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87B1 -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87B1
KR102619087B1 KR1020220147835A KR20220147835A KR102619087B1 KR 102619087 B1 KR102619087 B1 KR 102619087B1 KR 1020220147835 A KR1020220147835 A KR 1020220147835A KR 20220147835 A KR20220147835 A KR 20220147835A KR 102619087 B1 KR102619087 B1 KR 10261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unit
leg piece
external force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케어
Priority to KR102022014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는, 양변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양변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제1 지지레그편 및 상기 제1 지지레그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레그편을 구비하는 지지레그부,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승강레그편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승강레그편을 구비하는 승강레그부, 상기 제1 승강레그편과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 및 상기 지지레그부에 설치된 채, 상기 승강레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그부의 상기 지지레그부에 대한 승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ilet and assists the user in standing or sitting using the toile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A support leg portion including a standing first support leg piece and a second support leg pie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 first lifting leg piece mounted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nd the A lifting leg portion including a second lifting leg piece mounted on a second support leg piece to enable elevation, a suppor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lifting leg piece an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and a support leg por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leg piece, It may include a switch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leg part and allows the lifting leg part to implement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leg part.

Description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본 발명은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양변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that is disposed in front of a toilet and assists a user in standing or sitting while using the toilet.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물이나 병원과 같은 공공 건물 등에는 좌변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좌변기는 착석을 위해 바닥에서 적당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므로, 용변을 보기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좌변기에 앉을 때에도 불편하고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본 다음에는 다시 일어서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Toilet seats are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and public buildings such as hospitals. These toilet seats ar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height from the floor for seating, allowing users to sit on the toilet to relieve themselves, which is an advantage for convenient use of the toilet. Howeve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have problems when sitting on the toilet seat, and it is not easy to stand up again after using the toilet while sitting on the toilet seat.

상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여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좌변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한 좌변기 장치가 개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착석과 기립을 돕기 위한 좌변기 장치도 여전히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기립을 돕기에는 미흡한 면이 많고, 자체의 구조도 복잡한 제품도 많으며, 경우에 따라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한 제품도 있는 실정이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oilet sea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to use toilet seats conveniently and safely. However, these toilet seat devices to assist sitting and standing are still insufficient to help users with limited mobility to stand. There are many products with complex structures, and in some cases, there are products that pose the risk of various safety accidents.

