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900B1 -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900B1
KR102624900B1 KR1020190071609A KR20190071609A KR102624900B1 KR 102624900 B1 KR102624900 B1 KR 102624900B1 KR 1020190071609 A KR1020190071609 A KR 1020190071609A KR 20190071609 A KR20190071609 A KR 20190071609A KR 102624900 B1 KR102624900 B1 KR 10262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ayer flooring
measured
styrene
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921A (ko
Inventor
노형문
남승백
손종석
장우경
신지희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07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90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을 포함하는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Single layer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을 포함하는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주로 주거용이나 상업용 건물의 바닥을 마감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바닥으로부터의 먼지 및 차가움을 차단하여 위생적인 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색상의 미려한 무늬가 인쇄되어 있어 고객 취향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아늑하게 바꿔주는 등 장식효과도 가진다.
상기 바닥재로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또는 고무(Rubber) 소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6629호는 도 2에 Homogeneous type의 바닥재, 즉, 단일층 바닥재로서 폴리염화비닐 칩층 및 폴리염화비닐 칩층의 표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도료층을 구비한 구조의 단일층 바닥재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바닥재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다량 배출되고,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용출되어 인체의 안전에 크게 악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더해,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바닥재는 유리전이온도(Tg)가 15-30℃이기 때문에 저온에서 딱딱해져 겨울철과 같은 저온 조건에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고무 소재의 바닥재는 가황 공정에 의한 가교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됨에 따라 단색의 단조로운 소칩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고, 재활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황 공정에 의해 부가물이 생성됨에 따라 친환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바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3-0026629A (2013.03.14.)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이 0.1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각각 제조된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를 분쇄하여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조된 칩을 압연하여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단일층 바닥재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이 0.1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는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며, (저온) 유연성이 우수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기타 물성도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의 상면에 UV 도료층을 더 부가한 단일층 바닥재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이 0.1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10)에 관한 것이다(도 1 참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단일층 바닥재(10)의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온) 유연성은 상온에서의 유연성과 저온영역(0-10℃)에서의 유연성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적어도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 및 부타디엔계 단량체 외에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시클로헥실스티렌, 4-도데실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및 4-(페닐부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일례로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2,3-디메틸-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는 1,3-부타디엔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공단량체는 일례로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클로라이드, 비닐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와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결합 형태는 일례로 직사슬형, 분기형 및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에 있어서 공중합 형태는 일례로 교대(alternating), 랜덤(random) 및 블록(bloc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구체적 일례로 카렌더 가공에 적절한 점탄성을 갖는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스티렌 50-90 중량%, 60-80 중량% 또는 65-75중량% 및 부타디엔 10-50 중량%, 20-40 중량% 또는 25-35중량%를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다른 공단량체를 더 이용하여 중합된 경우 다른 공단량체 함량은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1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용융 체적 속도가 5-20cm3/10min 또는 7-15cm3/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체적 속도는 ISO 1133(200℃, 5kg)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용융 체적 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경도가 40-80 또는 50-70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ISO 868로 측정한 쇼어(Shore D) 경도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비캣 연화점이 20-60℃ 또는 30-50℃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비캣 연화점은 ISO 306(50N, 50℃/h)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굴곡강도가 5-30MPa, 또는 10-25MPa일 수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ISO 178(23℃)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굴곡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저온) 유연성 및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50,000g/mol 또는 150,000-2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성형성, 눌림복원성 및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 분포가 있는 고분자 화합물의 성분 분자종의 분자량을 중량 분율로 평균하여 얻어지는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내에 5-30 중량% 또는 8-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스티렌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일례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니트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t-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틸-2-프로필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 및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결합 형태는 일례로 직사슬형, 분기형 및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 및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공중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교대(alternating), 랜덤(random) 및 블록(block)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구체적 일례로 단일층 바닥재의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적합한 스티렌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 일례로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스티렌 50-90 중량%, 60-80 중량% 또는 70-80중량%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50 중량%, 20-40 중량% 또는 20-30중량%를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용융 체적 속도(Melt Volume Rate)가 10-50cm3/10min 또는 20-40cm3/10min일 수 있다. 