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408B1 -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 Google Patents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408B1
KR102625408B1 KR1020227003008A KR20227003008A KR102625408B1 KR 102625408 B1 KR102625408 B1 KR 102625408B1 KR 1020227003008 A KR1020227003008 A KR 1020227003008A KR 20227003008 A KR20227003008 A KR 20227003008A KR 102625408 B1 KR102625408 B1 KR 10262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speaker
plate
driver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5035A (ko
Inventor
가즈노리 사토
노부히로 미야하라
요시오 사카모토
히로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운드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운드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운드펀
Priority to KR102023704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451A/ko
Publication of KR2022002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04R9/027Air gaps using a magnetic flu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과제) 난청자 및 건청자에 대해서도, 부족함이 없는 성능을 구비하고 보다 고성능이고, 또한 고품질의 만곡진동판 스피커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유닛(10)은,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1)과, 만곡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2)과,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3)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제1진동판의 소경측(1a)과 제2진동판의 일단측(2a)은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피커유닛은, 프레임(50)에 장착한 스피커(100)로 할 때, 제1진동판의 대경측(1b)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51)의 지지판(511)에 접속되고, 제2진동판의 타단측(2b)이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지지다리(513)에 접속된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본 발명은, 만곡진동판(彎曲振動板)을 사용한 스피커(speaker)와 스피커유닛(speak unit)에 관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난청자(難聽者)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고 건청자(健聽者)와 함께 알아들을 수 있고, 또한 재생 주파수대역이 확대된, 보다 고성능의 복합형 만곡진동판 스피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화(老化)가 원인인 노인성 난청이나, 외이(外耳)나 중이(中耳), 내이(內耳), 달팽이관 신경 등에 장해(障害)가 있는 기질성 난청(器質性 難聽)과, 스트레스를 요인으로 하는 기능성 난청(機能性 難聽)이라고 하는 청각장애자가 증가하고 있어서, 일본 내의 난청자 수는 2,000만 명이라고도 한다. 난청의 경우, 음(音)이 들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들린 음이여도 선명하게 알아 듣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회화의 내용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데도 대답을 해 버려서 상대에게 오해를 주거나, 도중에 몇 번이나 되묻게 되어 회화가 탄력을 받지 못하게 되어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난청이 원인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거나, 부지불식 중에 이야기를 하는 것이 귀찮아져서 사람과 만나는 기회가 줄어들거나, 외출하지 않고 집에 틀어박히는 경향이 있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사회로부터의 고립ㆍ소외라고 하는 문제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난청의 불편함을 경감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보청기의 사용이 있다. 또한 텔레비젼을 시청할 경우에는, 텔레비젼의 이어폰잭(earphone jack)에 접속해서 음성을 FM전파로 보내고, 이것을 소지(所持)한 FM라디오로 수신해서 텔레비젼의 음성을 취득하는 FM트랜스미터(FM transmitter)가 있다.
그런데 보청기는, 「번거롭다」 「장착이 부끄럽다」 라고 하는 이유로 즐겨 사용되어지고 있지 않고,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청기에는 잡음이 삽입되는 것도 적지 않아서 오히려 스트레스가 커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FM트랜스미터를 사용하는 경우, FM트랜스미터를 준비하고 텔레비젼을 시청할 때마다 FM트랜스미터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FM트랜스미터를 이어폰잭에 접속함으로써 음성의 출력처가 바뀌어 난청자와 건청자가 모두 불편 없이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없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전부는 아니지만 난청자가 알아들을 수 있는 음성을 발생하는 스피커로서, 중공구조(中空構造)의 프레임(frame)과, 프레임에 수용한 드라이브 유닛(drive unit)과, 프레임의 표면에 배치된 만곡진동판(彎曲振動板)을 구비하여, 드라이브 유닛의 진동을 만곡진동판의 가장자리(면(面))부에 전달해서 방음(放音 ; 소리를 전파하다)하도록 한 스피커가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을 참조).
이러한 만곡진동판을 사용한 스피커(이하, 간단하게 「만곡진동판 스피커」라고 한다)는, 난청자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고 알아들을 수 있고, 동시에 건청자도 위화감 없이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1,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만곡진동판 스피커는, 그 후의 실증실험에 있어서, 가까이는 물론 멀리에서도 명료하게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음량을 지나치게 올렸을 때와 같은 음의 갈라짐이 없고, 또한 가까이에서도 지나치게 시끄럽지 않게 알아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만곡진동판 스피커는, 기본적 성능이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레벨에 있고 또한 제조 가능한 레벨에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지만, 재생 주파수대역의 확대, 특히 400∼500Hz 이하의 저음대역(이하, 「저역(低域)」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재생 성능이 향상된 음질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서 만곡진동판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만곡진동판을 무빙코일(moving coil), 소위 보이스 코일(voice coil)에 의하여 구동하고 소리를 내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저역측의 재생능력을 증가시키려면, 능력에 적합한 보이스 코일 진폭(이동)량을 늘리고, 그것에 적합한 진동판 및 구조와 파워업(power up)이 필요하다.
