고, 상기 감지기(1000)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작업장별 기준치 이상인 경우(S35),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4000)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한다.As shown in FIG. 10, the sensor 1000 transmit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2000 to the control server 4000 (S30), and After 3 periods, the detector 1000 transmit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ck to the control server 4000 (S31), and the control server 4000, which has received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s the first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f the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considering hazardous chemical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workplace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tector 1000 (S32 to S34), and the detector 1000 performs sensing. If the concentration of a hazardous chemical is higher than the standard for each workplace (S35), a leak warning alarm is sent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4000).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1000)는 자신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관제서버(4000)로 송신(S30)한다. 상기 관제서버(4000)는, 상기 감지기(1000)에서 송신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제3기간 이후 수신한 상기 감지기(1000)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S31)하였을 때, 상기 제3기간 전후로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가 동일한지 판단(S32)한다. 상기 관제서버(4000)에 의해 상기 제3기간 전후로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작업장정보를 고려한 작업장기준치를 도출(S33)한다. 상기 작업장정보는, 해당 작업장의 면적, 높이, 구조물 상태, 환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같은 유해화학물질이라도 폐쇄된 곳이거나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작업장일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기설정된 적분기준치 및 피크기준치보다 낮은 값을 작업장기준치로서 도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1000 periodically transmits it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4000 (S30). When the control server 4000 receive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1000 and receive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or 1000 received after a preset third period (S31), the third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efore and after the period is the same (S32). If the control server 4000 determines that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efore and after the third period is the same, the control server 4000 derives a workplace standard value considering the workpl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S33) do. The workplace information includes the area, height, structure status, ventilation structure, etc. of the workplace. In other words, even if the sam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is used in a closed or poorly ventilated workplace, the control server 4000 can derive a value lower than the preset integration standard and peak standard as the workplace standard.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제서버(4000)는 작업자가 한 장소에서 어느 정도 이상 작업하는 경우, 해당 작업장에 적합한 작업장기준치를 도출하고, 도출한 작업장기준치를 상기 감지기(1000)로 송신(S34)한다. 상기 작업장기준치를 수신한 감지기(1000)는 수신한 작업장기준치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기(1000) 인근에서 유해화학물질 누출여부를 판단(S35)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worker works at a certain level or more in one place, the control server 4000 derives a workplace standard value appropriate for the workplace and transmits the derived workplace standard value to the detector 1000 (S34). The detector 1000, which has received the workplace standard value, determines whether hazardous chemicals are leak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or 1000 based on the received workplace standard value (S35).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장별 권장인원수를 점검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1 schematically shows the execution steps of checking the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for each workplace based 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감지기(1000)로부터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S40)하여, 해당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를 판단(S41)하고, 상기 작업자의 수가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 이하인 경우(S42), 상기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S43)하고, 상기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는 해당 작업장의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server 4000 receive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1000 (S40), determines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S41), and determines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S41). If the number is less than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S42),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workers and managers (S43), and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is set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workplace.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제서버(4000)는 복수의 감지기(1000)로부터 각각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S40)한다. 이 때, 관제서버(4000)는 기 저장된 작업장정보에 기초하여 각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를 판단(S41)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각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가 권장 인원수 이하인지를 판단(S42)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평상시와 같이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권장 인원수는 작업장에 따른 공동 작업인원수를 의미하며, 상기 권장 인원수의 최소값은 2명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장의 면적이 넓을수록 권장 인원수는 커질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rver 4000 receives each senso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1000 (S40).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40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each workplace based on previously stored workplace information (S41). At this time, the control server 400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each workplace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number (S42), and if it is more than the recommended number, monitors as usual. The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refers to the number of people working together according to the workplace. The minimum value of the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is preferably set to 2 or more, and the larger the area of the workplace, the larger the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can be.