상기 용융 체적 속도는 ISO 1133(220℃, 10kg)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융 체적 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경도가 150-190MPa 또는 160-180MPa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ISO 2039-1로 측정한 볼 압입경도(Ball Indentation)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비캣 연화점이 80-120℃ 또는 90-110℃ 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비캣 연화점은 ISO 306(50N, 50℃/h)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굴곡강도가 80-120MPa, 또는 90-110MPa일 수 있다. 상기 굴곡강도는 ISO 178(23℃)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굴곡강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저온) 유연성 및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250,000g/mol 또는 120,000-2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성형성, 눌림복원성 및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가공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내에 3-20중량% 또는 5-18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은 내화학성 및 눌림복원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폴리에테르(Polyether)계 및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경도가 75-95 또는 80-90일 수 있다. 상기 경도는 ASTM D2240으로 측정한 쇼어(Shore A) 경도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상기 범위의 경도를 가짐으로써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최대 신장율(Ultimate Elongation)이 350-550% 또는 400-500%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신장율은 ASTM D412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상기 범위의 최대 신장율을 가짐으로써 (저온)유연성 및 눌림복원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내에 3-20중량% 또는 5-18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화학성 및 눌림복원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단일층 바닥재(10) 성형 시 칩이 탈리되는 등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을 위한 것으로, 일례로 탄석, 탈크,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등방성일 수 있고, 이 경우, 경제적인 효과 및 물성 향상 효과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의 입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구체적 일례로, 가격 및 범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탄석(CaCO3)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내에 40-80중량% 또는 45-7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눌림복원성, 난연성 및 치수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칩 성형 시 분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저온) 유연성, 내마모성 및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미네랄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연화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성형성 및 경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일례로 파라핀계, 나프텐계, 및 아로마틱계 오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구체적 일례로 내후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파라핀계 오일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40℃에서의 동점도가 50-150mm2/s 또는 70-130mm2/s 일 수 있다. 상기 동점도는 ASTM D 445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의 동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성형성 및 (저온)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치수안정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은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내에 0.1-10중량% 또는 0.5-5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저온)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시공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눌림복원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선택적으로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난연제는 일례로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인계 난연제, 및 암모늄 피로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페놀계, 유황계 및 인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친환경 활제에 해당하는 탄소수 18의 포화 고급지방산인 스테아린산 또는 이상의 고급 지방산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일례로 흰색, 파란색, 흑색 및 황색 등 다양한 색상의 유색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 외 상기 열거한 첨가제 외에도 물성 등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할 경우,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첨가제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두께가 1-5mm, 또는 1.5-3.5mm일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행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두께가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그 상부에 선택적으로 UV 도료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UV 도료층(20)은 UV 경화형 도료를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상부에 전면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오염물이 상기 단일층 바닥재(10)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오염 발생시 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두께가 0.001-1.0mm 또는 0.005-0.5mm일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오염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이 0.1mg/m2h 이하 또는 0.08mg/m2h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VOC는 Small Chamber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TVOC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002mg/m2h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TVOC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친환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영률이 3,500kgf/cm2 이하 또는 3,300kgf/cm2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인장시편 규격 ASTM D 638에 따라 저온영역(0-10℃)에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영률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500kgf/c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영률을 가짐으로써 (저온) 유연성이 우수하여 저온 조건에서도 우수한 시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내유성이 0점 또는 1점일 수 있다(단, 여기서 0점은 no change, 1점은 slight change, 2점은 moderate change 및 3점은 severe change를 의미함). 