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014B1 -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 Google Patents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014B1
KR102619014B1 KR1020230125214A KR20230125214A KR102619014B1 KR 102619014 B1 KR102619014 B1 KR 102619014B1 KR 1020230125214 A KR1020230125214 A KR 1020230125214A KR 20230125214 A KR20230125214 A KR 20230125214A KR 102619014 B1 KR102619014 B1 KR 102619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freezing
guide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신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신우엠테크
Priority to KR102023012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25C5/10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using hot refrigerant; using fluid heated by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나 정수기에 사용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제빙용 증발기는, 증발관, 상기 증발관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냉매관과 히팅관, 상기 증발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 및 상기 히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표면에 얼음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다수의 결빙관, 및, 상기 증발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상기 결빙관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결빙관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증발관 및 상기 결빙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유로의 용적을 설정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는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조립 슬릿을 매개로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Evaporator with double tube structure for ice making equipment}
본 발명은 냉장고나 정수기에 사용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유로를 개선하여 제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냉각시스템은 증발기로부터 공급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으로 만드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공급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를 중온고압의 액상 냉매로 바꾸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만드는 팽창밸브(모세관)와, 저온저압의 냉매가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냉각시스템은 에어컨, 제빙기, 냉수기 등 다양한 장치에서 냉각을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제빙용 증발기는 정수되어 공급되는 물을 빙점 이하로 냉각하여 얼음을 만들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얼음이 필요한 냉장고나 얼음 정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용 증발기는 냉매가 흐르는 증발관(11)과, 증발관(1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핑거부재(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증발관(11) 내부에는 냉매가 공급되는 냉매관(13)과 히팅 가스가 공급되는 히팅관(14)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증발기는 핑거부재(12)가 물받이에 담긴 물에 잠기거나 핑거부재(12)에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냉매관(13)을 통하여 증발관(11)의 끝단까지 공급된 냉매가 증발관(11)과 핑거부재(12) 내부의 유로(16)를 따라 흐르면서 핑거부재(12) 표면에 얼음을 생성시키고, 소정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면 히팅관(14)을 통하여 히팅 가스가 순간적으로 공급되어 핑거부재(12) 표면에 결빙된 얼음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증발기는 핑거부재(12)의 하단부를 따라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판 형상의 격벽부재(15)가 더 결합된다. 격벽부재(15)는 증발관(11) 및 핑거부재(12)의 폭 방향을 차단하고, 하단 영역을 개방하여 냉매가 핑거부재(12)의 하단부를 따라 흐르도록 가이드 한다.
따라서, 증발기는 핑거부재(11)의 하단부 외주 표면에 얼음을 생성하는데, 종래의 증발기는 냉매가 핑거부재(12) 내부의 전체 영역에 충진된 상태에서 유동한다. 즉, 증발기는 제빙이 이루어지는 핑거부재(12)의 하단 영역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냉매가 충진되어 흐름으로써, 많은 양의 냉매가 공급되어야 하고, 공급되는 냉매에 비하여 제빙의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10-2265422호를 통하여 핑거부재를 이중 관으로 구성하여, 냉매 또는 히팅 가스가 흐르는 핑거부재 내부의 용적을 줄임으로써, 제빙 및 탈빙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증발기를 소개한 바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특허문헌의 증발기는 하측 베이스(21)와 침지관(22)을 갖는 하측 부재(20)와, 상측 베이스(31)와 삽입관(32)을 갖는 상측 부재(30)와, 파티션 블록(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증발기는 삽입관(32)이 침지관(22)에 삽입되도록 하측 부재(20)와 상측 부재(30)를 결합하고, 하측 베이스(21)와 상측 베이스(31) 사이의 양 측부에는 파티션 블록(40)을 결합한다. 삽입관(32)은 침지관(22)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냉매는 삽입관(32)과 침지관(22) 사이에 형성되는 작은 공간의 유로(23)을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의 증발기는 삽입관(32)이 침지관(22)의 내부 용적을 줄여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냉매가 공급될 수 있고, 냉매가 침지관(22)의 하단부 영역에만 집중되어 제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의 증발기도 침지관(22) 내부의 폭 방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삽입관(32)의 양 측부에 차단 플랜지(33)을 별도로 가공하여야 한다. 이때, 차단 플랜지(33)는 삽입관(32) 양 측부로 돌출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원 형상의 관에 돌출형의 차단 플랜지(33)를 가공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하측 부재(20)와 상측 부재(3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의 폭 방향도 차단하여야 하므로, 별도의 파티션 블록(40)을 더 결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265422호(2021.06.09.