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062B1 -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062B1
KR102624062B1 KR1020220125588A KR20220125588A KR102624062B1 KR 102624062 B1 KR102624062 B1 KR 102624062B1 KR 1020220125588 A KR1020220125588 A KR 1020220125588A KR 20220125588 A KR20220125588 A KR 20220125588A KR 102624062 B1 KR102624062 B1 KR 10262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contact
ba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훈
Original Assignee
김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훈 filed Critical 김주훈
Priority to KR102022012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작기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작기계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조작부 및 하우징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며, 조작부를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Controller apparatus for machine tools}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재료를 대량으로 가공, 생산하기 위해 공작기계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 생산을 위한 공작기계의 경우 컴퓨터에 의해 제어가 되기 전까지는 정밀한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즉 컴퓨터 수치 제어에 의한 공작기계의 운용으로 재료를 다양한 형상으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공작기계의 성능 및 기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작기계와 일체형이었던 종래의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와 달리 공작기계와 별물로 구성되는 분리형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분리형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의 경우 공작기계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많은 전선 및 전장장치를 포함하는데 컨트롤러 장치 자체의 큰 하중으로 상기 장치를 이동 및 회전시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할 수 없어 사용자의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3137호(2005.05.25. 등록, 발명의 명칭: 목공머시인의 시엔시 제어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하우징부와 상대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기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작기계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조작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가능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한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제한본체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가능한 회전본체부; 및 상기 회전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접촉가능한 접촉본체; 및 상기 접촉본체와 상기 회전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접촉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는 공작기계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공작기계와 다중의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부와 상대 이동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하우징부의 위치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작부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제한부로 인하여 하우징부와 조작부 간의 상대 이동이 미리 설정되는 범위 내에서 이뤄질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와 조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한 연결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에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대해 상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와 조작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단면 처리한 연결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연결된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에서 조작부가 하우징부에 대해 상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공작기계(20)를 운용 및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공작기계(20)와 별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공작기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작기계(20)는 뒤에 설명할 하우징부(100)에 수용된 전장부(도면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작기계(20)'는 컴퓨터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목공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20)는 목공 작업 중에서 원목에 대해 평면 가공을 하여 문양을 만들고, 목재의 결을 살리도록 대상체를 가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목공 작업뿐만 아니라 가공 대상체와 접촉하여 평면 가공, 절단, 패턴 형성, 밀링(milling)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하우징부(100)에 구비되는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받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컴퓨터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공작기계(20)에 사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공작기계(20)의 구성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하우징부(100), 조작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공작기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부가 수용되는 것으로, 하우징본체(110), 하우징커버(130), 이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10)는 하우징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10) 내부에는 공작기계(20)와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에 동력 및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도면 미도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장부(도면 미도시)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 도 6을 참조하면, 조작부(200)와 마주보는 하우징본체(1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는 뒤에 설명할 연결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와 조작부(200)를 연결하며, 하우징본체(110)와 조작부(200)가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와 관련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하도록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130)는 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커버하는 것으로, 하우징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130)는 