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123B1 -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 Google Patents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123B1
KR102623123B1 KR1020220175930A KR20220175930A KR102623123B1 KR 102623123 B1 KR102623123 B1 KR 102623123B1 KR 1020220175930 A KR1020220175930 A KR 1020220175930A KR 20220175930 A KR20220175930 A KR 20220175930A KR 102623123 B1 KR102623123 B1 KR 10262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ap
disaster risk
situ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란
곽창재
문지원
김구윤
한지혜
이동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20175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12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 관리 정보의 시각화 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 및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융·복합하고 시각화한 격자 기반의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며, 전처리를 통해 행정구역 단위로 분할된 재난 위험 지도를 활용하여 재난 위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서비스 및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통해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등급, 상황별 재난 위험 시뮬레이션 결과, 및 재난 현황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의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재난 대응을 위한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visualizing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disaster risk-related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to create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that converges and visualizes various information about disasters, and utilizes a disaster risk map divid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preprocessing to create a disaster risk map. It can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disaster ris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visually check disaster risk ratings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disaster risk simulation results for each situation, and disaster status through a map service and situation report service, and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managing various types of disaster situations. This can support rapid decision-making for disaster response.

Description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al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본 발명은 재난 관리 정보의 시각화 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visualizing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과학 기술과 교통의 발달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한정된 도시에 더 많은 인구와 시설들이 밀집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 인프라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복잡해진 인프라로 인해 재난 발생 시 재난 관리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As urbanization progres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more people and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limited cities. As a result, urban infrastructure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isaster management in the event of a disaster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due to the complex infrastructure.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에서는 재난의 체계적인 예방, 대비, 신속한 대응, 복구 업무 지원 및 화재·구조구급 등을 정보화하여 대국민 재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직까지는 재난 관련 데이터를 조회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provides disaster safety services to the public by informatizing systematic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rapid response, recovery support, and fire/rescue rescue. However,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re still limited to retrieving disaster-related data.

재난 관련 데이터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이를 시각화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단순히 관련 데이터를 지도에 표시하는 정도로서 여전히 그 기능은 데이터의 조회로 한정되어 있다. 즉, 데이터가 시각화 되더라도, 재난 위험 분석 및 대응 판단 등에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 have been attempts to visualize disaster-related data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but the function is still limited to data inquiry by simply displaying related data on a map. In other words, even if the data was visualiz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used for disaster risk analysis and response judgment.

한편, 재난 발생 시 행정구역 단위로 재난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행정구역 단위로 구분된 재난 관련 데이터가 없고, 관련 데이터들은 관할 주체별로 서로 파편화되어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행정구역별로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기가 어렵고, 무엇보다 데이터의 유기적인 연계도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행정구역 단위별로 재난 상황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의사 결정 과정이 지연되고,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when a disaster occurs, it is efficient to identify and respond to the disaster situation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However, there is no disaster-related data divid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elated data is fragmented by jurisdictional entity and cannot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quickly identify disaster situations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bove all, organic linkage of data is not possible.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isaster situ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which delay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made it impossible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6508호 '재난 대응 관련 정보의 시각화 방법 및 서버'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6508 ‘Visualization method and server for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response’

다양한 형태의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공간 정보와 융·복합하여 시각화하고, 재난 관리를 위한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It visualizes various types of disaster risk-related data by converging and combining them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es services to support decision-making for disaster management.

본 발명에 따른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은 (1)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2)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3) 재난 위험 지도에 하나 이상의 정보 레이어를 중첩한 지도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재난 위험 지도에 재난 상황을 반영한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지도 데이터 및 인포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1) collect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2) generating a disaster risk map us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3) generating map service data that overlaps one or more information layers on a disaster risk map; and (4) generating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ing situation map data and infographic data in either 2D or 3D form reflecting the disaster situation on the disaster risk map.

본 발명은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 및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재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융·복합하고 시각화한 격자 기반의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며, 전처리를 통해 행정구역 단위로 분할된 재난 위험 지도를 활용하여 재난 위험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disaster risk-related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to create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that converges and visualizes various information about disasters, and utilizes a disaster risk map divid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preprocessing to create a disaster risk map. It can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disaster risk.