상기 내유성은 ASTM F925 규격에 따라 단일층 바닥재(10) 상부에 등유를 뿌리고 나서, 1시간 후에 표면을 닦은 후 상기 단일층 바닥재(10)의 표면 손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내화학성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화학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잔류압입율이 0.08mm 이하 또는 0.06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잔류압입율은 EN 433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잔류압입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001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잔류압입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눌림복원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층 바닥재(10)는 연기밀도가 700 이하 또는 500 이하(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 350 이하 또는 300 이하(불꽃 존재없이 25kW/m2), 900 이하 또는 700 이하(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일 수 있다. 상기 연기밀도는 IMO FTP CODE PART 2: 2010 Appendix 1 규격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연기밀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없이 25kW/m2), 0 이상 또는 100 이상(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층 바닥재(10)는 상기 범위의 연기 밀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를 포함하되,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이 0.1 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10)의 제조방법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각각 제조된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를 분쇄하여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조된 칩을 압연하여 단일층 바닥재(10)를 제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일례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3-2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40-180℃ 또는 150-17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트 조성물은 충전제 또는 미네랄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트 조성물 내 충전제는 40-80중량% 또는 45-78중량%, 미네랄 오일은 0.1-10중량% 또는 0.5-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조성물은 일례로,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충전제, 미네랄 오일, 난연제, 산화방지제, 활제 및 안료는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S3)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250-350초 또는 280-320초 동안 겔링시키고, 80-100℃ 또는 85-95℃ 및 1.5-3kg/cm2 또는 1.8-2.5kg/cm2에서 압연하여 1.0-3.5cm 또는 2-3cm 두께의 제 1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2개 이상의 제 1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60-150℃ 또는 80-130℃ 및 3-6kg/cm2 또는 3.5-5.5kg/cm2에서 압연하여 0.5-3.5mm 또는 1-3mm 두께의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2 시트는 복수 개의 색상이 완전히 섞이지 않고 서로 경계를 이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S5)단계는 상기 제 2 시트를 0.5-7.0mm 또는 1.0-5.0mm의 길이로 분쇄하여 칩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7)단계는 상기 칩을 오븐에서 200-250℃ 또는 200-230℃로 가열한 후, 제 1 카렌더 및 제 2 카렌더에서 80-130℃ 또는 90-120℃ 및 2.5-6kg/cm2 또는 2.5-5kg/cm2로 압연하여 1-5mm 또는 1.5-3.5mm 두께의 단일층 바닥재(10)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일층 바닥재(10)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S7)단계 이후 상기 단일층 바닥재(10)의 상면에 UV 경화 도료를 코팅한 후 경화시켜 UV 도료층(20)을 형성하는 단계(S8)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UV 도료층(20)은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후술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되는 각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종류 제조사 및 그레이드 특성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1)(SBC)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SBC KR-40 스티렌 및 부타디엔의 블록 공중합체, 용융 체적 속도 (ISO 1133(200℃, 5kg)) 9cm3/10min, 경도(Shore D(ISO 868)) 55, 비캣 연화점(ISO 306(50N, 50℃/h)) 40℃, 굴곡강도(ISO 178(23℃)) 17Mpa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2)(SBC) LG화학, SBR 1502 Ethenylbenzene polymer with 1,3-butadiene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MMA) 이네오스 스티롤루션, 스티롤루션 NAS-30 스티렌 및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 용융 체적 속도(ISO 1133(220℃, 10kg) 30cm3/10min, 경도(ISO 2039-1, 볼 압입경도) 169MPa, 비캣 연화점(ISO 306(50N, 50℃/h)) 98℃, 굴곡강도(ISO 178(23℃)) 100MP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송원산업, Songstomer P-8185AC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경도(Shore A(ASTM D2240)) 87±2, 최대 신장율(ASTM D412) 450%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LG화학, LS 080 폴리염화비닐 단독 중합체
충전제 렉셈, S1000 탄석
미네랄 오일 현대오일뱅크, LTP 500 파라핀계 오일, 동점도(ASTM D445) 95mm2/s
산화방지제1 ) 송원산업, songnox 1076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산화방지제2 ) 동남합성, WESTON-399 Trisnonylphenyl Phosphite
산화방지제3 ) BASF, Tinuvin 622 Poly-(N-Beta-hydroxyethyl-2,2,6,6-tetramethyl-4-hydroxy-piperidyl succinate)
활제 송원산업, SL-29 스테아린산
안료1) 대원색소, DVM NP Blue 파란색 안료
안료2) 대원색소, DVM NP White 흰색 안료
가소제1) LG화학, GL300 Non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가소제2) LG화학, GL520 Non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열안정제 CNA, BZ-0110 바륨-아연계 열안정제
가공조제 LG화학, PA828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MBS)
클레이 조양케미칼, snobrite 카올린 클레이
가황제 일신켐텍 -
가황조제 일신켐텍, TT/ 일신켐텍, NS Thioperoxydicarbonic Diamide/2-Benzothiazolesulfenamide,N-(1,1-Dimethylethyl)
연화제 일신켐텍, WB16F 칼슘비누와 지방산의 N-substituated 아미드의 혼합물
UV 경화형 도료 조광페인트 -
<실시예 1>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1 ) 4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3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탄석 250중량부, 미네랄 오일 5중량부, 산화방지제1 )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및 안료1 ) 2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1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이한 색상의 안료2 )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1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2를 제조하였다.
각각 제조된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 조성물 1 및 시트 조성물 2를 각각 290초 동안 겔링시키고, 90 ℃ 및 2kg/cm2에서 압연하여 2.5cm 두께의 제 1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두 제 1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90℃ 및 4-5kg/cm2에서 압연하여 2mm 두께의 제 2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트를 분쇄하여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제 2 시트를 1.0-5.0 mm 길이의 칩으로 분쇄하였다.
