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717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717B1
KR102627717B1 KR1020160112871A KR20160112871A KR102627717B1 KR 102627717 B1 KR102627717 B1 KR 102627717B1 KR 1020160112871 A KR1020160112871 A KR 1020160112871A KR 20160112871 A KR20160112871 A KR 20160112871A KR 102627717 B1 KR102627717 B1 KR 10262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nozzle
washing water
sprayed
vane
nozz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761A (ko
Inventor
이창욱
홍승기
함형근
양지선
요하네스
유수형
유승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717B1/ko
Priority to US15/642,670 priority patent/US10702123B2/en
Priority to CN201780053743.7A priority patent/CN109640778B/zh
Priority to EP17846843.5A priority patent/EP3484336B1/en
Priority to PCT/KR2017/008048 priority patent/WO2018043918A1/en
Publication of KR2018002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제 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제 1고정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섬프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바스켓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세척조 내에 상하 방향으로 2단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조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제1바스켓 및 제2바스켓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식기들은 제1바스켓 또는 제2바스켓에 수납된 상태에서 세척될 수 있다.
분사노즐은, 세척수가 복수의 바스켓에 수납된 모든 식기들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사노즐은 제1바스켓의 하부에서 제1바스켓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 제1바스켓과 제2바스켓 사이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 및 제2바스켓의 상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제3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섬프와 복수의 분사노즐들은 유로에 의해 연결되고, 섬프에 저수된 물은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유로로 공급된다. 유로로 공급된 물은 복수의 분사노즐을 통해 복수의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들에 분사될 수 있다.
세척수의 수압 및 직진성은 식기세척기의 세척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고, 복수의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직진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분할 세척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분할 세척 시,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식기 세척에 유효한 세척수의 양이 증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척수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제 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제 1고정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 상기 베인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제 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제 1고정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노즐은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추가 고정노즐과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에 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추가 고정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베인 상에 설치되는 추가 베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추가 베인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베인은 상기 베인과의 사이에 상기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인 상에 설치되는 추가 베인 바디 및 상기 추가 베인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추가 베인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제 2고정노즐은 각각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복수의 제 2고정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복수의 제 2고정노즐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격구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반사면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타격구간에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고정노즐, 상기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추가 고정노즐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는 제 1유로구간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통과한 세척수가 합류하는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가 형성되는 제 2유로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고, 분사홀이 형성되는 고정노즐을 포함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 및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통과한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 및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 및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세척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는 일 단부에 상기 분사홀이 마련되는 직선구간 및 상기 직선구간의 다른 일 단부 및 상기 세척수 수용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의 길이(L1),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 수용부의 길이(L2) 및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곡선구간의 길이(L3)의 합(L)과, 상기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 사이의 비(比)는 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은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와,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고정노즐 결합부를 가지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캡은 상기 고정노즐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와,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마주하는 제 1케이싱 및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케이싱과 결합하는 제 2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상기 제 2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1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가 마련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캡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직교하는 제 2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을 더 포함하도록 고정노즐어셈블리를 설계할 경우, 풍부한 유량 및 일정 수준 이상의 수압 확보가 가능하므로, 분할 세척 시 세척 효율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의 길이(L1), 세척수 수용부의 길이(L2) 및 곡선구간의 길이(L3)의 합(L)과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가 관계식1을 만족하고,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가 10mm보다 크도록 고정노즐을 설계함으로써, 고정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직진성(直進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계식2 및 관계식3을 만족하도록 베인을 설계함으로써, 베인에 충돌 후 식기를 향하여 반사되는 반사수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복수의 반사구간을 반사면에 제 2방향을 따라 형성할 경우, 식기와 식기 사이에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어 식기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세척 모드에서의 캡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의 캡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도 13에 도시된 베인과 다른 형상의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케이싱의 내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제 1케이싱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의 고정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의 고정노즐을 B-B'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적용한 경우, 고정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직진성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에 있어서, 복수의 제 1분사유로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베인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 26에 도시한 베인과 다른 형상의 베인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베인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세척수가 도 29에 도시된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방향(X)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방향(Y)은 세척조(30)의 좌우 방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 3방향(Z)은 세척조(30)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세척 모드는 일반 세척 모드 또는 전체 세척 모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 2세척 모드는 분할 세척 모드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제 1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조(30)의 전(全) 영역에 세척수가 분사된다.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조(30)의 일부 영역에만 세척수가 분사된다.