하우징본체(11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여닫이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본체(110)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본체(110)와 하우징커버(130) 사이에 레일(도면 미도시)이 배치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 등 하우징본체(110)의 내부 공간이 드러날 수 있도록 개폐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130)의 일측에는 잠금부재(도면부호 미설정)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우징본체(11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장부 및 관련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50)는 하우징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고중량의 장치가 수용되어도 사용자가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동부(150)는 무한궤도(caterpillar)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작기계(20)와 별물로서 이격 배치되는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공작기계(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는 하우징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상측에서 하우징부(100)와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10을 참조하면, 조작부(200)는 연결부(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부(300)가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상측(도 1 기준) 상에서 상대 이동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에는 공작기계(20)에 명령어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 모듈(도면번호 미설정), 시각적 정보를 송출하는 모니터(도면번호 미설정) 등 공작기계(20)를 제어하기 위한 전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부(100) 및 연결부(300)를 마주보는 조작부(20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에는 홀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00)에 형성되는 홀부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부와 조작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선, 배선 등이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등 조작부(200)의 회전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여 일방향(도 1 기준 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조작부(200)와 하우징부(1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조작부(200), 하우징부(100)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300)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에는 홀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부가 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조작부(200)와,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선(도면 미도시) 등이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되는 홀부의 중심축은 연결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인 회전부(330)와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은 연결부(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300)가 이동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200)는 연결부(300)와 볼트 등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가 연결부(300)로부터 이탈되거나 연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하우징부(100)와 조작부(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조작부(200)를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 도 8를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베이스부(310), 회전부(330), 회전제한부(350), 회전지지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하우징부(100), 조작부(200)에 각각 연결되며, 조작부(200)와 하우징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300)는 조작부(20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베이스부(310), 회전부(330), 회전제한부(350), 회전지지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310)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조작부(200)와 마주보는 하우징본체(1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본체(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310)는 베이스본체(311), 베이스고정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는 뒤에 설명할 회전부(330)와 연결되는 것으로, 베이스본체(311) 상에서 회전부(330)가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311)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본체(311)와 하우징본체(110)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고정부(315)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본체(311)는 베이스고정부(315)의 하측(도 3 기준)에 연결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본체(311)는 베이스고정부(315)와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본체(110)의 내주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는 회전 중심축(AX)방향 길이가 밑변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 형상, 다각 기둥 형상 등 하우징본체(1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의 밑변의 길이는 뒤에 설명할 회전몸체(33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본체(311)의 회전 중심축(AX)방향 길이는 회전몸체(332)의 회전 중심축(AX) 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는 회전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삽입부(도면번호 미설정)가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삽입부(도면번호 미설정)는 회전몸체(332)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의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의 내경은 회전몸체(332)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회전몸체(332)가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의 내주면과 회전본체부(331) 사이에는 회전지지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370)와 마주보는 베이스본체(311)의 내주면 형상은 회전지지부(37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370)가 베이스본체(311)와 회전본체부(331)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회전본체부(331)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는 하우징부(100) 및 베이스본체(311)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베이스본체(311)와 하우징부(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의 내주면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베이스고정부(315)는 