한국등록특허 제10-2062486호Korean Patent No. 10-2062486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좌변기 이용자의 착석이나 기립을 보조하여 사용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it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restrooms f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such as the disabled or the elderly, and can improve convenience and safety by assisting toilet seat users in sitting or standing. It is d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는, 양변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양변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제1 지지레그편 및 상기 제1 지지레그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레그편을 구비하는 지지레그부,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승강레그편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승강레그편을 구비하는 승강레그부, 상기 제1 승강레그편과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 및 상기 지지레그부에 설치된 채, 상기 승강레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그부의 상기 지지레그부에 대한 승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ilet and assists the user in standing or sitting using the toilet,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A support leg portion including a standing first support leg piece and a second support leg piec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 first lifting leg piece mounted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and the A lifting leg portion including a second lifting leg piece mounted on a second support leg piece to enable elevation, a support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lifting leg piece an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and a support leg por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leg piece, It may include a switch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lifting leg part and allows the lifting leg part to implement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upport le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설치된 채, 상기 제1 승강레그편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하는 상승 스위치편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설치된 채, 상기 제2 승강레그편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대한 하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하강 스위치편을 구비하며, 상기 상승 스위치편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에 착탈되고, 상기 제1 승강레그편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이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 스위치편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에 착탈되고, 상기 제2 승강레그편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It is installed on the lifting switch piece and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so that the ris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is realized,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so that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is connect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2. It is provided with a lowering switch piece that realizes lowering of the support leg piece, and the rising switch piec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mounted on the first lifting leg piece. In this state, the first lifting leg piece is raised by the applied rotational force, and the lowering switch piece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In the mounted state,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can be lowered by the applied rotatio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평행부 및 상기 제1 평행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레그편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행부 및 상기 제2 평행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 스위치편은, 상기 제1 기립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강 스위치부는, 상기 제2 기립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회전축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leg piece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and the inside It has a first standing part forming a first receiving space, and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is formed by standing up from a second parallel part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and a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parallel part, and the inside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standing part forming a second receiving space, wherein the lifting switch piece penetrates one side of the first standing part, one end is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 first rotating shaft,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 first gear portion with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applied from the outside. It has a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that causes the first gear part to rotate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lowering switch part penetrates one side of the second standing part, one end is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a second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a second gear portion having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an external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that causes the second gear unit to rotate by external force applied fr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기립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1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1 래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기립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2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기어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2 래크부를 구비하고,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래크부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지지레그편을 기준으로 상승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래크부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2 지지레그편을 기준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lifting leg piece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a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anding portion form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It has a first sliding part that slides along and a first intermediate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liding part, and the first sliding part has a first rack part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includes a second sliding portion and a second sliding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anding portion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lifting leg piece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t has a second intermediat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rt, and the second sliding part has a second rack part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second gear part, and the first gear part applies the first external force. I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unit and travels along the first rack unit so that the first sliding unit rises bas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nd the second gear unit is operat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It may be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and travel along the second rack portion, allowing the second sliding portion to descend bas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1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1 래크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1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1 래크부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2 기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3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제2 래크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어부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3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제2 래크부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레그부는, 상기 제1 기어부가 장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가 이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제1 기어부가 이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가 장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제1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제2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rst gear unit to move from the first rack unit to a first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tanding unit. It is positioned at a spaced apart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gear part is moved from the spaced position of the first gear part to a mounting position where the first gear part is engaged with the first rack part due to an external force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causes the second gear unit to be located at a spaced position away from the second rack unit in response to the third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tanding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is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rack unit. The second gear unit is moved from the spaced position of the gear unit to a mounting position where it engages with the second rack unit due to an external force in a fourth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ifting leg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gear unit from the spaced position of the gear unit. It is located in the additional mounting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part is located in the spaced position, and rises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and the first gear part is located in the spaced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part is in the mounting position. In a state located in, the first gear unit is lower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and the first gear portion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and the first gear portion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Rotation due to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is limited, and the second gear uni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1 Rotation due to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may be lim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지지연결부는, 상기 제1 매개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편, 상기 제2 매개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편과 연결되는 제2 연결편, 상기 제1 연결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편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1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편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2 쿠션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connection part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ec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part, a second connection piec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ece. It has a connecting piece, a first seating portion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sliding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wherein the first seating portion is positioned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It has a first position moving part and a first cushion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and formed of a buffer member, and the second seating part includes a second position moving part and a second position moving part along the second connection piece.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osition moving part and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ushion part formed of a buffe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상기 제1 쿠션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편을 따라 상기 제2 승강레그편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연결편을 따라 상기 제1 승강레그편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는, 각각의 팔걸이 위치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전방 지지위치에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art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and the second cushion par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is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towar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at an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fting leg piece,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is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along the second connection piece toward the first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an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and the first lifting leg piece is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The cushion portion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ach armrest position and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t each front support posi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인이나 노약자와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좌변기 이용자의 착석이나 기립을 보조하여 사용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nstalled in restrooms for people with limited mobility, such as the disabled or the elderly, and can improve convenience and safety by assisting toilet seat users in sitting or standing.

또한, 이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지지연결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이용자의 신체에 맞춰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upport connection that the user can support can be adjusted to increas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또한, 지지연결부의 배치 상태를 변경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양팔을 벌린 채, 지지하거나 양팔을 앞으로 모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높였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connection, compatibility was improved by allowing the user to support it with both arms spread out or to support it with both arms forw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승강레그부 및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지지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ilet equipped with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the lifting leg portion and the switch portion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r creat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is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가 설치된 양변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ilet equipped with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이하 보조장치, 1)는, 양변기(P)의 전방에 배치되어, 양변기(P)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는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ilet (P) to assist the user in standing or sitting using the toilet (P). It may be a device that assists.

본 발명의 보조장치(1)는, 지지레그부(10), 승강레그부(20), 지지연결부(30) 및 스위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leg portion 10, a lifting leg portion 20, a support connection portion 30, and a switch portion 40.

상기 지지레그부(10)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제1 지지레그편(11) 및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레그편(12)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leg portion 10 includes a first support leg piece 11 that stands up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and a second support leg piece 12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It can be provided.

