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454B1 - 자동 에어 세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에어 세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454B1
KR102621454B1 KR1020230096894A KR20230096894A KR102621454B1 KR 102621454 B1 KR102621454 B1 KR 102621454B1 KR 1020230096894 A KR1020230096894 A KR 1020230096894A KR 20230096894 A KR20230096894 A KR 20230096894A KR 102621454 B1 KR102621454 B1 KR 10262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ip
frame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호
Original Assignee
박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호 filed Critical 박한호
Priority to KR102023009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B08B9/426Grippers f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28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by gas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자동 에어 세병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 새병장치는 세정할 용기를 그립위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용기를 파지하고 소정 원주상으로 180도 회전동작하여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역전시키는 용기 자세 변환부;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에 의해 뒤집힌 자세로 자세변환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하고,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어세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에어 세병장치{automatic bottle ai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병 등과 같은 용기 내에 공기를 분사하고 흡입하여 용기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정하는 에어 세정식 자동 에어 세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파지하고 컨베이어의 직상방에서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시켜 용기를 뒤집힌 상태로 자세 역전시키고, 자세 역전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 및 흡입하여 에어 세정 시키는 일련의 용기 세정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정 공정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에어 세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세제와 같은 생활용품, 음료, 또는 각종 용기 형태의 액상 내용물이 충전되는 용기는 제작시 또는 재활용 시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충전하게 된다.
이때, 용기 내부의 이물질 제거는 통상적으로 세병기에 의해 수행되는데, 세병기는 크게 물 또는 공기를 이용하는 세병기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공기를 이용하는 에어 세정식 세병기는 용기의 주둥이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공기를 용기 내로 분사하면서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 세정식 세병기가 등록특허 10-2347971호, 등록특허 10-1310314호, 등록실용신안 20-0349902호, 등록특허 10-11874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병기는 용기의 주입부(주둥이)와 밀착되어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부와, 이 흡입노즐부의 내측에 구성되어 용기 내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부가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에어 세정식 세병기는 모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용기를 세병기의 노즐부에 배치시키고 에어 세정을 진행한 후, 세정된 용기를 옮겨야 하는 등 번거로운 수작업으로 인해 공정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등록실용신안 20-0349902호에는 여러개의 노즐이 구비되어 있기는 하나 여러개의 용기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노즐부에 작업자가 용기를 수작업으로 배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세정공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2347971호 등록특허 10-1310314호 등록실용신안 20-0349902호 등록특허 10-11874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파지하고 컨베이어의 직상방에서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시켜 용기를 뒤집힌 상태로 자세 역전시키고, 자세 역전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 및 흡입하여 에어 세정 시키는 일련의 용기 세정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세정 공정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에어 세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파지하고 원주상으로 회전하여 자세 역전시키는 용기 그립부를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구성하고, 이 용기 그립부의 회전 반경 내측으로 용기에 공기를 분사하고 흡입하는 노즐부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세병장치를 콤팩트화할 수 있는 자동 에어 세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용기를 한꺼번에 자동으로 에어 세정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상하길이나 직경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용기를 파지하여 자세 역전시키고 에어 세정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에어 세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세병 장치는, 세정할 용기를 그립위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용기를 파지하고 소정 원주상으로 180도 회전동작하여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역전시키는 용기 자세 변환부;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에 의해 뒤집힌 자세로 자세변환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하고,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어세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는, 용기를 파지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용기 그립부; 상기 용기 그립 수단을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시켜 용기의 자세를 변환시키는 용기 회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그립부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용기를 한꺼번에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그립부는, 상기 용기 회전부의 측부 상측에 구성되는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용기 회전부의 측부 하측에 구성되는 제2용기 그립부를 포함되며, 상기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제2용기그립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용기그립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놓인 용기를 파지할 때, 상기 제2용기그립부는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파지하고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며 일측에는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동작을 지지하고, 타측에는 상기 에어 세정부를 고정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용기의 상하 길이에 따라 상기 용기 그립부가 용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승강 가이드축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구동시키는 프레임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회전부는,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프레임; 상기 회전 지지프레임에 회전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전단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부에 상기 용기 그립부가 구성되는 회전 프레임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그립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측부 상측에 구성되는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측부 하측에 구성되는 제2용기 그립부를 포함되며, 상기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제2용기 그립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용기 그립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놓인 용기를 파지할 때, 상기 제2용기 그립부는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파지하고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그립부와 상기 제2용기그립부 각각은, 용기의 양측부에 상호 간격이 조절되면서 용기의 측부를 가압고정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를 