제조된 칩을 압연하여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는 단계(S7)
상기 칩을 오븐에서 210℃로 가열하고 캐리어 벨트에 스캐터링한 후, 제 1 카렌더 및 제 2 카렌더에서 110℃ 및 3-4kg/cm2로 압연하여 2.5 mm 두께의 단일층 바닥재로 제조하였다.
단일층 바닥재의 상면에 UV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S9)
UV 경화형 도료를 상기 단일층 바닥재 상부에 전면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두께가 0.01mm인 UV 도료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1 ) 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0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3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탄석 250중량부, 미네랄 오일 5중량부, 산화방지제1 )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및 안료1 ) 2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3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안료2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3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4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PVC 수지 100중량부, 가소제1 ) 36 중량부, 탄석 250 중량부, 활제 1 중량부, 열안정제 2 중량부, 가공조제 2 중량부 및 안료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5를 제조하고, 안료2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5와 동일한 시트 조성물 6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2 ) 100 중량부, 가소제2 ) 5 중량부, 클레이 200 중량부, 가황제 및 가황조제 5 중량부, 산화방지제2 ) 및 산화방지제3 ) 2 중량부, 연화제 3 중량부 및 안료1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3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7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트 조성물을 압출 T- die 를 통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 조성물 7을 반바리 믹서에서 200초 동안 겔링시키고, 내부온도가 80℃인 압출 T-die를 통하여 압출하여 3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시트를 경화하여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는 단계(S5)
상기 시트를 120℃ 및 3-5kg/cm2에서 카렌더 압연하여 2.5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한 후, 이를 180℃ 및 5-10kg/cm2 의 카렌더 로터큐어로 경화시켜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S1) 단계에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1 ) 70중량% 및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0중량%를 포함하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탄석 250중량부, 미네랄 오일 5중량부, 산화방지제1 ) 3중량부, 활제 1중량부 및 안료1 ) 2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바리 믹서로 160℃에서 혼련하여 시트 조성물 8을 제조하고, 상이한 색상의 안료2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만 제외하면 상기 시트 조성물 8과 동일한 조성의 시트 조성물 9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단일층 바닥재의 조성을 정리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SBC 11.1 8.3 - - 19.4
SMMA 8.3 11.1 - - 8.3
TPU 8.3 8.3 - - -
PVC - - 25.4 - -
SBR - - - 31.5 -
탄석 69.3 69.3 63.6 - 69.3
미네랄 오일 1.4 1.4 - - 1.4
가소제 - - 9.2 1.6 -
산화방지제 0.8 0.8 - 0.6 0.8
활제 0.2 0.2 0.3 - 0.2
열안정제 - - 0.5 - -
가공조제 - - 0.5 - -
클레이 - - - 63.1 -
가황제 및 가황조제 - - - 1.6 -
연화제 - - - 1.0 -
안료 0.6 0.6 0.5 0.6 0.6
[시험예]
1. 친환경성
단일층 바닥재를 165mmⅹ165mmⅹ2mm(가로ⅹ세로ⅹ두께)의 크기로 재단한 후,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TVOC를 측정하였다.
TVOC가 작을수록 친환경성이 증가한다.
2. 저온 유연성(영률, Young's modulus)
ASTM D638 규격에 따라 폭 13mm, 길이 57mm의 Doggy bone형태의 시편을 저온영역(0-10℃)에서 UTM 장비(LLOYD Instrument社, LRX Plus)를 사용하여 연신속도 50mm/min의 조건으로 인장 시험을 하였을 때, 길이/폭 방향으로 변형에 대한 힘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영률이 작을수록 저온 유연성이 우수하다.
3. 내화학성
ASTM F925에 따라 단일층 바닥재 상부에 등유를 뿌리고 나서, 1시간 후에 표면을 닦은 후 상기 단일층 바닥재의 표면 손상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내유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내유성 평가 점수가 작을수록 내화학성이 우수하다.
0점: no change, 1점: slight change, 2점: moderate change, 3점: severe change
4. 눌림복원성
상기 단일층 바닥재를 EN 433에 명기된 바와 같이 지름 11.3mm의 반구형 강봉으로 51kg의 하중을 가하고 150분 경과 후 해제한 다음, 15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시편의 두께 변화를 통해 아래와 같이 잔류압입율을 구하였다.