상기 승강레그부(20)는,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승강레그편(21)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lifting leg portion 20 may be mounted to be able to be lift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and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which are mounted to be able to be lifted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

상기 지지연결부(30)는,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과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을 연결할 수 있다.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may connect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an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지지레그부(10)에 설치된 채, 상기 승강레그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그부(20)의 상기 지지레그부(10)에 대한 승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switch part 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leg part 10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leg part 20 to implemen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leg part 2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leg part 10. You can.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승강레그부(20)가 상기 지지레그부(10)를 기준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40 may cause the lifting leg unit 20 to rise or fall based on the support leg unit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승강레그부 및 스위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to 5 are a lifting leg portion and a lifting leg portion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diagram to explain the switch unit.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40)는 상승 스위치편(41) 및 하강 스위치편(43)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5, the switch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a rising switch piece 41 and a falling switch piece 43.

상기 상승 스위치편(41)은,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설치된 채,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fting switch piece 41 is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so that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is mov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The rise of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can be implemented.

상기 상승 스위치편(41)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에 착탈되고,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The lifting switch piece 41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mounted on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by the applied rotational force.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can be raised.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평행부(111) 및 상기 제1 평행부(111)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기립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is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111 and the first parallel portion 111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and has a first receiving space therein.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anding portion 113 forming a .

상기 상승 스위치편(41)은, 제1 회전축(411), 제1 기어부(413) 및 제1 외력인가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lifting switch piece 4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shaft 411, a first gear portion 413, and a first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415.

상기 제1 회전축(411)은, 상기 제1 기립부(113)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axis 411 may penetrate one side of the first standing portion 113, one end may be placed outside, and the other end may be plac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회전축(411)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ear unit 413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411, and teeth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는, 상기 제1 회전축(411)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부(413)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411 and can cause the first gear unit 413 to rotat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회전축(411)은,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인가된 수평방향으로 힘에 의해 상기 제1 기립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1 기립부(11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on axis 411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tanding part 113 or toward the first standing part 113 by a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ying part 415. can be moved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기립부(113)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슬라이딩부(211)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211)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1 매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is a first sliding portion that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anding portion 113 formi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while at least a portion of i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211) and a first intermediate part 213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ing part 211.

상기 제1 슬라이딩부(211)는, 상기 제1 기어부(413)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1 래크부(21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liding part 211 may include a first rack part 211a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first gear part 413.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래크부(211a)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부(211)가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을 기준으로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gear unit 413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and travels along the first rack unit 211a, so that the first sliding unit 211 is It can be raised bas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는, 상기 제1 기립부(1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1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상기 제1 래크부(211a)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도 5의 (b) 참조)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어부(413)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1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상기 제1 래크부(211a)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도 5의 (a) 참조)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causes the first gear unit 413 to separate from the first rack unit 211a due to a first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tanding unit 113. is located in a spaced position (see (b) in FIG. 5), and at the spaced position of the first gear part 413, the first gear part (413) is applied to an external force in a second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413) can be moved to a mounting position (see (a) in FIG. 5) where it engages with the first rack portion 211a.

여기서,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인가된 제1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Here, the first gear unit 413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an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otation due to the applied torque may be limited.

이를 위해,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제2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되는, 회전제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gear unit 413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er (not shown) that restricts rotation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인가된 회전력을 상기 제1 래크부(211a)에 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인가된 회전력을 상기 제1 래크부(211a)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gear unit 413 canno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at the spaced position to the first rack unit 211a,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 of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is not realized. In addition, the first gear unit 413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at the mounting position to the first rack unit 211a, so that the first lifting leg piece ( 21), the rise of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can be realized.

상기 하강 스위치편(43)은,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설치된 채,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대한 하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ing switch piece 43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so that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is moved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The lowering of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can be implemented.

상기 하강 스위치편(43)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에 착탈되고,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ing switch piece 43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mounted on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by the applied rotational force.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can be lowered.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행부(121) 및 상기 제2 평행부(121)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기립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is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121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121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and has a second receiving space therein. It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tanding portion 123 forming a .