그립상태 및 그립해제상태로 위치이동시키는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부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에 의해 파지된 용기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게 승강시키는 한 쌍의 그립승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용기의 직경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폭 조절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폭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안내축;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안내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스크류봉; 상기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봉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간격 조절패널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세정부는,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 반경내에 배치되며 용기의 주둥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 노즐부; 상기 석션 노즐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석션 노즐부가 밀착된 용기 내로 투입되어 용기 내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 상기 석션 노즐부가 용기의 주둥에 밀착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상기 석션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제1노즐 승강부;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단이 상기 석션 노즐부 내에서 대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가 상기 석션 노즐부의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제2노즐 승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 승강부는, 본체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와, 상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석션 노즐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션 노즐부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노즐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노즐 승강부는, 상기 제1노즐 승강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하방향으로 신축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와, 상기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를 지지하여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노즐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의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제1노즐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 및 제2노즐 승강프레임이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 중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되는 용기의 수를 카운팅하는 진입카운터 센서;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 중 첫번째 용기를 감지하는 제1진입감지센서;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 중 마지막 용기를 감지하는 제2진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카운터 센서, 제1진입감지센서 및, 제2진입감지센서는 광학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가 상기 컨베이어의 그립위치의 후류측으로 이송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를 위치정지시키는 배출스토퍼와,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의 전류측에 위치한 첫번째 용기를 고정시켜 전류측에서 이송되는 용기들이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진입스토퍼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한 용기의 이송, 이송된 용기를 파지하고 자세 역전시키며, 역전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 및 흡입하여 에어 세정시키는 일련의 용기 세정 공정이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정공정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이송된 용기를 컨베이어의 직상방에서 용기를 파지하고 180도 회전하여 자세 역전시키는 구조로, 용기 그립부를 2개 이상 구성하여 하나의 용기 그립부에서 용기에 대한 에어 세정이 진행될 때 나머지 용기 그립부에서는 컨베이어의 상의 용기를 파지하여 대기할 수 있어 세정 공정 효율이 더욱더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컨베이어 직상방에 구성된 용기 자세 변환부에서 파지하고 원주상으로 회전시켜 용기를 뒤집도록 구성되고, 이 용기 자세 변화부의 회전반경 내에 에어 세정부를 구성한 형태로서 세병장치를 콤택트화하여 소형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복수의 용기를 한꺼번에 자동으로 에어 세정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의 상하길이나 직경에 상관없이 자동으로 용기를 파지하고 자세 역전시켜서 에어 세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기에 모두 적용가능하므로 호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구동제어를 통해 용기의 이송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를 정지시키거나 이송을 허락하게 해주는 별도의 용기 위치고정수단을 구성하여 이를 통해 컨베이어 상의 용기 위치를 제어하므로 컨베이어의 복잡한 구동제어없이도 간단하게 용기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에어 세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에어 세병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에어 세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용기 자세 변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용기 자세 변환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용기 자세 변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용기 그립부의 그립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에어 세정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에어 세정부의 노즐 승강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 상의 용기를 감지하는 용기 센서수단 및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를 그립위치에 정지시키거나 세정이 완료된 용기는 계속 이송시키도록 하는 용기위치 고정수단(진입스토퍼, 배출스토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배출 스토퍼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는 본 발명의 진입 스토퍼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에어 세병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 에어 세병장치(100)는 본체 프레임(100), 컨베이어(200), 용기 자세 변환부(300), 에어 세정부(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체 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110)과, 이 하부 프레임(110)의 상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200)는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 사이의 소정 높이에서 용기(b)들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200)는 다수의 용기(b)들을 일렬로 이송시켜, 용기(b)를 후술할 용기 자세 변환부(300)의 용기 그립부(350a,350b)가 파지할 수 있는 그립위치(p1)로 위치시키고, 세정이 완료된 용기를 그립위치(p1)의 후류측으로 이송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컨베이어(200)는 하부 프레임(110)에 지지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지면에 별도로 지지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200)는 벨트식 컨베이어로 구성되며, 회전되면서 상면에 놓인 용기(b)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210)와, 이 컨베이어 벨트(210)를 회전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컨베이어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 자세 변환부(300)는 컨베이어(200)의 직상방에 배치되도록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200)에 의해 그립위치(p1)로 이송된 용기를 파지하고, 소정의 원주상으로 180도 상향 회전동작하여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역전시켜 에어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역전 자세로 에어세정이 완료된 용기를 다시 180도 하향회전동작하여 다시 그립위치(p1)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용기 자세 변환부(300)는 용기 회전부(310)와 용기 그립부(350a,350b)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용기 회전부(310)는 상부 프레임(120)의 일측부에 회전구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 그립부(350a,350b)에 의해 파지된 용기를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동작 시키도록 구성된다.