또한, 본 발명은 지도 서비스 및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통해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등급, 상황별 재난 위험 시뮬레이션 결과, 및 재난 현황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형태의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재난 대응을 위한 신속한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visually check disaster risk ratings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disaster risk simulation results for each situation, and disaster status through a map service and situation report service, and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managing various types of disaster situations. This can support rapid decision-making for disaster response.

여기에 직접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효과라도, 발명의 설명에 의해 예상되거나 기대되는 효과는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ven if the effect is not directly described herein, the effect predicted or anticipated by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described in the effec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수집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건물 높이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수집하는 데이터의 활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생성하는 재난 위험 지도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재난 위험 지도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2D 및 3D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in which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 which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data collected in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visualization of the height of a building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data collect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aster risk map generated by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e-processing process of a disaster risk map in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map service provid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25 are diagrams showing a map service provid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vision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8 to 30 are diagrams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2D and 3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발명의 설명에서 기재하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에서 '포함하다'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이 조합된 구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이들을 조합한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내용으로서 공개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term 'comprising' is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escribed features are combin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isclosed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will be omitted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하에서는'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라 함)은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 및 공간 정보를 융·복합하여 다차원 정보를 시각화하고, 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플랫폼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sualizes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by converging and combining disaster risk-related data and spatial information, and disaster situation It is about a method implemented in a platform system that supports decision making for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데이터의 연산 및 저장을 수행하여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디바이스이다. 컴퓨팅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을 수행하면서 외부 디바이스(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한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송신하여 재난 관리를 위한 지도 서비스 및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2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0)가 데이터의 수집 및 참조를 위해 액세스하는 컴퓨팅 디바이스고,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 구현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컴퓨팅 디바이스(100), 외부 디바이스(200), 및 사용자 디바이스(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in which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Referring to FIG. 1,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on the computing device 100. Here, the computing device 100 is a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data by performing operations and storage of data. The computing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while performing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s the processed data to the user device 300 to provide a map service for disaster management and Provides situation report ser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200 is a computing device that the computing device 100 accesses for data collection and reference, and the user device 300 is a user who wants to use the service implemented by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It is a computing device. The computing device 100, external device 200, and user device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예시에서 본 발명은 업무 로직 서버에서 수행된다. 그리고 업무 로직 서버는 지도 구현을 위해 지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지도 서비스 및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로직 서버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n which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the example of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on a business logic server. In addition, the business logic serv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geo server to implement a map and provides a map service and situation report service to the user device 300.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atabase may be included within the logic server or may be a database of the external device 2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은 (1)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00), (2)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S200), (3) 재난 위험 지도에 하나 이상의 정보 레이어를 중첩한 지도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4) 재난 위험 지도에 재난 상황을 반영한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지도 데이터 및 인포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계는 컴퓨팅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주어가 생략될 수 있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 collect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S100), (2) disaster risk analysis us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A step of generating a risk map (S200), (3) a step of generating map service data overlapping one or more information layers on the disaster risk map (S300), and (4) 2D and 3D reflecting the disaster situation on the disaster risk map. It includes a step (S400) of generating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ing situation map data and infographic data in any one of the forms. Each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computing device 100, and subjects may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수집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 단계(S100)에서는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공간 데이터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는 재난 위험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 데이터는 지형 이미지, DEM(Digital Elevation Model), 건물 높이, 하천 수계도, 연속지적도, 및 행정구역 경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M은 지형만의 표고 값을 수치로 표현하는 데이터이며, 지형 이미지와 함께 3D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물 높이는 국가기본도 DB와 항공 측량 결과의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3D 지도에서 건물의 높이를 시각화할 수 있다. 하천수계도는 하천의 수계, 수변, 및 실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연속지적도는 토지의 소재, 지번, 지목, 및 경계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주소 기반의 데이터를 지도에 표현하기 위한 지오코딩(Geocoding)에 사용된다. 행정구역 경계는 읍/면/동 경계에 대한 공간 정보 및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행정구역별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data collected in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n step (1) (S100),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are collected. Spatial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space,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risk. More specifically, spatial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terrain image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building heights, river flow maps, cadastral serial maps, and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DEM is data that expresses the elevation value of the terrain as a numerical value, and is used to create a 3D map along with the terrain image. Building height is data that includes height information from the national base map DB and aerial survey results,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n be visualized on a 3D map. A river system map is data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iver system, shore, and actual width. A continuous cadastral map is data that includes the location of land, lot number, land category, and boundary, and is used for geocoding to express address-based data on a map.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are data containing 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bout town/myeon/dong boundaries, and are used to create maps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건물 높이를 시각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형 이미지와 DEM을 결합하면, 좌표계를 가지는 3D 타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3D 타일 데이터와 건물 높이를 이용하면 건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3D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3D 지도에서 건물의 높이가 3D 오브젝트로 시각화되어 표현될 수 있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visualization of the height of a building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by combining a terrain image and a DEM, 3D tile data with a coordinate system can be generated. And using 3D tile data and building heights, a 3D map including building objects can be created. Therefore, the height of a building can be visualized and expressed as a 3D object on a 3D map.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는 재난 위험 분석 데이터 및 재난 위험 연계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난 위험 분석 데이터는 GIS 건물 통합정보, 국토통계지도 격자, 토지 피복 지도, 기상청 지상관측자료, 및 하천 수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재난 위험 연계 데이터는 행정구역별 침수, 산불, 지역 정보, 시설 정보, 인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역 정보는 재해 우려 지역, 둔치 주차장, 지하 차도, 통제 구역, 등산로 현황, 문화재, 사찰, 공동 묘지, 추모 공원, 및 담수지 등을 포함한다. 시설 정보는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방재 시설물, 산림 인접 위험 시설, 무인 카메라, 감시 시설, 소화 시설, 및 사회적 취약자 시설 등을 포함한다. 인력 정보는 시군별 재난 관리를 위한 인력 현황을 포함한다.Referring again to FIG. 4, disaster risk-related data includes disaster risk analysis data and disaster risk linkage data. Here, the disaster risk analysis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GIS building integrated information, national statistical map grid, land cover map,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round observation data, and river water level. Disaster risk linkage data includes one or more of flooding, forest fire, regional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inform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Specifically, local information includes disaster risk areas, berm parking lots, underground driveways, control areas, hiking trail status, cultural assets, temples, cemeteries, memorial parks, and fresh water reservoirs.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for disaster victims,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hazardous facilities adjacent to forests, unmanned cameras, surveillance facilities,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nd facilities for the socially vulnerable. Manpower information includes manpower status for disaster management by city and county.