한편, 상기 관제서버(4000)가 상기 단계 S42에서 특정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가 권장 인원수 이하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해당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모니터링 관리자에게 경고알람을 전달(S43)한다.Meanwhile, if the control server 4000 determines in step S42 that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a specific workplace is less than the recommended number, the control server 4000 sends a warning alarm to the workers and monitoring manager located in the workplace. (S43) Do.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가 없는 구역에서 유해화학물질이 센싱되었을 때, 위험구역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2 schematically shows the steps performed to generate hazardous area information and provide this information to workers when hazardous chemicals are sensed in an area without work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상기 중계기(3000)는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포함한다. 상기 중계기(3000)는 상기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통해 센싱(S50)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주기적으로 관제서버(4000)로 송신(S51)한다. 이 때, 상기 중계기(3000)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상기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상기 중계기(3000)로부터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해당 구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관제서버(4000)는 기 저장된 적분기준치 및 피크기준치에 기초하여 해당 구역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누출여부를 판단(S52)한다. 만약, 수신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적분기준치 혹은 상기 피크기준치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관제서버(4000)는 상기 해당 구역을 위험구역으로 업데이트(S53)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관제서버(4000)는 복수의 중계기(3000)로부터 수신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기준으로 위험구역을 설정하고 이를 위험구역정보로서 저장(S53)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the repeater 3000 includes a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he repeater 3000 periodically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S50) through the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o the control server 4000 (S51). At this time, the repeater 3000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to the control server 4000 along with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server (4000), which receives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from the repeater (3000), determines whethe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re leaked in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integration reference value and peak reference value (S52). . If the receiv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integration standard or the peak standard, the control server 4000 updates the area to a risk area (S53).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server 4000 sets a danger zon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repeaters 3000 and stores it as danger zone information (S53).

이후, 상기 관제서버(4000)는 복수의 감지기(1000)로부터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S54)한다. 복수의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한 관제서버(4000)는, 상기 감지기위치정보와 상기 위험구역정보를 비교(S55)하여 상기 위험구역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감지기(1000)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감지기(1000)로 위험구역경보를 전달(S56)한다.Afterwards, the control server 4000 rece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s 1000 (S54). The control server 4000, which has received a plurality of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compares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angerous area information (S55) and, if there is a detector 1000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angerous area, the corresponding A dangerous area warning is transmitted to the detector 1000 (S56).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서 센싱되는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작업장별 누출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3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leakage sum score for each workplace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in each of a plurality of work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작업장별로 구비되는 비콘(2000)은 이동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콘(2000)은 상기 이동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통해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주기적으로 관제서버(4000)로 송신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콘(2000)은 온습도정보, 및 작업장위치정보를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함께 상기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콘(2000)은 중계기(3000)를 통해 상기 비콘(2000)이 도출한 정보들을 관제서버(4000)로 송신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2000 provided in each workplace may include a mobil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he beacon 2000 periodically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through the mobil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o the control server 4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2000 transmits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o the control server (4000). Preferably, the beacon 2000 transmits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beacon 2000 to the control server 4000 through the repeater 3000.

복수의 작업장으로부터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수신한 관제서버(4000)는 작업장별로 유해화학물질 누출합산스코어를 도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관제서버(4000)는 유해화학물질별로 기설정된 적분기준치 및 피크기준치를 기준으로 유해화학물질별 스코어를 산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적분기준치 및 상기 피크기준치를 넘지 않더라도, 센싱된 양에 기초하여 센싱된 농도에 비례하는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해화학물질a의 적분기준치가 1.0일 경우, 유해화학물질a의 제1농도적분값a가 0.8이 나온 경우, 유해화학물질a에 대해 0.8점을 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4000, which receive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from multiple workplaces, derives a total hazardous chemical leakage score for each workplac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server 4000 calculates a scor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based on the integration standard and peak reference value preset for each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In other words, even if the integration standard value and the peak standard value are not exceeded, a score proportional to the sensed concentration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sensed amount. For example, if the integration standard value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is 1.0 and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a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is 0.8, 0.8 points can be calculated for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a.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각 유해화학물질별 스코어를 도출한 뒤, 도출한 모든 유해화학물질별 스코어를 합산하여 상기 누출합산스코어를 도출한다. 상기 누출합산스코어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각각의 개별적인 유해화학물질이 적분기준치 혹은 피크기준치 이상이 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노출되는 복합적인 유해화학물질의 양을 스코어로서 도출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일정 기준 이상의 합산 스코어가 도출되는 작업장을 위험구역으로서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각각이, 각각에 해당하는 위험수준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2 이상의 유해화학물질이 혼합된 뒤, 이에 노출된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4000 derives a scor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nd then adds up the scores for all hazardous chemicals to derive the leakage sum score. Through the leak summation score, the control server 4000 can derive the amount of complex hazardous chemicals to which workers are exposed as a score even if each individual hazardous chemical does not exceed the integration standard or peak standard, Based on this, a workplace where a total score exceeding a certain standard is derived can be identified as a risk zone. Through this, even if each hazardous chemical does not reach its corresponding risk level, it can be effective in preventing problems that may occur to workers exposed to two or more hazardous chemicals when mixed.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가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대피할 대피경로를 작업장별 누출합산스코어에 기초하여 도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14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 of deriving an evacuation route for workers to evacuate when an accident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eak sum score for each workplace.

