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618B1 -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 Google Patents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618B1
KR102623618B1 KR1020220133626A KR20220133626A KR102623618B1 KR 102623618 B1 KR102623618 B1 KR 102623618B1 KR 1020220133626 A KR1020220133626 A KR 1020220133626A KR 20220133626 A KR20220133626 A KR 20220133626A KR 102623618 B1 KR102623618 B1 KR 10262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er
content
ott
cod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대화
강민구
이용백
Original Assignee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탑미디어
주식회사 커넥트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탑미디어, 주식회사 커넥트업 filed Critical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3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6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OTT 서비스의 양방향 통신환경을 이용하여 OTT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고 해당 NG 연기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OTT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불완전 사항이 포함된 콘텐츠 부분을 시청자가 특정하여 NG 코드를 할당하면 이 시청자 피드백이 블록체인을 통해 OTT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하고 OTT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시청자 참여 기반으로 구축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OTT 콘텐츠 품질 개선과 연기교육에 활용하도록 구성한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체계화하여 구분 제공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각자 분류에 맞게 활용하여 OTT 콘텐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제공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NG 코드 분류에 맞게 자동 분류하여 연기교육 자료를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technology for receiving viewer evaluations of OTT content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OTT service and managing metadata for the corresponding NG acting video.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iewer to specify an NG code for a content portion containing imperfections while watching OTT content, and this viewer feedback is provided to the OTT service system through blockchain, and the OTT service system allows such viewer participation. This is about the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OTT viewer participation, which is configured to use the NG acting video metadata built on the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TT content and ac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of OTT content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NG acting video metadata systematized and provided by viewers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automatically generating acting education materials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NG acting video metadata provided by viewers according to NG code classification.

Description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system based on OTT viewer participation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OTT 서비스의 양방향 통신환경을 이용하여 OTT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고 해당 NG(No Good) 연기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receiving viewer evaluations of OTT content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an OTT service and managing metadata for the corresponding NG (No Good) acting video.

특히, 본 발명은 OTT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불완전 사항이 포함된 콘텐츠 부분을 시청자가 특정하여 NG 코드를 할당하면 이 시청자 피드백이 블록체인을 통해 OTT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하고 OTT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시청자 참여 기반으로 구축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OTT 콘텐츠 품질 개선과 연기교육에 활용하도록 구성한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viewer to specify an NG code for a content portion containing imperfections while watching OTT content, and this viewer feedback is provided to the OTT service system through blockchain, and the OTT service system allows such viewer participation. This is about the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OTT viewer participation, which is configured to use the NG acting video metadata built on the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TT content and acting education.

최근들어 OTT(Over-The-Top)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기는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OTT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OTT 서비스 환경은 다수의 콘텐츠 재생장치(100), OTT 서비스 서버(200), 콘텐츠 전송서버(300)로 이루어진다. Recently, the number of users enjoying multimedia content in an OTT (Over-The-Top) environment is increasing.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OTT service environment. Referring to [Figure 1], the OTT service environment consists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100, an OTT service server 200, and a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OTT 서비스의 시청자 공간(예: 거실, 매장)에 배치된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전송서버(300)로부터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여 시청자에게 재생 출력한다. 이때,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OTT 단말, 스마트폰, IP 셋톱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OTT 서비스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한 OTT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장치로서 OTT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 관리한다. 콘텐츠 전송서버(300)는 시청자에 대해 OTT 환경에서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각종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301)에 관리한다.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s a device placed in the viewer space (e.g., living room, store) of the OTT service, and receives the content stream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plays and outputs it to the viewer. At this tim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OTT terminal, smartphone, IP set-top box, etc. The OTT service server 200 is a device that overall manages the OTT service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OTT service subscribers in the subscriber database 201.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streaming content to viewers in an OTT environment and manages various content data in the content database 301.