또한, 고정노즐은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포함한다. 제 1고정노즐(330)은 복수의 제 1고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고정노즐(340)은 복수의 제 2고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고정노즐(350)은 복수의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유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들(311,313,32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노즐들(311,313,32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인(400)이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레일어셈블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될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과, 우측벽 및 바닥판(35)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들(311,313,32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노즐들(311,313,32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311),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313) 및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측에 고정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세척조(30) 내부의 제 1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인(400)의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레일어셈블리(430)를 따라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인(400)은 레일어셈블리(430)를 따라 세척조(30) 내부의 제 1방향(X)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베인(400)과 마주하도록 세척조(30)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 1고정노즐(330)과, 베인(400)과 마주하도록 세척조(30)의 다른 일 측에 배치되는 제 2고정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고정노즐(330)은 베인(400)과 마주하도록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고정노즐(340)은 베인(400)과 마주하도록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고정노즐(340)은 제 1고정노즐(330)과 함께 제 2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은 제 2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 1방향(X) 및 제 2방향(Y)은 서로 수직관계에 있을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추가 고정노즐(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은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 고정노즐(350)은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와 함께 분할 세척에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고정노즐(350)이 제 1고정노즐(3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추가 고정노즐(350)은 제 1고정노즐(330)과 함께 세척조(30)의 좌측의 분할 세척에 관여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이 제 2고정노즐(3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추가 고정노즐(350)은 제 2고정노즐(340)과 함께 세척조(30)의 우측의 분할 세척에 관여할 수 있다. 도 2는 추가 고정노즐(350)이 제 1고정노즐(3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제 1고정노즐(330)과 함께 세척조(30)의 좌측의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때, 제 2고정노즐(340)은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과 독립적으로 세척조(30)의 우측의 분할 세척에 관여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을 더 포함하도록 고정노즐어셈블리(320)를 설계할 경우, 풍부한 유량 및 일정 수준 이상의 수압 확보가 가능하므로, 분할 세척 시 세척 효율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이 더 관여하는 본 발명의 분할 세척과,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관여하는 기존의 분할 세척을 비교할 때,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세척수의 세기는 기존 대비 약 48% 상승하였고, 식기에 대한 동일한 세척 정도를 얻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기존 대비 약 25% 단축되었다.
회전 노즐들(311,313)과,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과, 제 2고정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제 2고정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으로만 반사될 수 있다.
도 2를 중심으로 설명할 때,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후술할 추가 베인(45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할 수도 있다.
섬프(100)와 분사노즐들(311,313,320)은 파이프 형태의 유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섬프(100)와 분사노즐들(311,313,320) 사이에는 분배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섬프(10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들(311,313,320)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유로(130,131,132)는, 섬프(100)와 분배장치(20)를 연결하는 제1유로(130)(도3참고), 분배장치(20)와 중간회전노즐(313)을 연결하는 제2유로(131) 및 제2유로(131)와 상부회전노즐(311)을 연결하는 제3유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131)와 제3유로(132)는 단일한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이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유닛(360) 및 제 2고정노즐(340)이 마련되는 제 2고정노즐유닛(370)은 분배장치(20)의 좌, 우측에 각각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131)와 제3유로(132) 사이에는 분배장치(미도시)가 별개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131)와 제3유로(132) 사이에 위치된 분배장치에 의해 제2유로(131)로 유입된 세척수는, 중간회전노즐(313)을 통해 분사되거나, 제3유로(13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유로(131)와 제3유로(132) 사이에 위치된 분배장치는, 제3유로(132)를 닫아 제2유로(131)로 유입된 세척수가 중간회전노즐(313)을 통해 분사되도록 하거나, 제2유로(131)와 중간회전노즐(313)의 연결부분을 닫아 제2유로(131)로 유입된 세척수가 모두 제3유로(132)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배장치는, 중간회전노즐(313)과 상부회전노즐(311) 모두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중간회전노즐(313)과 제3유로(132)를 모두 개방할 수도 있다.
제2유로(131), 제3유로(132)는 바스켓(12a, 12b)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유로(131), 제3유로(132)는 후벽(32)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본체(10) 내에서 섬프(10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후벽(3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제2유로(131)의 하부에 위치되고,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제 1고정노즐유닛(360) 및 제 2고정노즐유닛(3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분배장치(20)는 제2유로(131)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2유로(131)와 대략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섬프(100)는 바닥판(35)의 하부에 위치되어 세척조(30) 내에 위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분배장치(20)는 바닥판(35)의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조(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분배장치(20)의 일측에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430)가 장착되는 레일장착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어셈블리(430)는 바닥판(35)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세척조(3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배장치(20)의 타측에는 모터어셈블리(530)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30)는, 베인(4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어셈블리(430)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베인(400)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구비된다.
모터어셈블리(530)는 모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531)와 케이스(531)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53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31)의 상부는 개구되고, 커버(532)는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커버(532)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분배장치(20)의 케이스(21)는 커버(53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분배장치(20)는 모터(534)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제 1고정노즐유닛(360), 제 2고정노즐유닛(370) 및 제2유로(131)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섬프(100)로부터 공급된 물은 분배장치(20)에 의해 고정노즐어셈블리(320)를 통해 분사되거나, 중간회전노즐(313) 또는 상부회전노즐(31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배장치(20)에 의해 제 1고정노즐(33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만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분배장치(20)에 의해 제 1고정노즐(330) 과 추가 고정노즐(35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만 개방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은 분배장치(20)에 의해 분할 세척에만 관여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즉, 세척수는 분배장치(20)에 의해 제 1고정노즐(33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에서 분사되거나, 제 1고정노즐(330)과 추가 고정노즐(35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에서 분사되거나,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 모두에서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유로 구조, 고정노즐어셈블리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세척기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유동되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장치(20)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로 분배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분사노즐들(311,313,32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 2 유로(131) 또는 제3유로(132)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배장치(20)에 의해 제2유로(131)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2유로(131) 측에 위치된 다른 분배장치에 의해 중간회전노즐(313)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3유로(132)를 통해 상부회전노즐(31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로(131)로 유입된 세척수는 중간회전노즐(313)과 상부회전노즐(311) 모두를 통해 분사될 수도 있다.
