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85B1 - 스퍼터링 타겟재 - Google Patents

스퍼터링 타겟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85B1
KR102620685B1 KR1020187006796A KR20187006796A KR102620685B1 KR 102620685 B1 KR102620685 B1 KR 102620685B1 KR 1020187006796 A KR1020187006796 A KR 1020187006796A KR 20187006796 A KR20187006796 A KR 20187006796A KR 102620685 B1 KR102620685 B1 KR 10262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e
less
ray diffraction
intensity
sputter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596A (ko
Inventor
히로유키 하세가와
노리아키 마쓰바라
Original Assignee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오도꾸슈세이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4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7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1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magnetic films to substrates
    • H01F41/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applying magnetic films to substrates by cathode sputtering
    • H01F41/183Sputtering targe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14Targets
    • H01J37/3426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4Gas-filled discharge tubes operating with cathodic sputtering
    • H01J37/3411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reactor
    • H01J37/3414Targets
    • H01J37/3426Material
    • H01J37/3429Plu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15Nickel or 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3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4/00Physical aspects of the powder
    • B22F2304/10Micron size particles, i.e. above 1 micrometer up to 500 micr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 발생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t.%로, B를 10∼50% 함유하고, 잔부가 Co 및 Fe 중 적어도 1종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퍼터링 타겟재로서,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 또는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퍼터링 타겟재
본 발명은, 자기(磁氣) 터널 접합(MTJ) 소자, HDD, 자기 기록용 매체 등에 있어서의 합금 박막의 제조에 유용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관한 것이다.
자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MRAM)는 자기 터널 접합(MTJ) 소자를 갖는다. 자기 터널 접합(MTJ) 소자는 CoFeB/MgO/CoFeB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높은 터널 자기 저항(TMR) 신호, 낮은 스위칭 전류 밀도(Jc)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자기 터널 접합(MTJ) 소자의 CoFeB 박막은, CoFeB 타겟의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다. CoFeB 스퍼터링 타겟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04-346423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냉 응고시킨 아토마이즈 분말의 급냉 응고 조직을 활용한 미세한 조직을 가지는 스퍼터링 타겟재가 알려져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34642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급냉 응고 조직을 활용한 미세한 조직을 가지는 스퍼터링 타겟재에는, 스퍼터링 시에 파티클이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개발을 진행시킨 결과, 가스 아토마이즈의 급냉 응고에 의해 제작된 아토마이즈 분말의 급냉 응고 조직에는, 붕소화물 상(相)의 존재하지 않는 초정(初晶)이 적은 대신, (CoFe)3B, Co3B 또는 Fe3B가 형성되어 있고, 스퍼터링 타겟재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아토마이즈 분말로부터 이들을 제거함으로써,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at.%로, B를 10∼50% 함유하고, 잔부가 Co 및 Fe 중 적어도 1종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퍼터링 타겟재로서,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 또는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
[2] 잔부가 Co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가 1.5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스퍼터링 타겟재.
[3] 잔부가 Co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가 1.5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스퍼터링 타겟재.
[4] 잔부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스퍼터링 타겟재.
본 발명에 의하면, (CoFe)3B, Co3B 또는 Fe3B가 적고,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스퍼터링 타겟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스퍼터링 타겟재는, 스퍼터막의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예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를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했을 때의 XRD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를 X선 회절에 의해 측정했을 때의 XRD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는, 특별히 규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at.