(1) 단계(S100)에서 수집되는 데이터 중 공간 데이터와 재난 위험 분석 데이터는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재난 위험 연계 데이터는 상황 리포트 서비스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내부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거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관련 라이브러리(Library)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Among the data collected in step (1) (S100),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 analysis data are used to create a disaster risk map, and disaster risk linkage data is used to create situation report service content. These data may refer to internal or external databases, or may be collected through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related librari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수집하는 데이터의 활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는 수집, 분석, 가공, 및 적재 과정을 거쳐 지도 서비스 및 현황 리포트 서비스에서 지도 및 인포그래픽 데이터로 시각화되어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역 및 관할 주체별로 흩어져 있는 재난 관련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통합된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여 시각화된 형태로 서비스할 수 있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e of data collect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data is visualized and implemented as map and infographic data in the map service and status report service through collection, analysis, processing, and loading process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grate disaster-related data scattered by region and jurisdiction, analyze and process the integrated data, and provide services in a visualized form.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생성하는 재난 위험 지도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2) 단계(S200)에서는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한다. 재난 위험 지도는 국가지점번호 기반 격자공간체계를 활용하여 미리 정해진 단위의 격자에 재난 위험 등급 산정 알고리즘의 결과로 산정된 위험 등급이 입력되어 있는 래스터 데이터이다. 즉, 재난 위험 지도는 격자 기반의 지도 데이터에 해당한다. 그러나 재난 위험 지도 자체는 시각적 조회로 그 기능이 한정되며, 이를 이용하여 재난 위험 분석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행정단위로 재난 위험 등급의 평균 산출, 행정단위의 재난 위험 등급 분포, 및 재난 위험 등급이 행정단위 내의 건물에 미치는 영향도와 같은 공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난 위험 지도를 가공(행정단위로 분할)해야 할 필요가 있다.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isaster risk map generated by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in step (2) (S200), a disaster risk map is created us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A disaster risk map is raster data in which risk grades calculated as a result of a disaster risk grade calculation algorithm are entered into a grid of predetermined units using a grid space system based on national point numbers. In other words, disaster risk maps correspond to grid-based map data. However, the function of the disaster risk map itself is limited to visual inquir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used for disaster risk analysis. In other words, in order to perform spatial analysis such as calculating the average of disaster risk grades by administrative unit, distribution of disaster risk grades by administrative unit, and the impact of disaster risk grades on buildings within the administrative unit, the disaster risk map must be processed (divided into administrative units). ) It is necessary to do this.