그러나 저역측의 재생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무리하게 보이스 코일의 진폭량(振幅量)을 증가시키면 만곡진동판 자체가 이상음을 낸다. 그 때문에 종래의 스피커로 동등한 저역 재생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만곡진동판의 길이를 더 길게 하는 등 면적을 확대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치수는 실용적인 치수라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저역측의 재생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콘모양 진동판(cone 模樣 振動板)을 구비한 다이나믹형(dynamic型) 스피커유닛을 만곡진동판 스피커유닛이 장착된 프레임(frame)에 추가로 장착하고, 양방의 스피커유닛을 구동(驅動)해서 각각 방음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따라 저역측이 나오기 어렵다고 하는 만곡진동판의 음질이 콘모양 진동판에 의한 방음에 의해 보정되어, 만곡진동판과 콘모양 진동판을 사용한 복합형의 풀레인지 스피커(full range speaker)로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복합형의 스피커 시스템에서는, 스피커유닛을 장착하는 프레임은 공유할 수 있지만, 재생 주파수대역에 따른 두개의 스피커유닛(만곡진동판 스피커유닛과 다이나믹형 스피커유닛)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고가가 되었다.
또한 두개의 스피커로부터 방음된 바람직한 음압감(音壓感)을 확보하기 위해서, 만곡진동판과 콘모양 진동판의 방음방향이 같게 되도록 프레임에 대하여 각각의 스피커유닛을 장착하려고 하면, 더 큰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여 프레임이 거대화된다. 한편, 설치면적을 고려하여 만곡진동판과 콘모양 진동판의 방음방향을 다르게 하면, 어느 하나의 스피커에 있어서 충분한 음압감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제5668233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400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만곡진동판을 사용한 복합형의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주파수대역의 확대에 의해 음질이 개선되고, 또한 비용이 감소하고, 또한 프레임이 거대화되지 않고 바람직한 음압감이 확보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은,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과, 만곡한 단일의 곡면부를 구비하는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과, 이들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적어도 구비하고, 드라이버 유닛은, 제1진동판의 소경(小徑)측과 제2진동판의 일단(一端)측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스피커유닛은,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과, 만곡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과, 이들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드라이버 유닛이 장착되는 지지부재(支持部材)를 적어도 구비하고, 지지부재는, 평판모양을 한 지지판과, 당해 지지판의 1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에 설치된 광폭차양모양(廣幅遮陽模樣)의 지지다리로 구성되고, 제1진동판의 소경측과 제2진동판의 일단측은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고, 제1진동판의 대경측은 지지부재의 지지판에 접속되고, 제2진동판의 타단측은 지지부재의 지지다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의 드라이버 유닛에 대한 접속구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때문에, 제2진동판의 일단측은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드라이버 유닛의 코일보빈(coil bobbin)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드라이버 유닛의 코일보빈의 선단에 부착된 센터캡(center cap)(「더스트캡(dust cap)」 또는 「챔버(chamber)」라고 부르는 적도 있다)이나 서브콘(sub-cone)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때,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센터캡의 중심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은, 일단측의 일면에 보강판을 부착해서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보강판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제1진동판의 표면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은, 잘록부 혹은 노치부(notch 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잘록부는, 제2진동판의 가장자리부가 협폭(狹幅)으로 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좋고, 노치부는 제2진동판의 표면이 요철화된 개구영역을 부분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는,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과, 만곡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과, 이들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적어도 구비하고, 프레임은,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드라이버 유닛이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지지부재는, 평판모양을 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1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설치된 광폭차양모양의 지지다리로 구성되고, 제1진동판의 소경측과 제2진동판의 일단측은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고, 제1진동판의 대경측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지지판에 접속되고, 제2진동판의 타단측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지지다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재에 있어서 볼록부는, 전판(前板)의 폭 방향 중심부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볼록부는, 돌출한 앞면이 상기 제2진동판의 만곡과 동일한 원호상(圓弧狀)인 것으로 하는 것이 좋고, 또한 볼록부는, 배면에 상기 제1진동판의 대경(大徑)측과 접촉하지 않게 간극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에 있어서, 프레임은, 전판, 배판(背板), 우측판, 좌측판, 상판, 바닥판의 6면으로 구성된 상자모양을 한 중공구조체로 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이 프레임의 전판을 겸하는 것, 즉 프레임의 전판을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에 있어서, 프레임은, 전판의 전방영역(前方領域)이 프레임체로 구성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골조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은, 제1진동판의 소경측과 제2진동판의 일단(一端)측이 같은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됨으로써, 제1진동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제2진동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이 공유되어 있다. 