시청자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리모컨을 조작하여 라이브 채널 메뉴나 VOD 콘텐츠 메뉴에서 자신이 시청할 콘텐츠를 선택한다. 네트워크(예: 인터넷)의 양방향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이러한 콘텐츠 네비게이션이 가능하다. 시청자가 특정의 콘텐츠를 선택 완료하면, OTT 서비스 서버(200)는 그 선택된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콘텐츠 전송서버(300)로 전달하고, 콘텐츠 전송서버(300)는 해당 콘텐츠를 콘텐츠 재생장치(100)로 스트리밍 제공한다. The view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selects the content he or she wants to watch from the live channel menu or VOD content menu. This content navigation is possible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function of a network (e.g., the Internet). When the viewer completes selection of specific content, the OTT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to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Streaming is provided.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과는 달리 OTT는 양방향 인터랙션이 가능한 통신 환경이다. 따라서, OTT의 양방향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Unlike terrestrial broadcasting or cable broadcasting, OTT i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hat allows two-way intera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various services by utilizing the interactivity of OT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67004호(2008.10.29) "시청자 참여를 위한 양방향성 IPTV 방송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67004 (2008.10.29)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viewer particip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0559호(2008.11.19) "IPTV 콘텐츠와 관련된 고객 참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870559 (2008.11.19) “Method of providing customer participation services related to IPTV cont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2203호(2015.10.15) "IP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62203 (2015.10.15)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adata for applications providing IPTV servic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84182호(2022.04.04) "시청자 참여형 양방향 인터랙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84182 (2022.04.04)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ewer-participatory interactive interactive broadcasting ser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OTT 서비스의 양방향 통신환경을 이용하여 OTT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고 해당 NG 연기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ceiving viewer evaluations of OTT content and managing metadata for the corresponding NG acting video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OTT service.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OTT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불완전 사항이 포함된 콘텐츠 부분을 시청자가 특정하여 NG 코드를 할당하면 이 시청자 피드백이 블록체인을 통해 OTT 서비스 시스템으로 제공되도록 하고 OTT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시청자 참여 기반으로 구축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OTT 콘텐츠 품질 개선과 연기교육에 활용하도록 구성한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when a viewer specifies a content part containing imperfections and assigns an NG code while watching OTT content, this viewer feedback is provided to the OTT service system through blockchain, and the OTT service system provides this It provides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technology based on OTT viewer participation, which is configured to utilize NG acting video metadata built based on viewer participation for OTT content quality improvement and acting education.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matter,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TT 서비스의 양방향 통신환경을 이용하여 OTT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고 해당 NG 연기영상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platform system that receives viewer evaluations of OTT content using the two-way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OTT service and manages metadata for the corresponding NG acting video.

본 발명에 따른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은,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장치(100);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한 OTT 서비스를 관리하는 OTT 서비스 서버(200);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해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서버(300);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피드백 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at receiv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in an OTT environment and plays and outputs it; OTT service server 200 that manages OTT services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that provid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n an OTT environmen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that receives and manages viewer evaluations of multimedia content being played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이때,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도중에 시청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작을 식별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 및 트리거 조작에 연계된 시청자 선택에 의한 NG 코드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거래 데이터로서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에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dentifies a preset trigger operation by a viewer during playback of multimedia content, it provi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in the multimedia content where the trigger operation is input and NG by viewer selection linked to the trigger operation. Viewer feedback informa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cod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be input into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as transaction data.

또한,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로부터 다수의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시청자 평가에 따른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를 시청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obtains a large number of viewer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and NG video and NG code according to viewer evaluation for a large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in the OTT service. It is configured to set a database based on viewer feedback information.

본 발명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DID 블록체인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일 사용자 계정으로 사물 DID를 설정하고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자신의 사물 DID를 식별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사물 DID를 DID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sets the object DID as a unified user account for itself through the DID blockchain and uses the object DI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verify the object DID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rough the DID blockchai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또한, 본 발명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와 연동하는 피드백 처리부(120)에 대한 멀티 태핑 조작에 대응하여 트리거 조작을 식별하도록 구성되고, 트리거 조작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를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해 NG 코드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s configured to identify a trigger operation in response to a multi-tapping operation for the feedback processing unit 120 interoperating with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a preset NG in response to the trigger operation. After displaying the code table on the screen, it can be configured to set NG code information by user selection input.