그렇지만 재난 위험 지도를 요청 시마다 행정단위로 분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의 활용 전에 재난 위험 지도를 미리 행정단위로 분할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즉, (2) 단계(S200)에서는 격자 기반의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한 후, 좌표계를 가진 행정구역 단위의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로 변환한다.However, if the disaster risk map i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units upon each reque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is greatly reduc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utilizing the disaster risk map, a pre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to divide the disaster risk map into administrative units in advance. That is, in step (2) (S200),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is created and then converted into a disaster risk map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n uni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a coordinate system.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재난 위험 지도의 전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1) 단계(S210)에서는 미리 정해진 단위의 격자에 재난 위험 등급의 속성값이 입력된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재난 위험 지도는 헤더에 공간 정보가 포함된 파일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단위는 10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e-processing process of a disaster risk map in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2-1) (S210), a disaster risk map is generated in which the attribute value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re input into a grid of predetermined units. Here, the disaster risk map can be created in a file format with spati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unit may be 10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을 참조하면, (2-2) 단계(S220)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에서 픽셀 단위로 같은 재난 위험 등급끼리 연결하여 벡터 데이터로 추출한다. 즉, 재난 위험 등급이 동일한 지역을 연결하여 면 형태를 형성하는 재난 위험 지도로 변환한다. (2-3) 단계(S230)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에서 중복 노드를 제거하여 폐합되는 라인을 멀티 폴리곤(Multi Polygon) 형태로 변환한다.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는 동시에, 다각형의 폐쇄면을 형성하여 벡터 데이터로 변환을 완료한다. (2-4) 단계(S240)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와 공간 데이터의 행정구역 경계를 인터섹션(Intersection) 연산하여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로 분할한다. (2-3) 단계(S230)가 수행된 후의 재난 위험 지도는 벡터 데이터이며, 행정구역 경계 또한 벡터 데이터에 해당하므로, 인터섹션 연산을 통해 재난 위험 지도를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로 분할할 수 있다.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는 좌표계와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등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공간 분석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step (2-2) (S220), the same disaster risk levels are connected on a pixel basis in the disaster risk map and extracted as vector data. In other words, it is converted into a disaster risk map that forms a surface by connecting areas with the same disaster risk level. In step (2-3) (S230), redundant nodes are removed from the disaster risk map and the closed lines are converted into multi polygon form. Conversion to vector data is completed by removing redundant data and forming a closed polygonal surface. In step (2-4) (S240), the disaster risk map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of the spatial data are intersected and divided into disaster risk maps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e disaster risk map after step (2-3) (S230) is performed is vector data, and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also correspond to vector data, so the disaster risk map can be divided into disaster risk maps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rough intersection operation. there is. The disaster risk map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ordinate system and disaster risk level by administrative district, so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patial analysis.

(2) 단계(S2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주기는 10분 내지 3시간일 수 있으나, 주기를 동적으로 설정하여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기에는 더 짧은 주기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쥴링을 통해 재난 위험 지도가 생성되고 전처리되어,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재난 위험 등급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재난 위험 지도 또는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가 생성될 수 있다.(2) Step (S200) may be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cyc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period may be 10 minutes to 3 hours, but the period may be set dynamically and performed at a shorter period when disasters occur frequently. Through this scheduling, a disaster risk map can be created and preprocessed, and a disaster risk map or a disaster risk map by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is updated according to disaster risk ratings that fluctuate in real time can be generat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3) 단계(S300)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에 하나 이상의 정보 레이어를 중첩한 지도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지도 서비스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송신되어 지도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지도 서비스 데이터는 공간 데이터와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융·복합하여 시각화한 데이터로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지도 서비스에서는 재난 위험 데이터별로 레이어가 형성되고, 선택되는 레이어를 지도에 중첩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map service provid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n step (3) (S300), map service data is generated by overlapping one or more information layers on the disaster risk map. The generated map servic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300 to implement a map service. Map service data is data visualized by converg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and is used to provide map services. In the map service, layers are formed for each disaster risk data, and the selected layer can be visualized by overlaying it on the map.