때문에, 드라이버 유닛이 1개로 족하므로 제조비용과 중량이 감소되고, 또한 작게 되어 콤팩트화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커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스피커유닛을 프레임에 수용하고, 제1진동판의 대경측을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지지판에 접속하고, 제2진동판의 타단측을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지지다리에 접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콘모양 진동판을 구비한 다이나믹형의 제1스피커와 만곡진동판을 구비한 제2스피커가 조합된 하이브리드형(hybrid型) 스피커 시스템으로서, 제2스피커(만곡진동판 스피커)가 미치지 못한 저역측의 재생대역을 제1스피커(다이나믹형 스피커)에 의해 보충함으로써, 보다 광대역의 음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난청자에게 매우 유효한 스피커와 건청자용 스피커를 구비한 스피커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피커와 제2스피커는, 하나의 드라이버 유닛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이 적고, 또한 제1스피커로부터의 음과 제2스피커로부터의 음이 혼재하여, 난청자 및 건청자가 모두 알아들을 수 있고, 보다 고성능이고, 또한 고품질의 하이브리드형 스피커 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만곡진동판을 사용한 복합형의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 재생 주파수대역의 확대에 의해 음질이 개선되고, 또한 드라이버 유닛이 공유화되어 1개로 족하므로 비용과 중량이 감소하고, 또한 프레임이 거대화되지 않는 바람직한 음압감이 확보된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2]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도(分解圖)이다.
[도3]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유닛에 사용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구성하는 보이스 코일을 설명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4]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유닛에 사용하는 드라이버 유닛을 구성하는 자기회로(磁氣回路)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분해 사시도, (B)조립완성 사시도이다.
[도5]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6]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7]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8]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9]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분해도, (B)조립완성 사시도이다.
[도10]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분해도, (B)조립완성 사시도이다.
[도11]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분해도, (B)조립완성 사시도이다.
[도12]본 발명에 관한 제1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드라이버 유닛에 부착하는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분해도, (B)조립완성 사시도이다.
[도13]본 발명에 관한 제2스피커유닛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14]도13에 나타내는 스피커유닛에 있어서 제2진동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15]본 발명에 관한 제2스피커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6]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스피커유닛과 이 스피커유닛을 사용한 하이브리드형 스피커 시스템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적인 예(例)이기 때문 기술적으로 다양한 한정(限定)이 붙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하게 한정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스피커유닛(10)은,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이하, 「콘모양 진동판」이라고 한다)(1)과, 만곡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이하, 「만곡진동판」이라고 한다)(2)과, 이들 콘모양 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3)을 적어도 구비한다.
콘모양 진동판(1)은 절구모양을 한 시트모양 부재로서, 소경측(1a)이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되고, 또한 대경측(1b)이 콘지지 프레임(cone 支持 frame)(9)에 부착된다. 이 콘모양 진동판(1)은, 스피커로 할 경우, 후술하는 프레임(50)에 콘지지 프레임(9)을 부착하는 것으로서, 콘모양 진동판(1)의 대경측(1b)은 콘지지 프레임(9)을 통하여 프레임(50)에 접속되게 된다.
만곡진동판(2)은, 만곡하는 곡면부 형성이 가능한 유연성을 구비하는 시트모양 부재로서, 일단측(一端側)(2a)이, 콘모양 진동판(1)의 소경측(1a)이 접속된 동일한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되어 있다. 이 만곡진동판(2)은, 기립(起立)한 평판상태에서 일단측(2a)을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한 후, 타단(他端)측(2b)을 탄성적으로 구부려서 변형시킴으로써 곡면을 형성하여, 변형된 만곡 볼록면측을 전방으로 향하게 타단측(2b)을 후술하는 프레임(frame)(50)에 접속한 것이다. 또한 만곡진동판(2)은, 미리 만곡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도록 성형된 부재여도 좋고, 이 경우는 일단측(2a)을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한 후, 만곡 볼록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타단측(2b)을 후술하는 프레임(50)에 접속한다.
