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356B1 - 구들식 캠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들식 캠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356B1
KR102625356B1 KR1020230022763A KR20230022763A KR102625356B1 KR 102625356 B1 KR102625356 B1 KR 102625356B1 KR 1020230022763 A KR1020230022763 A KR 1020230022763A KR 20230022763 A KR20230022763 A KR 20230022763A KR 102625356 B1 KR102625356 B1 KR 10262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deul
camping
main body
type structure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겸
Original Assignee
김태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겸 filed Critical 김태겸
Priority to KR102023002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7Sol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구들식 캠핑 시스템은 야외에 벽체 없이 설치되되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는 구들 본체부와, 상기 구들 본체부의 상부를 이루는 온돌 바닥부를 구비하는 구들식 구조체;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구들 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불을 때서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온돌 바닥부를 데우는 아궁이; 및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온돌 바닥부에 설치되는 캠핑용 텐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들식 캠핑 시스템{Camping system for korean floor heating devicem}
본 발명은,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여가 시간 증대로 캠핑 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캠핑장소로 인원 및 장비를 수송하는 이동수단에 그치지 않고 캠핑장의 숙소공간까지 제공하는 캠핑카는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선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17608 에는 착탈식 캠핑카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차량본체(1)와 하우스본체(2)를 분리 구성하되 결합 시 일체형의 외관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우스본체(2)의 옆면을 차량의 적재함(3) 외측하부로 연장 성형된 옆면체(5)를 좌우 양측에 구비한다.
상기 옆면체(5)의 내측에 차량의 적재함옆문짝(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적재함옆문짝삽입구(6)가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이는 차량본체(1)와 하우스본체(2)의 결합시 적재함(3)을 가려주어 일체형의 외관을 실현시키고, 적재함옆문짝(4)이 하우스본체(2)를 지지해 줌으로써 하우스본체(2)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옆면체(5)의 내측에는 상하로 승강가능한 나사식 또는 유압식 형태의 지면지지구(7)가 네 귀에 내설된다.
캠핑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텐트만을 휴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처럼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는 이동면에서 매우 유리하지만, 활용도는 많이 떨어진다.
대한민국의 전통 가옥 구조에 구들(온돌)이 있다. 구들이란 불 때는 아궁이, 불길을 통과시켜 구들장을 덥히는 고래,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된다. 아궁이에 지핀 불이 고래를 통과하면서 그 위에 깔린 구들장을 덥혀 난방하는 바닥 난방방식으로 화재에도 안전한 한국 고유의 이상적인 채난법(採暖法)이다.
구들은 온돌(溫突)이라고도 하는데, 구들은 '구운 돌', 온돌(溫突, 溫??, 煖??, ??室)은 '따뜻하게 데운 돌'에서 유래된 단어로 추정되므로 동일한 뜻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보통 구들은 '들인다'고 하고 온돌은 '놓는다'는 표현을 많이 쓴다. 이는 구들은 고래와 고래뚝으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는 느낌이 강하고, 온돌은 구들장 자체를 지칭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구들은 대한민국의 전통 가옥 구조인데, 만약 이러한 구들의 구조를 일부 이용해서 캠핑을 즐길 수 있다면, 캠핑 본연의 기능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이에 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9-002283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0275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09865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1125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구들식 캠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야외에 벽체 없이 설치되되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는 구들 본체부와, 상기 구들 본체부의 상부를 이루는 온돌 바닥부를 구비하는 구들식 구조체;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구들 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불을 때서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온돌 바닥부를 데우는 아궁이; 및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온돌 바닥부에 설치되는 캠핑용 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구들 본체부는 내화벽돌의 적층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아궁이는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구들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그 출입구는 아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구들 본체부에 배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들식 구조체는, 상기 구들 본체부의 하단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구들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동용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들식 구조체는, 상기 이동용 휠의 주변에 배치되되 상기 설치면에 대한 구들 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이동용 휠의 임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복수 개의 높이 조절식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착탈식 캠핑카가 차량과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착탈식 캠핑카가 차량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캠핑용 텐트를 제거한 구들식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구들식 캠핑 시스템이 캠핑장에 운영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로서 이동용 휠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높이 조절식 스토퍼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3에서 캠핑용 텐트를 제거한 구들식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캠핑용 텐트를 제거한 구들식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구들식 캠핑 시스템이 캠핑장에 운영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은 도 3과 같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100)은 구들식 구조체(110), 아궁이(150) 및 캠핑용 텐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100)은 예컨대, 도 6처럼 캠핑장에 운영될 수 있다.