또한, 본 발명에서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G 코드에 의해 그 대응하는 NG 영상을 수집 분류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에 따라 분류된 연기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cting education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NG code table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the corresponding NG images by NG code from a database of NG images and NG codes. You can.

또한, 본 발명에서 OTT 서비스 서버(200)는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NG 영상과 관련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OTT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각자 해당하는 NG 영상과 연동시켜 연기교육 콘텐츠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T service server 200 is configured to manage a database of unused video footage related to multimedia content provided in the OTT service, and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stores unused video footage related to NG video to the OTT service server ( 200) and can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acting education content by linking them with the corresponding NG video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이상과 같은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이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OTT viewer participation-based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system on the comput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체계화하여 구분 제공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각자 분류에 맞게 활용하여 OTT 콘텐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of OTT content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NG acting video metadata systematized and provided by viewers according to each classif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가 제공한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를 NG 코드 분류에 맞게 자동 분류하여 연기교육 자료를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automatically generating acting education materials by automatically classifying NG acting video metadata provided by viewers according to NG code classif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OTT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OTT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NG 코드표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산 ID 기반으로 시청자의 노드 번호를 관리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시청자 피드백의 생성 및 전달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typical OTT service environ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OTT service environment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n NG code 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managing a viewer's node number based on distributed I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delivering viewer feedback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OTT 서비스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OTT service environment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위한 OTT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콘텐츠 재생장치(100), OTT 서비스 서버(200), 콘텐츠 전송서버(300), 피드백 관리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OTT service system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ontent playback devices 100, an OTT service server 200, a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and a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 출력하는 장치이고, OTT 서비스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한 OTT 서비스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장치이고, 콘텐츠 전송서버(300)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해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장치이다.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본 발명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장치이다.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s a device that receiv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in an OTT environment and plays and outputs it. The OTT service server 200 is a device that overall manages the OTT service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n an OTT environ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s a device that receives and manages viewer evaluations of multimedia content being played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본 발명에서 시청자는 OTT를 통해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무엇이든지 불완전해 보이는 지점을 발견하면 자신이 발견한 사항을 OTT 서비스 시스템으로 피드백 제공한다. OTT 가입자들 중에서 일부(예: 1000명)를 패널로 선정하여 이러한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패널로 선정된 시청자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110)에 전용 앱(app)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시청자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용 앱으로 구현된 기능 모듈을 [도 5]에서 피드백 처리부(120)라고 표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viewer discovers a point that appears incomplete while watching content through OTT, he or she provides feedback to the OTT service system with his or her findings. Some (e.g. 1,000) of OTT subscribers can be selected as panelists and given this role. Viewers selected as panelists install a dedicated app on their smart terminals 110 and provide viewer feedback through this. The function module implemented by this dedicated app is indicated as a feedback processing unit 120 in [FIG. 5].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OTT 서비스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시청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작을 식별하면 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해당 재생 부분에 대해 시청자(패널)가 무언가 불완전한 부분을 발견하고 그에 대해 시청자 피드백을 OTT 시스템 쪽으로 제공하려고 한다고 인지한다. 이때, 트리거 조작(trigger operation)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110)에 설치된 전용 앱의 화면을 여러 번 태핑하는 조작(멀티 태핑, multi-tapping)을 트리거 조작이라고 정할 수 있다.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dentifies a preset trigger operation by a viewer while play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an OTT service, the viewer (panel) discovers an imperfection in the corresponding playback portion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reports the viewer's response to it. I understand that they are trying to provide feedback to the OTT system. At this time, the trigger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n operation in which a user taps the screen of a dedicated app installed on his or her smart terminal 110 several times (multi-tapping) may be designated as a trigger operation.

트리거 조작을 식별하면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지점의 타임코드의 조합을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어느 콘텐츠의 어느 지점에 대해 시청자가 피드백을 제공했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해준다. When a trigger operation is identified,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gener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in the multimedia content where the trigger operation was input.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and the time code of the playback point where the trigger operation is input can be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It allows you to identify which viewers provided feedback about which point in the content.