또한 만곡진동판(2)은, 일단측(1a)으로부터 타단측(1b)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르는 가장자리부 사이의 거리(폭)가, 타단측(2b)으로부터 일단측(2a)으로 향하는 도중(途中)에서 서서히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만곡진동판(2)에 있어서 일단측(2a) 근처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은, 콘모양 진동판(1)의 절구형상에 적합한 대략 동일한 모양이 되고 있어, 콘모양 진동판(1)이 접속된 드라이버 유닛(3)에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접속해도 콘모양 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이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만곡진동판(2)은 가장자리부에 잘록부나 표면에 노치부(notch 部)를 갖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잘록부는, 만곡진동판(2)의 가장자리부가 곡선적으로 완만한 모양으로 절단되어서 협폭이 되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만곡진동판(2)을 정면에서 볼 때 기타(guitar)형 혹은 눈사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는, 만곡진동판(2)의 중앙부근에 단수 혹은 복수의 구멍(hole)이 형성되도록 표면이 요철화된 개구영역(開口領域)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큰 원형의 구멍을 1개 형성한 것이나 작은 구멍으로 모양을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잘록부나 노치부를 만곡진동판(2)에 형성함으로써, 만곡진동판(2)의 공진에 의한 왜곡을 제한하고 과대한 공진을 억제하여, 적절한 고조파(高調波)에 의한 청력의 개선을 할 수 있다.
이 만곡진동판(2)의 재료는, 카본페이퍼(carbon paper) 등의 종이, 폴리이미드(polyimide)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가요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발사재(balsa wood) 등의 목재, 알루미늄(aluminum)이나 베릴륨(berylium), 보론(boron)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2)의 두께는, 미리 만곡하는 곡면부를 구비하도록 성형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려서 변형시키거나 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드라이버 유닛(3)은, 입력(통전(通電))된 전기신호(음성신호)에 대응하여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을 모두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이다.
드라이버 유닛(3)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빙코일방식(moving coil 方式) 혹은 무빙마그넷방식(moving magnet 方式)의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들 수 있다. 이들 드라이버 유닛(3)은, 코일의 점적률(占積率)이 높기 때문에 자기효율(磁氣效率)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음량이 높고 선명한 방음을 기대할 수 있다.
무빙코일방식의 액추에이터는, 자기회로가 구성하는 자기갭(磁氣 gap )중에 보이스 코일을 삽입하여 배치하고, 이 보이스 코일에 전기신호 등을 인가함으로써 인가신호에 수반된 진동을 일으키고, 보이스 코일과 접속된 진동판에 진동을 전달해서 구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보이스 코일의 일단은 자기회로(磁氣回路)(자계(磁界)) 안에 들어가 있고, 타단은 진동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써, 입력된 전기신호가 보이스 코일을 움직이고, 그 움직임이 진동판에 전달되어서 음향 에너지(음)로 변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드라이버 유닛(3)은, 보이스 코일(31)의 일단(一端)이 자기회로(32)의 자기갭중에 삽입되어, 전기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보이스 코일(31)을 구동하는 무빙코일방식의 액추에이터로서 설명된다.
보이스 코일(31)은,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을 한 코일보빈(311)의 외주단부(外周端部)에, 원하는 지름의 코일선재(coil 線材)(312)를 원하는 권취수(捲取數)로 감음으로써 구성된다.
한편, 자기회로(32)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31)을 구동하는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조는, 링형상(ring 形狀)의 페라이트 마그넷(ferrite manet)(321)과 양호한 자성재(磁性材)인 철재로 이루어진 원판의 중앙부에 소정의 지름 치수의 구멍(324a)을 형성한 플레이트(324)와, 동일하게 철재로 이루어진 원판의 중앙부에 원기둥 모양의 볼록부(이하, 「장대(pole)」라고도 한다)(323)를 형성한 요크(322) 등의 자기회로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갭은, 원통형을 한 페라이트 마그넷(321)의 상면에 플레이트(324)가 배치되어 장착되고, 또한 페라이트 마그넷(321)의 하면에 원기둥 모양을 한 장대(323)를 구비하는 요크(322)의 원판부가 배치되고 장착됨으로써 형성된다. 즉 장대(323)와 플레이트(324)는, 장대(323)의 외경 및 플레이트 구멍(324a)의 내경이 맞대어 장착되기 때문에, 장대(323)의 외면과 플레이트(324) 중앙부의 구멍(324a)의 내면 사이에 소정의 폭 치수를 구비한 링모양의 간극, 즉 갭(gap)(33)이 구성된다.
또한 갭(33)의 깊이방향의 치수는, 플레이트(324)의 두께 치수로부터 결정된다. 때문에, 페라이트 마그넷(321)이 구비하는 자기가 요크(322) 및 플레이트(324)에 의해 갭(33)으로 인도(引導)되어 수렴되기 때문에, 상기 갭(33)에 자속(磁束)이 발생하여 자기갭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 링모양 자기갭(33)의 중심에 보이스 코일(31)이 배치된다.
따라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모양 진동판(1)은, 그 중심부에 형성된 소정의 치수의 구멍(이하, 「넥부(neck部)」라고도 한다)(1a) 내에 보이스 코일(31)을 삽입하고, 넥부(1a)와 코일보빈(311)의 외주부의 접촉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다.