구체적으로, 관제서버(4000)는 유해화학물질 누출사고 혹은 화재 사고 등 유사시에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들에게 대피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4000)는,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작업장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업장 전체 도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대피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server 4000 can provide an evacuation route to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a hazardous chemical leak or fire accident. The control server 4000 has a drawing of the entire workplace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workplace,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FIGS. 1 and 2, through which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can be deriv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worker. there is.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서버(4000)는 감지기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와 기저장된 탈출위치에 따른 복수의 대피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관제서버(4000)에 의해 작업자가 대피할 3가지 대표경로를 도출한 뒤, 각 탈출경로를 지나치는 작업장의 누출합산스코어를 합산하여 최종대피경로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 대피경로의 경우, 제1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제4, 제7, 제8, 제9작업장을 통과하는 대피경로로서, 상기 관제서버(4000)는 상기 제4, 제7, 제8, 제9작업장의 누출합산스코어를 모두 합산하여 4.5점이라는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관제서버(4000)는, (2) 대피경로 및 (3) 대피경로로 대피할 때 통과하는 작업장의 누출합산스코어를 모두 합산하여 작업자가 가장 유해화학물질로부터 가장 안전한 대피경로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피경로를 도출할 때는 작업자가 탈출할 때까지의 최단경로와 누출합산스코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a) of FIG. 14, the control server 4000 can derive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according to the worker's location and the pre-stored escape location based on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representative routes for workers to escape are derived by the control server 4000, and then the final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to workers by adding up the leakage sum scores of workplaces passing through each escape route. can do. (1) In the case of the evacuation route, it is an evacuation route through which workers located in the first workplace pass through the fourth, seventh, eighth, and ninth workplaces, and the control server 4000 is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fourth, seventh, and ninth workplaces. By adding up the combined leakage scores of workshops 8 and 9, a score of 4.5 points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b) of FIG. 14,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ontrol server 4000 calculates (2) the evacuation route and (3) the leak sum score of the workplace passing through when evacuating along the evacuation route. Adding it all up, it can have the effect of allowing workers to evacuate from the most hazardous chemicals through the safest evacuation route. 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riving the evacuation route, it is desirable to consider both the shortest path until the worker escapes and the total leakage sc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직접 몸에 지니고 있는 감지기(1000)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어, 작업자가 실질적으로 노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can be sensed through the sensor 1000 worn by the worker directly on the body, resulting i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to which the worker is actually exposed. It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휴대하는 감지기(1000)는, 작업장별로 구비되어 해당 작업장의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20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작업자의 위치를 관제서버(4000)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1000 carried by the worker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beacon 2000 provided for each workplace and broadcas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place, thereby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worker through the control server ( 4000) can have an effect that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휴대용 감지기(1000)가 방폭 문제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통신만 가능하여 넓은 공장 혹은 작업장에서는 모니터링이 어려웠으나, 통신 중계기(3000)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공장 혹은 작업장에서도 실시간으로 작업자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detector (1000) is capable of onl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due to explosion-proof issues, making monitoring difficult in large factories or workplaces. However, by using the communication repeater (3000), it can be used in large factories or workplaces. It can also be effective in monitoring workers in rea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되는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대해 순간 임계치와 누적 노출량을 모두 고려하여 경고알람을 생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ke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by generating a warning alarm by considering both the instantaneous threshold value and the cumulative exposure amount for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기(1000)뿐만 아니라 중계기(3000)에도 고정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없는 구역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한 뒤 위험구역을 판단하고 위험구역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작업자가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etector 1000 but also the repeater 3000 is equipped with a fixed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to sense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an area without workers and then detect the hazardous area. It can make judgments and inform workers of information about hazardous areas, which can be effective in preventing workers from being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장별로 구비되는 비콘(2000)에도 이동식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121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장 별로 유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해화학물질의 확산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사고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2000 provided for each workplace is also equipped with a mobil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1210,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leaking from each workplace can be sensed, and through this,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can be detected. By being able to track the diffusion path of the substance, it can be effective in responding to accidents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고, 작업자의 위치 및 각 작업장에서의 유해화학물질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어, 안전 사고 발생 시, 안전관리자는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사고 대응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사고 규모를 감소시키고,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worker can be known in real time, and the worker's loc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each workplace can be sensed, so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the safety manager can respon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By responding, the accident response time can be reduced, which ca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scale of the accident and minimizing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9)

유해화학물질 누출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장별 유해화학물질 감지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작업장 각각에 구비되고, 기입력된 작업장별 작업장위치정보를 기설정된 제1주기마다 브로드캐스팅하는 비콘;
작업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휴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작업자 주변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고, 내장된 BLE스캐너를 이용하여 복수의 비콘에서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해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특정 기간동안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감지기;