구들식 구조체(110)는 야외에 벽체 없이 설치되되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는 구들 본체부(120)와, 구들 본체부(120)의 상부를 이루는 온돌 바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들식 구조체(110)의 구들 본체부(120)는 내화벽돌의 적층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강한 강성을 제공하면서도 내화벽돌로 인해 화염에 강해 화염에 파손되지 않는다.
구들식 구조체(110)의 구들 본체부(120)에 배기관(125)이 연결된다. 아궁이(150)를 통해 불을 때서 온돌 바닥부(130)를 데울 때, 배기가스가 배기관(125)를 통해 배기될 수 있다.
아궁이(150)는 구들식 구조체(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구들 본체부(12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불을 때서 구들식 구조체(110)의 온돌 바닥부(130)를 데우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아궁이(150)는 구들식 구조체(110)의 구들 본체부(1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그 출입구(151)는 아치 형상을 이룬다. 때문에, 불을 때는 작업이 수월해질 수 있다.
캠핑용 텐트(160)는 구들식 구조체(110)의 온돌 바닥부(130)에 설치된다. 캠핑용 텐트(160)는 텐트 바디(161)와, 텐트 바디(161)를 출입하는 출입용 도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들식 구조체(110)를 정해징 장소, 예컨대 캠핑장에 시설한 후, 구들식 구조체(110)에 캠핑용 텐트(160)를 설치해서 도 3 및 도 9처럼 캠핑 또는 글램핑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구들식 캠핑 시스템(100)은 종래와 달리 온돌과 캠핑의 접목으로 인해 신선하고 독특한 체험이 가능해진다. 차량을 이용한 캠핑보다 훨씬 위험하지 않다.
또한, 아궁이(150)를 통한 불 때는 체험도 가능하거니와 아궁이(150)를 통해 고구마구이 등을 할 수 있어서 특히, 어린아이에게 각별한 추억을 만들어 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로서 이동용 휠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높이 조절식 스토퍼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200) 역시, 구들식 구조체(210), 아궁이(150) 및 캠핑용 텐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들식 구조체(210)는 구들 본체부(120)와 온돌 바닥부(130)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200) 역시, 도 6처럼 캠핑장에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200)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캠핑장에서 경치가 좋은 장소, 조용한 장소 등으로 시스템 전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들식 구조체(120)는 이동용 휠(241)과 높이 조절식 스토퍼(242)를 포함한다.