한편, 만곡진동판(2)은, 예를 들면, 도5 내지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수단에 의해 코일보빈(311)의 선단(先端)에 접속 고정될 수 있다.
우선,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홈(313)을 형성하고, 이 홈(313) 내에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하여 만곡진동판(2)을 고정함으로써,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홈(313)은, 드라이버 유닛(3)으로부터의 진동을 만곡진동판(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 끝면이 보이스 코일(31)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 있어서, 만곡진동판(2)은,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한 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두개의 홈(313, 313)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일단측(2a)을 삽입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센터캡(center cap)(더스트캡(dust cap))(4)을 피복해서 고정하고, 이 센터캡(4)의 중앙에 만곡진동판(2)을 고정함으로써,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수단은,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홈(313)을 형성해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하는 상기의 수단에 비하여,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센터캡(더스트캡)(4)은, 코일보빈(311) 내에 티끌이 들어가지 않도록 부착되는 부재로서, 콘지(cone 紙)와 같은 재료를 사용해서 음색(音色)의 통일감을 높이거나, 금속계의 재료를 사용해서 돔형(dome 型) 트위터(tweeter)의 역할을 갖게 할 수 있다.
도6에 있어서, 만곡진동판(2)은, 일단측(2a)을 하방으로 접어 구부려서 글루마진(glue margin)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도포한 1면(글루마진)을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피복된 센터캡(4)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 때, 센터캡(4)의 표면은 평탄한 것으로 하고, 드라이버 유닛(3)으로부터의 진동을 만곡진동판(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만곡진동판(2)이 센터캡(4)의 선단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일단측(2a)을 접어 구부려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피복된 센터캡(더스트캡)(4)의 중앙에 홈(41)을 형성하고, 이 홈(41) 내에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하여 만곡진동판(2)을 고정함으로써,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수단도 또한,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홈(313)을 형성해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하는 상기의 수단에 비하여,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7에 있어서, 만곡진동판(2)은,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한 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된 홈(41)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일단측(2a)을 삽입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또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은, 홈(41)에 삽입된 후 센터캡(4)의 배면(背面)측을 향하여 접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이 홈(41)으로부터 탈락될 우려를 최대한으로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서브콘(sub-cone)(5)을 피복해서 고정하고, 이 서브콘(5)의 중앙에 만곡진동판(2)을 고정함으로써,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 수단 또한, 보이스 코일(31)의 선단에 홈(313)을 형성해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하는 상기의 수단에 비하여,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서브콘(5)을 이용함으로써 만곡진동판(2)의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동시에 콘모양 진동판(1)과 함께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직접 부착한 서브콘(5) 자체로부터 방음된 고음역이 신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8에 있어서, 만곡진동판(2)은, 일단측(2a)을 하방으로 접어 구부려서 글루마진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도포한 1면(글루마진)을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피복된 서브콘(5)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 상태로 나타나 있다. 이 때, 만곡진동판(2)은, 센터캡(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드라이버 유닛(3)으로부터의 진동을 만곡진동판(2)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만곡진동판(2)이 서브콘(5)의 선단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접촉되도록 일단측(2a)을 접어 구부려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9 내지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2)은, 일단측(2a)의 일면(一面)에 보강판(21, 22, 23)을 부착해서 드라이버 유닛(3)에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 보강판(21, 22, 23)을 부착함으로써 만곡진동판(2)의 공진(共振)을 저하시키고, 동시에 보이스 코일(31)(센터캡(4)이나 서브콘(5) 등)에 대한 만곡진동판(2)의 부착을 용이하게 또한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9(A)에 있어서, 일단측(2a)을 하방으로 접어 구부린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의 상면에, 동일하게 일단측을 상방으로 접어 구부린 보강판(21)을 부착하고,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 1면(글루마진)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피복한 센터캡(4)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9(B)에 있어서, 보강판(21)이 부착된 만곡진동판(2)을 콘진동판(1)의 중심에 노출된 센터캡(4)의 표면에 부착하여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0(A)에 있어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의 상면에 보강판(21)을 부착하고, 센터캡(4)의 중앙에 형성된 홈(41) 내에 보강판(21)과 함께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삽입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0(B)에 있어서, 접착제를 도포한 보강판(21)이 부착된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을 콘진동판(1)의 중심에 노출된 센터캡(4)의 홈(41)에 삽입하고 부착하여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1(A)에 있어서, 일단측(2a)을 하방으로 접어 구부린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의 상면에, 동일하게 일단측을 상방으로 접어 구부린 보강판(21)을 부착하고,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 