%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 B의 함유량은 10∼50%이다. B의 함유량이 10% 미만이면, 스퍼터링 시에 형성되는 합금 박막이 충분히 비정질로 되지 않고, B의 함유량이 50%를 넘으면, 스퍼터링 시에 발생하는 파티클을 저감시킬 수 없으므로, B의 함유량은 10∼50%로 조정된다. B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 잔부는 Co 및 Fe 중 적어도 1종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Co 및 Fe는 자성을 부여하는 원소이고, Co 및 Fe의 합계 함유량은 50% 이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가 Co 및 Fe 중 한쪽만을 함유하는 경우, 「Co 및 Fe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 한쪽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1000ppm까지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 잔부가 Co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는, 1.50 이하다. 강도비[I[(CoFe)3B]]/I[(CoFe)2B]는, 예를 들면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다. 강도비[I[(CoFe)3B]]/I[(CoFe)2B]의 하한값은 0.0이다. 그리고,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Fe)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하고,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Fe)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한다. (CoFe)2B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및 (CoFe)3B의 (121)면의 X선 회절 강도를 지표로서 사용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組成) 범위 내이면, (CoFe)2B의 (200)면의 피크 및 (CoFe)3B의 (121)면의 피크가, 그 외의 화합물 피크와 겹치지 않고, 그 외의 화합물 피크로부터 독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 잔부가 Co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는, 1.50 이하다. 강도비[I(Co3B)/I(Co2B)]는, 예를 들면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다. 강도비[I(Co3B)/I(Co2B)]의 하한값은 0.0이다. 그리고,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하고,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한다. Co2B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및 Co3B의 (121)면의 X선 회절 강도를 지표로서 사용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 범위 내이면, Co2B의 (200)면의 피크 및 Co3B의 (121)면의 피크가, 그 외의 화합물 피크와 겹치지 않고, 그 외의 화합물 피크로부터 독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 잔부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2B)]의 강도비[I(Fe2B)/I(Fe2B)]는, 1.50 이하다. 강도비[I(Fe2B)/I(Fe2B)]는, 예를 들면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0.9 이하, 0.8 이하, 0.7 이하, 0.6 이하 또는 0.5 이하다. 강도비[I(Fe3B)/I(Fe2B)]의 하한값은 0.0이다. 그리고,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Fe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하고,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는, Cu-Kα선을 이용하여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Fe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의미한다. Fe2B의 (200)면의 X선 회절 강도 및 Fe3B의 (121)면의 X선 회절 강도를 지표로서 사용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성분 조성 범위 내이면, Fe2B의 (200)면의 피크 및 Fe3B의 (121)면의 피크가, 그 외의 화합물 피크와 겹치지 않고, 그 외의 화합물 피크로부터 독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CoFe)3B, Co3B 및 Fe3B는 화합물로서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스퍼터링 타겟재 중에 존재하면,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의 요인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B의 함유량이 10∼50%의 범위에서 안정된 화합물로서 정상적으로 형성되는 (CoFe)2B, (Co2B), Fe2B에 대한 (CoFe)3B, Co3B, Fe3B의 비율을, X선 회절 강도비[I[(CoFe)3B]]/I[(CoFe)2B], [I(Co3B)/I(Co2B)], [I(Fe3B)/I (Fe2B)]가 1.50 이하로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CoFe)3B, (CoFe)2B는 각각 Co3B, (Co2B)의 Co의 일부가 Fe로 치환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스퍼터링 타겟재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으로 되도록 용해 원료를 칭량하고, 감압 Ar 가스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의 내화물 도가니 내에서 유도 가열 용해한 후, 도가니 하부의 직경 8㎜의 노즐로부터 출탕하고, Ar 가스에 의해 가스 아토마이즈하였다. 그리고, Ar 가스의 분사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응고 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분사압이 클수록, 응고 속도가 크다. 응고 속도의 컨트롤에 의해, 가스 아토마이즈 분말의 입도 분포를 조정할 수 있다. 응고 속도가 빠를수록, 입도 분포의 폭은 작다.
얻어진 가스 아토마이즈 분말로부터, 입경 500㎛ 이상의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조립자를 제거한 후, 조립자가 제거된 분말로부터, 아토마이즈에 의한 급냉의 영향을 크게 받아 조직이 급냉 응고 조직으로 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후술하는 입도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였다.
입도 조건 A, B, C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입도 조건 A는, 분말(입자군)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10% 이하, 또한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4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입도 조건 B는, 분말(입자군)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8% 이하, 또한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35% 이하로 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입도 조건 C는, 분말(입자군)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5% 이하, 또한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3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입도 조건 A, B, C 모두를 만족시키는 분말은, 입도 조건 C를 만족시키는 분말로 하고, 입도 조건 A, B를 만족시키는 분말은, 입도 조건 B를 만족시키는 분말로 한다.