상기 하강 스위치부(40)는, 제2 회전축(431), 제2 기어부(433) 및 제2 외력인가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The lowering switch unit 40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shaft 431, a second gear unit 433, and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상기 제2 회전축(431)은, 상기 제2 기립부(123)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axis 431 may pass through one side of the second standing portion 123, and one end may be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end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회전축(431)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ear unit 433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431, and may have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는, 상기 제2 회전축(431)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기어부(433)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431 and can cause the second gear unit 433 to rotat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2 회전축(431)은,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인가된 수평방향으로 힘에 의해 상기 제2 기립부(12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2 기립부(12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axis 431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tanding part 123 or toward the second standing part 123 by a horizont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ying part 435. can be moved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기립부(123)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슬라이딩부(221)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221)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2 매개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is a second sliding part that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anding part 123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221) and a second intermediate part 223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liding part 221.

상기 제2 슬라이딩부(221)는, 상기 제2 기어부(433)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2 래크부(22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part 221 may include a second rack part 221a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second gear part 433.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래크부(221a)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부(221)가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을 기준으로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gear unit 433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and travels along the second rack unit 221a, so that the second sliding unit 221 is It can be lowered bas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는, 상기 제2 기립부(1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3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상기 제2 래크부(221a)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도 5의 (a) 참조)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어부(433)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3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상기 제2 래크부(221a)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도 5의 (b) 참조)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causes the second gear unit 433 to separate from the second rack unit 221a due to a third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tanding unit 123. is located in a spaced position (see (a) in Figure 5), and the second gear part (433) is applied to an external force in the fourth horizontal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paced position of the second gear part 433. 433) can be moved to a mounting position (see (b) in FIG. 5) where it engages with the second rack portion 221a.

여기서,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인가된 제3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3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gear unit 433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third rot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and in the fourth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rotation direction. Rotation due to the applied torque may be limited.

이를 위해,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제4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은 제한되는, 회전제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gear unit 433 may be provided with a rotation limiter (not shown) that restricts rotation in the fourth rotation direction.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인가된 회전력을 상기 제2 래크부(221a)에 전달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인가된 회전력을 상기 제2 래크부(221a)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gear unit 433 canno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to the second rack unit 221a at the spaced position,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 of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is not realized. In addition, the second gear unit 433 can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at the mounting position to the second rack unit 221a, so that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 22), the rise of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can be realized.

상기 승강레그부(20)는,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장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이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The lifting leg unit 20 applies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ear unit 413 is located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unit 433 is located in the spaced position. It can rise due to the generated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 승강레그부(20)는,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이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장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leg unit 2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in a state where the first gear unit 413 is located at a spaced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unit 433 is located at a mounting position. It can descend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it.

사용자는 양변기를 이용 시, 기립 또는 착석을 용이하게 양팔 또는 몸으로 지지하는 상기 지지연결부(3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스위치부(40)를 이용한다.When using a toilet, the user uses the switch unit 4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connection unit 30, which supports the user with both arms or the body to facilitate standing or sitting.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연결부(3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상기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상기 장착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Specific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435 so that the second gear part 433 is located at the spaced position. And, a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415 so that the first gear part 413 is positioned at the mounting position.

다음,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상기 제1 래크부(211a)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11)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Next, a rotational force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15 to cause the first gear unit 413 to move along the first rack unit 211a, thereby causing the first gear unit 413 to move along the first rack unit 211a. The elevation of the lifting leg piece 21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11 can be realized.

이 때, 상기 제2 기어부(433)는 상기 제2 래크부(221a)에 결속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지지연결부(30)를 통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이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과 연동되어 상승하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gear unit 433 is not coupled to the second rack unit 221a,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2 through 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It is made to rise in conjunction with the leg piece (21).

또한, 상기 지지연결부(3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415)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기어부(413)가 상기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상기 장착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lower the height of 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415 so that the first gear part 413 is located at the spaced position. , a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435, so that the second gear part 433 is positioned at the mounting position.

다음, 상기 제2 외력인가부(435)에 상기 제3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기어부(433)가 상기 제2 래크부(221a)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12)에 대한 하강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Next, a rotational force in the third rotation direction is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435 to cause the second gear unit 433 to move along the second rack unit 221a, thereby causing the second gear unit 433 to move along the second rack unit 221a. The lowering of the lifting leg piece 22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12 can be implemented.

이 때, 상기 제1 기어부(413)는 상기 제1 래크부(211a)에 결속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지지연결부(30)를 통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이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과 연동되어 하강하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gear unit 413 is not coupled to the first rack unit 211a,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1 through 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It is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e leg piece (2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의 지지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of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연결부(30)는, 상기 제1 매개부(213)에 연결되는 제1 연결편(31), 상기 제2 매개부(223)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편(31)과 연결되는 제2 연결편(32), 상기 제1 연결편(3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안착부(33) 및 상기 제2 연결편(3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안착부(34)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upport connection part 3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ece 31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part 213, and a first connecting piece 31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223. ), a second connecting piece 3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a first seating portion 33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sli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32 ( 34) can be provided.