베이스본체(311)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고정부(315)의 하면(도 4 기준)과 베이스본체(311)의 상면(도 4 기준)이 결합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는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베이스고정부(315)가 하우징본체(110)와 접촉하는 면을 '제1면', 베이스고정부(315)가 베이스본체(311)와 접촉하는 면을 '제2면'이라 하고, 제2면을 모두 포함하는 영역 과 제1면과의 수직거리를 'L'이라고 정의하도록 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의 일측 끝단은 미리 설정된 길이(L)만큼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복수 회, 구체적으로 두 번 접힌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의 상기 일측 끝단과 마주보는 타측 끝단도 미리 설정된 길이(L)만큼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두 번 접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베이스고정부(315)의 제1면과 제2면은 평행하고, 제1면과 제2면 간 거리는 미리 설정된 길이(L)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고정부(315), 하우징본체(110)와 접촉하는 제1면과 베이스고정부(315), 베이스본체(311)와 접촉하는 제2면이 미리 설정되는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베이스고정부(315)와 하우징부(100)의 접촉면을 넓혀 접촉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면을 넓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수직거리(L)을 증가시켜 하우징부(100)와 베이스본체(311)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얇은 판 형상의 베이스고정부(315)로 연결부(300)의 중량 및 제작 비용를 감소시킬 수 있고, 베이스본체(311)와 하우징부(100) 상부면 간 이격 거리를 늘려 하우징부(100)의 상부면 및 베이스본체(311)에 삽입되는 회전몸체(332)의 회전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는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삽입홀부(도면번호 미설정)가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에 형성된 삽입홀부의 직경은 회전몸체(332)의 외경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본체(311)에 형성되는 삽입부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311)와 베이스고정부(315)는 별물로 서 탈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고정부(315)의 일측에는 뒤에 설명할 스토퍼부(351)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351)가 뒤에 설명할 제한본체(355)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한본체(355)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회전부(330)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제한부(350), 구체적으로 스토퍼부(351), 제한본체(355)와 관련된 설명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는 조작부(200)와 결합되며 베이스부(310)와 접촉가능한 것으로,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는 조작부(200)와 베이스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30)의 일측은 조작부(200)에 위치 고정되어 결합되며, 베이스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의 회전운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되는 구동장치(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부(33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부(330)의 회전 각도는 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도면 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도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30)는 회전본체부(331), 접촉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본체부(331)는 베이스부(310)에 삽입가능한 것으로, 회전몸체(332), 확장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332)는 베이스부(310)에 삽입 가능하며, 길이 방향 중심축(AX)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통과홀부(331h)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몸체(332)는 내부가 중공이며, 양단부(도 3 기준 상, 하단부)가 개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홀부(331h)를 통과하여 하우징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몸체(332)는 베이스부(310), 구체적으로 베이스본체(311)와 중심을 공유할 수 있고, 상기 중심(CP)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회전몸체(332)는 회전경로(을 따라 회전 중심(CP)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332)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와 폭을 가지는 홈부(도면번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부의 내측에는 회전지지부(37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폭과 깊이는 뒤에 설명할 회전지지부(37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몸체(332)의 회전 중심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회전지지부(370)가 회전몸체(332)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몸체(33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회전 중심축(AX)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회전지지부(37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홈부에 안착되는 등 회전몸체(332)에 회전지지부(37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33)는 회전몸체(332)와 연결되는 것으로, 조작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부(333)는 조작부(200)와 하우징부(100) 상면(도 2 기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33)의 상면은 조작부(200)의 하면과 고정되게 연결되며, 확장부(333)의 하면은 회전몸체(332)의 상면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확장부(333)와 조작부(200) 및 회전몸체(332) 사이에는 접착층(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확장부(333)와 조작부(200) 및 회전몸체(332)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장부(333)는 회전몸체(332)와 별물로 구성되어 회전몸체(332)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확장부(333)와 회전몸체(332) 사이에 결합면이 존재하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장부(333)는 미리 설정되는 두께를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플레이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확장부(333)가 조작부(200)에 위치 고정되며 연결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회전시키면, 바닥에 위치 고정되는 하우징부(100)의 위치는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200)를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구체적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확장부(333)는 회전몸체(332)와 중심축을 공유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조작부(200)와 면접촉이 가능하다. 