분배장치(2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 전체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거나, 제 1고정노즐(33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게 하거나, 제 1고정노즐(330)과 추가 고정노즐(350), 또는 제 2고정노즐(3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분배장치(2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 또는 제2유로(131)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킬 수 있다. 분배장치(20)의 조작에 따라, 섬프(100)로부터 펌핑된 세척수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 측에만 유입되거나, 제2유로(131) 측으로만 유입되거나,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제2유로(131) 측에 모두 유입될 수도 있다.
분배 장치(20)는 상기 기재된 예보다 더 다양한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들(311,313,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가동 및 정지를 수 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노즐들(311,313,32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 펌프(52)가 가동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에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장치(20)는 케이스(21), 케이스(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22)는 모터(534)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케이스(21) 및 회전부재(22)는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21) 및 회전부재(22)의 형상은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21)는 섬프(100) 측과 연결된 제1유로(130)와 연결되는 유입구(210)를 포함한다. 섬프(100)의 세척수는 순환펌프(51)에 의해 펌핑되어 유입구(210)를 통해 케이스(21)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케이스(21)에는, 제2유로(131)에 대응되는 제1출구(211), 제 1고정노즐(330)에 대응되는 제2출구(212) 및 제 2고정노즐(340)에 대응되는 제3출구(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210)와 제1출구(211)는 케이스(21)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출구(212), 제3출구(213)는,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이 형성하는 제 2방향(Y)으로 연장된 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21)가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유입구(210)와 제1출구(211)는 곡면으로 형성된 케이스(21)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출구(212)와 제3출구(213)는 평면으로 마련된 케이스(2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22)는 케이스(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일측에는 케이스(21)에 구비되는 유입구(210)와 대응되는 유로입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에는 유로입구(220)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1유로출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출구(221)는 케이스(21)에 마련된 제1출구(211)에 대응될 수 있다. 유로입구(220)와 제1유로출구(221)는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유로입구(220)와 제1유로출구(221)가 연결되는 유로는 제1연결유로라 할 수 있다.
회전부재(22)에 구비되는 유로입구(220)와 케이스(21)에 구비되는 유입구(210)는 그 크기와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22)에 구비되는 제1유로출구(221)와 케이스(21)에 형성되는 제1출구(211)도 그 크기, 형상, 형성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1) 내에서의 회전부재(22)의 배치에 따라, 회전부재(22)에 구비되는 유로입구(220)와 케이스(21)에 구비되는 유입구(210)가 서로 연통되더라도, 유입구(210) 및 유로출구(220)를 통해 회전부재(22)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제1출구(211) 및 제1유로출구(221)를 통과할 수도 있고, 통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전부재(22)에는 케이스(21)의 제2출구(212) 및 제3출구(213)에 대응되는 제2유로출구(222) 및 제3유로출구(22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로출구(222)와 제3유로출구(223)는 서로 대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유로입구(220)와 제2유로출구(222)는 제2연결유로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유로입구(220)와 제3유로출구(223)는 제3연결유로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제1연결유로, 제2연결유로 및 제3연결유로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별개의 독립적인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결유로는 제1유로출구(221)가 위치되는 상부로, 제2연결유로는 제 1고정노즐(330)이 위치되는 좌측으로, 제3연결유로는 제 2고정노즐(340)이 위치되는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22)가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유로입구(220)와 제1유로출구(221)는 곡면으로 형성된 회전부재(22)의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유로출구(222)와 제3유로출구(223)는 원통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로출구(221)와 제3유로출구(223)는 서로 대향되어 위치되되, 그 크기 또는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22)의 배치에 따라, 분배장치(20) 내로 유입된 세척수가, 회전부재(22)에 마련된 제1유로출구(221)와 케이스(21)에 마련된 제1출구(212)를 통해 제 1고정노즐(330) 측으로 배출될 때, 세척수는 제2유로출구(223)와 제1출구(213)를 통해 제 2고정노즐(330) 측으로도 동시에 배출될 수도 있고, 배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일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2)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된 복수의 내부 유로들에 의해 복수의 유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단일한 회전부재(22)는 복수의 유로들 중 적어도 일부 유로에 선택적으로 세척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유로의 개폐가 단일한 회전부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유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양쪽 측면에는 캡부재(231,232)가 장착될 수 있다. 캡부재(231.232)는, 제2유로출구(222)가 형성되는 일면에 구비되는 제1캡부재(231)와, 제3유로출구(223)가 형성되는 타면에 구비되는 제2캡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캡부재(231)와 제2캡부재(232)는 얇은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어, 수압에 의해 제2유로출구(222) 또는 제3유로출구(223) 측에 밀착될 수 있다. 