잔류압입율 = (T0 - T1)mm
T0: 가압 전 두께, T1: 가압 후 두께
잔류압입율이 작을수록 눌림복원력이 우수하다.
5. 난연성
IMO FTP CODE PART2: 2010 Appendix 1 규격에 따라 상기 단일층 바닥재를 밀폐된 캐비닛에서 열 조사하여 그 연기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열 조사는 불꽃 존재 하에 25kW/m2, 불꽃 존재없이 25kW/m2, 및 불꽃 존재 하에 50kW/m2의 조사 강도로 진행하였다.
연기밀도가 작을수록 난연성이 우수하다.
친환경성(TVOC, mg/m2h) 저온 유연성(영률, kgf/cm2) 내화학성(내유성, 점수) 눌림
복원성(잔류압입율, mm)
난연성
25(kW/m2)
불꽃 有
25(kW/m2)
불꽃 無
50(kW/m2)
불꽃 有
실시예 1 0.052 2,000-2,500 0 0.03-0.05 320 265 405
실시예 2 0.054 2,500-3,300 0 0.04-0.06 310 260 405
비교예 1 0.150 3,500-4,500 0 0.08-0.10 782 358 924
비교예 2 0.920 1,500-2,500 1 0.03-0.05 755 402 963
비교예 3 0.054 2,000-2,500 2 0.08-0.10 318 267 403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단일층 바닥재는 친환경성, 저온 유연성, 내화학성, 눌림복원성 및 난연성 등의 물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단일층 바닥재는 폴리염화비닐 소재로 구성되고, 가소제 등을 포함하여 친환경성, 저온 유연성, 눌림복원성 및 난연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단일층 바닥재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어 친환경성, 내화학성 및 난연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의 단일층 바닥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 않아 내화학성 및 눌림복원성이 실시예에 비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단일층 바닥재 20: UV 도료층

Claims (15)

  1.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바닥재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 3-2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 충전제 40-80중량%, 및 미네랄 오일 0.1-10중량%를 포함하여 카렌더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ISO 1133(200 ℃, 5kg)에 의해 측정된 용융 체적 속도가 5 내지 20 cm3/10min이고, ISO 868로 측정한 쇼어 (Shore D) 경도가 40 내지 80이며, ISO 306(50N, 50 ℃에 의해 측정된 비캣 연화점이 20 내지 60℃이고, ISO 178(23 ℃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5 내지 30MPa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250,000 g/mol이며,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는 ISO 1133(220 ℃, 10kg)에 의해 측정된 용융 체적 속도가 20 내지 40 cm3/10min이고, ISO 306(50N, 50 ℃에 의해 측정된 비캣 연화점이 80 내지 120℃이고, ISO 178(23 ℃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80 내지 120MPa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250,000 g/mol이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ASTM D2240으로 측정한 쇼어 (Shore A)경도가 75 내지 95이고, ASTM D412에 의해 측정된 최대 신장율이 350 내지 550%이며,
    상기 충전제는 탄석, 탈크,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미네랄 오일은 ASTM D445에 의해 측정된 40℃에서의 동점도가 50 내지 150 mm2/s이고,
    상기 단일층 바닥재를 165mm×165mmⅹ2mm(가로×세로×두께)의 크기로 재단하여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측정한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이 0.1mg/m2h 이하이고,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0-10℃에서의 영률(ASTM D 638)이 3,500kgf/cm2 이하인 것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잔류압입율(EN 433)이 0.08mm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내유성(ASTM F925)이 0점 또는 1점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불꽃 존재하에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700 이하, 불꽃 존재없이 25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350 이하 및 불꽃 존재하에 50kW/m2로 열 조사 하였을 때의 연기밀도가 900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오일은 파라핀계 오일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Small Chamber)이 0.08mg/m2h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0-10℃에서의 영률(ASTM D 638)이 3,300kgf/cm2 이하인 것인 단일층 바닥재.