확장부(333)의 외경은 회전몸체(332)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조작부(200)와 면접촉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몸체(332)가 조작부(200)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보다 확장부(333)를 통해 조작부(200)와 연결되는 경우에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져, 조작부(200)가 수평균형을 유지하는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몸체(332)가 조작부(200)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보다 접촉면에 가해지는 단위면적당 면압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어, 조작부(200)가 수평균형을 유지하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33)의 상면(도 3 기준)은 조작부(200)와 접촉될 수 있다. 확장부(333)는 조작부(200)의 하면(도 2 기준)과 체결부재(도면 미도시)에 의해 체결되며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조작부(200)의 하면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부에 확장부(333)가 삽입되며 조작부(200)와 확장부(333)가 체결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33)에는 통과홀부(331h)가 형성될 수 있고, 회전몸체(332)에 형성되는 통과홀부(331h)와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와 하우징부(100)에 수용되는 전장부 등이 전선, 배선 등으로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332)에는 뒤에 설명할 제한본체(355)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 설명할 회전제한부(350)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홀부(331h)는 회전몸체(332) 및 확장부(333)에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면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몸체(332)에 형성되는 통과홀부(331h)와 확장부(333)에 형성되는 통과홀부(331h)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과홀부(331h)는 일(一)자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Y자관, 니은(ㄴ)자관 등 조작부(200)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부(100) 내부 공간이 연통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선, 배선 등이 통과홀부(331h)를 통해 통과가 가능하여 조작부(200)에 수용된 전장 모듈과 하우징부(100)에 수용된 전장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부(200)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이 조작부(200)의 하면(도 2 기준)에 형성되는 홀부(도면 미도시), 하우징본체(110)의 상면(도 2 기준)에 형성된 홀부(도면번호 미설정), 통과홀부(331h)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하우징본체(110)에 수용되는 전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35)는 회전본체부(331)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와 접촉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35)는 확장부(333)에 연결되는 것으로, 조작부(200)와 마주보는 하우징본체(110)의 상면에 접촉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35)는 접촉본체(336), 접촉링크부(3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35)는 회전본체부(331), 구체적으로 확장부(333)와 연결되고, 확장부(333)의 외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335)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확장부(333)의 중심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접촉부(335)와 회전본체부(331)의 연결관계는, 확장부(333)의 하면(도 4 기준)을 포함하는 평면과 하우징부(100)의 상면(도 4 기준)사이에 접촉부(335)의 미리 설정되는 영역이 위치할 수 있게 하는 모든 연결관계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링크부(337)는 접촉본체(336)와 회전본체부(331)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접촉본체(336)와 확장부(333)를 이격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촉링크부(337)는 확장부(333)의 상면(도 4 기준)에 형성되는 홈부(도면 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촉링크부(337)의 길이는 확장부(333)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의 길이보다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링크부(337)의 Z축 방향(도 1 기준) 두께는 확장부(333)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접촉링크부(337)가 확장부(333)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면, 접촉링크부(337)의 상면(도 4 기준) 과 확장부(333)의 상면(도 4 기준)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의 하면과 확장부(333)의 상면이 접촉함과 동시에 조작부(200)의 하면과 접촉링크부(337)의 상면(도 4 기준)이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링크부(337)는 자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링크부(337)가 확장부(333)에 형성된 홈부와 삽입됨과 동시에 자기력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링크부(337)와 확장부(333)의 홈부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촉링크부(337)와 확장부(333)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위치 고정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336)는 확장부(333)에 위치 고정되는 접촉링크부(337)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336)는 접촉링크부(33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확장부(333)의 외측에 배치되는 접촉링크부(337)의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접촉본체(336)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가능한 삽입홀부(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돌기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접촉본체(336)가 접촉링크부(337)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336)의 일영역은 확장부(333)의 하면을 포함하는 평면을 기준으로 -Z방향(도 1 기준) 공간에 위치하여 확장부(333)의 하면이 하우징부(100)의 상면(도 3기준)과 접촉하지 않고, 접촉본체(336)만 하우징부(100)의 상면과 접촉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접촉본체(336)만 하우징본체(110)의 상면(도 3 기준)과 접촉 이동할 경우 접촉 면적과 비례하는 점착력의 감소로, 확장부(333)가 하우징본체(110)의 상면과 직접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하우징본체(110)의 상면과의 마찰력이 감쇄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336)는 확장부(333)와 별물로 결합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면이 존재하지 않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본체(336)는 외주면이 곡면인 롤러(roll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한궤도(caterpillar) 형상 등 접촉본체(336)와 하우징본체(110)의 상면 사이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본체(336)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세라믹 등 외부 하중 및 마찰에 강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촉본체(336)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고무, 