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506B1 -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506B1
KR102625506B1 KR1020230092355A KR20230092355A KR102625506B1 KR 102625506 B1 KR102625506 B1 KR 102625506B1 KR 1020230092355 A KR1020230092355 A KR 1020230092355A KR 20230092355 A KR20230092355 A KR 20230092355A KR 102625506 B1 KR102625506 B1 KR 10262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waste tires
composi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승
홍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덴21
홍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덴21, 홍수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덴21
Priority to KR102023009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7/00Compositions of reclaimed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8L61/2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with urea or thio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07C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Reduction Material Composition of Noise Between Floors and Preparation Methods of Reduction Material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층으로 주거공간 등이 형성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는 상하층으로 주거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소음이 하층에 전달된다.
이러한 층간소음은 상하층 입주자들 간의 생활불편을 느끼게 되며, 급기야는 이웃간에 층간소음으로 인한 많은 분쟁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주생활공간인 공동주택의 경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와 바닥 등을 이웃과 공유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견고성이 강한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 전달성이 매우 강하여 각종 생활소음이 이웃으로, 특히 아랫층으로 전달되어 문제가 발생되므로 건축물 시공법규상 층간소음을 규제하고 있으며, 건축물 시공시 층간소음 문제해소를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나라 공동주택은 통상 두께가 120 ~ 200 mm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 및 바닥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건물구조체로 구성되는 벽식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는 재료의 특성상 강성이 있기 때문에 말소리, TV 소음 등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공기 전달음에 대해서는 충분한 차단성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의 경우 콘크리트는 자체 진동 감쇄능력이 매우 작기 때문에 인접 세대로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공동주택에서의 이러한 고체 전달음은 위층에서 뛰는 소리, 걷는 소리, 물건을 떨어뜨리는 소리, 문을 여닫는 소리, 망치 소리, 급배수관, 화장실 하수관 등에서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이 있으며, 이러한 계통의 소음은 소음방해 및 집중력 저하를 일으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복층건물의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각층의 바닥슬라브와 마감모르타르 콘크리트층 사이에 탄성EPS(발포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완충재를 설치하여 바닥충격음 소음구조층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 층간 소음차단을 위한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콘크리트사이에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완충재를 구성하여 바닥충격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완충재가 바닥표면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바닥충격음을 일차적으로 직접 차단하기 못하고, 기포경량콘크리트까지 전달된 후에 차음하기 때문에 차음효율은 물론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공법들은 슬라브 위에 자갈 등을 깔고 그 위에 시멘트를 타설하는 등 4단계 내지 5단계의 공정을 거쳐 시멘트를 경화시키고, 그 위에 완충재 등 층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탄성매트 등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역시 많은 공정등을 거치는 관계로 시공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며, 그에 따라 인건비 등이 추가되어 시공비가 많이 들어가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완충재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실용신안등록 제20-0403182호 '층간소음 방지제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224호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제'와, 특허 제10-1283869호 '층간차음제 및 이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등이 제시된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제시되고 있는 완충재의 구조 역시, 발포폴리스티렌으로 구성되는 완충시트 일측, 혹은 양측에 필름시트를 열융착시키거나 접착제로 접합한 구조이고, 상기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의 크기도 완충시트와 동일한 크기로 접합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재 중 완충시트 일측에 접합되는 필름시트를 접착제로 접합시킬 경우, 필름시트와 완충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가 산화되면서 가스공기층이 형성되어 필름시트가 부풀어 올라 형태가 변형될 뿐 아니라, 산화가스에 의해 필름시트가 변색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바닥 상에 완충재를 시공할때 연결부위에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고 있으나, 연결부위 직상부에 접착테이프를 바로 접착하는 구조이므로, 접착불량으로 인한 방습기능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20-0403182호 특허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224호 특허문헌 3. 특허등록 제10-12838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가열하여 혼합하는 가열혼합단계;
상기 가열혼합단계가 종료된 후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압출하여 판상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판상으로 성형된 성형물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접착제 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물성은 물론, 흡음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가열하여 혼합하는 가열혼합단계; 상기 가열혼합단계가 종료된 후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압출하여 판상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판상으로 성형된 성형물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접착제 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의 상층에서 가해지는 충격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는 완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탄성력, 결속력 및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폐타이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파쇄, 조각, 칩 , 분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가열혼합시 쉽게 용융되기 위하여 분말 즉 폐타이어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는 바, 이러한 경우 폐타이어를 절삭한 뒤 볼밀 