캡부재(231,232)에 의해 분배장치(20)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캡부재(231,232)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 대한 세척수의 유입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캡부재(231,232)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에 대한 세척수의 유입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캡부재(231)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제 1고정노즐유닛(360)의 복수의 연통부(363,36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22)의 일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캡부재(232)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제 2고정노즐유닛(370)의 개구부(37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22)의 다른 일 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 대한 세척수의 유입 여부를 조절하는 캡부재(231,232)의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에서는 회전부재(22)의 양쪽 측면에 구비되는 캡부재(231,232)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캡부재는 회전부재(22)에 구비되는 유로출구와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유로 사이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재(22)의 일측에는 모터(534)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력전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력전달부는 회전부재(22)의 일측에 마련된 기어부(227)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력 전달부가 기어부(227)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배장치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장치(20)는 모터(53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부재(22)가 케이스(2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유로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회전부재(22)와 모터(534)는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즉, 모터(534)의 구동력은 모터(534)와 연결된 복수의 기어들을 통해 회전부재(22)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부재(22)의 일측에는 기어부(227)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534)의 회전축(미도시)에는 구동기어(535b)가 연결되고, 구동기어(535b)에는 연결기어(535a)가 치합될 수 있다. 연결기어(535a)는 기어부(227)와 치합될 수 있다. 모터(534)의 구동력은 구동기어(535b), 연결기어(535a), 기어부(227)를 통해 회전부재(22)로 전달될 수 있다. 기어부(227)는 회전부재(2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기어(535)는 모터(534)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22)는 연결기어(535), 연결기어(535)와 치합된 기어부(227)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22)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유로(131),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모터(534)의 구동력은 기어 연결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회전부재(22)로 전달될 수 있다. 모터(534)의 구동력은, 풀리와 벨트 구조 등과 같은 타 연결구조에 의할 경우보다 기어 연결에 의해 더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기어 연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회전부재(22)의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등은 미리 설정된 정보대로 제어될 수 있다. 회전부재(22)는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선택된 유로만을 개방하도록 유로의 개폐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조(30)의 전(全) 영역에 세척수가 분사된다. 즉, 제 1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수가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을 통해 세척조(30)의 전 영역으로 분사된다.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조(30)의 일부 영역에만 세척수가 분사된다. 즉,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수가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통해 세척조(30)의 일부 영역으로 분사된다.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수는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통해 우측 영역으로 분사된다. 이 때,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되고,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추가 베인(45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도 8은 세척수가 우측 영역으로 분사되는 제 2세척 모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세척수가 좌측 영역으로 분사되는 제 2세척 모드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수가 제 2고정노즐(340)을 통해 세척조(30)의 일부 영역으로 분사된다. 제 2세척 모드에서는 세척수는 제 2고정노즐(340)을 통해 좌측 영역으로 분사된다. 이 때, 제 2고정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제 1고정노즐유닛(360) 및 제 2고정노즐유닛(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 및 제 2고정노즐유닛(370)은 제 2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 및 제 2고정노즐유닛(370) 사이에는 분배장치(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은 제2유로출구(222)가 형성되는 분배장치(2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노즐유닛(370)은 제3유로출구(223)가 형성되는 분배장치(20)의 다른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61,36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361,362)은 베인(400)과 마주하는 제 1케이싱(361) 및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 1케이싱(361)과 결합하는 제 2케에싱(36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싱(361)에는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 고정노즐(350)은 제 3방향(Z)으로 제 1고정노즐(3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 1케이싱(36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은 각각의 분사홀(331,351)이 베인(400)을 향하도록 제 1케이싱(36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은 복수의 연통부(363,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통부(363,364)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하는 제1캡부재(2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부(363,364)는 제1캡부재(2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분배장치(20)와 마주하는 케이싱(361,362)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연통부(363,364)는 제1캡부재(2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분배장치(20)와 마주하는 제 1케이싱(36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출구(222)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복수의 연통부(363,364)를 통과하여 제 1고정노즐유닛(360)의 내부로 유입된다.