1면(글루마진)에 접착제를 도포해서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피복한 서브콘(5)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1(B)에 있어서, 보강판(21)이 부착된 만곡진동판(2)을 콘진동판(1)의 중심에 노출된 서브콘(5)의 표면에 부착하여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에 부착된 보강판(23)의 가장자리부(23a)를 콘진동판(1)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을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12(A)에 있어서, 일단측(2a)을 하방으로 접어 구부린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의 상면에, 가장자리부(23a)를 상방으로 접어 구부린 보강판(23)을 부착하고, 접어 구부려서 형성된 1면(글루마진)과 일단측(2a)의 끝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이스 코일(31)(코일보빈(311))의 선단에 피복한 센터캡(4)의 표면 및 콘진동판(1)의 표면에 부착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12(B)에 있어서, 보강판(23)이 부착된 만곡진동판(2)을 콘진동판(1)의 중심에 노출된 센터캡(4)의 표면 및 콘진동판(1)의 표면에 부착하여 드라이버 유닛(3)에 접속 고정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유닛(10)에서는, 콘진동판(1)의 소경측(1a)과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 끝면이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에 모두 접속되어, 드라이버 유닛(3)에 전기신호 등을 인가함으로써 보이스 코일(31)이 인가신호에 수반된 진동을 일으켜, 보이스 코일과 접속된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에 진동을 전달해서 모두 구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보이스 코일(31)의 일단(기단부분(基端部分))은 자기회로(자계)(32) 안에 들어있고, 타단(선단부분)은 콘진동판(1) 및 만곡진동판(2)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입력된 전기신호가 보이스 코일(31)을 움직이고, 그 움직임이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에 전달되어서 음향 에너지(음)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만곡진동판(2)이 드라이버 유닛(3)에 의해 구동되는 방향은, 만곡진동판(2)의 표면상으로부터 넓어지는 방향, 즉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으로부터 대향하는 타단측(2b)(혹은 타단측(2b)으로부터 대향하는 일단측(2a))으로 향함에 따라서 곡면부가 넓어지는 만곡방향을 말한다. 이 면(面) 방향은 만곡진동판(2)을 측면(단면(斷面))에서 보아 활 형상으로 만곡한다.
또한 스피커유닛(10)은, 도13 내지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51)에 장착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스피커유닛(20)으로 할 수 있다. 즉, 콘진동판(1)의 소경측(1a)과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 끝면이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에 접속되고, 콘진동판(1)의 대경측(1b)과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이 지지부재(5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51)는, 평판모양을 한 지지판(511)과, 지지판(511)의 1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512)와, 볼록부(512)에 설치된 광폭차양모양의 지지다리(513)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511)은, 콘진동판(1)의 배면측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개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상방에 구비하고, 콘진동판(1)의 대경측(1b)이 접속된 콘지지 프레임(9)을 개구 주위에 부착함으로써 콘진동판(1)의 대경측(1b)이 지지판(511)에 의해 지지부재(51)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지지판(511)은 세로로 긴 4각 형상을 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볼록부(512)는,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이 부착되는 지지다리(513)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만곡진동판(2)의 부착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부딪치지 않는다) 않도록, 돌출한 앞면(512a)이 만곡진동판(2)의 만곡과 대략 동일한 원호를 그리는 것 같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만곡진동판(2)의 배면측에 있어서, 볼록부(512)의 앞면(512a)은 만곡진동판(2)의 배면과 접촉하지 않게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볼록부(512)는, 만곡진동판(2)이 앞면측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볼록부(512)의 배면(512b)은, 모두가 지지판(511)에 부착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진동판(1)의 방음측에 위치하는 배면(512b) 영역은, 콘진동판(1)의 진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콘진동판(1)의 대경측(1b)과 접촉하지 않게 적절한 간극을 구비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512)는, 콘진동판(1)으로부터의 방음이 차단되지 않도록, 지지판(511)의 앞면 중심부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원호상으로 1개만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콘진동판(1)으로부터 발생된 음성은 볼록부(512)의 양측을 통하여 방음된다.
또, 콘진동판(1)으로부터의 방음에 지장이 없다면, 볼록부(512)를 복수 설치하여도 좋다.
지지다리(513)는, 부착된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을 지지하는 것이지만 폭 방향을 따라 상면에 오목홈(513a)을 구비한다. 이 오목홈(513a) 내에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을 부착함으로써,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이 지지다리(513)에 의해 지지부재(51)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유닛(20)에서는, 콘진동판(1)의 소경측(1a)과 만곡진동판(2)의 일단측(2a) 끝면이 드라이버 유닛(3)(보이스 코일(31))에 접속되고, 콘진동판(1)의 대경측(1b)과 만곡진동판(2)의 타단측(2b)이 지지부재(51)에 접속되어 있다. 때문에,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이 지지부재(5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운반이 쉽고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스피커(100)는,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과 프레임(50)을 적어도 구비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서, 콘진동판(1)을 구비한 다이나믹형의 제1스피커와 만곡진동판(2)을 구비하는 제2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난청자와 건청자가 모두 알아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프레임(50)은,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을 수용하는 상자모양을 한 중공구조체로서, 장착한 제1스피커(콘진동판(1))나 제2스피커(만곡진동판(2))로부터 방음되는 전방영역이 프레임체로 구성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골조구조(骨組構造)로 되어 있다.