등을 이용하여 분말화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폐타이어 분말의 평균입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폐타이어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르크 분말은 완충재 조성물에 포함되어 높은 충격 흡수성을 제공하여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단열성으로 인해 적절한 온도를 유지시켜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코르크 분말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코르크 분말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분말의 평균입도는 0.1 내지 10mm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르크 분말은 그 평균입경이 0.1mm 미만인 경우 분말화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10mm를 초과하는 경우 입자 사이의 공극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코르크 분말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는 충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바인더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요소수지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경화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CaCO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칼슘은 완충재 조성물내에 발생하는 공극을 충전하고, 용적을 증대시키며 일정 두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증량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탄산칼슘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숯가루는 높은 공극율로 인하여 완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제습 및 항균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숯가루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볼밀로 분말화한 숯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숯가루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규조토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포함되어 다공성을 제공하여 제조되는 완충재의 완충성을 향상시키며, 새집증후군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 등의 휘발성유기화??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규조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규조토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세피올라이트는 완충재 조성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염분 및/또는 수분 등이 조성물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조성물의 부식을 억제하는 동시에 악취 등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피올라이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세피올라이트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우수한 강도성능, 습윤경화성능, 성능회복성능, 균열억제성능 및 고내구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황산마그네슘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황산마그네슘의 함량이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인 겅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비용이 과다하여 좋지 않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및/또는 경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방해석 분말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방해석은 순수한 물에는 녹지 않는 성질이 있으며, 산성환경에 대한 완충역할도 함께 할 수 있고, 바람직한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이 신속히 경화를 진행하여도 크랙 및 탈락현상을 개선하고, 조성물의 가공성, 밀착력 및 안정성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조성물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표면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분산성 향상 및 재료의 안정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열성 및 내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니켈슬래그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또한, 상기 니켈슬래그분말은 니켈 제련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인 니켈슬래그를 분쇄한 것으로 상기 니켈슬래그 분말은 MgO 성분이 30-35중량% 함유되어 있어 이 성분은 열과 산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니켈슬래그 분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3㎛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열성, 탄성회복력, 및 내주름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Isononyl Phthalate, (DIN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항균성 및 산화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선하고, 분산성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렌-부타디엔 수지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내수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붕산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붕산 화합물로는 오르토붕산, 메타붕산, 사붕산, 붕산 메틸, 붕산 에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르토붕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 내열성, 내염성 및 접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재료분리 저항성, 작업성 및 동결융해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미다졸린베타인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화성, 내수성 및 탈취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리사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세리사이트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질로서, 안정성, 윤활성, 보습성 등이 뛰어나므로 이를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식성 및 내구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징크 크로메이트(zinc chromate)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 내식성 및 내구성은 개선되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1중량부 미만이면 재료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연성, 신축성, 탄성, 및 자외선 저항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열화방지, 내구성, 경화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산패 발생 및 노화방지와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빠른 경화특성을 제공하여 재료분리 억제 및 재료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습윤경화성능, 균열억제성능, 및 수축 저항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순지트(Shungite) 미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순지트는 규산염과 플러렌이 주성분인 광물질로서 항산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순지트 미분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응집력, 내수성, 동결융해, 및 염해에 대한 내성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디아미노디페닐술폰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디아미노디페닐술폰은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작업성 