상기 비콘 및 상기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작업장 및 복수의 작업자를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감지기 및 상기 관제서버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고, 고정식 유해가스센서를 포함하여 인근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센싱하며, 내압 방폭 구조를 가져, 유해화학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감지기 및 상기 관제서버와의 통신 중계를 수행할 수 있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기는,
복수의 유해화학물질을 구분하여 각각의 농도를 센싱한 뒤 이를 동시에 처리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감지기는,
비콘이 브로드캐스팅하는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도출한 RSSI값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도출하되,
상기 감지기가 2 미만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작업장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 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감지기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 중 가장 큰 2개의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이상인 경우, 가장 큰 RSSI값에 상응하는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감지기가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에 대한 RSSI값 중 가장 큰 2개의 RSSI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미만인 경우, 소정의 시간동안 소정의 횟수만큼 상기 2 이상의 작업장위치정보를 재수신한 뒤, 재수신한 결과 과반수 이상 높게 나온 RSSI값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소정의 시간은 기설정된 제1주기의 배수로 설정되고,
상기 감지기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한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도출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송신하고, 기설정된 제3기간 이후 상기 감지기는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다시 송신하고,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한 관제서버는,
첫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와 두번째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해당 작업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및 해당 작업장정보를 고려한 작업장별 기준치를 상기 감지기로 송신하고,
상기 작업장별 기준치를 수신한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상기 작업장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하며, 상기 작업장정보는 해당 작업장의 면적, 높이, 구조물 상태, 환기 구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A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hazardous chemical leaks,
A beacon provi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broadcasting the previously enter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workplace at a preset first cycle;
It has a sh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orker's body or is portable, senses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around the worker, and uses a built-in BLE scanner to select one according to preset rules for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from multiple beacons. And, based on the select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the worker's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and visual and auditory notifications are provided to the worker based on the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sensed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apable detector;
a control server that monitors a plurality of workplaces and a plurality of workers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and the sensor; and
It relay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tector and the control server, senses the concentration of nearby hazardous chemicals including a fixed hazardous gas sensor, and has a pressure-resistant explosion-proof structure, so that even in the event of a hazardous chemical leak accident, the detector and the control Includes a repeater capable of relay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The sensor is,
It can classify multiple hazardous chemicals, sense their respective concentrations, process them simultaneously, and provide notifications to the worker.
The sensor is,
Derive your own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SSI value derived by receiving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by the beacon,
When the detector receives less than 2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derives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f the detector receives two or more pieces of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rgest RSSI values among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pieces of worksite location information is greater than a preset standard, it receives the worksit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RSSI value. Deriv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When the sensor receives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rgest RSSI values among the RSSI values for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is less than a preset standard, the detector receives the two or mor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re-receiving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s derived based on the RSSI value that is higher than the majority as a result of re-reception,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as a multiple of the preset first cycle,
The sensor i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derived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and after a preset third period, the sensor transmits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ck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that receive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If the first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ceived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considering the hazardous chemicals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workplace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etector,
The detector that receives the standard value for each workplace is,
If the sensed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s higher than the standard for each workplace, a leak warning alarm is sent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and the workpla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area, height, structure status, and ventilation structure of the workplace.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작업자 인근의 복수의 유해화학물질 농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센싱하는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상기 작업자의 움직임을 정형화한 수치를 도출하는 움직임센서;
상기 감지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는 온습도센서;
상기 비콘으로부터 작업장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중계기로 유해화학물질농도, 움직임정형화수치, 감지기위치정보, 온습도정보, 및 배터리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장의 위험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의 위치에서 상기 기준농도값 이상의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센싱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전달할 누출경고알람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1,
The sensor is,
A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hazardous chemicals near the worker at preset intervals;
A motion sensor that senses the worker's movement and derives a standardized value of the worker's movement;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location where the sensor is locate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and transmits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movement standardization valu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nd battery information to the repeater; and
The level of risk of the workplac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and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nd when a hazardous chemical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is sensed at the worker's location,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 leak warning alarm to be transmitted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감지기위치정보를 도출하는 위치파악부;
상기 유해화학물질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유해화학물질 농도와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에 기초하여 누출여부를 판단하는 누출판단부;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미만인 경우, 기설정된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 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1리포팅부; 및