도 1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정보 레이어는 재난 실시간 정보, 재난 위험 정보, 및 관리시설 및 구역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재난 실시간 정보는 산불 위험 예보 지수(도 10), 기상 관측(도 11), 산악 기상 관측(도 12), 및 하천 수위(도 1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재난 위험 정보는 침수 흔적도(도 14), 해안 침수 예상도(도 15), 홍수 위험 구역(도 16), 하천수계도(도 17), 산불 발생 이력(도 18), 및 산사태 발생 이력(도 19)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관리시설 및 구역 정보는 시설 안전 등급도(도 20), 이재민 임시 주거 시설(도 21), 소방 시설(도 22), 주유 시설(도 23), 둔치 주차장(도 24), 및 여름철 재해 우려 지역(도 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각각의 정보 레이어는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되는 정보 레이어는 우선 순위에 따라 중첩되어 표현될 수 있다.10 to 25 are diagrams showing a map service provide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layer provided by the map service includes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disaster risk information, and management facility and zone information. Specifically,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a forest fire risk forecast index (FIG. 10), weather observation (FIG. 11), mountain weather observation (FIG. 12), and river water level (FIG. 13). Disaster risk information includes flooding trace map (Figure 14), coastal flooding forecast map (Figure 15), flood risk area (Figure 16), river system map (Figure 17), forest fire occurrence history (Figure 18), and landslide occurrence history (Figure 18). 19)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on management facilities and areas includes facility safety grade map (Figure 20), temporary housing facility for disaster victims (Figure 21), firefighting facility (Figure 22), gas station (Figure 23), berm parking lot (Figure 24), and areas at risk of disasters in the summer. (Figure 25). Each information layer can be selected one or more, and the selected information layers can be expressed in an overlapping manner according to priority.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4) 단계(S400)에서는 재난 위험 지도에 재난 상황을 반영한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지도 데이터 및 인포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황 리포트 콘텐츠 데이터가 사용자 디바이스(300)에 송신되어 상황 리포트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상황 리포트 콘텐츠 데이터는 재난 위험 지도에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가공하여 시각화한 데이터로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상황 리포트 서비스에서는 특정 지역에 대한 세밀한 재난 상황 관리 및 예방 대비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결과, 재난 취약 요인/관리, 및 저감 시설 등의 현황을 지도 및 인포그래픽이 결합된 형태로 가공하여 시각화할 수 있다.Figure 26 is a diagram showing the provision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6, in step (4) (S400),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ing situation map data and infographic data in either 2D or 3D form reflecting the disaster situation on the disaster risk map is generated. The generated situation report content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300 to implement a situation report service. Situation report content data is data that processes and visualizes disaster risk-related data on a disaster risk map and is used to provide situation report services. The situation report servic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simulation results, disaster vulnerability factors/management, and reduction facilities into a combination of maps and infographics to support decision-making on detailed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and prevention preparation for a specific region. You can visualize it.