  14. 상이한 색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각각 제조된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합판 카렌더로 압연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3);
    상기 시트를 분쇄하여 칩을 제조하는 단계(S5); 및
    상기 제조된 칩을 카렌더를 사용하여 압연하여 단일층 바닥재를 제조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단일층 바닥재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바닥재로서, 비-폴리염화비닐 소재 및 비-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단일층 바닥재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5-30중량%,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 3-2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3-20중량%, 충전제 40-80중량%, 및 미네랄 오일 0.1-10중량%를 포함하여 카렌더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ISO 1133(200 ℃, 5kg)에 의해 측정된 용융 체적 속도가 5 내지 20 cm3/10min이고, ISO 868로 측정한 쇼어 (Shore D) 경도가 40 내지 80이며, ISO 306(50N, 50 ℃에 의해 측정된 비캣 연화점이 20 내지 60℃이고, ISO 178(23 ℃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5 내지 30MPa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250,000 g/mol이며,
    상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랜덤 공중합체는 ISO 1133(220 ℃, 10kg)에 의해 측정된 용융 체적 속도가 20 내지 40 cm3/10min이고, ISO 306(50N, 50 ℃에 의해 측정된 비캣 연화점이 80 내지 120℃이고, ISO 178(23 ℃에 의해 측정된 굴곡강도가 80 내지 120MPa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250,000 g/mol이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ASTM D2240으로 측정한 쇼어 (Shore A)경도가 75 내지 95이고, ASTM D412에 의해 측정된 최대 신장율이 350 내지 550%이며,
    상기 충전제는 탄석, 탈크,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미네랄 오일은 ASTM D445에 의해 측정된 40℃에서의 동점도가 50 내지 150 mm2/s이고,
    상기 단일층 바닥재를 165mm×165mmⅹ2mm(가로×세로×두께)의 크기로 재단하여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측정기를 사용하여 Small Chamber법에 의해 측정한 총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방출량이 0.1mg/m2h 이하이고,
    상기 단일층 바닥재는 0-10℃에서의 영률(ASTM D 638)이 3,500kgf/cm2 이하인 것인 것인, 카렌더 가공된 단일층 바닥재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시트 조성물을 각각 250-350초 동안 겔링시키고, 80-100℃ 및 1.5-3kg/cm2에서 압연하여 1.0-3.5cm 두께의 제 1 시트를 각각 제조한 후, 상기 2개 이상의 제 1 시트들을 합판 카렌더로 60-150℃ 및 3-6kg/cm2에서 압연하여 0.5-3.5mm 두께의 제 2 시트를 제조하는 것인, 카렌더 가공된 단일층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190071609A 2019-06-17 2019-06-17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09A KR102624900B1 (ko) 2019-06-17 2019-06-17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609A KR102624900B1 (ko) 2019-06-17 2019-06-17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21A KR20200143921A (ko) 2020-12-28
KR102624900B1 true KR102624900B1 (ko) 2024-01-15

Family

ID=7408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609A KR102624900B1 (ko) 2019-06-17 2019-06-17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8B1 (ko) * 2010-05-19 2010-08-12 주식회사 드림웨이 친환경 탄성포장재 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279B1 (ko) * 2003-10-16 2006-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성 장척 마블바닥재 및 이의 연속공법에 의한 제조방법
KR101523370B1 (ko) * 2011-04-29 2015-05-26 아메리칸 빌트라이트 (캐나다) 리미티드 표면 커버링 재료 및 제품
KR20130026629A (ko) 2011-09-06 2013-03-14 (주)엘지하우시스 폴리염화비닐 칩 인레이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46987B1 (ko) * 2017-02-09 2019-02-13 주식회사 세화신소재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8B1 (ko) * 2010-05-19 2010-08-12 주식회사 드림웨이 친환경 탄성포장재 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921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125B1 (en) Surface covering with a bio-based plasticizer
US10737473B2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ing and flooring comprising same
US20080026237A1 (en) Mat acrylic resin film
KR20190075000A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849851A (zh) 抗冲击耐磨层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1816875B1 (ko) 폴리프로필렌 친환경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5690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되는 합성목재
KR102624900B1 (ko) 단일층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59333B (zh) 非聚氯乙烯表面覆盖物
KR20190068901A (ko) 표면 눌림성을 개선한 타일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2013B1 (ko)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1557B1 (ko) 지방족 폴리우레탄 기조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43375B1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9692A (ko) 데코타일 탑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7850B1 (ko)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선박용 난연 타일
KR100431887B1 (ko) 이중 고무 보도블럭
KR102308108B1 (ko) 합성목재
KR102497220B1 (ko) 타일 바닥재
KR102536836B1 (ko) 단일층 시트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579B1 (ko) 금속 질감이 부여된 창호용 합성수지 프로파일
KR100982196B1 (ko) 염화비닐 공중합 수지의 파이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KR102448254B1 (ko) 바닥재
KR101718943B1 (ko) 친환경 데코레이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5111851B2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