복수의 연통부(363,364)는 제 1고정노즐(330)과 연통되는 제 1연통부(363) 및 추가 고정노즐(350)과 연통되는 제 2연통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연통부(364)는 제 3방향(Z)으로 제 1연통부(36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고정노즐유닛(370)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371,37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371,372)은 베인(400)과 마주하는 제 1케이싱(371) 및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 1케이싱(371)과 결합하는 제 2케이싱(3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싱(371)에는 제 2고정노즐(3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고정노즐(340)은 분사홀(341)이 베인(400)을 향하도록 제 1케이싱(371)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고정노즐유닛(370)은 개구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373)는 회전부재(22)와 함께 회전하는 제2캡부재(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개구부(373)는 제2캡부재(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분배장치(20)와 마주하는 케이싱(371,372)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부(373)는 제2캡부재(2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분배장치(20)와 마주하는 제 1케이싱(37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유로출구(223)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개구부(373)를 통과하여 제 2고정노즐유닛(37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1세척 모드에서의 캡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제 1세척 모드에서의 제1캡부재(231)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제 1세척 모드에서의 제2캡부재(232)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세척 모드에는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이 관여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캡부재(231)는 제 1고정노즐(330)과 연통되는 제 1연통부(363)를 개방하고, 추가 고정노즐(350)과 연통되는 제 2연통부(364)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2유로출구(222)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제 1연통부(363)를 통과하여 제 1고정노즐(330)로 공급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캡부재(232)는 제 2고정노즐(340)과 연통되는 개구부(373)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제3유로출구(223)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개구부(373)를 통과하여 제 2고정노즐(340)로 공급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의 캡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 2세척 모드에서의 제1캡부재(231)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제 2세척 모드에서의 제2캡부재(232)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이 관여하는 제 2세척 모드를 도시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캡부재(231)는 제 1고정노즐(330)과 연통되는 제 1연통부(363) 및 추가 고정노즐(350)과 연통되는 제 2연통부(364)를 모두 개방한다. 이에 따라, 제2유로출구(222)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제 1연통부(363)를 통과하여 제 1고정노즐(330)로 공급되고, 제 2연통부(364)를 통과하여 추가 고정노즐(350)로 공급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캡부재(232)는 제 2고정노즐(340)과 연통되는 개구부(373)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3유로출구(223)를 통해 유출된 세척수는 개구부(373)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제 2고정노즐(340)로 공급되지 못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인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마주하는 반사면(4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제 3방향(Z)을 따라 반사면(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11,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구간(411,412)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411) 및 식기 측으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제 1반사구간(4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4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의 이동방향은 제 2반사구간(412)을 통과하면서 식기를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1반사구간(411)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2반사구간(412)이 형성하는 각도(θ2)보다 클 수 있다. 제 2반사구간(412)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추가 베인(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은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인(400)은 추가 베인 체결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은 추가 베인 바디(451)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베인 바디(451)는 베인(400)과의 사이에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베인 바디(451)는 제 3방향(Z)으로 추가 베인 바디(451)와 베인(400) 사이에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추가 베인 바디(451)는 제 3방향(Z)으로 베인(400)의 반사면(4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가 베인 바디(451)는 제 1방향(X)으로 추가 베인 바디(451)와 베인(400) 사이에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추가 베인 바디(451)는 제 1방향(X)으로 베인(400)의 반사면(4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베인(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은 추가 베인 체결부(420)에 결합되도록 추가 베인 바디(451)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리브(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은 체결리브(425) 및 추가 베인 체결부(420) 사이의 결합에 의해 베인(40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은 베인(400)과 마찬가지로 반사면(410) 및 복수의 반사구간(411,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베인(450)의 반사면(410) 및 복수의 반사구간(411,412)에 대한 설명은 베인(400)의 반사면(410) 및 복수의 반사구간(411,41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바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이 관여하는 제 2세척 모드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되고,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추가 베인(45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구체적으로,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의 제 1반사구간(411)에 충돌한 후, 제 2반사구간(412)을 거쳐 식기 측으로 반사되고,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추가 베인(450)의 제 1반사구간(411)에 충돌한 후, 제 2반사구간(412)을 거쳐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추가 고정노즐(350)에 대응하는 추가 베인(450)을 더 설치함으로써, 제 1고정노즐(330)로부터 분사되어 베인(400)에 충돌 후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반사수(W1)와, 추가 고정노즐(350)로부터 분사되어 추가 베인(450)에 충돌 후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반사수(W2)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 2세척 모드에서 세척수가 도 13에 도시된 베인과 다른 형상의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추가 베인(450)을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 및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모두 베인(400)과 충돌하여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구체적으로, 제 1고정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 및 추가 고정노즐(35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모두 베인(400)의 제 1반사구간(411)에 충돌한 후, 제 2반사구간(412)을 거쳐 식기 측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베인(400) 상에 추가 베인(450)을 설치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제 1고정노즐(330)로부터 분사되어 베인(400)에 충돌 후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반사수(W1)와, 추가 고정노즐(350)로부터 분사되어 베인(400)에 충돌 후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반사수(W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에 있어서, 제 1케이싱의 내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제 1케이싱을 A-A'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은 각각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의 말단(end)에는 분사홀(331,351)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잎클로버 형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 2고정노즐(340)도 제 1고정노즐(330) 및 추가 고정노즐(35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각각의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가 형성되는 제 1유로구간(610) 및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를 통과한 세척수가 합류하는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700)가 형성되는 제 2유로구간(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또는 추가 고정노즐(350)로 유입된 세척수는 