용기 회전부(310)는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프레임(311)과, 이 회전 지지프레임(311)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축부(312)와, 이 회전축부(312)의 말단에 결합되어 회전축부(312)와 함께 회전되고 측부로 용기 그립부(350a,350b)가 구성되어 용기 그립부(350a,350b)를 지지하는 회전 프레임부(314)와, 회전축부(312)와 연결되어 회전축부(312)를 회전구동시키는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회전구동부재(3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축부(312)와 회전구동부재(313)는 벨트-풀리, 체인-스프로킷, 기어연결 방식등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용기 회전부(310)는 용기 그립부(350a,350b)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용기 그립부(350a,350b)가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에 놓인 용기(b)를 파지시키거나, 그립위치(p1)에서 용기(b)를 파지한 용기 그립부(350a,350b)를 180도 상측으로 회전시켜 용기(b)가 뒤집혀진 역전 상태가 되도록 용기 그립부(350a,350b)를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용기 그립부(350a,350b)는 컨베이어(200)의 직상방, 좀더 구체적으로는 컨베이(200)의 그립위치(p1)의 직상방에 배치되어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로 이송된 용기(b)를 파지가능하도로 구성되며, 용기 회전부(310)에 의해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그립부(350a,350b)는 컨베이어(200)의 직상방에서 회전동작하며, 최하단으로 회전되어 그립위치(p1)에 놓인 용기(b)를 파지하고, 용기(b)를 파지한 상태에서 소정 원주상으로 180도 상향 회전되어 용기(b)를 뒤집힌 상태로 역전시켜 용기(b)가 뒤집힌 역전 자세에서 에어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용기 그립부(350a,350b)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용기를 한꺼번에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용기 그립부(350a,350b)가 4개의 용기(b)를 한번에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용기 그립부(350a,350b)의 길이에 따라 용기(b)를 파지할 수 있는 갯수는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용기 그립부(350a,350b)는 회전프레임부(314)의 상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2개가 구성되어, 제1용기 그립부(350a)는 최상단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파지하고 있는 용기(b)를 역전자세로 유지시켜 에어 세정부(400)에 의한 에어세정이 진행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제2용기 그립부(350b)는 최하단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그립위치(p1)에 놓인 세정할 용기(b)를 미리 파지하여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서 용기 그립부(350a,350b)는 180도 대향된 위치에 2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용기 그립부는 1개만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용기 그립부(350a,350b)를 2개로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세정공정 중에 미리 세정할 용기를 파지하여 대기할 수 있어 공정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용기 그립부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용기 그립부는 12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3개가 구성될 수도 있고, 9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4개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그 이상의 갯수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용기 그립부(350a,350b)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용기 그립부(350a,350b) 각각은 서로 대칭되게 구성될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용기 그립부(350a)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용기 그립부(350a)는 연결프레임(351a), 그립승강수단(352a), 지지바(353a), 그립구동수단(354a), 그립부재(355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연결프레임(351a)은 회전 프레임부(314)의 단부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말단에는 그립승강수단(352a)이 구성된다. 연결프레임(351a)은 회전 프레임부(341)의 일단부에 양측으로 한 쌍이 구성되며, 이 한 쌍의 연결프레임(351a)의 각각의 단부에 그립수강수단(352a)이 각각 구성된다.