상기 제1 연결편(31)은, 상기 제1 매개부(213)로부터 상기 제2 매개부(223)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2 연결편(32)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중첩구간이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extends from the first intermediate part 213 toward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223, and forms an overlap section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second connecting piece 32.

상기 제2 연결편(32)은, 상기 제2 매개부(223)로부터 상기 제1 매개부(213)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편(31)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중첩구간이 형성된다.The second connecting piece 32 extends from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223 toward the first intermediate part 213, and forms an overlap section disposed to overlap with 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상기 제1 연결편(31)과 상기 제2 연결편(32)의 중첩구간은 상호 연결될 수 있다.Overlapping sections of the first connection piece 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ece 3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안착부(33)는, 상기 제1 연결편(31)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331)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331)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1 쿠션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art 33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331 and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331, which is moved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and is formed of a buffer member. 1 A cushion portion 333 may be provided.

상기 제1 쿠션부(333)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3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쿠션부(343)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3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art 333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331, and the second cushion part 343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341. there is.

상기 제1 쿠션부(333)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편(31)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위치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ortion 333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can be rotated between a horizontal position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first connection piece 31 and a vertical position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onnection piece 31.

상기 제1 위치이동부(331)는,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편(31)을 따라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moving unit 331 moves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31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at an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It can be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that is moved to the side.

상기 제1 쿠션부(333)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331)의 팔걸이 위치에서 수직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331)의 전방 지지위치에서 수평위치에 배치되어 후술할 제2 쿠션부(343)와 함께 사용자가 양팔을 앞으로 하여 지지하거나 가슴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쿠션부의 위치 변경은 가능하다.The first cushion part 333 is disposed in a vertical position at the armrest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331 to facilitate seating of the user's arm, and is located at the front support position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331. It is placed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together with the second cushion part 3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make it easy for the user to support both arms forward or support the chest.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제2 안착부(34)는, 상기 제2 연결편(32)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341)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341)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2 쿠션부(343)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art 34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341 and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341, which is moved along the second connecting piece 32, and is formed of a buffer member. 2 A cushion portion 343 may be provided.

상기 제2 위치이동부(341)는, 상기 제2 승강레그편(22)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연결편(32)을 따라 상기 제1 승강레그편(21)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position moving unit 341 moves the first lifting leg piece 21 along the second connecting piece 32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at the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22. It can be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that is moved to the side.

상기 제2 쿠션부(343)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편(32)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위치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The second cushion portion 343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can be rotated between a horizontal position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second connection piece 32 and a vertical position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connection piece 32.

상기 제2 쿠션부(343)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341)의 팔걸이 위치에서 수직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341)의 전방 지지위치에서 수평위치에 배치되어 상술한 제2 쿠션부(343)와 함께 사용자가 양팔을 앞으로 하여 지지하거나 가슴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쿠션부의 위치 변경은 가능하다.The second cushion part 343 is disposed in a vertical position at the armrest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341 to facilitate seating of the user's arm, and is located at the front support position of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341. It is placed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second cushion part 343, can facilitate the user to support both arms forward or to support the chest. This is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 of the cushion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제1 쿠션부(333)와 상기 제2 쿠션부(343)는, 각각의 팔걸이 위치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전방 지지위치에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ushion part 333 and the second cushion part 34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ach armrest position and adjacent to each other at each front support position.

또한, 상기 보조장치(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로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uxiliary device 1 may be provided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is stat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10: 지지레그부
11: 제1 지지레그편
12: 제2 지지레그편
20: 승강레그부
21: 제1 승강레그편
22: 제2 승강레그편
30: 지지연결부
31: 제1 연결편
32: 제2 연결편
33: 제1 안착부
34: 제2 안착부
40: 스위치부
41: 상승 스위치편
43: 하강 스위치편
1: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10: Support leg part
11: 1st support leg
12: Second support leg
20: Elevating leg part
21: First lifting leg
22: Second lifting leg
30: Support connection
31: First connection
32: Second connection
33: First seating portion
34: Second seating portion
40: switch part
41: Up switch
43: Lowering switch