입경 500㎛ 이상의 조립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 500㎛ 이하, 예를 들면, 눈의 크기가 250∼500㎛인 체를 이용한 분급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입도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기 위한 미세 입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 5㎛ 이하 및/또는 눈의 크기 30㎛ 이하의 체를 이용한 분급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경 500㎛ 이상의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조립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가 500㎛인 체를 이용한 분급에 의해 행하고, 입도 조건 A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기 위한 미세 입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가 35㎛인 체를 이용한 분급에 의해 행하고, 입도 조건 B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기 위한 미세 입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가 30㎛인 체를 이용한 분급에 의해 행하고, 입도 조건 C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기 위한 미세 입자의 제거는, 눈의 크기가 25㎛인 체를 이용한 분급으로 의해 행하였다. 입경 및 입도 분포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마이크로트랙)에 의해 측정하고, 확인하였다. 조립자 및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조제한 입도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원료 분말로서 이용하였다. 원료 분말을 외경(外徑) 220㎜, 내경(內徑) 210㎜, 길이 200㎜의 SC제 캔에 탈기 장입하였다. 상기의 분말 충전 빌릿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소결하여,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한 고화 성형체를 와이어 컷, 선반 가공, 평면 연마에 의해, 직경 180㎜, 두께 7㎜의 원반형으로 가공하고, 스퍼터링 타겟재로 하였다. 그리고, 성형 방법은, 예를 들면 HIP, 핫 프레스(hot press), SPS, 열간 압출 등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표 3의 원료 분말란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이 되도록 용해 원료를 칭량하고, 감압 Ar 가스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의 내화물 도가니 내에서 유도 가열 용해한 후, 도가니 하부의 직경 8㎜의 노즐로부터 출탕하고, Ar 가스에 의해 가스 아토마이즈하였다. 얻어진 가스 아토마이즈 분말로부터, 입경 500㎛ 이상의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조립자를 제거한 후, 조립자가 제거된 분말로부터, 아토마이즈에 의한 급냉의 영향을 크게 받아 조직이 급냉 응고 조직으로 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입도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조제하였다. 조립자 및 미세 입자의 제거는,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분말의 입도 분포는,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분포 측정 장치(마이크로트랙)에 의해 측정하고, 확인하였다. 조립자 및 미세 입자를 제거하여 조제한 입도 조건 A, B, C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분말을 원료 분말로서 이용하였다. 원료 분말을 표 3에 나타내는 혼합비로, V형 혼합기에 의해 30분 혼합함으로써, 표 3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으로 한 후, 외경 220㎜, 내경 210㎜, 길이 200㎜의 SC제 캔에 탈기 장입하였다. 상기의 분말 충전 빌릿을 표 3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소결하여,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한 고화 성형체를 와이어 컷, 선반 가공, 평면 연마에 의해, 직경 180㎜, 두께 7㎜의 원반형으로 가공하고, 스퍼터링 타겟재로 하였다. 그리고, 성형 방법은, 예를 들면 HIP, 핫 프레스, SPS, 열간 압출 등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표 4에 비교예를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내는 성분 조성으로 되도록 용해 원료를 칭량하고, 감압 Ar 가스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의 내화물 도가니 내에서 유도 가열 용해한 후, 도가니 하부의 직경 8㎜의 노즐로부터 출탕하고, Ar 가스에 의해 가스 아토마이즈하였다. 얻어진 가스 아토마이즈 분말로부터, 입경 500㎛ 이상의 성형에 적합하지 않은 조립자를 제거하고, 조립자가 제거된 분말을, 미세 입자를 제거하지 않고 원료 분말로서 이용하였다. 원료 분말을 외경 220㎜, 내경 210㎜, 길이 200㎜의 SC제 캔에 탈기 장입하였다. 상기의 분말 충전 빌릿을 표 4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소결하여, 소결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한 고화 성형체를 와이어 컷, 선반 가공, 평면 연마에 의해, 직경 180㎜, 두께 7㎜의 원반형으로 가공하고, 스퍼터링 타겟재로 하였다.
[표 1]
Figure 112018023592778-pct00001
[표 2]
Figure 112018023592778-pct00002
[표 3]
Figure 112018023592778-pct00003
[표 4]
Figure 112018023592778-pct00004
주) 언더라인은 본 발명 조건 외
표 1∼표 3에 나타내는 No.1∼No.32는 본 발명예이고, 표 4에 나타내는 No.33∼No.39는 비교예이다.
X선 회절 강도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X선원으로서 Cu-Kα선을 이용하여, 스캔 스피드 4°/min의 조건으로, 2θ=20∼80°에 있어서의 X선 회절 피크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스퍼터링 타겟재가 Co 및 Fe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Fe)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로 하고, (CoFe)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로 하고,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를 산출하였다.
스퍼터링 타겟재가 Co를 포함하지만 Fe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Co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로 하고, Co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로 하고,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를 산출하였다.
스퍼터링 타겟재가 Fe를 포함하지만 Co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측정된 X선 회절 피크 중, Fe2B의 (200)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로 하고, Fe3B의 (121)면에 귀속하는 피크의 강도를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로 하고,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를 산출하였다.
XRD 패턴의 예로서, 본 발명예 No.19의 70Co-5Fe-25B의 XRD 패턴을 도 1에 나타내고, 비교예 No.38의 72Co-8Fe-20B의 XRD 패턴을 도 2에 나타낸다.