그립승강수단(352a)은 공압실린더 등의 실린더 모듈로 이루어지며, 그립부재(355a)를 승강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립부재(355a)가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에 놓인 용기(b)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그립승강수단(352a)의 구동에 따라 그립부재(355a)가 소정 미세높이로 상승하여 그립부재(355a)에 파지된 용기(b)들의 바닥이 컨베이어(200)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렇게 용기(b)들이 컨베이어(20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용기 회전부(310)에 의해 용기 그립부(35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바(353a)는 각각의 그립승강수단(352a)의 말단에 고정설치되어, 그립구동수단(354a)을 고정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립승강수단(352a)의 신축동작에 따라 지지바(353a)가 승강하면서, 이와 연결된 그립구동수단(354a), 그립부재(355a)도 함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립구동수단(354a)은 공압실린더 등의 실린더모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지지바(353a)에 각각 설치되고, 말단의 신축로드에는 그립부재(355a)가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그립구동수단(354a)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이에 각각의 그립구동수단(354a)의 구동에 따라 한쌍의 그립부재(355a)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동작 수행이 가능하여, 용기(b)를 파지한 그립상태, 또는 용기(b)를 파지하지 않고 벌어진 그립해제상태로 위치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립부재(355a)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 그립구동수단(354a)의 말단에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도로고 구성되어, 용기(b)의 양측부에 상호 간격이 조정되면서 용기의 측부를 가압고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립부재(355a)는 그립구동수단(354a)의 말단에 고정설치되는 결합패널(356a)과, 이 결합패널(356a)의 전면부에 탄성스프링(357a)에 의해 탄력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용기(b)의 측부를 가압고정하여 용기의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바(358a)와, 결합패널(356a)에 설치되며 그립바(358a)와 함께 용기(b)의 측부를 밀착고정하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로 밀착패드(359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결합패널(356a)에는 탄성스프링(357a)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블럭이 구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블럭에 지지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357a)의 말단에 그립바(358a)가 탄력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그립부재(355a)는 그립구동수단(354a)의 신축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이때,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그립바(358a)가 먼저 용기(b)의 양측부를 가압하여 용기(b)의 그립고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지속적으로 결합패널(356a)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전진하면 탄성스프링(357a)이 더 수축되면서 밀착패드(359a)가 도 7과 같이 용기(b)의 측부에 밀착되면서 그립바(358a)에 의해 그립고정과 함께 밀착패드(359a)에 의한 밀착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인 파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그립부재(355a)는 그립바(358a)가 결합패널(356a)에 소정간격으로 두고 복수개가 구성되고, 밀착패드(359a)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복수의 그립바(358a) 사이에 구성됨으로써 용기(b)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기 자세 변환부(300)는 회전프레임부(314)에 설치되어 용기(b)의 직경에 따라 한 쌍의 그립부재(355a)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폭 조절수단(36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 회전부(310)의 회전프레임부(314)와 용기 그립부(350a)는 그립폭 조절수단(36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이 그립폭 조절수단(360)에 의해 한 쌍의 그립부재(355a)의 폭이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 그립부(350a)는 용기(b)를 파지하고, 파지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354a)의 신축동작에 의해 한 쌍의 그립부재(355a)의 간격이 멀어지고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354a)에 의해 한 쌍의 그립부재(355a)가 가장 멀어진 폭과 가장 가까워질 수 있는 폭 즉 그립구동수단(354a)의 신축동작범위는 한정적이며, 이에, 용기(b)의 직경이 작아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354a)의 신축동작에 의해서도 한 쌍의 그립부재(355a)가 용기(b)를 파지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립폭 조절수단(360)을 통해 한 쌍의 연결프레임(312)의 간격을 조절하여 한 쌍의 그립부재(355a)가 파지할 수 있는 용기(b)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립폭 조절수단(360)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 프레임부(314)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안내축(362)과, 일단에 연결프레임(351a)이 연결되고 안내축(3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한 쌍의 그립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간격 조절 패널(361a,361b)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회전프레임부(3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는 회전조작하기 위한 조작부(363a)가 구비된 스크류봉(363)과,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361a,361b)에 각각 설치되며, 스크류봉(363)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스크류봉(363)의 회전조작에 따라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361a,361b)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한 쌍의 이동가이드(36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조작부(363a)는 