각각의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직진성(直進性)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사홀(331,341,351)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는 우수한 세척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베인(400)의 특정 위치에 일정하게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또는 추가 고정노즐(35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식기세척기의 세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의 고정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의 고정노즐을 B-B'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노즐은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고정노즐(3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노즐(330)은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은 세척수 수용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수용부(800)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를 통과한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세척수 수용부(800)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 및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보다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는 직선구간(701) 및 곡선구간(70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선구간(701)의 일 단부에는 분사홀(331)이 마련될 수 있다. 곡선구간(702)은 직선구간(701)의 다른 일 단부 및 세척수 수용부(800)를 연결할 수 있다. 곡선구간(702)의 너비는 세척수 수용부(800)에 인접할수록 넓고, 직선구간(701)에 인접할수록 좁을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길이를 "L1",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세척수 수용부(800)의 길이를 "L2",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으로 곡선구간(702)의 길이를 "L3"라고 정의할 때,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길이(L1), 세척수 수용부(800)의 길이(L2) 및 곡선구간(702)의 길이(L3)의 합(L)과 세척수 수용부(800)의 너비(D)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L/D > 2 [관계식1]
또한, 세척수 수용부(800)의 너비(D)는 10mm보다 클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은 가이드부재(910) 및 노즐 캡(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9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910)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922)와, 세척수 수용부(800)와,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일 단부에는 분사홀(331)이 형성되고, 노즐 캡(92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제 1나사산(9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나사산(921)은 노즐 캡(9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a)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고정노즐 결합부(365)를 가지는 케이싱(361,3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노즐 결합부(365)는 제 1케이싱(361)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은 고정노즐 결합부(365)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노즐 결합부(365)에는 제 1나사산(921)과 결합되는 제 2나사산(36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나사산(366)은 고정노즐 결합부(36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잎클로버 형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도 17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적용한 경우, 고정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직진성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고정노즐로부터 베인(400) 또는 추가 베인(450)을 향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움직임을 "X축방향 움직임"이라고 정의할 경우, "X축방향 움직임"을 제외한 "Y축방향 움직임" 및 "Z축방향 움직임"의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 도면은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길이(L1), 세척수 수용부(800)의 길이(L2) 및 곡선구간(702)의 길이(L3)의 합(L)과 세척수 수용부(800)의 너비(D)가 관계식1을 만족하지 않고,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가 10mm보다 작은 고정노즐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우측 도면은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길이(L1), 세척수 수용부(800)의 길이(L2) 및 곡선구간(702)의 길이(L3)의 합(L)과 세척수 수용부(800)의 너비(D)가 관계식1을 만족하고,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가 10mm보다 큰 고정노즐을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길이(L1), 세척수 수용부(800)의 길이(L2) 및 곡선구간(702)의 길이(L3)의 합(L)과 세척수 수용부(800)의 너비(D)가 관계식1을 만족하고,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가 10mm보다 크도록 고정노즐을 설계할 경우, 고정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직진성(直進性)이 향상될 수 있다. 실험 결과, 고정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직진성이 기존 대비 약 12%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노즐은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고정노즐(3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노즐(330)은 가이드부재(910) 및 노즐 캡(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910)는 케이싱(361,36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부재(910)는 케이싱(361,362)으로부터 베인(4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910)는 제 1케이싱(361)으로부터 베인(4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9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910)의 외주면에는 제 2나사산(366)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910)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922)와, 세척수 수용부(800)와,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일 단부에는 분사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제 1나사산(9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나사산(921)은 노즐 캡(9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은 가이드부재(9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 1나사산(921) 및 제 2나사산(366)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노즐은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고정노즐(3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노즐(330)은 가이드부재(910) 및 노즐 캡(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910)는 제 2케이싱(362)으로부터 베인(4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은 제 1케이싱(361)으로부터 베인(4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910)와 결합하여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922)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내부에는 세척수 수용부(800) 및 단일의 제 2분사유로(7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즐 캡(920)의 일 단부에는 분사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에 있어서, 복수의 제 1분사유로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가이드부재(910)에 형성된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노즐은 제 1고정노즐(330), 제 2고정노즐(340) 및 추가 고정노즐(3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세잎클로버 형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단면은 물방울 형상일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벌집 형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단면은 육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는 네잎클로버 형상 또는 세잎클로버 형상의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배치관계 및 각각의 복수의 제 1분사유로(600)의 단면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베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베인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400a)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마주하는 반사면(4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400a)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제 3방향(Z)을 따라 반사면(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11,412,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사구간(411,412,413)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411), 식기 측으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제 1반사구간(4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412) 및 제 1반사구간(411)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4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제 1반사구간(411)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2반사구간(412)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3반사구간(413)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클 수 있다.