실리콘 등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완충층(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재질의 접촉본체(336)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타이어 형태의 고무 피복이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본체(336)와 하우징본체(110)의 상면(도 3 기준)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접촉본체(336)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접촉본체(336)의 교환주기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접촉본체(336)와 하우징본체(110)의 사이에서 금속성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A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접촉본체(336)와 마주보는 하우징부(100), 구체적으로 하우징본체(110)의 일면(도 4 기준 상면)에는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접촉레일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되는 접촉레일부(111)의 내측에는 접촉본체(336)가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접촉본체(336)는 하우징본체(110)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회전 중심축(AX)을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촉레일부(111)는 하우징본체(110)의 상면에 회전 중심축(AX)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의 원 궤도를 따라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레일부(111)의 형상은 접촉본체(336)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접촉본체(336)의 일측이 접촉레일부(1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레일부(111)의 형상은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촉본체(336)와의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저항 감소시키고 접촉본체(336)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본체(336)와 접촉레일부(111)의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도포되며, 윤활층(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윤활층은 윤활유, 그리스(grease)등 접촉본체(336)와 하우징본체(110)의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5,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제한부(350)는 회전부(3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스토퍼부(351), 제한본체(3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베이스부(310)에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뒤에 설명할 제한본체(355)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베이스부(310), 구체적으로 베이스고정부(315)에 연결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본체(311)에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스토퍼부(351)가 베이스고정부(315)에 연결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스토퍼부(351)가 베이스본체(311)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부(351)는 베이스고정부(315)의 일측에 연결되고, 베이스고정부(315) 상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기둥 또는 플레이트 형상 등 뒤에 설명할 제한본체(35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부(351)는 베이스부(310)와 별물로 형성되어 베이스고정부(315)에 결합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고정부(315)와 일체로 형성되는 등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부(35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스토퍼부(351)는 회전부(330)의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각도를 이루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스토퍼부(351)가 회전부(330)의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180도를 이루며 베이스고정부(315)에 연결될 수 있으나, 120돌르 이루며 베이스고정부(315)에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51)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뒤에 뒤에 설명할 사용자가 원하는 반경으로 제한본체(355)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는바, 조작부(200)의 회전가능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베이스고정부(315)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의 회전범위 제한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스토퍼부(351)를 베이스고정부(315)에서 이탈시켜 회전범위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홈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51`)에 형성된 홈부에 베이스고정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16`)의 내주면이 삽입될 수 있고, 스토퍼부(351)가 가이드레일(316`)의 경로를 따라 수평이동(도 9 기준 상하 방향)이 가능하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토퍼부(351)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플랜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를 포함한 스토퍼부(351)의 외경이 가이드레일(31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51)의 플랜지가 가이드레일(316`)이 형성되는 베이스고정부(315)에 걸쳐질 수 있고, 플랜지가 가이드레일(316`)을 통과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스토퍼부(351)가 베이스고정부(315)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본체(355)는 회전부(330)와 연결되는 것으로, 회전부(330)의 회전에 연동되며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한본체(355)는 회전본체부(33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회전본체부(331)의 하면(도 5 기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제한본체(35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막대(rod) 형상 등 회전부(330), 구체적으로 회전본체부(331)의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한본체(355)는 회전본체부(331)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의 회전범위 제한이 요구되지 않을 경우 제한본체(355)를 분리하여 조작부(200)가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회전제한부(35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B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한본체(355`)에는 관통 형상으로 레일홀부(356`)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홀부(356`)는 제한본체(355`)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316`)은 스토퍼부(351`)가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316`)은 베이스부, 구체적으로 베이스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316`)의 상하 방향(도 9 기준) 길이는 레일홀부(356`)의 상하 방향(도 9 