육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패너 등 공구를 이용하여 조작부(363a)를 회전조작하여 스크류봉(363)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봉(363)의 정회전시 한 쌍의 이동가이드(364)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면서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361a,361b)의 간격이 가까워지고, 스크류봉(363)의 역회전시 한 쌍의 이동가이드(364)가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361a,361b)의 간격이 멀어지게 조작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361a,361b)이 간격조절됨에 따라 한 쌍의 연결프레임(351a)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한 쌍의 그립부재(355a)의 폭이 조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 세정부(400)는 석션 노즐부(410), 분사 노즐부(420) 및, 노즐 승강부(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석션노즐(410)는 용기 그립부(350a)가 최상단로 회전하여 용기 그립부(350a)에 역전상태로 파지되어 있는 용기(b)의 주둥이에 밀착되어 용기(b) 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되며, 선셕 노즐부(410)는 진공모터(405)에 호스 등의 석션유로(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분사 노즐부(420)는 석션 노즐부(4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석션 노즐부(410)가 용기(b)의 주둥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b) 내부로 상향되게 이동하여 투입되어 용기 내에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사 노즐부(420)는 콤프레셔나 압축공기 탱크같은 공기공급수단(미도시)에 호스 등의 공기공급유로(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노즐 승강부(430)는 석션 노즐부(410)를 승하강시켜 석션 노즐부(410)의 상단이 용기(b)의 주둥이 밀착되거나 밀착해제시키도록 하고, 분사 노즐부(420)를 승하강시켜 분사 노즐부(420)를 승하강시켜 분사 노즐부(420)가 용기(b)의 내부로 상승하여 투입되거나 하강하여 분사노즐부(420)의 상단이 석션 노즐부(410)의 내측에 배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석션 노즐부(41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용기 그립부(350a)에 의해 파지된 복수의 용기에 대응되게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석션 노즐부(410)의 갯수 및 간격에 대응되게 분사노즐부(420)도 복수개로 구성되고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승강부(430)는 복수의 석션 노즐부(4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과, 상부 프레임(120)의 타측부 하단에 고정지지되게 설치되며 상단의 신축로드(433a)는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에 결합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을 승강시키는 공압, 전동실린더 등의 실린더 모듈로 이루어진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433)와, 복수의 분사 노즐부(4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과,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에 고정설치되며 하방향으로 신축동작하는 신축로드(434a)를 구비하고 이 신축로드(434a)의 하단이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 공압, 전동실린더 등의 실린더 모듈로 이루어진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4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과,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433)는 복수의 석션 노즐부(41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노즐 승강부로서 구성되고, 제2노즐 승강프프레임(433)과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434)는 복수의 분사 노즐부(4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노즐 승강부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에어 세정부(400)는 용기(b)들의 직경에 따른 용기(b)들의 주둥이 배열간격에 따라 복수의 석션 노즐부(410)의 간격을 복수의 분사노즐부(420)의 간격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의 상단에는 제1레일(435a)이 구성되고, 각각의 석션 노즐부(410)는 하단에 제1레일(435a)을 따라 이동되는 제1슬라이더(435b)가 구성되어, 석션노즐부(410)를 제1레일(435a)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간격조절이 되게 하는 제1노즐 간격조정부(43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의 상단에는 제2레일(436a)이 구성되고, 각각의 분사 노즐부(420)는 하단에 제2레일(436a)을 따라 이동되는 제2슬라이더(436b)가 구성되어, 분사 노즐부(420)를 제2레일(436a)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간격조절이 되게 하는 제1노즐 간격조정부(433)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 상에 놓인 4개의 용기(b)를 용기 그립부(350a)가 파지한 후, 원주상으로 180도 회전하여 용기 그립부(350a)에 의해 도 8과 같이 에어 세정부(400) 위로 4개의 용기(b)가 뒤집힌 역전자세로 배치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433)의 신축로드(433a)의 신장동작에 따라 제1노즐 승강프레임(431)과 함께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434) 및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이 연동하여 함께 상승하게 되면, 복수의 석션 노즐부(410)가 각 용기(b)의 주둥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434)의 신축로드(434a)의 수축동작에 따라 도 10과 같이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이 상승하게 되어, 각 분사노즐부(420)가 각 용기(b)의 내부로 상승하여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사 노즐부(420)를 통해 용기(b)내로 공기가 분사되고, 이와 함께 석션 노즐부(410)를 통해 용기(b) 내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용기(b) 내의 이물질의 에어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의 에어 세정이 완료된 후에는 도 9와 같이 에어 세정부(400)는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노즐 승강프레임(432)과,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노즐 승강가이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승강가이드부(440)는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1노즐 