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공성이 용이하고, 부품 수를 줄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의 공급량을 최소로 하면서 제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얼음 정수기용 증발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제빙용 증발기는, 증발관, 상기 증발관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냉매관과 히팅관, 상기 증발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 및 상기 히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표면에 얼음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다수의 결빙관, 및, 상기 증발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상기 결빙관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결빙관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증발관 및 상기 결빙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유로의 용적을 설정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 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는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조립 슬릿을 매개로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1 폭을 가지면서 상기 증발관 내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벽부와, 제 2 폭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차단벽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빙관 내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 2 차단벽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차단벽부의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개 및 벤딩되는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가이드 바의 상부 개구부 일 측을 차폐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커버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전방 측의 상기 가이드 바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매의 공급량을 최소로 하면서 제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가공과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증발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도 3의 증발기의 유체 흐름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증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증발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증발기의 냉매 흐름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증발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증발관(100)과, 증발관(10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빙관(200)과, 증발관(100)과 결빙관(200) 내부로 흐르는 냉매 및 히팅 가스(이하, 이를 '유체'라 함)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유닛(300)과, 증발관(100) 내부로 인입되어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관(400)과, 증발관(100) 내부로 인입되어 히팅 가스를 공급하는 히팅관(500)을 포함하고, 증발관(100)의 일 측에는 내부로 공급된 냉매와 히팅 가스를 강제로 배출하는 배출관(60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증발관(100)은 내부에 가이드 유닛(300)과 냉매관(400) 및 히팅관(500)을 수용하여 내부로 유체가 유로(100a)를 제공함과 동시에 결빙관(200) 및 가이드 유닛(300)을 결합하여 결빙관(200) 표면에 얼음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증발관(100)은 소정의 내경과 길이를 갖는 관(pipe) 형상을 이루고,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터널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사각 형상의 파이프 구조를 갖는 증발관(100)을 예시한다.
이를 위한 증발관(100)은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10)와, 상부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커버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가이드 유닛(300), 냉매관(400) 및 히팅관(500)이 배치되는 공간과,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100a)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110)는 하부에 결빙관(200)이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 홀(111)을 제공하고, 결합 홀(111)은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일 측에는 냉매관(400)과 히팅관(500)이 조립되는 한 쌍의 조립 홀(112)이 형성되고, 한 쌍의 조립 홀(112) 사이에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600)이 결합된다. 본체부(110)는 증발기의 구조에 따라 일자형 또는 'U'자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커버부(120)는 가이드 유닛(300), 냉매관(400) 및 히팅관(500)이 본체부(110)에 결합된 후, 본체부(110)의 상부 개구부를 덮으면서 결합된다.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와 일체형을 이루면서 소정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증발관(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를 위한 커버부(120)는 본체부(110)에 대응하는 길이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10)가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커버부(120)가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하측의 본체부(110)가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고 상측의 커버부(120)가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또는 터널 등의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결빙관(200)은 내부 공간을 따라 흐르는 냉매를 이용하여 외주 표면에 얼음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증발관(100)의 하면에서 결합 홀(111)에 결합된다. 결빙관(200)은 레이저 용접으로 증발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빙관(20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면서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원통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결빙관(200)은 형성된 얼음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좁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유닛(300)은 증발관(100) 내부의 유로(100a)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결빙관(200) 내부의 하부 공간을 따라 흐르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가이드 유닛(300)은 유체가 각 결빙관(200)의 하부 공간으로 흐르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결빙관(200) 내부에서 유체가 충진되거나 흐르는 용적을 설정하는 가이드 바(320)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의 결합체로 구성되며, 가이드 유닛(300)에 대한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냉매관(400)과 히팅관(500)은 각각 냉매 및 히팅 가스를 증발관(100)의 끝 단부까지 공급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룬다. 냉매 또는 히팅 가스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냉매관(400)과 히팅관(500)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증발관(100) 및 결빙관(200)의 유로(100a,200a)를 따라 흐르면서 결빙관(200) 표면에 얼음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얼음을 분리한다. 증발관(100) 내부에 공급된 냉매 및 히팅 가스는 배출관(600)을 통하여 다시 배출된다.
냉매관(400)과 히팅관(500)은 증발관(100) 내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증발관(100)의 끝 단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310)에는 냉매관(400)과 히팅관(500)이 각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 홀(301)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증발기는 냉매관(400)을 통하여 냉매가 증발관(100)의 끝 단부(도면상 좌측 단부)에 공급되면, 공급된 냉매는 증발관(100)의 유로(100a)와 결빙관(200)의 유로(200a)를 따라 순차적으로 증발관(100)의 시작 단부(도면상 우측 단부)까지 이동한다. 이때, 결빙관(200)에서는 냉매가 가이드 유닛(300)에 의하여 결빙관(200)의 하측 단부에 충진 및 통과하도록 가이드되고, 이로 인하여 결빙관(200)의 외주 표면에는 얼음이 생성된다. 결빙관(200) 표면에 충분한 크기의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다시 히팅관(500)을 통하여 히팅 가스가 공급되면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된다.