또한,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그 재생 부분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내용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NG 코드(No Good code)라 부른다. 일 예로서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트리거 조작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를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해 NG 코드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NG 코드표의 일 예시도이다. [도 3]의 NG 코드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NG 사례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에 따라 바이너리 트리(binary tree)로 구성한 것이다. 시청자는 전용 앱에 표시된 NG 코드표에서 자신이 발견한 불완전 사항에 맞다고 생각하는 NG 코드를 선택하며, 그에 의해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NG 코드를 식별한다. 이때,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generates user feedback regarding the playback portion.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it is called NG code (No Good code). As an exampl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preset NG code table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a trigger operation and then set NG code information by user selection input.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of an NG code 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G code table in [Figure 3] consists of a binary tree of various NG cases that can occur in multimedia content according to major, medium, and minor categories. The viewer selects the NG code that he or she believes matches the imperfection he or she found from the NG code table displayed in the dedicated app, and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ereby identifies the NG code. At this time,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may be utilized.

이상과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시청자의 트리거 조작에 대응하여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와 NG 코드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피드백 관리서버(400)로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해 피드백 관리서버(400)로 전달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거래 데이터로서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에 투입하고,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로부터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provides viewer feedback informa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and NG code information to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n response to the viewer's trigger operation. At this tim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ransmits viewer feedback information to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blockchain.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nputs viewer feedback information as transaction data into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and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uses the blockchain. Viewer feedback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processing.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블록체인 노드(blockchain node)로서 동작한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발생된 거래 데이터가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에 공유되는 노드 수만큼 복제되어 분산 저장되는 공개 디지털 거래 장부라는 개념을 갖는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는 암호화폐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사용자 피드백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블록체인(block-chain)의 노드(node)의 역학을 수행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예: 매 1시간마다)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여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투입하며, 이들 거래 데이터는 분산원장에 분산 관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분산원장을 편의상 NG코드 분산원장(500)이라고 표시한다. 이때,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DID 블록체인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일 사용자 계정으로 분산 ID를 설정하고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자신의 분산 ID(사물 DID)를 식별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operates as a blockchain node. Blockchain generally has the concept of a public digital transaction ledger in which transaction data generated in a network is replicated and distributedly stored as many nodes as are shared among network participants. Blockchain technology is currently being actively applied centering on cryptocurrenc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lockchain technology is utilized to manage user feedback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performs the dynamics of the nodes of the blockchain and performs blockchain processing at preset intervals (e.g., every hour) to input transaction data into the blockchain. These transaction data are distributed and managed on a distributed ledg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stributed ledger is referred to as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for convenience. At this time,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sets a distributed ID as a unified user account for itself through the DID blockchain and uses its distributed ID (object DI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It can be used as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산 ID 기반으로 시청자의 노드 번호를 관리하는 개념도이다. 분산 ID(Decentralized Identifier, DID)는 '분산원장 기술 혹은 다른 형태의 분권형 네트워크에 등록되었기에 중앙화된 등록 기관에의 등록이 불필요한 전세계적으로 유일한 식별자'라고 정의되는데, 개념적으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개인식별정보를 의미한다.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DID 블록체인(미도시)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일 사용자 계정으로 사물 DID를 설정하고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자신의 사물 DID를 식별정보로 사용한다. 또한,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사물 DID를 DID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사물 분산신원증명(DID), 즉 사물 DID는 사물인터넷(IoT)와 DID를 접목한 기술이다. 사물 DID는 사물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해 데이터 수집 및 전송 시 위변조를 방지하고 진본 데이터 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술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managing a viewer's node number based on distributed ID in the present invention. Decentralized Identifier (DID) is defined as ‘a globally unique identifier that does not require registration with a centralized registration agency because it is registered i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or another form of decentralized network.’ Conceptually, it is managed based on blockchain. This means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sets the object DID as a unified user account for itself through the DID blockchain (not shown) and uses its object DI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do. In addition,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can verify the object DID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rough the DID blockchai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Object Distributed Identity (DID), or Object DID,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DID. Object DID is a blockchain technology that assigns a unique identifier to an object to prevent forgery and falsification during data collection and transmission and facilitates verification of authentic data.