승강프레임(432)과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가이드축(441)과,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고 수직 가이드축(441)과 나란히 수직하게 설치되는 레크기어부(442)와, 제1노즐 승강프레임(43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레크기어부(442)에 기어연결되는 제1피니언 기어부(443)와, 제2노즐 승강프레임(43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레크기어부(442)에 기어연결되는 제2피니언 기어부(4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컨베이어(200)에 의해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를 두 용기 그립부(350a,350b) 중 하나가 파지하고, 180도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하여, 파지된 용기들이 뒤집혀져 역전자세가 되게하고, 이러한 역전자세에서 에어 세정부(400)에 의해 복수의 용기들이 한꺼번에 에어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이렇게 제1용기 그립부(350a)가 최상단으로 회전하여 에어 세정 공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최하단에 위치한 나머지 제2용기 그립부(350b)는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에 대기하고 있는 복수의 용기(b)를 파지하여 대기하고 있어, 제1용기 그립부(350a)에서 에어 세정이 완료되면 곧바로 제1용기 그립부(350a)와 제2용기 그립부(350b)가 180도 회전하면서 제2용기그립부(350b)가 최상단으로 배치되어 용기들을 역전자세로 변환시키고 에어 세정이 곧바로 진행되게 함으로써 용기 세정 고정에 대한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세정이 완료되어 제1용기 그립부(350a)에 의해 최하단으로 회전된 용기들은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 상에 다시 놓여지고, 컨베이어(200)에 의해 그립위치(p1)로부터 후류측으로 이송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정할 용기의 상하길이에 따라 용기 그립부(350a,350b)가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에 놓인 용기를 파지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프레임(120)이 하부 프레임(130)에 대해 상하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20)의 하단에는 프레임 승강 가이드축부(130)가 구성되고, 이 프레임 승강 가이드축부(130)는 하부 프레임(110)이 상단을 관통한 상태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부 프레임(1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110)에 대해 상부 프레임(120)을 상하 이동시키는 프레임 승강 구동부(1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프레임 승강 구동부(140)는 상부 프레임(120)의 하단으로 수직하게 구성되며 하단에 너트부(144)가 구성된 실린더 형태의 승강축(141)과, 하부 프레임(110)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너트부(144)에 볼-스크류나 리드-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축(141)을 상하 이동 시키는 스크류 바(143)와, 하부 프레임(110)에 결합설치되고 스크류 바(143)와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되어 스크류 바(143)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승강 구동부(140)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승강축(141) 스크류바(143), 전동모터(142), 너트부(144)로 이루어진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신축 동작에 따라 상부 프레임(120)을 승강시킬 수 있으면,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전동실린더, 전동실린더 등 여타의 다양한 리니어 액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200)의 구동제어를 통해, 이송되는 용기(b)를 그립위치(p1)에서 이송정지시킨 후, 용기그립부(350a,350b)가 그립위치(p1)의 용기(b)들을 파지하고, 180도 원주상으로 회전하여 에어 세정부(400)에 의한 용기의 에어세정이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b)를 그립위치(p1) 상에서 위치고정시켜 용기그립부(350a,350b)에 의한 파지가 이루어지게 하는 용기 위치고정수단(5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용기 위치고정수단(500)은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b) 중 그립위치(p1)로 진입하는 용기(b)의 수를 카운팅 하는 진입카운터 센서(510)와,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b) 중 첫번째 용기(b)를 감지하는 제1진입감지센서(520)와,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b) 중 마지막 용기(b)를 감지하는 제2진입감지센서(5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진입카운터 센서(510), 제1진입감지센서(520), 제2진입감지센서(530)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등 광학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위치고정수단(500)은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b)가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의 후류측으로 이송배출되지 않도록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b)를 위치정지시키는 배출스토퍼(540)와, 그립위치(p1)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b)의 전류측에 위치한 첫번째 용기(b5)를 고정시켜 전류측에서 이송되는 용기(b5,b)들이 그립위치(p1)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진입스토퍼(550)를 포함한다.