기준)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351`)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레일(316`)의 폭은 홈부가 형성된 지점의 스토퍼부(35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의 스토퍼부(35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스토퍼부(351`)에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레일(316`)의 폭은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의 스토퍼부(351`)의 외경보다 크고 플랜지가 형성되는 구간의 스토퍼부(351)의 외경보다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316`)은 일(一)자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 곡률 반경을 가지며 곡면 구간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레일홀부(356`)는 제한본체(35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홀부(356`)는 제한본체(355`) 외측면의 일측에서 중심까지 'ㄴ' 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홀부(356`)의 폭은 스토퍼부(35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토퍼부(351`)가 레일홀부(356`)가 형성되어 있는 제한본체(355`) 외측면의 일측을 통해 삽입 통과된 후, 'ㄴ'자 형상의 레일홀부(356`)를 따라 제한본체(355`) 상에서 회전부(330)의 중심(CP)에서 외측 방향(도 9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일홀부(356`)의 형상은 스토퍼부(351`)가 레일홀부(356`)에 삽입되어 스토퍼부(35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레일의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3,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70)는 회전부(330)와 베이스부(3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부(330)와 베이스부(310)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지지부(370)는 회전몸체(332)의 외주면과 베이스본체(311)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370)는 내륜, 외륜, 볼(ball), 케이지(cage)를 포함하는 볼 베어링(ball bea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70)의 내륜은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회전몸체(33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지지부(370)의 외륜은 베이스본체(311)의 내주면에 해당하는 삽입부(도면부호 미설정)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복수개의 볼이 내륜과 외륜 사이에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지지부(370)는 슬리브 베어링(sleeve bearing),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슬라이드 베어링(sliding bearing) 등 회전몸체(332)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몸체(332)와 베이스본체(311)간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하우징부(100), 조작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공작기계(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조작부(200)에 입력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공작기계(20)에 전기적 정보를 전달하여 공작기계(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0)에는 전장부가 수용되며, 전장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공작기계(20)에 전달되며, 공작기계(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본체(110)에는 이동부(150)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작업 편의를 위해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0)는 베이스부(310), 회전부(330), 회전제한부(350), 회전지지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00)는 회전본체부(331)와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부(100)는 베이스부(3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본체부(331)는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회전본체부(331)와 연결되는 조작부(200)는 베이스부(310)와 연결되는 하우징부(100)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본체부(331)는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파지한 후 수동을 회전시킴에 따라 조작부(2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함꼐 회전하나, 별도의 구동부(도면 미도시)가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본체부(3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가 하우징부(100)와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200)와 회전몸체(332) 사이에는 확장부(333)가 배치되며, 회전몸체(332)와 조작부(200)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작부(200)와 회전부(330)의 결합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33)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접촉부(33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본체부(331)가 하우징본체(110)의 상면(도 4 기준)과 확장부(333)를 통해 면접촉을 하지 않고, 접촉부(335)를 통해 점접촉을 할 수 있어, 회전부(330)와 하우징본체(110)간 마찰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35)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확장부(333)의 하면의 모든 부분이 하우징본체(110)의 상면(도 4기준)과 접촉하면서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나, 접촉부(335)의 존재로 접촉부(335)만이 하우징부(100)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촉부(335)가 복수 개가 구비되며, 회전본체부(331)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 배치됨으로 인하여 회전본체부(331)가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회전 중심축(AX)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 중심축(AX)이 유지됨에 따라 회전본체부(331), 구체적으로 확장부(333)의 수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확장부(333)와 연결되는 조작부(200)가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의 상면(도 4 기준) 에는 접촉부(335)와 접촉하는 면적을 따라 접촉레일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촉부(335)가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면서, 이동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부(335)와 접촉레일부(111) 사이에 윤활층이 형성되는 경우 윤활층에 의한 마찰력 감소로 회전본체부(331)의 회전이 상대적으로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베이스부(310)에 연결되고, 제한본체(355)는 회전본체부(33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본체부(331)가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본체부(331)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한본체(355)도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351)는 제한본체(355)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여 제한본체(35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본체부(331)가 