Claims (7)

양변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양변기를 이용한 사용자의 기립 또는 착석을 보조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제1 지지레그편 및 상기 제1 지지레그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지지레그편을 구비하는 지지레그부;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승강레그편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승강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승강레그편을 구비하는 승강레그부;
상기 제1 승강레그편과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을 연결하는 지지연결부; 및
상기 지지레그부에 설치된 채, 상기 승강레그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레그부의 상기 지지레그부에 대한 승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설치된 채, 상기 제1 승강레그편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의 상기 제1 지지레그편에 대한 상승이 구현되도록 하는 상승 스위치편 및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설치된 채, 상기 제2 승강레그편과 체결되어,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의 상기 제2 지지레그편에 대한 하강이 구현되도록 하는 하강 스위치편을 구비하며,
상기 상승 스위치편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에 착탈되고,
상기 제1 승강레그편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이 상승되도록 하며,
상기 하강 스위치편은,
수평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에 착탈되고,
상기 제2 승강레그편에 장착된 상태에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이 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제1 지지레그편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평행부 및 상기 제1 평행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지지레그편은,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행부 및 상기 제2 평행부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기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승 스위치편은,
상기 제1 기립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회전축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1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강 스위치편은,
상기 제2 기립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일측단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회전축의 타측단에 연결되며,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형성된 제2 기어부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In th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oilet and assists the user in standing or sitting on the toilet,
a support leg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leg piece that stands up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and a second support leg piece tha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 lifting leg portion including a first lifting leg piece mount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and a second lifting leg piece mount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so as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A support connection connecting the first lifting leg piece an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and
A switch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leg unit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leg unit to enable the lifting leg unit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leg unit,

The switch unit,
A lifting switch piece install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and fastened to the first lifting leg piece so that the first lifting leg piece is raise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leg piece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and
A lowering switch piece is install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and fastened to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so that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is lower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by an applied external force. ,
The rising switch piece is,
I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mounted on the first lifting leg piece, the first lifting leg piece is raised by an applied rotational force,
The lowering switch piece is,
I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mounted on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is lowered by an applied rotational force,

The first support leg piece,
It has a first paralle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nd a first standing portion formed to stand up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first parallel portion and forming a first receiving space therei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a second parallel portion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and a second standing portion formed to stand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econd parallel portion and forming a second receiving space therein,
The rising switch piece is,
A first rotating shaft penetrates one side of the first standing portion,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a first rotating shaft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shaft. It is connected to a first gear part with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allowing the first gear part to rotat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lowering switch piece is,
A second rotating shaft penetrates one side of the second standing portion, has one end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and is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It is connected to a second gear part with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allowing the second gear part to rotat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1 기립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부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1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1 래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제2 기립부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제2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의 상측단에 연결되는 제2 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제2 기어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2 래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래크부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지지레그편을 기준으로 상승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 래크부를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2 지지레그편을 기준으로 하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lifting leg is,
A first sliding part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anding part forming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 first intermediat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liding part. Equipped with
The first sliding part is,
A first rack portion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first gear portion,
The second lifting leg is,
A second sliding part that is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slid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anding part forming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a second intermediat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liding part. Equipped with
The second sliding part,
A second rack portion formed on an opposing surface facing the second gear portion,
The first gear unit,
I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and travels along the first rack unit, so that the first sliding unit rises based on the first support leg piece,
The second gear unit,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travels along the second rack unit, and causes the second sliding unit to descend based on the second support leg piec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기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1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1 래크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어부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1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1 기어부가 상기 제1 래크부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2 기립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가된 제3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제2 래크부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 기어부의 이격위치에서 상기 제3 수평방향의 반대방향인 제4 수평방향 외력에 상기 제2 기어부가 상기 제2 래크부와 맞물리는 장착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레그부는,
상기 제1 기어부가 장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가 이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제1 기어부가 이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부가 장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하강하며,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제1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되며,
상기 제2 기어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인가된 제2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회전되고, 상기 제1 회전방향으로 인가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The first gear unit is positioned at a spaced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rack unit due to a first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tanding unit, and the first gear unit is positioned at a spaced position in the first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gear unit is moved to a mounting position where it engages with the first rack unit due to a second horizontal exter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part,
The second gear unit is positioned at a spaced position away from the second rack unit due to a third horizontal external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tanding unit, and the third horizontal direction is positioned at the spaced position of the second gear unit. The second gear unit is moved to a mounting position where it engages with the second rack unit due to a fourth horizontal exter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lifting leg part,
With the first gear unit located in the mounting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unit located in the spaced position, the first gear unit rises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With the first gear unit located in the spaced position and the second gear unit located in the mounting position, the second gear unit is lowered by a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The first gear unit,
The first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is rotated by a rotational force appli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by a rotation force appli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is limited,
The second gear unit,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otation due to a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applied to the second external force application unit is limited, and rotation due to a rotational force appli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is limi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연결부는,
상기 제1 매개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편, 상기 제2 매개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편과 연결되는 제2 연결편, 상기 제1 연결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연결편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연결편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1 쿠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제2 연결편을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제2 쿠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upport connection part is,
A first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part, a second connecting piec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a first seating portion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the second connecting piece. It has a second seating portion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ece,
The first seating portion,
A first position moving part that moves along the first connection piece and a first cush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and is formed of a buffer member,
The second seating portion,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 second position moving part that moves along the second connecting piece, and a second cushion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and is formed of a buffer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2 쿠션부는, 상기 제2 위치이동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승강레그편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편을 따라 상기 제2 승강레그편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 승강레그편의 상측에 배치되는 팔걸이 위치에서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연결편을 따라 상기 제1 승강레그편 측으로 이동되는 전방 지지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는, 각각의 팔걸이 위치에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전방 지지위치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착석 및 기립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first cushion par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The second cushion par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The first position moving part is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along the first connecting piece toward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an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fting leg piece,
The second position moving part is moved to a front support position along the second connecting piece toward the first lifting leg piece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an armrest posi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fting leg piece,
A toilet seating and stand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ushion part and the second cushion par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ach armrest position and adjacent to each other at each front support position.
KR1020220147835A 2022-11-08 2022-11-08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KR102619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835A KR102619087B1 (en) 2022-11-08 2022-11-08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835A KR102619087B1 (en) 2022-11-08 2022-11-08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087B1 true KR102619087B1 (en) 2023-12-28