및 흡습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방수성, 수밀성, 내산성 및 중성화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티탄산칼륨마그네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티탄산칼륨마그네슘은 산화티타늄원, 산화칼륨원 및 산화마그네슘원을 70 내지 80 : 15 내지 25 : 5 내지 15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1300 내지 1500℃의 온도로 용융시키고, 냉각한 후, 평균입경이 1 내지 30 μm가 되도록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에 방염성을 부여하며, 녹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인산암모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균열저감 및 내마모성, 내염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질화갈륨(GaN) 미분말을 더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질화갈륨의 평균입도는 1 내지 5㎛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구성, 내충격성 및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신율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아크릴로니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충격성, 내약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인장강도, 내마모성, 탄성, 내유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함량이 3중량부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작업성은 개선되나 인장강도, 내마모성, 탄성, 내유성, 내열성 개선효과가 미약해진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노화방지, 박리방지 및 균열 저항성 향상을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글루코노락톤(gluconolacto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산소의 접촉에 의한 화학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조성물이 산화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어 고유물성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페이트(Distear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구아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아검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천연수지로서, 수화반응에 의한 팽창 및 탈수에 의한 수축작용과, 조성물의 수화반응에 의한 고화시 팽창작용과의 상호작용으로 공극이 발생하며, 이러한 공극과 천연수지인 구아검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흡수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완충재로 성형되는 성형품의 표면 전기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먼지의 흡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분산성 및 유동성을 일정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이타코닉 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가소성 및 성형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ethylene bis stearamide)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이 공기, 빛 및 수분에 노출될 때 산화되어 변색이 발생되어 외관을 해침은 물론, 조성물의 물리적인 특성의 급격한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적동석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적동석은 황화구리 광물의 풍화에 의해 생성되는 2차 광물로서 구리 이온이 용출하기 쉽기 때문에, 용출된 구리 이온이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와 접촉함으로써 효소나 단백질과 결합해 활성을 저하시켜 미생물 및 바이러스의 대사 기능을 저하시키고, 용출된 구리 이온의 촉매 작용에 의해서 공기 중의 산소를 활성화하여, 미생물 및 바이러스의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구성, 내마모성, 및 강도를 개선하고, 장시간 경과하여도 들뜸이나 박리 등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인산아연(Zn3(PO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항균작용을 부여하고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포함된 중금속의 제거를 위하여 카르복시메틸 키토산(carboxymethyl chitosan)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카르복시메틸 키토산은 키토산 유도체로서 통상 게, 새우 등의 갑각류의 껍데기로부터 추출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이 우수한 표면경도, 내약품성 및 내오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5중량부의 테트라프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FE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혼합시 반응속도를 빠르게 하고,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들 간의 윤활작용과 고온에서 높은 점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폴리에틸렌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후성 및 흡착력을 증가시키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정화 작용 및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바인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규사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규산나트륨은 세라믹 결합제로서 내후성 및 흡착력을 증가시키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정화 작용 및 자외선 파장영역 전체와 가시광선 파장 영역 전체에 걸쳐 흡수하는 효과적인 자외선 안정제 역할을 부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 강도 개선, 동결융해 및 염해에 대한 내성, 수축 저항성능 개선, 불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 게르마늄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부착력, 응집력 및 재료분리 방지성 등을 개선하고, 수축 저항성, 부착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등의 물리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메틸폴리스티렌 수지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동성, 방수성, 내수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내마모성, 균열저감효과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황화 몰리브덴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흡착력, 탈취, 내열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근교린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곤교린은 굴폐각을 소성하여 얻어진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생굴패각을 700 내지 900 ℃의 온도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소성 및 분쇄하고 수화 및 탄산화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반응성을 개선하여 강도를 발현하고, 내오염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타인산 나트륨(sodium metaphosphate)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열적??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화성을 개선하고 충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규산알루미늄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접착 강도 특성과 내마모성,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후성을 개선하기 위해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의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제조방법은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의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이용한 완충제 제조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이용한 완충재 제조방법은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가열하여 혼합하는 가열혼합단계;