또한,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2반사구간(412)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1반사구간(411)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3반사구간(413)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1반사구간(411)이 형성하는 각도(θ1),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2반사구간(412)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제 3반사구간(413)이 형성하는 각도(θ3)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θ1> θ3> θ2 [관계식2]
바람직하게는, 제 3방향(Z)으로 제 1반사구간(411)의 높이를 "h1", 제 3방향(Z)으로 제 2반사구간(412)의 높이를 "h2" 및 제 3방향(Z)으로 제 3반사구간(413)의 높이를 "h3"라고 정의할 때, h1, h2 및 h3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h2> h1> h3 [관계식3]
관계식2 및 관계식3을 만족하도록 베인(400a)을 설계할 경우, 베인(400a)에 충돌 후 식기를 향하여 반사되는 반사수의 세기가 기존 대비 약 47%이상 증가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 26에 도시한 베인과 다른 형상의 베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6 및 도 2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400b)은 리브(rib)(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330) 및 제 2고정노즐(340)이 각각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복수의 제 2고정노즐을 포함할 경우, 리브(425)는 각각의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복수의 제 2고정노즐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격구간(427)을 구획하도록 반사면(410)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타격구간(427)에는 함몰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브(425)를 이용하여 베인(400b)의 반사면(410)을 복수의 타격구간(427)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타격구간(427)에 함몰부(426)를 형성할 경우, 베인(400b)에 충돌 후 식기를 향하여 반사되는 반사수의 세기가 기존 대비 약 73%이상 증가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베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세척수가 도 29에 도시된 베인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는 양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제 2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고정노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400c)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제 1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인(400c)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마주하는 반사면(4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400c)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제 1방향(X)과 직교하는 제 2방향(Y)을 따라 반사면(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29)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베인(400c)은 식기와 식기 사이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제 2방향(Y)을 따라 반사면(4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노즐유닛(36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29) 및 제 2고정노즐유닛(37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반사구간(429)은 서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H)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복수의 반사구간(429)을 반사면(410)에 제 2방향(Y)을 따라 형성할 경우, 도 3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식기와 식기 사이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어 식기를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복수의 반사구간(429)에는 도 26 및 도 2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반사구간(411,412,4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9 및 도 30에서 설명한 복수의 반사구간(429)은 도 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베인(400) 내지 추가 베인(45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1: 도어 12a: 상부 바스켓
12b: 하부 바스켓 20: 분배장치
21: 케이스 22: 회전부재
30: 세척조 31: 상부벽
32: 후벽 35: 바닥판
51: 순환 펌프 100: 섬프
130: 제 1유로 131: 제 2유로
132: 제 3유로 202: 레일장착부
210: 유입구 211: 제1출구
212: 제2출구 213: 제3출구
220: 유로입구 221: 제1유로출구
222: 제2유로출구 223: 제3유로출구
227: 기어부 231: 제1캡부재
232: 제2캡부재 311: 상부 회전 노즐
313: 중간 회전 노즐 314: 분사홀
320,320a: 고정노즐어셈블리 331,341,351: 분사홀
330: 제 1고정노즐 340: 제 2고정노즐
350: 추가 고정노즐 360: 제 1고정노즐유닛
361: 제 1케이싱 362: 제 2케이싱
363: 제 1연통부 364: 제 2연통부
365: 고정노즐 결합부 366: 제 2나사산
370: 제 2고정노즐유닛 371: 제 1케이싱
372: 제 2케이싱 373: 개구부
400,400a,400b,400c: 베인 410: 반사면
411: 제 1반사구간 412: 제 2반사구간
413: 제 3반사구간 420: 추가 베인 체결부
425: 리브 426: 함몰부
427: 타격구간 429: 반사구간
430: 레일어셈블리 450: 추가 베인
451: 추가 베인 바디 452: 체결리브
530: 모터어셈블리 531: 케이스
532: 커버 534: 모터
535a: 연결기어 535b: 구동기어
600: 제 1분사유로 610: 제 1유로구간
700: 제 2분사유로 701: 직선구간
702: 곡선구간 710: 제 2유로구간
800: 세척수 수용부 910: 가이드부재
920: 노즐 캡 921: 제 1나사산
922: 가이드부재 수용부 52: 배수 펌프

Claims (27)

  1.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며, 세척수를 제 1방향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 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
    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베인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 2고정노즐; 및
    상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방향과 직교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제 2고정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큰 식기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은 식기세척기.
  5.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며, 세척수를 제 1방향으로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 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제 1고정노즐;
    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베인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1고정노즐과 함께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베인과 상기 제 1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방향과 직교하는 제 3방향으로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제 2고정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고정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고정노즐은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추가 고정노즐과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에 관여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고정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베인 상에 설치되는 추가 베인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추가 베인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베인은,
    상기 베인과의 사이에 상기 세척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인 상에 설치되는 추가 베인 바디; 및
    상기 추가 베인 체결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추가 베인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큰 식기세척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은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제 2고정노즐은 각각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복수의 제 2고정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 1고정노즐 및 상기 복수의 제 2고정노즐에 대응하는 복수의 타격구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반사면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격구간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고정노즐, 상기 제 2고정노즐 및 상기 추가 고정노즐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는 제 1유로구간;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상기 제 1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통과한 세척수가 합류하는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가 형성되는 제 2유로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사구간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타격되는 제 1반사구간;
    상기 식기 측으로 상기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반사구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반사구간; 및
    상기 제 1반사구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3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큰 식기세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2)는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1)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반사구간이 형성하는 각도(θ3)보다 작은 식기세척기.