OTT 서비스 서버(200)는 시청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청자의 ID를 식별하고, 그 시청자 피드백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노드(node)별로 지급한다. 본 발명에서 OTT 서비스 서버(200)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1), 포인트 데이터베이스(202),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를 관리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1)는 OTT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포인트 데이터베이스(202)는 시청자 피드백에 대한 보상 포인트를 관리한다. 또한,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는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관리한다. 콘텐츠 제작 과정에 하나의 장면(scene)을 10~20회 촬영하고 이중에서 일부만 활용하므로 대량의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이 생성되는데,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는 이러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관리한다. The OTT service server 200 identifies the ID of the viewer providing viewer feedback, and pays compensation points for the viewer feedback to each no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T service server 200 manages the subscriber database 201, the point database 202, and the garbage database 203. The subscriber database 201 manages information on OTT service subscribers, and the point database 202 manages reward points for viewer feedback. Additionally, the garbage database 203 manages unused video footage of multimedia content provided in OTT services. In the process of creating content, a scene is filmed 10 to 20 times and only a portion of them is used, resulting in a large amount of unused video footage. The garbage database 203 manages these unused video footage.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생성된 시청자 평가(시청자 피드백)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로부터 다수의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획득한다. 이를 통해,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시청자 평가에 따른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401, 402)를 시청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한다.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s a device that manages viewer evaluations (viewer feedback) generated by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obtains multiple viewer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Through this, databases 401 and 402 of NG videos and NG codes according to viewer evaluations for a number of multimedia contents provided in the OTT service are set based on viewer feedback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에서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시청자 피드백이 생성되어 피드백 관리서버(400)로 전달되는 개념도이다.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시청자에 의한 트리거 조작(예: 멀티 태핑)을 식별하면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를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해 NG 코드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과정으로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시청자 피드백이 생성되고 블록체인에 의해 NG코드 분산원장(500)을 통해 피드백 관리서버(400)에서도 접근 가능해진다. 개념적으로는 [도 5]의 점선 표시와 같이 콘텐츠 재생장치(100)가 시청자 피드백을 피드백 관리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처럼 모델링할 수 있다.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how viewer feedback is generated i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transmitted to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dentifies a trigger operation (e.g., multi-tapping) by a viewer while playing multimedia content, a preset NG code tabl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n NG code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a user-selected input. Through this process, viewer feedback is generated i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nd can be accessed in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through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by blockchain. Conceptually, it can be modeled as i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ransmits viewer feedback to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5].

시청자 피드백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와 사용자의 피드백 내용(NG 코드)을 포함한다. 먼저,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시청자 평가가 발생한 부분의 조각 영상(예: 30초 영상)(즉, NG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이를 NG영상 데이터베이스(401)로 관리한다. 또한,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시청자로부터 제공받은 NG 코드를 NG코드 데이터베이스(402)로 관리한다. Viewer feedback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where the trigger operation was input in the multimedia content and the user's feedback content (NG code). First,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layback portion where the trigger manipulation was input,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can obtain a fragment video (e.g., 30-second video) (i.e., NG video) of the portion where the viewer evaluation occurred, and Managed by NG video database (401). Additionally,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manages NG codes provided by viewers in the NG code database 402.

한편,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시청자(패널)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NG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기교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401, 402)로부터 NG 코드에 의해 그 대응하는 NG 영상을 수집 분류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에 따라 분류된 연기교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can generate acting education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NG evaluation databases provided by viewers (panels). In other words,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collects and classifies the corresponding NG images by NG code from the databases 401 and 402 of NG images and NG codes to generate acting education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NG code table. You can.