반시계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게되면 제한본체(355)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한본체(355)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부(351)에 제한본체(355)가 접촉하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본체부(331)가 시계 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함께 회전하는 제한본체(355)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스토퍼부(351)에 마찬가지로 접촉하게 되면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2개의 스토퍼부(351)는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고, 이 경우 회전몸체(332)의 회전 범위는 180도로 제한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2개의 스토퍼부(351)를 회전 중심축(AX)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한 각도 120도로 배치시키면 회전몸체(332)의 회전 범위를 120도로 제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홀부(356`)에는 스토퍼부(35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부(351`)는 레일홀부(356`)의 일측을 통해 제한본체(355`)에 삽입된 후, 가이드레일(316`)을 따라 제1방향(도 9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부(351`)가 레일홀부(356`)의 제1방향(도 9 기준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한본체(35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몸체(33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도 8 기준)으로 회전이 불가능하여 특정 회전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작기계용 컨토롤러 장치(10)는 공작기계(20)를 제어하는 조작부(200)가 공작기계(20)와 다중의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부(100)와 상대 이동이 가능함으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의 위치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작부(200)의 위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제한부(350)로 인하여 하우징부(100)와 조작부(200) 간의 상대 이동이 미리 설정되는 범위 내에서 이뤄질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20: 공작기계
100: 하우징부 110: 하우징본체
111: 접촉레일부 130: 하우징커버
150: 이동부 200: 조작부
300: 연결부 310: 베이스부
311: 베이스본체 315: 베이스고정부
316`: 가이드레일 330: 회전부
331: 회전본체부 331h: 통과홀부
332: 회전몸체 333: 확장부
335: 접촉부 3 36: 접촉본체
337: 접촉링크부 350, 350`: 회전제한부
351: 스토퍼부 355: 제한본체
356`: 레일홀부 370: 회전지지부

Claims (7)

  1. 공작기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장부가 수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공작기계의 구동을 제어가능한 조작부; 및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며, 상기 조작부를 상기 하우징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가능한 회전본체부와; 상기 회전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와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조작부와 면접촉하며, 상기 일단부와 대향되는 타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에 위치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본체부를 미리 설정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과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상기 통과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회전부와 연결가능하며, 상기 회전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제한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제한본체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전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하우징부와 접촉가능한 접촉본체; 및
    상기 접촉본체와 상기 회전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접촉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KR1020220125588A 2022-09-30 2022-09-30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KR10262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88A KR102624062B1 (ko) 2022-09-30 2022-09-30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88A KR102624062B1 (ko) 2022-09-30 2022-09-30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062B1 true KR102624062B1 (ko) 2024-01-11

Family

ID=8953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88A KR102624062B1 (ko) 2022-09-30 2022-09-30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0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167A (ja) * 2001-07-11 2003-01-29 Sodick Co Ltd 操作盤取り付け装置
JP2013164087A (ja) * 2012-02-09 2013-08-22 Ihi Corp 回転機器の回転制限装置
WO2016151835A1 (ja) * 2015-03-26 2016-09-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キャスタ付移動式架台及び加工機械ライン
KR20220043397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화신 턴 테이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167A (ja) * 2001-07-11 2003-01-29 Sodick Co Ltd 操作盤取り付け装置
JP2013164087A (ja) * 2012-02-09 2013-08-22 Ihi Corp 回転機器の回転制限装置
WO2016151835A1 (ja) * 2015-03-26 2016-09-2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キャスタ付移動式架台及び加工機械ライン
KR20220043397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화신 턴 테이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3835B2 (ja) 遠隔弾性中心機器
JP7386109B2 (ja) 零点クランプ装置
JP7219836B2 (ja) 蛇型ロボットのためのリンク
CN105014442B (zh) 一种空气干燥器阀座斜孔加工智能夹具及装夹方法
CN106113008B (zh) 一种多关节机器人
US4863206A (en) Support for a gripper
CN215395016U (zh) 一种接头组装机
CN111844070B (zh) 一种面向深孔原位加工作业的移动式混联机器人
CN112171252B (zh) 带有定矩拧紧机构的多功能装配回转台及装配方法
KR102624062B1 (ko) 공작기계용 컨트롤러 장치
CN203627366U (zh) 一种可旋转并联控制的大流量高频响数字阀
CN110062549B (zh) 一种联动式机柜底座结构
JPH11104987A (ja) パラレルリンク機構
CN105479146A (zh) 一种实现轴孔装配的设备及方法
JPH0448A (ja) 運動機構
CN111844071B (zh) 一种移动式深孔原位加工机器人
CN212288814U (zh) 锁盖双工位旋铆机
CN105415362A (zh) 制孔末端执行器调姿机构
US20190366445A1 (en) Facing accessory for a portable boring apparatus
CN219152190U (zh) 一种加工中心用的双斜度手动平台
CN220033917U (zh) 高度调节机构及agv小车
KR100871477B1 (ko) 복합 조인트 유닛
CN216607926U (zh) 一种螺纹旋进深度控制装置
CN116037999B (zh) 一种便携式螺旋铣孔装置及铣孔方法
CN219818795U (zh) 两向转动的机床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