(4) 단계(S400)에서는 재난 상황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하거나 실제 피해 사례를 반영하여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황 리포트 콘텐츠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하는 제1상황 및 실제 피해 사례를 반영하는 제2상황을 포함한다. 이때, 제1상황의 상황 리포트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재난의 예방을 위한 콘텐츠를 포함하고, 제2상황의 상황 리포트는 발생한 재난의 관리를 위한 콘텐츠를 포함한다.In step (4) (S400), situation report content is provided by reflecting simulation results of disaster situations or actual damage cases. The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es a first situation reflecting simulation results and a second situation reflecting actual damage cases. At this time, the situation report in the first situation includes content for preventing a disaster that has not yet occurred, and the situation report in the second situation includes content for managing a disaster that has occurred.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단계(S400)에서는 제1상황에서 재난 상황을 미리 정해진 단계로 구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연산한다. 도 27의 예시에서는 미리 정해진 단계가 3 단계이나, 단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재난 대응의 효율성 고려하여 3 단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에서 (a)는 1 단계(평상 시), (b)는 2 단계(방재 계획 수립 시), 그리고 (c)는 3 단계(극한 상황 발생 시)의 누적 강우량 현황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시이다. (4) 단계(S400)에서는 각각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하여 상황별 재난 피해 요인의 변화 현황을 시각화할 수 있다.Figure 27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n step S400, simulation results a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saster situation into predetermined stages in the first situation. In the example of FIG. 27, there are three predetermined steps, but the steps can be set in various ways. However,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disaster response,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three levels. In Figure 27, (a) is an example of the simulation results of accumulated rainfall status in stage 1 (normal times), (b) in stage 2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prevention plan), and (c) in stage 3 (when an extreme situation occurs). In step (4) (S400), the current status of changes in disaster damage factors for each situation can be visualized by reflecting each simulation result.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에서 상황 리포트 서비스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2D 및 3D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4) 단계(S400)에서는 2D 형태에서 재난 위험 등급의 지역별 분포를 표출하고, 3D 형태에서 재난 위험 등급의 지역별 분포 및 건물 영향도를 동시에 표출한다. 즉, 재난 위험 지도에서 2D 및 3D 형태를 자유롭게 전환하여 재난 상황을 시각화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위험 지도는 건물 오브젝트를 포함하므로, (4) 단계(S400)에서는 개별적인 건물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할 수 있다.Figures 28 to 30 are diagrams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situation report service in 2D and 3D in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8 to 30, in step (4) (S400),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disaster risk level is displayed in 2D form,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d building impact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3D form. In other words, the disaster situation can be visualized by freely switching between 2D and 3D shapes on the disaster risk map. At this time, since the disaster risk map includes building objects, the impact on individual buildings can be analyzed in step (4) (S400).

도 28은 1 단계(평상 시) 상황, 도 29는 2 단계(방재 계획 수립 시) 상황, 그리고 도 30은 3 단계(극한 상황 발생 시)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여기서, 재난 위험 지도가 (a)는 2D 형태이고, (b)는 3D 형태이다. 도 28에서 도 30으로 갈수록 재난 위험이 올라가는데, 상황 리포트 서비스에서는 그에 따른 재난 위험 등급의 분포 및 변화 현황과 함께 각각의 건물에 대한 건물 영향도까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통해 재난 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예측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재난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3D 형태의 지도를 활용한 시각화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결과 및 실제 상황을 시각적으로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건물별 영향도까지 확인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재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Figure 28 is a simulation result for a stage 1 (normal) situation, Figure 29 is a stage 2 situation (when establishing a disaster prevention plan), and Figure 30 is a simulation result for a stage 3 situation (when an extreme situation occurs). Here, disaster risk map (a) is in 2D form, and (b) is in 3D form. The disaster risk increases from Figure 28 to Figure 30, and in the situation report service, you can visually check the distribution and change statu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s well as the building impact on each building. Therefore, changes in the disaster situation can be confirmed or predicted in real time through the situation report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aster can be quickly responded to. Moreover, through visualization using a 3D map, more specific simulation results and actual situations can be visually identified at a glance, and the impact of each building can be checked to enable quick and efficient disaster response.

실시예에 따라서,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장치(이하에서는 '다차원 시각화 표출 장치'라 함)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명령어는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의 각각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의 각각의 단계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각각의 구성으로 변환되고,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다차원 시각화 표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은 전술한 진단 방법의 단계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memory that stores instructions and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instructions. Here, the command includes each step of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Alternative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step of the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method may be converted into each configuration and implemented as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display device including these configurations. Since each configuration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steps of the above-described diagnostic metho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merely examples, and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컴퓨팅 디바이스
200 : 외부 디바이스
300 : 사용자 디바이스
100: computing device
200: external device
300: user device

Claims (11)