상기 유해화학물질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유해화학물질별 기준농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2주기보다 짧은 제3주기에 따라 상기 유해화학물질농도 및 상기 감지기위치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2리포팅부;를 포함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2,
The control unit,
A location detection unit that derives sensor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place location information;
a leak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sensed by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detection sensor and the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is less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a first reporting unit that transmits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and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 preset second cycle; and
If th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is higher than the preset standard concentration value for each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the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concentration and the detector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 third cycle tha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econd cycle.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including a second reporting un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1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1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1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1,
The sensor is,
Based on the detected concentrations of hazardous chemicals, a concentration profile is created over time,
Deriving a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preset first period,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transmits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when the first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integration standard valu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기설정된 제1기간 보다 긴 제2기간 동안 상기 농도프로파일의 적분값을 포함하는 제2농도적분값을 도출하고,
상기 제2농도적분값이 기설정된 제2적분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5,
The sensor is,
Deriving a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nclu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concentration profile during a second period longer than the preset first period,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transmits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when the second concentration integral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integration stand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센싱한 유해화학물질 농도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농도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기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유해화학물질 농도가 기설정된 피크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작업자 및 상기 관제서버에 누출경고알람을 전달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1,
The sensor is,
Based on the detected concentrations of hazardous chemicals, a concentration profile is created over time,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transmits a leak warning alarm to the worker and the control server when the concentration of hazardous chemicals recording the highest value during the first preset period is higher than the preset peak standar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감지기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작업장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수를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의 수가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 이하인 경우, 상기 작업자와 관리자에게 알림을 전송하고,
상기 기설정된 권장 인원수는 해당 작업장의 환경요소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작업장별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In claim 1,
The control server is,
By receiving the sensor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etector, the number of workers located in the workplace is determined,
If the number of workers is less than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workers and managers,
The preset recommended number of people is a hazardous gas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workplace.
KR1020220160562A 2022-11-25 2022-11-25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KR102628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62A KR102628106B1 (en) 2022-11-25 2022-11-25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562A KR102628106B1 (en) 2022-11-25 2022-11-25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106B1 true KR102628106B1 (en) 2024-01-23

Family

ID=8971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562A KR102628106B1 (en) 2022-11-25 2022-11-25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10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428A (en) * 1995-06-08 1996-12-17 Toshiba Microelectron Corp Gas leakage monitoring method
JP4970001B2 (en) * 2005-12-22 2012-07-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Portable gas detector
KR101671209B1 (en)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KR101907964B1 (en)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244634B1 (en) 2019-07-03 2021-04-26 제이엔케이히터(주) System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monitor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4428A (en) * 1995-06-08 1996-12-17 Toshiba Microelectron Corp Gas leakage monitoring method
JP4970001B2 (en) * 2005-12-22 2012-07-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Portable gas detector
KR101671209B1 (en)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tunnel under construction
KR101907964B1 (en) *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244634B1 (en) 2019-07-03 2021-04-26 제이엔케이히터(주) System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monitor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38B1 (en) Realtime Warn System for using a Safety Management in field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1712563B1 (en) Safety supervision system for facilities and safety supervision method thereof
CA2734152C (en) Environmental ri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846829B1 (en) System for monitoring industrial disaster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US8818713B2 (en) System and apparatus providing localized evacuation guidance
US20170365151A1 (en) Device for notification of gas conditions system and method
KR20180090933A (en) Intelligent gas leakage alarm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10053107A (en) A safe control system for harmful workshop
KR102229617B1 (en) Smart IOT gas alarm system
KR20200007388A (en) A System for Shipyard Safety Management and A Method of Checking Worker's Safety using the System
KR101845942B1 (en) System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ing evacuation notice
KR102077038B1 (en) Gas sensing system for confined space
KR20190047639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factory environment using multi sensing
KR1017942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safety by detecting toxic gas in plant
KR20110053827A (en) A method of rlue for limiting working volume according as condition of the harmful workshop
KR102133180B1 (en) Wearable devices for prevent suffocation
KR102628106B1 (en) The Noxious Chemical Detection System For Each Workplace Tha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Leakage Of Noxious Chemicals
KR102266545B1 (en) Central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substances
KR10178300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safety by using safety band
US11749087B2 (en) Process, system and alarm management system for analyzing data of a mobile gas measuring device
KR20200107912A (en) Construction site safety monitoring system
KR101102488B1 (en) Method for estimating industrial disaster using space analysis and system for thereof
KR102229620B1 (en) Smart IOT gas alarm system
KR20230036738A (en) Suffocation accident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