이동용 휠(241)은 구들 본체부(120)의 하단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구들 본체부(120)를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복수 개의 이동용 휠(241)로 인해 도 7처럼 시스템 전체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식 스토퍼(242)는 이동용 휠(241)의 주변에 배치되되 설치면에 대한 구들 본체부(120)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이동용 휠(241)의 임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수단이다. 도 8처럼 시스템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높이 조절식 스토퍼(242)를 내려 설치면서 지지하면 된다. 그러면, 이동용 휠(241)이 뜨기 때문에 이동용 휠(241)로 인해 시스템이 임의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 도 10은 도 3에서 캠핑용 텐트를 제거한 구들식 구조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 분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300) 역시, 구들식 구조체(310), 아궁이(150) 및 캠핑용 텐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들식 구조체(310)는 구들 본체부(120)와 온돌 바닥부(130)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200) 역시, 도 6처럼 캠핑장에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구들식 구조체(310)의 온돌 바닥부(130) 내측에는 패드 배치홈부(3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패드 배치홈부(322)에 교체식 쿠션 패드(370)가 배치된다. 교체식 쿠션 패드(370)는 난연, 불연 기능을 갖는 외피로 피복되며, 일정 두께로 배치되어 완충, 쿠션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처럼 온돌 바닥부(130)에 교체식 쿠션 패드(370)가 배치되고 그 위로 캠핑용 텐트(160)를 설치할 경우, 온돌 기능은 그대로 제공하면서도 바닥이 푹신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교체식 쿠션 패드(370)은 교체식이라서 일정 사용 후 폐기되거나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의 정면 구조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구들식 캠핑 시스템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400) 역시, 구들식 구조체(110), 아궁이(150) 및 캠핑용 텐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들식 구조체(210)는 구들 본체부(120)와 온돌 바닥부(130)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 역할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200) 역시, 도 6처럼 캠핑장에 운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들식 캠핑 시스템(400)에는 열 감지부(170), 경보기(491), 무선 통신모듈(492) 및 컨트롤러(480)가 더 갖춰진다.
열 감지부(170)는 아궁이(150)에 설치되되 아궁이(150)의 열을 감지한다. 열이 감지된 경우, 아궁이(150)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보기(491)는 일종의 비상 벨(bell)이다. 그리고, 무선 통신모듈(492)은 캠핑장 운영자의 이동 단말기로 정보를 무선 정송한다.
컨트롤러(480)는 열 감지부(1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기(491)와 무선 통신모듈(492)을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경보기(491)는 캠퍼가 구들식 캠핑 시스템(400)를 사용 완료하고 떠난 이후에 동작하게 설정된다. 이에, 아궁이(150)에 열이 감지되면, 이의 정보가 무선 통신모듈(492)을 통해 캠핑장 운영자의 이동 단말기로 전송된다. 따라서, 캠핑장 운영자는 해당 시스템의 아궁이(150)가 불을 지피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원격에서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480)는 중앙처리장치(481, CPU), 메모리(4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4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481)는 본 실시예에서 열 감지부(1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기(491)와 무선 통신모듈(492)을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4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481)와 연결된다. 메모리(4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4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4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4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80)는 열 감지부(170)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경보기(491)와 무선 통신모듈(492)을 동작을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4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4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캠핑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구들 문화를 간접적이나마 체험할 수 있어 캠핑의 또 다른 장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구들식 캠핑 시스템 110 : 구들식 구조체
120 : 구들 본체부 125 : 배기관
130 : 온돌 바닥부 150 : 아궁이
151 : 출입구 160 : 캠핑용 텐트
241 : 이동용 휠 242 : 높이 조절식 스토퍼

Claims (5)