배출스토퍼(540)와 진입스토퍼(550)는 하부 프레임(110)에 고정지지되게 설치된 고정프레임(501)에 설치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배출스토퍼(540)는 고정프레임(501)에 하단 일측부에 설치되며, 공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의 실린더모듈로 이루어진 셔터 구동부재(543)와, 이 셔터 구동부재(542)에 설치되어 셔터 구동부재(542)의 신축동작에 따라 그립위치(p1)에 이송된 복수의 용기(b) 중 첫번째 용기를 전측부를 가로 막거나 개방하는 셔터부재(5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셔터부재(544)가 그립위치(p1) 상의 첫번째 용기(b1)의 전방을 가로막는경우, 컨베이어(200)가 계속 가동되라도 그립위치(p1) 상의 용기(b1,b2,b3,b4)들은 그립위치(p1)의 후류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셔터 구동부재(542)가 수축하여 셔터부재(544)가 후진하게 되면, 셔터부재(544)가 컨베이어(200)에서 폭방향으로 이탈하여 용기(b1)의 전방을 개방함으로써 용기(b)가 컨베이어(200)에 의해 그립위치(p1)의 후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배출스토퍼(540)는 고정프레임(501)의 하단에서 컨베이어(2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프레임(510)의 일측 하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동프레임(546)이 구성되고, 이 이동프레임(546)에 셔터구동부재(542)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배출스토퍼(540)는 고정프레임(501)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즉, 컨베이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그용기 그립부(350a,350b)에 의해 그립위치(p1)에서 파지하는 용기의 갯수 및 용기의 직경에 따라 그립위치(p1)로 이송된 첫번째 용기(b1)를 바로 앞에서 가로 막아 용기(b1,b2,b3,b4)가 그립위치(p1)의 후류측으로 이송배출되지 않도록 정지시키기 위함이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진입스토퍼(550)는 컨베이어(200)의 그립위치(p1)에 용기(b1,b2,b3,b4)가 진입한 상태에서 더 이상의 용기가 그립위치(p1)로 이송되지 않도록, 그립위치(p1)의 전류측에 있는 첫번째 용기(b5)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진입스토퍼(550)는 고정프레임(501)에 하단 양측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공압실린더, 전동실린더 등의 실린더모듈로 이루어진 한 상의 가압 구동부재(551)와, 이 한 쌍의 가압 구동부재(551)에 설치되어 가압 구동부재(551)의 신축동작에 따라 그립위치(p1)의 용기(b)로부터 전류측에 위치한 첫번째 용기(b5)의 측부를 양측에서 가압고정하여 용기(b5)가 그립위치(p1)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가압부재(5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본체 프레임
110...하부 프레임
120... 상부 프레임
200...컨베이어
300...용기 자세 변환부
310...용기 회전부
311...회전 지지프레임
312...회전축부
313...회전구동부재
314...회전 프레임부
350a,350b...용기 그립부
351a,351b...연결프레임
352a,352b...그립승강수단
353a,353b...지지바
354a,354b...그립구동수단
355a,355b...그립부재
356a,356b...결합패널
357a,357b...탄성스프링
358a,358b...그립바
359a,359b...밀착패드
400...에어 세정부
410...석션 노즐부
420...분사 노즐부
430...노즐 승강부
431...제1노즐 승강프레임
432...제2노즐 승강플레임
433...제1노즐 승강구동부재
434...제2노즐 승강구동부재
435...제1노즐 간격조정부
436...제2노즐 간격조정부
500...용기 위치고정수단
510...진입카운터 센서
520...제1진입감지센서
530...제2진입감지센서
540...배출스토퍼
550...진입스토퍼

Claims (1)

  1. 세정할 용기를 그립위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용기를 파지하고 소정 원주상으로 180도 회전동작하여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역전시키는 용기 자세 변환부;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 반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에 의해 뒤집힌 자세로 자세변환된 용기에 공기를 분사하고, 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용기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에어세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는,
    용기를 파지하되 소정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용기를 한꺼번에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용기 그립부;
    상기 용기 그립 수단을 소정 원주상으로 회전시켜 용기의 자세를 변환시키는 용기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그립부는,
    상기 용기 회전부의 측부 상측에 구성되는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용기 회전부의 측부 하측에 구성되는 제2용기 그립부를 포함되며,
    상기 제1용기 그립부와 상기 제2용기그립부는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용기그립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놓인 용기를 파지할 때, 상기 제2용기그립부는 용기를 뒤집힌 자세로 파지하고 있도록 구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며 일측에는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동작을 지지하고, 타측에는 상기 에어 세정부를 고정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본체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 승강 가이드축부;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승강구동시키는 프레임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기의 상하 길이에 따라 상기 용기 그립부가 용기를 파지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이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전 지지프레임;
    상기 회전 지지프레임에 회전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전단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측부에 상기 용기 그립부가 구성되는 회전 프레임부;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용기그립부와 상기 제2용기그립부 각각은,
    용기의 양측부에 상호 간격이 조절되면서 용기의 측부를 가압고정하는 한 쌍의 그립부재;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 각각에 설치되어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를 그립상태 및 그립해제상태로 위치이동시키는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부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그립구동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에 의해 파지된 용기를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이격되게 승강시키는 한 쌍의 그립승강수단;
    상기 회전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용기의 직경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의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폭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안내축;
    일측에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안내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그립부재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스크류봉;