Family

ID=8938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835A KR102619087B1 (en) 2022-11-08 2022-11-08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274A (en) * 2013-11-30 2015-06-09 (주)엠씨텍 Built-in sensor for elderly fall safety handle for toilet
JP2018094015A (en) * 2016-12-12 2018-06-2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Armrest device for toilet
KR102062486B1 (en) 2019-04-01 2020-01-03 송순영 Apparatus for assisting the standing of toilet seat us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274A (en) * 2013-11-30 2015-06-09 (주)엠씨텍 Built-in sensor for elderly fall safety handle for toilet
JP2018094015A (en) * 2016-12-12 2018-06-2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Armrest device for toilet
KR102062486B1 (en) 2019-04-01 2020-01-03 송순영 Apparatus for assisting the standing of toilet seat us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566B1 (en) Subsidiary implement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KR101437374B1 (en) Variable type wheel chair
KR102128494B1 (en) Chair for elderly and disabled
KR100960094B1 (en) Lift chair having lifting module hingedly jointed thereto
US20110131720A1 (en) Wall Mounted Lift Chair
US20100207353A1 (en) Wheelchair Apparatus with Assistant Function
KR200434785Y1 (en) posture conversion chair
KR102150594B1 (en) Wheelchair
WO2014168080A1 (en) Chair with assisting mechanism
KR102619087B1 (en) Apparatus for helping sitting and standing up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EP3777611A1 (en) Iron rack used for stand assist recli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3113742U (en) Walker and wheelchair with electric standing assist device
JP2018064680A (en) Elevating legless chair
TWM572716U (en) Standing aid
KR102633217B1 (en) Safety handle assembly for toilet
CN205390871U (en) Leisure chaise longue with braking structure
KR101197738B1 (en) Seat apparatus for toilet bowl
JP2015192847A (en) Mobile toilet device
JP3123479U (en) Toilet device
JP2012217718A (en) Handrail for toilet bowl
JP2008237583A (en) Wheelchair for assistance and footrest assembly used therefor
KR20120102889A (en) Electric wheelchair
JP2013074954A (en) Elevatable collapsable footrest device and wheelchair using the same
US5468049A (en) Manually operated uplif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