프레임(50)에 상기한 제1스피커유닛(10)을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프레임(50)이, 전판, 배판, 우측판, 좌측판, 상판, 바닥판의 6면으로 구성된 구조라고 하면, 제1스피커유닛(10)은 프레임(50)의 전판에 부착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프레임(50)에 상기한 제2스피커유닛(20)을 장착하는 경우는, 콘진동판(1)과 만곡진동판(2)과 드라이버 유닛(3)이 장착된 지지부재(51)의 지지판(511)이 프레임(50)의 전판을 겸하는 것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스피커유닛의 경우에도, 프레임(50)에 장착된 콘진동판(1)은, 대경측(1b)이 프레임(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51)의 지지판(511)에 접속된 것이 되고, 동(同) 만곡진동판(2)은 타단측(2b)이 프레임(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51)의 지지다리(51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개방부에 대해서 설명하면, 프레임(50)을 구성하는 전판보다 전방(前方), 구체적으로는, 전판으로서 기능하는 지지부재(51)의 지지판(511)으로부터 지지다리(513)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앞면과 상면 및 좌우의 측면이 개구되어 있다.
이 개방부는, 콘진동판(1)이나 만곡진동판(2)으로부터 발생된 음성이 억제되지 않고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음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피커(100)는, 드라이버 유닛(3)에 전기신호를 입력하면, 종래의 난청자 및 건청자 대상 스피커 시스템에 비하여, 고성능이며 또한 경량이며 설치면적이 적고, 스피커의 만능성(萬能性)이 더욱 향상되어, 난청자와 건청자가 모두 만족하게 들을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스피커 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드라이버 유닛(3)에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이나 라디오, 오디오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 등으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프레임(50)의 뒤판부에는 오디오 잭 및 스위치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모양 진동판을 구비한 다이나믹형의 제1스피커로부터의 음과, 만곡진동판을 구비하는 제2스피커로부터의 음을 혼재시킴으로써, 광대역의 음(난청자 및 건청자 대상 음파)의 재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콘모양 진동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만곡진동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이 공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과 중량이 감소되었다. 또한 제1스피커와 제2스피커를 일체적으로 연속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설치면적이 적고 콤팩트화된 것으로 할 수 있다.
1 제1진동판(콘모양 진동판), 1a 소경측, 1b 대경측, 2 제2진동판(만곡진동판), 2a 일단측, 2b 타단측, 3 드라이버 유닛, 4 센터캡(더스트캡), 5 서브콘, 9 콘지지 프레임, 10 스피커유닛, 21,22,23 보강판, 31 보이스 코일, 32 자기회로, 41,51 홈, 50 프레임, 51 지지부재, 100 스피커(하이브리드형 스피커 시스템), 511 지지판(전판), 512 볼록부, 513 지지다리.

Claims (15)

  1. 콘모양(cone 模樣)을 한 제1진동판과,
    만곡(彎曲)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과,
    상기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장착되는 지지부재(支持部材)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평판모양을 한 지지판(支持板)과, 상기 지지판의 1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설치된 광폭차양모양의 지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진동판의 소경측과 상기 제2진동판의 일단측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제1진동판의 대경(徑大)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2진동판의 타단측은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다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코일보빈(coin bobin)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코일보빈의 선단에 부착된 센터캡(center cap)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상기 센터캡에 형성된 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코일보빈의 선단에 부착된 서브콘(sub-cone)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의 일면에 보강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일단측이 상기 보강판의 가장자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1진동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판은, 잘록부 혹은 노치부(notch 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유닛.