    상기 한 쌍의 간격 조절 패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봉과 볼-스크류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크류봉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간격 조절패널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하는 이동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세정부는,
    상기 용기 자세 변환부의 회전 반경내에 배치되며 용기의 주둥이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석션 노즐부;
    상기 석션 노즐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석션 노즐부가 밀착된 용기 내로 투입되어 용기 내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
    상기 석션 노즐부가 용기의 주둥에 밀착되거나 밀착해제되도록 상기 석션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제1노즐 승강부;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단이 상기 석션 노즐부 내에서 대기하거나 상기 분사 노즐부가 상기 석션 노즐부의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용기 내로 투입되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를 승강시키는 제2노즐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즐 승강부는, 본체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와, 상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석션 노즐부를 지지하여 상기 석션 노즐부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노즐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노즐 승강부는, 상기 제1노즐 승강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하방향으로 신축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와, 상기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분사 노즐부를 지지하여 상기 분사 노즐부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노즐 승강프레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노즐 승강구동부재의 신축동작에 따라 상기 제1노즐 승강프레임과 함께 상기 제2노즐 승강구동부재 및 제2노즐 승강프레임이 연동하여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 중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되는 용기의 수를 카운팅하는 진입카운터 센서;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 중 첫번째 용기를 감지하는 제1진입감지센서;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 중 마지막 용기를 감지하는 제2진입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입카운터 센서, 제1진입감지센서 및, 제2진입감지센서는 광학 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가 상기 컨베이어의 그립위치의 후류측으로 이송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를 위치정지시키는 배출스토퍼와,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된 복수의 용기의 전류측에 위치한 첫번째 용기를 고정시켜 전류측에서 이송되는 용기들이 상기 그립위치로 이송되지 않도록 하는 진입스토퍼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에어 세병장치.
KR1020230096894A 2023-07-25 2023-07-25 자동 에어 세병장치 KR10262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894A KR102621454B1 (ko) 2023-07-25 2023-07-25 자동 에어 세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894A KR102621454B1 (ko) 2023-07-25 2023-07-25 자동 에어 세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454B1 true KR102621454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894A KR102621454B1 (ko) 2023-07-25 2023-07-25 자동 에어 세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4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902Y1 (ko) 2003-12-27 2004-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자동 세병기
KR101187415B1 (ko) 2005-06-02 2012-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어분사식 세병기
KR101310314B1 (ko) 2012-12-18 2013-09-23 주윤경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는 직립형 세병 장치
WO2019093560A1 (ko) * 2017-11-08 2019-05-16 최종갑 보틀 세척장치
KR102347971B1 (ko) 2020-04-03 2022-01-07 강준영 압축 공기를 이용한 세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902Y1 (ko) 2003-12-27 2004-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반자동 세병기
KR101187415B1 (ko) 2005-06-02 2012-10-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에어분사식 세병기
KR101310314B1 (ko) 2012-12-18 2013-09-23 주윤경 정전기 제거 기능을 갖는 직립형 세병 장치
WO2019093560A1 (ko) * 2017-11-08 2019-05-16 최종갑 보틀 세척장치
KR102347971B1 (ko) 2020-04-03 2022-01-07 강준영 압축 공기를 이용한 세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81833B (zh) 一种中药煎煮***及中药煎煮方法
CN104624568B (zh) 一种清洗设备
CN106944423B (zh) Uoe直缝埋弧焊管成型管坯与坡口清洗装置及方法
CN108772396A (zh) 一种化工桶清洗设备
CN110976452B (zh) 一种集装箱自动清洗机及方法
KR20210100185A (ko) 웨이퍼 박리 세정 장치
KR102621454B1 (ko) 자동 에어 세병장치
CN105798032A (zh) 一种清洗机
CN110369352B (zh) 清洗装置及基板清洗方法
KR20030074013A (ko) 이중 판유리 제조 장치
KR20080114155A (ko) 웨이퍼 그리핑 장치
CN114798647A (zh) 一种升降结构、单晶圆清洗机构、方法及设备
CN106881324B (zh) 球胆清洗装置
KR100470680B1 (ko) 스티어링 휠의 표면 자동전사방법 및 장치
CN114192476A (zh) 机器人蒸汽自动清洗设备
KR200276321Y1 (ko) 용기 세척장치 및 이송장치
CN205042814U (zh) 柔性铁氟龙布表面自动清洗机
CN116944321A (zh) 一种皮带轮生产装置
CN113764313A (zh) 一种晶片清洗槽及晶片清洗方法
CN210546863U (zh) 一种化工吨桶多工位自动清洗装置
CN211802934U (zh) 一种tft液晶显示屏清洁装置
CN114042715A (zh) 油桶的全自动清洗装置的清洗方法
CN208944781U (zh) 一种玻璃瓶清洗装置
JP2525520B2 (ja) 容器の自動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CN204817399U (zh) 一种用于新鲜干酪生产线的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