한편, 가이드 유닛(300)은 냉매 또는 히팅 가스가 반드시 결빙관(200)의 하측 공간 유로(200a)를 따라서만 흐르도록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유닛(300)은 폭 방향(x 방향)에 대하여 결빙관(200) 하부의 일부 공간만 개방하고, 증발관(100)과 결빙관(200)의 나머지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증발관(100)과 결빙관(200)의 폭 방향을 차단하여 유체가 결빙관(200)의 하부 공간을 통해서만 흐를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가이드 바(320)는 결빙관(200)의 내부 공간 일부를 채워 유로가 좁은 용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체가 공급되더라도 제빙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가이드 유닛(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 1 폭(w1)을 갖는 상부의 제 1 차단벽부(311)와, 제 2 폭(w2)을 가지면서 제 1 차단벽부(311)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차단벽부(312)로 이루어진다. 제 1 차단벽부(311)의 제 1 폭(w1)은 증발관(100)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제 2 차단벽부(312)의 제 2 폭(w2)은 결빙관(200)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또한, 제 1 차단벽부(311)는 증발관(100)의 내부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지만, 제 2 차단벽부(312)는 결빙관(20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본실시예의 가이드 바(320)는 소정의 직경(w3)과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가이드 바(320)는 결빙관(200) 사이에서 유로(200a)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결빙관(200)의 내부 공간보다 작은 직경(w3)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이드 유닛(300)은 증발관(100) 및 결빙관(200)에 삽입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조립된 상태의 가이드 유닛(300)은 제 1 차단벽부(311)가 증발관(100) 유로(100a)의 좌우 폭을 차단하여 유체가 결빙관(20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고, 제 2 차단벽부(312)가 결빙관(200)의 좌우 폭을 차단하여 유체가 결빙관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따라서, 결빙관(200)의 폭 방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이드 바(320)에 별도의 차단 플랜지(도 2의 33 참조)를 가공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의 조립을 위하여 가이드 바(320)에는 조립 슬릿(321)이 형성된다. 조립 슬릿(321)은 가이드 바(320)의 최대 직경을 횡단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의 조립 슬릿(321)에 제 2 차단벽부(312)가 삽입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슬릿(312)은 가이드 바(320)의 최대 직경을 횡단하는 위치에서 양 측부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차단벽부(312)는 한 쌍의 조립 슬릿(31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 2 차단벽부(312)가 가이드 바(320)의 한 쌍의 조립 슬릿(312)에 삽입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 1 폭(w1)을 갖는 상부의 제 1 차단벽부(311)와, 제 2 폭(w2)을 가지면서 제 1 차단벽부(311)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차단벽부(312)로 이루어진다. 제 1 차단벽부(311)의 제 1 폭(w1)은 증발관(100)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제 2 차단벽부(312)의 제 2 폭(w2)은 결빙관(200)의 내부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또한, 제 1 차단벽부(311)는 증발관(100)의 내부 두께와 대응하는 높이를 갖지만, 제 2 차단벽부(312)는 결빙관(20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이드 바(320)는 소정의 직경(w3)과 길이를 가지면서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룬다.