(1) 공간 데이터 및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2) 상기 공간 데이터 및 상기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고, 행정구역 단위의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로 분할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3) 상기 재난 위험 지도에 하나 이상의 정보 레이어를 중첩한 지도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재난 위험 지도에 재난 상황을 반영한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상황 지도 데이터 및 인포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 단계는,
(2-1) 미리 정해진 단위의 격자에 재난 위험 등급의 속성값이 입력된 격자 기반의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2-2) 상기 재난 위험 지도에서 픽셀 단위로 재난 위험 등급이 동일한 지역을 연결하여 면 형태를 형성하는 벡터 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2-3) 상기 재난 위험 지도에서 중복 노드를 제거하여 폐합되는 라인으로 다각형의 폐쇄면을 형성하여 멀티 폴리곤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2-4) 상기 재난 위험 지도와 상기 공간 데이터의 행정구역 경계를 인터섹션(Intersection) 연산하여 재난 위험 등급을 가진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 단계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수행되어 실시간으로 변동하는 재난 위험 등급에 따라 업데이트되는 행정구역별 재난 위험 지도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1) collecting spatial data and disaster risk-related data;
(2) generating a disaster risk map using the spatial data and the disaster risk-related data and preprocessing the disaster risk map by dividing it into a disaster risk map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3) generating map service data that overlaps one or more information layers on the disaster risk map; and
(4) generating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ing situation map data and infographic data in either 2D or 3D form reflecting the disaster situation on the disaster risk map,
In step (2) above,
(2-1) generating a grid-based disaster risk map in which attribute values of disaster risk levels are input into a grid of predetermined units;
(2-2) extracting vector data that forms a surface by connecting areas with the same disaster risk level on a pixel basis from the disaster risk map;
(2-3) converting the disaster risk map into a multi-polygon form by removing redundant nodes and forming a polygonal closed surface with closed lines; and
(2-4) Comprising the step of dividing the disaster risk map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ies of the spatial data into a disaster risk map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a disaster risk rating by performing an intersection operation,
Step (2) is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cycle to generate a disaster risk map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is updated according to disaster risk ratings that fluctuate in real time. A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레이어는,
재난 실시간 정보, 재난 위험 정보, 및 관리시설 및 구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1,
The information layer is,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omprising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disaster risk information, and management facility and zone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난 실시간 정보는,
산불 위험 예보 지수, 기상 관측, 산악 기상 관측, 및 하천 수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재난 위험 정보는,
침수 흔적도, 해안 침수 예상도, 홍수 위험 구역, 하천수계도, 산불 발생 이력, 및 산사태 발생 이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시설 및 구역 정보는,
시설 안전 등급도, 이재민 임시 주거 시설, 소방 시설, 주유 시설, 둔치 주차장, 및 여름철 재해 우려 지역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4,
The above disaster real-time information is,
Includes one or more of a wildfire risk forecast index, weather observations, mountain weather observations, and river levels;
The above disaster risk information is,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looding trace map, coastal flooding forecast map, flood risk area, river system map, forest fire occurrence history, and landslide occurrence history,
The above management facility and area information is,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acility safety grade map, temporary housing for disaster victims, firefighting facilities, gas stations, berm parking lots, and summer disaster risk area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재난 상황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반영하는 제1상황 및 실제 피해 사례를 반영하는 제2상황을 포함하는 상황 리포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1,
In step (4) above,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situation report content including a first situation reflect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a disaster situation and a second situation reflecting actual damage cas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상기 제1상황에서 재난 상황을 미리 정해진 단계로 구분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6,
In step (4) above,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ulation results are calculated by dividing the disaster situation into predetermined stages in the first situ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2D 형태에서 재난 위험 등급의 지역별 분포를 표출하고, 3D 형태에서 재난 위험 등급의 지역별 분포 및 건물 영향도를 동시에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1,
In step (4) above,
A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isaster risk levels in 2D form and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isaster risk levels and building impact in 3D fo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데이터는,
지형 이미지, DEM(Digital Elevation Model), 건물 높이, 하천 수계도, 연속지적도, 및 행정구역 경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1,
The spatial data is,
A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of a topographic image, DEM (Digital Elevation Model), building height, river system map, serial cadastral map, and administrative district boundar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상기 지형 이미지와 상기 DEM을 결합하여 좌표계를 가지는 3D 타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건물 높이를 이용하여 건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재난 위험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9,
In step (2) above,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specific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characterized in that 3D tile data with a coordinate system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terrain image and the DEM, and a disaster risk map including building objects is generated using the building height.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난 위험 관련 데이터는,
재난 위험 분석 데이터 및 재난 위험 연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위험 분석 데이터는,
GIS 건물 통합정보, 국토통계지도 격자, 토지 피복 지도, 기상청 지상관측자료, 및 하천 수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재난 위험 연계 데이터는,
행정구역별 침수, 산불, 지역 정보, 시설 정보, 인력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In claim 1,
The above disaster risk-related data is:
Includes disaster risk analysis data and disaster risk linkage data;
The disaster risk analysis data is,
Includes one or more of GIS building integrated information, national statistical map grid, land cover map,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round observation data, and river water levels;
The disaster risk linkage data is,
A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 for each grid-bas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of flooding, forest fire, regional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and personnel information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KR1020220175930A 2022-12-15 2022-12-15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KR102623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930A KR102623123B1 (en) 2022-12-15 2022-12-15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930A KR102623123B1 (en) 2022-12-15 2022-12-15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123B1 true KR102623123B1 (en) 2024-01-10