상기 가열혼합단계가 종료된 후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압출하여 판상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판상으로 성형된 성형물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접착제 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지가 부착된 완충재의 두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3 내지 6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폐타이어 100g, 평균입경이 약 0.5mm인 코르크 분말 30g, 우레탄 수지 12g, 평균입경이 약 450nm인 실리콘카바이드 10g, 탄산칼슘 3g, 숯가루 3g, 규조토 3g, 세피올라이트 3g, 및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1.5g을 혼합하여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산마그네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방해석 분말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2㎛인 니켈슬래그 분말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오르토붕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미다졸린베타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리사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징크 크로메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순지트 미분말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티탄산칼륨마그네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인산암모늄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질화갈륨 미분말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크릴로니트릴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루코노락톤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구아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타코닉 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틸렌 비스 스테아마이드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적동석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인산아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시메틸 키토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프루오르에틸렌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2-브로모피리딘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 왁스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화 게르마늄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미노메틸폴리스티렌 수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황화 몰리브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근교린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타인산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산알루미늄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시클로헥실암모늄 2-시아노아크릴레이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9에 따라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가열혼합 한 뒤 압출하여 약 30mm 두께의 판상형 완충제를 제작한 후 기계적 물성, 예를 들면 흡음률,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여기서, 흡음률은 흡음률 평가방법인 ISO R 354, Alpha Cabin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인장강도는 KS F 4919에 준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KS F 4919에 준하여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흡음률 인장강도 신율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kgf/cm2) %
실시예 1 0.18 0.36 0.72 0.95 1.22 57 251
실시예 2 0.24 0.42 0.86 1.14 1.37 59 256
실시예 3 0.15 0.40 0.85 1.07 1.25 54 254
실시예 4 0.21 0.39 0.71 0.96 1.24 52 246
실시예 6 0.19 0.34 0.81 0.93 1.16 62 261
실시예 7 0.26 0.35 0.95 1.18 1.39 60 259
실시예 8 0.17 0.36 0.72 0.95 1.22 57 251
실시예 9 0.23 0.41 0.87 1.11 1.26 56 253
실시예 10 0.15 0.40 0.85 1.07 1.25 55 254
실시예 11 0.21 0.39 0.71 0.96 1.24 53 245
실시예 12 0.20 0.34 0.83 0.98 1.26 59 264
실시예 13 0.26 0.36 0.96 1.08 1.41 64 262
실시예 14 0.19 0.37 0.81 1.02 1.21 53 256
실시예 15 0.23 0.41 0.85 1.15 1.36 55 253
실시예 16 0.16 0.40 0.85 1.07 1.25 57 254
실시예 17 0.22 0.37 0.71 0.96 1.24 54 243
실시예 18 0.19 0.39 0.81 0.93 1.16 65 252
실시예 19 0.25 0.39 0.95 1.13 1.39 58 254
실시예 20 0.21 0.36 0.76 0.99 1.20 56 252
실시예 21 0.23 0.43 0.87 1.15 1.36 57 255
실시예 22 0.22 0.45 0.86 1.17 1.35 55 253
실시예 23 0.19 0.40 0.82 1.08 1.25 56 253
실시예 24 0.20 0.33 0.88 0.96 1.26 64 253
실시예 25 0.21 0.35 0.96 1.13 1.34 56 253
실시예 26 0.20 0.36 0.82 0.96 1.22 57 252
실시예 27 0.23 0.45 0.87 1.34 1.37 57 254
실시예 28 0.21 0.41 0.95 1.27 1.25 55 247
실시예 29 0.22 0.39 0.71 0.96 1.24 57 245
실시예 30 0.20 0.37 0.96 0.96 1.26 63 258
실시예 31 0.26 0.35 0.95 1.18 1.30 62 253
실시예 32 0.20 0.36 0.72 0.93 1.32 56 254
실시예 33 0.23 0.42 0.86 1.14 1.37 58 246
실시예 34 0.19 0.41 0.85 1.07 1.25 58 257
실시예 35 0.20 0.39 0.71 0.96 1.24 56 244
실시예 36 0.21 0.35 0.81 0.93 1.16 61 258
실시예 37 0.26 0.36 0.95 1.18 1.39 62 248
실시예 38 0.18 0.37 0.82 1.02 1.27 60 255
실시예 39 0.24 0.42 0.91 1.13 1.37 58 253
실시예 40 0.23 0.40 0.86 1.09 1.25 55 256
실시예 41 0.21 0.39 0.71 0.96 1.24 57 253
실시예 42 0.20 0.34 0.81 0.93 1.16 58 257
실시예 43 0.21 0.35 0.82 0.94 1.21 57 256
실시예 44 0.24 0.36 0.85 0.94 1.24 57 258
실시예 45 0.20 0.37 0.83 0.96 1.25 57 254
실시예 46 0.20 0.35 0.83 0.93 1.16 62 258
실시예 47 0.21 0.37 0.87 0.95 1.37 58 254
실시예 48 0.19 0.36 0.82 1.02 1.28 59 257
실시예 49 0.24 0.42 0.92 0.95 1.36 58 253