또한, 조립 슬릿(321)은, 도 9의 (a)와 같이, 가이드 바(320)의 최대 직경을 횡단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바(320)의 격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바(320)의 조립 슬릿(321)에 제 2 차단벽부(312)가 삽입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또한, 조립 슬릿(313)은, 도 9의 (b)와 같이, 가이드 바(320)의 최대 직경을 횡단하는 격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2 차단벽부(31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차단벽부(312)의 조립 슬릿(313)에 가이드 바(320)의 격벽이 삽입되면서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유닛(300)은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차폐 커버(314)가 더 구비된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 바(320)가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경우, 적은 양의 소재가 사용되어 제조 비용과 제품의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유체가 가이드 바(320) 내부의 빈 공간 유입될 수 있다. 차폐 커버(314)는 가이드 바(320)의 일 측 개구부를 차폐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제 1,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 1 폭(w1)을 갖는 상부의 제 1 차단벽부(311)와, 제 2 폭(w2)을 가지면서 제 1 차단벽부(311)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차단벽부(312)로 이루어지고, 제 1 차단벽부(311)와 제 2 차단벽부(312)의 경계 영역에서 반원 형상의 차폐 커버(314)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차폐 커버(314)는 가이드 플레이트(310)의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개된 후 일 측의 수평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차폐 커버(314)는 가이드 바(32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가이드 바(320)가 조립될 때, 가이드 바(320)의 일 측 개구부를 차폐한다. 이때, 차폐 커버(314)는 가이드 바(320)의 원형 개구부에 대하여 1/2 부분 즉, 일 측의 개구부를 차폐하는데,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이드 유닛(300)은 유체가 흐르는 과정에서 가이드 바(320) 내부로 유입되어 결빙 또는 분리에 기여하지 않고 낭비되는 유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유닛(300)에 있어서도, 조립 슬릿(321,313)은 도 11의 (a)와 같이 가이드 바(320)에 형성되거나, 도 11의 (b)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증발기는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증발관
110 : 본체부 120 : 커버부
200 : 결빙관
300 : 가이드 유닛
310 : 가이드 플레이트 320 : 가이드 바
311 : 제 1 차단벽부 312 : 제 2 차단벽부
313, 321 : 조립 슬릿 314 : 차폐 커버
400 : 냉매관
500 : 히팅관
600 : 배출관

Claims (5)

  1. 증발관, 상기 증발관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냉매관과 히팅관, 상기 증발관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관 및 상기 히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표면에 얼음을 형성하고 분리하는 다수의 결빙관, 및, 상기 증발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가 상기 결빙관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결빙관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증발관 및 상기 결빙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결빙관 내부에서 유로의 용적을 설정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가이드 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는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조립 슬릿을 매개로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1 폭을 가지면서 상기 증발관 내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제 1 차단벽부와, 제 2 폭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차단벽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빙관 내부의 폭 방향을 차단하는 제 2 차단벽부와, 상기 제 2 차단벽부의 일부가 반원 형상으로 절개 및 벤딩되는 차폐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가이드 바의 상부 개구부 일 측을 차폐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바가 조립되는,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 2 차단벽부에 결합되는,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커버는, 유체가 흐르는 방향의 전방 측의 상기 가이드 바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조립되는,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1020230125214A 2023-09-20 2023-09-20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KR102619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214A KR102619014B1 (ko) 2023-09-20 2023-09-20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214A KR102619014B1 (ko) 2023-09-20 2023-09-20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014B1 true KR102619014B1 (ko) 2023-12-28

Family

ID=8938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214A KR102619014B1 (ko) 2023-09-20 2023-09-20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0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05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20210003525A (ko) *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102265422B1 (ko) 2019-06-14 2021-06-15 (주)신우엠테크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9160A (ko) * 2021-12-13 2023-06-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305A (ko) * 2016-04-04 2017-10-16 주식회사 에스앤아이 제빙기의 얼음 생성용 일체형 냉매 유도관
KR20180128698A (ko) * 2017-05-24 2018-12-04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용 증발기
KR102265422B1 (ko) 2019-06-14 2021-06-15 (주)신우엠테크 정수기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3525A (ko) * 2019-07-02 2021-01-12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KR20230089160A (ko) * 2021-12-13 2023-06-20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증발기 및 제빙용 증발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1118A1 (en) Refrigerator
KR101705662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5644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145189B1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機
KR100938642B1 (ko) 제빙기의 증발관과 그 제조방법
KR102619014B1 (ko) 이중 관 구조의 제빙용 증발기
CN106052249A (zh) 冰箱及其中使用的热交换器
KR880001433B1 (ko) 냉장고등의 증발기
US12018868B2 (en) Refrigerator
KR102653343B1 (ko) 응축기
KR20200069668A (ko) 제빙용 증발기
KR200259605Y1 (ko) 수액기일체형응축기
CN109556339A (zh) 具有存放室和蒸发器室的制冷器具
KR101754374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992415B1 (ko) 롤 본드 증발기
KR20240084907A (ko) 제빙 효율을 개선하는 제빙용 증발기
KR102530063B1 (ko) 그루브가 구비된 냉장고용 석션파이프
KR100379274B1 (ko) 미세유로납작관을 이용한 김치저장고의 증발기 설치 구조
CN220958999U (zh) 微通道换热器和制冷设备
CN221146879U (zh) 一种闪蒸罐以及包含该闪蒸罐的冷水机组***
KR20080022498A (ko) 제빙기의 증발관
US20210164699A1 (en) Flooded evaporator
CN113739452A (zh) 蒸发器及具有其的制冷装置
KR20230062075A (ko) 제빙용 증발기
KR2020002667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