파티클의 평가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본 발명예 또는 비교예의 스퍼터링 타겟재를 이용하여, 직경 95㎜, 판 두께 1.75㎜의 알루미늄 기판 상에 DC 마그네트론 스퍼터에 의해 Ar 가스 압력 0.9Pa로 성막하고, Optical Surface Analyzer에 의해 0.1㎛ 이상 크기의 파티클 수를 평가하였다. 파티클의 수가 10개 이하를 우수로 하여 「A」로 표시하고, 11∼100개를 양호로 하여 「B」로 표시하고, 101∼200개를 가능으로 하여 「C」로 표시하고, 201개 이상을 불가로 하여 「D」로 표시한다.
비교예 No.33에서는, 원료 분말이 입도 조건 A∼C 중 어느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원료 분말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11%임), X선 회절 강도비가 1.5를 넘고, 그 결과, 파티클 평가가 매우 나빴다.
비교예 No.34에서는, 스퍼터링 타겟재에 있어서의 B의 함유량이 5%이고, 원료 분말이 입도 조건 A∼C 중 어느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원료 분말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11%임), X선 회절 강도비가 1.5를 넘고, 그 결과, 파티클 평가가 매우 나빴다.
비교예 No.35 및 No.37에서는, 원료 분말이 입도 조건 A∼C 중 어느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원료 분말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각각 12% 및 13%임), X선 회절 강도비가 1.5를 넘고, 그 결과, 파티클 평가가 매우 나빴다.
비교예 No.36 및 No.38에서는, 원료 분말이 입도 조건 A∼C 중 어느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원료 분말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각각 42% 및 43%임), X선 회절 강도비가 1.5를 넘고, 그 결과, 파티클 평가가 매우 나빴다.
비교예 No.39에서는, 원료 분말이 입도 조건 A∼C 중 어느 조건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원료 분말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 입경 5㎛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 및 입경 30㎛ 이하인 입자의 누적 부피가 각각 14% 및 45%임), X선 회절 강도비가 1.5를 넘고, 그 결과, 파티클 평가가 매우 나빴다.
이에 대하여, 표 1∼표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예 No.1∼No.32는 모두, B를 10∼50% 함유하고, 잔부가 Co 및 Fe 중 적어도 1종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강도비[I[(CoFe)3B]]/I[(CoFe)2B], 강도비[I(Co3B)/I(Co2B)] 또는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것으로부터 파티클 평가가 우수하였다.
이상과 같이, 가스 아토마이즈의 급냉 응고에 의해 제작된 아토마이즈 분말로부터, 아토마이즈에 의한 급냉의 영향을 크게 받아 조직이 급냉 응고 조직으로 되어 있는 미세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급냉 응고 조직 중의 안정상(安定相)이 아닌 (CoFe)3B, Co3B 또는 Fe3B를 제거하고, (CoFe)3B, Co3B 또는 Fe3B가 제거된 아토마이즈 분말을, 스퍼터링 타겟재 원료 분말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스퍼터링 타겟재 중의 (CoFe)3B, Co3B 또는 Fe3B의 존재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 또는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를 감소시킬 수 있고,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 또는,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를 1.50 이하로 함으로써, 스퍼터링 시의 파티클을 감소시켜, 스퍼터막의 제품 수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at.%로, B를 10∼50% 함유하고, 잔부가 Co 및 Fe 중 적어도 1종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스퍼터링 타겟재로서,
    Co 및 Fe의 합계 함유량이 50% 이상 90% 이하이며,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 또는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
  2. 제1항에 있어서,
    잔부가 Co 및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Co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Fe)2B]]에 대한 (Co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Fe)3B]]의 강도비[I[(CoFe)3B]]/I[(CoFe)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
  3. 제1항에 있어서,
    잔부가 Co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Co2B(200)의 X선 회절 강도[I(Co2B)]에 대한 Co3B(121)의 X선 회절 강도[I(Co3B)]의 강도비[I(Co3B)/I(Co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
  4. 제1항에 있어서,
    잔부가 Fe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Fe2B(200)의 X선 회절 강도[I(Fe2B)]에 대한 Fe3B(121)의 X선 회절 강도[I(Fe3B)]의 강도비[I(Fe3B)/I(Fe2B)]가 1.50 이하인, 스퍼터링 타겟재.