이때, OTT 서비스로 제공된 멀티미티어 콘텐츠 뿐만 아니라 미활용 촬영분도 연기교육 콘텐츠에 포함시키는 것이 콘텐츠의 풍부화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다.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하나의 장면을 10~20회 촬영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최종 콘텐츠에는 활용되지 않고 사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OTT 서비스 서버(200)가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에 관리한다.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연기교육 콘텐츠를 생성할 때에, NG 영상 뿐만 아니라 해당 NG 영상과 관련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OTT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해당 NG 영상과 연동시켜 연기교육 콘텐츠에 포함시킨다. At this time, it is more desirable in terms of content enrichment to include not only multimedia content provided through OTT services but also unused footage in acting education content. During the content production process, one scene is filmed 10 to 20 times, most of which are not used in the final content and are lo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T service server 200 manages these unused video footage in the garbage database 203. When creating acting education content,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receives not only the NG video but also unused video footage related to the NG video from the OTT service server 200 and links it with the NG video to include it in the acting education content.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These non-volatile recording media include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SSDs, CD-ROMs, NAS, magnetic tapes, web disks, and cloud disks.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code is distributed and stored and executed in a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dur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100 : 콘텐츠 재생장치
110 : 스마트 단말
120 : 피드백 처리부
200 : OTT 서비스 서버
201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202 : 포인트 데이터베이스
203 : 가비지 데이터베이스
300 : 콘텐츠 전송서버
301 :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400 : 피드백 관리서버
401 : NG영상 데이터베이스
402 : NG코드 데이터베이스
500 : NG코드 분산원장
100: Content playback device
110: smart terminal
120: Feedback processing unit
200: OTT service server
201: Subscriber database
202: Point database
203: Garbage database
300: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1: Content database
400: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1: NG video database
402: NG code database
500: NG code distributed ledger

Claims (5)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수신하여 재생 출력하는 콘텐츠 재생장치(100);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한 OTT 서비스를 관리하는 OTT 서비스 서버(200);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에 대해 OTT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서버(300);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 평가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피드백 관리서버(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도중에 시청자에 의한 미리 설정된 트리거 조작을 식별하면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를 화면에 표시한 후 시청자 피드백 내용에 해당하는 NG 코드 정보를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의해 설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트리거 조작에 연계된 시청자 선택에 의한 NG 코드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된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거래 데이터로서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NG코드 분산원장(500)에 투입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OTT 서비스 서버(200)는 OTT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1)와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관련하여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생성되는 대량의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관리하는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를 관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상기 NG코드 분산원장(500)로부터 다수의 상기 시청자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시청자 피드백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의 식별정보 및 시청자 피드백 내용인 NG 코드를 식별하고,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상기 트리거 조작이 입력된 재생 부분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시청자 평가가 발생한 부분의 조각 영상인 NG 영상을 획득하고, OTT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시청자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시청자 평가에 따른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401, 402)를 설정하며, 상기 시청자 평가에 따른 NG 코드에 대응하는 NG 영상을 상기 NG 영상과 NG 코드의 데이터베이스(401, 402)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NG 영상과 관련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을 상기 OTT 서비스 서버(200)의 가비지 데이터베이스(203)에서 획득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NG 코드표에 따라 분류된 연기교육 콘텐츠를 상기 NG 영상 및 그와 관련된 미활용 촬영분 동영상에 의해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
A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at receiv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in an OTT environment and plays and outputs it;
OTT service server 200 that manages OTT service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a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that provides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n an OTT environment;
a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that receives and manages viewer evaluations of multimedia content being played o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t is composed including,
Wh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dentifies a preset trigger operation by a viewer during playback of multimedia content, it displays a preset NG code table on the screen and then displays NG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ewer feedback content by user selection input. NG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as transaction data using viewer feedback information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yback portion in the multimedia content where the trigger operation is input and NG code information based on viewer selection linked to the trigger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be input into the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e OTT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subscriber database 201 that manages information on OTT service subscribers, and a garbage database 203 that manages a large amount of unused footage generated during content creation in relation to multimedia content provided by the OTT service. ) is configured to manage,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obtains a plurality of viewer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through blockchain processing, and identifies the playback portion where the trigger operation is input in the multimedia content from the viewer feedback information. And identify the NG code, which is the viewer feedback content, and obtain the NG video, which is a fragment video of the part where the viewer evaluation occurr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layback part where the trigger operation was input in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content, and obtain the NG video, which is a fragment video of the part where the viewer evaluation occurred, For multimedia content, a database (401, 402) of NG video and NG code according to viewer evaluation is set based on the viewer feedback information, and NG video corresponding to the NG code according to the viewer evaluation is set to the NG video and NG. Acting education content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set NG code table is obtained from the code databases 401 and 402 and unused video footage related to the NG video is obtained from the garbage database 203 of the OTT service server 200. An OTT viewer participation-based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system that is configured to generate NG video and unused footage related there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는 DID 블록체인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일 사용자 계정으로 사물 DID를 설정하고 상기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자신의 사물 DID를 식별정보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관리서버(400)는 상기 NG코드 분산원장(500)에 대한 블록체인 처리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장치(100)의 사물 DID를 DID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TT 시청자 참여 기반의 NG 연기영상 메타데이터 처리 플랫폼 시스템.
In claim 1,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is configured to set the object DID as a unified user account for itself through the DID blockchain and use the object DI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become,
The feedback management server 400 is configured to verify the object DID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00 through the DID blockchain in blockchain processing for the NG code distributed ledger 500. OTT viewer participation-based NG acting video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33626A 2022-10-17 2022-10-17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KR102623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626A KR102623618B1 (en) 2022-10-17 2022-10-17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626A KR102623618B1 (en) 2022-10-17 2022-10-17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618B1 true KR102623618B1 (en) 2024-01-10