Family

ID=8951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930A KR102623123B1 (en) 2022-12-15 2022-12-15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12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788A (en)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제이비티 Decision making system corresponding to volcanic disaster
KR101942058B1 (en) * 2017-11-20 2019-01-24 주식회사 인포쉐어 Simulation method of sea level rise floodi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ocean characteristics
KR20210123974A (en) * 2020-04-03 2021-10-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flooding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20220066508A (en)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Method and server for visua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788A (en) *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제이비티 Decision making system corresponding to volcanic disaster
KR101942058B1 (en) * 2017-11-20 2019-01-24 주식회사 인포쉐어 Simulation method of sea level rise flooding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ocean characteristics
KR20210123974A (en) * 2020-04-03 2021-10-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flooding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20220066508A (en)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Method and server for visua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4788호 (2016.09.06.)*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23974호 (2021.10.14.)*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6509호 (2022.04.14.)*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66508호 (2022.05.24.)*
등록특허공보 제10-1942058호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Machine learning-based regional scale intelligent modeling of building information for natural hazard risk management
Church et al. Mapping evacuation risk on transportation networks using a spatial optimization model
Bono et al. A network-based analysis of the impact of structural damage on urban accessibility following a disaster: the case of the seismically damaged Port Au Prince and Carrefour urban road networks
Cova et al. Modelling community evacuation vulnerability using GIS
Li et al. A household-level approach to staging wildfire evacuation warnings using trigger modeling
KR1022660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ision-making visualization for responding of earthquake disasters
Péroche et al. An accessibility graph-based model to optimize tsunami evacuation sites and routes in Martinique, France
Promper et al. Multilayer-exposure maps as a basis for a regional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landslides: applied in Waidhofen/Ybbs, Austria
Kim et al. RnR-SMART: Resilient smart city evacuation plan based on road network reconfiguration in outbreak response
KR102350252B1 (en) The method to build and use map library datasets
Mabahwi et al. GIS-based multi-criteria analysis to identify site suitability of flood shelters in Kuantan, Malaysia
Zhu et al. The impact of dynamic traffic conditions on the sustainability of urban fire service
KR102623123B1 (en) Grid-based multi-dimensional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for each disaster management situatation
KR102540454B1 (en) A method of automated risk analysis model for flood and forest fires
KR102482927B1 (en) Simulation methods for evacuation in a Massive Disaster
Ključanin et 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in natural disaster management
Liang et al. Characterizing the dynamics of wildland-urban interface and the potential impacts on fire activity in Alaska from 2000 to 2010
Howard et al. Definition of an Enriched GIS Network for Evacuation Planning.
Mioc et al. Early warning and mapping for flood disasters
KR20220142320A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work-based map library to respond to disasters
Eguchi et al. Loss estimation models and metrics
Hong et al. Using 3D WebGIS to support the disaster simulation, management and analysis–examples of tsunami and flood
Sohn et al. Resilient Heritage Using Aerial and Ground-Based Multi-sensor Imagery
Loggins Improving the resilience of social infrastructure systems to an extreme event
Li Modeling wildfire evacuation as a coupled human-environmental system using trig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