KR1020187006796A 2015-09-18 2016-09-16 스퍼터링 타겟재 KR102620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4644A JP6660130B2 (ja) 2015-09-18 2015-09-18 CoFeB系合金ターゲット材
JPJP-P-2015-184644 2015-09-18
PCT/JP2016/077457 WO2017047753A1 (ja) 2015-09-18 2016-09-16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596A KR20180054596A (ko) 2018-05-24
KR102620685B1 true KR102620685B1 (ko) 2024-01-02

Family

ID=5828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6796A KR102620685B1 (ko) 2015-09-18 2016-09-16 스퍼터링 타겟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44476B2 (ko)
EP (1) EP3351654A4 (ko)
JP (1) JP6660130B2 (ko)
KR (1) KR102620685B1 (ko)
SG (2) SG11201802202TA (ko)
TW (1) TWI715630B (ko)
WO (1) WO2017047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2428B (zh) 2019-03-20 2021-07-01 日商Jx金屬股份有限公司 濺鍍靶及濺鍍靶之製造方法
JP2021109980A (ja) * 2020-01-06 2021-08-0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
JP2021127490A (ja) 2020-02-13 2021-09-02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546A1 (ja) 2012-06-06 2013-12-12 日立金属株式会社 Fe-Co系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25897A1 (ja) 2013-02-15 2014-08-21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Co又はFeを含有する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WO2015080009A1 (ja) * 2013-11-28 2015-06-0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磁性材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7474B2 (ja) 2002-02-04 2008-07-30 株式会社東芝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US6759005B2 (en) * 2002-07-23 2004-07-06 Heraeus, Inc. Fabrication of B/C/N/O/Si doped sputtering targets
US7141208B2 (en) 2003-04-30 2006-11-28 Hitachi Metals, Ltd. Fe-Co-B alloy target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soft magnetic film produced by using such target,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TMR device
JP4016399B2 (ja) * 2003-04-30 2007-12-05 日立金属株式会社 Fe−Co−B合金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
JP2005320627A (ja) * 2004-04-07 2005-11-17 Hitachi Metals Ltd Co合金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Co合金ターゲット材および垂直磁気記録用軟磁性膜ならびに垂直磁気記録媒体
US20070017803A1 (en) * 2005-07-22 2007-01-25 Heraeus, Inc. Enhanced sputter target manufacturing method
JP4331182B2 (ja) 2006-04-14 2009-09-16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軟磁性ターゲット材
CN102652184B (zh) * 2009-12-11 2014-08-06 吉坤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磁性材料溅射靶
JP5631659B2 (ja) 2010-08-24 2014-11-26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垂直磁気記録媒体用軟磁性合金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並びに磁気記録媒体
JP5769059B2 (ja) 2011-03-30 2015-08-26 日立金属株式会社 永久磁石薄膜用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02670B (zh) 2013-03-22 2017-06-23 吉坤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钨烧结体溅射靶及其制造方法
JP6215329B2 (ja) 2013-08-09 2017-10-18 Jx金属株式会社 ネオジム、鉄、ボロンを主成分とする希土類粉末又は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同希土類元素からなる粉末又は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ネオジム、鉄、ボロンを主成分とする希土類磁石用薄膜又はその製造方法
JP6405261B2 (ja) 2014-05-01 2018-10-17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磁気記録用軟磁性合金及び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並びに磁気記録媒体
KR20170093951A (ko) 2015-03-04 2017-08-16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자성재 스퍼터링 타깃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546A1 (ja) 2012-06-06 2013-12-12 日立金属株式会社 Fe-Co系合金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25897A1 (ja) 2013-02-15 2014-08-21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Co又はFeを含有する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
WO2015080009A1 (ja) * 2013-11-28 2015-06-0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磁性材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5211A1 (en) 2018-08-30
WO2017047753A1 (ja) 2017-03-23
JP6660130B2 (ja) 2020-03-04
KR20180054596A (ko) 2018-05-24
US10844476B2 (en) 2020-11-24
TWI715630B (zh) 2021-01-11
EP3351654A4 (en) 2019-04-17
JP2017057477A (ja) 2017-03-23
SG10201913474RA (en) 2020-03-30
EP3351654A1 (en) 2018-07-25
SG11201802202TA (en) 2018-04-27
TW201726955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726B2 (en) Sputtering target material
US10644230B2 (en) Magnetic material sputtering targ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620685B1 (ko) 스퍼터링 타겟재
US10199203B2 (en) Cobalt, iron, boron, and/or nickel alloy-containing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220145433A1 (en) Alloy Suitable for Sputtering Target Material
WO2012023475A1 (ja) CrTi系合金およびスパッタリング用ターゲット材、垂直磁気記録媒体、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WO2021141042A1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の製造方法
JP7492831B2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
WO2023038081A1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
TWI834821B (zh) 適用於濺鍍靶材之合金
WO2017047754A1 (ja)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材
CN116288196A (zh) 一种CoFeB靶材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