Family

ID=8951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626A KR102623618B1 (en) 2022-10-17 2022-10-17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61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en)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of user attending
KR100870559B1 (en) 2008-06-18 2008-11-27 (주)헤리트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s participation service related to iptv contents
KR101562203B1 (en) 2008-02-05 2015-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IPTV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metadata of application to provide IPTV service
KR101899240B1 (en) * 2017-03-23 2018-09-14 김동현 User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moving image
KR102384182B1 (en) 2020-05-18 2022-04-07 라이브하이브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bidirectional interaction broadcasting service with viewer participation
KR20220125773A (en) * 2021-03-07 2022-09-14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chain-based XR platform system for multilingual test by use of smart sensor interac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en)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iptv broadcasting service of user attending
KR101562203B1 (en) 2008-02-05 2015-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IPTV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metadata of application to provide IPTV service
KR100870559B1 (en) 2008-06-18 2008-11-27 (주)헤리트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s participation service related to iptv contents
KR101899240B1 (en) * 2017-03-23 2018-09-14 김동현 User feedback system and method of streaming moving image
KR102384182B1 (en) 2020-05-18 2022-04-07 라이브하이브 주식회사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bidirectional interaction broadcasting service with viewer participation
KR20220125773A (en) * 2021-03-07 2022-09-14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chain-based XR platform system for multilingual test by use of smart sensor intera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2861B2 (en) Content segment detection and replacement
CA2834730C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social networking via a media device
US8776150B2 (en)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media-on-demand frame-spanning playing mode in a peer-to-peer network
CA300871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consistent user 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US9769414B2 (en) Automatic media asset update over an online social network
US10671687B2 (en) Managing access rights to content using social media
EP334671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a media asset
US9503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media content reconciler
DE112011103903T5 (en) Method for receiving a particular ser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CN104065979A (en)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with video content and system thereof
US20070220056A1 (en) Media Content Reviews Search
BR112013017292A2 (en) disclosure of media asset usage data that indicates corresponding content creator
US20160295248A1 (en) Aggregating media content
US118808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ntent
CN101075233B (en) Member,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multi-medium content
US20240155015A1 (en) Asset metadata service
JP202150758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related media content based on tagged content
KR102623618B1 (en) metadata processing platform of NG acting video by use of participation of OTT viewers
KR20160067685A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scene collection
US9516353B2 (en) Aggregating media content
US201800774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ication of asset availability
KR1017610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 in Channel-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KR20090043191A (en) Internet protocol broadcasting setop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