  9. 콘모양을 한 제1진동판과,
    만곡한 시트모양의 제2진동판과,
    상기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을 모두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진동판과 제2진동판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장착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평판모양을 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1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 설치된 광폭차양모양의 지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진동판의 소경측과 상기 제2진동판의 일단측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에 접속되고,
    상기 제1진동판의 대경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에 접속되고,
    상기 제2진동판의 타단측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다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지지판의 폭 방향 중심부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돌출한 앞면이 상기 제2진동판의 만곡과 동일한 원호상(圓弧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배면에 상기 제1진동판의 대경측과 접촉하지 않게 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판(前板), 배판(背板), 우측판(右側板), 좌측판(左側板), 상판, 바닥판의 6면으로 구성된 상자모양을 한 중공구조체(中空構造體)이며,
    상기 전판을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판의 전방영역이 프레임체로 구성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골조구조(骨組構造)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15. 삭제
KR1020227003008A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KR10262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41600A KR20230169451A (ko)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2203 WO2021033226A1 (ja) 2019-08-17 2019-08-17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600A Division KR20230169451A (ko)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5035A KR20220025035A (ko) 2022-03-03
KR102625408B1 true KR102625408B1 (ko) 2024-01-15

Family

ID=746598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008A KR102625408B1 (ko)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KR1020237041600A KR20230169451A (ko)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600A KR20230169451A (ko) 2019-08-17 2019-08-17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295173A1 (ko)
EP (1) EP4017025A4 (ko)
JP (1) JP7369195B2 (ko)
KR (2) KR102625408B1 (ko)
CN (1) CN114223213A (ko)
AU (1) AU2019462145B2 (ko)
BR (1) BR112022001254A2 (ko)
CA (1) CA3147331C (ko)
MX (1) MX2022002028A (ko)
WO (1) WO2021033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5833B2 (ja) * 2019-09-17 2022-02-25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0060A (ja) * 2015-01-25 2016-08-04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万能スピー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336A (en) * 1990-10-17 1995-05-23 Canon Research Centre Europe Ltd. Sound output device
GB9215222D0 (en) * 1992-07-17 1992-09-02 Electro Acoustic Ind Ltd Loudspeaker
GB9714050D0 (en) * 1997-07-03 1997-09-10 New Transducers Ltd Panel-form loudspeakers
JP2008131541A (ja) * 2006-11-24 2008-06-05 Yamaha Corp スピーカ装置
JP2013157798A (ja) * 2012-01-30 2013-08-15 Panasonic Corp スピーカ、補聴器、インナーイヤーヘッドホン、携帯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av機器
JP6048469B2 (ja) * 2013-10-22 2016-12-21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FR3014628B1 (fr) * 2013-12-05 2017-04-21 Devialet Haut-parleur electrodynamique compact a membrane convexe
JP5668233B1 (ja) 2014-03-26 2015-02-12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万能スピーカ
JP2015233272A (ja) * 2014-05-14 2015-12-24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6322791B2 (ja) * 2014-09-10 2018-05-16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万能スピーカ
JP6123838B2 (ja) * 2014-09-29 2017-05-10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JP2016096454A (ja) * 2014-11-14 2016-05-26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器
KR20160140060A (ko) 2015-05-29 2016-12-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질 모니터링 방법
US10051373B2 (en) * 2015-06-01 2018-08-14 Alexander Manly STAHL Audio transducer with hybrid diaphragm
GB2542382A (en) * 2015-09-17 2017-03-22 Gp Acoustics (Uk) Ltd Low-profile loudspeaker
JP6418556B2 (ja) * 2015-12-17 2018-11-0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ー用振動板、これを備えたスピーカー、および、スピーカー用振動板の製造方法
JP6439894B1 (ja) * 2018-07-16 2018-12-19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2023161699A (ja) * 2022-04-26 2023-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副振動板、および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0060A (ja) * 2015-01-25 2016-08-04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万能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47331C (en) 2023-06-27
AU2019462145B2 (en) 2023-04-06
US20220295173A1 (en) 2022-09-15
EP4017025A1 (en) 2022-06-22
KR20220025035A (ko) 2022-03-03
CN114223213A (zh) 2022-03-22
BR112022001254A2 (pt) 2022-04-05
JPWO2021033226A1 (ko) 2021-02-25
JP7369195B2 (ja) 2023-10-25
EP4017025A4 (en) 2023-05-24
KR20230169451A (ko) 2023-12-15
CA3147331A1 (en) 2021-02-25
AU2019462145A1 (en) 2022-03-03
WO2021033226A1 (ja) 2021-02-25
MX2022002028A (es)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470B1 (ko) 만능 스피커
JP6586702B1 (ja)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KR102625408B1 (ko)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만곡진동판
JP6439894B1 (ja) 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2015188195A (ja) 万能スピーカ
JPWO2021033226A5 (ko)
KR102666325B1 (ko) 스피커유닛 및 스피커
TWI804679B (zh) 揚聲器單元及揚聲器
RU2779044C1 (ru) Блок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я и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JP7114827B1 (ja)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7114826B1 (ja)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7214090B1 (ja)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RU2800106C1 (ru) Блок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я и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WO2023002962A1 (ja) 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2019201426A (ja) スピーカ湾曲振動板
JP2020077925A (ja) スピーカ、スピーカユニット及び振動板
JP2015188197A (ja) 万能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