  1. 야외에 벽체 없이 설치되되, 내화벽돌의 적층에 의해 제작되며 내부가 빈 공간을 이루는 구들 본체부와, 상기 구들 본체부의 상부를 이루는 온돌 바닥부를 구비하고 상기 온돌 바닥부의 내측에는 패드 배치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 배치홈부에 교체식 쿠션 패드가 배치되는 구들식 구조체;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구들 본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되 그 출입구는 아치 형상을 이루고, 상기 구들 본체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불을 때서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온돌 바닥부를 데우는 아궁이; 및
    상기 교체식 쿠션 패드 위에 설치되는 캠핑용 텐트;
    상기 아궁이에 설치되어 상기 아궁이의 열을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출력하는 열 감지부;
    비상 상황을 경보하는 경보기;
    캠핑장 운영자의 이동 단말기로 정보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모듈;
    상기 열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경보기 및 상기 무선 통신모듈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구들식 구조체는,
    상기 구들 본체부의 하단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구들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이동용 휠 및 상기 이동용 휠의 주변에 배치되어 설치면에 대한 구들 본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상기 이동용 휠의 임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복수 개의 높이 조절식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들식 구조체의 구들 본체부에 배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식 캠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22763A 2023-02-21 2023-02-21 구들식 캠핑 시스템 KR10262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63A KR102625356B1 (ko) 2023-02-21 2023-02-21 구들식 캠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63A KR102625356B1 (ko) 2023-02-21 2023-02-21 구들식 캠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356B1 true KR102625356B1 (ko) 2024-01-16

Family

ID=8971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763A KR102625356B1 (ko) 2023-02-21 2023-02-21 구들식 캠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3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20A (ko) * 2015-05-15 2016-11-23 다오케이황토구들 주식회사 조립 및 이동식 가옥을 구비한 온돌식 난방구조
KR101765221B1 (ko) * 2016-10-24 2017-08-04 (주)계림건축사사무소 구들 시스템
KR101873706B1 (ko) * 2018-01-29 2018-07-02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20190022835A (ko) 2016-07-06 2019-03-06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드라이브모듈 및 음식물 조리기기
KR20200027548A (ko) 2017-07-09 2020-03-12 바이오사이트 리미티드 병용 암 요법
KR20200098657A (ko) 2018-01-19 2020-08-20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지지 부재, 도관 지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처리 장치
KR20200112533A (ko)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타워식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4420A (ko) * 2015-05-15 2016-11-23 다오케이황토구들 주식회사 조립 및 이동식 가옥을 구비한 온돌식 난방구조
KR20190022835A (ko) 2016-07-06 2019-03-06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드라이브모듈 및 음식물 조리기기
KR101765221B1 (ko) * 2016-10-24 2017-08-04 (주)계림건축사사무소 구들 시스템
KR20200027548A (ko) 2017-07-09 2020-03-12 바이오사이트 리미티드 병용 암 요법
KR20200098657A (ko) 2018-01-19 2020-08-20 가부시키가이샤 쥰코샤 지지 부재, 도관 지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처리 장치
KR101873706B1 (ko) * 2018-01-29 2018-07-02 김선 재난 긴급 구호주택
KR20200112533A (ko)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타워식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356B1 (ko) 구들식 캠핑 시스템
JP3178338U (ja) 火災時緊急避難シェルター
CN205654372U (zh) 一种水下断面隧道人员疏散救援通道结构及控烟***
KR20160034872A (ko) 화재 대피장치
CN208249641U (zh) 一种具有双重减振功能的载货电梯轿厢
CN108785884A (zh) 一种快速逃生的结合楼梯
KR20150025226A (ko) Flng의 구명정 탑승용 구조물
CN212053924U (zh) 一种建筑单元及包含该建筑单元的汽车上楼的中高层住宅
KR102163114B1 (ko) 고내열성 에어포켓 텐트
CN203870885U (zh) 一种双“l”形建筑结构火灾实验平台
US3089201A (en) Method of making building structures
KR20120086525A (ko) 비상 탈출 시스템
CN210077330U (zh) 一种防扬尘的烧香焚烧炉
CN104180468B (zh) 建筑物火灾导烟导火减灾***
JPS6115389Y2 (ko)
CN105822342A (zh) 一种水下断面隧道人员疏散救援通道结构及控烟***
JPS60209A (ja) 焼却炉
CN219061128U (zh) 一种篝火帐篷
JP2002315841A (ja) 可動遮蔽壁による臨時退避エリア創設方法による火災避難設備
JP4248942B2 (ja) 囲炉裏を有する住宅
KR102022304B1 (ko) 이동안전 체험차량의 탈출용 슬라이드 장치
KR200406457Y1 (ko) 난방용 난로
JP2002035154A (ja) 避難階段の区画システム
US665890A (en) Fire-controller.
CN102080823A (zh) 燃气热水器用燃烧器结构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