  19.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고, 분사홀이 형성되는 고정노즐을 포함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의 분사홀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 1분사유로;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일(單一)의 제 2분사유로; 및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통과한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 및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 및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보다 넓은 너비를 가지는 세척수 수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는,
    일 단부에 상기 분사홀이 마련되는 직선구간; 및
    상기 직선구간의 다른 일 단부 및 상기 세척수 수용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의 길이(L1),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 수용부의 길이(L2) 및 상기 고정노즐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곡선구간의 길이(L3)의 합(L)과, 상기 세척수 수용부의 너비(D) 사이의 비(比)는 2보다 큰 식기세척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은,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와,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고정노즐 결합부를 가지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캡은 상기 고정노즐 결합부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가 수용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와,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베인과 마주하는 제 1케이싱 및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케이싱과 결합하는 제 2케이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은,
    상기 제 2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1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가이드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복수의 제 1분사유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 수용부가 마련되는 노즐 캡;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캡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 수용부와, 상기 단일의 제 2분사유로가 더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27. 본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제 1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와 마주하는 반사면; 및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직교하는 제 2방향을 따라 상기 반사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반사구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60112871A 2016-09-01 2016-09-01 식기세척기 KR10262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71A KR102627717B1 (ko) 2016-09-01 2016-09-01 식기세척기
US15/642,670 US10702123B2 (en) 2016-09-01 2017-07-06 Dishwasher
CN201780053743.7A CN109640778B (zh) 2016-09-01 2017-07-26 洗碗机
EP17846843.5A EP3484336B1 (en) 2016-09-01 2017-07-26 Dishwasher
PCT/KR2017/008048 WO2018043918A1 (en) 2016-09-01 2017-07-26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71A KR102627717B1 (ko) 2016-09-01 2016-09-0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61A KR20180025761A (ko) 2018-03-09
KR102627717B1 true KR102627717B1 (ko) 2024-01-23

Family

ID=6124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71A KR102627717B1 (ko) 2016-09-01 2016-09-0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2123B2 (ko)
EP (1) EP3484336B1 (ko)
KR (1) KR102627717B1 (ko)
CN (1) CN109640778B (ko)
WO (1) WO2018043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2806A4 (en) 2016-06-17 2020-02-26 Immersive Robotics Pty Ltd IMAGE COMPRESSION METHOD AND DEVICE
US11150857B2 (en) 2017-02-08 2021-10-19 Immersive Robotics Pty Ltd Antenna control for mobile device communication
EP3714598A4 (en) 2017-11-21 2021-03-31 Immersive Robotics Pty Ltd SELECTING A FREQUENCY COMPONENT FOR IMAGE COMPRESSION
AU2018372561B2 (en) 2017-11-21 2023-01-05 Immersive Robotics Pty Ltd Image compression for digital reality
EP3868278B1 (en) * 2018-10-16 2023-08-09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Spray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dish-washing machine
KR102641377B1 (ko) * 2018-12-12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641369B1 (ko) * 2018-12-12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627641B1 (ko) 2021-09-03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9167A1 (en) 2013-04-05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102A (ja) 1993-10-25 1995-05-09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869620B2 (ja) 1994-11-22 1999-03-10 島田理化工業株式会社 洗浄用スプレイノズル
KR0141002B1 (ko) 1996-02-23 1998-07-01 김광호 식기세척기의 물분사장치
US7445013B2 (en) * 2003-06-17 2008-11-04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wash zone dishwasher
JP2008073131A (ja) 2006-09-20 2008-04-03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い機
JP2009089968A (ja) 2007-10-10 2009-04-30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JP2011092316A (ja) 2009-10-28 2011-05-12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KR101223014B1 (ko) 2011-04-15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 노즐 세정 장치
JP5834609B2 (ja) 2011-08-08 2015-12-24 三浦工業株式会社 噴射ノズル
US9119517B2 (en) 2011-10-17 2015-09-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spray manifol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37056B1 (ko) 2012-06-05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140121337A (ko) * 2013-04-05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9901240B2 (en) * 2013-08-26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ne adjustment and adaptable wash cycle control
KR102128283B1 (ko) * 2013-11-11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90460A1 (en) * 2013-12-20 2015-06-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rrangement in a dishwasher for creating a wash zone with intensified washing
KR102306964B1 (ko) * 2013-12-31 2021-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150080358A (ko) 2013-12-31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079942B1 (ko) 2013-12-31 2020-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046046B1 (ko) * 2013-12-31 201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61525B1 (ko) * 2013-12-31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088846B1 (ko) * 2013-12-31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20150128094A (ko) 2014-05-08 2015-11-18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장착용 소화용 노즐 장치
KR101667589B1 (ko) 2014-06-12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9480386B2 (en) 2014-10-20 2016-11-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s having deflection assemblies
KR102343093B1 (ko) * 2015-02-23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9167A1 (en) 2013-04-05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0778B (zh) 2022-04-19
WO2018043918A1 (en) 2018-03-08
US10702123B2 (en) 2020-07-07
EP3484336B1 (en) 2020-11-25
EP3484336A1 (en) 2019-05-22
EP3484336A4 (en) 2019-07-17
US20180055332A1 (en) 2018-03-01
KR20180025761A (ko) 2018-03-09
CN109640778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717B1 (ko) 식기세척기
KR102565551B1 (ko) 식기 세척기
EP2271800B1 (en) Washing machine
KR20120140680A (ko) 식기 세척기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KR102622707B1 (ko) 식기세척기
KR102079942B1 (ko) 식기 세척기
KR101397053B1 (ko) 세탁기
KR102384469B1 (ko) 분배기를 가진 식기 세척기
KR101776629B1 (ko) 식기세척기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170100304A (ko) 식기 세척기
KR101155344B1 (ko) 식기 세척기
KR101598753B1 (ko) 식기 세척기
KR101063527B1 (ko) 식기 세척기
KR20120126596A (ko) 식기세척기
KR102343467B1 (ko) 식기 세척기
KR1017682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78128A (ko) 식기 세척기
KR101691838B1 (ko) 식기 세척기
JPH02220625A (ja) 食器洗い機
KR20070037170A (ko) 식기세척기의 코너영역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