실시예 50 0.24 0.41 0.85 1.08 1.26 56 25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는 저주파수 음역부터 고주파수 음역에서 흡음률이 좋았으며, 인장강도 및 신율이 건축재로서 충분한 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방해석 분말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이미다졸린베타인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질화갈륨 미분말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페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구아검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적동석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카르복시메틸 키토산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2-브로모피리딘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산화 게르마늄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이황화 몰리브덴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메타인산 나트륨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코르크 분말 20 내지 40중량부, 바인더 5 내지 20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15중량부, 탄산칼슘 1 내지 5중량부, 숯가루 1 내지 5중량부, 규조토 1 내지 5중량부, 세피올라이트 1 내지 5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3중량부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에, 방해석 분말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수지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이미다졸린베타인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질화갈륨 미분말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페이트를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구아검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적동석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카르복시메틸 키토산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2-브로모피리딘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산화 게르마늄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이황화 몰리브덴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메타인산 나트륨을 폐타이어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가열하여 혼합하는 가열혼합단계;
    상기 가열혼합단계가 종료된 후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을 압출하여 판상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판상으로 성형된 성형물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접착제 도포면에 이형지를 부착시키는 이형지 부착단계를 포함하는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20230092355A 2023-07-17 2023-07-17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KR10262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355A KR102625506B1 (ko) 2023-07-17 2023-07-17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355A KR102625506B1 (ko) 2023-07-17 2023-07-17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506B1 true KR102625506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355A KR102625506B1 (ko) 2023-07-17 2023-07-17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5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82Y1 (ko) 2005-05-18 2005-12-09 주식회사 토일론 층간소음 방지재
KR20100000224U (ko)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283869B1 (ko)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1765337B1 (ko) * 2017-03-05 2017-08-04 문진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1803508B1 (ko) * 2016-02-26 2017-12-01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친환경 성능과 항균 및 항 곰팡이 효율을 갖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용 점탄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탄성 감쇠재
KR102100413B1 (ko) * 2019-12-23 2020-04-14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JP2021130265A (ja) * 2020-02-20 2021-09-0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構造体、防音材、ポリウレタン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ウレタン膜形成用液状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82Y1 (ko) 2005-05-18 2005-12-09 주식회사 토일론 층간소음 방지재
KR101283869B1 (ko) 2008-05-21 2013-07-08 (주)엘지하우시스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20100000224U (ko) 2008-06-30 2010-01-07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803508B1 (ko) * 2016-02-26 2017-12-01 (주)친환경건축디자인시공연구센터 친환경 성능과 항균 및 항 곰팡이 효율을 갖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용 점탄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탄성 감쇠재
KR101765337B1 (ko) * 2017-03-05 2017-08-04 문진호 층간소음방지용 완충재 제조방법
KR102100413B1 (ko) * 2019-12-23 2020-04-14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JP2021130265A (ja) * 2020-02-20 2021-09-09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構造体、防音材、ポリウレタン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ポリウレタン膜形成用液状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CN104131680B (zh) 镁制集装箱房屋专用地板及其制造方法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636337B1 (ko) 방수용 경량 타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535151B1 (ko) 흡습성 및 방습성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용 건축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298009B (zh) 一种可释放负氧离子的蛭石硅酸钙复合板及其制备方法
KR101858122B1 (ko) 친환경 무기계 나노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기능성 타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0788746B1 (ko)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콘크리트슬래브의 충격소음 저감방법
KR102625506B1 (ko) 층간소음 방지용 완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제조방법
KR100833871B1 (ko)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무기폴리머계 내산모르타르 조성물
CN108675739B (zh) 一种加气混凝土砌块专用粘结料
KR102087838B1 (ko)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054068B1 (ko)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1998B1 (ko) 친환경 기능성 건축마감재 조성물이 구비된 경량 콘크리트패널, 및 상기 경량 콘크리트패널이 이중으로 배치된 마감패널
KR20140044534A (ko) 친환경 무기 바름재 조성물.
KR101267576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KR101395608B1 (ko) 플라이애쉬 층을 포함하는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CN109133838B (zh) 一种防腐抗菌的瓷砖填缝剂及其制备方法
KR20050090141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용 수성 도막식 적층형 바닥재
KR101054067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2212B1 (ko) 유해물질 저감 및 조습 성능을 갖는 저에너지 경화 건축 내외장재
CN1260288C (zh) 防水性隔热保温材料
KR101243163B1 (ko) 네프라이트를 포함하는 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KR101282375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니들펀칭 부직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4201B1 (ko) 황토를 포함한 친환경 건축재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